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353B1 -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 - Google Patents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353B1
KR102006353B1 KR1020180011946A KR20180011946A KR102006353B1 KR 102006353 B1 KR102006353 B1 KR 102006353B1 KR 1020180011946 A KR1020180011946 A KR 1020180011946A KR 20180011946 A KR20180011946 A KR 20180011946A KR 102006353 B1 KR102006353 B1 KR 102006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service
displayed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숙
박상현
이상준
김현석
Original Assignee
비씨카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씨카드(주) filed Critical 비씨카드(주)
Priority to KR102018001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31Awarding of a frequent usage incentive independent of the monetary value of a good or service purchased, or distance travel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5Avoiding frau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식별정보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용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METHOD FOR SUPPORTING THE PROVISION OF OFFLINE SERVICE USING OBJECT, SERVICE PROVIDING SERVER, USER TERMINAL, AND OBJECT}
본 발명은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에 관한 것으로, 객체에 대한 판매가 처리되면, 객체의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키고,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객체의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식별정보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로 결제용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해외 여행객 수가 급증하면서 공항 라운지 서비스 이용자 수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공항 라운지 서비스는 항공기 탑승 승객이 탑승 전 대기시간 동안 공항에 있는 라운지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초기에는 일부 항공사들이 VIP고객을 대상으로 제공하였으나, 1993년 Priority Pass사에 의해 PP 서비스가 등장함에 따라 대중화되었다.
근래에 PP 서비스는 연회비를 내고 가입한 고객에게 연중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거나 제휴 신용카드 이용 고객에게 연중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후자가 전자보다 저렴하므로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PP서비스의 경우 1년 단위로 서비스 제공 계약이 이루어지므로 고객이 한번에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비교적 저렴하게 신용카드 제휴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경우도 해당 신용카드는 보통 프리미엄카드인 경우가 많으므로 고객은 비싼 연회비를 내야 한다. 이에 따라 1년에 해외를 나가는 횟수가 적어 공항 라운지 이용 빈도가 낮은 고객의 경우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1회나 2회 등 제한된 횟수 내에서만 공항 라운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특히, 간편한 방식으로 모바일 이용권을 발급받아 P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현금 보다 카드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기프트 카드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 사용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제휴사에서 발급되는 기프트 카드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프트 카드는 미리 충전된 금액 내에서 사용 가능한 선불 카드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기프트 카드를 판매하는 판매처에서는 기프트 카드의 분실 및 도난으로 부정 사용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기프트 카드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프트 카드를 구매한 사용자는 기프트 카드를 소지해야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프트 카드를 사용하는데 사용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판매처에서 기프트 카드를 용이하게 관리하고, 사용자가 기프트 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간편한 방식으로 제한된 횟수 내에서만 공항 라운지를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이용권을 발급받아 공항 라운지에서 P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객체에 대한 판매가 처리되면, 객체의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키고,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객체의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식별정보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로 결제용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식별정보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용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일부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3 식별정보에서 입력이 요청되는 일부의 위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입력 요청시마다 변경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식별정보가 인식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상기 제3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은, (d)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의 이용 횟수를 기초로, 추가 혜택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추가 혜택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새로운 결제용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 후 스크래치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 및 상기 제3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식별정보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키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식별정보 관리부; 및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용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결제용 식별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식별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일부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3 식별정보에서 입력이 요청되는 일부의 위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입력 요청시마다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관리부는, 상기 제1 식별정보가 인식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상기 제3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의 이용 횟수를 기초로, 추가 혜택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혜택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혜택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추가 혜택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새로운 결제용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 후 스크래치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 및 상기 제3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객체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표면의 일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객체의 판매 시 외부 장치에 의해 인식되는 제1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식별정보부 및 상기 객체의 표면의 다른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2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식별정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객체의 소지자가 인증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용 식별정보가 제공되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는,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객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가 외부 장치에 의해 인식되고, 상기 제1 식별정보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객체의 판매가 처리되면,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일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된 정보를 통해 상기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결제용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프트 카드, 스티커 등과 같은 객체가 판매되는 시점에 객체의 사용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판매처에서 객체를 관리하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객체를 소지하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결제용 식별정보를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용 식별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객체(100), 판매처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 서비스 제공 서버(400) 및 제휴사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객체(100)는 판매처 단말(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인식될 수 있으며, 판매처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 서비스 제공 서버(400) 및 제휴사 단말(500)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객체(100)는 카드, 스티커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프트 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100)는 기프트 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판매처에 비치된 객체(100)가 결제를 통해 판매되면, 객체(100)가 활성화되어, 결제 금액만큼 사용 가능한 선불형 기프트 카드로 제공될 수 있다.
객체(100)에는 복수의 식별정보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판매를 위한 식별정보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식별정보 등이 각각 객체(100)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객체(100)에 표시된 식별정보는 바코드, 이차원 코드, QR코드, PIN 번호,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판매처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객체(100)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통해 객체(100)를 인식할 수 있다.
판매처 단말(200)은 객체(100)를 판매하는 판매처에 설치된 단말로, 사용자가 판매처에서 객체(100)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면, 구매 요청된 객체(100)를 인식하여, 인식된 객체(100)에 대한 판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처 단말(200)은 객체(100)에 대한 구매가 요청되면, 객체(100)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스캔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식별정보를 통해 객체(100)에 대한 판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판매처 단말(200)은 객체(100)의 판매 처리 시, 객체(100)에서 인식된 식별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하여, 판매 처리된 객체(100)에 대한 활성화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에는 객체(100)를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운영하는 업체 또는 객체(100)를 제작한 제휴사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객체(100)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앱스토어를 통해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운영하는 업체 또는 객체(100)를 제작한 제휴사에서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앱스토어에 등록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앱스토어에 등록된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메모리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지만,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 없이도, 사용자 단말(300) 자체적으로 모든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최초 실행 시, 사용자 인증 절차를 통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회원 등록이 완료되면, 객체(100)와 관련된 다양한 메뉴가 포함되어 있는 홈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객체 등록 메뉴가 선택되면, 객체(100)에 표시된 식별정보 중 코드 형태로 표시된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카메라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카메라 장치를 통해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제1 식별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객체(100)에 표시된 식별정보 중 번호 형태로 표시된 제2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제2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2 식별정보의 전부를 입력할 수도 있으나, 위와 같이 제2 식별정보의 일부를 입력함으로써 제3자가 제2식별정보를 무작위로 입력하여 해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된 정보를 참조한 결과,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활성화된 식별정보가 제2 식별정보와 대응되면, 사용자 단말(300)은 결제용 식별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결제용 식별정보를 제휴사 단말(500)에 인식시켜, 제휴사로부터 오프라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용 식별정보는 바코드, 이차원 코드, PIN 번호, QR코드,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휴사에서는 결제용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공항 라운지 서비스 등 다양한 오프라인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100)에 코드 형태로 표시된 제1 식별정보와 번호 형태로 표시된 제2 식별정보는 각각 표시되어 제작될 수 있는데, 이 때,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객체(100)를 제작하는 제휴사가 운영하는 서버로부터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 및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에 매핑되어 저장된 제1 식별정보와 제2 식별정보를 제휴사가 운영하는 서버로 전송하여, 전송된 제1 식별정보 및 제2 식별정보를 통해 객체(100)가 제작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제휴사가 운영하는 서버로부터 객체(100)의 제작 완료로 인해 사용 가능한 객체(100)의 제1 식별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객체(100)에 대한 판매가 처리되면, 판매처 단말(200)로부터 제1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제1 식별정보를 기초로, 제1 식별정보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여, 획득된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객체(100)의 판매로 인해 객체(100)가 사용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객체(100)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객체(100)에 표시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2 식별정보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에서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객체(100)에 표시된 제2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된 식별정보 리스트와 비교하여, 제2 식별정보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제2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식별정보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300)로 결제용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된 결제용 식별정보는 제휴사 단말(500)에 인식되어, 오프라인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휴사 단말(500)은 객체(100)를 제작하여 배포하는 제휴사의 가맹점에 설치된 단말로,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객체(100)의 판매 금액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휴사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된 결제용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결제용 식별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결제용 식별정보에 대한 확인 결과를 수신하면, 결제용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객체(100)는 제1 식별정보부(110) 및 제2 식별정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객체(100)의 표면의 일 영역에는 제1 식별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객체(100)의 표면의 다른 영역에는 제2 식별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제1 식별정보 및 제2 식별정보는 바코드, 이차원 코드, QR코드, PIN 번호,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객체(100)의 표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드 형태의 제1 식별정보가 객체(100)의 표면의 일 영역에 표시되고, 번호 형태의 제2 식별정보가 객체(100)의 표면의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식별정보부(110)는 객체(100)의 판매 시 판매처 단말(200)에 의해 인식되는 제1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식별정보부(120)는 판매처 단말(200)에 의해 제1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2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이후,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제2 식별정보가 인식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제2 식별정보가 전송되면, 객체(100)의 소지자가 인증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단말(300)로 결제용 식별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된 결제용 식별정보를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 및 제2 식별정보는 매핑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를 제2 식별정보로, 객체(100)에 표시된 제2 식별정보를 제3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칭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객체(100)는 카드, 스티커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프트 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객체(100)의 일면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휴사와 관련된 문자, 이미지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객체(100)의 다른면에는 제1 식별정보(101) 및 제3 식별정보(102)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식별정보(101) 및 제3 식별정보(102)는 객체(100)의 동일한 면에 표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식별정보(101) 및 제3 식별정보(102)가 객체(100)의 서로 다른 면, 예를 들어, 제1 식별정보(101)는 객체(100)의 앞면에, 제3 식별정보(102)는 객체(100)의 뒷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제1 식별정보(101)는 객체(100)의 판매 시 판매처 단말(200)에 의해 인식될 수 있으며, 제3 식별정보(102)는 결제용 식별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객체(100)가 제작되어 판매처에 배포될 때, 제1 식별정보(101)는 노출된 상태로 표시되고, 제3 식별정보(102)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3 식별정보(102)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 후 스크래치를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확인된 후,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식별정보 인식부(310), 통신부(320) 및 디스플레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가 판매처 단말(200)에 의해 인식되고, 제1 식별정보(101)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의해 활성화되어, 객체(100)의 판매가 처리된 상태에서, 식별정보 인식부(310)는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에서 카메라 장치를 구동하여 객체(100)의 일부를 촬영하면, 식별정보 인식부(31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제1 식별정보(101)를 인식할 수 있다.
식별정보 인식부(310)는 인식된 제1 식별정보(101)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하여, 제1 식별정보(101)와 함께 객체(100)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102)의 일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통해 제3 식별정보(102)의 일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330)는 제3 식별정보(102)의 일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하여, 제3 식별정보(102)의 일부가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제3 식별정보(102)의 일부에 대한 입력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된 정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와 제3 식별정보(102)가 대응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결제용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결제용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하여,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용 식별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3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결제용 식별정보(301)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표시하여, 결제용 식별정보(301)의 인식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식별정보 관리부(410), 결제용 식별정보 전송부(420) 및 혜택 서비스 제공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객체(100)에 제1 식별정보(101) 및 제3 식별정보(102)가 표시되어 제작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객체(100)를 제작한 제휴사가 운영하는 서버로부터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 및 제3 식별정보(102)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3 식별정보(102)와 대응되는 제2 식별정보를 제1 식별정보(101)와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는 노출된 상태로 판매처에서 판매될 수 있으며, 객체(100)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102)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 후 스크래치를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확인될 수 있다.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의 인식을 통해 객체(100)에 대한 판매가 처리되면, 판매처 단말(200)로부터 객체(100)에 대한 판매 처리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100)에 대한 판매 처리 요청에는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가 포함될 수 있다.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객체(100)에 대한 판매 처리 요청에 포함된 제1 식별정보(101)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식별정보(101)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객체(100)에 대한 판매 처리 요청에 따라 제1 식별정보(101)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판매처 단말(200)에서 객체(100)가 판매 처리되면, 판매된 객체(100)가 사용될 수 있도록,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 처리할 수 있다.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제1 식별정보(101)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객체(100)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102)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여,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제3 식별정보(102)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에서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를 인식하고, 객체(100)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102)가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되면,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3 식별정보(102)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3 식별정보(102)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제3 식별정보(102)와 대응되는 제2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제2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제3 식별정보(102)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객체(100)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102)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되는데, 객체(100)를 구매한 소지자를 인증하기 위해,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사용자 단말(300)로 제3 식별정보(102)에 대한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제3 식별정보(102)가 정상적으로 입력된 것이 확인되면, 객체(100)가 판매 처리로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3 식별정보(102)와 대응되는 제2 식별정보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객체(100)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102)의 일부를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으며, 입력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참조하여,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제3 식별정보(102)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가 사용자 단말(300)에 인식되면,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제1 식별정보(101)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여, 제2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제3 식별정보(102)의 일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100)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102)는 "12345678"로 8자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제3 식별정보(102)의 번호 중 2번째 및 3번째 자리에 해당하는 "34"에 대한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3 식별정보(102)의 번호 중 5번째 및 6번째 자리에 해당하는 "56"을 제외한 나머지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제3 식별정보(102)의 번호 중 일부분의 번호 입력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되는 번호를 확인하여, 제3 식별정보(102)와 대응되는 제2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식별정보의 활성화 상태를 통해 제2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제3 식별정보(102)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제3 식별정보(102)의 전체 번호를 확인하여, 제3 식별정보(102)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식별정보(102)의 일부 번호만을 확인하여, 제3 식별정보(102)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제3 식별정보(102)의 일부 번호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300) 또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단말(300) 각각에 대한 입력 요청시마다, 제3 식별정보(102)에서 입력이 요청되는 일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에 처음으로 제3 식별정보(102)의 번호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경우,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제3 식별정보(102)의 번호 중 1번째 및 2번째 자리에 해당하는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두번째로 제3 식별정보(102)의 번호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경우,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제3 식별정보(102)의 번호 중 3번째 및 4번째 자리에 해당하는 번호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사용자 단말(300)에 제1 식별정보(101)가 인식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에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3 식별정보(102)가 수신되면,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제3 식별정보(102)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가 사용자 단말(300)에 인식되면,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제1 식별정보(101)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할 수 있는데, 이 때, 제1 식별정보(101)가 사용자 단말(300)에 인식된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제1 식별정보(101)가 사용자 단말(300)에 인식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에 제3 식별정보(102)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기간 이내에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3 식별정보(102)를 수신하면,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제3 식별정보(102)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에 제1 식별정보(101)가 인식되면,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30초 이내에 제3 식별정보(102)의 입력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30초 이내에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3 식별정보(102)가 입력되어 수신되면,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식별정보(101)가 사용자 단말(300)에 인식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에 제3 식별정보(102)가 입력되도록, 제3 식별정보(102)에 대한 입력 시간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3 식별정보(102)만을 수신하여, 수신된 제3 식별정보(102)와 제2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객체(100)의 소지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정보 관리부(4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를 더 수신하여, 수신된 제1 식별정보(101)가 제2 식별정보 및 제3 식별정보(102)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함으로써, 객체(100)의 소지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식별정보 관리부(410)에서 제2 식별정보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여,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제3 식별정보(102)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제3 식별정보(102)가 대응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즉, 객체(100)의 소지자가 인증되면, 결제용 식별정보 전송부(420)는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객체(100)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102)가 활성화된 것이 확인되면, 객체(100)가 정상적으로 판매되어 사용 가능하므로, 결제용 식별정보 전송부(420)는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결제용 식별정보(301)의 인식을 통해 제휴사에서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혜택 서비스 제공부(430)는 오프라인 서비스의 이용 횟수를 기초로, 추가 혜택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혜택 서비스 제공부(430)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된 결제용 식별정보(301)의 인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될 때마다, 사용자에게 제공된 오프라인 서비스의 이용 횟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서비스의 이용 횟수가 10회인 경우, 1회 무료로 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추가 혜택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혜택 서비스 제공부(430)는 추가 혜택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 사용자 단말(300)에 새로운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100)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휴사에서는 객체(100)를 제작하여 판매처에 배포할 수 있는데, 객체(100)의 표면의 일 영역에는 제1 식별정보(101)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객체(100)의 표면의 다른 영역에는 제3 식별정보(102)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식별정보(101) 및 제3 식별정보(102)는 객체(100)의 동일한 면에 표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식별정보(101) 및 제3 식별정보(102)가 객체(100)의 서로 다른 면, 예를 들어, 제1 식별정보(101)는 객체(100)의 뒷면에, 제3 식별정보(102)는 객체(100)의 앞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제1 식별정보(101)는 객체(100)의 판매 시 사용될 수 있으며, 제3 식별정보(102)는 객체(100)의 이용 시 사용될 수 있다.
객체(100)의 제작 시, 제1 식별정보(101)는 노출된 상태로 표시되고, 제3 식별정보(102)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3 식별정보(102)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 후 스크래치를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확인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확인된 제3 식별정보(102)는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될 수 있다.
제휴사에서 객체(100)를 제작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제1 식별정보(101) 및 제3 식별정보(102)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3 식별정보(102)와 대응되는 제2 식별정보를 제1 식별정보(101)와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제휴사에서 제작한 객체(100)는 판매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판매처에 배치된 객체(100)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면, ① 식별정보 인식 단계에서, 판매처 단말(200)은 구매 요청된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를 스캔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제1 식별정보(101)를 통해 객체(100)에 대한 판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판매처 단말(200)은 제1 식별정보(101)의 인식을 통해 객체(100)에 대한 판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② 식별정보 전송 단계에서, 판매처 단말(200)은 제1 식별정보(101)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하여, 판매 처리된 객체(100)가 정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제3 식별정보(102)에 대한 활성화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판매처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제1 식별정보(101)를 기초로, 제1 식별정보(101)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할 수 있으며, ③ 식별정보 활성화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객체(100)가 제작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제2 식별정보가 비활성화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데, 객체(100)가 판매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판매된 객체(100)의 제3 식별정보(102)와 대응되는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시켜,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제2 식별정보가 활성화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판매처에서 객체(100)를 구매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회원으로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이름, 이메일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객체(100)와 관련된 다양한 메뉴가 포함되어 있는 홈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메뉴 중 객체 등록 메뉴가 선택되면,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를 인식하기 위해 카메라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④ 식별정보 인식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카메라 장치를 통해 객체(100)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101)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1 식별정보(101)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면, 객체(100)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102)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객체(100)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102)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스크래치를 통해 노출되어 확인된 후,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될 수 있다.
제3 식별정보(102)에 대한 입력 요청 시, 사용자 단말(300)은 제3 식별정보(102)에서 전체 번호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지만, 제3 식별정보(102)에서 일부분의 번호 입력을 요청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면, 30초) 이내에 제3 식별정보(102)가 입력되도록, 제3 식별정보(102)에 대한 입력 시간을 제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에 제3 식별정보(102)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되어, 객체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제3 식별정보(102)가 등록되면, ⑤ 식별정보 전송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300)에 입력된 제3 식별정보(102)의 적어도 일부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⑥ 식별정보 확인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3 식별정보(102)의 적어도 일부를 확인하여, 제3 식별정보(102)와 대응되는 제2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제3 식별정보(102)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제3 식별정보(102)가 대응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⑦ 결제용 식별정보 전송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객체(100)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⑧ 결제용 식별정보 인식 단계에서, 사용자가 객체(100)의 사용을 위해 제휴사의 가맹점을 방문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된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제시하면, 제휴사 단말(500)은 제시된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스캔하여 인식할 수 있다.
제휴사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된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인식하여, 인식된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결제용 식별정보(301)에 대한 확인 결과를 수신하면, ⑨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 단계에서, 객체(100)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100)의 판매 금액이 5만원인 경우, 결제용 식별정보(301)의 인식을 통해, 제휴사에서 5만원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 이후, 제휴사와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운영하는 업체 간에 오프라인 서비스 이용 금액에 대한 정산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100)가 판매되는 시점에 객체(100)의 사용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판매처에서 객체(100)를 관리하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객체(100)를 소지하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300)에 표시된 결제용 식별정보(301)를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객체
101 : 제1 식별정보
102 : 제3 식별정보
110 : 제1 식별정보부
120 : 제2 식별정보부
200 : 판매처 단말
300 : 사용자 단말
301 : 결제용 식별정보
310 : 식별정보 인식부
320 : 통신부
330 : 디스플레이부
400 : 서비스 제공 서버
410 : 식별정보 관리부
420 : 결제용 식별정보 전송부
430 : 혜택 서비스 제공부
500 : 제휴사 단말

Claims (18)

  1.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가 상기 객체의 판매 시점에 인식되면, 상기 제1 식별정보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시키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확인하도록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 및 제3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함으로써 상기 객체의 소지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용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되는 제3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자리 위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입력 요청시마다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일부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식별정보가 인식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상기 제3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의 이용 횟수를 기초로, 추가 혜택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는,
    오프라인 서비스의 이용 횟수를 기초로 추가 혜택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오프라인 서비스 이용 횟수 확인을 통해 추가 혜택 서비스 제공 시 새로운 결제용 식별정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 후 스크래치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8. 삭제
  9.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가 상기 객체의 판매 시점에 인식되면, 상기 제1 식별정보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시키도록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확인하도록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제3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함으로써 상기 객체의 소지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식별정보 관리부; 및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용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결제용 식별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되는 제3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자리 위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입력 요청시마다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일부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관리부는,
    상기 제1 식별정보가 인식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에 상기 제3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의 이용 횟수를 기초로, 추가 혜택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혜택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는,
    오프라인 서비스의 이용 횟수를 기초로 추가 혜택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오프라인 서비스 이용 횟수 확인을 통해 추가 혜택 서비스 제공 시 새로운 결제용 식별정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 후 스크래치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6. 삭제
  17.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객체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표면의 일 영역에 표시되어 상기 객체의 판매 시 외부 장치에 의해 인식되거나, 상기 객체의 소지자에 대한 인증 수행 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식되고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제1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식별정보부 및
    상기 객체의 표면의 다른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2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식별정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제1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객체의 소지자가 인증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결제용 식별정보가 제공되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식별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 여부가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자리 위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입력 요청시마다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객체.
  18.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1 식별정보가 상기 객체의 판매 시점에 외부 장치에 의해 인식되고, 상기 제1 식별정보와 매핑된 제2 식별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객체의 판매가 처리되면, 상기 객체에 표시된 제3 식별정보의 일부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 인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된 정보를 통해 상기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제3 식별정보가 대응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결제용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결제용 식별정보의 인식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는 상기 제3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객체의 소지자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1 식별정보인 것으로 하고,
    상기 입력을 요청하는 제3 식별정보의 일부에 대한 자리 위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한 입력 요청시마다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80011946A 2018-01-31 2018-01-31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 KR102006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46A KR102006353B1 (ko) 2018-01-31 2018-01-31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46A KR102006353B1 (ko) 2018-01-31 2018-01-31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353B1 true KR102006353B1 (ko) 2019-08-01

Family

ID=6761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946A KR102006353B1 (ko) 2018-01-31 2018-01-31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3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336A (ko) * 2007-11-26 2009-05-29 주식회사 아이앤플레이 선불카드의 실시간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227094B1 (ko) * 2012-05-23 2013-01-29 (주)해피닷컴 선불전자결제수단 활성화 처리 시스템
KR20140047181A (ko) * 2012-09-10 2014-04-22 전맥 시각 코드 쿠폰 생성 장치, 모바일 장치, 시각 코드를 이용한 고객 관리 서버 및 방법
KR20170089174A (ko) * 2016-01-26 2017-08-03 (주) 애니모비 오프라인 매장에서 이루어지는 구매자 모바일과판매자 모바일 사이의 신용카드 결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336A (ko) * 2007-11-26 2009-05-29 주식회사 아이앤플레이 선불카드의 실시간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227094B1 (ko) * 2012-05-23 2013-01-29 (주)해피닷컴 선불전자결제수단 활성화 처리 시스템
KR20140047181A (ko) * 2012-09-10 2014-04-22 전맥 시각 코드 쿠폰 생성 장치, 모바일 장치, 시각 코드를 이용한 고객 관리 서버 및 방법
KR20170089174A (ko) * 2016-01-26 2017-08-03 (주) 애니모비 오프라인 매장에서 이루어지는 구매자 모바일과판매자 모바일 사이의 신용카드 결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45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ayment via mobile networks
US11412344B2 (en) Merchant item and service return processing using wireless beacons
US10515353B2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system
US20160005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ordering and payment
KR101517515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21920A1 (en) In-store card activation
US20180197176A1 (en) In-store mobile payment
CN110084580A (zh) 移动电话支付处理方法和系统
KR10157021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문방법
JP2004287593A (ja) 通信システム、決済管理装置および方法、携帯情報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30000072A (ko) Nfc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027925A (zh) 一种使用二维码的无卡支付方法及其系统
US119669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ynchronous mobile payments for multiple in-person transactions conducted in parallel
KR20140099814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6615980B2 (ja) 決済処理システムおよび決済処理方法
KR20170139332A (ko)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31609B1 (ko)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JP6845960B1 (ja) 決済処理方法及び決済処理装置
KR20170102160A (ko) 애플리케이션 연동을 이용한 매장 주문 방법
KR102006353B1 (ko) 객체를 이용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서비스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 및 객체
KR101152164B1 (ko) 모바일 상품권 즉시 발행 시스템 및 방법
WO2015005861A1 (en) Ordering and payment method and system
JP2015060425A (ja) 端末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15334A (ko) 신용카드사 직접 연동 결제 방법 및 장치
JP6353667B2 (ja) 携帯端末機用決済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