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755B1 -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 Google Patents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755B1
KR102004755B1 KR1020180139038A KR20180139038A KR102004755B1 KR 102004755 B1 KR102004755 B1 KR 102004755B1 KR 1020180139038 A KR1020180139038 A KR 1020180139038A KR 20180139038 A KR20180139038 A KR 20180139038A KR 102004755 B1 KR102004755 B1 KR 10200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ase
bubble
storage tank
bub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경호
강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to KR102018013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755B1/en
Priority to PCT/KR2018/014681 priority patent/WO2020101099A1/en
Priority to AU2018274859A priority patent/AU201827485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7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8Air or gas separators in combination with liquid meters; Liquid separators in combination with gas-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2Froth control preventing fro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5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measurement system. The system for measuring liquid supplied to a storage tank includes: a supply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supply unit transferring liquid from the outside, and having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to enable the liquid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a bubble removing part installed in one part of the supply pipe to remove bubbles generated when the liquid is supplied; a gas-liquid separator placed in the supper part of the bubble removing part at a distance to separate liquid from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removing part; a measurement part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between the bubble removing part and the storage tank to measure the flowrate, speed and temperature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and a control part controlling the flowrate of the liquid by controlling whether to open or close a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and collect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part. Therefore, the liquid measurement system is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the amount of liquid, especially oil, by effectively removing bubbles generated when a large amount of liquid is supplied to a storage tank through an external supply unit.

Description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metering system,

본 발명은 액체계량(液體計量)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공급수단을 통해 저장탱크로 대량의 액체를 공급할 때 기포(氣泡)의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된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공급되는 액체, 특히 유류(油類)의 입고량(入庫量)을 정확하게 계량(計量)할 수 있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mete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metering system that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bubbles when a large amount of liquid is supplied to a storage tank through external supply mea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elimination type liquid metering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an amount of a liquid to be supplied, in particular, an amount of oil (oil) to be supplied.

일반적으로 저장탱크에 액체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기포의 영향으로 저장되어야 하는 정량의 액체보다 적은 양이 저장되어 저장되는 액체의 양이 일정하지 않았으며, 정확한 액체의 입고량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Generally, a vortex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toring liquid in a storage tank, and the amount of liquid to be stored is less than a certain amount of liquid to be stored due to the effect of bubbles generated thereby, There was a difficulty in measuring the stock amount.

특히, 유류의 경우 점차 증가하고 있는 유가의 영향으로 정유사에서 각 주유소로 공급하는 유류의 정확한 입고량은 매우 민감한 부분에 해당한다.In particular, due to the increasing oil price in the case of oil, the exact amount of oil supplied from refineries to each gas station is very sensitive.

정유사에서 각 주유소로 유류를 공급하기 위한 탱크로리용 유류공급장치는 정유사에서 탱크로리에 공급 시 모든 기포를 제거한 상태에서 공급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기포 제거 장치 없이 주유소의 저장탱크에 펌프를 활용하여 공급하는 구조였다.The oil supply system for the tank lorry to supply the oil from the oil refinery to each gas station is a system that supplies the tank with the pump to the storage tank of the gas station without a separate bubble removing system Respectively.

또한, 종래의 기술로서 유체인 석유류제품을 온도에 따른 부피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주로 최종소비자에게 사용하는 주유기에 온도 보정장치를 장착하는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으며, 온도센서와 유량계유니트와 컴퓨터로 이루어진 유량측정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온도 차이에 따른 용적환산계수를 연산하여 표준온도에서 정확한 액체의 유량을 산정하는 유랑계유니트는 알려져 있다.In addition,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techniques for mounting a temperature compensating device on a lubricator mainly used for a final consumer to correct a variation in volume with a temperature of a petroleum product that is a fluid are disclosed, and a temperature sensor, a flowmeter unit, and a computer A flow meter unit is disclosed which is disclosed for a flow meter and computes a volume convers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a temperature difference to calculate an accurate liquid flow rate at a standard temperature.

그러나 탱크로리를 통해 주유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유류가 흔들리면서 거품이 발생하고, 또한 탱크로리에서 유류를 지하 저장탱크로 펌핑할 때 케비테이션 현상(cavitation : 액체가 유동하고 있을 때, 어느 점의 압력이 그때의 액온의 증기압보다 내려가 액속의 공기와 수증기가 분리되어 기포를 발생시키고 공동을 만드는 현상)에 의해 기포가 많이 발생하여 이송 유류 속에 내재하게 되어 주유소의 저장탱크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유류의 정량 측정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avitation occurs when the oil is shaken and bubbles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oil through the tank lorry, and when the oil is pumped from the tank into the underground storage tank, cavitation (when the liquid is flowing, The air is separated from the vapor in the liquid to generate air bubbles and cavities are formed. As a result, a large amount of air bubbles are generat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air bubbles in the transfer oil, which is difficult to measure in the process of being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of the gas station There was a problem following.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은 유류공급부와 상기 유류공급부에 연결되어 공기와 액체의 중량차에 의하여 공기를 보유하는 공기 리저버와 상기 공기 리저버의 하부 쪽에 연결되어 회전신호를 검출하는 터빈 유량계유니트와 상기 터빈 유량계유니트에 통합되거나 인근에 설치되어 액체의 온도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공기 리저버 상부에 연결되어 제거된 공기가 많은 성분을 콘트롤밸브 하류에 바이패스로 보내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온도신호와 회전신호를 받아 유량을 계산하고 밸브 등을 제어하는 컴퓨터 수단을 포함하여 액체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측량 가능한 액체계량장치를 제공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air reservoir connected to a oil supply unit and the oil supply unit to retain air by a difference in weight between air and a liquid, a turbin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air reservoir,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signal of the liquid, which is incorporated into or near the flowmeter unit and the turbine flowmeter unit, and a gas-liquid separator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reservoir for bypassing the air- And a computer means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signal and the rotation signal to calculate a flow rate and controlling a valve and the like, thereby providing a liquid mete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liquid in real time.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1은 주 배관에 'ㄱ'자형 공기 리저버에 의하여 공기의 배출은 할 수 있으나, 상기 ‘ㄱ’자형 배관에 의한 유류의 흐름이 소용돌이를 일으키므로 유량의 정확한 측정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소용돌이로 인한 기포의 발생으로 정확한 유량을 산출하기가 어려우며, 복잡한 설비로 인해 설비비용이 다소 높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1, the air can be discharged by the 'A' air reservoir to the main piping, but the flow of the oil by the 'A' piping causes vortex, ,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accurate flow rate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bubbles due to the vortex, and the facility cost is somewhat high due to complicated equipment.

KR 10-0466317 B1KR 10-0466317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급수단으로부터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공급을 위한 공급배관에 구비되어 액체 공급 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부와 상기 기포제거부에서 제거되어 배출되는 기포에 포함된 액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를 구성하고, 상기 기포제거부와 저장탱크 사이 공급배관의 어느 한 부분에 액체의 온도와 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갖춤으로써, 외부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의 기포를 제거하고, 온도에 따른 액체의 부피 차이를 보정하여 저장탱크에 공급되는 액체의 정량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기포에서 액체를 분리하여 낭비되는 액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설비에서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하여 기포제거부를 구성함으로써, 설비의 축소에 의한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supply pipe for supplying a liquid for storing a liquid from an external supply means to supply a bubbles to the bubbles, 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liquid contained therein and a measuring section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velocity of the liquid at any one part of the supply pipe between the bubble rejection and the storage tank, It is possible to precisely quantify and supply the quantity of liqui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by correcting the volume difference of the liqui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o minimize the waste liquid by separating the liquid from the discharged bubbles, By eliminating unnecessary elements in the plant for the purpose of reducing foam,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facility cost caused by the bubble elimination type liquid metering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 공급되는 액체를 계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이 외부에서 액체를 이송해온 공급수단과 연결되고, 액체가 상기 저장탱크에 공급될 수 있도록 타측이 상기 저장탱크에 배관 연결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액체 공급 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부; 상기 기포제거부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기포제거부에서 생성되는 기포에서 액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상기 기포제거부와 저장탱크 사이의 상기 공급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 유속 및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하부 공급배관에 구비된 조절밸브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metering liquid supplied to a storage tank, wherein one side is connected to a supply means for transferring liquid from the outside, and the other side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by piping; A foaming agent provided on any one part of the supply pipe to remove bubbles generated when the liquid is supplied; A gas-liquid separato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ubble rejection to separate liquid from bubbles generated in the foaming rejection; A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supply pipe between the bubble rejection unit and the storage tank for measuring a flow rate, a flow velocity and a temperature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liqui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gulating valve provided in the lower supply pipe and collect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

이때, 상기 기포제거부는, 상부와 하단에 상기 공급배관이 각각 배관 연결되고, 하단면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관 연결되는 상기 공급배관과 연결되는 링파이프; 상기 링파이프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링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액체가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를 향해 흘러내리며, 액체 속에 포함된 기포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호퍼를 따라 흘러내린 액체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으로 퍼져 흘러내리며, 액체 속에 포함된 기포가 방출될 수 있도록 경사를 이루는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판을 지지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흘러내린 액체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하부 공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폼브레이커; 및 상기 케이스의 중앙을 관통하고, 기포에서 발생된 기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이격 구비된 기액분리기와 연결되는 기포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ubble rejection is a case in which piping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the lower end faces are gently inclined; A ring pipe attach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so that liquid can flow into the case; A hopper which is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ing pipe to allow the liquid flowing through the ring pipe to flow down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case, thereby releasing bubbles contained in the liquid; An inclined plate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so that liquid flowing down along the hopper flows down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and is inclined so that bubbles contained in the liquid can be discharged; A foam break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wash plate to support the swash plate and to divide the lower space of the case to prevent a vortex from being generated in the liquid flowing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ase; And a bubble discharging pip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a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above the case so as to discharge the gas generated from the bubble.

또한, 상기 기포제거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배관과 배관 연결되는 유입홀로 유입되는 액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감싸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호퍼, 경사판 및 폼브레이커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원형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bble rejection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so as to adjust the flow of the liquid flowing into the inflow hol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nd connected to the inflow hole. The hopper, the swash plate, And a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so as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이때, 상기 원형통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판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벽을 타고 흘러 내려온 액체가 와류의 생성 없이 상기 공급배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타공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troughs are further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ylindrical body so that the liquid flowing down the inner wall of the case along the swash plate can flow into the supply pipe without generating vortex.

또한, 상기 원형통의 내부에는, 상기 원형통으로 유입된 액체의 양을 제어하고, 기포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정 수준의 액체가 존재하도록 하는 부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ircular cylinder may further include an annular cylinde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circular cylinder and allowing a predetermined level of liquid to exist in the case so that the bubbles can be discharged smoothly.

이때, 상기 부이는, 상기 원형통의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기포배출관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하 이동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높이제한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uoy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bubble discharge pip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ircular tube, and the height restricting means is coupled to restrict the vertical movement height.

또한, 상기 링파이프는, 상기 공급배관을 통해 유입된 액체가 일률적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링파이프의 하단면을 따라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ing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a slit is formed along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ing pipe so that the liquid introduced through the supply pipe can be uniformly dropped.

그리고 상기 호퍼는, 상부 곡률반지름이 하부 곡률반지름보다 큰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urvature radius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lower curvature radius.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기포제거부에서 배출된 기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포배출관과 연결되는 분리기몸체; 상기 분리기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포제거부에서 배출된 기포가 통과 하면서 마찰을 일으켜 액체를 분리하는 타공판; 상기 타공판을 통과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기몸체의 어느 한 부분에 배관 연결되는 배출배관; 및 상기 타공판을 통해 분리된 액체가 상기 기포제거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기몸체의 하단과 상기 기포제거부의 어느 한 부분에 각각 배관 연결되는 회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gas-liquid separator may include a separator body connected to the bubble discharge pipe so that th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rejection may be introduced; A perforated plate provided inside the separator body for separating the liquid by causing friction between th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rejection;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a part of the separator body so that the gas passing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recovery pipe connected to one of the lower end of the separator body and the bubble rejection unit so that the liquid separated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may be introduced back into the bubble rejection unit.

이때, 상기 기포배출관의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케이스 상부의 기포압력에 의해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기포를 배출시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when the bubble level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by the bubble pressur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the bubble is discharged when the pressure exceeds the set pressure, pressure control Further comprising a valv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외부 공급수단을 통해 액체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생긴 기포 및 저장탱크로 액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기포에 함유되어 배출되는 액체를 분리 회수하여 낭비되는 액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른 액체의 부피 차이를 고려하여 저장탱크에 공급되는 액체의 정량을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고, 유류뿐만 아니라 우유, 요소수, 간장 등의 모든 액체를 공급하는 과정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높음과 동시에 액체를 공급받는 업주와의 신뢰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liquid to the bubbles and the storage tank which are generated in the course of carrying the liquid through the external supply mean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aste liquid to be collected and to accurately measure the quantity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difference of the liqui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o measure not only the oil but also all the liquids such as milk, It can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liquid, which is highly usable,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n effect of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liquid supplie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의 기포제거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의 링파이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의 호퍼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의 폼브레이커 및 경사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의 기액분리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ubble removal type liquid me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bubble rejection in the bubble elimination type liquid me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ing pipe of a bubble removing type liquid me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pper of a bubbly liquid mete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am breaker and a swash plate of the bubble elimination type liquid me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gas-liquid separator of a bubble elimination type liquid me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ubble removal type liquid me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급수단(S)을 통해 저장탱크(T)로 대량의 액체를 공급할 때 발생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공급되는 액체의 입고량을 정확하게 계량(計量)할 수 있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류뿐만 아니라 우유, 기름, 요소수, 간장 등 전반적인 액체의 공급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성이 높은 액체계량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removal type liquid metering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removing bubbles generated when a large amount of liquid is supplied to a storage tank (T) through an external supply means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oil, but also to the supply of general liquids such as milk, oil, urea water, and soy sauce, thereby providing a highly usable liquid metering system.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은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배관(100), 기포제거부(200), 기액분리기(300), 측정부(400) 및 통제부(500)로 구성될 수 있다.1 to 7, a bubble elimination type liquid me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pipe 100, a foam rejection unit 200, a gas-liquid separator 300, a measurement unit 400, and a control unit 50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배관(100)은 일측이 외부에서 액체를 이송해온 공급수단(S)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탱크(T)에 배관 연결되어 상기 공급수단(S)에서 이송해온 액체가 상기 저장탱크(T)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pipe 100 is connected to a supply means S having one side for transferring liquid from the outsid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T for piping,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또한, 상기 공급배관(100)에는 공급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통제부(500)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조절밸브(1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supply pip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valve 110 that is operat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0 to control the amount of liquid to be supplied.

이때, 상기 공급배관(100)을 따라 공급되는 액체는 와류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다량의 기포가 발생하여 액체의 입고량이 정확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배관(100)의 어느 한 부분에 상기 기포제거부(200)를 구비하여 액체 공급 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liquid supplied along the supply pipe 100 from being vortexed and thereby caus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to be generated, The bubble removing unit 200 may be provided to remove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supply of the liquid.

즉, 상기 공급수단(S)과 상기 저장탱크(T)의 사이에 상기 기포제거부(2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공급수단(S), 기포제거부(200) 및 저장탱크(T)는 상기 공급배관(100)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공급수단(S)에서 상기 저장탱크(T)로 공급되는 액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상기 기포제거부(200)에서 제거하여 줌으로써, 공급하고자 했던 정량의 액체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bubble rejec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ly unit S and the storage tank T, and each of the supply unit S, the foam rejection unit 200, and the storage tank T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liqui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from the supply means S are sequentially removed from the bubbler refuse 200 by the connection of the supply pipe 100, Of the liquid can be su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포제거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기포제거부(200)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에 배출되는 기포에서 액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액체를 다시 상기 기포제거부(200)로 유입시켜 낭비되는 액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액분리기(300)가 이격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foam rejection unit 200, a liquid is separated from bubbles discharg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bubbles from the bubbling rejection unit 200, Liquid separator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300 so as to minimize the waste liquid.

또한, 상기 기포제거부(200)와 상기 저장탱크(T) 사이의 상기 공급배관(100)에는 상기 저장탱크(T)로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 유속 및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supply piping 100 between the bubble rejection unit 200 and the storage tank T is provided with a measuring unit 400 for measuring a flow rate, a flow velocity and a temperature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400)는 액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에 구비된 로터의 회전으로 유속을 측정하는 속도측정계 및 유량계와 속도측정계의 측정 정보를 상기 통제부(500)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ing unit 400 may include a flow met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iquid, a speed 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by rotation of the rotor provided in the flow meter,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0.

또한, 상기 측정부(400)에는 상기 저장탱크(T)로 공급되는 액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계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가변 될 수 있는 액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저장탱크(T)로 공급되는 액체의 정확한 입고량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measuring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So that the correct amount of liquid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can be corrected.

그리고 상기 통제부(500)는 상기 공급배관(100)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수단(S)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110)의 개폐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whether the control valve 110 is opened or closed to regulate the flow rate of the liquid supplied through the supply unit S, which is provided in the supply pipe 100.

또한, 상기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액체의 유량, 유속 및 온도의 정보를 수집 관리하여 상기 저장탱크(T)에 공급되는 액체의 입고량을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flow rat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the liquid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400 may be collected and managed to accurately check the amount of liquid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이를 위해 상기 통제부(500)에는 실시간으로 측정값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not shown) for confirming the measured value in real time.

즉, 상기 유량계와 속도측정계 그리고 온도측정계에서 측정하여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누적량을 연산한 후, 보상을 산정하며, 잔류량을 측정하고 합산하여 산정한 입고량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기하여 공급자와 수혜자가 함께 실시간으로 정확히 계측된 입고량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accumulation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low meter, the speed meter and the temperature meter, the compensation is calculated, the remaining amount is measured and summed up on the display, and the supplier and the beneficiar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ccurately measured amount of goods together with real time.

이때, 상기 기포배출관(260)의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케이스 상부의 기포압력에 의해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설정된 기포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기포를 배출시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조절밸브(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water level is kept constant by the bubble pressure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when the bubble pressure is higher than the set bubble pressure, the bubble is discharged to arbitrarily adjust the pressure to prevent the explosion And a pressure regulating valve (600)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이와 같은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1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such a bubbly-free liquid metering system will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포제거부(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 링파이프(220), 호퍼(230), 경사판(240), 폼브레이커(250), 기포배출관(260) 및 원형통(270)으로 구성될 수 있다.2, the bubble rejection unit 200 includes a case 210, a ring pipe 220, a hopper 230, a swash plate 240, a foam breaker 250, A bubble discharge pipe 260, and a cylindrical body 270.

상기 케이스(210)는 상부와 하단에 상기 공급배관(100)이 각각 배관 연결되고, 하부면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내부가 중공 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흐르게 되는 액체와 상기 케이스(210)의 벽면 간의 충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210 may be constructed such that the supply pipe 100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pe 2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210 has a gentle inclination. So that collision between the liquid flowing insid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case 210 can be minimized.

즉, 상기 공급수단(S)과 배관 연결된 상기 공급배관(100)이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에 배관 연결되어 액체가 유입되며, 유입된 액체는 기포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10)의 하단에 배관 연결된 상기 공급배관(100)을 따라 상기 저장탱크(T)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supply pipe 100 connected to the supply means S is pip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se 210 to introduce liquid, and the inflow liquid flows through the case 210, And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along the supply pipe 10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ipe.

또한, 상기 링파이프(220)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에 배관 연결되는 상기 공급배관(100)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210) 내부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ring pipe 220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0 and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10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se 210, So that they can be intro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링파이프(2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링파이프(220)의 하단면을 따라 슬릿(221)이 형성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pipe 220 may be formed with a slit 221 along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ing pipe 22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상기 링파이프(220)의 링 형상과 그 링 형상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슬릿(221)은 상기 공급배관(100)을 통해 상기 링파이프(220)로 유입된 액체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와류의 발생을 최소화 하면서 일률적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slit 221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ring shape of the ring pipe 220 and the ring shape of the ring pipe 220 is formed in the case 210 by the liquid flowing into the ring pipe 220 through the supply pipe 100, So that the generation of vortexes can be minimized and uniformly dropped.

또한, 상기 링파이프(220)의 하부에는 상기 호퍼(230)가 이격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pper 2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ing pipe 22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호퍼(2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pper 230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open top and bottom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호퍼(230)의 상부 곡률반지름은 하부 곡률반지름보다 더 크게 구성될 수 있으며, 측면은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링파이프(220)를 통해 유입된 액체가 상기 케이스(210)의 중앙부를 향해 흘러내리면서 액체 속에 포함된 기포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curvature radius of the hopper 230 may be larger than the lower curvature radius, and the side surface may be formed to have a gentle curved surface, so that the liquid introduced through the ring pipe 220 flows into the case 210 So that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liquid can be released while flowing down toward the center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판(240)은 상기 호퍼(230)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며, 상기 호퍼(230)를 따라 상기 케이스(210)의 중앙부를 향해 흘러내린 액체가 다시 상기 케이스(210)의 내벽을 향해 퍼져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내벽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ash plate 24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230, and the liquid flowing down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e 210 along the hopper 230 is returned to the case 210,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case 210 so as to flow down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case 210.

이는 상기 케이스(210)로 유입되는 액체가 1차적으로 상기 호퍼(230)에 의해 모아지며 액체 속에 포함된 기포가 빠져나가게 되고, 2차적으로 상기 경사판(240)을 따라 펼쳐지면서 액체 속에 포함된 기포가 쉽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liquid flowing into the case 210 is primarily collected by the hopper 230 and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liquid are discharged. The bubbles are spread along the swash plate 240, So that it can be easily rel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판(240)은 상판과 하판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ash plate 240 may have a dual structure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이때, 상기 하판은 상기 폼브레이커(2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상판은 후술할 부이(272)가 상승하는 높이를 제한하고, 상기 폼브레이커(250)와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plate is supported by the foam breaker 250, and the upper plate restricts a height at which the buoy 272 is raised, and plays a role of strengthening the coupling with the foam breaker 250 can do.

또한, 상기 상판을 따라 상기 케이스(210)의 벽면을 향해 흐르는 액체가 상기 하판과 충돌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측판이 더 구비되어, 액체가 상기 케이스(210)의 벽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210)의 하부로 아무런 방해 없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urther, a side plate for connect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prevent bubbles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liquid flowing toward the wall surface of the case 210 along the upper plate collides with the lower plat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210 without any disturban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폼브레이커(25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하부 공간을 분할 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격벽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경사판(240)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경사판(240)을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breaker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s to divide the lower space of the case 210, as shown in FIG. 5, and the swash plate 240 So that the swash plate 240 can be supported.

즉, 상기 경사판(240)에 의해 상기 케이스(210)의 내벽을 따라 흘러내린 액체가 상기 케이스(210)의 하부 공간에서 와류를 형성하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폼브레이커(250)를 이루는 복수의 격벽이 상기 케이스(210) 내부 공간을 분할하게 되며, 각각의 분할된 공간으로 흘러내린 액체는 와류의 발생을 최소화 하여 기포의 생성을 억제시키면서 상기 케이스(210)의 하단에 배관 연결된 상기 공급배관(100)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liquid flowing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ase 210 by the swash plate 240 from forming a vortex in the lower space of the case 210 and discharging the liquid, And the liquid flowing into each of the divided spaces minimizes the generation of vapors so that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is suppressed while the supply pipe (1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호퍼(230), 경사판(240) 및 폼브레이커(250)는 상기 케이스(21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형통(270)에 의해 지지 고정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pper 230, the swash plate 240, and the foam breaker 250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210, And can be supported and fixed by the mold 270.

이를 위해 상기 호퍼(230) 및 경사판(240)은 중앙으로 상기 원형통(27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원형통(270)과 상기 호퍼(230) 및 경사판(240)이 각각 결합되어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2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hopper 230 and the swash plate 240 are provided so as to penetrate the circular cylinder 270 at the center and the circular cylinder 270 is coupled to the hopper 230 and the swash plate 240, A support member 280 may be further provided to support and fix.

또한, 상기 폼브레이커(250)는 상기 원형통(27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 구비되도록 격벽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폼브레이커(250)가 이탈하거나 흔들림 없이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 공간을 분할 시킬 수 있다.The foam breaker 250 is partition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body 27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ylindrical body 27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case 210 is divided .

이때, 상기 폼브레이커(250)를 이루는 격벽은 상기 원형통(27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원형통(270)의 내측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폼브레이커(25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경사판(240)과 상기 폼브레이커(250)가 지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2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rtition wall constituting the foam breaker 250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rotector 270. In this case, the foam breaker 250 may be installed on an inner part of the protector 270, And a joining member 280 'for supporting the swash plate 240 and the foam breaker 250 to be supported.

이는 하부로 흘러내려 모인 액체의 압력을 보다 견고하게 견디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allows the pressure of the collected liquid to flow more firmly to the bottom.

또한, 상기 기포배출관(260)은 상기 케이스(210)의 중앙을 관통하고,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에 이격 구비된 상기 기액분리기(300)와 연결되어 기포에서 발생된 기체를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ubble discharging pipe 260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case 210 and is connect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300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case 210 to discharge the gas generated from the bubble. Can be performed.

즉, 상기 기포제거부(200)에 의해 방출되는 액체의 기포가 터지면서 발생하는 기체를 상기 기포배출관(260)을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300)로 배출시키고, 상기 기액분리기(300)에서 기체와 액체를 한번 더 분리시킴으로써, 낭비되는 액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Liquid separator 300 through the bubble discharging pipe 260 and discharges the gas and liqui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300. The gas-liquid separator 300 discharges the gas generated by the bubbles of the liquid discharged by the bubble removing unit 200, The liquid to be wasted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원형통(270)은 상기 케이스(210) 하단에서 상기 공급배관(100)과 배관 연결되는 유입홀(211)로 유입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감싸며, 그에 따라 상기 원형통(270)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판(240)을 따라 상기 케이스(210)의 벽면을 타고 흘러 내려온 액체가 와류의 생성 없이 상기 공급배관(10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타공부(271)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cylindrical body 270 covers the lower end of the case 210 so as to adjust the amount of the liquid flowing into the inlet hole 211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100, A plurality of punched holes 271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210 so as to allow the liquid flowing down the wall of the case 210 along the swash plate 240 to flow into the supply pipe 100 without generating vortex Can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포배출관(260)은 상기 케이스(210)의 중앙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원형통(27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원형통(270)의 하부 벽면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기포배출관(260)이 연결된 상기 원형통(270)의 벽면에는 상기 원형통(270) 외부에서 기포가 제거되면서 생성되는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discharging pipe 260 may penetrate the center of the case 210 and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case 270, And a hole for discharging the gas generated while bubbles are re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70 may be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270 connected to the bubble discharge pipe 260 have.

그로 인해, 기포가 제거된 액체는 상기 원형통(270)에 형성된 상기 타공부(271)를 통해 상기 원형통(270)으로 유입되어 상기 공급배관(10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T)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액체에서 제거된 기포에서 발생하는 기체는 상기 기포배출관(260)을 통해 상기 기포제거부(200)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는 상기 기액분리기(30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bubbled liquid flows into the cylindrical body 270 through the ridge 271 formed in the cylindrical body 270 and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through the supply pipe 100 And the gas generated from the bubbles removed from the liquid can be discharg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30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oam eliminator 200 through the bubble discharge pipe 26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형통(270)의 내부에는 상기 원형통(270)으로 유입된 액체의 양을 제어하고, 기포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10)에 일정 수준의 액체가 존재하도록 하는 부이(272)를 더 포함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cylindrical body 270 may be controlled in the cylindrical body 270, and a certain level of the liquid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e 210, And a buoy 272 for allowing the liquid of the liquid to be present.

또한, 상기 부이(272)는 상기 원형통(270)의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기포배출관(26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하 이동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높이제한수단(273)이 결합될 수 있다.The buoy 272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bubble discharging pipe 260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70 and the height restricting means 273 is coupled to restrict the vertical moving height .

즉, 상기 부이(272)는 유입된 액체의 양에 따라 상하로 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기포배출관(26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액체의 양에 대응하여 기포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높이제한수단(273)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높이를 제한하여 줌으로써, 상기 원형통(270)에 일정 수준의 액체가 존재하도록 하여 기포가 충분히 배출되고 난 뒤 액체가 상기 저장탱크(T)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at is, the buoy 272 provides up and down buoyancy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he introduced liquid so that the bubble discharging pipe 260 can be moved up and down, so that bubbles can be smoothly discharged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liquid, The height of the upper tank 270 is limited by the height restricting means 273 so that a certain level of liquid is allowed to exist in the cylindrical tank 270 and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To be able to do s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액분리기(3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기몸체(310), 타공판(320), 배출배관(330) 및 회수배관(34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포제거부(200)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고, 상기 기포제거부(200)의 중앙을 관통하는 상기 기포배출관(2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liquid separator 300 may include a separator body 310, a perforated plate 320, a discharge pipe 330, and a recovery pipe 340 as shown in FIG. A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bble removing unit 200 by the bubble discharge pipe 260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ubble removing unit 200.

이때, 상기 분리기몸체(310)는 상기 기액분리기(300)의 외관을 뜻하며, 상기 기포제거부(200)에서 배출된 기포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포배출관(260)과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separator body 310 refers to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gas-liquid separator 3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ubble discharge pipe 260 so that th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rejection unit 2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300)를 통해 기포에서 분리된 액체를 원활하게 모으고, 모인 액체를 상기 기포제거부(200)로 다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ortion is formed so as to smoothly collect the liquid separated from the bubbles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300 and to return the collected liquid to the bubbler refuse 200.

또한, 상기 타공판(320)은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판으로써, 상기 분리기몸체(3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포제거부(200)에서 배출된 기포가 상기 기포배출관(26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타공판(320)을 통과하면서 마찰을 일으켜 기포 속에 포함된 액체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ubble removing uni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ores formed in the separator body 310. The bubble discharged from the bubble removing unit 2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parator body 310 through the bubble discharge pipe 260, And is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separating the liquid contained in the bubbles by causing fri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320.

이때, 상기 타공판(320)을 통과하여 액체가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기몸체(310)의 어느 한 부분에 배관 연결되는 것이 상기 배출배관(330)이며, 상기 배출배관(330)은 상기 분리기몸체(310)에 배관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몸체(3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기포배출관(260)과 상호 대칭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pipe 330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separator body 310 so that the gas separated from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32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pipe 330 Is connected to the separator body 310 so as to be mutu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bubble discharge pipe 260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eparator body 310.

이는 상기 분리기몸체(310) 내부에 액체가 분리된 기체가 원활히 빠져나가지 못하고 남아서 분리된 액체와 다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분리기몸체(310) 내부로 기포를 유입시키는 상기 기포배출관(260)과 액체가 분리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기 배출배관(330)이 마주보게 함으로써, 액체가 분리된 기체가 상기 분리기몸체(310)의 내부에서 잔류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The bubble discharging pipe 260 for introducing bubbles into the separator body 310 prevents the liquid separated from the separator body 310 from flowing smoothly, And the discharge piping 330 for discharging the gas separated from the liquid are oppo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iquid separated gas can be minimally left in the separator body 310.

또한, 상기 회수배관(340)의 일측이 상기 분리기몸체(310)의 하단에 배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기포제거부(200)의 어느 한 부분에 배관 연결되어 상기 타공판(320)을 통해 분리된 액체가 상기 기포제거부(200)로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recovery pipe 340 is piped to the lower end of the separator body 3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bubble removal unit 200 to separate the liquid separated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320 So that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bubble rejection unit 200 again.

이때, 상기 회수배관(340)이 상기 기포제거부(200)에 연결되는 위치는 상기 기포제거부(200) 내부에 위치한 상기 호퍼(230)를 따라 액체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수배관(340)을 따라 흐르며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다시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recovery pipe 340 is connected to the bubble rejection unit 200 can be controlled by allowing the liquid to flow down along the hopper 230 located inside the bubble rejection unit 200,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air bubbles that can flow along to be removed agai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배관(330)은 상기 기액분리기(300)에서 액체가 분리된 상태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기체를 외부로 바로 배출시키거나, 처리장치를 통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ipe 330 is capable of discharging gas in a state in which liquid is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300 to the outside. In some cases, , And can be processed through a processing apparatus.

즉, 상기 저장탱크(T)로 입고량을 계측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액체가 우유, 유소수, 간장 등 일반적인 액체일 경우에는 발생하는 기체가 유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배출배관(330)을 통해 외부로 바로 배출시켜도 무방하나, 만약 공급하고자 하는 액체가 유류일 경우에는 상기 배출배관(330)의 일측이 상기 측정부(400)와 상기 저장탱크(T)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공급배관(100)으로 배관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T)에 구비되는 유증기 처리장치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liquid to be supplied is measured by the storage tank T and the liquid to be supplied is a common liquid such as milk, mineral water, or soy sauce, the generated gas is not harmful, If the liquid to be supplied is oil,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330 is piped to the supply pipe 100 located between the measurement unit 400 and the storage tank T So that it can be injected into the vapor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in the storage tank (T).

유류에서 발생하는 기체인 유증기는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외부로 바로 배출해서는 안되며, 유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T)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유증기 처리장치를 통해 안전하게 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The vapor, which is a gas generated from the oil, is not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because of a high risk of fire or explosion, and can be safely treated through a vapor treatment apparatus generally provided in a storage tank (T) for storing oil.

또한, 이미 상기 측정부(400)에서 공급되는 유류의 입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였고, 상기 기액분리기(300)에서 발생한 소량의 기체는 입고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배출배관(330)이 상기 측정부(400)와 상기 저장탱크(T)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공급배관(1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since the small amount of gas generat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300 does not affect the stock amount of the oil already supplied from the measuring unit 400, 400) and the storage tank (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은 도7에 도시된 블록도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외부 공급수단(S)을 통해 액체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생긴 기포 및 저장탱크(T)로 액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기포에 함유되어 배출되는 액체를 분리 회수하여 낭비되는 액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른 액체의 부피 차이를 고려하여 저장탱크(T)에 공급되는 액체의 정량을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고, 유류뿐만 아니라 우유, 요소수, 간장 등의 모든 액체를 공급하는 과정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높음과 동시에 액체를 공급받는 업주와의 신뢰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ubble elimination type liquid metering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understood more easily through 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 7, and 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liquid to the storage tank (T) and the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bubbles, and to separate and recover the liquid contained in the bubbles to minimize the waste liquid, The quantity of liqui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 can be precisely measured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difference of the liqui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tank T and applicable to the process of supplying all the liquids such as milk, urea wat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liquid supplier.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 : 공급배관 110 : 조절밸브
200 : 기포제거부 210 : 케이스
211 : 유입홀 220 : 링파이프
221 : 슬릿 230 : 호퍼
240 : 경사판 250 : 폼브레이커
260 : 기포배출관 270 : 원형통
271 : 타공부 272 : 부이
273 : 높이제한수단 280 : 지지부재
280' : 결합부재 300 : 기액분리기
310 : 분리기몸체 320 : 타공판
330 : 배출배관 340 : 회수배관
400 : 측정부 500 : 통제부
600 : 압력조절밸브 S : 공급수단
T : 저장탱크
100: supply pipe 110: regulating valve
200: Foaming rejection 210: Case
211: inlet hole 220: ring pipe
221: Slit 230: Hopper
240: swash plate 250: foam breaker
260: bubble discharge pipe 270:
271: Other 272: Buoy
273: height restricting means 280: support member
280 ': coupling member 300: gas-liquid separator
310: separator body 320: perforated plate
330: discharge pipe 340: return pipe
400: measuring part 500: controlling part
600: Pressure regulating valve S: Supply means
T: Storage tank

Claims (10)

저장탱크에 공급되는 액체를 계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이 외부에서 액체를 이송해온 공급수단과 연결되고, 액체가 상기 저장탱크에 공급될 수 있도록 타측이 상기 저장탱크에 배관 연결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액체 공급 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부;
상기 기포제거부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기포제거부에서 생성되는 기포에서 액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상기 기포제거부와 저장탱크 사이의 상기 공급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 유속 및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공급배관에 구비된 조절밸브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통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제거부는,
상부와 하단에 상기 공급배관이 각각 배관 연결되고, 하단면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관 연결되는 상기 공급배관과 연결되는 링파이프;
상기 링파이프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링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액체가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를 향해 흘러내리며, 액체 속에 포함된 기포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호퍼를 따라 흘러내린 액체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으로 퍼져 흘러내리며, 액체 속에 포함된 기포가 방출될 수 있도록 경사를 이루는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판을 지지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흘러내린 액체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폼브레이커; 및
상기 케이스의 중앙을 관통하고, 기포에서 발생된 기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이격 구비된 기액분리기와 연결되는 기포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
A system for metering liquid supplied to a storage tank,
A supply pipe connected to a supply means for transferring the liquid from one side to the outside and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by the other side so that liquid can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A foaming agent provided on any one part of the supply pipe to remove bubbles generated when the liquid is supplied;
A gas-liquid separato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ubble rejection to separate liquid from bubbles generated in the foaming rejection;
A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supply pipe between the bubble rejection unit and the storage tank for measuring a flow rate, a flow velocity and a temperature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rol valve provided in the supply pipe to adjust a flow rate of the supplied liquid and collec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The foam-
A case in which the supply pipe is pip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ase has a gentle slope;
A ring pipe attach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so that liquid can flow into the case;
A hopper which is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ing pipe to allow the liquid flowing through the ring pipe to flow down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case, thereby releasing bubbles contained in the liquid;
An inclined plate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so that liquid flowing down along the hopper flows down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and is inclined so that bubbles contained in the liquid can be discharged;
A foam break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wash plate to support the swash plate and to divide an inner space of the case to prevent a vortex from being generated in the liquid flowing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ase; And
And a bubbl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a gas-liquid separato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case and discharge the gas generated from the bubb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거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배관과 배관 연결되는 유입홀로 유입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감싸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호퍼, 경사판 및 폼브레이커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원형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bove-
A case for supporting the hopper, the swash plate, and the foam breaker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amount of the liquid flowing into the inlet hol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Further comprising a cylindrical body to which the bubble eliminating liquid metering system is coup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통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판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벽면을 타고 흘러 내려온 액체가 와류의 생성 없이 상기 공급배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타공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Wherein a plurality of troughs are further formed to allow liquid flowing down the wall surface of the case along the swash plate to flow into the supply pipe without generating vortex.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통의 내부에는,
상기 원형통으로 유입된 액체의 양을 제어하고, 기포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케이스에 일정 수준의 액체가 존재하도록 하는 부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Inside the cylindrical body,
Further comprising a valve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circular cylinder and allowing a predetermined level of liquid to be present in the case so as to smoothly discharge the bubbl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는,
상기 원형통의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기포배출관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하 이동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높이제한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is case,
And a height restricting means is coup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bubble discharge pip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ircular tube and to limit the vertical movement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파이프는,
상기 공급배관을 통해 유입된 액체가 일률적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링파이프의 하단면을 따라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ng pipe includes:
Wherein a slit is formed along a lower end surface of the ring pipe so that the liquid flowing through the supply pipe can be uniformly dr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부 곡률반지름이 하부 곡률반지름보다 큰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pper
Wherein the upper curvature radius is formed to be a curved surface larger than the lower curvature radi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기포제거부에서 배출된 기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기포배출관과 연결되는 분리기몸체;
상기 분리기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포제거부에서 배출된 기포가 통과 하면서 마찰을 일으켜 액체를 분리하는 타공판;
상기 타공판을 통과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기몸체의 어느 한 부분에 배관 연결되는 배출배관; 및
상기 타공판을 통해 분리된 액체가 상기 기포제거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기몸체의 하단과 상기 기포제거부의 어느 한 부분에 각각 배관 연결되는 회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s-
A separator body connected to the bubble discharge pipe so that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rejection can be introduced;
A perforated plate provided inside the separator body for separating the liquid by causing friction between th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rejection;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a part of the separator body so that the gas passing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nd a recovery pipe connected to one of the lower end of the separator body and the bubble rejection pipe so that the liquid separated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may be introduced back into the bubble rejection system.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배출관의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케이스 상부의 기포압력에 의해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설정된 기포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기포를 배출시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ne part of the bubble discharge pipe,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to prevent the explosion by discharging the bubbles when the level of the bubbles is maintained constant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s above the case, Removable liquid metering system.
KR1020180139038A 2018-11-13 2018-11-13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KR102004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038A KR102004755B1 (en) 2018-11-13 2018-11-13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PCT/KR2018/014681 WO2020101099A1 (en) 2018-11-13 2018-11-27 Bubble removing type liquid measurement system
AU2018274859A AU2018274859A1 (en) 2018-11-13 2018-12-04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038A KR102004755B1 (en) 2018-11-13 2018-11-13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755B1 true KR102004755B1 (en) 2019-07-29

Family

ID=6748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038A KR102004755B1 (en) 2018-11-13 2018-11-13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04755B1 (en)
AU (1) AU2018274859A1 (en)
WO (1) WO2020101099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317B1 (en) 2004-04-12 2005-01-13 장도영 Liquid measuring equipment
KR101905627B1 (en) * 2018-03-20 2018-10-10 주식회사 서원기술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83B1 (en) * 2010-03-22 2012-02-20 류정민 Metering System of Fuel Oil
JP2013192990A (en) * 2012-03-16 2013-09-30 Hosei Univ System for separation, removal, and circulation of bubbles in liquid
KR20130127767A (en) * 2012-05-15 2013-11-25 한태곤 Reception me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317B1 (en) 2004-04-12 2005-01-13 장도영 Liquid measuring equipment
KR101905627B1 (en) * 2018-03-20 2018-10-10 주식회사 서원기술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1099A1 (en) 2020-05-22
AU2018274859A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8662C2 (en) Multi-phase flow metre
JP4688974B1 (en) Batch type multiphase flow rate measuring apparatus and flow rate measuring method
EP2543424A1 (en) Gas-liquid separator and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WO2019136477A3 (en) Custom beverage cre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CA2340949C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RU2299322C1 (en) Method for oil and gas-condensate well production measurement in air-tight oil collection systems
CN103796725B (en) Degasser system and for degassed method
WO201516546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fuel delivered in a bunkering operation
KR20110058661A (en) Check valve for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s for fluids
KR200800846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stant liquid rates and dispensing precisely repeatable liquid volumes
KR102004755B1 (en)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WO2015110413A1 (en) Subsea stor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subsea storage system
WO2014082037A3 (en) Waste removal system for fat, oil, grease
RU2706820C1 (en) Gas separator and device for determining flow rate of one or more components of multiphase medium, in particular a gas-water mixture, and its use
KR101905627B1 (en) Liquid measuring system of the bubble removal type
KR101494118B1 (en) Liquid suction device
CN110529735A (en) A kind of gas field mixed transportation of oil and gas pipeline cleaning slug split-phase processing method
Fu et al. Safe operation of inverted siphon during ice period
US9093872B2 (en) Seal oil feeding apparatus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RU2299321C2 (en) Method and device for oil and gas-condensate well production measurement in air-tight oil collection systems
US8826746B2 (en) Flowmeter comprising a damping device
JP2023002672A (en) Specific gravity measurement device
JP2008116402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mixed liquid and device for measuring mixed liquid density
CN102245497B (en) Alcohol receiving station
KR101897508B1 (en) The bubble removing device and Fluid trans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