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467B1 - 선택적 발사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발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 발사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발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467B1
KR102006467B1 KR1020180146969A KR20180146969A KR102006467B1 KR 102006467 B1 KR102006467 B1 KR 102006467B1 KR 1020180146969 A KR1020180146969 A KR 1020180146969A KR 20180146969 A KR20180146969 A KR 20180146969A KR 102006467 B1 KR102006467 B1 KR 10200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image
distance
monitor
authentication code
correc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규
오천균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01Arrangements thereon for guidance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9/00Systems for controlling missiles or projecti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은, 유도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발사장치들 중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대상발사장치를 선택적으로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대상발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대상발사장치의 원격제어를 위하여,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이면 상기 인증절차 수행을 위한 인증코드를 이미지 형태로 제시하는 보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택적 발사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발사 제어 방법 {Selective fire-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same}
본 발명은 발사 제어 시스템 및 발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도비행체 발사 시스템은 유도비행체 체계에서 유도비행체의 발사와 관련된 일련의 절차들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유도비행체 발사 시스템은 임무 계획을 생성하고, 생성된 임무계획에 따라 발사통제 장비 및 발사장치를 제어하여 유도 비행체에 대한 발사 절차를 수행한다.
유도비행체 발사 시스템에서 유도비행체는 지령에 의해 목표물로 유도 가능한 로켓 추진식 발사체를 말한다. 이러한 유도비행체는 관성 유도 방식 추적 유도 방식에 따라 목표물까지의 방향과 거리가 계산되면 계산된 방향과 거리에 따라 비행 특성 조절을 통해 목표물로 유도된다. 발사통제 장비는 무인 항공기 또는 목표물의 정보를 수집하는 각종 단말로부터 목표물 정보를 전송 받아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를 말하며, 유도비행체 발사 시스템의 두뇌 역할을 하는 장비로 크게 교전 계획 수립, 교전 통제, 위협 평가, 표적 선정 및 상황 전시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육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도비행체 발사 시스템의 휴대용 발사장치는 발사관 또는 유도비행체와 1:1로만 호환 가능하였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발사관과 발사장치가 일체형으로 되어있는 경우도 있어, 휴대성을 고려하여 부피를 최소화하는데 있어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발사 시스템은 유도비행체, 발사관 또는 발사장치와 일체형으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또 다른 유도비행체에는 별도의 발사 시스템을 구현하여 통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483064호 (등록)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발사장치들과의 호환이 가능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교전 중 연결되어 있던 발사장치와의 연결을 중단하고,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다른 발사장치와의 신속한 연결을 통한 운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은, 유도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발사장치들 중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대상발사장치를 선택적으로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대상발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대상발사장치의 원격제어를 위하여,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이면 상기 인증절차 수행을 위한 인증코드를 이미지 형태로 제시하는 보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장치는,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추적하고자 하는 표적에 대한 표적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표적영상을 화면으로 제공하는 스크린, 상기 인증절차를 위해 상기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생성된 인증코드를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는 인증코드 생성부 및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이면 상기 인증코드 생성부로 인증코드 생성명령을 전기적인 신호로 인가하는 인증코드 생성여부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대상발사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보안장치의 스크린에 출력된 상기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보안장치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표적영상 및 상기 인증코드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전시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인증코드에 따른 인증코드 값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인증코드 값을 상기 대상발사장치로 송신함에 따라 수신 받는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대상발사장치의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시부는, 상기 보안장치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표적영상의 스케일과 상기 모니터의 스케일을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보안장치와의 인증이 완료된 직후 초기 설정시점에 상기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샘플영상과 상기 모니터의 스케일 정합을 수행하는 스케일 정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장치는, 상기 스케일 정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정수단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스케일 정합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샘플영상에 표시된 상기 보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상기 샘플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정수단은, 상기 샘플영상의 좌측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보정수단, 상기 샘플영상의 우측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 보정수단, 상기 샘플영상의 우측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3 보정수단, 상기 샘플영상의 좌측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4 보정수단, 및 상기 샘플영상의 중앙에 배치되는 제5 보정수단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상기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상기 모니터의 스케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스케일 정합부는, ⅰ)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좌표값이 상기 모니터의 좌측상단 가장자리에 따른 제1 좌표값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샘플영상을 이동시키고, ⅱ) 상기 모니터의 가로길이를 상기 제2 보정수단의 지점과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지점 사이의 길이 값으로 나누어 가로확장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가로확장 보정값을 상기 샘플영상의 가로길이와 곱한 후, 상기 가로확장 보정값과 상기 샘플영상의 가로길이의 곱만큼 상기 샘플영상을 확장시키며, ⅲ) 상기 모니터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4 보정수단의 지점과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지점 사이의 길이 값으로 나누어 세로확장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세로확장 보정값을 상기 샘플영상의 세로길이와 곱한 후, 상기 세로확장 보정값과 상기 샘플영상의 세로길이의 곱만큼 상기 샘플영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보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케일 정합부는, ⅰ) 인식되는 원형(圓形)의 상기 제5 보정수단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샘플영상의 크기를 추정함에 따라, 상기 제5 보정수단의 지름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지름 크기로 축소시키고, ⅱ) 상기 제5 보정수단의 중심을 상기 모니터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후, ⅲ)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좌표값이 상기 모니터의 좌측상단 가장자리에 따른 제1 좌표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샘플영상을 이동시키고, ⅳ) 상기 모니터의 가로길이를 상기 제2 보정수단의 지점과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지점간 거리 값으로 나누어 가로확장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가로확장 보정값을 상기 샘플영상의 가로길이와 곱한 후, 상기 가로확장 보정값과 상기 샘플영상의 가로길이의 곱만큼 상기 샘플영상을 확장시키며, ⅴ) 상기 모니터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4 보정수단의 지점과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지점간 거리 값으로 나누어 세로확장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세로확장 보정값을 상기 샘플영상의 세로길이와 곱한 후, 상기 세로확장 보정값과 상기 샘플영상의 세로길이의 곱만큼 상기 샘플영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모니터와 상기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정합되면, 상기 보안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표적영상을 토대로 상기 대상발사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 및 보안장치를 포함하는 발사제어 시스템이 유도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발사장치들 중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대상발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발사제어 방법은, 상기 보안장치가,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이면 상기 인증절차 수행을 위한 인증코드를 이미지 형태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보안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인증코드를 인식함에 따른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대상발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코드를 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이면 상기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생성된 인증코드를 상기 인증장치의 스크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린에 출력된 상기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인증코드에 따른 인증코드 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코드 값을 상기 대상발사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인증코드 값에 대한 응답신호로, 상기 대상발사장치로부터 원격제어 승인여부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발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영상의 스케일과 상기 제어장치의 모니터의 스케일을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인증장치와의 인증이 완료된 직후 초기 설정시점에 상기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샘플영상과 상기 모니터의 스케일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사제어 방법이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1:1 방식의 발사관 및 제어장치의 호환이 아닌 복수의 발사장치들과의 호환이 가능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교전 중 연결되어 있던 발사장치와의 연결을 중단하고,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다른 발사장치와의 신속한 연결을 통한 운용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복수의 발사장치들과의 공용화가 가능하여 설계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제어장치 및 인증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 및 인증장치의 외형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발사장치와 제어장치의 통신 연결을 위한 인증절차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6은 스크린에 전시되는 샘플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7은 모니터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모니터 스케일 보다 작게 보이는 경우에 따라 영상 스케일을 보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모니터 스케일 보다 크게 보이는 경우에 따라 영상 스케일을 보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이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경우에 따라 샘플영상의 스케일과 모니터의 스케일을 정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구현될 수 있다.
종래의 유도비행체 발사 시스템의 휴대용 발사장치는 발사관 또는 유도비행체와 1:1로만 호환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도비행체 발사 시스템은 발사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들과 전원 장치들이 각각 별도로 연결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운용자는 이에 따라 각 장치들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여 운용하여야 했다. 이에 따라, 발사제어장치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그와 연관된 케이블 또는 부수장치들의 기능 점검 확인 및 교체에 대한 부분이 업무 효율을 저하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을 제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이하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은, 제어장치(100), 보안장치(200), 표적영상 획득장치(300), 발사장치(400) 및 유도비행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일 실시예로, 구현되는 유도탄 체계에 따라 발사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0)는 발사장치(40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영상 획득부(110), 입력부(120), 프로세서(130), 전시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발사장치들 중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대상발사장치(4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획득부(110)는 발사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연결을 위해 보안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인증코드를 인식하거나, 인식된 인증코드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인증절차가 완료되고 난 후에, 보안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표적과 관련된 표적영상을 입력 받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표적에 대한 표적영상은 고해상도 광학장비인 표적영상 획득장지(300)와 보안장치(200)에 의해 최초로 생성되고, 이 영상을 스크린(240)를 통해 전시하면, 영상 획득부(110)에서 운용자(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수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영상 획득부(110)는 보안장치(200)로부터 획득되는 인증코드 및 표적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운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전시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운용자에 의한 버튼 입력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 등 다양한 수단으로 운용자의 지시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도비행체(500)의 발사, 발사장치(400)의 점검 및 시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어장치(100)의 모든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를 제어하며,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로, 제어장치(100)의 핵심이 되는 요소이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로 입력 되는 신호로는 표적영상 획득장치(300)에서 획득되어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표적영상, 제어장치(100)의 전시부(140)에 표시되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운용자의 제어명령, 대상발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인증절차가 모두 완료된 후에 유도비행체(500)를 제어하기 위한 발사장치(400)와 통신 연결하는 것으로서, 발사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부(150)를 통해 발사장치(400)로 명령을 전달하여 유도비행체(500)를 발사시키거나, 반대로 유도비행체(500)의 상태를 수신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장치(200)는 상기 제어장치(100)가 대상발사장치(400) 및 유도비행체(500)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전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어장치(100)와의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보안장치(200)는 제어장치(10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인지 확인하고, 제어장치(100)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이면 인증절차 수행을 위한 인증코드를 이미지 형태로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장치(200)는 수신부(210), 인증코드 생성부(220), 인증코드 생성여부 결정부(230) 및 스크린(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영상 획득장치(300)는 추적하고자 하는 표적에 대한 표적영상을 획득하는 장치로서, 광학계를 기반으로 하여 표적을 인지하고 추적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표적영상 획득장치(300)는 예를 들어 망원경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확대경 카메라로 구현되어 표적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표적영상 획득장치는 비행이 가능한 드론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비행체(500)는 발사장치(400)와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입력 받고, 기폭 신호에 의해 실제 발사될 수 있다. 발사장치(400)의 기능 제어는 제어장치(100)에 의해 진행된다. 예컨대, 제어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들에는 "기능점검명령", "표적정보", "발사" 등이 있을 수 있고, 유도비행체(500)는 제어장치(100)로 "점검결과응답", "진행상태" 등 자신의 상태 값 또는 명령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도비행체(500)들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장치(400)는 내부에 마련되어, 제어장치(100)와 발사장치(400)가 연결되면, 제어장치(100)의 지시에 따라 발사장치(400)는 설정된 각도 및 시점에 상기 유도비행체들(500)을 발사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비행체(500)는 예를 들어 유도탄일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발사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2를 참조하면, 먼저 S21 단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제어 시스템의 제어장치(100)와 대상발사장치(400)가 연결되면, S22 단계에서 보안장치(200)의 인증코드 생성여부 결정부(230)는, 제어장치(10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인증코드 생성여부 결정부(230)로부터 보안장치(200)와 제어장치(100)의 현재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보다 더 먼 거리로 떨어져있다면, 다시 S21 단계로 돌아간다. 여기서, 인증코드 생성여부 결정부(230)는 예컨대, 근접센서일 수 있고, 상기 임계거리는 1 내지 3cm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cm로 설정될 수 있다.
S22 단계에서 보안장치(200)와 제어장치(100)의 거리가 임계거리와 같거나,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S23 단계에서 보안장치(200)의 인증코드 생성부(220)는 인증코드를 생성한다. 보안장치(200)는 이렇게 생성된 인증코드를 스크린(240)을 통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24 단계에서, 보안장치(200)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제어장치(100)의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상기 인증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제어장치(100) 및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인증코드를 전달 받은 발사장치(400)는 상기 인증코드에 따른 인증 값이 상호간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다시 S23 단계로 돌아가 인증코드 생성부(220)는 다시 새로운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확인 결과 일치한다면 S25 단계로 진행되어 제어장치(100)와 대상발사장치(400)의 통신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S22 내지 S24 단계를 통해, S26 단계에서 제어장치(100)는 통신연결된 대상발사장치(400)를 원격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제어장치(100)는 내부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발사장치(400)로부터 유도비행체(500)를 분리시켜 일 각도 및 방향으로 발사시키거나, 유도비행체(500)의 상태 점검 등을 원격제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제어장치(100) 및 보안장치(2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어장치(100)의 일면에는 전시부(140)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영상 획득부(110)가 위치되며, 본 발명의 보안장치(200)의 일면에는 인증코드 생성여부 결정부(230)(이하, 근접센서)와 스크린(240)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안장치(200)는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제어장치(100)와의 인증절차를 통해, 제어장치(100)와 발사장치(400)가 통신 연결된 이후, 표적영상 획득장치(300)에서 광학계로 들어오는 표적과 관련된 표적 영상을 수신부(210)로 수신 받아, 스크린(240)으로 수신된 표적 영상을 전시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센서(230)는 제어장치(100)가 발사장치(400) 체계에 장착이 되었는지 기본적인 상태 테스트(예를 들어,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며, 만약 제어장치(200)가 임계거리보다 멀리 떨어진 상태로 확인되면, 보안장치(200)의 스크린(240)으로 전시하던 표적영상 전시를 중단하고, 제어장치(100)와 발사장치(400)의 통신연결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안장치(200)를 통한 상태 테스트 인증은 제어장치(100)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도비행체(500)를 제어할 수 없도록 하는 1차적인 안전장치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0) 및 보안장치(200)의 외형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0)는 예컨대 휴대용 태블릿(Tablet)과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에는 전시부(140)가 마련되고, 전시부(140)는 운용자의 지시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120) 및 모니터(141)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부(140)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장치(100)의 뒷면에는 영상 획득부(110)가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 획득부(1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장치(200)의 스크린(240)에 전시되는 표적영상 또는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스크린(240)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시부(140)의 좌우측에는 대상발사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을 전시하고, 내측에는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바라보는 보안장치(200)의 스크린(240)의 화면을 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발사장치(400)와 제어장치(100)의 통신 연결을 위한 보안과 관련한 인증절차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는 이종의 장비의 연결 유지 및 비인가 장비의 연결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501 단계에서, 대상발사장치(400)로 전원을 인가하고, S502 단계에서 대상발사장치(400)에 의해 외부 또는 내부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었다면, S503 단계에서 보안장치(200)는 근접센서(230)로부터 제어장치(100)가 임계거리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인증코드 생성부(220)가 인증코드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다 구체화된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은, 무작위 번호 생성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고, 그 값을 QR 코드로 스크린(240)에 전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는 Model-2 기준 177177 pixel 크기의 이미지 형태이며, 최대 7,089자리 숫자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100)의 영상 획득부(110)는 S504 단계에서 인증코드를 캡쳐(capture)하는 방식으로 인식하고, S505 단계에서 영상 획득부(110)는 인식된 인증코드를 프로세서(130)로 전달한다.
S506 단계에서 프로세서(130)는 전달된 인증코드의 값 구조를 확인하고, 그 인증코드 값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함에 따라, 수행결과가 유효할 경우 S507 단계에서 통신부(150)가 상기 인증코드 값을 대상발사장치(400)로 송신한다.
S508 단계에서, 대상발사장치(400)는 제어장치(100)의 통신부(150)로부터 송신된 인증코드 값을 수신 받고, S509 단계에서 대상발사장치(400)는 수신받은 인증코드 값이 내부에서 미리 알고 있는 인증코드 값(OTP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 후,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 값이 내부에서 미리 알고있는 인증코드 값과 일치한다면, 통신이 해제되지 않도록 통신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대기한다. 반면에, 상기 인증코드 값이 내부에서 알고 있는 인증코드 값과 불일치할 경우, 다시 S503 단계로 돌아가 인증코드를 재생성하여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OTP를 이용한 인증방식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된 기술이므로 인증코드 생성 및 그에 따른 인증코드 값 일치 여부 확인 등과 같은 구체적인 동작 원리에 대하여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S510 단계에서 제어장치(100)와 대상발사장치(400)는 통신 연결을 유지함으로써, S511 단계에서 제어장치(100)는 대상발사장치(400) 및 유도비행체(500)를 제어하기 위한 장비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안장치(200)의 스크린(240)과 제어장치(100)의 전시부(140) 사이의 영상 스케일 보정 절차에 대하여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스크린(240)의 화면이 전시부(140)의 모니터(141)에 가득 찬 화면의 형태로 보여지기 위해서는 보안장치(200)와 제어장치(100)의 최초 연결시 영상 스케일의 보정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영상 스케일 보정 절차를 수행할 때는 보안장치(200)의 스크린(240)에서 도6과 같은 화면 전시를 하고, 전시부(140)의 스케일 정합부(미도시)는 도6과 같이 스크린(240)에 의해 전시된 샘플화면(보정용 화면)을 이용하여 오프셋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6은 스크린(240)에 전시되는 샘플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240)에 전신되는 샘플화면에는 영상 스케일 정합을 위한 5개의 보정수단들(241 내지 245)이 표시될 수 있다. 5개의 보정수단들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영상의 좌측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보정수단(241, ⓐ), 샘플영상의 우측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 보정수단(242, ⓑ), 샘플영상의 우측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3 보정수단(243, ⓒ), 샘플영상의 좌측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4 보정수단(244, ⓓ) 및 샘플영상의 중앙에 배치되는 제5 보정수단(245)일 수 있다.
전시부(140)의 모니터(141)로 보여지는 샘플영상은 크게 4가지 경우로 전시될 수 있다. 첫째로, 모니터(141)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모니터(141) 스케일과 동일한 경우, 둘째로 모니터(141)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모니터(141) 스케일보다 작은 경우, 셋째로, 모니터(141)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모니터(141) 스케일보다 큰 경우, 마지막으로 모니터(141)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이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경우이다.
첫번째 경우와 같이, 모니터(141)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모니터(141)의 스케일과 동일한 경우에는 별도의 영상 스케일 보정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나머지 3가지 경우에 따른 영상 스케일 보정 절차에 대해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모니터(141)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의 스케일(240)이 모니터 스케일(141) 보다 작게 보이는 경우에 따라 영상 스케일을 보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스케일 정합부는 제1 보정수단(241)의 좌표값을 모니터(141)의 좌측상단 가장자리의 좌표값(제1 좌표)과 동일해지도록 샘플영상을 이동시킨 후(71), 모니터(141)의 가로길이(n)를 제2 보정수단(242)의 지점과 제1 보정수단(241)의 지점 사이의 길이 값(ⓑ-ⓐ)으로 나누어 가로확장 보정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가로확장 보정값을 샘플영상의 가로길이(ⓑ-ⓐ)와 곱하여, 가로확장 보정값과 샘플영상의 가로길이의 곱만큼(n/ⓑ-ⓐ) 샘플영상을 확장시켜(72), 확장된 공간을 샘플영상의 이미지 색상과 유사한 색상 값으로 버퍼를 저장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모니터(141)의 세로길이(m)를 제4 보정수단(244)의 지점과 제1 보정수단의 지점 사이의 길이 값(ⓓ-ⓐ)으로 나누어 세로확장 보정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세로확장 보정값을 샘플영상의 세로길이(m)와 곱한 후, 세로확장 보정값과 샘플영상의 세로길이의 곱만큼(m/ⓓ-ⓐ) 샘플영상의 세로길이를 확장시켜(73), 모니터(141) 스케일과 샘플영상의 스케일(240)을 정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141)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의 스케일(240)이 모니터 스케일(141) 보다 크게 보이는 경우에 따라 영상 스케일을 보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케일 정합부는 샘플영상의 제1 내지 제4 보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인식되지 않을 때를 샘플영상의 스케일(240)이 모니터 스케일(141) 보다 크게 보이는 경우로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케일 정합부는 원형의 제5 보정수단(245)의 지름크기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지름크기를 토대로 현재 샘플영상의 크기를 추정하고, 그에 따라 제5 보정수단(245)의 지름 크기를 미리 알고 있는 기준지름 크기만큼 축소시킴으로써 샘플영상의 크기를 축소시킨다(81).
그리고, 제5 보정수단의 중심을 모니터(14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고(82), 필요에 따라 축소된 샘플영상의 스케일(240)이 모니터 스케일(141) 보다 작게 보인다면, 도7과 같은 과정을 통해 모니터의 스케일과 샘플영상의 스케일을 정합시키도록 한다(83).
마지막으로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141)에 표시되는 샘플영상이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경우에 따라 샘플영상의 스케일과 모니터의 스케일을 정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스케일 정합부는 제1 내지 제4 보정수단(241 내지 244) 각각의 좌표값을 인식하고, 각 축의 방향으로 오차범위가 기 설정된 기준범위 이상의 범위를 가질 때, 샘플영상이 직사각형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정수단(241)의 좌표 값에 따른 y값과 제2 보정수단(242)의 좌표 값에 따른 y값의 차이가 5 pixel(약 1%) 이상의 범위를 가질 때, 스케일 정합부는 모니터(141)에 전시되는 샘플영상이 직사각형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래 <표1>은 스케일 정합부가 샘플영상이 직사각형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직사각형 ○ 직사각형 X
제1 보정수단 좌표값 (0,0) 기준점 (0,0) 기준점
제2 보정수단 좌표값 (500,3) (500,12)
제3 보정수단 좌표값 (504,476) (490,498)
제4 보정수단 좌표값 (3, 476) (21, 490)
계산 X축 오차1: 3(3-0)
X축 오차2: 4(504-500)
Y축 오차1: 3(3-0)
Y축 오차2: 0(476-476)
X축 오차1: 21(21-0)
X축 오차2: -10(490-500)
Y축 오차1: 12(12-0)
Y축 오차2: -8(490-498)
예컨대, 스케일 정합부는 제1 보정수단(241)과 제2 보정수단(242)을 통해 Y축 오차1을 산출할 수 있고, 제2 보정수단(242)과 제3 보정수단(243)을 통해 X축 오차1을 산출할 수 있으며, 제3 보정수단(243)과 제4 보정수단(244)을 통해 Y축 오차2를 산출할 수 있고, 제4 보정수단(244)과 제1 보정수단(241)을 통해 X축 오차2를 산출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여 스케일 정합부가 직사각형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샘플영상을 보정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케일 정합부는, 샘플영상의 제1 보정수단(241)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제2 내지 제4 보정수단(242 내지 244)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제1 내지 제4 보정수단의 좌표 중 모니터(141) 내에 위치하지 않아 인식되지 않는 보정수단이 있는 경우, 도8과 같은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모니터의 스케일 보다 크게 인식되는 경우에 따른 보정절차를 먼저 수행하여, 제1 내지 제4 보정수단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축소 후 진행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2 보정수단(242)의 y축 좌표 값이 제1 보정수단(241)의 y축 좌표 값과 일치하도록 샘플 영상을 회전시킨다(91).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보정부는 회전각 = actan(제2 보정수단의 y 좌표 값/ 제2 보정수단의 x 좌표 값)을 이용하여 회전각을 산출함에 따라 샘플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후에, 제3 보정수단(243)의 x축 좌표가 제2 보정수단(242)의 x축 좌표와 같도록 이동시키고, 제3 보정수단(243)의 y축 좌표를 제2 보정수단(242)의 x축 좌표의 2/3가 되는 지점, 즉, 제2 보정수단(242)의 길이의 2/3(화면비)가 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92).
그리고, 제4 보정수단(244)의 x축 좌표는 제1 보정수단(241)의 x축 좌표와 일치하도록 변경하고, 제4 보정수단(244)의 y축 좌표는 제3 보정수단(243)의 y축 좌표와 일치하도록 변경하여 보정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어장치
200: 보안장치
300: 표적영상 획득장치
400: 발사장치(대상발사장치)
500: 유도비행체

Claims (13)

  1. 유도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발사장치들 중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대상발사장치를 선택적으로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대상발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의 상기 대상발사장치의 원격제어를 위하여,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이면 상기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코드를 이미지 형태로 제시하는 보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대상발사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보안장치의 스크린에 출력된 상기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보안장치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추적하고자 하는 표적에 대한 표적영상 및 상기 인증코드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전시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인증코드에 따른 인증코드 값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인증코드 값을 상기 대상발사장치로 송신함에 따라 수신 받는 승인여부에 따라 상기 대상발사장치의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장치는,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표적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인증절차를 위해 상기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생성된 인증코드를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는 인증코드 생성부; 및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이면 상기 인증코드 생성부로 인증코드 생성명령을 전기적인 신호로 인가하는 인증코드 생성여부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부는,
    상기 보안장치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표적영상의 스케일과 상기 모니터의 스케일을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보안장치와의 인증이 완료된 직후 초기 설정시점에 상기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샘플영상과 상기 모니터의 스케일 정합을 수행하는 스케일 정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장치는, 상기 스케일 정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정수단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스케일 정합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샘플영상에 표시된 상기 보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상기 샘플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정수단은, 상기 샘플영상의 좌측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 보정수단, 상기 샘플영상의 우측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 보정수단, 상기 샘플영상의 우측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3 보정수단, 상기 샘플영상의 좌측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4 보정수단, 및 상기 샘플영상의 중앙에 배치되는 제5 보정수단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상기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상기 모니터의 스케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스케일 정합부는,
    ⅰ)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좌표값이 상기 모니터의 좌측상단 가장자리에 따른 제1 좌표값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샘플영상을 이동시키고,
    ⅱ) 상기 모니터의 가로길이를 상기 제2 보정수단의 지점과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지점 사이의 길이 값으로 나누어 가로확장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가로확장 보정값을 상기 샘플영상의 가로길이와 곱한 후, 상기 가로확장 보정값과 상기 샘플영상의 가로길이의 곱만큼 상기 샘플영상을 확장시키며,
    ⅲ) 상기 모니터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4 보정수단의 지점과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지점 사이의 길이 값으로 나누어 세로확장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세로확장 보정값을 상기 샘플영상의 세로길이와 곱한 후, 상기 세로확장 보정값과 상기 샘플영상의 세로길이의 곱만큼 상기 샘플영상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보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케일 정합부는,
    ⅰ) 인식되는 원형(圓形)의 상기 제5 보정수단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샘플영상의 크기를 추정함에 따라, 상기 제5 보정수단의 지름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지름 크기로 축소시키고,
    ⅱ) 상기 제5 보정수단의 중심을 상기 모니터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후,
    ⅲ)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좌표값이 상기 모니터의 좌측상단 가장자리에 따른 제1 좌표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샘플영상을 이동시키고,
    ⅳ) 상기 모니터의 가로길이를 상기 제2 보정수단의 지점과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지점간 거리 값으로 나누어 가로확장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가로확장 보정값을 상기 샘플영상의 가로길이와 곱한 후, 상기 가로확장 보정값과 상기 샘플영상의 가로길이의 곱만큼 상기 샘플영상을 확장시키며,
    ⅴ) 상기 모니터의 세로길이를 상기 제4 보정수단의 지점과 상기 제1 보정수단의 지점간 거리 값으로 나누어 세로확장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세로확장 보정값을 상기 샘플영상의 세로길이와 곱한 후, 상기 세로확장 보정값과 상기 샘플영상의 세로길이의 곱만큼 상기 샘플영상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모니터와 상기 샘플영상의 스케일이 정합되면, 상기 보안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표적영상을 토대로 상기 대상발사장치를 원격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발사제어 시스템.
  9. 제어장치 및 보안장치를 포함하는 발사제어 시스템이 유도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발사장치들 중 제어하고자 하는 하나의 대상발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발사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안장치가,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거리 이내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이면 인증절차 수행을 위한 인증코드를 이미지 형태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보안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인증코드를 인식함에 따른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대상발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보안장치의 스크린에 출력된 상기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인증코드에 따른 인증코드 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코드 값을 상기 대상발사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된 인증코드 값에 대한 응답신호로, 상기 대상발사장치로부터 원격제어 승인여부를 수신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를 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내이면 상기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생성된 인증코드를 상기 보안장치의 스크린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발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영상의 스케일과 상기 제어장치의 모니터의 스케일을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보안장치와의 인증이 완료된 직후 초기 설정시점에 상기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샘플영상과 상기 모니터의 스케일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제어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0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사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
KR1020180146969A 2018-11-26 2018-11-26 선택적 발사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발사 제어 방법 KR10200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969A KR102006467B1 (ko) 2018-11-26 2018-11-26 선택적 발사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발사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969A KR102006467B1 (ko) 2018-11-26 2018-11-26 선택적 발사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발사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467B1 true KR102006467B1 (ko) 2019-08-01

Family

ID=6761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969A KR102006467B1 (ko) 2018-11-26 2018-11-26 선택적 발사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발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218B1 (ko) * 2020-10-19 2022-02-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 무기, 유도 무기 시스템, 및 표적 식별 및 추적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064B1 (ko) 2014-02-21 2015-01-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통제 장비 및 운용 방법
JP2015213307A (ja) * 2014-04-30 2015-11-26 富士通株式会社 安全な通信のためのデバイス設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064B1 (ko) 2014-02-21 2015-01-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통제 장비 및 운용 방법
JP2015213307A (ja) * 2014-04-30 2015-11-26 富士通株式会社 安全な通信のためのデバイス設定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218B1 (ko) * 2020-10-19 2022-02-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 무기, 유도 무기 시스템, 및 표적 식별 및 추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842B1 (ko) 핸드-아이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로봇 및 전자 장치
EP2759902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876484B1 (en) Maintenance assistant system
WO2018110848A1 (en) Method for operat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WO2018077050A1 (zh) 一种目标跟踪方法以及飞行器
CN107040698B (zh) 无人图像捕获装置的图像捕获方法和支持其的电子装置
KR102006468B1 (ko) 발사 제어 시스템
US20100034424A1 (en) Pointing system for laser designator
US20170363391A1 (en) Precision engagement system
EP3424814A1 (en) Unmanned air vehicle, unmanned air vehicle control system, flight control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WO2018190484A1 (ko)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WO2018101592A1 (ko) 무인 비행체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6467B1 (ko) 선택적 발사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발사 제어 방법
CN113448343B (zh) 用于设定飞行器的目标飞行路径的方法、系统和可读介质
JP2019164420A (ja) 透過型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透過型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透過型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Tuvshinjargal et al. Hybrid motion planning method for autonomous robots using kinect based sensor fusion and virtual plane approach in dynamic environments
JP680379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製造システム
KR10259013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1846993B1 (ko) 드론을 이용한 함포 영점 조정 시스템
KR101244697B1 (ko) 이동식 발사체계를 위한 발사통제 시스템
KR20180025416A (ko) 모션 인식 및 가상 현실을 이용한 드론 비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8049206A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597544A (zh) 输入交互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TW201635250A (zh) 室內監控系統及其方法
KR101866218B1 (ko) 드론을 이용한 함포 영점 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