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364B1 -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 Google Patents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364B1
KR102006364B1 KR1020170177965A KR20170177965A KR102006364B1 KR 102006364 B1 KR102006364 B1 KR 102006364B1 KR 1020170177965 A KR1020170177965 A KR 1020170177965A KR 20170177965 A KR20170177965 A KR 20170177965A KR 102006364 B1 KR102006364 B1 KR 102006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ntainer body
container
hol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286A (ko
Inventor
이민호
함일주
Original Assignee
이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호 filed Critical 이민호
Priority to KR102017017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364B1/ko
Priority to EP18891601.9A priority patent/EP3730427A4/en
Priority to CN201880082215.9A priority patent/CN111511659A/zh
Priority to PCT/KR2018/014420 priority patent/WO2019124774A1/ko
Priority to US16/956,939 priority patent/US20210003336A1/en
Publication of KR20190076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2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d in a bottle, can, drinking glass, pitcher or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에 대한 것으로서, 일측이 뚜껑에 의해 개폐되며 통 형태의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얼음을 고정하는 얼음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고정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형태로 상기 얼음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Ice vessel and ice m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에 얼음을 마련하고자 할 때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음료를 휴대하기 위해 원통 형태 등의 용기를 사용한다. 용기에는 입구가 마련되고 입구에는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용기 내에 음료를 담은 후 뚜껑을 닫은 상태로 용기를 휴대하였다가 뚜껑을 열어 음료를 섭취한다.
그런데 음료는 음료의 성분이나 주변 환경 상태(특히 온도), 음료를 마시는 사용자의 욕구 등에 따라 선택되는 온도 조건으로 용기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용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음료가 담겼을 때 용기나 음료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내구성을 가지면서, 음료의 온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는 보온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용기를 통해 음료를 고온이나 저온으로 유지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는 여름과 같은 더운 환경에서 용기 내에 얼음을 마련하여 음료가 매우 시원한 상태에 놓이도록 하고자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용기에 음료를 채운 뒤 음료가 담긴 상태의 용기를 냉동실에 넣어 음료가 얼도록 한 후 필요한 때 냉동실에서 용기를 꺼내 휴대하거나, 별도로 구비한 각얼음을 용기 내에 채워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용기 자체를 냉동실에 넣어 얼음을 만드는 경우, 물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음료는 얼면서 부피가 커지기 마련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용기 내에 음료를 적절하게 채워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음료가 얼면서 용기가 팽창해 용기에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얼음을 문제없이 만들었다고 하더라도, 입구 주변의 얼음이 녹지 않으면 음료 취식이 어려울 수 있으며, 입구 주변의 얼음이 녹았더라도 음료를 마실 때 용기가 기울면서 얼음이 입구쪽으로 움직여 음료 취식을 방해할 수 있다.
반면 별도로 구비한 각얼음을 용기 내에 몇 개 집어넣어 사용하는 경우, 위와 같은 문제는 일부 해소될 수 있겠지만, 용기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얼음이 서로 부딪혀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얼음을 이용하여 음료를 시원하게 마시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 대비, 현재 시판되고 있는 용기들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음료 등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내에 얼음이 얼음 고정대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도록 하여, 얼음이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게 해 음료를 저온 상태로 오래 유지시킬 수 있는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외부에서 얼음을 만든 후 용기본체의 내부에 삽입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본체를 직접 이용해 얼음을 만들지 않아 용기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은, 일측이 뚜껑에 의해 개폐되며 통 형태의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얼음을 고정하는 얼음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고정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형태로 상기 얼음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얼음 고정대는, 얼음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얼음을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는, 외측에 상기 뚜껑이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얼음 고정대가 결합되는 주둥이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얼음 고정대는, 상기 주둥이부에 결합되는 용기 결합부; 상기 용기 결합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서 측방으로 퍼져나가는 얼음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부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하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높이의 절반 이하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얼음 거치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퍼져나가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둥이부는, 외면에 상기 뚜껑과 결합하기 위한 외측 나사산이 마련되고 내면에 상기 얼음 고정대의 상기 용기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내측 사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의 타측에는 상기 용기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용기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용기본체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또는 스피커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얼음 제작 도구는, 상기 용기본체에 공급하기 위한 얼음을 제작하는 도구로서, 상기 용기본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고 일측이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얼음칸을 구비하는 얼음틀; 및 상기 얼음칸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얼음칸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얼음칸 내에서 생성되는 얼음을 고정하는 얼음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고정대는, 상기 얼음틀에 결합되어 상기 얼음칸의 일측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음 고정대는, 상기 얼음칸 내에서 생성된 얼음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얼음틀에서 분리된 후,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얼음을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음 고정대는, 상기 얼음칸의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서 측방으로 퍼져나가는 얼음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음 고정대는,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용기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칸 내에서 생성된 얼음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용기 결합부로 교체된 뒤 상기 얼음틀에서 분리된 후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얼음을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는, 얼음틀과 얼음 고정대를 이용하여 얼음을 만든 후 얼음이 매달린 얼음 고정대를 용기본체에 결합하여 용기본체 내에 얼음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용기본체의 변형을 우려할 필요가 없고 얼음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해 편의성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는, 용기본체 내에서 얼음 고정대에 의하여 얼음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음료 등이 얼음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음료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얼음이 용기본체의 내벽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얼음의 융해를 늦춰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의 얼음 고정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작 도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은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은 음료만을 수용하지 않으며 얼음에 의해 냉각이 필요한 모든 유체(섭취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유체 등을 포함)를 수용할 수 있는 것임을 알려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의 얼음 고정대의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은 얼음 고정대(3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얼음 고정대(30)가 용기본체(10)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얼음 고정대(30)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0) 내에 얼음(100)이 삽입되거나 또는 용기본체(10) 내로부터 얼음(100)이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1)은, 용기본체(10), 스트랩(20), 얼음 고정대(30), 뚜껑(40)을 포함한다.
용기본체(10)는, 일측이 개방되며 음료 등의 유체를 내부에 수용한다. 용기본체(10)에서 개방된 일측의 개구(111)는 뚜껑(4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물론 뚜껑(40)의 제거 없이도 음료를 마시기 위한 개방은 가능할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내부는 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용기본체(10)의 내부는 원통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용기본체(10)의 내부 형태는 상기로 한정되지 않으나, 다만 용기본체(10)의 내부 형태는 얼음(100)의 삽입/인출 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즉 용기본체(10)의 내부는 개구(111)로부터 바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또는 단면적이 감소하는 통 형태일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양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0)는 저온 또는 고온의 음료가 수용될 때 변형되지 않으면서 보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용기본체(10)는 유리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용기본체(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개구(111) 주변 부분)은 주둥이부(11)로 지칭될 수 있는데, 주둥이부(11)에는 앞서 언급한 뚜껑(40)이 결합되면서 용기본체(10) 내부가 외부와 격리될 수 있다. 이때 뚜껑(40)은 주둥이부(11)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주둥이부(11)에서 뚜껑(40)과 마주하는 외면에는 외측 나사산(112)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용기본체(10)의 주둥이부(11)와 뚜껑(40) 간의 결합 방식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만 뚜껑(40)은 용기본체(10)의 내부를 충분히 밀폐할 수 있으면서도 편리하게 용기본체(10)의 일측을 개폐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용기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주둥이부(11)의 외면에는 외측 나사산(112)의 아래에 외측 단차(113)가 마련되어, 뚜껑(40)이 주둥이부(11)에 결합될 때 뚜껑(40)의 결합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외측 단차(113)의 폭은 뚜껑(40)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뚜껑(40)이 용기본체(10)에 결합되었을 때 뚜껑(40)의 외면과 용기본체(10)의 외면이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주둥이부(11)의 내면에는 후술할 얼음 고정대(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주둥이부(11)와 얼음 고정대(30)는 주둥이부(11)와 뚜껑(40) 간의 결합과 동일/유사하게 나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둥이부(11)에서 얼음 고정대(30)와 마주하는 내면에는 내측 나사산(114)이 마련된다.
주둥이부(11)의 내면에는 외측 단차(113)와 동일/유사하게 내측 단차(115)가 마련될 수 있다. 내측 단차(115)는 얼음 고정대(30)가 주둥이부(11)에 결합될 때 얼음 고정대(30)의 결합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내측 단차(115)의 폭은 (얼음(100)을 고정하고 있는) 얼음 고정대(30)의 결합 정도를 제한할 수만 있다면 충분하므로, 특별하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내측 단차(115)의 폭은 나사산(311)이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얼음 고정대(30)에 고정된 얼음(100)이 용기본체(10)에 삽입되거나 용기본체(10)에서 인출되는 동작 시 걸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주둥이부(11)에서 외측 단차(113)와 내측 단차(115)의 높이는 서로 대응되거나 또는 상하로 서로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외측 단차(113)는 내측 단차(115)보다 하방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나사산(112)과 내측 나사산(114)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데, 이는 뚜껑(40) 결합에 의한 밀폐력, 얼음 고정대(30)에 고정된 얼음(100)을 지탱하기 위해 필요한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주둥이부(11)는 외측에 뚜껑(40), 내측에 얼음 고정대(30)가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지만, 반드시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본 발명은 주둥이부(11)의 외측을 감싸면서 주둥이부(11)의 개구(111)를 덮는 형태로 얼음 고정대(30)가 결합되고 얼음 고정대(30)의 외측에 뚜껑(40)이 결합되는 것 등의 변형된 예시를 얼마든지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0)에서 주둥이부(11)의 반대편, 즉, 용기본체(10)의 저면에는 용기를 바닥 등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는 용기본체(10)와 일체화되어 구성되거나,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2)는 저면이 평탄면을 가지거나, 내측으로(즉, 상측으로) 함몰된 오목면을 가짐으로써,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용기본체(10)의 기립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12)의 저면에는 바닥 등에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하는 마찰판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12)에는 스피커 및/또는 조명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20)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이나 음악 등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LED 등으로 구성되는 조명장치는 용기본체(10)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가 용기본체(10) 내에 수용된 음료를 향해 빛을 발산함으로써, 보다 심미적인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조명장치 및/또는 스피커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등)와 블루투스, Wifi 등의 제한되지 않는 방법으로 연결되어 원격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 및/또는 스피커의 동작을 위해 별도의 배터리나 이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 등이 지지부(12)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12)는 용기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구현됨으로써, 사용 상의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스트랩(20)은, 용기본체(10)에 마련되어 용기본체(10)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스트랩(20)은 주둥이부(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주둥이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등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스트랩(20)을 이용해 용기본체(10)를 휴대하도록 할 수 있다.
스트랩(20)은 주둥이부(11)의 둘레에 끼워지는 링(21)을 구비할 수 있다. 링(21)은 주둥이부(11)의 둘레 하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링(21)의 상면에는 뚜껑(40)의 하단이 맞물리게 될 수 있다.
링(21)은 주둥이부(11)와 나사 방식 등으로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주둥이부(11)가 링(21)에 관통되는 방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링(21) 위에 뚜껑(40)이 결합되면 링(21)의 이탈이 자연적으로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뚜껑(40)을 열고 사용자가 용기본체(10)를 기울여서 음료를 마실 때 링(21)이 주둥이부(11)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링(21)은 주둥이부(11)의 외측 나사산(112)에 대응하여 내면에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링(21)은 주둥이부(11)의 외측 나사산(112)에 의해 형성되는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구비하여, 외측 나사산(112)을 억지로 관통해 주둥이부(11)에 안착됨에 따라, 용기본체(10)가 뚜껑(40)이 분리된 상태에서 뒤집어지더라도 링(21)의 이탈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다.
링(21)은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실리콘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링(21)은 주둥이부(11)에 억지끼움되어 불필요한 이탈이 방지되면서도,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스트랩(20)을 용기본체(10)에서 분리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링(21)의 일측에는 주둥이부(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211)는 링(21) 위에 뚜껑(40)이 결합되더라도 뚜껑(4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을 정도로 연장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211)는 후술할 밴드(22)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링(21)의 주변을 둘러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뚜껑(40)을 용기본체(10)에 결합할 때에도 연장부(211)가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부(211)는 밴드(22)를 고정할 수 있는 최소의 크기를 갖거나, 및/또는 사용자의 손 등을 다치지 않게 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211)에는 구멍(212)이 형성되는데, 구멍(212)에는 밴드(22)가 관통하면서 연장부(211)에 밴드(2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멍(212)은 연장부(211)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밴드(22)의 형태(폭 등)에 따라 구멍(212)의 크기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스트랩(20)은 링(21)에서 연장되는 밴드(22)를 갖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링(21)의 연장부(211)에는 구멍(212)이 형성되는데, 밴드(22)는 구멍(212)을 관통하면서 폐곡선 형태를 이루어서 링(21)에 고정될 수 있다.
밴드(2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 등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용기본체(10)를 바닥 등에 내려 놓을 때 밴드(22)가 바닥에 닿지 않을 정도로 밴드(22)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밴드(22)의 길이가 너무 길면 용기본체(10)의 거치가 불편할 수 있으며, 밴드(22)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밴드(22)를 이용한 휴대가 불편할 수 있으므로, 링(21)으로부터 가장 먼 밴드(22)의 일측까지의 거리(밴드(22)의 총 길이의 약 절반)는 용기본체(10) 높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밴드(22)는 면,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금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밴드(22)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용기본체(10)의 휴대를 가능케 하는 모든 재질이 사용 가능하다.
얼음 고정대(30)는, 용기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얼음 고정대(30)는 용기본체(10)에서 주둥이부(11)에 결합되며, 주둥이부(11)에 결합되면서 용기본체(10)의 개구(111)를 덮을 수 있다.
물론 얼음 고정대(30)가 용기본체(10)의 주둥이부(11)에 결합된다 하더라도, 용기본체(10)의 내부는 밀폐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얼음 고정대(30)의 경우 용기본체(10) 내에 얼음(100)을 위치시키기만 하면 충분한 구성일 수 있기 때문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얼음 고정대(30)는 주둥이부(11)에 결합되며 용기본체(1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얼음(100)을 고정한다. 즉 얼음 고정대(30)는 하단이 얼음(10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단이 용기본체(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얼음 고정대(30)는,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형태로 얼음(100)을 고정하게 되며, 따라서 얼음 고정대(30)는 얼음(100)을 고정한 상태로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얼음(100)을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거나, 용기본체(10)에서 분리되어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얼음(100)을 외부로 빼내 음료가 더 이상 차가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얼음 고정대(30)는, 용기 결합부(31), 기둥부(32), 얼음 거치부(33)를 포함한다. 용기 결합부(31)는 주둥이부(11)에 결합된다. 용기 결합부(31)에는 나사산(311)이 마련되며, 용기 결합부(31)의 나사산(311)은 주둥이부(11)의 내면에 마련되는 내측 나사산(114)과 맞물릴 수 있다.
용기 결합부(31)의 외면은 주둥이부(11)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는데, 주둥이부(11)의 내면에는 내측 단차(115)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용기 결합부(31)의 외면 하단은 주둥이부(11)의 내측 단차(115)에 의하여 용기본체(10) 내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용기 결합부(31)와 주둥이부(11)는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주둥이부(11)의 내측 단자는 용기 결합부(31)가 주둥이부(11)에 결합하기 위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로 사용될 수 있다.
용기 결합부(31)는 용기본체(10)의 개구(111)에 마련되어 개구(111)를 커버한다. 이를 위하여 용기 결합부(31)의 외경은 개구(111)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나사산(311)을 제외한 용기 결합부(31)의 외경은 개구(111)의 직경보다 다소 작을 수 있지만, 용기 결합부(31)가 주둥이부(11)에 결합될 때 용기 결합부(31)의 나사산(311)과 주둥이부(11)의 내측 나사산(114)이 맞물림에 따라, 용기 결합부(31)와 주둥이부(11)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물론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실링 구성들이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다.
용기 결합부(31)는 주둥이부(11)에 결합되어 개구(111)를 커버하지만 용기 결합부(31)에 의하여 용기본체(10)가 밀폐되진 않을 수 있다. 용기 결합부(31)에는 취출구(312)가 마련될 수 있고, 뚜껑(40)이 용기본체(10)의 주둥이부(11)에서 분리되면 취출구(312)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취출구(312)를 통하여 용기본체(10) 내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용기 결합부(31)는 손잡이(313)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313)는 취출구(312)의 주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취출구(312)를 통한 음료의 음용을 방해하지 않는 크기나 형상으로 마련된다.
손잡이(313)는 용기 결합부(31)가 주둥이부(11)에 결합될 때, 용기 결합부(31)의 상단이 주둥이부(11)의 상단과 나란하게 될 경우 용기 결합부(31)를 주둥이부(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주둥이부(11)에 얼음 고정대(30)가 결합되더라도 얼음 고정대(30)는 주둥이부(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주둥이부(11)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된 얼음 고정대(30)의 용기 결합부(31)는, 사용자가 손잡이(313)를 파지해 회전시켜서 주둥이부(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용기 결합부(31)는 원통 형태이면서 상면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고,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용기 결합부(31)의 손잡이(313)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적어도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313)를 파지한 채 용기 결합부(31)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얼음 고정대(30)가 용기본체(10)의 주둥이부(11)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용기 결합부(31)에는 후술할 기둥부(32)가 탈착될 수 있는데, 기둥부(32)는 용기 결합부(31)의 하면에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 결합부(31)의 하면에는 제1 결합부(314A, 314B, 314C)가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 결합부(31)와 기둥부(32) 간의 결합은 이하 기둥부(32)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기둥부(32)는, 용기 결합부(3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기둥부(32)는 얼음(100)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용기 결합부(31)의 하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얼음(100)의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기둥부(32)는 얼음(100)을 1차로 고정하는데, 다만 얼음(100)에서 기둥부(32)와 마주하는 부분이 녹게 되면 얼음(100)은 기둥부(32)에서 빠져버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둥부(32)만으로 얼음(100)을 고정하지 않고 얼음 거치부(33)를 더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기둥부(32)의 외면이 올록볼록하거나 기둥부(32)의 외면에 다수의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거나 및/또는 기둥부(32)가 일자 대신 지그재그, 곡선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얼음(100)이 기둥부(32)에서 이탈되지 않을 경우에는 후술할 얼음 거치부(33)가 생략될 수도 있다.
기둥부(32)는 얼음(100)을 고정하면서도 용기본체(10) 내에서 얼음(100)의 부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기둥부(32)의 단면적이 작으면 얼음(100)을 고정하는 힘이 줄어드는 반면, 기둥부(32)의 단면적이 커지면 얼음(100)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기둥부(32)는 용기본체(10)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둥부(32)는 용기 결합부(31)에 탈착될 수 있는데, 기둥부(32)에는 용기 결합부(31)의 제1 결합부(314A, 314B, 314C)와 맞물리는 제2 결합부(321A, 321B, 321C)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314A)는 원통 형태일 수 있고, 제2 결합부(321A)는 제1 결합부(314A)를 둘러싸면서 제1 결합부(314A)가 내부에 인입되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도 5는 용기 결합부(31)의 제1 결합부(314A)가 기둥부(32)의 제2 결합부(321A) 내에 삽입되면서 용기 결합부(31)와 기둥부(3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314A)는 凸 형태이고 제2 결합부(321A)는 凹 형태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314A)의 외경은 제2 결합부(321A)의 내경 이상으로 마련되거나 및/또는 제1 결합부(314A)와 제2 결합부(321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성체를 두어 결합력을 보장할 수 있다.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반대로 제2 결합부(321B)가 원통 형태이고 제1 결합부(314B)는 제2 결합부(321B)가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결합부(314B)는 凹 형태이고 제2 결합부(321B)는 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314B) 및 제2 결합부(321B)의 결합력을 위하여, 제1 결합부(314B)에 제2 결합부(321B)는 억지끼움으로 삽입될 수 있고 자성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제한되지 않은 다양한 방식의 결합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314C)는 제2 결합부(321C)가 기둥부(32)의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결합부(314C)에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314C)는 도면 기준으로 우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제2 결합부(321C)는 제1 결합부(314C)에서 개방된 우측을 통해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314C)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빈 공간의 전후 폭이 작아지는 단턱(315)이 형성되고, 제2 결합부(321C)에는 제1 결합부(314C)의 단턱(315)에 대응되도록 단턱(322)이 형성되며, 제2 결합부(321C)가 제1 결합부(314C)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면, 제2 결합부(321C)의 단턱(322)이 제1 결합부(314C)의 단턱(315)에 걸려서, 기둥부(32)가 하방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걸릴 수 있다.
즉 도 7의 경우 용기 결합부(31)와 기둥부(32) 간의 탈착이 간편하도록 하면서도 기둥부(32)를 통해 얼음(100)을 지지할 때 기둥부(32)가 용기 결합부(3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일 수 있다.
기둥부(32)는 용기본체(10)의 내부 높이의 절반 이하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기둥부(32)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용기본체(10) 내에 얼음(100)이 아닌 음료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기둥부(32)에는 핸들(323)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323)은 사용자가 기둥부(32)를 잡고 기둥부(32)와 용기 결합부(31)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또는 얼음(100)이 얼음 고정대(30)에 마련되었을 때 후술할 커버부(도 8의 34)가 제거된 기둥부(32)를 사용자가 잡고 용기 결합부(31)에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핸들(323)은 기둥부(3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비교적 견고한 강도를 갖도록 마련되어 핸들(323)에 의한 파지가 충분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핸들(323)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부(32)에서 좌우로 돌출되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기둥부(32)에서 얼음(100)은 핸들(323) 바로 아래까지 고정될 수 있다.
얼음 거치부(33)는, 기둥부(32)의 하단에서 측방으로 퍼져나가는 형태를 갖는다. 일례로 얼음 거치부(33)는 기둥부(32)에 수직한 평면 상에 마련될 수 있고, +자 형태 등과 같이 기둥부(32)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퍼져나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얼음 거치부(3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자 형태 등과 같이 얼음(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모든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얼음 거치부(33)는, 얼음(100)이 얼었을 때 얼음 고정대(30)가 얼음(100)과 닿는 접지면적을 넓혀서 얼음(100)과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얼음 거치부(33)는, 기둥부(32)에 얼음(100)이 형성되었을 때 얼음(100)이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얼음(100)은 기둥부(32)를 중심축으로 하여 기둥부(32)에 고정되면서, 얼음 거치부(33)에 의하여 상하 방향과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도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얼음 고정대(30)가 얼음(100)을 고정한 채 용기본체(10)에 결합될 때 또는 얼음 고정대(30)가 얼음(100)을 용기본체(10)에서 빼낼 때, 얼음 고정대(30)에서 얼음(10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100)이 기둥부(32)를 중심축으로 하면서 기둥부(32)의 하단에서 퍼져나가는 얼음 거치부(33)를 통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얼음(100)이 용기본체(10)의 내부 벽면과 접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얼음(100)이 용기본체(10) 내벽과의 마찰로 인해 녹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일례로 300 내지 500ml의 용기본체(10)에 대해 3~4시간 가량 얼음(100)의 보존 시간이 증가한 것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얼음 고정대(30)를 사용할 경우 얼음(100)이 녹는 모양이 균일해지며, 사용자가 용기본체(10)를 휴대할 때 얼음(100)이 용기본체(10)의 내벽과 부딪히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뚜껑(40)은, 용기본체(10)의 개구(111)를 개폐한다. 뚜껑(40)은 주둥이부(11)를 덮어 개구(111)를 밀폐할 수 있으며, 뚜껑(40)과 주둥이부(11)는 나사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뚜껑(40)은 주둥이부(11)의 외측 나사산(112)과 맞물리면서 용기본체(10)에 결합된다.
뚜껑(40)이 용기본체(10)에 결합되면, 얼음 고정대(30)의 용기 결합부(31)에 취출구(312)가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음료가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는다. 다만 밀폐력 향상을 위하여, 뚜껑(40)에서 주둥이부(11)의 상단 둘레와 맞닿는 부분에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뚜껑(40)이 주둥이부(11)에 결합되면 뚜껑(40)의 하단은 스트랩(20)의 링(21)을 가압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스트랩(20)의 링(21)이 두꺼우면 링(21)에 의하여 뚜껑(40)의 실링부재가 주둥이부(11)의 상단과 맞닿지 못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스트랩(20)의 링(21)이 너무 얇으면 뚜껑(40)이 주둥이부(11)에 꽉 결합된 상태에서 링(21)이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여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20)의 링(21) 두께는 뚜껑(40)과 주둥이부(11) 등의 구조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20)의 링(21)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링부재와 동일/유사하게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주둥이부(11)의 외측 단차(113)와 뚜껑(40) 사이에 마련되는 링(21)은 2차 실링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본체(10)의 주둥이부(11)에 뚜껑(40)을 결합한 상태로 용기본체(10)를 휴대할 수 있으며, 음료의 음용을 원할 때에는 뚜껑(40)만 분리하여 취출구(312)를 통해 차가운 음료를 언제든 마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얼음 고정대(30)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0) 내부에 얼음(100)이 고정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얼음(100)이 녹는 것을 지연시켜서 오랜 시간동안 음료를 차갑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작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작 도구(2)는, 용기본체(10)에 공급하기 위한 얼음(100)을 제작하는 도구로서, 얼음틀(50)과 얼음 고정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얼음 고정대(30)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예의 얼음 고정대(30)와 달라지는 점 위주로만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얼음틀(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얼음칸(5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얼음칸(51)은 용기본체(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다만 얼음칸(51)의 내경은 용기본체(10)의 내경보다 다소 작을 수 있다.
이는 얼음칸(51)에서 형성되는 얼음(100)이 용기본체(10) 내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면서, 또한 얼음(100)과 용기본체(10)의 내벽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얼음(100)의 융해를 지연시키는 동시에 얼음(100)이 음료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얼음칸(51)은 용기본체(10)의 형상과 다르게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일례로 용기본체(10)의 형상은 원통이고 얼음칸(51)의 형상은 뒤집어진 원뿔이나 원뿔대 형태일 수 있다. 즉 얼음칸(51)은, 얼음칸(51)에서 생성된 얼음(100)이 용기본체(10)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만 있다면,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얼음칸(51)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얼음칸(51)에서 개방된 일측으로는 얼음(100)을 형성하기 위한 유체가 주입될 수 있고, 여기서 유체는 음료 등일 수 있다.
얼음칸(51)은 얼음틀(50)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면에서 얼음칸(51)은 좌우 방향으로 3개가 마련되고 전후 방향으로 2열이 마련되어, 하나의 얼음틀(50)에 총 6개의 얼음칸(5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얼음틀(50)에 마련되는 얼음칸(5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얼음칸(51)의 배치 역시 도면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얼음틀(50)에 마련된 복수 개의 얼음칸(51)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즉 얼음틀(50)에는 크고 작은 얼음칸(51)들이 마련될 수 있다.
얼음칸(51)은, 내부에 유체가 주입된 뒤 개방된 일측이 얼음 고정대(30)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즉 얼음칸(51) 내에 유체가 채워진 후 얼음 고정대(30)가 얼음틀(50)에 결합되면, 얼음 고정대(30)의 얼음 거치부(33) 등이 얼음칸(51) 내부에 위치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얼음 고정대(30)가 결합된 얼음틀(50)을 냉동실에 넣어서, 얼음 고정대(30)에 얼음(100)이 고정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얼음틀(50)은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얼음칸(51)에 얼린 얼음(100)이 얼음칸(51)의 바닥을 외부에서 밀어올리면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얼음(100)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유체의 부피가 커지더라도 얼음칸(51)이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얼음 고정대(30)는, 얼음칸(51)의 일측에 결합되고 얼음칸(51)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얼음칸(51) 내에서 생성되는 얼음(100)을 고정한다. 얼음 고정대(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 결합부(31), 기둥부(32), 얼음 거치부(3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얼음(100) 제조 시 용기 결합부(31)는 사용되지 않고 대신 커버부(34)가 사용될 수 있다.
얼음 고정대(30)는, 얼음틀(50)에 결합되어 얼음칸(51)의 일측을 커버한다. 이때 얼음 고정대(30)는 얼음칸(51) 내에서 생성된 얼음(100)을 고정한 상태로 얼음틀(50)에서 분리된 후,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얼음(100)을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용기본체(10)에 채워진 유체가 얼면서 얼음(10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본체(10)의 외부에서 얼음(100)이 얼음 고정대(30)에 매달려 형성되도록 하고, 이후 얼음(100)을 고정한 얼음 고정대(30)를 용기본체(10)에 끼워서 용기본체(10) 내에 얼음(100)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용기본체(10)가 냉동실에 들어갈 필요가 없도록 하여, 본 발명은 용기본체(10)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얼음 고정대(30)의 커버부(34)는, 얼음칸(51)의 일측을 커버한다. 얼음칸(51)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는데, 커버부(34)는 유체가 채워진 얼음칸(51)의 개방된 상측을 덮으면서 얼음틀(50)이 냉동실에 놓일 때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34)는 얼음칸(51)의 상측에 억지끼움되거나, 자가점착을 통해 얼음칸(51)의 상단 주변에 접착될 수 있다. 다만 얼음틀(50)은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커버부(34)와 얼음칸(51)의 결합에 나사 방식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부(34)는 얼음칸(51) 내부가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얼음 고정대(30)의 기둥부(32)가 얼음칸(51) 내에서 유체에 얼마나 잠기는지를 확인하여, 얼음(100)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
기둥부(32)는, 커버부(3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기둥부(32)는 커버부(34)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기둥부(32)와 커버부(34)의 탈착은 앞서 설명한 기둥부(32)와 용기 결합부(31)의 탈착 방식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의 탈착이 가능하다.
일례로 기둥부(32)는 커버부(34)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억지끼움되는 방식 등을 통하여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34)의 하면에 기둥부(32)가 연결되는 대신, 커버부(34)가 기둥부(32)의 상단 둘레를 감싸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얼음틀(50)에 얼음 고정대(30)가 결합되었을 때 기둥부(32)의 상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커버부(34)가 얼음(100)을 들어올릴 수 있을 정도로 기둥부(32)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커버부(34)와 기둥부(32) 간의 결합력은 용기 결합부(31)와 기둥부(32) 간의 결합력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얼음칸(51)에 유체가 채워진 후 커버부(34)에 결합된 기둥부(32) 등이 얼음칸(51)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얼음틀(50)이 냉동실에 보관되어 얼음(100)이 형성되면, 이후 커버부(34)가 기둥부(32)에서 분리되더라도 기둥부(32)는 얼음(100) 위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얼음(100) 위로 노출된 기둥부(32)의 상단(일례로 핸들(323))을 잡고 얼음(100)을 빼내거나, 또는 얼음(100) 위로 노출된 기둥부(32)에 용기 결합부(31)를 결합하여, 용기 결합부(31)를 통해 얼음(100)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즉 커버부(34)는 얼음칸(51)에서 형성된 얼음(100)을 얼음칸(51)으로부터 빼내기 위한 구성은 아닐 수 있으며, 다만 커버부(34)는 기둥부(32)가 얼음칸(51)의 중심축에 놓이도록 기둥부(32)의 위치를 고정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얼음 고정대(30)는, 얼음칸(51) 내에서 생성된 얼음(100)을 고정한 상태로 커버부(34)가 용기 결합부(31)로 교체된 뒤, 얼음틀(50)에서 분리된 후 용기본체(10)에 결합되어 얼음(100)을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달리 커버부(34)는 용기 결합부(31)로 교체되지 않고, 커버부(34)가 직접 용기 결합부(31)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커버부(34)가 사용되지 않고 용기 결합부(31)가 직접 얼음칸(51)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얼음 고정대(30)가 얼음칸(51)에서 형성된 얼음(100)을 용기본체(10)에 옮겨 고정할 수만 있다면, 커버부(34)와 용기 결합부(31)의 사용이나 결합 등에 대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얼음틀(50)의 얼음칸(51)을 이용하여 얼음(100)을 생성할 때 얼음(100)이 얼음 고정대(30)에 고정되도록 하고, 얼음(100)이 매달린 얼음 고정대(30)를 용기본체(10)에 옮겨 끼워서 용기본체(10) 내에 얼음(100)이 간편하게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 및 편의성을 모두 보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2: 얼음 제작 도구
10: 용기본체 11: 주둥이부
111: 개구 112: 외측 나사산
113: 외측 단차 114: 내측 나사산
115: 내측 단차 12: 지지부
20: 스트랩 21: 링
211: 연장부 212: 구멍
22: 밴드 30: 얼음 고정대
31: 용기 결합부 311: 나사산
312: 취출구 313: 손잡이
314A, 214B, 214C: 제1 결합부 315: 단턱
32: 기둥부 321A, 321B, 321C: 제2 결합부
322: 단턱 323: 핸들
33: 얼음 거치부 34: 커버부
40: 뚜껑 50: 얼음틀
51: 얼음칸 100: 얼음

Claims (15)

  1. 일측이 뚜껑에 의해 개폐되며 통 형태의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며 얼음을 고정하는 얼음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외측에 상기 뚜껑이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얼음 고정대가 결합되는 주둥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고정대는, 상기 주둥이부에 결합되는 용기 결합부; 상기 용기 결합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서 측방으로 연장하는 얼음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은 상기 얼음 고정대의 상기 용기 결합부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기둥부를 걸쳐 상기 얼음 거치부까지 형성되어 상기 얼음 고정대에 고정되며,
    상기 얼음 고정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형태로 상기 얼음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고정대는,
    상기 얼음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얼음을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하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높이의 절반 이하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거치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퍼져나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부는,
    외면에 상기 뚜껑과 결합하기 위한 외측 나사산이 마련되고 내면에 상기 얼음 고정대의 상기 용기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내측 사사산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타측에는 상기 용기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용기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용기본체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또는 스피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77965A 2017-12-22 2017-12-22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KR102006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965A KR102006364B1 (ko) 2017-12-22 2017-12-22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EP18891601.9A EP3730427A4 (en) 2017-12-22 2018-11-22 FUNCTIONAL WATER BOTTLE WITH ICE FORMATION CORE AND ICE MAKING TOOL
CN201880082215.9A CN111511659A (zh) 2017-12-22 2018-11-22 冰块可拆卸式功能性水瓶及冰块制作工具
PCT/KR2018/014420 WO2019124774A1 (ko) 2017-12-22 2018-11-22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US16/956,939 US20210003336A1 (en) 2017-12-22 2018-11-22 Functional water bottle with ice forming core and ice mak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965A KR102006364B1 (ko) 2017-12-22 2017-12-22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286A KR20190076286A (ko) 2019-07-02
KR102006364B1 true KR102006364B1 (ko) 2019-08-02

Family

ID=6699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965A KR102006364B1 (ko) 2017-12-22 2017-12-22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03336A1 (ko)
EP (1) EP3730427A4 (ko)
KR (1) KR102006364B1 (ko)
CN (1) CN111511659A (ko)
WO (1) WO2019124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3277S1 (en) * 2018-09-21 2022-02-15 Four Kid Investors L.L.C. Bottle carrier and suppo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786Y1 (ko) * 2003-10-16 2004-01-07 임흥호 용기받침구
KR200338608Y1 (ko) * 2003-10-23 2004-01-16 최완성 음료용기용 멜로디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91A (zh) * 1992-09-05 1994-03-16 詹姆斯·A·施瓦茨 含有冷却装置的饮料容器
JPH0724794U (ja) * 1993-10-06 1995-05-12 株式会社増尾製作所 アイスキャンデー用スティック
US5971352A (en) * 1997-08-19 1999-10-26 Kirks; Kelly Ice bar tray
CN2658105Y (zh) * 2003-07-28 2004-11-24 原玉明 保温冷饮瓶
CN2926089Y (zh) * 2006-06-23 2007-07-25 周华坤 带冰镇装置的饮料瓶
KR20090005514U (ko) * 2007-12-03 2009-06-08 (주)첨단엔프라 휴대용 차 용기
KR20100007554A (ko) * 2008-07-14 2010-01-22 김주일 음료용 컵
US20100098812A1 (en) * 2008-10-20 2010-04-22 Yen Le Product and process for creating instant flavored iced beverages
TWM366545U (en) * 2009-04-03 2009-10-11 Chia-Lien Hung Container with ice storage structure
NL2005628C2 (nl) * 2010-11-04 2012-05-07 Dairy Innovations B V Halfproduct, product en werktuig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milkshake.
WO2015189069A1 (en) * 2014-06-10 2015-12-17 Nestec S.A. Iced beverage preparation kit
KR20160015642A (ko) * 2014-07-31 2016-02-15 박태영 다기능성 용기
CN105416856A (zh) * 2015-11-30 2016-03-23 钟立朋 一种具有冰镇功能的易拉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786Y1 (ko) * 2003-10-16 2004-01-07 임흥호 용기받침구
KR200338608Y1 (ko) * 2003-10-23 2004-01-16 최완성 음료용기용 멜로디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0427A1 (en) 2020-10-28
WO2019124774A1 (ko) 2019-06-27
KR20190076286A (ko) 2019-07-02
EP3730427A4 (en) 2021-09-29
CN111511659A (zh) 2020-08-07
US20210003336A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126B2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built-in infuser and passive cooling element
US5842571A (en) Compartmentalized soft-sided container
US20080000259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Freeze Pack
US7946422B1 (en) Dispensing and disposing container system
US6868694B2 (en) Dry ice drinking vessel
US20160045047A1 (en) Container with a Thermal Regulating Insert
US20140048510A1 (en) Carafe with cooling element
KR102006364B1 (ko) 얼음의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물병 및 얼음 제작 도구
JP2016168335A (ja) 一体型飲料用こし器蓋
KR20130001866U (ko) 음료수컵의 얼음 격리용 포켓장치
EP2769651A1 (en) Support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cold beverages in glasses and the like
JP4406683B1 (ja) ワインクーラー
KR102282607B1 (ko) 텀블러
US7669726B2 (en) Beverage container and a method of using same
US20080017774A1 (en) Adjustable beverage holder
US20050210911A1 (en) Cooling device
WO2015189069A1 (en) Iced beverage preparation kit
KR101780997B1 (ko) 텀블러
CN211483920U (zh) 温度存取自由的水杯
KR100464960B1 (ko) 아이스 용기
JP5802239B2 (ja) 携帯用飲料容器
US20110226784A1 (en) Covered cooler assembly
KR200491683Y1 (ko) 사용성이 개선된 음료 압력용기
JP5301378B2 (ja) 飲料サーバ
KR200493844Y1 (ko) 휴대용 아이스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