KR102007093B1 - Accident prevention apparatus for inside frame of double deck elevator - Google Patents

Accident prevention apparatus for inside frame of double deck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093B1
KR102007093B1 KR1020170162817A KR20170162817A KR102007093B1 KR 102007093 B1 KR102007093 B1 KR 102007093B1 KR 1020170162817 A KR1020170162817 A KR 1020170162817A KR 20170162817 A KR20170162817 A KR 20170162817A KR 102007093 B1 KR102007093 B1 KR 102007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eck elevator
double deck
frame
ste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3784A (en
Inventor
김평윤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093B1/en
Publication of KR2019006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66B5/0062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by device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작업자가 내부 카 천정에 탑승하여 보수 점검을 수행하는 경우, 한 쌍의 내부 카 사이의 임의적인 협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외부 카 내에 구비되는 상부 카 및 하부 카를 포함하는 내부 카 상호 간의 협착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되, 외부 카의 수평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근접감지 스위치와, 상기 상부 카의 천정 측에 구비된 탑빔에 선택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작동바와, 상기 탑빔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의 수평상태 여부를 검출하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근접감지 스위치 및 작동 스위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후, 그에 따라 내부 카의 자동운전이나 운전정지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 stenosis in a frame of a double deck elevator, and when an operator performs a maintenance check on an internal car ceiling in a double deck elevator system, it is possible to prevent arbitrary stenosis between a pair of internal ca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stenosis inside the frame of a double deck elevator.
To this end, the frame internal stenosis prevention devic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deck elevator system is provided to prevent the stenosis between the inner car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cars provided in the outer car in the double deck elevator system, Proximity detection swit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the operation bar of a certain length is installed to selectively form a horizontal or vertical state on the top beam provided on the ceiling side of the upper car, and installed at a certain point of the top beam And an operation switch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a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proximity detection switch and the operation switch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driving or stopping of the internal car accordingly.

Description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ACCIDENT PREVENTION APPARATUS FOR INSIDE FRAME OF DOUBLE DECK ELEVATOR}ACCORDING PREVENTION APPARATUS FOR INSIDE FRAME OF DOUBLE DECK ELEVATOR}

본 발명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내부 카 천정에 보수 점검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임의적인 내부 카 사이의 협착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 stenosis inside a frame of a double deck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a safety accident due to stenosis between arbitrary interior cars in a state where a maintenance inspector is mounted on the interior car ceiling of a double deck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 stenosis in a frame of a double deck elevator to prevent the accident.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elevator devices are installed in various types of high-rise buildings constructed by residential and commercial roads for smooth movement of passengers looking for building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최근에는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 단일 승강로 내에서의 수송능력을 증대시키고자 엘리베이터 카를 상.하 2개로 구성하여 해당 건물의 2개층을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구성된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카의 적용이 증대되고 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application of the double-deck elevator car, which is configured to serve two floors of the building at the same time 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elevator car to increase the transport capacity in a single hoistway as the building becomes higher, have.

여기에서, 상기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비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카는 건물 환경에 따라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카 상호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Here, the pair of elevator cars provided in the double deck elevator system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elevator cars according to the building environment.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의 현장 보수 점검을 위해 작업자는 필요 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내부의 카 천정에 탑승하여 카를 운행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작업자의 내부 카 운전 미숙에 의해 카 상호 간의 간격이 임의로 좁혀지는 협착에 따른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double-deck elevator system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heck the site maintenance of the elevator, the operator rides the car on the car ceiling inside the double-deck elevator, if necessary, in this case, in the prior art of the operator's internal car operation immature Due to this, a problem arises that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the narrowing of the gap between cars.

국내 등록특허 제10-0509997호Domestic Patent No. 10-050999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작업자가 내부 카 천정에 탑승하여 보수 점검을 수행하는 경우, 한 쌍의 내부 카 사이의 임의적인 협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hat when the operator performs a maintenance check on the interior car ceiling in the double deck elevator system, between the pair of interior ca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preventing a stenosis in a frame of a double deck elevator to prevent an arbitrary stenosi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외부 카 내에 구비되는 상부 카 및 하부 카를 포함하는 내부 카 상호 간의 협착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되, 외부 카의 수평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근접감지 스위치와, 상기 상부 카의 천정 측에 구비된 탑빔에 선택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작동바와, 상기 탑빔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의 수평상태 여부를 검출하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근접감지 스위치 및 작동 스위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후, 그에 따라 내부 카의 자동운전이나 운전정지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ternal stenosis of the fram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stenosis between the inner car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cars provided in the outer car in the double deck elevator system. It is provided, the proximity detection swit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of the outer car, the operation bar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talled to be selectively horizontally or vertically to the top beam provided on the ceiling side of the upper car, and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top beam And an operation switch installed to detect whether the operation bar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proximity detection switch and the operation switch,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driving or stopping of the internal car accordingl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바는 상기 탑빔에 고정되는 패널형태의 브라켓트를 매개로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트는 사각판의 하부 일측에 중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홀의 상측 및 일측에는 각각 수직고정홀 및 수평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바의 일단에는 상기 중심홀과 연통된 상태로 볼트가 체결되는 제 1관통홀 및, 상기 수직고정홀이나 수평고정홀과 연통된 상태로 볼트가 체결되는 제 2관통홀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peration bar is installed via a panel-shaped bracket fixed to the top beam, the bracket is formed in the center hole on the lower side of the square plate, the vertical fixing hole and the horizontal side of the center hole, respectively A fixing hole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operation bar has a first through hole in which the bol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enter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in which the bol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vertical fixing hole or the horizontal fix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is formed.

더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스위치는 상기 브라켓트의 수평고정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의 수평상태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operation switch is installed under the horizontal fixing hole of the bracket, it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detec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operation bar.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작업자가 내부 카의 천정에 탑승하여 보수 점검을 수행하는 경우, 운전미숙에 의한 카의 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n the double-deck elevator system when the operator boards the ceiling of the internal car to perform the maintenance check,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narrowing of the car due to inexperienced driving, thi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의 엘리베이터 자동운행 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의 엘리베이터 수동운행 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의 엘리베이터 수동운행 시 내부 카 멈춤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ame internal stenosis prevention device of a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vator automatic operation of the frame internal stenosis prevention devic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vator manual operation of the frame internal stenosis prevention devic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ar stopped when the elevator manual operation of the frame internal narrowing accident prevention devic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의 엘리베이터 자동운행 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의 엘리베이터 수동운행 시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의 엘리베이터 수동운행 시 내부 카 멈춤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ame internal stenosis accident prevention devic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vator automatic operation of the frame internal stenosis accident prevention devic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manual operation of the frame internal stenosis accident prevention devic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manual operation of the elevator of the frame internal stenosis accident prevention devic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ity internal car stop stat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작업자가 내부 카 천정에 탑승하여 보수 점검을 수행하는 경우, 특정 구조의 협착사고 방지장치를 통해 내부 카 상호 간이 소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First, the device for preventing stenosis inside the frame of a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or boards the interior car ceiling in the double-deck elevator system to perform a maintenance check, the internal car interconnection through a stenosis prevention device of a specific structure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liver can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의해 구동되는 권상기에 권취된 메인로프의 양단에 각각 카운터웨이트 및 외부 카(10)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 카의 내부에는 상부 카 및 하부 카를 포함하는 내부 카(20)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In the double-deck elevator system, counterweights and outer cars 10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ain rope wound on a hoist driven by an elevator control panel, and the inner car 20 includes an upper car and a lower car inside the outer car. ) Is installed and configur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는, 상기 외부 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 카(20)의 천정 측에 설치된 탑빔(22)에 선택적으로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일정 길이의 작동바(30)가 설치되며, 상기 작동바(30)의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는 작동스위치(50) 및 접근감지 스위치(40)를 매개로 검출되도록 구성된다.Here,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ternal stenosis of the fram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horizontal to the top beam 22 installed on the ceiling side of the upper car 20 provided inside the outer car 10 or An operation bar 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ixed to form a vertical state is installed, and a horizontal state or a vertical state of the operation bar 30 is configured to be detected by the operation switch 50 and the approach detection switch 40. .

이때, 상기 작동바(30)는 상기 탑빔(22)에 고정되는 브라켓트(24)를 매개로 설치되는데, 상기 브라켓트(24)는 사각판 형태의 패널 상.하가 절곡되어 그 측면이 대략 "["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그 정면이 사각판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그 하부 일측에는 중심홀(24a)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홀(24a)의 상측 및 일측으로는 각각 수직고정홀(24b) 및 수평고정홀(24c)이 형성되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bar 30 is installed via a bracket 24 fixed to the top beam 22, the bracket 24 is bent the upper and lower panels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the side is approximately "[ "Is configured to form a shape, in the form of a front plat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entral hole 24a at the lower side, the upper and one side of the center hole 24a vertical fixing hole 24b and The horizontal fixing hole 24c is formed.

또한, 상기 작동바(30)는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일단에는 상기 중심홀(24a)과 연통된 상태로 볼트가 체결되는 제 1관통홀(30a)이 천공되고, 상기 제 1관통홀(30a)과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상기 수직고정홀(24b)이나 수평고정홀(24c)과 연통된 상태로 볼트가 체결되는 제 2관통홀(30b)이 천공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bar 30 is made of a bar (bar) of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of the first through-hole 30a is bolted in the st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center hole (24a) is perforated, At the poin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3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through hole 30b to which the bolt is faste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vertical fixing hole 24b or the horizontal fixing hole 24c is formed. .

상기 작동바(30)가 수평상태로 고정되는데 있어서는 상기 탑빔(22)과 완전한 수평상태가 아닌, 탑빔(22)의 높이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bar 30 is fixed in a horizontal state, the operating bar 30 may be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height of the top beam 22, rather than being completely horizontal to the top beam 22.

상기 작동 스위치(50)는 상기 브라켓트(24)의 수평고정홀(24c) 하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작동바(30)의 수평상태를 검출한 후 그 신호를 제어수단(도시안됨) 측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The operation switch 50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horizontal fixing hole 24c of the bracket 24, and detects the horizontal state of the operation bar 3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means (not shown). Is done.

상기 근접감지 스위치(40)는 수직상태에서의 작동바(30) 상단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카(10) 수평프레임(12) 일측에 스위치 브라켓트(42)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30)의 접근여부를 감지한 후, 그 신호를 제어수단 측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The proximity detecting switch 4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2 of the outer car 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bar 30 in the vertical state, through the switch bracket 42, and the operation bar 30. Afte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eans.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근접감지 스위치(40) 및 작동 스위치(50)와 연계되어, 각 스위치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내부 카(20)의 자동운전이 이루어지거나, 즉각적인 운전정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means is connected to the proximity detection switch 40 and the operation switch 50, receives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witch, and accordingly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internal car 20 is made, or immediate stop Control is made to effect.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하여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라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상운행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30)는 브라켓트(24)의 수평고정홀(24c)에 작동바(30)의 제 2관통홀(30b)이 연통된 상태로 볼트가 체결되게 된다.First, in the normal operating stat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bar 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30b of the operation bar 30 in the horizontal fixing hole 24c of the bracket 24. The bolt is fastened in the closed state.

이에, 상기 작동바(30)는 탑빔(22)과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카의 운행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작동스위치(50)는 수평상태의 작동바(30)가 접촉됨에 따라, 그 신호를 제어수단 측으로 전송하여 자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도 2 참조).Thus, the operation bar 30 is maintained in a stat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of the car while maintain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with the top beam 22, the operation switch 50 is the operation bar 30 of the horizontal state Upon contact,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eans to enable automatic operation (see FIG. 2).

한편, 해당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을 위해 작업자가 내부 카(20)의 천정에 위치하여 수동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작동바(30)의 제 2관통홀(30b)이 상기 브라켓트(24)의 수직고정홀(24b)과 연통된 상태로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작동바(30)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or is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inner car 20 to perform a manual operation for the maintenance check of the double deck elevator, the operator is the second through-hole 30b of the operation bar 30 is the bracket ( By fastening the bolt in communication with the vertical fixing hole 24b of 24, the operating bar 30 is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이에, 작동스위치(50)는 상기 작동바(30)의 접촉상태가 해제됨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수단 측으로 전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부 카(20)는 수동운전으로만 제어가 가능한 상태가 되게 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switch 50 transmits a signal according to the release of the contact state of the operation bar 30 to the control means, and thus the internal car 20 is in a state that can be controlled only by manual operation. .

이때, 해당 카의 수동운전 중, 작업자의 운전 미숙으로 상기 상부 카(20) 천정과 수평프레임(12)이 설정된 일정 거리 이하로 좁혀지게 되면, 상기 접근감지 스위치(40)는 수직상태의 작동바(30)가 접근함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수단 측으로 전송하여 해당 카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도 3 참조).At this time, during the manual operation of the car, when the upper car 20 ceiling and the horizontal frame 12 is narrow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due to inexperienced operation of the worker, the approach detection switch 40 is a vertical operation bar By transmitting the signal 30 as the approach to the control means side so that the car can be stopped (see Fig. 3).

그러나, 상기 접근감지 스위치(40)의 오류나 제어수단의 오류 등에 의해, 상기 내부 카(20)가 계속하여 수평프레임(12)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수직상태의 작동바(30) 상단이 상기 수평프레임(12)에 직접 맞닿으면서 지지대 역할을 행하여 카를 물리적으로 정지시키게 되며(도 4 참조), 이에 따라 내부 카(20)의 임의적인 협착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However, if the inner car 20 is continuously moved to the horizontal frame 12 side due to an error of the approach detection switch 40 or an error of the control means,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on bar 30 in the vertical state is the horizontal frame. While directly contacting the (12) to act as a support to physically stop the car (see Fig. 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operator due to the arbitrary narrowing of the inner car (20).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외부 카, 12: 수평프레임,
20: 내부 카(상부 카 천정), 22: 탑빔,
24: 브라켓트, 24a: 중심홀,
24b: 수직고정홀, 24c: 수평고정홀,
30: 작동바, 30a: 제 1관통홀,
30b: 제 2관통홀, 40: 근접감지 스위치,
50: 작동 스위치.
10: outer car, 12: horizontal frame,
20: inner car (top car ceiling), 22: top beam,
24: bracket, 24a: center hole,
24b: vertical fixing hole, 24c: horizontal fixing hole,
30: operating bar, 30a: first through hole,
30b: second through hole, 40: proximity detection switch,
50: Operation switch.

Claims (3)

삭제delete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외부 카 내에 구비되는 상부 카 및 하부 카를 포함하는 내부 카 상호 간의 협착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되,
외부 카의 수평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근접감지 스위치와,
상기 상부 카의 천정 측에 구비된 탑빔에 선택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작동바와,
상기 탑빔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의 수평상태 여부를 검출하는 작동 스위치 및,
상기 근접감지 스위치 및 작동 스위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후, 그에 따라 내부 카의 자동운전이나 운전정지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바는 상기 탑빔에 고정되는 패널형태의 브라켓트를 매개로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트는 사각판의 하부 일측에 중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홀의 상측 및 일측에는 각각 수직고정홀 및 수평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바의 일단에는 상기 중심홀과 연통된 상태로 볼트가 체결되는 제 1관통홀 및, 상기 수직고정홀이나 수평고정홀과 연통된 상태로 볼트가 체결되는 제 2관통홀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
In the double deck elevator system is provided to prevent stenosis between the inner car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cars provided in the outer car,
Proximity detection swit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of the outer car,
An operation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stalled on the top beam provided on the ceiling side of the upper car to selectively form a horizontal or vertical state;
An operation switch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top beam to detect whether the operation bar is in a horizontal state;
A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proximity detecting switch and the operating switch and controlling the automatic driving or stopping of the internal car accordingly;
The operating bar is installed via a panel-shaped bracket fixed to the top beam,
The bracket has a center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quare plate, and a vertical fixing hole and a horizontal fixing hole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one side of the center hole, respectively.
One end of the operation bar is formed by forming a first through-hole fastening the bolt in communication with the center hole, and a second through-hole fastening the bolt in communication with the vertical fixing hole or the horizontal fixing hole The system for preventing stenosis in the frame of a double deck elevato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는 상기 브라켓트의 수평고정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의 수평상태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내부 협착사고 방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switch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ixing hole of the bracket,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operation bar, the frame within the frame of the double deck elevator stenosis accident prevention device.
KR1020170162817A 2017-11-30 2017-11-30 Accident prevention apparatus for inside frame of double deck elevator KR102007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817A KR102007093B1 (en) 2017-11-30 2017-11-30 Accident prevention apparatus for inside frame of double deck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817A KR102007093B1 (en) 2017-11-30 2017-11-30 Accident prevention apparatus for inside frame of double deck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784A KR20190063784A (en) 2019-06-10
KR102007093B1 true KR102007093B1 (en) 2019-08-02

Family

ID=6684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817A KR102007093B1 (en) 2017-11-30 2017-11-30 Accident prevention apparatus for inside frame of double deck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09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0724A (en) * 2007-03-16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Palanquin safety handrai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5565B2 (en) 1997-04-11 2002-11-18 森ビル株式会社 Adjustable double deck elev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0724A (en) * 2007-03-16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Palanquin safety handrai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784A (en)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751B2 (en) Elevator maintenance safety device
KR102361312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CN105384039B (en) For closing the method and configuration of the door of elevator
EP4077186A1 (en) Elevator car pivotable balustrade and maintenance method for an elevator
JP4935262B2 (en) Elevator rope roll detection device and elevator control operation device
KR102007093B1 (en) Accident prevention apparatus for inside frame of double deck elevator
WO2006129346A1 (en) Elevator device
CN204728786U (en) A kind of automatic Fencing system of ascending/decending of lift-sliding parking equipment
EP1020393A1 (en) Elevator
CN108349693B (en) Elevato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4091326B2 (en) Elevator equipment
CN104806062A (en) Automatic lifting-type fence device for lifting and transverse-moving parking equipment
JP2005112487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device
JPH08301545A (en) Earthquake time control operating device for elevator
KR101257878B1 (en) Openimg System for Elevater Door
EP1329411B1 (en) Elevator device
KR10128364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
JP2002356283A (en) Rope elongation detecting device and safe operating method for elevator
JP2002154758A (en) Installation method for elevator and hoisting machine
WO2010038289A1 (en) Elevator device
JP2001080834A (en) Elevator device and inspection and maintenance method of elevator control device
CN203212170U (en) Elevator
JP6289570B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914030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255722B2 (en) Control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