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131B1 -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131B1
KR102004131B1 KR1020180143119A KR20180143119A KR102004131B1 KR 102004131 B1 KR102004131 B1 KR 102004131B1 KR 1020180143119 A KR1020180143119 A KR 1020180143119A KR 20180143119 A KR20180143119 A KR 20180143119A KR 102004131 B1 KR102004131 B1 KR 10200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vehicle
child
vehic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국
Original Assignee
(주)비전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전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비전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8014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어린이를 수송하는 셔틀차량에 마련된 단말기로서, 셔틀차량에 마련된 CCTV를 통해 촬영된 셔틀차량 실내 영상과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관제 센터 서버로 무선 전송하며, 셔틀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어린이들이 착용한 비콘 기기의 비콘 식별정보들을 감지하여 상기 관제 센터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셔틀차량 단말기; 상기 비콘 식별정보에 할당된 학부모 단말기에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포함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제공하는 관제 센터 서버; 및 학부모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관제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포함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학부모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System for children safety return home}
본 발명은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으로서, 셔틀차량을 이용하는 어린이를 안전하게 귀가시키는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치원이나 학원에서는 어린이 또는 학생들을 수송하기 위한 셔틀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이러한 셔틀차량은 각 어린이/학생들의 집 근처마다 정차하여 어린이/학생들을 내려주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어린이/학생들의 안전한 귀가를 위해 정해진 시간에 셔틀차량이 정차하는 곳에 어른들이 마중을 나가게 된다. 그러나, 교통 정체 등의 이유로 인해 셔틀차량이 늦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이러한 경우 셔틀차량의 정확한 도착시간을 알 수 없는 사람들은 옥외에서 마냥 기다릴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하절기와 같이 날씨가 덥거나 동절기와 같이 추운 날씨에도 사람들은 어린이/학생의 안전한 귀가를 위해 셔틀차량의 도착을 무작정 기다릴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미취학 아동/어린이/학생들의 안전 귀가를 위한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2834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미아, 납치 유괴를 걱정하는 학부모에게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고 어린이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어린이를 수송하는 셔틀차량에 마련된 단말기로서, 셔틀차량에 마련된 CCTV를 통해 촬영된 셔틀차량 실내 영상과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관제 센터 서버로 무선 전송하며, 셔틀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어린이들이 착용한 비콘 기기의 비콘 식별정보들을 감지하여 상기 관제 센터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셔틀차량 단말기; 상기 비콘 식별정보에 할당된 학부모 단말기에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포함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제공하는 관제 센터 서버; 및 학부모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관제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포함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학부모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센터 서버는, 상기 셔틀차량 단말기, 학부모 단말기와 각각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비콘 식별정보별로 비콘기기 착용 어린이 정보, 학부모 단말기 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는 비콘 정보 저장부;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셔틀차량의 위치가 표시된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를 생성하는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 생성부;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셔틀차량 실내 영상 저장부; 및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표시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생성하여, 비콘 식별정보가 감지되는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에 전송하는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는, 셔틀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의 비콘 기기가 최초로 감지되는 경우, 최초 탑승 감지 시간과 함께 어린이가 탑승하였음을 탑승한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는, 어린이가 셔틀차량에서 하차하여 비콘 식별정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비콘 식별정보가 감지되지 않은 어린이를 셔틀차량 하차 어린이로 파악하여, 셔틀차량 하자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에 어린이 하차 시간을 통보한 후, 상기 안전귀가 알림 화면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셔틀차량 실내 영상 저장부는, 일자별로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에 매칭시켜 셔틀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센터 서버는, 각 어린이별로 하차 예정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하차 예정 위치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는,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하차 예정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셔틀차량이 접근하는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에 하차 예정 시간, 하차 예정 위치, 셔틀차량 GPS 위치를 상기 안전귀가 알림 화면에 표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센터 서버는, 상기 하차 예정 시간을 통보받은 학부모 단말기로부터 하차 위치를 변경하는 하차 위치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셔틀차량의 인솔자 단말기에 하차 위치 변경 요청된 어린이의 변경된 하차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아, 납치, 유괴를 걱정하는 학무모에게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고 어린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불안감을 제거하고 운전자, 인솔자에게 보다 투명한 운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의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센터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귀가 알림 화면 표시된 학부모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초 탑승 감지 시간이 표시된 학부모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하차 알림 정보가 표시된 학부모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의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은, 기존 차량 블랙박스 기능은 운행영상만을 저장하여 차량내부 상황을 기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대형 차량 카메라에 관해서도 단지 영상 저장만 하였음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미아, 납치, 유괴를 걱정하는 학무모에게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고 어린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불안감을 제거하고 운전자, 인솔자에게 보다 투명한 운행을 제공하도록 한다. 나아가 비콘기술에 소형화 무선 영상 전송 기술에 발전과 스마트폰 기능을 활용하여 학부모에 보다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은, 셔틀차량 단말기(100), 학부모 단말기(300), 및 관제 센터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셔틀차량 단말기(100)는, 어린이를 수송하는 셔틀차량에 마련된 단말기로서, 관제 센터 서버(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이동통신, TRS통신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셔틀차량은 어린이를 통학시키는 차량으로서, 버스, 승합차 등과 같이 차량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셔틀차량 단말기(100)는, CCTV 카메라 모듈과 GPS 위치 산출모듈을 구비한다. CCTV 카메라는 셔틀차량 내부를 촬영하여 셔틀차량 실내 영상을 생성한다. GPS 위치 산출 산출모듈은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셔틀차량의 GPS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따라서 셔틀차량 단말기(100)는, CCTV를 통해 촬영된 셔틀차량 실내 영상과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관제 센터 서버(2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셔틀차량 단말기(100)는, CCTV 카메라 모듈과 GPS 위치 산출모듈 이외에도 비콘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비콘 통신 모듈은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가 착용한 비콘 기기를 감지하는 모듈이다. 참고로 비콘 통신(beacon communication)은, 알려진 바와 같이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통한 근거리통신 기술로서, 반경 50~70m 범위 안에 있는 비콘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스펙이다. 따라서 어린이가 손목, 모자, 목걸이 형태로 비콘 기기를 착용하고 있을 겨우, 셔틀차량 단말기(100)의 비콘 통신 모듈은, 셔틀차량에 탑승하거나 인접한 어린이의 비콘 기기와 통신하여 비콘 식별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셔틀차량 단말기(100)는, 셔틀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어린이들이 착용한 비콘 기기의 비콘 식별정보들을 감지하여 관제 센터 서버(200)로 무선 전송할 수 잇게 된다.
참고로 비콘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셔틀차량에 탑승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셔틀버스가 주행하고 있는데도 계속적으로 감지되는 비콘 식별정보가 있다면, 해당 비콘 식별정보를 가지는 비콘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탑승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비콘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셔틀차량에서 하차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은, 셔틀버스에 탑승한 어린이의 비콘기기가 셔틀버스 정차 후 출발한 후 감지되지 않는다면, 해당 비콘 식별정보를 가지는 비콘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하차하였다고 판단한다.
학부모 단말기(300)는, 학부모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학부모가 지정한 다른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학부모 단말기(300)는, 관제 센터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포함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표시한다. 따라서 학부모는 자신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확인하여 자신의 아이들이 셔틀버스에 탑승하고 어디쯤 위치해 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관제 센터 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관제 센터 서버(200)는, 비콘 식별정보에 할당된 학부모 단말기(300)에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포함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운행 준비가 있은 후 비콘 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탑승하여 비콘 클라이언트가 발견되면 관제 센터 서버(200)로 통보하고, 관제 센터 서버(200)는 해당 학부모에게 탑승을 알람 발송하여 관제실 영상이 스트리밍 되도록 한다.
반대로 비콘 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하차하여 비콘 클라이언트가 해제되는 경우 관제 센터 서버(200)로 통보하게 되고, 관제 센터 서버(200)는 해당 학부모에게 하차를 알람 발송하며, 관제실 영상이 스트리밍 되지 않도록 오프시킨다. 또한 관제 센터 서버 운행기록, 하차 기록 등을 개별 일자별로 영상을 보관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관제 센터 서버(200)에 대해서 이하 도 3 내지 도 6과 함께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센터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귀가 알림 화면 표시된 학부모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초 탑승 감지 시간이 표시된 학부모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하차 알림 정보가 표시된 학부모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다.
관제 센터 서버(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210), 비콘 정보 저장부(220),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 생성부(230), 셔틀차량 실내 영상 저장부(240), 및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하차 예정 위치 저장부(26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셔틀차량 단말기(100), 학부모 단말기(300)와 각각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2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콘 정보 저장부(220)는, 비콘 식별정보별로 비콘기기 착용 어린이 정보, 학부모 단말기(300) 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된 저장체이다. 예를 들어, 제1비콘 식별정보를 가지는 제1비콘 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홍길동'인 경우, '홍길동' 어린이 이름 및 학교 소속 등의 어린이 정보, '홍길동' 어린이의 학부모 이름 및 학부모 단말기(300) 전화번호 등의 학부모 단말기(300) 정보가 제1비콘 식별 정보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비콘 식별정보를 가지는 제2비콘 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박순자'인 경우, '박순자' 어린이 이름 및 학교 소속 등의 어린이 정보, '박순자' 어린이의 학부모 이름 및 학부모 단말기(300) 전화번호 등의 학부모 단말기(300) 정보가 제2비콘 식별 정보에 저장된다.
참고로, 비콘 정보 저장부(22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 생성부(230)는,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셔틀차량의 위치가 표시된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를 생성한다.
셔틀차량 실내 영상 저장부(240)는,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셔틀차량 실내 영상 저장부(240)는, 일자별로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에 매칭시켜 셔틀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한다. 이는 추후에 셔틀차량 실내 영상을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와 시간에 매칭시켜 검색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250)는,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표시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생성하여, 비콘 식별정보가 감지되는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부모 단말기(300)에는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표시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이 표시된다. 학부모는 자신의 자식이 셔틀차량에 탑승하고 있는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자신의 자식이 탑승한 셔틀차량의 현재 위치를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250)는, 셔틀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의 비콘 기기가 최초로 감지되는 경우, 최초 탑승 감지 시간과 함께 어린이가 탑승하였음을 탑승한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300)에게 알려준다. 즉, 정류장 정차 후 셔틀버스가 주행하고 있는데 계속적으로 감지되는 비콘 식별정보가 있다면, 해당 비콘 식별정보를 가지는 비콘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탑승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최초 탑승 감지 시간과 함께 어린이가 탑승하였음을 탑승한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300)에게 알려준다. E라서 학부모 단말기(300)는, 최초 탑승 감지 시간을 도 5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250)는, 어린이가 셔틀차량에서 하차하여 비콘 식별정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비콘 식별정보가 감지되지 않은 어린이를 셔틀차량 하차 어린이로 파악하여, 셔틀차량 하자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300)에 어린이 하차 시간을 통보한 후, 안전귀가 알림 화면의 제공을 중단한다. 다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차 시간이 표시되고, 그 후에는 안전귀가 알림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관제 센터 서버(200)는, 각 어린이별로 하차 예정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하차 예정 위치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차 예정 위치는 각 어린이의 학부모들이 미리 지정해 놓은 하차 위치 정보이다.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250)는,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하차 예정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셔틀차량이 접근하는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300)에 하차 예정 시간, 하차 예정 위치, 셔틀차량 GPS 위치를 안전귀가 알림 화면에 표시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홍길동' 어린이의 하차 예정 위치가 '강남구 역삼동 1-1번지'인 경우, 셔틀차량이 '강남구 역삼동 1-1번지'에 1km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홍길동'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300)에 '홍길동' 어린이가 하차할 예정이며, 하차 예정 시간, 하차 예정 위치, 셔틀차량 GPS 위치를 알려준다. 이를 수신한 학부모는, 어린이를 픽업하러 나오게 된다.
한편, 학부모가 미리 설정한 하차 예정 위치에 어린이를 픽업하러 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경우 학부모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하차 위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제 센터 서버(200)는, 하차 예정 시간을 통보받은 학부모 단말기(300)로부터 하차 위치를 변경하는 하차 위치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셔틀차량의 인솔자 단말기에 하차 위치 변경 요청된 어린이의 변경된 하차 위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셔틀버스에 탑승한 인솔자는, 하차 위치 변경 요청된 어린이의 하차를 변경 요청된 하차 지점에서 이루어지도록 인솔 지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셔틀차량 단말기
200:관제 센터 서버
300:학부모 단말기

Claims (7)

  1. 어린이를 수송하는 셔틀차량에 마련된 단말기로서, 셔틀차량에 마련된 CCTV를 통해 촬영된 셔틀차량 실내 영상과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관제 센터 서버로 무선 전송하며, 셔틀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어린이들이 착용한 비콘 기기의 비콘 식별정보들을 감지하여 상기 관제 센터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셔틀차량 단말기;
    상기 비콘 식별정보에 할당된 학부모 단말기에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포함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제공하는 관제 센터 서버; 및
    학부모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관제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포함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학부모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관제 센터 서버는,
    상기 셔틀차량 단말기, 학부모 단말기와 각각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비콘 식별정보별로 비콘기기 착용 어린이 정보, 학부모 단말기 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는 비콘 정보 저장부;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셔틀차량의 위치가 표시된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를 생성하는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 생성부;
    차량 실내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셔틀차량 실내 영상 저장부;
    GPS 위치 표시 전자지도와 셔틀차량 실내 영상이 표시된 안전귀가 알림 화면을 생성하여, 비콘 식별정보가 감지되는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에 전송하는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 및
    학부모 단말기에 의해 지정된 하차 예정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하차 예정 위치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는,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하차 예정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셔틀차량이 접근하면 상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학부모 단말기로 하차 예정 시간, 하차 예정 위치, 셔틀차량 GPS 위치를 상기 안전귀가 알림 화면에 표시하여 전송하고,
    상기 관제 센터 서버는, 상기 하차 예정 시간을 통보받은 학부모 단말기로부터 하차 위치를 변경하는 하차 위치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셔틀차량의 인솔자 단말기에 하차 위치 변경 요청된 어린이의 변경된 하차 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셔틀차량 단말기는, 셔틀차량이 주행 중에 비콘 식별정보가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해당 비콘 식별정보를 갖는 비콘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탑승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셔틀차량이 출발 후 셔틀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의 비콘기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해당 비콘 식별정보를 갖는 비콘기기를 착용한 어린이가 하차하였다고 판단하는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는,
    셔틀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의 비콘 기기가 최초로 감지되는 경우, 최초 탑승 감지 시간과 함께 어린이가 탑승하였음을 탑승한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에게 알려주는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귀가 알림 화면 제공부는,
    어린이가 셔틀차량에서 하차하여 비콘 식별정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비콘 식별정보가 감지되지 않은 어린이를 셔틀차량 하차 어린이로 파악하여, 셔틀차량 하자 어린이의 학부모 단말기에 어린이 하차 시간을 통보한 후, 상기 안전귀가 알림 화면의 제공을 중단하는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틀차량 실내 영상 저장부는,
    일자별로 셔틀차량의 GPS 위치 정보에 매칭시켜 셔틀차량 실내 영상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43119A 2018-11-20 2018-11-20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KR10200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19A KR102004131B1 (ko) 2018-11-20 2018-11-20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19A KR102004131B1 (ko) 2018-11-20 2018-11-20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131B1 true KR102004131B1 (ko) 2019-07-26

Family

ID=6746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119A KR102004131B1 (ko) 2018-11-20 2018-11-20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1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13B1 (ko) * 2009-02-05 2009-07-31 강종원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KR20130082834A (ko) 2011-12-20 2013-07-22 와이엠디(주) 안심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KR101562662B1 (ko) * 2014-11-17 2015-10-22 (주)알엠테크 어린이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단말기와, 비컨 수신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어린이 보호 관리 방법
KR20160046374A (ko) * 2014-10-20 2016-04-29 대한민국(보건복지부장관) 어린이집 아동을 위한 등하원 관리 방법 및 등하원 관리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20180075322A (ko) * 2016-12-26 2018-07-04 김경진 통학버스용 학생안전통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13B1 (ko) * 2009-02-05 2009-07-31 강종원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KR20130082834A (ko) 2011-12-20 2013-07-22 와이엠디(주) 안심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KR20160046374A (ko) * 2014-10-20 2016-04-29 대한민국(보건복지부장관) 어린이집 아동을 위한 등하원 관리 방법 및 등하원 관리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1562662B1 (ko) * 2014-11-17 2015-10-22 (주)알엠테크 어린이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단말기와, 비컨 수신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어린이 보호 관리 방법
KR20180075322A (ko) * 2016-12-26 2018-07-04 김경진 통학버스용 학생안전통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725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03248534B (zh) 幼儿园安全防护系统
KR20190032090A (ko) 외부 이동 수단으로 릴레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796755B (zh) 在抬头显示器上增强路面对象的安全系统
US10997430B1 (en) Dangerous driver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JP6547900B2 (ja) 眼鏡型ウェアラブル端末、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220353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ons of students within school buildings
CN102789217B (zh) 一种远程监控安全保障系统
US11605280B2 (en)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and location identification method
KR100910313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KR102004131B1 (ko) 어린이 안전귀가 시스템
JP3739736B2 (ja) 見学情報提供システム
JP6953014B2 (ja) サイネージ
KR20210018063A (ko) 차량용 영상 촬영 장치,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커넥티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34826B1 (ko) 비콘 신호 기반의 승하차 알림
KR102420549B1 (ko)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KR102065786B1 (ko) 사전예방 스마트시티케어 비엘이 통신 시스템
CN102761622A (zh) 一种适用于交通警察的远程监控安全保障系统
JP2019096276A (ja) 見守りシステム
CN112002145B (zh) 一种无人机非法飞行举报方法及系统
KR20200017954A (ko) 어린이 통학 안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506547B (zh) 信息提示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6953055B1 (ja) 位置情報共有制御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共有制御装置
JP7489702B2 (ja) システム、プログラム、撮像装置、及び、ソフトウ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