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586B1 - Connector module - Google Patents

Connector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586B1
KR102005586B1 KR1020130044888A KR20130044888A KR102005586B1 KR 102005586 B1 KR102005586 B1 KR 102005586B1 KR 1020130044888 A KR1020130044888 A KR 1020130044888A KR 20130044888 A KR20130044888 A KR 20130044888A KR 102005586 B1 KR102005586 B1 KR 102005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positioning member
coupled
receptacle terminal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1431A (en
Inventor
조병희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9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4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5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 모듈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모듈이 제공된다. 커넥터 모듈은,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부를 누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확인부재의 축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하우징 외측으로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된다.A connector module capable of minimizing the height of a connector module for supplying power is provided. The connector module includes a plug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a plurality of posts coupl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a socket portion to which the plug housing is coupled, Wherein a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having a concave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so that the positioning member does not protrude outside the plug housing when the shaft portion of the positioning member is engaged.

Description

커넥터 모듈{CONNECTOR MODULE}Connector module {CONNECTOR MODULE}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위한 와이어를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module for mounting a wire for power supply to a printed circuit board.

커넥터 모듈은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거나 받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커넥터 모듈은 전원 혹은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전선 또는 전기장치를 연결하거나,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는 등으로 구성되어 전기회로를 구성한다. 커넥터 모듈에는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암수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module is a component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serving to supply or receive power to the outside. The connector module is compos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at supplies power or electric signals to a wire or an electric device, or a wire and a wire to form an electric circuit. The connector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receptacle terminals. Such a housing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male and female.

한편, 기존의 커넥터 모듈에는 다음과 같음 문제점이 있다. 커넥터 모듈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리셉터클 단자가 다수 개 구비되는데,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하고 그 내부에서 와이어를 연결하고, PCB에 연결하기 위해서 커넥터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어렵다. 또한,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와이어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와이어와 리셉터클 단자 및 PCB 간의 오결합 또는 단선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모듈에서 리셉터클 단자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리셉터클 단자의 결합 및 고정 구조를 단순화시킬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onnector module has the following problem. The connector modu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for power connection.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size of the connector module in order to accommodate the receptacle terminal, connect the wires therein, and connect to the PCB. Further, since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re required to be connected, interference between the wires may occur, and there may occur an erroneous connection or disconnection between the wire and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PCB.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fix the receptacle terminal in the connector module, and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coupling and fixing structure of the receptac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모듈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module capable of minimizing the size of a connector module.

또한, 리셉터클 단자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connector module which can simplify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receptacle terminal.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모듈은,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부를 누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확인부재의 축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하우징 외측으로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된다.The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g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a plurality of posts coupl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a socket portion to which the plug housing is coupled, And a positioning member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plug housing by pressing the terminal portion, wherein a top surface of the plug housing is formed with a concave shape so that the positioning member does not protrude outside the plug housing when the shaft portion of the positioning member is engaged. The positioning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갖고 중심을 이루는 축부, 상기 축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돌출 형성된 누름부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축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축부의 상면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축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 결합되며, 2열로 구비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2열의 리셉터클 단자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의 상면보다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와 상기 걸림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positioning member includes: a shaft portion having a length that is transverse to the plug housing; a shaft portion that extends from both sides of the shaft portion and protrudes to fix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And a locking part coupled to the housing. For example, when the shaft portion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an upper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may be flatly formed to be coplanar with the plug housing. In addition, when the shaft portion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the shaft portion may be convexly protruded upward. In addition,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are inserted into the plug housing and are provided in two rows, and the positioning member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wo rows of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Also, the press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so that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팔보 형상을 갖는 랜서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상기 랜서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includes an outwardly projecting and cantilevered lancer, and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plug housing such that the lancer faces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가 수용되는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포스트가 삽입 결합되는 포스트 수용부,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수용부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receptacle terminal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is received, a post receiv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post is inserted through the plug housing, a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to which the positioning member is coupled, And a positioning member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plug housing and coupled with the positioning member.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저면에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시 발생하는 기체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at least one groove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release gas generated when the pos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coupled.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는 다수의 포스트가 상기 소켓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소켓부 표면에서 돌출 형성된 포스트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포스트가 구비되는 주변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socke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ts penetrating through the socket portion, and a po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socket portion to support the post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socket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periphery of the socket is thicker than other portions.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모듈은,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를 고정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랜서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2열로 배열되며,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2열로 배치된 리셉터클 단자부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module including: a plug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a socket having a plurality of posts coupl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is arranged in two rows so that the lancer is directed to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and the position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As shown in FIG.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는 상기 포스트가 구비되는 주변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 외측으로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위치확인부재 수용부에 삽입 결합되는 축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축부의 상면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축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socke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periphery of the socket is thicker than other portions. In addition, a concave shaped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so as to prevent the positioning member from protruding outside the plug housing, and the positioning member includes a shaft portion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 When the shaft portion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an upper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may be flatly formed to be coplanar with the plug housing. In addition, when the shaft portion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the shaft portion may be convexly protruded upward.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모듈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module capable of minimiz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connector module is provided.

또한, 커넥터 모듈 외측으로 리셉터클 단자부 및 위치확인부재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커넥터 모듈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와이어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and the positioning member are not protruded outside the connector module, the height of the connector module can be minimized, and wire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소켓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부에서 리셉터클 단자 1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재와 리셉터클 단자부 및 포스트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넥터 모듈에서 위치확인부재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module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module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ocket portion of FIG.
6 is a plan view of a plu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terminal 1 in a receptacle termina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ition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positioning member,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and the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ing member in the connector module of Figure 10;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may be omitted so as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모듈(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모듈(100)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커넥터 모듈(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11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소켓부(110)의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120)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부(130)에서 리셉터클 단자 1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재(14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부재와 리셉터클 단자부 및 포스트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커넥터 모듈에서 위치확인부재(240)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connector modu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module 100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cket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ocket unit 110 of FIG. 6 is a plan view of the plug housing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terminal 1 in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ing membe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positioning member,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and the po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modul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ing member 240 in the connector module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 모듈(100)은 소켓부(110)와 플러그 하우징(120), 리셉터클 단자부(130) 및 위치확인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nnector module 100 includes a socket portion 110, a plug housing 120, a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and a positioning member 140.

소켓부(Socket 또는 헤더 어셈블리(Header Assembly))(110)는 인쇄회로기판(10)에 부착되어 포스트(115)를 지지하고, 플러그 하우징(120)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소켓부(110)는, 플러그 하우징(1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 예를 들어,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소켓 프레임(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A socket part 110 is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to support the post 115 and to receive the plug housing 120. The socket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 socket frame 11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so as to accommodate the plug housing 120.

여기서, 커넥터 모듈(100)은 소켓부(110)와 플러그 하우징(120) 및 위치확인부재(140)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플러그 하우징(120)과 위치확인부재(140)가 각각 결합 및 고정되어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120)을 소켓부(110)에 결합하여 최종 커넥터 모듈(100)이 형성된다. 소켓부(110)의 측면에는 플러그 하우징(120)이 결합 및 고정되는 플러그 결합부(112)가 형성되고, 플러그 하우징(120)에는 플러그 결합부(112)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부(110)와 플러그 하우징(120)은 돌기와 상기 돌기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과 같은 걸림 수단 형태로 형성되어서, 돌기가 걸림 수단에 삽입됨에 따라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결합부(112)가 돌기 형상을 가지고, 소켓 결합부(122)는 걸림턱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러그 결합부(112)와 소켓 결합부(122)는, 소켓부(110)와 플러그 하우징(120)을 기계적으로 체결하는 수단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or modul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ocket portion 110, the plug housing 120, and the positioning member 140 are coupl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plug housing 120 and the positioning member 140 are respectively coupled and fixed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Then, the plug housing 120 is coupled to the socket portion 110 to form the final connector module 100. A plug coupling portion 112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ocket portion 110 and the plug housing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plug coupling portion 112 May be formed. For example, the socket portion 110 and the plug housing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ngaging means such as a protrusion and an engaging jaw to which the protrusion can be caught, so that the protrusion can be engaged and fixed as it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means. Although the plug coupling part 112 has a protrusion shape and the socket coupling part 122 has a shape of a latching protrus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112 and the socket engagement portion 122 can be substantially diversely modified as long as the socket portion 110 and the plug housing 120 are mechanically fastened to each other.

소켓부(110) 바닥면에는 포스트(115)가 삽입 지지되는 포스트 지지부(116)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스트 지지부(116)는 소켓부(110) 저면이 포스트(115)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고, 홀 주변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A post support portion 116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portion 110 to receive and support the post 115.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post support portion 116 has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portion 11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post 115, As shown in Fig.

또한, 소켓부(110)의 저면(도 5에서 도시한 면으로, 인쇄회로기판(10)에 결합되는 면을 '저면'이라 함)에는 소켓부(110)를 인쇄회로기판(10)에 결합 시 납땜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소정 깊이를 갖는 다수의 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17)은, 포스트(115)가 인쇄회로기판(10)에 납땜되는 부분과 외부를 연결시키는 유로를 형성하여서 기체를 외부로 유동시키도록 형성된다.5), the socket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portion 110 A plurality of grooves 117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can be formed so as to discharge gas generated in the soldering process. For example, the groove 117 is formed so as to form a flow path connecting the part where the post 115 is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the outside, and to flow the gas to the outside.

포스트(Posts)(115)는 인쇄회로기판(10)에 연결되어 외부와 전기 신호(전원)를 통전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포스트(115)는 소켓부(110)를 관통하여 리셉터클 단자부(130)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10)과 리셉터클 단자부(130) 및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130)에 연결된 와이어(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포스트(115)는 리셉터클 단자부(130)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길이 및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 모듈(100)의 크기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posts 115 ar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serve to energize electric signals (power sources) with the outside. The posts 115 ar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130 through the socket portions 110 and ar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130 and the wires )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post 115 may have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Here, the length and shape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substantially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nnector module 100.

플러그 하우징(Plug Housing)(120)은, 리셉터클 단자부(130)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시키고 소켓부(1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120)의 상면에는 위치확인부재(140)가 결합되며, 위치확인부재(140) 역시 플러그 하우징(12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 및 결합된다. 플러그 하우징(120)은 소켓부(110) 내부에 삽입되며, 플러그 하우징(120)의 하면에는 소켓부(11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플러그 프레임(121)의 일측에는 소켓부(110)에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12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소켓 결합부(122)는 소켓부(110)에 걸림 결합 형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소켓 결합부(122)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lug housing 120 is received and fixed in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ocket portion 110. A positioning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120 and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also received and coupled so as not to protrude outside the plug housing 120. The plug housing 12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110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portion 1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120. At one side of the plug frame 121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120, a socket coupling part 122 is formed which is coupled to the socket part 110.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socket engagement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be engageable with the socket portion 110 in a latching manner. Since the socket coupling portion 122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플러그 하우징(120)은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고, 소켓부(110)에 결합되면서 리셉터클 단자부(130)와 포스트(115)를 결합시켜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플러그 하우징(120)은,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수용되는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123)가 형성되고,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123) 내부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랜서(133)가 결합되는 랜서 결합부(120a)가 형성된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120)은 리셉터클 단자부(130)에 포스트(1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포스트(115)가 수용되는 포스트 수용부(125)가 형성된다. 포스트 수용부(125)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스트 수용부(125) 부분이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h) 돌출되어 주변의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g housing 120 allows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to be received therein and is coupled to the socket portion 110 so that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and the post 115 are coup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plug housing 120 is formed with a receptacle terminal receiving portion 123 in which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s received and a lancer connection portion 123 in which the lancer 133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s coupled within the receptacle terminal receiving portion 123. [ A portion 120a is formed. The plug housing 120 is formed with a post receiving portion 125 in which the posts 115 are received so that the posts 115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130. The post accommodating portion 125 may have a shape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plug housing 120. Further, as shown in FIG. 2, the post accommodating portion 125 may b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peripheral portion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상면으로부터 결합되고, 포스트(115)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하면으로부터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하우징(120)은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들이 2열로 배열된다. 여기서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120)는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123)의 일측에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랜서(133)가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랜서 결합부(120a)가 형성된다.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s engag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120 and the posts 115 can be engag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120. [ For example, in the plug housing 120,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130 are arranged in two rows with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Here,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120. The plug housing 120 has a lancer engaging portion 120a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ptacle terminal receiving portion 123 so that the lancer 133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can be engaged and fixed.

플러그 하우징(120) 상면에는 위치확인부재(140)가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가 형성된다. 플러그 하우징(120)의 상면 중앙을 가로질러서 위치확인부재(140)가 결합되도록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부재(140)가 플러그 하우징(120)에 결합되었을 때, 플러그 하우징(12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는 소정 깊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는, 플러그 하우징(120)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결합된 위치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120, a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124 to which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coupled is formed. The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124 may be formed such that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coupled across the upper surface center of the plug housing 120. [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120, the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124 may be formed a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concave shape so as not to protrude out of the plug housing 120 . Further, the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124 is formed so as not to overlap the position where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s engaged in the plug housing 120. [

위치확인부재(Double Lock Plate)(140)는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플러그 하우징(120)에서 정위치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리셉터클 단자부(130)를 플러그 하우징(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상세하게는, 위치확인부재(140)는, 축을 형성하는 축부(141)와, 상기 축부(14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배열된 누름부(143)와, 플러그 하우징(120) 및 소켓부(110)에 결합되는 걸림부(1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double lock plate 140 is a member for fixing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to the plug housing 120 by confirming that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s inserted in the plug housing 120 in a correct position. Specifically, the positioning member 140 includes a shaft portion 141 forming an axis, a pressing portion 143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haft portion 141, a plug housing 120 and a socket portion 110 (Not shown).

축부(141)는 소정 폭을 가지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플러그 하우징(120)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하우징(120)에서 길이가 긴 쪽을 따라 위치확인부재(14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지만,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확인부재(140)의 길이 및 형상과 배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축부(141)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일정 폭(w)을 가지도록 하여, 그 폭(w)이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축부(141)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누름부(143) 배열을 갖는 위치확인부재(140)가 잘 휘어지지 않으면서, 더불어 축부(141)의 길이 방향에 대한 휘어짐 힘에 대해 강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부재(140)는 누름부(141)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를 보다 확실하게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e shaft portion 141 may have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may have a length across the plug housing 120. Although the position determining member 140 is formed to be coupled along the longer side of the plug housing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length and shape of the positioning member 140 The arrangement can be substantially varied. The shaft portion 141 has a constant width w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120 and the width w thereof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By forming the shape of the shaft portion 141 in this way, the positioning member 140 having the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143 is not bent well, and the rigidity of the shaft portion 141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Further, the positioning member 140 can more reliably press and fix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n the pressing portion 141

위치확인부재(140)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에 삽입되어서 위치확인부재(140)의 상면이 플러그 하우징(120)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러그 하우징(120) 내부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완전히 결합되면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상단면과 플러그 하우징()의 상단면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차(g)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조 공정 상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상단면은 도 2에 표시한 높이차(g)에 해당하는 컷오프 디멘젼(cut off dimension) 만큼의 공차 내에서 부품마다 더 높거나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높이차는 커넥터 모듈(100)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설계 조건의 하나이다.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124 of the plug housing 120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positioned flush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120. [ 2, when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s fully engaged in the plug housing 120,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g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face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and the upper end face of the plug housing . Her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may be higher or lower for each part within a tolerance of a cut off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g shown in Fig. This height difference is one of the design conditions that can lower the overall height of the connector module 100. [

누름부(143)는 플러그 하우징(120)에서 리셉터클 단자부(130)를 상부에서 누르기 위한 것으로, 축부(141)에서 양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리셉터클 단자부(130)를 누를 수 있도록 하부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누름부(143)의 수와 간격 등의 배치는,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수와 간격 등의 배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The pressing portion 143 is for pushing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lug housing 120. The pressing portion 143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 both sides of the shaft portion 141 and protrudes down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press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 Respectively. The arrangement of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pushing portions 14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130, such as the number and spacing.

도 9를 참조하면, 위치확인부재(140)는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상면을 누르도록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플러그 하우징(120)에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확인부재(140)를 결합시키면, 누름부(143)가 리셉터클 단자부(130)의 상부로 삽입되면서, 누름부(143)의 단부가 리셉터클 단자부(130) 상면에 가압 접촉된다. 그리고 위치확인부재(140)가 플러그 하우징(120)의 양측면에 걸림부(142)를 통해서 결합되므로, 위치확인부재(140) 및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플러그 하우징(120)에서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engaged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When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engaged with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nserted into the plug housing 120, the pressing portion 143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143 are brought into pressur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And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lug housing 120 through the latching portion 142 so that the positioning member 140 and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are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plug housing 120 It can be prevented and fixed.

걸림부(142)는 축부(141)에서 양단부에 형성된다. 플러그 하우징(120)의 측면에는 위치확인부재(140)가 결합 및 고정되는 위치확인부재 결합부(126)가 형성된다. 플러그 하우징(120)과 위치확인부재(140)는 서로 걸림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치확인부재(140)의 양측 단부에는 걸림턱 형상의 걸림부(142)가 형성되고, 플러그 하우징(120)에는 걸림부(142)가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돌기 형상을 갖는 위치확인부재 결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확인부재 결합부(126)와 걸림부(142)는, 플러그 하우징(120)과 위치확인부재(140)를 기계적으로 체결하는 수단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 부호 114는 걸림부(142)가 플러그 하우징(120)에 결합된 후 걸림부(142)의 단부가 소켓부(110)에 결합되도록 수용하는 걸림부 수용부(114)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부 수용부(114)는 생략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4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141. [ On the side surface of the plug housing 120, a positioning member fitting portion 126 to which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coupled and fixed is formed. The plug housing 120 and the positioning member 140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t both side ends of the positioning member 140, a latching- The plug housing 120 may have a positioning member engagement portion 126 having a protrusion shape so that the engagement portion 142 can be enga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positioning member engaging portion 126 and the engaging portion 14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echanical engaging means of the plug housing 120 and the positioning member 140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Reference numeral 114, which is not illustrated in FIG. 7, includes a latch receiving portion (not shown) for receiving the end of the latch portion 142 to be coupled to the socket portion 110 after the latch portion 142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120 11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engaging portion receiving portion 114 may be omitted.

누름부(143)와 걸림부(142)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누름부(143)와 걸림부(142)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위치확인부재(140)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확인부재(140)는 플러그 하우징(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므로 와이어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143 and the engaging portion 142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By forming the pressing portion 143 and the engaging portion 142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manner, the entire height of the positioning member 140 can be minim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coupled so as not to protrude outside the plug housing 120, wire interference can be eliminated.

한편, 위치확인부재(140)는 위치확인부재 수용부(124)에 결합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확인부재(140)의 상면이 플러그 하우징(120)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1, when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124,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disposed coplanar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120 And can be formed as flat as possible.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확인부재(240)는 플러그 하우징(120)에 결합되었을 때, 그 상면이 플러그 하우징(120)의 상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확인부재(240)는 상부로 소정 높이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위치확인부재(240)는 상술한 위치확인부재(140)와 축부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242는 걸림부이고, 243은 누름부이다.10 and 11, when the positioning member 240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120,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ing member 240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120 So as to have a convex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positioning member 24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upw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10 and 11 are substantially identical to each other except for the shape of the shaft portion and the position determining member 140 described above, so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Fig. 11, reference numeral 242 denotes a latching portion, and 243 denotes a pressing portion.

위치확인부재(240)가 볼록한 형상의 축부(241)를 가짐으로써, 위치확인부재(240)의 제조 시 부품을 사출하고 난 후 냉각 수축에 의해 양 끝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부재(240)는 축부(241)의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축부(241) 중앙의 중심과 각 누름부(242)에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벤딩 모멘트에 대한 강성이 증가하여, 위치확인부재(240)가 플러그 하우징(120)에 삽입될 때 사용자가 볼록한 부분을 누름으로써 더 쉽게 위치확인부재(240)를 삽입할 수 있다.By having the positioning member 240 having the convex shape portion 24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th ends from being sagged by the cooling shrinkage after the component is inject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sitioning member 240. The position determining member 240 is formed such that the center of the shaft portion 241 is convex so that the rigidity against the center of the shaft portion 241 and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when a force is applied to each of the pressing portions 242 increases , It is easier for the user to insert the positioning member 240 by pressing the convex portion when the positioning member 240 is inserted into the plug housing 120. [

리셉터클 단자부(Receptacles)(130)는, 소켓부(110)와 포스트(115)에 접촉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외관을 형성하는 리셉터클 단자 프레임(131)과, 포스트(115)를 수납하여 접촉하는 부분인 포스트 접촉부(135), 플러그 하우징(120)에 고정되는 외팔보(Cantilever) 형상의 랜서(Lancer)(133) 및 와이어를 고정 연결하는 와이어 고정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대략 박스 형상을 갖는 리셉터클 단자 프레임(131) 내부에 클립 형상의 포스트 접촉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포스트 접촉부(135)는 소정 크기로 굴곡 및 중첩되어서 그 내측이 와이어 고정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포스트 접촉부(135)와 와이어 고정부(136) 및 랜서(1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포스트 접촉부(135)가 굴곡 및 중첩된 형상을 가지고, 그 자체의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포스트(115)가 삽입되면 포스트 접촉부(135)와 형성하는 리셉터클 단자 프레임(131) 사이에서 포스트(115)가 가압되어 접촉되고, 포스트(115)와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receptacle terminal receptacles 130 are in contact with the sockets 110 and the posts 115 to electrically connect them.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ncludes a receptacle terminal frame 131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post contact portion 135 that is a portion that contacts and receives the post 115. A cantilever- A Lancer 133, and a wire fixing portion 136 for fixing the wire. For example,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may be provided with a clip-shaped post contact portion 135 inside the receptacle terminal frame 131 having a substantially box shape. The post contact portion 135 may be bent and overlapped with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wire fixing portion 136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That is, the post contact portion 135 and the wire fixing portion 136 and the lancer 133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has a shape in which the post contact portion 135 is bent and overlapped and has its own elasticity so that when the post 115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frame 130 between the receptacle terminal frame 131 formed with the post contact portion 135 The posts 115 are pressed and contacted, and the posts 115 and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1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플러그 하우징(120) 내부에 2열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랜서(133)가 플러그 하우징(12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s 130 may be arranged in two rows inside the plug housing 120 and in this case the lancer 133 may be arrang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120. [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러그 하우징(120)이 소켓부(110)에 삽입 결합되므로 커넥터 모듈(100)의 최종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부(130) 및 위치확인부재(140)가 플러그 하우징(120)보다 돌출되지 않으므로, 이 역시 커넥터 모듈(100)의 최종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120) 외측으로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와이어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부재(140)가 리셉터클 단자부(130)가 정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은 물론, 리셉터클 단자부(140)의 상부에서 다시 눌러주는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120)에 결합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단자부(130)는 이중으로 잠금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ince the plug housing 12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110, the final height of the connector module 100 can be minimized. Also, since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and the positioning member 140 do not protrude from the plug housing 120, the final height of the connector module 100 can be minimized. Since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120, the wire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ing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120 in a state of pressing agai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40 as well as confirming whether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s coupled in the correct position,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0 is doubly locked.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모듈(100)은 제품 전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모듈(100)은 GWT 750을 만족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원용 커넥터로 사용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the connector module 100 can lower the height of the entire product. Further, the connector module 100 can use a material satisfying the GWT 750, and can be used as a power supply connector.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인쇄회로기판
100: 커넥터 모듈
110: 소켓부
111: 소켓 프레임
112: 플러그 결합부
114: 걸림부 수용부
115: 포스트
116: 포스트 지지부
117: 홈
120: 플러그 하우징
120a: 랜서 결합부
121: 플러그 프레임
122: 소켓 결합부
123: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
124: 위치확인부재 수용부
125: 포스트 수용부
126: 위치확인부재 결합부
130: 리셉터클 단자(리셉터클 단자부)
131: 리셉터클 단자 프레임
133: 랜서(lancer)
135: 포스트 접촉부
136: 와이어 고정부
140: 위치확인부재
141: 축부
142: 걸림부
143: 누름부
10: printed circuit board
100: Connector module
110: socket portion
111: Socket frame
112:
114:
115: Post
116: post support
117: Home
120: Plug housing
120a:
121: Plug frame
122:
123: receptacl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24: Positioning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125: Post accommodating portion
126: Positioning member coupling part
130: receptacle terminal (receptacle terminal portion)
131: Receptacle terminal frame
133: Lancer
135:
136: wire fixing portion
140: Positioning member
141:
142:
143:

Claims (17)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가 이탈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누르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의 랜서가 결합되는 랜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확인부재를 수용하는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면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확인부재 수용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모듈.
A plug housing having a receptacle terminal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 socke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osts coupl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to which the plug housing is coupled; And
A positioning memb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to press the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re separated;
Lt; / RTI >
Wherein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 lancers are formed in the plug housing,
A recessed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ositioning member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Wherein the positio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such that an upper surface is coplanar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축부;
상기 축부에서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향하도록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각 리셉터클 단자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누름부; 및
상기 축부의 양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ing member comprises:
A shaft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lug housing;
A plurality of pressing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aft portion and protruding downward toward the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to press and fix the upper portions of the receptacle terminals; And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and coupled to the plug housing;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haft portion has a flat upp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면의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haft portion is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convex.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2열로 구비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2열의 리셉터클 단자 사이에 구비되는 커넥터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re provided in two rows in the plug housing, and the position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wo rows of receptacle terminals.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와 상기 걸림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커넥터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서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팔보 형상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상기 각 리셉터클 단자의 상기 랜서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커넥터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ncer has a cantilevered shape protruding outside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lancet of each receptacle terminal faces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가 수용되는 리셉터클 단자 수용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포스트가 삽입 결합되는 포스트 수용부;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g housing,
A receptacle terminal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re received;
A post accommod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post is inserted through the plug housing; And
A positioning member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plug housing and coupled with the positioning member;
And a connector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에서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저면에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시 발생하는 기체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커넥터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groove is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discharge gas generated when the pos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다수의 포스트가 상기 소켓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소켓부 표면에서 돌출 형성된 포스트 지지부가 형성된 커넥터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cket portion has a plurality of posts coupled through the socket portion and a po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socket portion to support the pos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포스트가 구비되는 부분의 주변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ocket portion has a periphery of a portion where the post is provided is thicker than the other portion.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와 결합되는 다수의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결합되는 소켓부; 및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가 이탈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누르도록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보다 상부에서 결합되는 위치확인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부는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들이 2열로 배치되되, 각 열에 배치된 리셉터클 단자들의 랜서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랜서가 결합되는 랜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면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에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가 배열된 2열 사이에 구비되는 커넥터 모듈.
A plug housing having a receptacle terminal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 socke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osts coupl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to which the plug housing is coupled; And
A positioning member coupl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at a position above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to press the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re separated;
Lt; / RTI >
Wherein the receptacle terminal por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receptacle terminals are arranged in two rows, and a lancet of receptacle terminals disposed in each row is directed to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A lancet engagement portion to which the lancer is coupled is formed in the plug housing,
Wherein the positioning member is coupled to a recessed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so that an upper surface thereof is coplanar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And a connector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포스트가 구비되는 부분의 주변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ocket portion has a periphery of a portion where the post is provided is thicker than the other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 외측으로 상기 위치확인부재가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오목한 형상의 위치확인부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확인부재는 상기 위치확인부재 수용부에 삽입 결합되는 축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A recessed shaped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ug housing to receive the positioning member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plug housing and the positio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member receiving portion The connector modu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shaft portion has a flat upper surfa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면의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shaft portion is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convex.
KR1020130044888A 2013-01-11 2013-04-23 Connector module KR1020055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3527 2013-01-11
KR1020130003527 2013-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31A KR20140091431A (en) 2014-07-21
KR102005586B1 true KR102005586B1 (en) 2019-07-31

Family

ID=5173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888A KR102005586B1 (en) 2013-01-11 2013-04-23 Connector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5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112B1 (en) 2018-10-29 202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87036B1 (en) * 2022-10-04 2023-01-10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Connector for high speed and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563A (en) * 2003-12-22 2004-03-25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7138B2 (en) * 1999-03-01 2001-11-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High voltage connector
KR100341514B1 (en) * 1999-12-08 2002-06-22 홍성용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563A (en) * 2003-12-22 2004-03-25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431A (en)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24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5876217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JP4955731B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588443B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562262B1 (en) A connector and a method of mounting it to an electric device
US723231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ans
CN111164840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US779425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CN108140992B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150222046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11244654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KR20160009491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101337546B1 (en) Connector terminal
US7090508B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2008021406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JP2006244955A (en)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ion
KR20170042484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684618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means
JP5444285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5444284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005586B1 (en) Connector module
JP5444283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315018B1 (en)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JP2019029107A (en) 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