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076B1 -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076B1
KR102006076B1 KR1020170159773A KR20170159773A KR102006076B1 KR 102006076 B1 KR102006076 B1 KR 102006076B1 KR 1020170159773 A KR1020170159773 A KR 1020170159773A KR 20170159773 A KR20170159773 A KR 20170159773A KR 102006076 B1 KR102006076 B1 KR 10200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shaft
floor
shaf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405A (ko
Inventor
곽범용
Original Assignee
곽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범용 filed Critical 곽범용
Priority to KR1020170159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0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는 지지 대상체와 스큐류 결합되는 지지축와, 지지축을 지탱하는 바닥지지대 및, 지지축와 바닥지지대가 상호 결합된 로킹상태와 상호 분리된 언로킹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착탈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LEVELER CAPABLE OF EASILY SETTING}
본 발명은 테이블, 의자, 카트 등과 같은 구조물을 바닥에 세워서 지탱해주는 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좌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테이블이나 의자 또는 카트 등과 같은 구조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본체(20)를 바닥에 대해 세워서 지탱해주는 다리, 즉 조절좌(10)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절좌(10)는 사용자의 신체나 사용 환경 등에 맞춰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조절좌(10)는 본체(20)의 결합리브(21)에 스크류 체결되는 지지축(11)와, 이 지지축(11)를 회전가능하게 받쳐주는 바닥지지대(12) 및, 지지축(11)에 결합된 너트(13)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설치시 및 높이 조절시에 사용자는 너트(13)를 돌려서 지지축(11)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축(11)는 결합리브(21)와의 스크류 결합이 조여지거나 풀어지면서 지지 높이가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설치시에 상대적으로 굵기가 얇은 지지축(11)를 직접 돌려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매우 불편하고 힘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즉, 직경이 작은 지지축(11)을 직접 돌리거나 너트(13)를 돌려야 하기 때문에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회전 조작 자체가 매우 힘들고 번거롭다.
그렇다고 해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바닥지지대(12)를 지지축(11)와 일체로 결합시켜서 바닥지지대(12)를 돌리게 되면, 회전 조작은 수월해지지만 바닥지지대(12)와 닿아있는 바닥면에 스크래치가 심하게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절좌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설치를 위한 회전 조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바닥 스크래치와 같은 문제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조절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는, 지지 대상체와 스큐류 결합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지탱하는 바닥지지대; 및 상기 지지축와 상기 바닥지지대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호 결합된 로킹상태와, 상기 지지축이 상기 바닥지지대와 별개로 회전하도록 상호 분리된 언로킹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착탈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바닥지지대에 마련된 결합홈에 형합되는 돌기부를 가진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지지축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바닥지지대의 결합홈에 형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축와 상기 바닥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바닥지지대 사이에 와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지지대에 임계 하중 이상이 걸리면 상기 언로킹상태가 되고, 상기 바닥지지대에 임계 하중 미만이 걸리면 상기 로킹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는, 설치를 위한 회전 조작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작 중 바닥 스크래치 발생과 같은 부수적 문제도 적절히 방지할 수 있어서, 조작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보장해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가 구비된 테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절좌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조절좌에 임계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조절좌에 임계 하중이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절좌가 캐스터에 적용된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조절좌(100)가 지지 대상체인 테이블(20)을 지지해주고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조절좌(100)는 테이블(20)의 결합리브(21)에 스크류 체결되는 지지축(110)와, 이 지지축(110)를 회전가능하게 받쳐주는 바닥지지대(120) 및, 지지축(110)에 결합된 한 쌍의 너트(131)(13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거나 설치시에, 지지축(110)를 회전시키면 결합리브(21)와의 스크류 결합이 조여지거나 풀어지면서 지지 높이가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지지축(110)를 회전시킬 때, 본 구조에서는 직경이 가는 지지축(110)를 직접 돌리는 대신에 직경이 굵은 바닥지지대(120)를 돌려서 지지축(110)가 함께 돌아가게 할 수 있다.
즉, 가는 지지축(110) 대신에 큼직한 바닥지지대(120)를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어서 회전 조작이 수월하다.
그리고, 바닥지지대(120)가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바닥지지대(120)가 돌아가면 그 바닥면에 스크래치가 심하게 날 수 있기 때문에, 그때에는 또 지지축(110)만 돌아가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높이 조절 가능한 조절좌(100)는 지지축(110)와 바닥지지대(120)가 일체로 함께 돌아가는 로킹상태나, 서로 분리돼서 따로따로 돌아가는 언로킹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해주는 착탈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착탈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로서 지지축(110)의 몰입홈(110a)에 설치되는 판스프링(140)과, 상기 바닥지지대(120)에 형성된 결합홈(121)에 형합되는 돌기부(161)를 가진 고정부재(160) 및, 상기 고정부재(160)를 상기 지지축(110)에 체결하는 체결부재(17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150은 판스프링(140)이 직접 바닥지지대(120)에 닿아서 손상되지 않도록 개재시킨 와셔를 나타낸다.
따라서, 체결부재(170)가 체결되면 고정부재(160)와 지지축(110)는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돌기부(161)는 상황에 따라 상기 결합홈(121)에 끼워져 형합되거나 또는 결합홈(121)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 돌기부(161)가 결함홈(121)에 끼워진 상태가 바로 지지축(110)와 바닥지지대(120)가 일체로 함께 돌아가는 로킹상태이고, 빠져 나온 상태가 서로 분리돼서 따로따로 돌아가는 언로킹상태에 해당된다.
도 4a 및 도 4b는 이러한 로킹상태와 언로킹상태를 각각 묘사한 것이다. 여기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너트(131)(132)를 생략하였다.
먼저, 로킹상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지지대(120)에 임계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서, 바닥지지대(120)이 바닥면에 닿지 않고 들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판스프링(140)이 지지축(110)를 바닥지지대(120)에 대해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축(110)에 체결부재(170)로 체결되어 있는 고정부재(160)도 상방으로 딸려 올라가게 되어 상기 돌기부(161)가 결합홈(121)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바닥지지대(120)를 돌리면, 상기 돌기부(161)와 결합홈(121)이 형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160)가 같이 돌아가게 되고, 고정부재(160)와 체결부재(170)로 결합된 지지축(110)도 함께 돌아가는 것이다. 그러니까 바닥지지대(120)를 바닥면에서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바닥지지대(120)를 돌려서 지지축(110)를 돌아가게 할 수 있어서 신속한 회전 조작이 가능해지므로, 초기에 빠르게 높이를 세팅할 때 이러한 로킹상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와 같은 언로킹상태는, 바닥지지대(120)가 바닥면이 놓인 상태 즉, 테이블(20)의 하중이 그대로 바닥지지대(120)에 걸리는 상황이다. 이렇게 임계 하중 이상이 걸리면 도면과 같이 지지축(110)가 판스프링(140)을 탄력적으로 누르면서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면, 지지축(110)와 체결부재(170)로 결합된 고정부재(160)도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160)의 돌기부(161)는 바닥지지대(120)의 결합홈(12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렇게 되면, 바닥지지대(120)를 돌려도 지지축(110)는 돌아가지 않게 되고, 반대로 지지축(110)를 돌려도 바닥지지대(120)는 돌아가지 않게 된다. 즉, 서로 분리되어 따로 돌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높이를 조정하려면 상기한 너트(131)(132)를 공구로 잡고 돌려서 지지축(110)만 회전시키면 된다. 이때 바닥지지대(120)는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바닥면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생길 위험은 사라지게 된다.
정리하면, 초기에 조절좌(100)의 높이를 신속하게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테이블(20)을 살짝 들어서 바닥지지대(120)가 바닥면에서 조금 들리게 한 다음 바닥지지대(120)를 돌려서 빠르게 조절하면 되고, 이후 바닥지지대(120)가 바닥면에 닿게 내려놓은 상태에서는 지지축(110)만 돌려서 미세한 높이를 조정하면 된다.
결과적으로 높이 조절을 위한 회전 조작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작 중 바닥 스크래치 발생과 같은 부수적 문제도 적절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100)를 테이블(20) 지지에 적용한 것을 예시하였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200)가 달린 지지 대상체를 지지하는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적용 대상은 테이블(20)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절좌 110: 지지축
120: 바닥지지대 131,132: 너트
140: 판스프링 150: 와셔
160: 고정부재 170: 체결부재

Claims (5)

  1. 지지 대상체와 스큐류 결합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지탱하는 바닥지지대; 및
    상기 지지축과 상기 바닥지지대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호 결합된 로킹상태와, 상기 지지축이 상기 바닥지지대와 별개로 회전하도록 상호 분리된 언로킹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착탈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바닥지지대에 마련된 결합홈에 형합되는 돌기부를 가진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지지축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돌기부가 상기 바닥지지대의 결합홈에 형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축와 상기 바닥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과 상기 바닥지지대 사이에 와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5. 지지 대상체와 스큐류 결합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을 지탱하는 바닥지지대; 및
    상기 지지축과 상기 바닥지지대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호 결합된 로킹상태와, 상기 지지축이 상기 바닥지지대와 별개로 회전하도록 상호 분리된 언로킹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착탈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지지대에 임계 하중 이상이 걸리면 상기 언로킹상태가 되고,
    상기 바닥지지대에 임계 하중 미만이 걸리면 상기 로킹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KR1020170159773A 2017-11-28 2017-11-28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KR10200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773A KR102006076B1 (ko) 2017-11-28 2017-11-28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773A KR102006076B1 (ko) 2017-11-28 2017-11-28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05A KR20190061405A (ko) 2019-06-05
KR102006076B1 true KR102006076B1 (ko) 2019-07-31

Family

ID=6684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773A KR102006076B1 (ko) 2017-11-28 2017-11-28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0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95B1 (ko) * 2006-01-17 2006-06-08 주식회사 명보교구상사 가구다리받침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984Y1 (ko) * 1991-09-04 1994-04-01 최원귀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KR940003389B1 (ko) * 1992-01-28 1994-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주파수특성 개선회로
KR101296087B1 (ko) * 2006-08-14 2013-08-14 신형운 이동체 설치용 회전바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95B1 (ko) * 2006-01-17 2006-06-08 주식회사 명보교구상사 가구다리받침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05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090A (en) Supporting assembly for articles
US5882076A (en) Lock for rotatable boat seat
US5832840A (en) Tilt adjustable mouse surface mounting bracket
KR101704526B1 (ko) 내진용 조절발
US9717326B2 (en) Pedestal apparatus
US8740166B2 (en) Keyboard and mouse support
AU2010308637B2 (en) Computer table for a furniture
US6581528B2 (en) Table with telescopic leg unit
US10441072B2 (en) Mobile structure for working with computer equipment couplable to slanting chairs
KR102006076B1 (ko)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US20120048153A1 (en) Table with stabiliser
CN110093753B (zh) 家用电器及其底脚组件
GB2323276A (en) Height adjustment of appliances
US5913498A (en) Adjustable cantilever foot assembly for furniture
WO2018147035A1 (ja) 斜度調整ユニットおよび家具
US5517354A (en) Adjustable microscope base
JPH0545918Y2 (ko)
JP5068470B2 (ja) 家具の高さ調整装置
KR100432245B1 (ko) 컴퓨터용 테이블의 보조 기기 설치용 받침판 체결장치
US10441079B2 (en) Height adjustable stanchion
KR200172138Y1 (ko) 이동식 테이블
JP4673606B2 (ja) クランプ装置
JP2008272129A (ja) 幼児用流しユニット
JP2009115421A (ja) 冷蔵庫
JPH0569096U (ja) 家具用ジャ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