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643B1 -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643B1
KR101283643B1 KR1020100093406A KR20100093406A KR101283643B1 KR 101283643 B1 KR101283643 B1 KR 101283643B1 KR 1020100093406 A KR1020100093406 A KR 1020100093406A KR 20100093406 A KR20100093406 A KR 20100093406A KR 101283643 B1 KR101283643 B1 KR 101283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levator car
position error
switch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0963A (en
Inventor
김승수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643B1/en
Publication of KR2012006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9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6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승강로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카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리미트 스위치, 승강로의 상부 타측면에 설치되어 카운트 웨이트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 하향 리미트 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 상향 리미트 스위치 및 하향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도록 하는 유효한 값이 입력되거나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 도착 시 제 2 캠과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로의 비접속에 의한 무효 값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hoistway and connected to a first ca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levator car, and outputs a valid value at least one upper limit switch,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hoistway. At least one down limit switch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a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unt weight to output a valid value, and at least one rope installed under the down limit switch to output a valid value to the second cam. A valid value is entered from one of the position error detection switch, the up limit switch and the down limit switch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or to the second cam and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switch upon arrival of the elevator down car. Elibe stops operating the elevator car when an invalid value occurs due to disconnection And an eater-car drive control unit.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Elevator drive control device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카(elevator-car)의 종단층 도착 시 승강로 천장 및 바닥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elevator drive control device including a limit switch for preventing a collision with the ceiling and the floor of the hoistway upon arrival of the end floor of the elevator-car And to a method.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승강로의 종단층에는 엘리베이터-카가 최상층 또는 최하층의 한계 레벨을 벗어날 경우 더 이상의 동일 방향으로 운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충돌 방지용 리미트 스위치 또는 종단층 밴(vane)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리미트 스위치는 승강로 상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카에 부착된 캠(CAM)에 의해 온/오프(ON/OFF) 상태가 변경되어 동작하게 된다.In general, an elevator system is provided with an end collision vane or an anti-collision limit switch of an elevator car that prevents the elevator car from traveling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elevator car is outside the upper limit or the lower limit level. . At this time, the limit switch is supported by the bracket of the guide rail installed on the hoistway, and the on / off state is changed by the cam CAM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이와 같은, 리미트 스위치들의 출력 값들은 별도의 전선을 통해 제어반으로 전송되며, 이러한 출력 값들에 의해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제어하게 된다.As such, the output values of the limit switches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panel through a separate wire, and these output values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그런데,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가 승강로 상에서 상향 종단층의 상부에 구성되며, 하향 종단층의 하부에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리미트 스위치가 승강로의 하층부에 설치되는 경우는 승강로 바닥까지 전선이 설치되어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유기 전압, 노이즈 등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it was common that a limit switch is comprised in the upper part of an up-termination layer on a hoistway, and is comprised in the lower part of a downward termination layer. Therefore, when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the wire is installed to the bottom of the hoistway, which causes a problem of cost increase, and has a disadvantage of being weak in induced voltage and noise.

또한, 종래의 방식에서와 같이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에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는 경우 리미트 스위치 및 전성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 상층부와 하층부를 오가면서 상태를 점검하는데 따른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In addition, when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istway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me and cost of checking the state while increasing the stat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order to check the state of the limit switch and the malleability are increased. come.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를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설치하고 승강로의 내부 상에 캠을 설치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그런데, 리미트 스위치를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전선의 설치 비용을 일부 감소시킬 수 있으나, 주행 케이블의 용량 증가에 따른 비용 상승 문제 및 유도 전압 등의 요인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has also been proposed a method of installing a limit switch on top of the elevator car and a cam on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the way,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electric wire can be partially reduced by installing the limit switch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but there are still problems such as cost increase and induced voltage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traveling cable. Do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엘리베이터-카의 상향 또는 하향 종단층 도착 이후 동일 방향의 주행 지속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카의 상향 또는 하향 충돌을 예방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elevator car up or down collision by preventing the continuous running in the same direction after the arrival of the elevator car upward or downward end lay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rive control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출동 방지용 리미트 스위치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카와 카운트 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의 늘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drive control device that can detect the sagging of the wire rope connecting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 weight in order to secure the accuracy of the stop-prevention limit switch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승강로 상에서 상하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카; 와이어 로프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카와 연결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카운트 웨이트; 승강로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카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로의 상부 타측면에 설치되며, 카운트 웨이트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로의 상부 타측면 중 상기 하향 리미트 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 및 상기 상향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하향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도록 하는 상기 유효한 값이 입력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 도착 시 상기 제 2 캠과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로의 비접속에 의한 무효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As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ar for driving up and down on the hoistway; A count weight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through a wire rope and travel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At least one upward limit switch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hoistway and outputting a valid value when connected to a first ca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levator car; At least one down limit switch installed at the other upper side of the hoistway and outputting a valid value when connected to a second cam attached to one side of a count weight; At least on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switch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limit side of the hoistway and outputting a valid value when connected to the second cam; And a valid value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from any one of the up limit switch and the down limit switch, or detecting the second cam and the rope position error upon arrival of the down end layer of the elevator car. And an elevator-car driving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car when an invalid value by non-connection to the switch is inpu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카가 상향 또는 하향 종단층에 도착된 이후 동일 방향으로 운행을 지속할 경우 엘리베이터-카의 위치를 다단계로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카의 주행을 감속 또는 정지하도록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levator car continues to travel in the same direction after arriving at the upper or lower end floor, 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in multiple stages to reduce or stop the running of the elevator car Control to prevent an elevator-car collision.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카와 카운트 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의 늘어짐에 따른 로프 위치 오류 발생을 감지하면 엘리베이터-카의 주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하향 종단층의 리미트 스위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rope position error caused by the sagging of the wire rope connecting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 weight, by controlling to stop the running of the elevator car, the limit switch of the down terminal layer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accuracy.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 로프에 대한 로프 위치 오류 발생이 감지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관리 단말로 와이어 로프의 늘어짐에 따른 오류 발생을 보고함으로써, 신속한 점검 및 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ccurrence of the rope position error for the wire rope is detected by reporting the error occurrence according to the sagging of the wire rope to the management terminal of the elevator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quickly checked and repaired have.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승강로의 상부에 엘리베이터-카의 상향 또는 하향 종단층의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전선의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의 상태 점검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limit switch in the upper or lower end layer of the elevator car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wire and to check the state of the limit switch is convenient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의 엘리베이터-카의 최상층 충돌 방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가 엘리베이터-카의 최하층 충돌 방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의 로프 위치 오류 감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levator system for explaining the top floor collision prevention operation of the elevator-car of 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levator system for explaining an elevator collision prevention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car driv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operation of 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의 엘리베이터-카의 최상층 충돌 방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levator system for explaining the top floor collision prevention operation of the elevator-car of 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가 엘리베이터-카의 최하층 충돌 방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도이다.And, Fig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levator system for explaining the elevator floor collision prevention operation of 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1에서는 엘리베이터-카(111)가 승강로 상에서 최상층에 도착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도 2에서는 엘리베이터-카(111)가 승강로 상에서 최하층에 도착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었다.In this case, FIG. 1 shows the state when the elevator car 111 arrives at the uppermost floor on the hoistway, and FIG. 2 shows the state when the elevator car 111 arrives at the lowest floor on the hoistwa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카(111)와 카운트 웨이트(211)가 와이어 로프(113)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권상기 모터(114)의 구동에 의해 엘리베이터-카(111)가 승강로 상에서 상하 운행하면, 카운트 웨이트(211)는 엘리베이터-카(111)의 운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무게 균형을 유지한다.In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ar 111 and the count weight 211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rope 113, respectively. At this time, when the elevator car 111 moves up and down on the hoistway by driving the hoisting motor 114, the count weight 211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111 to maintain the weight balance. .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카(111)의 최상층 도착 시 상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상향 리미트 스위치들(101, 102, 103)과, 엘리베이터-카(111)의 최하층 도착 시 하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하향 리미트 스위치들(201, 202, 203)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카(111)의 주행을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limit switches (101, 102, 103) and the elevator car 111 to prevent the upward collision when the top floor of the elevator car 111 arrives, The driving of the elevator car 111 is controlled based on whether the down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are operated to prevent a downward collision when the lowest floor is reach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에 따른 로프 위치 오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카(111)의 주행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switch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rope position error according to the stretching of the wire rope 113 of the elevator car 111 Control the ride.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위한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로서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At this time, 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to include a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a rope position error generation switch 205 as a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switch fo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승강로의 상층부의 일측면에는 제 1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제 2 상향 리미트 스위치(102) 및 제 3 리미트 스위치(103)가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설치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upward limit switch 101, the second upward limit switch 102 and the third limit switch 103 on each side of the upper floor of the elevator in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spaced apart in a row.

이때,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 103)은 각각 엘리베이터-카(111)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캠(CAM)(112)에 접속할 수 있도록 승강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시 온(on)되도록 설계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upward limit switches 101, 102, 103 are protruded from the side of the hoistwa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am CAM 112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vator car 111, respectively. It is designed to be on when the connection is made.

그리고, 상기 승강로의 상층부 타측면에는 제 1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제 2 하향 리미트 스위치(202) 및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가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은 각각 카운트 웨이트(211)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캠(212)에 접속할 수 있도록 승강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 시 온(on)되도록 설계되어 있다.The first downward limit switch 201, the second downward limit switch 202, and the third downward limit switch 20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downward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hoistwa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am 212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ount weight 211, respectively. It is designed to be turned on.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 103)와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각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출력은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115)로 전송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according to each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to third upward limit switches 101, 102, 103 and the first to third downward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is an elevator. -Car drive control unit 115 is sent.

도 1 및 도 2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 103)의 최상단에 제 1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가 설치되고, 최하단에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최상단에 제 1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가 설치되고, 최하단에는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 103)의 설치 높이와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설치 위치는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1 and 2, the first upper limit switch 101 is install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first to third upper limit switches 101, 102, 103, and the third upper limit switch 101 is installed at the lowermost end. Indicated.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first downward limit switch 201 is install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first to third downward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and the third downward limit switch 203 is installed at the lowest end thereof. For reference, the installation heights of the first to third upper limit switches 101, 102, 103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first to third lower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향 및 하향 리미트 스위치들은 엘리베이터-카(111)의 상향 또는 하향 충돌 방지를 다단계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및 제 1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는 각각 엘리베이터-카(111)의 상향 및 하향 충돌 방지를 위한 최종점을 의미하고, 제 2 상향 리미트 스위치(102) 및 제 2 하향 리미트 스위치(202)는 각각 운행 방향 제한점을 의미하며,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3) 및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는 속도 검출점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pward and downward limit switches are used to control the upward or downward collision prevention of the elevator car 111 in multiple stages, and the first upward limit switch 101 and the first downward limit switch are used. Reference numeral 201 denotes an end point for preventing the upward and downward collision of the elevator car 111, respectively, and the second upward limit switch 102 and the second downward limit switch 202 respectively represent driving direction limitation points. The third upward limit switch 103 and the third downward limit switch 203 mean speed detection points.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가 각각 3개의상향 리미트 스위치와 하향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상향 및 하향에 대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최종점 리미트 스위치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uch,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drive control device is shown to include three upward limit switches and downward limit switches, respectively, bu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end point limit switch for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respectively. It is also possible.

참고로, 운행 방향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시, 엘리베이터-카(111)의 운행이 중지된 후 수동 운전 등을 통해 역방향(상향 또는 하향) 운전이 가능하다. 반면, 최종점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회로가 차단되어 엘리베이터 전체의 운행이 불가능해 진다.For reference, in the elevator driving control by the limit switch for limiting the driving direction, 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11 is stopped, the reverse (upward or downward) operation is possible through manual operation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when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the end point limit switch, the safety circuit of the elevator system is cut off, and thus the entire elevator cannot be operated.

한편, 승강로의 상부 측면에는,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하부에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on switch 205 are provided below the first to third downward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on the upper side of the hoistway.

이때,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가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의 상부에 위치하며,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특히,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의 이격 거리는 승강로 상에서 엘리베이터-카의 최상층 도착 위치로부터 승강로 천장까지의 간격의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1 and 2,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is located above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and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third downward limit switch ( 203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particular,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and the third downward limit switch 203 may be set to less than the distance from the top arrival position of the elevator-car on the hoistway to the hoist ceiling.

이때,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와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는 각각 카운트 웨이트(211)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캠(212)와 접속할 수 있도록 승강로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접속 시 온(on)되도록 설계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on switch 205 are install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hoistwa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am 212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unt weight 211, respectively. It is designed to be turned on during the connection.

이와 같은,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와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의 각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출력은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115)로 전송된다.As such, the output according to each on / off operation of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ar drive control unit 115.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승강로의 일측면에는 각 승강층의 정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랜딩 밴(vane)이 설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카(111)의 일면에는 랜딩 밴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랜딩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nding van (vane)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act position of each elevator floor on one side of the hoistway, landing on one surface of the elevator car 111 A landing sensor is attach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an.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로 상에서 최하층의 승장 도어의 정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랜딩 밴(207-1)이 설치되어 있으며, 최상층의 승장 도어의 정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랜딩 밴(207-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카(111)의 일면에는 제 1 및 제 2 랜딩 밴(207-1, 207-2)와 대응되도록 랜딩 센서(206)이 부착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landing van 207-1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act position of the lowermost landing door on the hoistway, and corresponds to the exact position of the landing door of the uppermost floor. The second landing van 207-1 is provided at the position. In addition, a landing sensor 206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vator car 1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landing vans 207-1 and 207-2.

이때, 도 1 및 도 2에서는 랜딩 센서가 광 센서이며, 랜딩 밴이 차폐판 역할을 하여 랜딩 센서가 동작되는 방식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즉, 엘리베이터-카(111)가 해당 층에 착상하면, 랜딩 센서(206)의 발광부 및 수광부 사이에 랜딩 밴(207-1 또는 207-2)이 위치하게 되어 랜딩 센서(206)의 값이 온(on) 또는 오프(off) 값으로 변경되어 출력 값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랜딩 센서(206)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출력 값은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115)로 전송된다.1 and 2 illustrate a manner in which the landing sensor is an optical sensor and the landing van serves as a shielding plate to operate the landing sensor. That is, when the elevator car 111 lands on the floor, the landing van 207-1 or 207-2 is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of the landing sensor 206, so that the value of the landing sensor 206 is increased. The output value is generated by changing to an on or off value. As such, the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landing sensor 206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car driving control unit 115.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o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car driv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의 로프 위치 오류 감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And,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operation of 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115)는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 카 주행 제어모듈(503) 및 로프 위치 오류 알림모듈(504)을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3, the elevator car drive control unit 1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1,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2, car driving control module 503 And rope position error notification module 504.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103)와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카(111)의 출동 발생 오류를 감지한다.The car position error detecting module 501 uses the elevator car 111 based on the output values of the first to third upward limit switches 101, 102, 103 and the first to third downward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Detect errors in dispatch.

구체적으로,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엘리베이터-카(111)가 상향 종단층에 도착한 후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103) 중 어느 하나가 온(on)되면, 각 리미트 스위치에 따른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부(503)로 전송한다.In detail, the car position error detecting module 501 is configured to limit each of the first and third upward limit switches 101, 102, and 103 after the elevator car 111 arrives at an upward end layer. Err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witch is transmitted to the car driving control unit 503.

이때,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3)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의 속도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속도 오류 발생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At this time, when the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on of the third upward limit switch 103 is input, the car position error detecting module 501 determines that an error occurs in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and provides speed error occurrence information. Transmission to the car driving control module 503.

그리고,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2 상향 리미트 스위치(102)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가 상향으로 주행을 지속하는 운행 방향 제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운행 방향 제한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on of the second up limit switch 102 is input, the car position error detecting module 501 determines that a driving direction limitation error occurs in which the elevator car continues to travel upward. The driving direction limitation erro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ar driving control module 503.

또한,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1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가 충돌 방지를 위한 최종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충돌 위험 발생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ar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1 determines that the elevator-car is located at the end point for preventing the collision, when the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on of the first upward limit switch 101 is input, the risk of collision The generated erro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ar driving control module 503.

한편,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도착한 후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 중 어느 하나가 온(on)되면, 각 리미트 스위치에 따른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부(503)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r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1, i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lower limit switches 201, 202, 203 after the elevator car 111 arrives in the lower end layer, Err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imit switch is transmitted to the car driving control unit 503.

이때,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의 속도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속도 오류 발생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car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1 determines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when the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on (on) of the third downward limit switch 203 is inputted, and determines the speed error occurrence information. Transmission to the car driving control module 503.

그리고,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2 하향 리미트 스위치(202)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가 상향으로 주행을 지속하는 운행 방향 제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운행 방향 제한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When the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on of the second downward limit switch 202 is input, the car position error detecting module 501 determines that a driving direction limitation error occurs in which the elevator car continues to travel upward. The driving direction limitation erro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ar driving control module 503.

또한,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1 하향 리미트 스위치2101)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가 충돌 방지를 위한 최종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충돌 위험 발생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ar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1 determines that the elevator-car is located at the end point for collision avoidance when an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on of the first downward limit switch 2101 is input, and a collision risk occurs. The erro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ar driving control module 503.

카 주행 제어부(503)는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로부터 입력되는 오류 정보에 따라 엘리베이터-카(111)의 주행을 제어한다.The car driving control unit 503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levator car 111 according to the error information input from the car position error detecting module 501.

구체적으로, 카 주행 제어부(503)는 속도 오류 발생 정보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111)의 속도를 감속 운행하도록 권상기 모터(114)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카 주행 제어부(503)는 운행 방향 제한 오류 정보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111)의 주행 동작이 멈추도록 권상기 모터(114)의 구동을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car running control unit 503 controls the drive of the hoisting motor 114 to decelerate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111 when the speed error occurrence information is input. And, when the driving direction limitation error information is input, the car running control unit 503 controls the drive of the hoisting motor 114 to stop the travel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11.

또한, 카 주행 제어부(503)는 충돌 위험 발생 오류 정보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111)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 전체가 멈추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collision risk occurrence error information is input, the car driving control unit 503 controls the elevator-car 111 and the entire driving of the elevator system to stop.

한편,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115)에 입력되는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출력 값은, 카운트 웨이트(211)에 설치된 제 2 캠(212) 이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에 접속될 때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values of the first to third lower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input to the elevator-car drive control unit 115 include the first to second cams 212 provided on the count weight 211. Occurs when connected to the third downward limit switch 201, 202, 203.

그런데, 엘리베이터-카(111)와 카운트 웨이트(211)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113)가 오랜 작동 및 주위 환경에 의해 늘어지게 되는 등 오류 상황이 발생될 경우,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의 정위치에 랜딩한 후 동일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운행하여도 카운트 웨이트(211)의 제 2 캠(212)이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지 못하게 되는 로프 위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By the way, when an error situation occurs such that the wire rope 113 connecting the elevator car 111 and the count weight 211 is stretched by long oper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elevator car 111 is terminated downward. The second cam 212 of the count weight 211 does not connect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downward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even after continuously landing in the same position and continuously traveling in the same direction. Rope location errors will occur.

즉,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 발생했을 경우,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랜딩한 상태에서, 카운트 웨이트(211)의 제 2 캠(212)이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 중 어느 하나가 아닌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에 접속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 wire rope 113 sags, the second cam 212 of the count weight 211 is driven by the elevator car 111 landing on the downward termination layer.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downward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이와 같은,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에 따른 로프 위치 오류가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도착한 이후 동일 방향으로 주행을 지속하는 경우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When such a rope position error occurs due to the sagging of the wire rope 113,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case where the elevator car 111 continues to travel in the same direction after arriving at the downward termination layer.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에 따른 로프 위치 오류 발생을 감지하여 엘리베이터-카(111)의 주행을 제어한다.Therefore, the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rope position error caused by the sagging of the wire rope 113 to control the running of the elevator car 111.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카(111)의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이 입력된 상태에서,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가 온(on)될 수 있다. 즉, 도 3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13)가 늘어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랜딩하면, 카운트 웨이트(211)에 설치된 제 2 캠(212)이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에 접속되어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가 온(on)된다.Specifically,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is to be turned on with the output value (on or off) set from the landing sensor 206 of the elevator car 111 being input. Can be. That is, as shown in FIG. 3A, when the elevator car 111 lands on the downward termination layer in a state where the wire rope 113 is stretched, the second cam 212 provided in the count weight 211 is removed.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is turned on when connected to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이때,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을 수신하고,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의 설정된 출력 값(온(on))을 수신한다.At this time,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2 receives the set output value (on or off) from the landing sensor 206, and the set output value (on ( on)).

그러면,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 발생되어 로프 위치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음으로 판단하고, 로프 위치 오류 가능 정보를 카 주행 제어부(503)로 전송한다.Then,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2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rope position error occurs due to sagging of the wire rope 113, and transmits the rope position error possible information to the car driving controller 503.

그리고, 엘리베이터-카(111)의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이 입력된 상태에서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 중 적어도 하나가 온(on)될 수 있다. Then,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on switch 205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put value (on or off) set from the landing sensor 206 of the elevator car 111 is input. At least one of) may be turned on.

예를 들어, 도 3의 (b)에서는, 와이어 로프(113)가 늘어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랜딩한 후, 카운트 웨이트(211)에 설치된 제 2 캠(212)이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에 접속되어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가 온(on)된 상태를 나타내었다.For example, in FIG. 3B, after the elevator car 111 lands on the downward termination layer in a state where the wire rope 113 is stretched, the second cam 212 provided in the count weight 211 is move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is connected to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to show a state of being on.

이때,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을 수신하고,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된 출력 값(온(on))을 수신한다.At this time,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2 receives the output value (on or off) set from the landing sensor 206,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on switch ( Receive a set output value (on) for at least one of 205.

그러면,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이 발생하여 로프 위치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로프 위치 오류 발생 경고 정보를 카 주행 제어부(503)로 전송한다.Then,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2 determines that the rope position error occurs due to the sagging of the wire rope 113, and transmits the rope position error occurrence warning information to the car driving controller 503.

또한, 엘리베이터-카(111)의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와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 중 어느 하나의 출력 값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Further, the first to third downward limit switches 201, 202, and 203 are set in a state in which an output value (on or off) set from the landing sensor 206 of the elevator car 111 is input. The output value of any one of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may not occur.

즉, 도 3의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13)가 늘어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랜딩한 후, 카운트 웨이트(211)에 설치된 제 2 캠(212)이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 중 어느 하나에도 접속되지 못하고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C, after the elevator car 111 lands on the downward termination layer in a state where the wire rope 113 is stretched, the second cam 212 provided in the count weight 211 is provided. Either of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cannot be connected, and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remain off. Done.

이때,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을 수신한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와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의 상태가 오프(off)인 것을 확인한다.At this time,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2 receives the set output value (on or off) from the landing sensor 206, the first to third downward limit switch (201, 202) It is confirmed that 203 and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are off.

예를 들어,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을 수신한 이후, 기설정된 제한 시간 내에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 중 어느 하나의 온(on) 값이 입력되지 않으면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의 출력 값이 무효한 값(즉, 오프(off)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무효한 값은 타이머를 장착한 타모듈(미도시)로부터 입력되거나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이 자체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2 receives the set output value (on or off) from the landing sensor 206, and then the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4 within a preset time limit. ) And the output values of the fault monitoring switch 204 and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are invalid values (i.e., if the on value of either the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5 is not entered). off) value). For reference, the invalid value may be input from another module (not shown) equipped with a timer or generated by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ng module 502.

그러면,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 상태가 위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정보를 카 주행 제어부(503)로 전송한다.Then,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module 502 determines that the stretched state of the wire rope 113 is a dangerous state, and transmits the rope position error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car driving controller 503.

이때, 카 주행 제어부(503)는 로프 위치 오류 가능 정보를 수신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정상 운행하고, 로프 위치 오류 발생 경고 정보를 수신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관리 단말(예를 들어, 시공사 또는 수리 업체의 관리 단말)(미도시)에 엘리베이터 로프 위치 오류 경고를 전송하도록 로프 위치 오류 알림모듈(504)를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car driving control unit 503 operates the elevator system normally when receiving the rope position error possible information, and when receiving the rope position error occurrence warning information, the management terminal of the elevator system (for example, a management terminal of a construction company or a repair company). The rope position error notification module 504 is controlled to transmit an elevator rope position error warning to (not shown).

또한, 카 주행 제어부(503)는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정보를 수신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정지한다. 즉, 각 승강층에서 엘리베이터-카 호출이 수신되어도 엘리베이터-카를 구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카 주행 제어부(503)는 로프 위치 오류 알림모듈(504)을 통해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정보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ar running control unit 503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ystem when receiving the rope position error occurrence information. That is, the elevator car is not driven even if an elevator car call is received at each elevator floor. The car driving controller 503 transmits rope position error occurrence information through the rope position error notification module 504.

로프 위치 오류 알림모듈(504)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관리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엘리베이터 로프 위치 오류 경고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메시지를 전송한다.The rope position error notification module 504 transmits an elevator rope position error warning and a rope position error generation message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anagement terminal of the elevator syste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1: 제 1 상향 리미트 스위치 102: 제 2 상향 리미트 스위치
103: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 201: 제 1 하향 리미트 스위치
202: 제 2 하향 리미트 스위치 203: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
204: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 205: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
206: 랜딩 센서 207: 랜딩 밴
111: 엘리베이터-카 112: 제 1 캠
211: 카운트 웨이트 212: 제 2 캠
113: 와이어 로프 114: 권상기 모터
115: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
101: first upward limit switch 102: second upward limit switch
103: third upward limit switch 201: first downward limit switch
202: second downward limit switch 203: third downward limit switch
204: Rope position error monitoring switch 205: Rope position error generating switch
206: landing sensor 207: landing van
111: elevator car 112: first cam
211: count weight 212: second cam
113: wire rope 114: hoisting motor
115: elevator car drive control unit

Claims (7)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승강로 상에서 상하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카;
와이어 로프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카와 연결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카운트 웨이트;
최하층 승장 도어의 정위치에 대응되는 승강로 내 일위치에 설치된 랜딩 밴;
상기 랜딩 밴에 대응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 랜딩을 감지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일면에 구비된 랜딩 센서;
승강로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최상층 도착 시 상향 충돌이 방지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로의 상부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최하층 도착 시 하향 충돌이 방지되도록 상기 카운트 웨이트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로의 상부 타측면 중 상기 하향 리미트 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 및
상기 상향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하향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유효한 값이 출력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고, 상기 랜딩 밴 및 상기 랜딩 센서를 통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 랜딩 감지 시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로부터 유효한 값이 출력되면 상기 와이어 로프 길이의 늘어짐에 따른 로프 위치 오류를 경고하며, 상기 랜딩 밴 및 상기 랜딩 센서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 랜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의 출력이 무효한 값으로 유지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정지하는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In an elevator drive control apparatus,
An elevator car traveling up and down on a hoistway;
A count weight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through a wire rope and travel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A landing van installed at a position in a hoistway corresponding to a fixed position of a lowermost landing door;
A landing senso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elevator car so as to detect the down-end floor landing of the elevator car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van;
At least one upward limit switch installed at one side of an upper part of a hoistway and outputting a valid value when connected to a first ca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levator car so as to prevent an upward collision upon arrival of the top floor of the elevator car;
At least one down limit switch installed at the other upper side of the hoistway and outputting a valid value when connected to a second ca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unt weight so as to prevent a downward collision upon arrival of the lowest floor of the elevator car;
At least on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switch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limit side of the hoistway and outputting a valid value when connected to the second cam; And
When a valid value is output from one of the upward limit switch and the downward limit switch, the elevator-car stops running, and the rope is detected when the landing terminal and the landing terminal detect the downward-end layer landing of the elevator-car through the landing sensor. If a valid value is outputted from a position error detection switch, a warning of a rope position erro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ire rope is warped. And an elevator car drive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when the output of the position error detecting switch is maintained at an invalid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의 최하단과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의 최하단 간의 이격 거리는, 승강로 상에서 엘리베이터-카의 상향 종단층 위치로부터 승강로 천장까지의 간격 미만으로 설정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west end of the at least one downward limit switch and the lowest end of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switch is set to be less than a distance from an upward end layer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on the hoistway to the hoist ceil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는 승강로의 상부 일면상에 일렬로 설치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ownward limit switch and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ng switch are installed in a line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ist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의 랜딩을 감지하고, 상기 랜딩이 감지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한 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의 출력이 상기 무효한 값으로 유지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vator car drive control unit,
When the output of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on switch is maintained at the invalid value such that the landing of the downward end layer of the elevator car is sensed and a predetermined time limit elapses while the landing is detected, the elevator car operates. Elevator drive control device to stop the eng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는,
상기 랜딩 밴 및 상기 랜딩 센서를 통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 랜딩 감지 시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로부터 유효한 값이 출력되면, 기설정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관리 단말로 로프 위치 오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vator car drive control unit,
When a valid value is outputted from the rope position error detecting switch when the landing terminal and the landing sensor detect the down-end floor landing of the elevator car through the landing sensor, the elevator drive transmits a rope position error warning message to a preset elevator system management terminal.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는 각각 최종점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점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유효한 값은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upward limit switch and the at least one downward limit switch each include an end point switch,
And a valid value output from the end point switch i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는 각각 운행 방향 제한 스위치 및 속도 검출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최종점 스위치가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t least one upward limit switch and the at least one downward limit switch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driving direction limit switch and a speed detection switch, respectively,
Elevator drive control device wherein the end point switch is located at the top.
KR1020100093406A 2010-09-27 2010-09-27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 KR1012836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406A KR101283643B1 (en) 2010-09-27 2010-09-27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406A KR101283643B1 (en) 2010-09-27 2010-09-27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963A KR20120060963A (en) 2012-06-12
KR101283643B1 true KR101283643B1 (en) 2013-07-15

Family

ID=4661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406A KR101283643B1 (en) 2010-09-27 2010-09-27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6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518B1 (en) * 2012-11-06 2014-08-13 (주)성우에스람 stage equipment elevat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219A (en) * 1993-12-01 1995-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Safety device for elevator
JPH09263373A (en) * 1996-03-28 1997-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elevator
JPH10175783A (en) * 1996-12-16 1998-06-30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Abnormality diagnostic device for hydraulic elevator
KR20010026845A (en) * 1999-09-09 2001-04-06 장병우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219A (en) * 1993-12-01 1995-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Safety device for elevator
JPH09263373A (en) * 1996-03-28 1997-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elevator
JPH10175783A (en) * 1996-12-16 1998-06-30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Abnormality diagnostic device for hydraulic elevator
KR20010026845A (en) * 1999-09-09 2001-04-06 장병우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963A (en)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3110B1 (en)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EP336662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JP5081751B2 (en) Elevator maintenance safety device
US9676591B2 (en) Elevator apparatus
US9371210B2 (en) Elevator safety system having multiple buses
US9394139B2 (en) Multi-car elev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5602613B2 (en) Elevator equipment
EP1864934B1 (en) Elevator apparatus
US20090277724A1 (en) Elevator system
US10124986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for maximizing a number of floors serviced
JP5985686B1 (en) elevator
KR101545800B1 (en) Elevator device
EP2546182A1 (en) Suspension body 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EP2687471A1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5134681A (e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with self-diagnosis function, and self-diagnosis method for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function
KR10128364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
JP6646117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6471202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2009256109A (en) Elevator device
JP2012162342A (en) Elevator safety apparatus,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JP2012188236A (en) Passenger conveyor
CN103282298B (en) Termination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KR102265012B1 (en) Forced decel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variable speed elevator
JP2011037579A (en) Elevator terminal landing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