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056B1 - Location-based Virtual Sensor Creation and Sensor Information Delivery Method - Google Patents

Location-based Virtual Sensor Creation and Sensor Information Delivery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056B1
KR102006056B1 KR1020160173572A KR20160173572A KR102006056B1 KR 102006056 B1 KR102006056 B1 KR 102006056B1 KR 1020160173572 A KR1020160173572 A KR 1020160173572A KR 20160173572 A KR20160173572 A KR 20160173572A KR 102006056 B1 KR102006056 B1 KR 10200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irtual sensor
sensors
virtual
ac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5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0953A (en
Inventor
송민환
이상신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73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056B1/en
Publication of KR2018007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9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0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8
    • H04L67/2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위치기반 가상센서 생성 및 센서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은, 특정 구역에 위치한 실제 센서들을 파악하고, 파악된 실제 센서들 중 적어도 2개를 선정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상 센서의 센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다수의 실제 센서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상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제공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당 위치에 적정한 센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 location-based virtual sensor generation and a senso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re provided. A virtual sensor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quiring real sensors located in a specific zone, selecting at least two of the sensed real sensors to generate a virtual sensor, and providing sensor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virtual sensor do. Accordingly, a plurality of actual sensors are used in combination to create a virtual sensor, and sensor information is provided using the generated virtual sensor, so that appropriate senso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easily and quickly.

Description

위치기반 가상센서 생성 및 센서정보 제공방법{Location-based Virtual Sensor Creation and Sensor Information Delivery Metho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virtual sensor creation method and a sensor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본 발명은 IoT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IoT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oT related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oT system for providing sensor information.

IoT 서비스를 위해 기초가 되는 정보 중 하나가 센서를 통해 생성되어 제공되는 센서 정보이다. 아주 다양한 종류의 센서 정보가 있는데, 특히 많이 이용되는 것이 기상과 관련한 센서 정보이다. 이를 테면, 온도, 습도, 조도, 풍황 등에 대한 정보 등이 이에 해당한다.One of the underlying information for the IoT service is the sensor information generated and provided through the sensor. There are a wide variety of sensor information, especially sens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weather. For example, information on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precipitation.

이와 같은 센서 정보는 실제 설치된 센서를 통해 획득하고 있는데, 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해당 위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센서 또는 해당 위치가 소속된 행정 구역(이를 테면, 경기도 성남시)의 관측소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고 있다.Such a sensor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a sensor installed in the sensor. In a position where the sensor is not installed, a sensor located nearest to the sensor or a sensor installed in an observation area of the administrative area (for example, Seongnam, Gyeonggi) .

하지만,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던, 거리 차이로 인해 해당 위치에 맞는 정확한 센서 정보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However, regardless of the method, it is impossible to obtain accurate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dist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실제 센서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상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by using a plurality of actual sensors in combination and providing sensor information using the generated virtual sensor,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은, 특정 구역에 위치한 실제 센서들을 파악하는 단계; 파악된 실제 센서들 중 적어도 2개를 선정하는 단계; 선정한 실제 센서들을 이용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가상 센서의 센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comprising: sensing real sensors located in a specific zone; Selecting at least two of the sensed real sensors; Generating a virtual sensor using the selected real sensors; And providing sensor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virtual sensor.

그리고, 선정한 실제 센서들은, 이동하는 실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actual sensors selected may include the actual moving sensors.

또한, 파악 단계는, 특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센서를 더 파악하고, 선정 단계는, 파악된 가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선정하며, 생성 단계는, 선정한 가상 센서를 더 이용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할 수 있다.Further, in the grasping step, at least one virtual sensor located in a specific zone is further grasped, and the selecting step further selects at least one of the grasped virtual sensors, and in the generating step, Can be generated.

그리고, 생성 단계는, 선정한 실제 센서들과 가상 센서 간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generating step, a virtual sensor can be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ed actual sensors and the virtual sensor.

또한, 생성한 가상 센서의 센서 정보는, 선정한 실제 센서들과 가상 센서 간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virtual sensor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ed real sensors and the virtual sensor.

그리고, 가상 센서의 위치는 가변적일 수 있다.And,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ensor may be variable.

또한, 가상 센서를 이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가 가변적일 수 있다.Also, the location of the user device using the virtual sensor may be variable.

그리고, 제공 단계는, 가상 센서를 특정하기 위한 ID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포함한 조회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가상 센서의 센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viding step may provide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virtual sensor when the inquiry request including the ID for specifying the virtual senso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device is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또한, 선정한 실제 센서들 중 일부를 다른 실제 센서로 교체하는 단계; 교체된 다른 실제 센서를 반영하여, 가상 센서의 내용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placing some of the selected real sensors with another real sensor; And modifying the content of the virtual sensor to reflect the replaced actual senso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실제 센서들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특정 구역에 위치한 실제 센서들을 파악하고, 파악된 실제 센서들 중 적어도 2개를 선정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상 센서의 센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ctual sensors;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for acquiring real sensors located in a specific area, selecting at least two of the real sensors to generate a virtual sensor, and providing sensor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virtual senso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은, 특정 구역에 위치한 실제 센서들을 파악하는 단계; 파악된 실제 센서들 중 적어도 2개를 선정하는 단계; 선정한 실제 센서들을 이용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comprising: identifying actual sensors located in a specific zone; Selecting at least two of the sensed real sensors; And generating a virtual sensor using the selected real sensor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실제 센서들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특정 구역에 위치한 실제 센서들을 파악하고, 파악된 실제 센서들 중 적어도 2개를 선정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ctual sensors;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for acquiring real sensors located in a specific area and selecting at least two of the real sensors to generate a virtual senso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수의 실제 센서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상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정보를 제공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당 위치에 적정한 센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sensor is created by using a plurality of actual sensors in a complex manner, sensor information is provided using the generated virtual sensor, Sensor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가상 센서를 구성하는 실제 센서의 교체 상황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IoT 서버의 블럭도, 그리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의 블럭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provided for explaining a replacement situation of an actual sensor constituting a virtual sensor,
8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sensor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the IOT server shown in FIG. 8,
10 is a block diagram of the user device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역에 위치한 사용 가능한 실제 센서들(10-1, 10-2, 10-3, 10-4)을 조회하여 파악하고, 파악된 실제 센서들(10-1, 10-2, 10-3, 10-4)로 가상 센서(20-1)를 생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virtual sensor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quires the usable real sensors 10-1, 10-2, 10-3, and 10-4 located in a specific zone And generates a virtual sensor 20-1 with the real sensors 10-1, 10-2, 10-3, and 10-4 identified.

생성된 가상 센서(20-1)는 IoT 서버(미도시)에 등록되어, 가상 센서(20-1)를 생성한 사용자는 물론 그 밖의 다른 사용자도 가상 센서(20-1)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generated virtual sensor 20-1 is registered in the IoT server (not shown),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virtual sensor 20-1 as well as the user who created the virtual sensor 20-1 .

IoT 서버에 등록되는 가상 센서(20-1)의 정보에는, 가상 센서 ID, 가상 센서 명칭, 가상 센서 설명(description), 실제 센서 리스트, 가상 센서 함수 등이 포함된다.The information of the virtual sensor 20-1 registered in the IoT server includes a virtual sensor ID, a virtual sensor name, a virtual sensor description, an actual sensor list, and a virtual sensor function.

가상 센서 설명에는 가상 센서의 가상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실제 센서 리스트는, 가상 센서(20-1)를 생성하는데 이용한 실제 센서들(10-1, 10-2, 10-3, 10-4)에 대한 ID들의 나열이다. 가상 센서 함수는 실제 센서들(10-1, 10-2, 10-3, 10-4)의 센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가상 센서(20-1)의 센서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식이다.The virtual sensor descrip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virtual position of the virtual sensor. The actual sensor list is a list of IDs for the actual sensors 10-1, 10-2, 10-3, and 10-4 used to create the virtual sensor 20-1. The virtual sensor function is a calculation formula for calculating sensor information of the virtual sensor 20-1 using sensor information of the actual sensors 10-1, 10-2, 10-3, and 10-4.

실제 센서(10-1), 실제 센서(10-2), 실제 센서(10-3), 실제 센서(10-4)의 센서 정보를 각각 PS1, PS2, PS3, PS4로 상정하고, 가상 센서(20-1)의 센서 정보를 VS로 상정할 때, 가상 센서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Assume that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actual sensor 10-1, the actual sensor 10-2, the actual sensor 10-3 and the actual sensor 10-4 are PS1, PS2, PS3 and PS4, respectively, 20-1) is assumed to be VS, the virtual sensor function can be defined as follows.

VS = Median(PS1, PS2, PS3, PS4)VS = Median (PS1, PS2, PS3, PS4)

VS = Mean(PS1, PS2, PS3, PS4)VS = Mean (PS1, PS2, PS3, PS4)

위에서 예시한 가상 센서 함수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Gradient, Step는 물론 그 밖의 다른 함수를 이용하여 가상 센서 함수를 정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virtual sensor functions illustrated above are exemplary only. It is of course possible to define a virtual sensor function using Gradient, Step and other functions.

VS = Mean(w1*PS1, w2*PS2, w3*PS3, w4*PS4)VS = Mean (w1 * PS1, w2 * PS2, w3 * PS3, w4 * PS4)

나아가, 가상 센서 함수의 입력이 되는 PS1, PS2, PS3, PS4에는 위와 같이, 가중치들이 각각 부여될 수 있는데, 가중치들은 실제 센서와 가상 센서 간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 이를 테면 가중치들은 실제 센서와 가상 센서 간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eights can be assigned to PS1, PS2, PS3, and PS4, which are inputs to the virtual sensor function. The weights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sensor and the virtual sensor, Can be determine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sensors.

나아가, 도 1에서는 조회를 통해 파악한 실제 센서들(10-1, 10-2, 10-3, 10-4)을 모두 이용하여 가상 센서(20-1)를 생성하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파악된 실제 센서들(10-1, 10-2, 10-3, 10-4) 중 일부만, 이를 테면 실제 센서(10-2)와 실제 센서(10-4) 만을 이용하여 가상 센서(20-1)을 생성할 수도 있다.Further, in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virtual sensor 20-1 is generated by using all the actual sensors 10-1, 10-2, 10-3, and 10-4 that are acquired through the inquiry. Only. Only a part of the detected actual sensors 10-1, 10-2, 10-3 and 10-4, for example, only the actual sensor 10-2 and the actual sensor 10-4, 1).

사용자 디바이스는 RESTful 기반으로 가상 센서(20-1)에 가상 센서 정보를 조회하여, 가상 센서(20-1)로부터 가상 센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가상 센서 정보 조회에는, 가상 센서 ID가 포함된다.The user device may inquire virtual sensor information to the virtual sensor 20-1 based on RESTful and receive virtual sensor information from the virtual sensor 20-1. The virtual sensor information inquiry includes a virtual sensor I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성한 가상 센서(20-2)는 이동하는 실제 센서(10-5)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sensor 20-2 gene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it includes a moving real sensor 10-5.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성한 가상 센서(20-3)는 가상 센서(20-4)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sensor 20-3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at it includes the virtual sensor 20-4.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성한 가상 센서(20-5)는 이동 가능하다는 점, 가상 센서(20-5)의 위치가 가변적이라는 점에서, 고정된 가상 위치를 상정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virtual sensor 20-5 gene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able, and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ensor 20-5 is variab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엄밀하게는, 가상 센서(20-5)를 활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가 가변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Strictly speaking,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the user device utilizing the virtual sensor 20-5 is variable.

이와 같이, 위치가 가변하는 부가 조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실제 센서(10-5)를 포함하는 가상 센서(20-6)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센서(20-4)를 포함하는 가상 센서(20-7)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5, the virtual sensor 20-6 including the moving real sensor 10-5 and the virtual sensor 20-6, as shown in Fig. 6, -4), as shown in FIG.

단, 위치가 가변하는 가상 센서(20-5, 20-6, 20-7)의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의 가상 센서 정보의 조회에는 가상 센서 ID 외에 가상 센서의 위치, 즉,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RESTful 기반의 조회 요청을 아래에 예시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virtual sensors 20-5, 20-6, and 20-7 in which the positions are variable, in order to inquire the virtual sensor information of the user devic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sensor, that is, Should be include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n which case RESTful based lookup requests are illustrated below.

http://sensor.keti.re.kr/get_sensor_value?id=oo&alt=xx&lat=yy&lon=zzhttp://sensor.keti.re.kr/get_sensor_value?id=oo&alt=xx&lat=yy&lon=zz

한편, 가상 센서를 구성하는 실제 센서들에 대해 추가, 교체, 제거 등이 가능하다. 실제 센서의 추가, 교체, 제거 등이 있는 경우, 이를 반영하여 가상 센서를 재구성한다. 도 7에는 가상 센서(20-5)의 이동에 의해, 실제 센서(10-1)과 실제 센서(10-3)을 실제 센서(10-6)과 실제 센서(10-7)로 교체하는 상황을 상정하였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add, replace and remove the actual sensors constituting the virtual sensor. If there is any addition, replacement or removal of the actual sensor, the virtual sensor is reconfigured accordingly. 7 shows a situation in which the actual sensor 10-1 and the actual sensor 10-3 are replaced with the actual sensor 10-6 and the actual sensor 10-7 by the movement of the virtual sensor 20-5 Respectively.

나아가, 추가, 교체, 제거되는 실제 센서는 고정형 실제 센서 외에 이동형 실제 센서도 포함되고, 실제 센서가 아닌 가상 센서가 추가, 교체, 제거 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actual sensor to be added, replaced, or removed includes a movable real sensor in addition to a fixed real sensor,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when a virtual sensor other than an actual sensor is added, replaced or remov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센서 서비스 시스템은, 센서 네트워크(100), IoT 서버(2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8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sensor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sensor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network 100, an IOT server 200, and a user device 300.

센서 네트워크(100)는 전술한 실제 센서들의 집합이다. IoT 서버(200)는 센서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실제 센서들로부터 센서 정보들을 수집하고,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요청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가상 센서들을 생성/등록한다.The sensor network 100 is a set of the actual sensors described above. The IoT server 200 collects sensor information from real sensors constituting the sensor network 100 and generates / registers virtual sensors automatically or at the request of the user device 300.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센서 정보 조회가 있는 경우, IoT 서버(200)는 해당 센서 정보를 반환하는데, 센서 정보에는 실제 센서 정보와 가상 센서 정보가 포함된다.If there is a sensor information inquiry of the user device 300, the IOT server 200 returns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and the sensor information includes actual sensor information and virtual sensor information.

도 9는, 도 8에 도시된 IoT 서버(200)의 블럭도이다. IoT 서버(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210), 서비스 제공부(220) 및 DB(230)를 포함한다.FIG. 9 is a block diagram of the IOT server 200 shown in FIG. The IoT server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210, a service provider 220, and a DB 230, as shown in FIG.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센서 네트워크(1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와 통신을 위한 수단이다. DB(230)는 실제/가상 센서들에 대한 정보와 실제/가상 센서 정보들이 저장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210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nsor network 100 and the user device 300. The DB 230 stores information on real / virtual sensors and real / virtual sensor information.

서비스 제공부(220)는 가상 센서를 DB(230)에 생성/등록하고,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조회 요청에 따라 실제/가상 센서 정보들을 제공한다.The service providing unit 220 generates / registers the virtual sensor in the DB 230 and provides the real / virtual sens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quiry request of the user device 300.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블럭도이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310), 통신부(320), 프로세서(330) 및 메모리(340)를 포함한다.10 is a block diagram of the user device 300 shown in FIG. The user device 300 includes a touch screen 310, a communication unit 320, a processor 330, and a memory 340 as shown in FIG.

터치 스크린(31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가상 센서 생성 및 센서 정보 조회와 관련한 명령을 입력받고 센서 정보르 표시한다.The touch screen 310 is a user interface means for receiving user commands and displaying information, and receives commands related to virtual sensor generation and sensor information inquiry, and displays sensor information.

통신부(320)는 IoT 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고, 프로세서(330)는 IoT 서버(200)와 연동하여 가상 센서 생성/등록 및 센서 정보 조회/표시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20 is a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IoT server 200. The processor 330 interlocks with the IoT server 200 and performs processes necessary for virtual sensor creation / registration and sensor information inquiry / display.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3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이다.The memory 340 is a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processor 330 to operat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computer-readable code form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any data storage device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can store data. 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isk, a hard disk driv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code or program stored in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nnected between the computer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실제 센서
20-1, 20-2, 20-3, 20-4, 20-5, 20-6, 20-7 : 가상 센서
100 : 센서 네트워크
200 : IoT 서버
300 : 사용자 디바이스
10-1, 10-2, 10-3, 10-4, 10-5, 10-6, 10-7: actual sensors
20-1, 20-2, 20-3, 20-4, 20-5, 20-6, 20-7: virtual sensors
100: Sensor network
200: IoT server
300: User device

Claims (12)

특정 구역에 위치한 실제 센서들을 파악하는 단계;
파악된 실제 센서들 중 적어도 2개를 선정하는 단계;
선정한 실제 센서들을 이용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가상 센서의 센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가상 센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선정한 실제 센서들 중 일부를 다른 실제 센서로 교체하는 단계;
교체된 다른 실제 센서를 반영하여, 가상 센서의 내용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센서 생성 방법.
Identifying actual sensors located in a particular zone;
Selecting at least two of the sensed real sensors;
Generating a virtual sensor using the selected real sensors;
Providing sensor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virtual sensor;
Replacing some of the selected actual sensors with another real senso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virtual sensor;
And modifying the content of the virtual sensor to reflect the replaced actual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선정한 실제 센서들은,
이동하는 실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센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lected real sensors,
Wherein the virtual sensor includes a moving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파악 단계는,
특정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센서를 더 파악하고,
선정 단계는,
파악된 가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선정하며,
생성 단계는,
선정한 가상 센서를 더 이용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센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holding step,
Further identifying at least one virtual sensor located in a particular zone,
In the selection step,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ed virtual sensors,
In the generating step,
And a virtual sensor is generated by further using the selected virtual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생성 단계는,
선정한 실제 센서들과 가상 센서 간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센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generating step,
Wherein a virtual sensor is generated by consider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ed real sensors and the virtual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생성한 가상 센서의 센서 정보는,
선정한 실제 센서들과 가상 센서 간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센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virtual sensor,
Wherein the virtual sensor is determined based on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ed real sensors and the virtual senso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상 센서를 이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가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센서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of the user device using the virtual sensor is variable.
청구항 7에 있어서,
제공 단계는,
가상 센서를 특정하기 위한 ID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포함한 조회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가상 센서의 센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센서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providing step,
Wherein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virtual sensor is provided when an inquiry request including the ID for specifying the virtual senso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device is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삭제delete 실제 센서들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특정 구역에 위치한 실제 센서들을 파악하고, 파악된 실제 센서들 중 적어도 2개를 선정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상 센서의 센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서비스 제공부는,
가상 센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선정한 실제 센서들 중 일부를 다른 실제 센서로 교체하며, 교체된 다른 실제 센서를 반영하여 가상 센서의 내용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real sensors;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identify actual sensors located in a specific area, select at least two of the detected actual sensors to generate a virtual sensor, and provide sensor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virtual sensor,
The service provider,
Wherein the server is adapted to replace some of the selected physical sensors with another physical sen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irtual sensor and to modify the contents of the virtual sensor to reflect the replaced physical sensor.
특정 구역에 위치한 실제 센서들을 파악하는 단계;
파악된 실제 센서들 중 적어도 2개를 선정하는 단계;
선정한 실제 센서들을 이용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는 단계;
가상 센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선정한 실제 센서들 중 일부를 다른 실제 센서로 교체하는 단계;
교체된 다른 실제 센서를 반영하여, 가상 센서의 내용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센서 생성 방법.
Identifying actual sensors located in a particular zone;
Selecting at least two of the sensed real sensors;
Generating a virtual sensor using the selected real sensors;
Replacing some of the selected actual sensors with another real senso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virtual sensor;
And modifying the content of the virtual sensor to reflect the replaced actual sensor.
실제 센서들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특정 구역에 위치한 실제 센서들을 파악하고, 파악된 실제 센서들 중 적어도 2개를 선정하여 가상 센서를 생성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서비스 제공부는,
가상 센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선정한 실제 센서들 중 일부를 다른 실제 센서로 교체하며, 교체된 다른 실제 센서를 반영하여 가상 센서의 내용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real sensors;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identify actual sensors located in a specific area and select at least two of the detected actual sensors to generate a virtual sensor,
The service provider,
Wherein the server is adapted to replace some of the selected physical sensors with another physical sen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irtual sensor and to modify the contents of the virtual sensor to reflect the replaced physical sensor.
KR1020160173572A 2016-12-19 2016-12-19 Location-based Virtual Sensor Creation and Sensor Information Delivery Method KR1020060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572A KR102006056B1 (en) 2016-12-19 2016-12-19 Location-based Virtual Sensor Creation and Sensor Information Deliver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572A KR102006056B1 (en) 2016-12-19 2016-12-19 Location-based Virtual Sensor Creation and Sensor Information Delivery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953A KR20180070953A (en) 2018-06-27
KR102006056B1 true KR102006056B1 (en) 2019-07-31

Family

ID=6278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572A KR102006056B1 (en) 2016-12-19 2016-12-19 Location-based Virtual Sensor Creation and Sensor Information Delivery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05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284A (en) 2020-02-17 2021-08-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sensing apparatus of structural vibr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114253A (en) 2021-02-08 2022-08-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sensing apparatus of fluid-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745B1 (en) * 2014-05-26 2015-04-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lug and play sensor network system using peer-to-peer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system
KR101621175B1 (en) * 2014-12-10 2016-05-1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sensor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ser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270B1 (en) * 2012-07-09 2018-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sensor in sensor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745B1 (en) * 2014-05-26 2015-04-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lug and play sensor network system using peer-to-peer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system
KR101621175B1 (en) * 2014-12-10 2016-05-1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sensor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service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284A (en) 2020-02-17 2021-08-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sensing apparatus of structural vibr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506639B2 (en) 2020-02-17 2022-11-22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Virtual sensing apparatus of structural vibr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114253A (en) 2021-02-08 2022-08-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Virtual sensing apparatus of fluid-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953A (en)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5619B2 (en) Virtualizing objects using object models and object position data
US9836651B2 (en) Display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designated marker
US20170083647A1 (en) Venue-based real-time crowd modeling and forecasting
US9465816B2 (en) Generating an image of a floor plan
EP2932708B1 (en)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managing enclosed areas
CN105493154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extent of a plane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20200314046A1 (en) Spatial messaging and content shar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CN104685512A (en) Sensor share control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660062B1 (en) Indoor positioning
US111641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te analysis and modeling
US106362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ap
CN107251049A (en) Based on the semantic position for indicating detection mobile device
KR102006056B1 (en) Location-based Virtual Sensor Creation and Sensor Information Delivery Method
EP2212873A1 (en) View-independent tagging of geospatial entities in images
EP3314581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visualizing luminaire fixtures
KR1020231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owdsourcing content based on geofencing
KR20130071755A (en) Service server and terminal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prediction of user's behavior
JP6754574B2 (en) Moving objec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the number of people in the area to be measured
KR1017633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202103965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90394611A1 (en) Mobile device path and user association
EP33927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tracking in a virtual reality system
US20150081659A1 (en) Packaged searching system and method
JP2021505855A (en) Position calibration based on travel path and map objects
JP201910162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