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904B1 - Smartphone protectio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shooting - Google Patents

Smartphone protectio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shoo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904B1
KR102005904B1 KR1020190054946A KR20190054946A KR102005904B1 KR 102005904 B1 KR102005904 B1 KR 102005904B1 KR 1020190054946 A KR1020190054946 A KR 1020190054946A KR 20190054946 A KR20190054946 A KR 20190054946A KR 102005904 B1 KR102005904 B1 KR 10200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mounting
fixing
pair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소영
Original Assignee
민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소영 filed Critical 민소영
Priority to KR102019005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9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904B1/en
Priority to CN202020066666.8U priority patent/CN211406058U/en
Priority to PCT/KR2020/005098 priority patent/WO202023102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protection case having a photographing holding function, which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The smartphone protection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body; a holding member; a first fixing part; a second fixing part; a third fixing part; and a base member.

Description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Smartphone protectio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shoot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protection case having a photographing mount func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감싸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지지면에 대해 밀착되게 세워 미디어컨텐츠를 볼 수 있는 미디어시청용 거치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스마트폰을 지지면에 대해 소정 높이 이격되게 높인 상태로 스마트폰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거치함으로써 스마트폰을 통한 셀프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촬영용 거치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wrapping and protecting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a smartphone by supporting a smart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protection case having a photographing and mounting function that enables self photographing through a smart phone by mounting the smart phon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eleva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smart phone.

최근, 전화 통화기능 뿐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고, 일정관리, 날씨정보제공, sns, 인터넷 등을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미디어콘텐츠의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smart phone that provide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calendar management, weather information, sns, internet, etc., and various media contents playback, 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스마트폰은 낙하 등에 의한 외부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보호케이스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Such a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to prevent damage or scratches on the surface due to an external impact caused by falling or the like.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스마트폰을 끼움 장착하여 스마트폰의 액정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스마트폰의 측면부와 배면부들은 보호케이스에 감싸여져 보호되도록 하고 있다. The smartphone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so that only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remaining smartphone are protected by being enclosed in the protective case.

이러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들에는 스마트폰을 감싸 보호하는 본연의 기능 뿐 아니라, 스마트폰이 장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이 세워지도록 거치시켜 멀티미디어등을 시청할 수 있는 용도의 스마트폰 거치기능이 추가된 형태의 보호케이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These smartphone protection cases include not only the original function of protecting the smartphone, but also a function of mounting the smartphone for the purpose of watching multimedia by mounting the smartphone in the state where the smartphone is mounted Protective cases are being developed.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기능을 갖는 보호케이스에 대해 공개실용신안 20-2016-0003971호, 등록실용신안 20-0469491호, 공개특허 10-2014-0136598호, 등록특허 10-1530212호. 공개특허 10-2013-007444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As for the protective case having such a smartphone mounting function, there are disclosed a public utility model 20-2016-0003971, 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69491, a public patent 10-2014-0136598, a registered patent 10-1530212. Open No. 10-2013-0074446 and the lik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기능을 갖는 보호케이스는 단순히 스마트폰이 테이블 등의 상면과 같은 지지면에 대해 밀착된 상태에서 세워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출력되는 미디어컨텐츠 등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시청기능만을 하며, 이렇게 스마트폰이 지지면에 대해 밀착되게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는 경우에는 셀프촬영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스마트폰이 지지면에 대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으로 촬영을 진행할 경우, 지지면의 영상도 함께 촬영되어 촬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having a smartphone mounting function simply allows the smart phone to be er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 phone is in close contact with a supporting surface such as a table or the like so that a user can view media contents or the like output from the smart phon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self-photographing can not be performed when the smart phone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closely mounted on the support surface. That is, since the smartphon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of the support surface is photographed together with the smartphone in such a state, so that the shooting can not be performed properly.

공개실용신안 20-2016-0003971호Open Utility Model No. 20-2016-0003971 등록실용신안 20-0469491호Registered utility model 20-0469491 공개특허 10-2014-0136598호Patent Document 10-2014-0136598 등록특허 10-1530212호Patent No. 10-1530212 공개특허 10-2013-0074446호Patent Document No. 10-2013-007444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 및 배면부를 감싸 보호하는 스마트폰케이스로서, 스마트폰을 지지면에 대해 밀착되게 경사진 형태로 세워 미디어컨텐츠를 볼 수 있는 미디어시청용 거치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스마트폰을 지지면에 대해 소정높이 이격되게 높인 상태로 스마트폰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거치함으로써 미디어시청용 거치기능은 물론 스마트폰을 통한 셀프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view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case for protecting and protecting a side surface portion and a back surface portion of a smartphone, The mobile phone has a function of mounting a media viewing device for viewing media content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mounting the smart phone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smart phone is elev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relative to the support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phone protection case having a photographing and mounting function capable of self-photographing through a camera.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이 장착되어 스마트폰의 배면부 및 측면부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 상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 하단부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면에 대해 밀착되게 세워주는 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거나,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면에 대해 소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세워 셀프촬영이 가능한 제1및제2촬영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도록 하는 거치부재;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케이스본체 배면에 밀착되어 보관상태가 되게 하거나, 상기 거치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여 상기 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게 하는 제1고정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가 지지면에 대해 소정높이로 지지되게 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서 세로방향으로 거치해 셀프촬영이 가능한 상기 제1촬영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게 하는 제2고정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가 지지면에 대해 소정높이로 지지되게 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서 가로방향으로 거치해 셀프촬영이 가능한 상기 제2촬영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게 하는 제3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tective case for a smartphone having a photographing and mounting function, the case including: a case body mounted with a smartphone to protect the rear and side portions of the smartphone; A case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smartphone mounted on the case body to on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case body, Or the smart phone mounted on the case body is mount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capable of self photographing in a form of a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mount A stationary member; The case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so that the mounting memb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to be in a storage state or the case body is set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fixing unit for fixing the display unit to the media viewing station; The case body being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so that the case body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A second fixing part for mounting the camera in a vertical direction to mount the camera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unt form capable of self photographing; The case body being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so that the case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so that the case body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And a third fixing part for mounting the camera in the second photographing mount configuration capable of self photographing.

상기 거치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제1촬영용 거치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제2촬영용 거치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3고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재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면에 대해 상기 거치부재를 지지시키는 베이스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d a second fixing part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ing member and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such that the fixing member is in the form of the first photographing mount or that the fixing member is in the form of the second photographing mount, And a base member for supporting the moun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so as to maintain the mounting member in a standing state.

상기 거치부재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각각의 상단부에 제1끼움돌기 및 제2끼움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거치바와, 상기 한 쌍의 거치바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 및 상기 제3고정부 각각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 및 상기 제3고정부는 상기 제1끼움돌기가 상기 제1끼움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끼움돌기가 끼워져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제2고정부 및 상기 제3고정부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2끼움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may include a pair of mounting bar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first fitting protrusions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formed at upper ends thereof, Wherein the first fixing portion,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are each formed with a first fitt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first fitting projection is fitted, The third fixing portion restricts rotation of the fix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by fitting the second fitting projec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fitting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fitting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한 쌍의 거치바의 하부 사이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한 쌍의 거치바에 대해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거치바의 하단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거치바에 대해 90도 회전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가 지지면에 접촉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재가 베이스부재에 대해 수직상태가 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Wherein the base member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the base member is vertically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mounting bars,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member is moved to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The mounting member can be support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member is hel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by being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air of mounting bars.

상기 한 쌍의 거치바의 각각의 상단부에는 소정 각도 꺾임이 가능한 관절부가 구비되어 각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may have a joint portion capable of being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be adjustable in angle.

상기 스마트폰이 지지면에 대해 이격된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거치바 각각의 상부는 길이 조절가능한 다단안테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ultistage antenna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so that the height of the smartphone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상기 거치부재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각각의 상단부에 볼조인트 결합을 위한 볼부재가 형성된 한 쌍의 거치바와, 상기 한 쌍의 거치바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 및 상기 제3고정부 각각에는 상기 볼부재가 억지끼움형태로 삽입되어 볼조인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결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mounting member comprises a pair of mounting bar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ach having a ball member for ball joint engagement at an upper end thereof,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And a ball engaging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fixing portion,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so that the ball member is inserted in an interference fit so that the ball joint is formed .

상기 거치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에 비해 무거운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에 대한 무게중심이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거치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is heavier than the base membe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se member and the base member is lowered so that the base member stably supports the base member . ≪ / RTI >

한편, 본 발명의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이 장착되어 스마트폰의 배면부 및 측면부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에 "+"자 형태로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위치 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볼조인트타입으로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대해 회전 및 각도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면에 밀착되게 세워주는 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거나,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면에 대해 소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 셀프촬영 또는 셀카봉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having a photographing and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ase body, which is equipped with a smart phone and protects the rear and side portions of the smart phone by covering the smart phone. &Quot; + "shape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A sliding member configured to be slidable along the rail portion so as to be positionally operable; A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in a ball joint type so as to be rotatable and angularly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liding member; The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case body in a form of a media-viewing mount which is extended from the rotat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stands upright 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smartphone, And a stationary member that can be used as a self-photographing or a self-sticking function.

상기한 바에 따르면, 이처럼, 본 발명은 거치부재를 케이스본체의 배면 상부, 배면 하단부 및 측면부 중 하나에 장착하여 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 제1촬영용 거치형태(스마트폰 세로거치), 및 제2촬영용 거치형태(스마트폰 가로거치)로 형태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미디어시청용 거치기능만을 가지고 있던 기존 보호케이스에 비해 다양한 셀프촬영을 위한 거치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member is mounted on one of the upper, lower, and side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Since it can be used in the shape of a mount type (smart phone horizontal mou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adding a mount function for various self photographing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protective case having only a mount function for media vie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거치부재가 케이스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거치부재의 상단부의 내부구성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거치부재가 위치이동되어 케이스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거치부재에서 베이스부재가 하방으로 위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베이스부재가 거치부재에 대해 직각되게 9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베이스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베이스부재의 내부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거치기능별 거치형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거치부재가 위치이동되어 케이스본체의 측면부에 결합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거치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거치부재가 스마트폰의 배면에 결합된 보관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로서, 거치부재와 케이스본체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6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거치기능 중 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 및 도 20은 도 16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가 제1촬영용 거치형태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21은 도 16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가 제2촬영용 거치형태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martphone protection case having a photographing and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of FIG. 1 is viewed from the rear,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in FIG. 2,
FIG. 4 is a rear view of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having a photographing doc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member is moved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ase body in FIG. 4,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member is downwardly moved from the mounting member in FIG. 6,
8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member is rotated 90 degrees at a right angle to the mounting member in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internal structural view of the bas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case of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tationary member is moved to the side of the cas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ationary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mart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martphone in Fig. 14;
16 is a rear view of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having a photographing and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side view of Fig. 16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ounting member and the case body,
FIG. 1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of FIG.
19 and 20 are a side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of Fig. 16 is operated in the form of a first photographing mount,
21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protective case of Fig. 16 is operated in the form of a second photographing mou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regions of the ele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it should be noted that portions of the invention that are not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do not describe confusing reason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10)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10 having a photographing and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FIG.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0)는 케이스본체(110), 제1고정부(121), 제2고정부(124), 제3고정부(127), 거치부재(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protective 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se body 110, a first fixing part 121, a second fixing part 124, a third fixing part 127, and a fixing member 13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본체(110)는 전방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스마트폰(P)이 끼워져 스마트폰(P)의 전면을 제외한 측면부 및 배면부를 감싸보호할 수 있는 통상의 보호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to 3, the case body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n open front, and a smartphone P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body 110 to protect the sides and the backside of the smartphone P And can be made of a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that can be used.

제1고정부(121), 제2고정부(124) 및 제3고정부(127)는 케이스본체(110)의 배면 상부, 배면 하단부 및 측면부에 각각 형성되어, 거치부재(130)가 케이스본체(10)의 배면 상부, 배면 하단부 또는 측면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The first fixing part 121, the second fixing part 124 and the third fixing part 127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11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0.

본 실시 예에서 제1고정부(121)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케이스본체(11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되며, 제2고정부(124)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12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케이스본체(110)의 배면 하단부에 형성되며, 제3고정부(127)는 삽입홈(127a, 도 12참조)이 형성되며 케이스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xing part 121 is formed in a "C" shape having an open bottom an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The second fixing parts 124 are formed as a pair, The third fixing part 127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so as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first fixing part 121. The insertion hole 127a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 제1고정부(121), 제2고정부(124) 및 제3고정부(127)의 각각의 내부 양측에는 각각 제1끼움홈부(123,125,128, 도 4 및 도 12참조)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제2고정부(124) 및 제3고정부(127)에는 제1끼움홈(125,128)와 근접한 위치에 일렬로 각각 제2끼움홈부(126,129)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itting grooves 123, 125 and 128 (see Figs. 4 and 12) are form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21, the second fixing portion 124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127, The second fixing portion 124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127 are formed with second fitting recesses 126 and 129 in a row adjacent to the first fitting recesses 125 and 128, respectively.

거치부재(130)는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거치바(131)와, 이 한 쌍의 거치바(131)의 중간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바(1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mounting member 1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mounting bars 131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bar 132 configured to connect the middle portion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131.

한 쌍의 거치바(131) 각각의 상단부 외측면에는 양측으로 제1끼움돌기(133)가 돌출형성되며, 제1끼움돌기(133)와 근접한 위치에 일렬로 제2끼움돌기(135)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First fitting protrusions 133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fixing bars 131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135 are formed in a line near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133 .

도 2 및 도 4와 같이, 기본적으로 거치부재(130)는 제1끼움돌기(133)가 제1고정부(120)의 제1끼움홈부(123)에 끼워지고 거치부재(130)가 케이스본체(110)의 배면에 밀착되어 보관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부재(130)의 하단부 양측에는 제3끼움돌기(137)가 형성되어 제3끼움돌기(137)가 제2고정부(124)의 제1끼움홈부(125)에 삽입됨으로써, 거치부재(130)의 하단부가 덜컹거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케이스본체(110)의 배면에 밀착되어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거치부재(130)의 하단부가 제2고정부(124)에 삽입되면서 제3끼움돌기(137)가 제2끼움홈부(124)의 끼움홈부(125)에 스냅결합형태로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거치부재(130)의 하단부를 케이스본체(110)의 배면에 대해 잡아당기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3끼움돌기(137)가 끼움홈부(125)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 and 4, the mounting member 130 basically has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33 fitted in the first fitting portion 123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20, (110) and can be placed in a storage state. In this case, the third fitting protrusion 137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130 so that the third fitting protrusion 137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125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24, The lower end of the member 130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without rattling, so that the stored state can be maintained.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1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24, and the third fitting protrusion 137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portion 125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portion 124 in a snap- The third fitting protrusion 137 can be separated from the fitting groove 125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when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130 is pulled with respect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

반면, 거치부재(130)는 제1끼움돌기(133)가 제1고정부(120)의 제1끼움홈부(123)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소정각도로 회전조작시킴으로써, 거치부재(130)는 도 11의 (a)와 같이, 거치부재(130)에 의해 케이스본체(110)의 하단이 지지면(g)에 대해 밀착된 상태로 경사지게 세워져 미디어시청이 가능한 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로서 기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member 1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33 is fitted in the first fitting portion 123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20, The lower end of the case body 110 is sloped up in a state of being in tight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g by the stationary member 130 so as to function as a form of media viewing .

거치부재(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한 쌍의 거치바(131)의 상단부를 손가락으로 살짝 조여주면, 한 쌍의 거치바(131)의 상단부가 가까워지는 형태로 다소 휘어지고, 외력 제거시 자체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거치바(131)에 외력을 가해, 제1고정부(120)의 제1끼움홈부(123)에서 제1끼움돌기(133)가 이탈되도록 하여 거치부재(130)를 제1고정부(120)에서 분리시킨 다음, 거치부재(130)의 한 쌍의 거치바(131)에 다시 외력을 가해 조여준 후, 제1끼움돌기(133)가 제2고정부(124)의 제1끼움홈부(125)에 끼워지게 하여 거치부재(130)를 제2고정부(124)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거치부재(130)를 제2고정부(124)에 장착할 때, 제2끼움돌기(135)도 제2고정부(124)의 제2끼움홈부(126)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거치부재(130)가 제2고정부(12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회전이 가능하지 않고 회전이 제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When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131 are slightly tightened with fingers,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131 are slightly bent so as to be closer to each other, And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own elastic forc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air of mounting bars 131 so that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133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fitting part 123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so that the mounting member 130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33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120 of the second fixing part 124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air of fixing bars 131 of the fixing part 130, The fitting part 130 can be fit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124 by being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part 125. [ At this time, when the mounting member 130 is mount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24,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5 is also fit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126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24, The rotation can not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fixing part 130 is mounted on the second fixing part 124, and the rotation can be restricted.

마찬가지로, 한 쌍의 거치바(131)를 두손으로 조여, 제1 및 제2끼움돌기(133,135)를 제2고정부(124)의 제1끼움홈부(125) 및 제2끼움홈부(126)에서 이탈시켜 거치부재(130)를 제2고정부(124)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며, 분리시킨 후, 거치부재(130)를 제3고정부(127)의 삽입홈(127a, 도 12참조)에 삽입하여, 제1 및 제2끼움돌기(133,135)가 제3고정부(127)의 제1끼움홈부(128) 및 제2끼움홈부(129)에 끼워져 거치부재(130)가 제3고정부(127)에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거치부재(130)가 제3고정부(127)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끼움돌기(133,135)가 제3고정부(127)의 제1끼움홈부(128) 및 제2끼움홈부(129)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3고정부(127)에 장착된 상태에서 거치부재(13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133 and 135 are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portion 125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portion 126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24, The mounting member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fixing portion 124 and the mounting member 13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7a of the third fixing portion 127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133 and 135 are fitted in the first fitting groove portion 128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portion 129 of the third fixing portion 127 and the fixing member 130 is fixed to the third fixing portion 127 As shown in FIG.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133 and 135 are engaged with the first fitting groove portion 128 of the third fixing portion 127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2 of the third fixing portion 127, The rotation of the mounting member 130 can be restric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mounted on the third fixing part 127 because it is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part 129. [

본 발명에서, 제1끼움돌기(133)는 거치바(131)의 상단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성되어 접착제로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끼움돌기(135)는 거치바(131)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136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홀(136a)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마개(136b)와 제2끼움돌기(135) 사이에 탄성스프링(136c)이 설치되어, 탄성스프링(136c)의 탄성력에 의해 제2끼움돌기(135)가 거치바(13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제2끼움돌기(135)가 눌려지면, 제2끼움돌기(135)가 슬라이딩홀(136a) 내부로 인입되고(도 5의 (b) 참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스프링(136c)의 탄성에 의해 제2끼움돌기(135)가 거치바(13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도 5의 (a)참조).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133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131,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bonded with an adhesive.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5 is provided slidably along the sliding hole 136a formed in the mounting bar 131 and has a cap 136b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liding hole 136a,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135 are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protrude outward of the stationary bar 13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36c, When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5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5 is drawn into the sliding hole 136a (see FIG. 5B),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5 ca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tationary bar 131 (see Fig. 5 (a)).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1끼움돌기(133)가 제1고정부(120)의 제1끼움홈부(123)에 끼워지고, 거치부재(130)가 케이스본체(110)의 후면에 밀착되게 보관상태에 있을 경우, 제2끼움돌기(135)는 제1고정부(120)의 내측벽에 의해 눌려져서 슬라이딩홀(136a)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되며, 도 11의 (a)와 같이 거치부재(130)가 제1고정부(120)에 대해 소정각도로 회전조작된 상태에서는 제2끼움돌기(135)는 거치바(13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 2 and 4,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33 is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123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the fitting member 130 is fit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5 is pushed by the inner side wall of 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sliding hole 136a. As shown in FIG. 11 (a)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5 protrudes outward from the stopper bar 131 in a state where the stationary member 13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portion 120. [

한편, 본 발명은 도 11의 (b) 및 도 11의 (c)와 같이, 거치부재(130)가 제2고정부(124) 또는 제3고정부(127)에 장착된 경우, 거치부재(130)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거치부재(130)에 베이스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11 (b) and 11 (c), when the mounting member 130 is mounted on the second fixing portion 124 or the third fixing portion 127, the mounting member 130 The base member 140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member 130 so that the base member 140 is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베이스부재(14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거치부재(130)에 비해 무거워 무게중심이 낮아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부재(130)를 지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철과 같은 무거운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se member 140 is made of a heavy metal material such as iron so that the base member 14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in an upright state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e to its weight being lower than that of the mounting member 130 made of plastic. .

베이스부재(140)는 사각판형태로 이루어지며, 거치부재(130)의 하부 내측 즉 한 쌍의 거치바(131)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The base member 1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130,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13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부재(140)의 양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의 중간에 축부재(142)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 축부재(142)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단부가 베이스부재(140)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9 and 10, on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140, a shaft member 142 protrudes outward in the midd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haft member 142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the inner end of the shaft member 142 may be fixedly installed in the base member 140.

한편, 본 발명은 한 쌍의 거치바(131)의 하부 내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를 갖는 레일(131a)이 각각 형성되어, 이 각각의 레일(131a)에 축부재(142)가 삽입되어 축부재(142)가 한 쌍의 레일(131a)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레일(131a)의 하단 내측면에는 좌우로 한 쌍의 회전규제홈(131aa, 도 8 참조)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131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side surface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1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haft member 142 is attached to each of the rails 131a And the shaft member 142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pair of rails 131a. Further, a pair of rotation regulating grooves 131aa (see Fig. 8)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rail 131a.

본 발명은 축부재(142)가 한 쌍의 레일(131a)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도 6과 같이, 베이스부재(140)가 한 쌍의 거치바(131)와 연결바(131)가 이루는 사이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축부재(142)가 한 쌍의 레일(131a)의 하단부로 슬라이딩이동하는 경우, 도 7과 같이, 베이스부재(140)의 하부는 거치부재(131)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베이스부재(140)의 상부는 한 쌍의 거치바(131) 사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6, when the shaft member 142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rails 131a, the base member 14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mounting bars 131 and the connecting bars 131 7,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member 140 is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tationary member 142a and the stationary member 142a, as shown in FIG. 7, when the shaft member 142 slides to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rails 131a in this state. 131, and the upper part of the base member 140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mounting bars 131.

또한,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양측의 축부재(142) 각각에는 상하로 한 쌍의 탄성돌기(144)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9 and 10, each of the shaft members 142 on both sides is provided with a pair of elastic protrusions 144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한 쌍의 탄성돌기(144)는 각 축부재(142)의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외력제거시 축부재(142)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어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elastic protrusions 144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inward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shaft members 142 or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haft member 142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구체적으로, 각 축부재(142)에는 상하로 한 쌍의 제2슬라이딩홀(145a)이 형성되며, 한 쌍의 탄성돌기(144)가 한 쌍의 제2슬라이딩홀(145a)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제2슬라이딩홀(145a)을 내측단을 막도록 축부재(142)에 결합된 제2마개(146b)와 탄성돌기(144) 사이에는 각각 제2탄성스프링(145c)이 설치되어, 탄성돌기(144)가 제2탄성스프링(145c)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돌기(144)를 축부재(142)를 향해 누르면, 축부재(142) 내부로 인입되고, 외력을 제거하면, 제2탄성스프링(145c)의 탄성에 의해 축부재(142)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each of the shaft members 142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sliding holes 145a so that the pair of elastic protrusions 144 can move relative to the pair of second sliding holes 145a And a second elastic spring 145c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stopper 144 and the second stopper 146b coupled to the shaft member 142 so as to close the inner end of the pair of second sliding holes 145a. And the elastic protrusion 144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spring 145c. Therefore, when the elastic protrusion 144 is pressed toward the shaft member 142, it is pulled into the shaft member 142,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elasticity of the second elastic spring 145c causes the outer side of the shaft member 142 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발명은 각 축부재(142)가 레일(131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때는 한 쌍의 탄성돌기(144)가 레일(131a)의 내측벽에 의해 눌려 탄성돌기(144)가 제슬라이딩홀(145a)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일(131a)에 대한 축부재(142)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베이스부재(140)가 하강하여 도 7과 같이 축부재(142)가 레일(131a)의 하단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재(140)를 90도 회전시키면, 수직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탄성돌기(144)가 좌우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규제홈(131aa)과 만나 한 쌍의 탄성돌기(144)가 제2탄성스프링(145c)의 탄성에 의해 축부재(14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한 쌍의 회전규제홈(131aa)으로 삽입됨으로써, 베이스부재(140)가 거치부재(130)의 하단에서 직각되게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each of the shaft members 142 is slid along the rail 131a, a pair of elastic protrusions 144 are pressed by the inner wall of the rail 131a, The shaft member 142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rail 131a while the base member 140 is pulled down to the rail 145a and the base member 140 is lowered so that the shaft member 142 is moved When the base member 140 is rotated by 90 degrees in a state of being moved to the lower end, a pair of rotation restricting grooves 131aa in which a pair of vertically arranged elastic protuberances 144 are formed laterally, The elastic protrusion 144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rotation restricting grooves 131aa while being protruded outward from the shaft member 142 by the elasticity of the second elastic spring 145c so that the base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member 130 To be rotated at right angles.

반면, 탄성돌기(144)의 말단부는 반구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도 8과 같이, 한 쌍의 탄성돌기(144)가 한 쌍의 회전규제홈(131aa)에 삽입되어 베이스부재(140)가 거치부재(130)에 대해 직각되어진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베이스부재(140)를 거치부재(130)에 대해 원위치로 회전시키려는 외력을 작용하면, 탄성돌기(144)가 다시 레일(131)의 내측벽에 눌리면서 축부재(142)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8, a pair of elastic protrusions 144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rotation regulating grooves 131aa so that the base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rotation regulating recesses 131aa, 7,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ase member 140 to rotate the base member 140 in the hom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130, the elastic protrusion 144 is again pressed against the rail 131 It can be pulled into the inside of the shaft member 142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ide wall.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거치부재(130)가 제1고정부(120)에 장착되고, 거치부재(130)가 케이스본체(110)의 배면에 밀착되게 접혀져 보관상태가 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관상태에서 스마트폰(p)이 장착된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0)를 의류주머니나 가방 등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2, the mounting member 130 is mounted on the first fixing part 120, and the mounting member 130 is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And the protective 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martphone p is mounted can be easily stored in a garment bag or a bag in such a storage state.

아울러, 사용자가 스마트폰(p)을 거치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등의 시청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거치부재(130)를 도 11의 (a)와 같이, 제1고정부(120)에 대해 소정각도로 회전조작하여, 지지면(g)에 스마트폰(p)이 밀착되고 경사진 상태(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로 거치되게 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 11 (a), when the user tries to view multimedia such as multimedia data while the smartphone p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p, So that the smartphone p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support surface g and can be mounted in a tilted state (in the form of a media viewing mount) to use the smartphone.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폰(p)과 떨어진 상태에서 셀프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 거치부재(130)를 제1고정부(120)에서 분리하고, 제2고정부(124)에 도 6과 같이 장착한 후, 도 7과 같이 베이스부(140)를 거치부재(130)에 대해 하부로 이동시킴 다음, 베이스부(140)를 90도 회전시켜 베이스부재(140)가 거치부재(130)를 직각되게 한 후, 테이블 상면 등의 지지면(g)에 올려 놓으면, 도 11의 (b)와 같이, 스마트폰이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본체(110)가 세로형태로 지지면(p)에 대해 거치부재(130)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어, 세로배치된 스마트폰(p)을 통해 셀프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제1촬영용 거치형태). 이러한 제1촬영용 거치형태에서는 셀프촬영 뿐 아니라, 세로배치된 스마트폰(p)을 통해 미디어시청도 가능하며, 사용자가 거치부재(130)의 하부를 파지하여 셀카봉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user desires to take a self-photograph while being away from the smartphone p, the user removes the mounting member 130 from the first fixing unit 120 and attaches the second mounting unit 124 to the second fixing unit 124 7, the base unit 140 is mov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130. Then, the base unit 140 is rotated 90 degrees so that the base member 140 is rotated at right angles to the mounting member 130 11 (b), the case body 110 on which the smartphone is mounted is mounted vertically on the support surface g of the table, 130), so that the self-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vertically disposed smartphone (p) (the first photographing mount type). In this first type of photographing mount, not only the self photographing but also the media viewing through the vertically arranged smart phone p can be performed, and the user can also use the cellular phone function by holding the lower part of the stationary member 130.

아울러, 사용자가 스마트폰(p)을 지지면(g)에 대해 이격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거치시켜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 거치부재(130)를 제2고정부(120)에서 분리하고, 도 12와 같이 제3고정부(127)에 장착한 후, 베이스부(140)를 거치부재(130)에 대해 하부로 이동시키고, 베이스부(140)를 90도 회전시켜 지지면(g)에 올려놓으면, 도 11의 (c)와 같이 케이스본체(110)가 가로형태로 지지면(p)에 대해 거치부재(130)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어, 가로배치된 스마트폰(p)을 통해 셀프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제2촬영용 거치형태). 이러한 제2촬영용 거치형에서는 셀프촬영뿐 아니라 가로배치된 스마트폰(p)을 통한 미디어시청도 가능하며, 사용자가 거치부재(130)의 하부를 파지하여 셀카봉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user desires to photograph the smartphone p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surface g and to mount the smart phone p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mounting member 13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fixing portion 120, The base portion 140 is mov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130 and the base portion 140 is rotated 90 degrees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g The case body 110 can be mounted in a state of being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surface p by a height of the mounting member 130 as shown in FIG. p) (self-photographing mode for the second photographing). In the second type stationary type, not only the self photographing but also the media viewing through the smartphone p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viewed. The user can also use the self-photographing function by holding the lower part of the stationary member 130.

이처럼, 본 발명은 거치부재(130)를 케이스본체(110)의 배면 상부, 케이스본체(110)의 배면 하단부 및 케이스본체(110)의 측면부에 형성된 제1고정부(120), 제2고정부(124) 및 제3고정부(127) 중 하나에 고정장착하여, 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도 11의 (a)), 제1촬영용 거치형태(도 11의 (b)), 및 제2촬영용 거치형태(도 11의 (c))로 형태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미디어시청용 거치기능만을 가지고 있던 기존 보호케이스에 비해 다양한 셀프촬영을 위한 거치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130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120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a low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and side surfaces of the case body 110, (FIG. 11A), a first photographing mount form (FIG. 11B), and a second photographing mount (second mount) (C) of FIG. 11),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adding a mounting function for various self-photographing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having only a function of mounting media viewing It is.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 한 쌍의 거치바(131) 각각의 상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꺾임이 가능한 관절부가 구비되어, 도 11의 (b)나 도 11의 (c)와 같은 제1촬영용 거치형태 또는 제2촬영용 거치형태를 이용한 셀프촬영시, 스마트폰의 상하각도를 조정하여 양질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mounting bars 131 is provided at its upper end with a joint portion which can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11B and 11C,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vertical angle of the smartphone to perform high-quality photographing in the self-photographing using the first mount or the second mount.

또한, 본 발명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촬영용 거치형태 또는 제2촬영용 거치형태에서, 스마트폰(p)이 지지면에 대해 이격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거치바(131) 각각의 상부는 길이조절가능한 다단안테나 형태로 구성되어, 용이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eight of each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131 can be adjust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martphone p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in the form of a first photographing mount or a second photographing moun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length-adjustable multi-stage antenna, and can be configured to be easily adjustable in height.

또한, 상기에서 본 발명의 제3고정부(127)는 케이스본체(110)의 일측면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3고정부(127)는 2개로 구성되어 케이스본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third fixing part 127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case body 110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hird fixing part 127 may be formed on two sides of the case body 110, Of course, be formed.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치부재(130)에는 거울부재(152)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거치부재(130)에 설치된 거울부재(152)를 통해 화장을 고치는 용도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13, the fixing member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mirror member 152, and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fixing the makeup through a mirror member 152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130 by the user hav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한 쌍의 거치바(131)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51)가 형성되며, 이 연결프레이트(151)의 배면 일측에 거울부재(152)가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plate 151 fo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131 is formed, and a mirror member 152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rear face of the connecting plate 151 As shown in FIG.

또한, 연결플레이트(151)의 배면 상부 및 하부에는 서로 나란히 평행하게 한 쌍의 레일(151)이 형성되고, 이 한 쌍의 레일(151)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거울덮개판(156)이 구성될 수 있다. A pair of rails 151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51 and the mirror cover plate 156 is slidably moved along the pair of rails 151 .

이처럼, 거울덮개(156)는 미닫이 도어와 같이 연결프레이트(151)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거울덮개판(156)은 도 13의 (a)와 같이 레일(151)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거울부재(152)가 외부에 노출되어 거울부재(152)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거울덮개판(156)은 도 13의 (b)와 같이 레일(151)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거울부재(152)를 덮어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거울부재(152)를 사용하지 않을 때 거울부재(152)를 덮어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The mirror cover 156 is configured to be sli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late 151 like the sliding door so that the mirror cover plate 156 is moved to one side of the rail 151 as shown in FIG. The mirror member 152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use the mirror member 152 or the mirror cover plate 156 is moved to the other side of the rail 151 as shown in Figure 13 (b) The mirror member 152 is configured to cover and protect the mirror member 152 when the mirror member 152 is not used.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14 and 15, a smartphone protection case having a photographing and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거치부재(130)의 제1끼움돌기(133) 및 제2끼움돌기(135) 대신에 볼부재(139)가 거치부재(130')의 한 쌍의 거치바(131)의 상단부 각각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볼부재(139)가 볼조인트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볼결합홈부(h)가 형성된 제1고정부(160), 제2고정부(164), 제3고정부(166)의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ball member 139 is provided in place of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33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35 of the mounting member 130 and a pair of mounting members 130 ' The first fixing part 16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60 ar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ar 131 of the ball fixing part 141. The ball fixing part 17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bar 131 of the ball fixing part 141, The fixing portion 164,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166, and the res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사용자는 거치부재(130')의 볼부재(139)를 제1고정부(160)의 볼결합홈부(h)에 압입하여 억지끼움형태로 삽입해 볼조인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거치부재(130')가 제1고정부(160)에 장착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거치부재(130')는 제1고정부(130')에 대해 회전조작이 가능할 수 있어, 거치부재(130')를 케이스본체(110)의 후면에 밀착되게 하여 보관상태로 둘 수 있고, 거치부재(130')를 케이스본체(110)에 대해 경사지게 하고 지지면에 대해 케이스본체(110)가 밀착된 상태로 세워 거치시킴으로써 미디어시청용 거치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user inserts the ball member 139 of the fixing member 130 'into the ball engaging groove portion h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60 and inserts the ball member 139 into the engaging groove portion h, The mounting member 13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unit 130' so that the mounting member 13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unit 130' The mounting member 130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ase body 110 and the case body 110 may b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surf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torage function for viewing media.

또한, 거치부재(130')를 잡아 당겨, 볼부재(139)를 볼결합홈부(h)에서 빼냄으로써, 거치부재(130')를 제1고정부(160)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분리시킨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거치부재(130')를 제2고정부(164)에 볼조인트형태로 결합시킨 후, 제1촬영용 거치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거치부재(130')를 제3고정부(166)에 볼조인트형태로 결합시킨 후, 제2촬영용 거치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fixing portion 160 by pulling the mounting member 130' and pulling the ball member 139 out of the ball fitting groove portion h, The mounting member 130 'can be used as a first imaging mount after the ball fixing member 130'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64 in a ball joint manner in the same manner. Similarly, the mounting member 130 '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66 in the form of a ball joint, and then used in the form of a second photographing mount.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거치부재(130)를 케이스본체(110)의 배면 상부 및 배면 하단부 그리고 측면부에 탈장착하는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결합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드끼움방식, 도트단추 결합방식, 자석부재를 통한 자력결합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member 13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 A magnetic force coupling method through a magnet member,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서 거치부재(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심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거치부재(130)의 외표면에 섬유나 가죽 등의 장식시트가 부착되어 커버될 수 있으며, 아울러, 거치부재(130)의 표면에는 진주 등의 자연보석, 큐빅 등의 인조보석, 스팽글(spangle) 등과 같은 악세사리 부자재 등이 부착되어 장식될 수도 있으며, 거치부재(130)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이 아니라, 무광타입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고급스러움을 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13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색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유색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금색, 은색 등의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mean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member 13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a decorative sheet such as a fiber or a leather can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member 130 in consideration of an aesthetic surface, The surface of the member 130 may be decorated with accessories such as natural jewelry such as pearl, artificial jewel such as cubic, spangle, etc. The mounting member 130 is not a general plastic material, And can be configured to produce a sense of quality. In addition, the mounting member 1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or a colored plastic material. In the case of a colored plastic material, the mounting member 130 may be formed of various colors. In particular, the mounting member 130 may be made of gold, silver, or the like.

이하,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6 to FIG. 21, a smartphone protection case having a photographing mount function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110), 레일부(171), 슬라이딩부재(172), 회전부재(173) 및 거치부재(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16 and 17,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se body 110, a rail portion 171, a sliding member 172, a rotating member 173, and a mounting member 130 ".

케이스본체(10)는 전방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스마트폰(P)이 끼워져 스마트폰(P)의 전면을 제외한 측면부 및 배면부를 감싸보호할 수 있는 통상의 보호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ase body 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tube with its front open and is formed with a normal protective case which can protect the sid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martphone P except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P, .

레일부(171)는 케이스본체(110)의 배면에 형성되며, 세로 레일홈(171a)과 가로 레일홈(171b)이 서로 교차되어 "+"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e rail portion 171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and the vertical rail groove 171a and the horizontal rail groove 171b intersect with each other to be formed in a "+" shape.

슬라이딩부재(17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레일부(17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위치 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부재(172)의 전면에는 레일부(171)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172a)가 구비되며, 배면에는 회전부재(173)와 볼조인트 타입으로 결합되기 위한 반구형태의 조인트홈(172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e sliding member 172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moved along the rail portion 171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o as to be positionally operable. The slide member 172 has a guide portion 172a which is moved along the rail portion 171 and a hemispherical joint groove 172b for coupling the rotary member 173 with the rotary member 173 in a ball joint type Respectively.

회전부재(173)의 전면에는 결합볼(173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이 결합볼(173a)이 조인트홈(172a)에 볼조인트 결합됨으로써, 회전부재(173)는 슬라이딩부재(172)에 대해 자유자재로 회전 및 각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rotating ball 173a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173 so that the rotating ball 173a is ball-engaged with the joint groove 172a so that the rotating member 173 rotates relative to the sliding member 172 And is rotatably and angularly adjustable freely.

거치부재(130'')는 소정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거치부재(130'')의 상단에는 회전부재(173)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거치부재(130'')는 슬라이딩부재(172)에 대해 자유자재로 회전 및 각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stationary member 130 '' is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rotating member 173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ationary member 130 ' 172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and angularly adjustable.

상기에서 거치부재(130'')는 단순히 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거치부재(130)와 같이 베이스부재(140)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재(140)를 거치부재(130)에 대해 직각되게 형태변형시켜, 베이스부재(140)에 의해 거치부재(130)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base member 140 may be provided as in the case of the mounting member 130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member 140 may be de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mounting member 130 so that the mounting member 130 can be held upright by the base member 140. [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도 16 및 도 17과 같이, 기본적으로 슬라이딩부재(172)를 세로 레일홈(171a)의 상부에 위치시킨 다음, 거치부재(130'')를 케이스본체(110)의 배면 측으로 겹쳐지도록 밀착시켜 보관상태에 위치시킬 수 있다. 16 and 17, the smart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asically positions the sliding member 172 at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rail groove 171a and then fixes the mounting member 130 " 110 so as to be placed in a storage state.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도 18과 같이, 슬라이딩부재(172)를 세로 레일홈(171a)의 상단부에 위치이동시킨 후, 슬라이딩부재(172)에 대해 회전부재(173)가 소정각도가 되도록 각도조정해 줌으로써, 케이스본체(110)의 하단이 지지면에 대해 밀착된 상태로 경사지게 세워져 미디어시청이 가능한 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로서 기능할 수 있다. 18, after the sliding member 172 is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rail groove 171a, the rotary member 173 is moved relative to the sliding member 172 The lower end of the case body 110 is inclin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case body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and can function as a form of a media viewing mount capable of viewing media.

또한, 사용자는 거치부재(130'')를 잡아 이동시켜, 슬라이딩부재(172)가 세로 레일홈(171a)의 하단부로 위치이동시킴으로써, 도 19 및 도 20과 같이, 거치부재(130'')가 케이스본체(110)의 하부로 길게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거치부재(130'')의 하단부를 파지하여 세로배치된 스마트폰을 통해 셀카촬영을 찍을 수 있는 셀카봉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거치부재(130'')의 하단에 베이스부재(140)를 구성하여, 베이스부재(140)를 거치부재(130'')의 말단에 직각되게 회전조작한 후, 베이스부재(140)를 지지면에 지지되게 올려놓으면, 케이스본체(110)가 지지면에 대해 거치부재(130'')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거치되게 함으로써, 세로배치된 스마트폰을 통해 스마트폰과 떨어진 위치에서 셀프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제1촬영용 거치형태).19 and 20 by moving the sliding member 172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rail groove 171a so that the stationary member 130 " Can be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body 110. In this state, the user can grasp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130 ", and can take a self- . The base member 1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130 "so that the base member 140 is rotated at right angles to the end of the mounting member 130" The case body 110 is mounted on the support surface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surface by the height of the mounting member 130 "so that the self- The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the first photographing mount type).

한편, 사용자는 거치부재(130'')를 잡아 이동시켜 슬라이딩부재(172)가 가로레일홈(171b)의 말단부로 위치이동되게 하여, 도 21과 같이, 거치부재(130'')가 케이스본체(110)의 하부로 길게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거치부재(130'')의 하단부를 파지하여 가로배치된 스마트폰을 통해 셀카촬영을 찍을 수 있는 셀카봉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거치부재(130'')의 하단에 베이스부재(140)를 구성하여, 베이스부재(140)가 거치부재(130'')에 직각된 상태에서, 지지면에 지지되게 올려놓으면, 케이스본체(110)가 지지면에 대해 거치부재(130'')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거치되게 함으로써, 가로배치된 스마트폰을 통해 스마트폰과 떨어진 위치해서 셀프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제2촬영용 거치형태). On the other hand, the user grips and moves the stationary member 130 '' so that the sliding member 172 is moved to the distal end of the lateral rail groove 171b so that the stationary member 130 ' The user can grip the lower end of the stationary member 130 " and use it in the form of a cellar rope capable of photographing a self-portrait through a smart phone arranged horizontally. have. In addition, when the base member 1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member 130 '' and the base member 140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in a state of being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member 130 '', The user can position the camera 110 away from the smartphone through the horizontally disposed smart phone and allow the self-photographing to be carried out (the second photographing mount 130 " shape).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이전 실시 예와 같이, 거치부재(130'')를 본체케이스(110)에서 분리하고, 다시 위치이동시켜 본체케이스(110)에 고정장착할 필요 없이 거치부재(130'')가 본체케이스(110)의 배면에 형성된 "+"자 형태의 레일부(171)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이동시키고, 회전시키고 각도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mart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member 130 ''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case 110 and is not required to be fixedly attached to the main body case 110 The mounting member 130 ''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rotate, and adjust the angle along the "+ " -shaped rail portion 171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110,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10...케이스본체
120...제1고정부
124...제2고정부
127...제3고정부
123,125,128...제1끼움홈부
130,130',130''...거치부재
131...거치바
132...연결바
133...제1끼움돌기
135...제2끼움돌기
140...베이스부재
142...축부재
144...탄성돌기
152...거울부재
171...레일부
172...슬라이딩부재
173...회전부재
110 ... case body
120 ... first fixing portion
124 ... second fixing portion
127 ... third fixing section
123, 125, 128 ... First fitting groove
130, 130 ', 130 "
131 ... bar
132 ... connection bar
133 ... first fitting projection
135 ... second fitting projection
140 ... base member
142 ... shaft member
144 ... elastic projection
152 ... mirror member
171 ... lesbian
172 ... sliding member
173 ... rotating member

Claims (10)

스마트폰이 장착되어 스마트폰의 배면부 및 측면부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 상부 또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면에 대해 밀착되게 세워주는 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거나, 상기 케이스본체에 장착된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면에 대해 소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세로방향으로 세워 셀프촬영이 가능한 제1촬영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도록 하는 거치부재;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케이스본체 배면에 밀착되어 보관상태가 되게 하거나, 상기 거치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여 상기 미디어시청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게 하는 제1고정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가 지지면에 대해 소정높이로 지지되게 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서 세로방향으로 거치해 셀프촬영이 가능한 상기 제1촬영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게 하는 제2고정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본체가 지지면에 대해 소정높이로 지지되게 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서 가로방향으로 거치해 셀프촬영이 가능한 제2촬영용 거치형태로 거치시키게 하는 제3고정부;
상기 거치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제1촬영용 거치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제2촬영용 거치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3고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재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면에 대해 상기 거치부재를 지지시키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재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각각의 상단부에 제1끼움돌기 및 제2끼움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거치바와, 상기 한 쌍의 거치바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 및 상기 제3고정부 각각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 및 상기 제3고정부는 상기 제1끼움돌기가 상기 제1끼움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끼움돌기가 끼워져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제2고정부 및 상기 제3고정부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2끼움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A case body which is equipped with a smart phone and covers and protects the back and side portions of the smart phone;
A case for mounting the smartphone detachably mounted on the backside of the case body or the lower side of the backside of the case body in a form of a media viewing assembly for mounting the smartphone mounted on the case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surface, A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the smartphone mounted on the main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a form of a first photographing mount capable of self photographing;
The case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so that the holding memb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to be in a storage state or the case body is set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fixing unit for fixing the display unit to the media viewing station;
The case body being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so that the case body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A second fixing part for mounting the camera in a vertical direction to mount the camera in the first photographing mount form capable of self photographing;
The case body being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so that the case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so that the case body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A second fixing part for fixing the second fixing part in a second mounting position for self-photographing;
And a second fixing part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ing member and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such that the fixing member is in the form of the first photographing mount or that the fixing member is in the form of the second photographing mount, A base member for supporting the moun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so as to maintain the mounting member in a raised state,
The mounting member may include a pair of mounting bar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first fitting protrusions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formed at upper ends thereof, Bar,
Wherein the first fixing portion,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each have a first fitting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fitting projection is fitted,
Wherein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ar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is fitted so that the fix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when the first fitting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a second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fitting groove to restrict rotation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한 쌍의 거치바의 하부 사이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한 쌍의 거치바에 대해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거치바의 하단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거치바에 대해 90도 회전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가 지지면에 접촉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재가 베이스부재에 대해 수직상태가 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member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the base member is vertically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mounting bars,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member is moved to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And the support member is support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member is hel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by being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air of attachment ba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바의 각각의 상단부에는 소정 각도 꺾임이 가능한 관절부가 구비되어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mounting bars are provided at their upper ends with a joint portion capable of being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adjust the ang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지지면에 대해 이격된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거치바 각각의 상부는 길이조절가능한 다단안테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ulti-stage antenna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so that the height of the smartphone is spaced from the supporting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각각의 상단부에 볼조인트 결합을 위한 볼부재가 형성된 한 쌍의 거치바와, 상기 한 쌍의 거치바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 및 상기 제3고정부 각각에는 상기 볼부재가 억지끼움형태로 삽입되어 볼조인트타입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결합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member comprises a pair of mounting bar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ach having a ball member for ball joint engagement at an upper end thereof,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pair of mounting bars; , ≪ / RTI >
Wherein the first fixing part,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third fixing part are each provided with a ball engaging groove portion for inserting the ball member into the ball fixing memb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에 비해 무거운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에 대한 무게중심이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가 상기 거치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memb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is heavier than the base membe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se member and the base member is lowered so that the base member stably supports the base member Wherein the housing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martphone.
삭제delete
KR1020190054946A 2019-05-10 2019-05-10 Smartphone protectio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shooting KR1020059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46A KR102005904B1 (en) 2019-05-10 2019-05-10 Smartphone protectio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shooting
CN202020066666.8U CN211406058U (en) 2019-05-10 2020-01-13 Smart phone protective housing
PCT/KR2020/005098 WO2020231025A1 (en) 2019-05-10 2020-04-16 Smartphone protection case having holding function for photograph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946A KR102005904B1 (en) 2019-05-10 2019-05-10 Smartphone protectio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shoo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904B1 true KR102005904B1 (en) 2019-07-31

Family

ID=6747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946A KR102005904B1 (en) 2019-05-10 2019-05-10 Smartphone protectio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shooting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05904B1 (en)
CN (1) CN211406058U (en)
WO (1) WO2020231025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025A1 (en) * 2019-05-10 2020-11-19 민소영 Smartphone protection case having holding function for photography
CN113076279A (en) * 2021-04-14 2021-07-06 东莞市中盛卓鑫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book without backlight and terminal system thereof
KR200495332Y1 (en) * 2021-05-27 2022-04-29 민소영 Mobile phone stand holder
KR102421882B1 (en) * 2021-08-20 2022-07-15 김태형 Multi-Grip for Smartpho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2081A (en) * 2020-12-18 2021-03-12 马小品 Telescopic mobile phone sliding support
CN114554736A (en) * 2021-03-04 2022-05-27 苏州臻迪智能科技有限公司 A subassembly that is used for device, cloud platform stabilizer of electronic product and is used for electronic product protective housing
CN114598343B (en) * 2022-01-25 2023-05-19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 Mobile operation terminal based on Beidou satellite communicatio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202Y1 (en) * 2012-02-27 2012-06-26 배용선 Removable standing apparatus installed mobile terminal case
JP2012227794A (en) * 2011-04-21 2012-11-15 Ichiro Nitta Finger hook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KR20130074446A (en) 2011-12-26 2013-07-04 이랄라 Case holder of mobile terminal
KR200468496Y1 (en) * 2012-03-21 2013-08-16 백종덕 Cases for Haiti Devices with Mounting Means
KR200469491Y1 (en) 2013-07-24 2013-10-17 곽찬호 Protection case for smart phone
KR20140136598A (en) 2013-05-20 2014-12-01 조남월 Protection case for mobile device
KR101530212B1 (en) 2014-04-15 2015-06-22 고재송 Mobilephone protective case
KR20150107068A (en) * 2014-03-13 2015-09-23 최성훈 Holder using Cases for Mobile Phones
KR20160003971U (en) 2015-05-11 2016-11-21 최성원 Case stand for smartph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01Y1 (en) * 2015-11-09 2016-02-23 정주호 Mobile phone case for multipurpose
KR102005904B1 (en) * 2019-05-10 2019-07-31 민소영 Smartphone protectio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shooting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7794A (en) * 2011-04-21 2012-11-15 Ichiro Nitta Finger hook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KR20130074446A (en) 2011-12-26 2013-07-04 이랄라 Case holder of mobile terminal
KR200461202Y1 (en) * 2012-02-27 2012-06-26 배용선 Removable standing apparatus installed mobile terminal case
KR200468496Y1 (en) * 2012-03-21 2013-08-16 백종덕 Cases for Haiti Devices with Mounting Means
KR20140136598A (en) 2013-05-20 2014-12-01 조남월 Protection case for mobile device
KR200469491Y1 (en) 2013-07-24 2013-10-17 곽찬호 Protection case for smart phone
KR20150107068A (en) * 2014-03-13 2015-09-23 최성훈 Holder using Cases for Mobile Phones
KR101530212B1 (en) 2014-04-15 2015-06-22 고재송 Mobilephone protective case
KR20160003971U (en) 2015-05-11 2016-11-21 최성원 Case stand for smartpho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025A1 (en) * 2019-05-10 2020-11-19 민소영 Smartphone protection case having holding function for photography
CN113076279A (en) * 2021-04-14 2021-07-06 东莞市中盛卓鑫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book without backlight and terminal system thereof
KR200495332Y1 (en) * 2021-05-27 2022-04-29 민소영 Mobile phone stand holder
KR102421882B1 (en) * 2021-08-20 2022-07-15 김태형 Multi-Grip for Smart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1025A1 (en) 2020-11-19
CN211406058U (en)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904B1 (en) Smartphone protection case with support function for shooting
US9823494B2 (en) Wearable camera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camera system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to wearable articles
US8915361B2 (en) Encasements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iometric scanner
US8162283B1 (en) Stand for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54586B1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US20130079066A1 (en) Mobile Device Suppor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1974118B2 (en) Portable device accessory
US20170068274A1 (en) Display and hous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US8393463B1 (en) Eyeglass caddy
KR20160018306A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88313B1 (en) Mobile device cover assembly to watch stereo-scopic contens
US8960420B2 (en) Lens pod
KR101769579B1 (en) wallet type smartphone case
US20110097071A1 (en) Shutter arrangement for covering a camera lens
KR20120035810A (en) A hand held device protection case clip and standing. and holding apparatus with a tilt function
CN212992380U (en) Stealthy support cell-phone shell with clip
US20220228707A1 (en) Apparatuses for holding and mounting mobile devices
GB2231972A (en) Folding binoculars.
CN204796951U (en) Portable spectacle case
CN210807393U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protective shell
CN221570178U (en) Clamping device for human eye visual angle recorder
CN220937077U (en) Portable flat protection shell
CN221886562U (en) Electronic equipment accessory with bracket
CN218974686U (en) Hinge structure of AR glasses
KR101979822B1 (en) A portable terminal case capable of being statio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