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568B1 - Power cable - Google Patents

Power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568B1
KR102003568B1 KR1020130015631A KR20130015631A KR102003568B1 KR 102003568 B1 KR102003568 B1 KR 102003568B1 KR 1020130015631 A KR1020130015631 A KR 1020130015631A KR 20130015631 A KR20130015631 A KR 20130015631A KR 102003568 B1 KR102003568 B1 KR 10200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base resin
insulating layer
propyle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2408A (en
Inventor
조호숙
남진호
김웅
유익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01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568B1/en
Publication of KR2014010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4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5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7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composed of semi-conduc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liquids, e.g. oils
    • H01B3/2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liquids, e.g. oils hydrocar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등 친환경적인 동시에, 내열성, 굴곡성, 가공성, 절연 성능 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wer cable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able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made from an insulating composition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such as being recyclable, and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flexibility, workability, insulation performance and the like.

Description

전력 케이블{Power cable}Power cable {Power cable}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등 친환경적인 동시에, 내열성, 굴곡성, 가공성, 절연 성능 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wer cable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able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made from an insulating composition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such as being recyclable, and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flexibility, workability, insulation performance and the like.

일반적인 전력케이블은 도체와 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고전압 또는 초고전압 케이블의 경우 상기 도체와 절연층 사이에 내부 반도전층,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 상기 외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쉬스층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 typical power cable includes a conductor and an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the conductor. In the case of a high-voltage or ultra-high voltage cable,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insulating layer,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surrounding the insulating layer, a sheath layer surround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최근,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따라 고용량 케이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절연층(3)을 제조하기 위한 절연 재료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종래 상기 절연 재료를 구성하는 기재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탄성 공중합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등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가교시킨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가교 수지는 심지어 고온하에서도 우수한 유연성 및 만족스런 전기적·기계적 특성 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a high-capacity cable has been required in accordance with an increasing demand for electric power, and it has become necessary to provide an insulating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insulating layer 3 having excellent mechan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Conventionally, a polyolefin-based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an ethylene / propylene elastic copolymer (EPR), or an ethylene / propylene / diene copolymer (EPDM) has been used as a base resin constituting the insulating material. Such conventional crosslinked resins maintain excellent flexibility and satisfactory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even at high temperatures.

그러나, 절연 재료를 구성하는 기재 수지로 사용되어 온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XLPE) 등은 가교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가교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제조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등의 수명이 다하면 상기 절연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소각에 의해 폐기할 수밖에 없어 환경 친화적이지 않다. 또한, 쉬스층(5)의 재료로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상기 절연 재료를 구성하는 가교 폴리에틸렌(XLPE) 등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여, 소각시 유독성 염소화 물질이 생성되는 등 환경 친화적이지 않은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or the like which has been used as the base resin constituting the insulating material is in a crosslinked form, when the life of a cable or the like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made of a resin such as the crosslinked polyethylene is shortened, It is impossible to recycle the resin to be disposed of by incineration and is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Further, when polyvinyl chloride (PVC)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sheath layer 5, it is difficult to separate it from the 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or the like constituting the insulating material, thereby generating toxic chlorinated materials Which is not friendly.

또한, 비가교 형태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이로부터 제조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등의 수명이 다하면 상기 절연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재활용이 가능한 등 환경 친화적이나, 가교 형태의 폴리에틸렌(XLPE)에 비해 내열성이 열등하여 낮은 운전온도로 인해 그 용도가 매우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비가교 폴리에틸렌 등의 내열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카본블랙 등의 무기 입자를 첨가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카본블랙의 첨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상기 카본블랙과 수지와의 상용성, 즉 카본블랙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해결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절연 재료의 제조공정이 복잡할 수 있다.Further, non-crosslinked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or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can recycle the resin constituting the insulating layer when a cable or the like including the insulating layer produced therefrom reaches its end of life, Type polyethylene (XLPE), which is inferior in heat resistance, and its application is very limited due to its low operating temperature. Further, there is known a technique of adding inorganic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to improve the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of the non-crosslinked polyethylene. However, since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the carbon black and the compatibility of the carbon black with the resin, That is, the dispersibility of the carbon black to the resin must be solv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complicated.

한편, 고분자 자체의 녹는점이 160℃ 이상으로 가교하지 않고도 내열성이 우수하여 환경 친화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재 수지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만,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이의 높은 강성(rigidity)에 의한 불충분한 유연성, 굴곡성(flexibility)으로 인해, 이로부터 제조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포설 작업시 작업성이 떨어지고 그 용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considered to us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olypropylene resin as a base resin because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mer itself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without crosslinking at 160 ° C or higher. However, due to insufficient flexibility and flexibility due to the high rigidity of the polypropylene resin, the workability of the cable including the insulating layer manufactured therefrom is low and the use thereof is limited .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통상 낮은 입체 특이성을 갖는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 대표적으로 삼염화타이타늄과 다이에틸염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착염하에서 합성되고, 구체적인 합성법은 문헌[Albizzati et al. in "Polypropylene Handbook", Chapter 2, page 11 on wards (Hanser Publisher, 1996)]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지글러-나타 촉매하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합성되는 경우 합성되는 수지의 분자량 분포가 다소 넓어 가공성이 우수한 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에 촉매의 잔량이 다소 높아 절연 성능 등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polypropylene resin is usually synthesized under a complex of a Ziegler-Natta catalyst with low stereospecificity, typically titanium trichloride and diethyl aluminum chloride, and specific synthetic methods are described in Albizzati et al. in "Polypropylene Handbook ", Chapter 2, page 11 on wards (Hanser Publisher, 1996). When the polypropylene resin is synthesized under the above-mentioned Ziegler-Natta catalyst,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synthesized resin is somewhat wide, and the processability is excellent. However, the residual amount of the catalyst in the polypropylene resin is rather high,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insulation performance are deteriorated.

따라서, 가교하지 않고도 내열성이 우수하여 환경 친화적인 동시에, 높은 강성에도 불구하고 유연성, 굴곡성 등이 우수하며, 가공성, 전기적 특성 등이 우수한 절연 재료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a power cable including an insulating material excellent in flexibility, bending property and the like, excellent in workability,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and an insulating layer made therefrom is required .

본 발명은 자체의 내열성이 우수하여 가교하지 않고도 절연층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한 등 환경 친화적인 절연 재료로부터 제조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cable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made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sulating material, which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can be used as an insulating layer without crosslinking and can be recycled.

또한, 본 발명은 높은 강성에도 불구하고 유연성, 굴곡성 우수한 절연 재료로부터 제조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cable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made from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bending properties despite its high rigidity.

그리고, 본 발명은 기재 수지의 좁은 분자량 분포에도 불구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절연 재료로부터 제조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cable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excellent in workability despite the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base resin.

나아가, 본 발명은 기재 수지 내의 촉매 잔량이 낮아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절연 재료로부터 제조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cable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low residual amount of catalyst in the base resin and excellent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하나 이상의 도체, 상기 각각의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 및 최외곽 쉬스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되는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수지 및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절연유 2.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A power cable comprising at least one conductor, an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each conductor, and an outermost sheath layer,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comprises a base resin comprising a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that is polymerized under a metallocene catalyst, From 2.5 to 10 parts by weight of an insulating oi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여기서, 상기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되는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분자량이 250,000 내지 350,000이고, 용융지수(melting index)가 3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Wherein the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polymerized under the metallocene catalyst has a molecular weight of 250,000 to 350,000 and a melting index of 3 to 10.

또한, 상기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되는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촉매 잔량이 200 내지 70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wer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catalyst remaining in the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polymerized under the metallocene catalyst is 200 to 700 ppm.

그리고, 상기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배합비는 80:20 내지 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Wherein the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comprises a propylene homopolymer and a propylene-ethylene copolymer, and the blending ratio of the propylene homopolymer and the propylene-ethylene copolymer is 80:20 to 50:50. Cable.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에틸렌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내지 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Wherein the content of the ethylene monomer in the propylene-ethylene copolymer is 6 to 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ropylene-ethylene copolymer.

한편, 상기 절연유는 모노사이클릭 나프텐계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electric oil includes monocyclic naphthenic hydrocarbons.

그리고,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민계, 디알킬에스테르계, 티오에스테르계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0.2 내지 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And further comprising 0.2 to 5 parts by weight of an amine-based, dialkyl ester-based, thioester-based or phenol-based antioxida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또한, 상기 쉬스층은 상기 절연 조성물의 기재 수지와 동일한 기재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Further, the sheath layer is made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base resin as the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한편, 상기 도체와 상기 절연층 사이에 배치된 내부 반도전층, 및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The power cable further includes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surrounding the insulating layer.

여기서, 상기 내부 반도전층, 상기 외부 반도전층,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기재 수지와 동일한 기재 수지를 포함하는 반도전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을 제공한다.Wherein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or both are fabricated from a semiconduct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base resin as the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은 이를 구성하는 절연층의 기재 수지로서 자체의 내열성이 우수하여 가교하지 않고도 절연층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비가교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등 환경 친화적인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layer constituting the power cable, and it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an be recycled by including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which can be used as an insulating layer without crosslinking.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은 이를 구성하는 절연층의 기재 수지인 비가교 폴리프로필렌로서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되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기재 수지 내의 촉매 잔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Further, the electric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 by minimizing the residual amount of the catalyst in the base resin, including polypropylene polymerized under a metallocene catalyst as a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which is a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layer constituting the electric cable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은 이를 구성하는 절연층이 상기 기재 수지 이외에 절연유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높은 강성에도 불구하고 유연성, 굴곡성, 가공성 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insulation layer constituting the electric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insulating oil in addition to the base resin,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flexibility, flexibility and workability in spite of high rigid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 and 2 show an embodiment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체(1), 절연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절연층(3), 상기 도체(1)와 상기 절연층(3) 사이에 위치하여 도체(1)와의 계면에서의 부분방전을 억제하고, 상기 도체(1)와 상기 절연층(3) 사이의 공기층을 없애주며, 국부적인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주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내부 반도전층(2), 케이블의 차폐 역할 및 절연체에 균등한 전계가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 반도전층(4), 케이블 보호를 위한 쉬스층(5)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uctor 1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r aluminum, an insulating layer 3 made of an insulating polymer, (3), thereby suppressing partial discharge at the interface with the conductor (1), eliminating the air layer between the conductor (1) and the insulating layer (3)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4 serving as a shielding function of the cable and an electric field equivalent to the insulator, a sheath layer 5 for protecting the cable, and the like have.

상기 도체(1), 절연층(3), 반도전층(2,4), 쉬스층(5) 등의 규격은 케이블의 용도, 송전압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3), 반도전층(2,4), 쉬스층(5)을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The dimensions of the conductor 1, the insulating layer 3, the semiconductive layer 2 and 4, and the sheath layer 5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 of the cable, the transmission voltage, etc. The insulating layer 3,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entire layers (2, 4) and the sheath layer (5)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3)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은 기재 수지로서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composition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3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n u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as the base resin.

상기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이하,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라 한다)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12의 α-올레핀, 예를 들어,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공단량체 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공중합시키면 단단하면서 유연한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배합비는 예를 들어 80:20 내지 50:50일 수 있다.The polymer constituting the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lypropylene" or "polypropylene resin") may be a copolymer of propylene homopolymer and / or propylene and ethylene or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A comonomer selected from 1-butene, 1-pentene, 4-methyl-1-pentene, 1-hexene, 1-octene, 1-decene, 1-dodecene and combinations thereof, Copolymers. This is because copolymerization of propylene and ethylene shows a hard and flexible property. Here, the blending ratio of the propylene homopolymer to the propylene copolymer may be, for example, 80:20 to 50:50.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에 있어서, 공단량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내지 7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α-올레핀이 규칙성 없이 중합된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opylene copolymer, the content of the comonomer may be preferably from 6 to 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propylene copolymer. Further, the propylene copolymer may be a random copolymer or a block copolymer in which propylene and ethylene and / or? -Olefin are polymerized without regularity. The polypropylene may further comprise a polyolefin such as low-density polyethylene or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상기 폴리프로필렌, 즉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는 메탈로센(metallocene) 촉매하에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탈로센은 사이클로펜타디엔과 전이금속이 샌드위치 구조로 결합한 새로운 유기금속화합물인 비스(사이클로펜타이덴일)금속의 총칭으로, 가장 간단한 구조의 일반식은 M(C5H5)2(여기서, M은 Ti, V, Cr, Fe, Co, Ni, Ru, Zr, Hf 등)이다.The polypropylene, that is, the propylene homopolymer and / or copolym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ynthesized under metallocene catalyst. The metallocene is a generic name of a bis (cyclopentadienyl) metal which is a novel organometallic compound in which cyclopentadiene and a transition metal are bonded in a sandwich structure. The general formula of the simplest structure is M (C 5 H 5 ) 2 Ti, V, Cr, Fe, Co, Ni, Ru, Zr, Hf, etc.).

상기 메탈로센은 사이클로펜타디엔 금속 화합물을 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과 같은 전이 금속의 할로겐화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의 제조 방법은 미국 특허 4,752,579, 5,017,714, 및 유럽 특허 320,762, 416,815, 537,686, 669,340, 그리고 문헌[H. H. 브린쯔징거(Brintzinger) 등; 앤드류. 캠. (Andrew, Chem.), 107 (1995년), 1255], 문헌[H. H. 브린쯔징거 등; J. 오르가노메트. 캠. (Organomet. Chem), 232 (1982년), 233] 등에 개시되어 있다.The metallocene can be prepared by reacting a cyclopentadiene metal compound with a halide of a transition metal such as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Methods for making the metallocenes are described in U.S. Patent Nos. 4,752,579, 5,017,714, and European patents 320,762, 416,815, 537,686, 669,340, and in H. Brintzinger et al .; Andrew. cam. (Andrew, Chem.), 107 (1995), 1255; H. Brinz Jinger et al .; J. ORGANOMET. cam. (Organomet. Chem., 232 (1982), 233).

상기 메탈로센 촉매는 이의 기본적인 특성이 리간드 스피어(ligand sphere)의 특정 치환 패턴에 의해 조직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 상기 폴리프로필렌 중합시 중합 활성, 입체선택성(stereoselective), 위치선택성(regioselectivity), 용융점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반면, 종래 폴리프로필렌 중합 촉매로 사용되어 온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는 메틸기가 같은 방향으로 정연하게 배열되는 아이소택틱(isotactic) 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만을 합성할 수 있다.The metallocene catalysts can be systematically controlled by the specific substitution pattern of the ligand sphere, so that the polymerization activity, stereoselectivity, regioselectivity, melting point The Ziegler-Natta catalyst,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s a polypropylene polymerization catalyst, can synthesize only polypropylene having an isotactic structure in which methyl groups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same direction .

또한, 상기 메탈로센 촉매는 합성된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촉매 잔량이 낮아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전기적 특성 저하를 유발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합성된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촉매 잔량이 200 내지 700 ppm에 불과하여 합성된 폴리프로필렌의 절연 성능 등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거나 최소화되는 반면, 종래 지글러-나타 촉매에 의해 합성된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촉매 잔량이 1,000 내지 3,000 ppm에 해당되어 이러한 다량의 촉매 잔량이 합성된 폴리프로필렌의 절연 성능 등의 전기적 특성을 상당히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metallocene catalyst exhibits an excellent effect of preventing or minimizing degradation of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polypropylene due to the low residual amount of the catalyst of the polypropylene synthesized.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polypropylene synthesized by the metallocene catalyst, the residual amount of the catalyst is only 200 to 700 ppm, so that the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synthesized polypropylene are not lowered or minimized, while the conventional Ziegler- , The residual amount of the catalyst is in the range of 1,000 to 3,000 ppm, so that the residual amount of the catalyst greatly deteriorate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synthesized polypropylene.

상기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합성된 폴리프로필렌은 최고 결정화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5℃(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일 수 있다. 상기 최고 결정화 온도가 110℃ 미만인 경우 IEC 국제 규격에서 요구하는 노화(aging) 시험 조건(135 또는 150℃)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이 용융되어 케이블의 연속사용 온도인 110℃ 조건을 만족할 수 없으며, 상기 최고 결정화 온도가 125℃를 초과하는 경우 냉각 중 결정화 속도가 빨라져 상온에서의 인장 신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polypropylene synthesized by the metallocene catalyst may have a maximum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preferably 110 to 125 DEG C (as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If the maximum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110 캜, the polypropylene melts at aging test conditions (135 or 150 캜) required by the IEC international standard, so that the continuous use temperature of the cable can not satisfy the condition of 110 캜. If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exceeds 125 ° C, the crystallization rate during cooling tends to be accelerated, and the tensile elongation at room temperature may decrease.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구성하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00,000 내지 450,000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용융지수(Melting Index; MI)가 3 내지 10dg/분(ASTM D-1238에 의해 측정됨)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녹는점(Tm)이 140 내지 175℃(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됨), 용융엔탈피가 30 내지 85 J/g(DSC에 의해 측정됨), 실온에서의 굴곡탄성률이 30 내지 1400 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0 MPa(ASTM D790-00에 따라 측정됨)일 수 있다.The propylene homopolymer and the copolymer constituting the polypropylene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200,000 to 450,000 and a melt index (MI) of 3 to 10 dg / min (ASTM D- 1238). ≪ / RTI > Further, the polypropylene resin has a melting point (Tm) of 140 to 175 ° C (as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 melting enthalpy of 30 to 85 J / g (as measured by DSC) The flexural modulus may be from 30 to 1400 MPa, more preferably from 60 to 1000 MPa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790-00).

상기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중합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중합은 -60 내지 300℃의 온도에서, 0.5 내지 2,000 bar의 압력하에서, 벌크로(in bulk), 현탁액에서 또는 가스상에서, 연속적으로 또는 배치식(batchwise)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The method of polymerizing the polypropylene resin under the metallocene catalys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polymerization of the polypropylene resin can be carried out in a bulk, suspension or gas phase, continuously or batchwise, at a temperature of from -60 to 300 캜, at a pressure of from 0.5 to 2,000 bar, , One or more steps.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3)의 기재 수지인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비가교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인 녹는점이 높아 충분한 내열성을 발휘함으로써 연속 사용 온도가 향상된 전력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가교 형태이므로 재활용이 가능한 등 환경 친화적인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which is the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layer 3 has a high self-melting point despite its non-crosslinked form and exhibits sufficient heat resistance, Not only can provide an improved power cable, but also exhibits excellent environment-friendly effects such as non-crosslinking and recycling.

반면, 종래의 가교 형태의 수지는 재활용이 어려워 친환경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연층(3) 형성시 가교 결합 또는 스코치(scorch)가 조기에 발생하면 균일한 생산 능력을 발휘할 수 없는 등 장기 압출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cross-linked resin is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ycle, and when cross-linking or scorch occurs early in forming insulating layer 3, uniform production ability can not be exhibited, . ≪ / RTI >

또한, 상기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종래 지글러-나타 촉매가 아닌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합성됨으로써 촉매 잔량이 낮아 이로부터 제조되는 절연층(3)의 절연 성능 등 전기적 특성의 손상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is synthesized under a metallocene catalyst, which is not a conventional Ziegler-Natta catalyst, so that the residual amount of the catalyst is low and the damage of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insulating layer 3 produced therefrom can be avoided or minimized Exhibit excellent effect.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3)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은 기재 수지인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 이외에 절연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composition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3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oil in addition to the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which is a base resin.

상기 절연유는 광유, 합성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연유는 디벤질톨루엔, 알킬벤젠, 알킬디페닐에탄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방향족계 오일, 파라핀계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나프텐계 오일, 실리콘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insulating oil may be mineral oil, synthetic oil,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insulating oil may be selected from aromatic oils consisting of aromatic hydrocarbon compounds such as dibenzyltoluene, alkylbenzene and alkyldiphenylethane, paraffinic oils composed of paraffinic hydrocarbon compounds, naphthenic oils composed of naphthenic hydrocarbon compounds, Can be u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유는 일반 분자식이 CnH2n(여기서, n은 20 내지 60의 정수이다)인 모노사이클릭(mono-cyclic) 나프텐계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나프텐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n이 20 미만이 경우 상기 모노사이클릭 나프텐계 탄화수소의 분자량이 너무 작아 이를 포함하는 절연층(3) 압출시 기화하여 분해될 수 있는 반면, 상기 n이 60 초과인 경우 상기 모노사이클릭 나프텐계 탄화수소의 분자량이 너무 커 이를 포함하는 절연층(3) 압출과정에서 상기 절연층(3) 밖으로 용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Preferably, the insulating oil may be a naphthenic oil composed of mono-cyclic naphthenic hydrocarbons whose general molecular formula is C n H 2n (where n is an integer of 20 to 60). When n is less than 20, the molecular weight of the monocyclic naphthenic hydrocarbon is too small to decompose and decompose upon extrusion of the insulating layer 3. When n is more than 60, the monocyclic naphthenic hydrocarbon Sinc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ydrocarbon is too large, the insulating layer 3 containing the hydrocarbon can be eluted outside the insulating layer 3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또한, 상기 절연유는 20 내지 30℃에서 2㎟/s 이상의 점도를 가지며, 상기 점도를 만족하는 절연유는 이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절연층으로부터 용출되는 현상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Also, the insulating oil has a viscosity of 2 mm 2 / s or more at 20 to 30 ° C, and the insulating oil satisfying the viscosity can avoid or minimize the phenomenon of elution from the insulating layer formed from the insul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insulating oil.

한편, 상기 절연유의 함량은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5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절연유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유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절연층(3)의 유연성, 굴곡성 등이 불충분하여 상기 절연층(3)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포설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절연유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도체(1) 상에 절연층(3)을 형성하는 압출 과정에서 상기 절연유가 용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케이블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the insulating oil may be 2.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and when the content of the insulating oil is less than 2.5 parts by weight, the flexibility of the insulating layer 3 , The flexibility of the insulation layer 3 is insufficient, so that the cable including the insulation layer 3 can not easily be installed. When the amount of the insulation layer 3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insulating oil may be eluted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for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3,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process the cable.

상기 절연유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강성(rigidity)이 커서 유연성(flexibility)이 다소 낮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재 수지로 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절연층(3)의 유연성, 굴곡성 등을 개선함으로써 케이블의 포설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본질적으로 가지는 우수한 내열성, 기계적·전기적 특성을 유지 또는 개선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절연유는 상기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다소 좁은 분자량 분포에 의해 다소 저하된 가공성을 보충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oil is improved in flexibility, bendability, etc. of the insulation layer 3 made of an insulation composition using a base resin of a polypropylene resin having a high rigidity and a somewhat low flexi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olypropylene resin exhibits an excellent effect of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excellent heat resistanc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inherent in the polypropylene resin. Particularly, the insulating oil shows excellent effect of supplementing the somewhat reduced workability by the somewhat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polypropylene resin which is polymerized under the metallocene catalyst.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3)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은 상기 기재 수지 및 상기 절연유 이외에 산화방지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아민계, 디알킬에스테르계, 티오에스테르계, 페놀계 산화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3-[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파노일옥시]-2,2-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파노일옥시메틸]프로필], 3-(3,5-디-3차 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파노에이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3차 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피온산 옥타데실 에스테르, 프로피온산, 3,3'티오비스-1,1'디옥타데실 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화방지제 등의 기타 첨가제 각각의 함량은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The insulating composition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3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additives such as an antioxidant in addition to the base resin and the insulating oil. Examples of the antioxidant include amine-based, dialkyl ester-based, thioester-based, and phenol-based antioxidants. Examples thereof include [3- [3- (3,5- (3,5-di-t-butyl-4-hydroxyphenyl) propanoyloxymethyl] propyl] 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anoate, thiodiethylene bis (3,5-di- tert -butyl-4-hydroxyhydrocinnamate), 3,5- Dimethylethyl) -4-hydroxybenzene propionic acid octadecyl ester, propionic acid, 3,3 'thiobis-1,1' dioctadecyl ester, and the like. Here, the content of each of the other additives such as the antioxidant may be 0.2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제조예
1. Manufacturing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에 포함된 절연층(3)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 표 1에 나타난 구성성분 및 함량으로 절연 조성물을 제조하고, 일정한 규격의 구리도체 위에 용융된 상기 절연 조성물을 각각 압출 코팅함으로써,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4의 케이블 시편을 각각 제작했다. 여기서, 구성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In order to evalu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nsulating layer 3 included in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sulating composition was prepared with the components and content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 insulating composition melted on a copper conductor of a predetermined standard was extruded To prepare the cable specimens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respectively. Here, the unit of the component content is parts by weight.

구성성분Constituent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기재 수지 1Base resin 1 5050 5050 5050 5050 기재 수지 2Base resin 2 5050 5050 기재 수지 3Base resin 3 5050 5050 5050 5050 5050 5050 절연유Insulating oil 2.52.5 55 1One 1515 2.52.5 55

- 기재 수지 1 :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제조사: 폴리미래; 제품명: RM5100; 용융지수(melting index, MI): 3)Base resin 1: Polypropylene resin polymerized under a metallocene catalyst (manufacturer: POLYMER, product name: RM5100; melting index (MI): 3)

- 기재 수지 2 : 지글러-나타 촉매하에서 중합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제조사: SK 종합화학; 제품명: H920Y; 용융지수(melting index, MI): 3)Base resin 2: Polypropylene resin polymerized under a Ziegler-Natta catalyst (manufacturer: SK General Chemicals; product name: H920Y; melting index (MI): 3)

- 기재 수지 3 :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제조사: SK 종합화학; 제품명: R520Y)- Base resin 3: Propylene-ethylene copolymer (manufacturer: SK General Chemicals; product name: R520Y)

- 절연유 : 모노사이클릭 나프텐계 오일(제조사: 동남석유화학; 절연유 4호)
- Insulating oil: Monocyclic naphthenic oil (Manufacturer: Dongnam Petrochemical; Insulating oil No. 4)

2. 물성 측정 및 평가
2.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각각의 케이블 시편에 대해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인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 가열 후 인장강도 잔율 및 인장신율 잔율, 그리고 전기적 물성인 교류절연파괴강도(AC breakdwon; ACBD)를 아래의 규격에 따라 측정했고,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The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elongation at room temperature, the tensile strength retention after heating, the tensile elongation percentage, an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each of the cable specimen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prepared in the above- The AC breakdown strength (ACBD), which is the physical propert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tanda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가. 상온 기계적 물성end. Mechanical properties at room temperature

IEC 60811-1-1에 준하여 인장속도 250 mm/분으로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케이블 시편 각각에 대해 측정하였고, 측정된 인장강도는 1.27 kgf/㎟ 이상, 인장신율은 200% 이상이어야 한다.Measured for each of the cable specimen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t a tensile rate of 250 mm / min in accordance with IEC 60811-1-1, the tensile strength measured was 1.27 kgf / mm 2 or more, Should be more than 200%.

나. 가열 후 기계적 물성I. Mechanical properties after heating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케이블 시편 각각을 150℃에서 168시간 동안 가열 노화한 후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고, 측정된 인장강도 잔율과 인장신율 잔율은 75% 이상이어야 한다.Each of the cable specimen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aged at 150 ° C for 168 hours,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The measured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elongation percentage were 75% or more.

다. 굴곡 강도All. Flexural strength

IEC 60811-1-1 규격에 따라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케이블 시편 각각에 대해 굴곡 강도를 측정하였고, 낮은 수치를 보일수록 우수한 유연성, 굴곡성, 포설성을 가진다.Flexural strength was measured for each of the cable specimen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ccording to the IEC 60811-1-1 standard. The lower the value, the better the flexibility, the bendability, and the durability.

라. 전기적 물성la. Electrical property

ASTM D149 규격에 의해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케이블 시편 각각에 대해 절연파괴강도를 측정하였고, 높은 수치를 보일수록 우수한 절연 성능의 전기적 물성을 나타낸다.
The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of each of the cable specimens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149 standard. The higher the value, the better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insulation performance.

물성Properties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상온 인장강도(kgf/㎟)Tensile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kgf / ㎟) 2.02.0 1.91.9 2.42.4






side
tablet
fire
end
2.12.1 2.02.0
상온 인장신율(%)Tensile elongation at room temperature (%) 698698 712712 650650 670670 680680 가열 후 인장강도 잔율(%)Residual tensile strength after heating (%) 8181 8585 8888 100100 9090 가열 후 인장신율 잔율(%)Tensile elongation after heating (%) 7979 8080 7676 7575 8080 굴곡강도(MPa)Flexural Strength (MPa) 3535 3232 4242 3333 3434 절연파괴강도
(kV/mm)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kV / mm)
6565 6565 5555 4242 454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절연유를 소량, 즉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중량부 사용함에 따라 케이블의 굴곡 강도가 높게 나타난 유연성, 굴곡성, 포설성 등이 불충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As shown in Table 2, in Comparative Example 1, when a small amount of insulating oil, that is,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was used, it was confirmed that flexibility, bending property, .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절연유를 과량, 즉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중량부 사용함에 따라 케이블 시편 제조시 압출 과정에서 절연유가 용출되어 압출기 내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시편을 제조할 수 없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since the insulating oil was used in an excess amount, that is,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the dielectric oil was eluted during the extrusion process in the production of the cable specimen, causing slippage in the extruder, .

그리고, 비교예 3 및 4의 경우 종래의 지글러-나타 촉매하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을 절연층의 기재 수지로 사용함에 따라 절연파괴강도가 실시예 1 및 2의 절연파괴강도인 65 kV/㎜에 비해 상당히 낮은 42 kV/㎜ 및 45 kV/㎜로 나타났고, 이는 상기 지글러-나타 촉매하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이 실시예 1 및 2에서 절연층의 기재 수지로 사용된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량의 촉매 잔량을 포함함으로써 절연층의 절연 성능 등의 전기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the polypropylene produced under the conventional Ziegler-Natta catalyst was used as the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layer, so that the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was 65 kV / mm, which is the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of Examples 1 and 2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polypropylene prepared under the Ziegler-Natta catalyst, which was 42 kV / mm and 45 kV / mm,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polypropylene prepared under the metallocene catalyst used as the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layer in Examples 1 and 2 It is confirmed that the electrical property such as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insulating layer is reduced by includ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the catalyst residual amount.

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 및 2의 케이블 시편은 상온 및 가열 후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전기적 물성 또한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함량의 절연유를 포함함으로써 케이블의 유연성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ble specimens of Examples 1 and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after being heated at room temperature, excellent in electrical properties, and also had an appropriate amount of insulating oil to ensure flexibility of the cable.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도체 2 : 내부 반도전층
3 : 절연층 4 : 외부 반도전층
5 : 쉬스층
1: conductor 2: inner semiconductive layer
3: insulating layer 4: outer semiconductive layer
5: Sheath layer

Claims (10)

하나 이상의 도체, 상기 각각의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 및 최외곽 쉬스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되는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수지 및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절연유 2.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되는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촉매 잔량이 200 내지 70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A power cable comprising at least one conductor, an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each conductor, and an outermost sheath layer,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made from an insul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base resin comprising an u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that is polymerized under a metallocene catalyst and 2.5 to 10 parts by weight of an insulating oi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Wherein the amount of catalyst remaining in the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polymerized under the metallocene catalyst is 200 to 700 pp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로센 촉매하에서 중합되는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분자량이 250,000 내지 350,000이고, 용융지수(melting index)가 3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polymerized under the metallocene catalyst has a molecular weight of 250,000 to 350,000 and a melting index of 3 to 10.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교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배합비는 80:20 내지 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non-crosslinked polypropylene resin comprises a propylene homopolymer and a propylene-ethylene copolymer, and the blending ratio of the propylene homopolymer and the propylene-ethylene copolymer is 80:20 to 50:5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에틸렌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내지 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pylene-ethylene copolymer has an ethylene monomer content of 6 to 7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ropylene-ethylene copolym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유는 모노사이클릭 나프텐계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oil comprises monocyclic naphthenic hydrocarbon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민계, 디알킬에스테르계, 티오에스테르계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0.2 내지 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0.2 to 5 parts by weight of an amine-based, dialkyl ester-based, thioester-based or phenol-based antioxida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resi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층은 상기 절연 조성물의 기재 수지와 동일한 기재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heath layer is made from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base resin as the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와 상기 절연층 사이에 배치된 내부 반도전층, 및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surrounding the insulating 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도전층, 상기 외부 반도전층,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기재 수지와 동일한 기재 수지를 포함하는 반도전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or both are fabricated from a semiconduct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base resin as the base resin of the insulating composition.
KR1020130015631A 2013-02-14 2013-02-14 Power cable KR1020035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631A KR102003568B1 (en) 2013-02-14 2013-02-14 Power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631A KR102003568B1 (en) 2013-02-14 2013-02-14 Power cab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801A Division KR102097238B1 (en) 2019-06-19 2019-06-19 Power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408A KR20140102408A (en) 2014-08-22
KR102003568B1 true KR102003568B1 (en) 2019-07-24

Family

ID=5174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631A KR102003568B1 (en) 2013-02-14 2013-02-14 Power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5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824B1 (en) * 2016-12-27 2018-08-17 한화토탈 주식회사 Polypropylene resin for a power cable and a power cable comprising the same in insulation layer
KR101946945B1 (en) * 2017-06-16 2019-02-12 일진전기 주식회사 Polypropylene compounds for an electric power cable
KR20200004061A (en) * 2018-07-03 2020-01-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ower cable
KR102284030B1 (en) * 2019-10-02 2021-07-29 일진전기 주식회사 Composition including insulating oil for insulator, and insulator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951A (en) 1999-02-03 2000-08-11 Sumitomo Electric Ind Ltd Oil impregnated solid power cable
KR101148292B1 (en) * 2006-11-17 2012-05-2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opylen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ropylene resin compositio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molded body made of the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electric wi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987B2 (en) * 1993-04-14 1996-09-04 関西電力株式会社 Oil immersion power cable
JPH11224542A (en) * 1998-02-04 1999-08-17 Fujikura Ltd Crosslinked polyethylene insulated power cable
CN1229821C (en) * 2000-09-28 2005-11-30 皮雷利有限公司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KR20120085606A (en) * 2011-01-24 2012-08-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Power Cable Sheath With High Strength Comprising Metallocen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 And High Performance Flame Retardant
KR20120095240A (en) * 2011-02-18 2012-08-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Cable including insulation layer with insulating o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951A (en) 1999-02-03 2000-08-11 Sumitomo Electric Ind Ltd Oil impregnated solid power cable
KR101148292B1 (en) * 2006-11-17 2012-05-2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opylen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ropylene resin compositio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molded body made of the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electric w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408A (en)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709B1 (en) Power cable
KR102003567B1 (en) Power cable
EP2160739B1 (en) Energy cable
US11763963B2 (en) Power cable
US11629246B2 (en) Power cable
KR20200004061A (en) Power cable
US20230257564A1 (en) Power cable
KR102003568B1 (en) Power cable
KR20180056875A (en) Power cable
KR20190106955A (en) Power cable
KR102020069B1 (en) Compact power cable with increased capacitance
KR102020068B1 (en) Power cable
KR102003565B1 (en) Power cable
KR102339371B1 (en) Semiconductive composition and power cable having a semiconductive layer formed from the same
KR102097238B1 (en) Power cable
KR102097237B1 (en) Power cable
KR20140126993A (en) Power cable
KR102097236B1 (en) Power cable
KR101949643B1 (en) Semiconductive composition and power cable having a semiconductive layer formed from the same
KR102061407B1 (en) Power cable
KR20220168284A (en) Semiconductive composition and power cable having a semiconductive layer formed from the same
KR20240020533A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insulation of power cables with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article prepared using the same
KR20200104241A (en) Insulator and power cable having the same
KR20200004270A (en) Power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