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223B1 -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223B1
KR102003223B1 KR1020170179151A KR20170179151A KR102003223B1 KR 102003223 B1 KR102003223 B1 KR 102003223B1 KR 1020170179151 A KR1020170179151 A KR 1020170179151A KR 20170179151 A KR20170179151 A KR 20170179151A KR 102003223 B1 KR102003223 B1 KR 102003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duplex stainless
less
phase
excl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7724A (en
Inventor
김경훈
김학
강형구
정성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223B1/en
Priority to PCT/KR2018/013419 priority patent/WO2019132226A1/en
Publication of KR2019007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7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2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따르면, 중량%로, C: 0.08% 이하(0 제외), Si: 1% 이하(0 제외), Mn: 2 내지 4%, Cr: 19 내지 22%, N: 0.2 내지 0.3%, Ni: 0.5 내지 1.5, Cu: 1%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식(1): 551 - 462(C+N) - 9.2Si - 8.1Mn - 13.7Cr - 29(Ni+Cu) - 18.5Mo - 0.1x소둔온도(℃) ≤ -50
(여기서, C, N, Si, Mn, Cr, Ni, Cu, Mo 는 각각 탄소, 질소, 실리콘, 망간, 크롬, 니켈, 구리, 몰리브덴의 중량%를 의미한다.)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eight%, C: 0.08% or less (excluding 0), Si: 1% or less (excluding 0), Mn: 2 to 4%, Cr: 19 to 22%, N: 0.2-0.3%, Ni: 0.5-1.5, Cu: 1% or less (excluding 0), the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and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1).
Equation (1): 551-462 (C + N)-9.2 Si-8.1 Mn-13.7 Cr-29 (Ni + Cu)-18.5 Mo-0.1 x Annealing temperature (° C) ≤ -50
(C, N, Si, Mn, Cr, Ni, Cu, Mo means the weight percent of carbon, nitrogen, silicon, manganese, chromium, nickel, copper, molybdenum, respectively.)

Description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강 및 그 제조방법{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Lean duplex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 상의 2상을 갖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상의 경도 차이를 제어하여 절곡성이 향상된 Ni, Mo, Si, Cu 등의 고가의 합금원소의 함량을 낮춘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two phases of an austenite phase and a ferrite phase,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rol the difference in hardness between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and to improve bendability, such as Ni, Mo, Si, Cu,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a lower content of alloying elements.

스테인리스강 중 특히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 상이 혼합된 미세조직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강의 특징을 모두 나타내며, 현재까지 다양한 종류의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이 개발되어 왔다.Among the stainless steels, especially duplex stainless steel is a stainless steel having a microstructure in which an austenitic phase and a ferrite phase are mixed. It shows all the characteristics of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a ferritic stainless steel. To date, various types of duplex stainless steel have been developed. come.

한편, 고내식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22%Cr, 5.5%Ni, 3% Mo, 0.16%N 성분의 ATI사의 ATI2205(UNS S31803 또는 S32205)가 있다. 이 강의 경우, 다양한 부식 환경에서 우수한 내부식성을 제공하는 바, AISI의 304, 316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보다 우수한 내부식성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most widely used duplex stainless steel in high corrosion resistance environment is ATI A205 (UNS S31803 or S32205) of 22% Cr, 5.5% Ni, 3% Mo, 0.16% N components. This steel provide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in a variety of corrosive environments, showing better corrosion resistance than AISI's austenitic stainless steels such as 304 and 316.

그러나, 이러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Ni, Mo 등의 고가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바, 제조 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Ni, Mo 등을 소비함에 따라 타 강종과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since the duplex stainless steel contains expensive elements such as Ni and Mo, not only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but also the Ni and Mo are consumed, and thus the price competitiveness with other steel grades is inferior.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중에서도 Ni 및 Mo 등의 고가 합금 원소를 배제하고, 이들 원소를 대신하여 저 원가의 합금원소를 첨가함으로써 합금 비용의 장점을 확보한 린 듀플렉스(Lean Duplex)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lean duplex has eliminated expensive alloying elements such as Ni and Mo among duplex stainless steels, and added low-cost alloying elements in place of these elements to secure the advantages of alloying cost. ) Interest in stainless steel is increasing.

이러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은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대별되는 304, 316강과 동등한 내식성을 확보하면서 Ni 함량이 적어 경제적이면서도 고강도 확보가 용이하여 내식성을 요하는 담수설비, 펄프, 제지, 화학설비 등의 산업설비용 강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These lean duplex stainless steels have the same corrosion resistance as 304 and 316 steels, which are roughly classified as conventional austenitic stainless steels, and have a low Ni content so that they can be economically secured and have high strength, and thus require fresh water, pulp, paper, and chemical facilities. Has gained the spotlight for its industrial equipment steels.

이러한 린 듀플렉스강은 예를 들어, ASTMA240에 규격화되어 있는 S32304(대표성분 23Cr-4Ni-0.13N), ASTMA240에 규격화되어 있는 S32101(대표성분 21Cr-1.5Ni-5Mn-0.22N) 등이 있다.Such lean duplex steels include, for example, S32304 (typical component 23Cr-4Ni-0.13N) standardized in ASTMA240, S32101 (typical component 21Cr-1.5Ni-5Mn-0.22N) standardized in ASTMA240.

상기 강들은 냉간 가공성 즉, 성형성보다는 내식성 강화 위주로 설계되어, 내식성이 요구되는 기술적인 해결책은 제공할 수 있으나, 가공성과 관련된 인자인 연성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보다 열위하여 성형, 절곡 등을 요구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의 응용에 제약이 있다.The steels are designed for cold workability, i.e., strengthening of corrosion resistance rather than formability, so that a technical solution requiring corrosion resistance may be provided, but ductility, which is a factor related to workability, is inferior to austenitic stainless steel, requiring molding and bending There are limitations to their application in various industries.

특히, 절곡성형에서는 크랙 발생이 빈번한 문제가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 방향이 압연 방향과 평행이 되는 경우 균열 발생이 보다 빈번한 상황이다. 따라서, Ni, Mo등을 저감하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동등 수준의 연신율 및 내식성을 확보하면서도 절곡성이 향상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개발이 새로이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crack formation is a frequent problem in bending molding. Specifically, cracking occurs more frequently when the bending direction becomes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Accordingly, there is a new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while reducing elongation and corrosion resistance equivalent to austenitic stainless steel while reducing Ni and M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상의 경도 차이를 제어하여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by controlling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따르면, 중량%로, C: 0.08% 이하(0 제외), Si: 1% 이하(0 제외), Mn: 2 내지 4%, Cr: 19 내지 22%, N: 0.2 내지 0.3%, Ni: 0.5 내지 1.5, Cu: 1%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한다.According to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eight%, C: 0.08% or less (excluding 0), Si: 1% or less (excluding 0), Mn: 2 to 4%, Cr: 19 to 22%, N: 0.2 to 0.3%, Ni: 0.5 to 1.5, Cu: 1% or less (excluding 0), the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and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1).

식(1): 551 - 462(C+N) - 9.2Si - 8.1Mn - 13.7Cr - 29(Ni+Cu) - 18.5Mo - 0.1x소둔온도(℃) ≤ -50 Equation (1): 551-462 (C + N)-9.2 Si-8.1 Mn-13.7 Cr-29 (Ni + Cu)-18.5 Mo-0.1 x Annealing temperature (° C) ≤ -50

여기서, C, N, Si, Mn, Cr, Ni, Cu, Mo 는 각각 탄소, 질소, 실리콘, 망간, 크롬, 니켈, 구리, 몰리브덴의 중량%를 의미한다.Here, C, N, Si, Mn, Cr, Ni, Cu, Mo means the weight percent of carbon, nitrogen, silicon, manganese, chromium, nickel, copper, molybdenum,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Mo; 0.5%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is Mo; It may further comprise 0.5%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가 120 Hv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bendability may have a fine hardness variation of less than or equal to 120 Hv in an austenitic phase and a ferrite phas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페라이트 상분율이 45 내지 60%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rrite phase fraction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may be 45 to 6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상에 함유된 Mn, Ni 및 Cu와 관계된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bendability may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2) related to Mn, Ni, and Cu contained in the austenite phase.

식(2): Mn + 0.5*Ni + N ≥ 4Equation (2): Mn + 0.5 * Ni + N ≥ 4

여기서, Mn, Ni, N 는 각각 오스테나이트상 내의 망간, 니켈, 질소의 중량%를 의미한다.Here, Mn, Ni, N means the weight% of manganese, nickel, and nitrogen in an austenite phas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08% 이하(0 제외), Si: 1% 이하(0 제외), Mn: 2 내지 4%, Cr: 19 내지 22%, N: 0.2 내지 0.3%, Ni: 0.5 내지 1.5, Cu: 1%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강을 열간 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하기 식 (1)을 만족하도록 1050 내지 1200℃의 범위에서 소둔 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thod for producing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eight%, C: 0.08% or less (excluding 0), Si: 1% or less (excluding 0), Mn: 2 to 4%, Hot rolling a stainless steel comprising Cr: 19-22%, N: 0.2-0.3%, Ni: 0.5-1.5, Cu: 1% or less (excluding 0),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And annealing the hot rolled steel sheet in a range of 1050 to 1200 ° C.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1).

식(1): 551 - 462(C+N) - 9.2Si - 8.1Mn - 13.7Cr - 29(Ni+Cu) - 18.5Mo - 0.1x소둔온도(℃) ≤ -50 Equation (1): 551-462 (C + N)-9.2 Si-8.1 Mn-13.7 Cr-29 (Ni + Cu)-18.5 Mo-0.1 x Annealing temperature (° C) ≤ -50

여기서, C, N, Si, Mn, Cr, Ni, Cu, Mo 는 각각 탄소, 질소, 실리콘, 망간, 크롬, 니켈, 구리, 몰리브덴의 중량%를 의미한다.Here, C, N, Si, Mn, Cr, Ni, Cu, Mo means the weight percent of carbon, nitrogen, silicon, manganese, chromium, nickel, copper, molybdenum,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o; 0.5%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 It may further comprise 0.5%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연소둔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냉연강판을 1050 내지 1200℃의 온도로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d rolling the hot-rolled annealing steel sheet to obtain a cold-rolled steel sheet; And annealing the cold rolled steel sheet at a temperature of 1050 to 1200 ° C .;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시 절곡부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여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bend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y preventing cracks generated at the bent portion during bending.

도 1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절곡부에서 발생한 크랙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상태도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계산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 상의 미세 경도 편차와 절곡성 평가시 발생한 크랙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안정화도와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 상의 경도 편차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photograph of a crack generat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2 is a graph calculate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of the state diagram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acks generated during the evaluation of the hardness and fine hardness deviation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bilization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ardness deviation of the austen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esented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drawings may omit illustrations of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exaggerated to some extent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n excep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 대해 설명한 후,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duplex stainless steel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자들은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이 절곡 변행될 때 발생하는 크랙의 원인에 대해 다양한 검토를 행한 결과, 이하의 지견을 얻을 수 있었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As a result of carrying out various examination about the cause of the crack which arises when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is bent and performed, the following knowledge was acquired.

도 1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절곡부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크랙 형상을 나타내는 사진으로, 2상간의 경계면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듀플렉스 강의 2상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갖기 때문에 크랙이 발생함을 의미한다.1 is a photograph showing a representative crack shape generat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it can be seen that the crack occur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phases. This means that cracks occur because the two phases of the duplex steel have different properties.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각 상의 미세경도를 평가하였으며, 두 상간의 미세 경도 편차를 도출하였다. 이 때, 비커스 경도 측정법으로 측정되어 단위는 Hv 이다.In order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the microhardness of each phase was evaluated and the microhardness deviation between the two phases was derived. At this time, it is measured by Vickers hardness measurement method and a unit is Hv.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합금에 대하여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오스테나이트 - 페라이트)와 크랙 길이를 비교하였으며, 미세 경도 편차가 120 Hv 이하를 나타낼 때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compared the crack lengths with the micro hardness deviations (austenitic-ferrite) of the austen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for each alloy, and confirmed that no crack occurred when the micro hardness deviation showed 120 Hv or less.

한편, 소성 유기 변태(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TRIP)는 준안정적인 오스테나이트 강에 대해 공지된 효과이다.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소성 유기 변태를 활성화시키는 준안정적인 오스테나이트상을 포함하고 있어, 소성 유기 변태에 의해 우수한 성형성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TRIP) is a known effect on metastable austenitic steels. Lean duplex stainless steel contains a metastable austenite phase that activates calcined organic transformation and exhibits excellent moldability by calcined organic transformation.

그러나, 준안정적인 오스테나이트상의 마르텐사이트상으로의 변태는 오스테나이트상 영역의 경도 증가를 초래하고 이는 페라이트상과의 경도 편차를 크게 만든다. 절곡과 같은 성형에서는 이러한 경도 편차가 계면에서의 크랙 발생을 야기하게 된다.However, the transformation of the metastable austenite phase to the martensite phase leads to an increase in the hardness of the austenite phase region, which makes the hardness deviation from the ferrite phase large. In moldings such as bending, this hardness variation causes cracking at the interface.

보다 구체적으로, 오스테나이트의 경도가 페라이트에 비해 높아, 절곡시 상대적으로 연한 페라이트에 응력이 집중됨에 따라 절곡부에서 균열, 터짐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hardness of austenite is higher than that of ferrite, and as stress is concentrated in relatively soft ferrite during bending, cracks, bursts, etc. occur at the bent portion.

이에 따라,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절곡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도 편차를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이는 합금성분 및 소둔 온도를 고려한 오스테나이트 상 안정화도를 제어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secure the bendability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the hardness variation was minimized. This can be achieved by controlling the austenite phase stabiliz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alloying component and the annealing temperature.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C: 0.08% 이하(0 제외), Si: 1% 이하(0 제외), Mn: 2 내지 4%, Cr: 19 내지 22%, N: 0.2 내지 0.3%, Ni: 0.5 내지 1.5, Cu: 1% 이하(0 제외), Mo: 0.5%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eight%, C: 0.08% or less (excluding 0), Si: 1% or less (excluding 0), Mn: 2 to 4%, Cr: 19 to 22%, N: 0.2 to 0.3%, Ni: 0.5 to 1.5, Cu: 1% or less (excluding 0), Mo: 0.5% or less (excluding 0),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함금성분 함량의 수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단위는 중량%이다.Hereinafter, the reason for the numerical limitation of the content of the alloying componen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the unit is% by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C의 함량은 0.08% 이하이다.The content of C is 0.08% or less.

탄소(C)는 오스테나이트상 형성 원소로 Ni 등과 같은 고가의 원소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고용 강화에 의한 재료 강도 증가에 유효한 원소이다. C가 오스테나이트상 안정성에 기여하기 위하여서는 미량 첨가되어야 된다. 그러나, C의 과다 첨가시, 소재 제조시 중심부에 편석 및 조대한 탄화물을 형성하여, 후공정인 열간압연-소둔-냉간압연-냉연소둔 공정에 악영향을 끼치고,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 경계에서 내식성에 유효한 Cr과 같은 탄화물 형성 원소와 쉽게 결합하여 결정립계 주위의 Cr 함량을 낮추어 내부식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내식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0.08% 이하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arbon (C) may be used in place of an expensive element such as Ni as an austenite phase forming element, and is an effective element for increasing the material strength by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A small amount of C must be added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ustenite phase stability. However, excessive addition of C forms segregation and coarse carbide in the center of the material during manufacturing, which adversely affects the post-hot rolling-annealing-cold rolling-cold annealing process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at the ferrite-austenite phase boundary. In order to maximize corrosion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o add within a range of 0.08% or less, because it easily bonds with carbide forming elements such as effective Cr to lower Cr content around grain boundaries to reduce corrosion resistance.

Si의 함량은 1.0% 이하이다.The content of Si is 1.0% or less.

규소(Si)는 탈산효과를 위하여 일부 첨가되며, 페라이트상 형성 원소로 소둔 열처리시 페라이트에 농화되는 원소이다.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서 Si은 적정한 페라이트상 분율 확보를 위하여 0.2%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페라이트 상의 경도를 급격히 증가시켜 가공성 및 충격특성을 저하시키며, 제강 시 슬래그 유동성을 저하시키고, 산소와 결합하여 개재물을 형성하여 내식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는 바, 그 상한을 1.0%로 한정할 수 있다.Silicon (Si) is partially added for the deoxidation effect, and is an element that is concentrated in ferrite during annealing heat treatment as a ferrite phase forming element. In duplex stainless steel, Si is preferably added at least 0.2% to secure an appropriate ferrite phase fraction. However, if the content is excessive, the hardness of the ferrite phase is sharply increased to reduce the workability and impact characteristics, the slag fluidity is reduced during steelmaking, and the inclusions form oxygen inclusions to deteriorate the corrosion resistance. The upper limit can be limited to 1.0%.

Mn의 함량은 2 내지 4%이다.The content of Mn is 2-4%.

망간(Mn)은 제강 공정에서 탈산 및 용탕 유동도를 조절하는 원소이다. 또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서 질소 고용도를 증가시키는 원소이며,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로, 고가의 Ni 대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함량이 4%를 초과하는 경우 과량의 Mn이 강 중의 S와 결합하여 MnS를 형성하고 이는 내식성 저하를 초래한다. 한편, Mn의 함량이 2% 미만인 경우,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인 Ni, Cu, N등을 조절하여도 적정한 오스테나이트 상분율의 확보가 어렵고, 첨가되는 N의 고용도가 낮아져서 상압에서 충분한 질소 고용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Mn의 함량을 2 내지 4%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anganese (Mn) is an element that controls deoxidation and melt flow in the steelmaking process. It is also an element to increase the nitrogen solubility in duplex stainless steel, and as an austenite forming element, it can be used to replace expensive Ni. However, when the content exceeds 4%, excess Mn combines with S in the steel to form MnS,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corrosion resist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n content is less than 2%,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appropriate austenite phase fraction even by adjusting the austenite forming elements Ni, Cu, N, etc. Can not ge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content of Mn to 2 to 4%.

Cr의 함량은 19 내지 22%이다.The content of Cr is 19 to 22%.

크롬(Cr)은 Si와 함께 페라이트상 안정화 원소로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페라이트상 확보에 주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내식성의 확보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원소로, 19%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내식성이 증가하나 상분율 유지를 위하여 고가의 Ni이나 기타 오스테나이트상 형성원소의 함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는 바, 그 상한을 22%로 한정할 수 있다.Chromium (Cr), together with Si, plays a main role in securing the ferrite phase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as a ferrite phase stabilizing element, and is an essential element added for securing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if the content is excessi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rrosion resistance is increased but the content of expensive Ni or other austenite forming elements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maintain the phase ratio, and the upper limit thereof may be limited to 22%.

N의 함량은 0.20 내지 0.30%이다.The content of N is 0.20 to 0.30%.

질소(N)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서 Ni과 함께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는 원소로, 소둔 열처리 시 고상에서의 확산 속도가 빨라서 대부분 오스테나이트상에 농화가 발생하는 원소 중의 하나이다.Nitrogen (N) is an element that greatly contributes to stabilization of the austenite phase together with Ni in duplex stainless steel, and is one of the elements in which thickening occurs in the austenite phase due to the fast diffusion rate in the solid phase during annealing heat treatment.

따라서, N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부수적으로 내식성 향상 및 강도 향상을 꾀할 수 있으나, 첨가된 Mn의 함량에 따라 N의 고용도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그 함량 조절이 필요하다.Therefore,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strength incidentally, but since the solid solubility of 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Mn added, the content control is necessary.

본 발명의 Mn 함량 범위에서 N의 함량이 0.3%를 초과하면, 질소 고용도 초과에 의하여, 주조시 블로우 홀(blow hole) 및 핀 홀(pin hole) 등이 발생하여, 제품의 표면 결함으로 인해 강의 안정된 제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질소(N)의 함량을 0.20 내지 0.3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tent of N exceeds 0.3% in the Mn content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blow holes and pin holes may occur during casting due to excess nitrogen solubility, resulting in product surface defect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stable stee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content of nitrogen (N) to 0.20 to 0.30%.

Ni 의 함량은 0.5 내지 1.5% 이다.The content of Ni is 0.5 to 1.5%.

니켈(Ni)은 Mn, Cu 및 N와 함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오스테나이트상의 확보에 주된 역할을 하여 0.5%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ickel (Ni), together with Mn, Cu, and N, is an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and it is preferable to add 0.5% or more, which plays a major role in securing the austenite phase of duplex stainless steel.

한편, Ni은 고가의 원소로 원가절감을 위하여 Ni 함량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대신에 다른 오스테나이트상 형성 원소인 Mn과 N을 증가시켜서 Ni의 저감에 의한 상분율 균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크다.On the other hand, Ni is an expensive element, and instead of reducing the Ni content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there is a tendency to maintain the phase ratio balance by reducing Ni by increasing Mn and N, which are other austenite phase forming elements.

그러나, 냉간 가공 시 발생하는 소성 유기 마르텐사이트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충분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도 확보를 위하여 0.5% 이상 첨가하여야 한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증가하여 적절한 오스테나이트 분율 확보가 어렵고, 특히 고가인 Ni로 인한 제품의 제조 비용 증가로 경쟁력 확보가 어려워지는 바, 그 상한을 1.5%로 한정할 수 있다.However, 0.5% or more should be added to secure sufficient austenite stability in order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calcined organic martensite generated during cold working. However, if the content is excessive,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appropriate austenite fraction due to the increase of austenite fraction, an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secure competitiveness due to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f products due to expensive Ni. Therefore, the upper limit should be limited to 1.5%. Can be.

Cu의 함량은 1.0% 이하이다.The content of Cu is 1.0% or less.

구리(Cu)는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상의 생성에 기인하는 가공 경화를 억제하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연질화에 기여하는 원소이나, 원가절감을 고려하여 가격이 비싼 Cu로 인한 제품의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상한을 1.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pper (Cu) suppresses work hardening due to the formation of work organic martensite phase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due to expensive Cu in consideration of cost reduction and elements contributing to soft nitriding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It is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to 1.0% in order to prevent that from happening.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Mo; 0.5%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 It may further comprise 0.5% or less.

Mo의 함량은 0.5% 이하이다.The content of Mo is 0.5% or less.

몰리브덴(Mo)은 Cr과 함께 페라이트를 안정화 하면서 내식성 개선에 매우 유효한 원소이나, 원가절감을 고려하여 가격이 매우 비싼 Mo로 인한 제품의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상한을 0.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lybdenum (Mo) is an element that is very effective for improving corrosion resistance while stabilizing ferrite with Cr, but the upper limit is set to 0.5% in order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a product due to a very expensive Mo in consideration of cost reduction. It is desirable to.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The remaining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ron (F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 impurities which are not intended from the raw material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be inevitably mixed, and thus cannot be excluded. Since these impuritie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of them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의 2상 미세조직으로 구성된다.Lean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wo-phase microstructure of austenite and ferrite.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 조직이란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이 대부분의 조직을 차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스테인리스강이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으로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이 대부분의 조직을 차지한다는 것은 스테인리스강을 형성하는 조직 중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의 합이 90% 이상을 차지한다는 의미이고,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을 제외한 나머지는 오스테나이트상이 변태된 마르텐사이트상이 차지할 수 있다.The austenitic and ferrite structure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 that the ferrite phase and the austenite phase occupy most of the structure, and that stainless steel is not formed only with the ferrite phase and the austenite phase. For example, the fact that the ferrite phase and the austenite phase occupy most of the structure means that the sum of the ferrite phase and the austenite phase accounts for 90% or more of the stainless steel forming structures, except for the ferrite phase and the austenite phase. The austenitic martensite phase can be occup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alloy composition may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1).

식(1): 551 - 462(C+N) - 9.2Si - 8.1Mn - 13.7Cr - 29(Ni+Cu) - 18.5Mo - 0.1x 소둔온도(℃) ≤ -50Equation (1): 551-462 (C + N)-9.2 Si-8.1 Mn-13.7 Cr-29 (Ni + Cu)-18.5 Mo-0.1x Annealing temperature (° C) ≤ -50

여기서, C, N, Si, Mn, Cr, Ni, Cu, Mo 는 각각 탄소, 질소, 실리콘, 망간, 크롬, 니켈, 구리, 몰리브덴의 중량%를 의미한다.Here, C, N, Si, Mn, Cr, Ni, Cu, Mo means the weight percent of carbon, nitrogen, silicon, manganese, chromium, nickel, copper, molybdenum, respectively.

전술한 바와 같이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경도 차를 줄여야만 벤딩 조건에서의 절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경도 편차는 준안정적인 오스테나이트상의 마르텐사이트 상으로의 변태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As described above, bendability in bending conditions can be improved only by reducing th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the austen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the hardness deviation is due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metastable austenite phase into the martensite phase. Confirmed.

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상의 소성 유기 변태는 오스테나이트 조성에 대한 Nohara식 Md30에 의해 예측된다. Md30은 진변형율 0.3에서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마르텐사이트가 50% 생성되는 온도를 의미하며, 551 - 462(C+N) - 9.2Si - 8.1Mn - 13.7Cr - 29(Ni+Cu) - 18.5Mo - 68Nb로 표현된다. Md30을 사용해 예측된 온도를 이용하여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도를 판단하는 것이다.In general, the calcined organic transformation of the austenite phase is predicted by the Nohara formula Md 30 for the austenite composition. Md 30 refers to the temperature at which martensite is 50% formed from austenite at a true strain of 0.3, 551-462 (C + N)-9.2 Si-8.1 Mn-13.7 Cr-29 (Ni + Cu)-18.5 Mo- It is expressed as 68 Nb. The predicted temperature using Md 30 is used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the austenite phase.

일반적으로, Md30 온도가 낮을수록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도가 높아 소성 유기 변태가 억제된다. 따라서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 상의 마르텐사이트 상으로의 변태를 억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낮은 Md30 온도를 갖도록 합금성분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In general, the lower the Md 30 temperature, the higher the stability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us the plastic organic transformation is suppress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micro-hardness variations on the austenite phase and ferrite, it is necessary to inhibit the transformation of martensite phase to the austenite phase, lower Md 30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lloying component to have a temperature.

그러나,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 상을 동시에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Md30 만으로 오스테나이스상의 안정화도를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duplex stainless steel contains both austenite phase and ferrite phase, Md 30 There is a limit in indicating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austenoid phase alone.

도 2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상태도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계산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에 따라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분율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 is a graph calculate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of the state diagram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Referring to Figure 2, it can be seen that the fraction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changes with temperature.

하기의 표 1은 온도에 따른 오스테나이트상 분율과 이때 오스테나이트상이 함유하는 합금원소의 함량을 수치해석을 통해 계산한 값이다.Table 1 below is a value of the austenitic phase fra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he content of the alloying elements contained in the austenitic phase through numerical analysis.

온도(℃)Temperature (℃) 오스테나이트상 분율(%)Austenitic phase fraction (%) 오스테나이트 상 내 합금원소 함량(중량%)Alloy element content in austenitic phase (wt%) CC MnMn CrCr NiNi SiSi CuCu NN 10801080 74.574.5 0.0380.038 3.1363.136 19.43919.439 0.9960.996 0.7170.717 0.8640.864 0.3040.304 11501150 62.062.0 0.0430.043 3.1913.191 19.19019.190 1.0351.035 0.7040.704 0.8840.884 0.3420.342

표 1을 참조하면, 온도에 따라 오스테나이트상의 분율이 변화하고, 오스테나이트상 내의 합금원소 함량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성분원소의 함량에 따라 변화되는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도는 소둔 온도에 따라서도 변화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fraction of the austenite phase changes with temperature, and the alloying element content in the austenite phase changes. Ther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austenite phase, which change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element, will also change depending on the annealing temperature.

이를 적용하여 합급 성분에 의한 Md30과 소둔 온도를 활용하여,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서의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화도를 나타내는 식 (1)을 도출하였다.Applying this, Md 30 and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the alloying components were used to derive Equation (1) indicating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austenite phase in duplex stainless steel.

식(1): 551 - 462(C+N) - 9.2Si - 8.1Mn - 13.7Cr - 29(Ni+Cu) - 18.5Mo - 0.1x 소둔온도(℃)Formula (1): 551-462 (C + N)-9.2Si-8.1Mn-13.7Cr-29 (Ni + Cu)-18.5Mo-0.1x Annealing Temperature (℃)

전술한 바와 같이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차를 120 Hv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합금 성분에 대하여 미세 경도를 평가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aintain the fine hardness difference between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at 120 Hv or less, the fine hardness of the various alloy components was evalua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안정화도와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 상의 경도 편차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bilization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ardness deviation of the austen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도 4를 참조하면,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안정화도 온도가 높아질수록,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가 증가하고,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를 120 Hv 이하로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식 (1)이 -50 이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the stabilization temperature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is increased, the fine hardness deviation of the austen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increases, and the fine hardness deviation of the austen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des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atisfied to 120 Hv or less. In order to confirm that Equation (1) must satisfy the condition of -50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는 Hv 120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hardness variation of the austen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satisfying the aforementioned alloy composition may be Hv 120 or les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와 절곡성 평가시 발생한 크랙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acks generated when the fine hardness deviation and the bendability evaluation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가 120이하일 때, 크랙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cracks do not occur when the micro hardness variation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is 120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페라이트 상분율은 면적분율로 45 내지 60%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rrite phase fraction of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alloy composition may be 45 to 60% by area fraction.

페라이트 분율이 45% 미만이면, 충분한 내식성을 얻을 수 없고,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특성을 잃어버리는 문제가 있으며, 반면 60%를 초과하게 되면 가공 경화 효과가 발생하지 않아 변태 유기 마르텐사이트가 미발생함으로 인해 고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If the ferrite fraction is less than 45%, sufficient corrosion resistance cannot be obtained, and there is a problem of lo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whereas if it exceeds 60%, the work hardening effect does not occur, resulting in the absence of metamorphic organic martensite. It is difficult to secure ductil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이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상 내의 합금원소는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oying element in the austenitic phase contained in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alloy composition may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2).

식(2): Mn + 0.5*Ni + N ≥ 4 Equation (2): Mn + 0.5 * Ni + N ≥ 4

여기서, Mn, Ni, N 는 각각 망간, 니켈, 질소의 중량%를 의미한다.Here, Mn, Ni, N means the weight percent of manganese, nickel, and nitrogen,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 정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안정화도는, 절곡 성형시 2상 중 오스테나이트상의 마르텐사이트상으로 변형 유기 변태와 관련되고, 따라서 소둔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오스테나이스상의 분율 및 오스테나이트상 내의 성분원소에 영향을 받는다.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the deformation organic transformation from the austenitic phase to the martensite phase of the two phases during bending molding, and thus to the fraction of the austenitic phase and the component elements in the austenitic phase that change with annealing temperature get affected.

이러한 관점에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인 Mn, Ni, N의 함량을 식 2로 도출하였다.In this regard, the contents of Mn, Ni, and N, which are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s, are derived from Equation 2.

예를 들어,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이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상 내에서 식 (2)를 만족하는 경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안정화도는 -50 이하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ormula (2) is satisfied in the austenite phase included in lean duplex stainless steel,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may be -50 or les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가 120 Hv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경도 편차는 그 크기가 작을수록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절곡성에 유리하다.Accordingly, 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bend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ine hardness variation of less than 120 Hv in the austen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The smaller the hardness variation is, the smaller the crack does not occur, which is advantageous for bendability.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bendabilit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08% 이하(0 제외), Si: 1% 이하(0 제외), Mn: 2 내지 4%, Cr: 19 내지 22%, N: 0.2 내지 0.3%, Ni: 0.5 내지 1.5, Cu: 1%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강을 열간 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하기 식 (1)을 만족하도록 1050 내지 1200℃의 범위에서 소둔 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thod for producing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eight%, C: 0.08% or less (excluding 0), Si: 1% or less (excluding 0), Mn: 2 to 4% Hot rolling a stainless steel comprising Cr: 19-22%, N: 0.2-0.3%, Ni: 0.5-1.5, Cu: 1% or less (excluding 0),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And annealing the hot rolled steel sheet in a range of 1050 to 1200 ° C.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1).

또한, 상기 열연소둔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냉연강판을 1050 내지 1200℃의 온도로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cold rolling the hot-rolled annealing steel sheet to obtain a cold-rolled steel sheet; And annealing the cold rolled steel sheet at a temperature of 1050 to 1200 ° C .;

합금원소 함량의 수치 한정 이유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reason for the numerical limitation of the alloy element content is as described above.

상기의 조성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강을 통상의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 하여 최종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열간압연 또는 냉간압연 과정에서 쌓인 변형을 제거하여 절곡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연강판 및 냉연강판에 대해 소둔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stainless steel comprising the above composition can be hot rolled and cold rolled to form a final product. In addition,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hot rolled steel sheet and the cold rolled steel sheet in order to remove the deformation accumulated in the hot rolling or cold rolling process to improve bendability.

이 때, 1050 내지 1200℃의 온도에서 30초 이상 소둔 열처리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for 30 seconds or more at a temperature of 1050 to 1200 ℃.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둔열처리 온도가 높아야 한다. 온도가 높을수록 2상 중 오스테나이트상으로의 C, N의 농화가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소둔열처리 온도가 1050℃ 이상인 경우에는, C, N의 농화로 인해 오스테아니트 상의 안정화도가 높아지고, 마르텐사이트상으로의 변태를 억제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austenite stabilization,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must be high. This is because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more active the concentration of C and N into the austenite phase in the two phases. Specifically, when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1050 ° C. or higher,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austenite phase is increased due to the concentration of C and N, and the transformation to the martensite phase can be suppressed.

그러나 소둔열처리 온도가 1250℃를 초과하게 되면, 고온에서 확산이 활발하여 과도한 C, N의 농화가 발생하여,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가 발생하는바, 소성 유기 마르텐사이트 형성이 억제되어 변형의 구간에서 응력을 유지 할 수 있는 가공 경화 지수를 얻을 수 없다.However, when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exceeds 1250 ℃, the diffusion is active at high temperatures, excessive concentration of C, N occurs, stabilization of the austenite phase occurs, the formation of plastic organic martensite is suppressed to stress in the section of deformation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 work hardening index that can maintain.

이와 같이, 합금성분과 함께 소둔열처리 시 온도를 제어할 경우,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를 저감시켜 절곡시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emperature is controlled during annealing heat treatment together with the alloying compon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ine hardness variation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to suppress cracking during bending.

이에 따라 제조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하기 식 (1)을 만족한다.Lean duplex stainless steel produced according to this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식(1): 551 - 462(C+N) - 9.2Si - 8.1Mn - 13.7Cr - 29(Ni+Cu) - 18.5Mo - 0.1x소둔온도(℃) ≤ -50 Equation (1): 551-462 (C + N)-9.2 Si-8.1 Mn-13.7 Cr-29 (Ni + Cu)-18.5 Mo-0.1 x Annealing temperature (° C) ≤ -50

여기서, C, N, Si, Mn, Cr, Ni, Cu, Mo 는 각각 탄소, 질소, 실리콘, 망간, 크롬, 니켈, 구리, 몰리브덴의 중량%를 의미한다.Here, C, N, Si, Mn, Cr, Ni, Cu, Mo means the weight percent of carbon, nitrogen, silicon, manganese, chromium, nickel, copper, molybdenum,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실시예Example

표 2와 같이 강의 각 성분의 함량을 변경하면서 용강을 생산하였으며, 한 쌍의 주조롤 사이로 용강을 통과시켜 박판을 제조하는 쌍롤식 박판주조법을 적용하여 제조하였다. 한 쌍의 주조롤을 통과하여 제조된 박판을 상기 한쌍의 주조롤과 연속적으로 배치된 인라인 롤러를 이용하여 압연하여 두께 3mm의 판재를 제조하였다.As shown in Table 2, molten steel was produced while changing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of the steel, and manufactured by applying a twin roll type sheet casting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sheet by passing molten steel between a pair of casting rolls. The thin plate manufactured by passing through a pair of casting rolls was rolled using an inline roller continuously arranged with the pair of casting rolls to produce a plat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3 mm.

CC SiSi MnMn CrCr NN NiNi CuCu MoMo 1One 0.0420.042 0.640.64 3.073.07 20.120.1 0.2470.247 1.121.12 0.790.79 0.10.1 22 0.0420.042 0.580.58 3.113.11 20.720.7 0.2370.237 0.840.84 0.850.85 0.20.2 33 0.0350.035 0.750.75 2.992.99 21.321.3 0.2250.225 0.950.95 0.800.80 0.00.0 44 0.0410.041 0.820.82 2.982.98 19.819.8 0.2320.232 1.241.24 0.820.82 0.10.1 55 0.0270.027 0.620.62 2.892.89 20.120.1 0.2410.241 0.980.98 0.900.90 0.40.4 66 0.0300.030 0.750.75 3.003.00 20.320.3 0.2400.240 0.900.90 0.800.80 0.20.2 77 0.0350.035 0.720.72 2.962.96 20.420.4 0.2340.234 0.940.94 0.740.74 0.00.0 88 0.0320.032 0.630.63 2.842.84 19.719.7 0.2560.256 0.800.80 0.780.78 0.20.2 99 0.0310.031 0.700.70 3.053.05 20.320.3 0.2170.217 0.900.90 0.800.80 0.40.4 1010 0.0350.035 0.740.74 2.992.99 20.020.0 0.2320.232 0.930.93 0.790.79 0.00.0 1111 0.0280.028 0.600.60 2.822.82 19.819.8 0.2300.230 0.900.90 0.870.87 0.30.3

표 2에 따른 강을 실험에 사용하였다.The steel according to Table 2 was used for the experiment.

제조된 판재에 대해 연속적으로 열연 소둔처리를 실시하였다. 연속 소둔 처리시 소둔 온도는 1050 내지 1200℃ 온도범위로 하였으며, 각각의 온도에서 30초 이상 진행하였다.Hot-rolled annealing was performed continuously on the produced plate. The annealing temperature during the continuous annealing treatment wa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050 to 1200 ℃, proceeded for 30 seconds or more at each temperature.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판재에 대해 비커스 경도 측정법을 사용하여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를 측정하였으며, 절곡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절곡성 평가는 폭 20mm 길이 120mm 두께 3mm 시편을 이용하여 180° 절곡을 하였으며, 절곡 부위에 발생한 크랙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크랙의 길이는 0 이고, 완전히 파단이 발생한 경우 크랙의 길이는 전체 시편의 폭인 20mm에 해당한다.For the plate produced in this manner, the micro hardness variation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was measured using the Vickers hardness measurement method, and the bendabi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The bendability was evaluated by bending 180 ° using a 20mm wide 120mm thick 3mm specimen and measuring the length of cracks in the bent portion. If no cracks occur, the crack length is zero, and if fully broken, the crack length corresponds to 20 mm, the width of the entire specimen.

페라이트 분율은 3mm 두께의 열연소둔상태의 소재에 대하여 페라이트스코프(Ferritescope)를 사용하여 계측하였다. 페라이트스코프는 소재의 자성을 활용하여 페라이트 상의 분율을 측정하는 기기이며, Fisher사의 "Ferritescope MP30"을 사용하였다.The ferrite fraction was measured using a ferrite scope on a 3 mm thick hot-annealed material. Ferrite scope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fraction of ferrite phase by using the magnetism of the material, Fisher's "Ferritescope MP30" was used.

각각의 성분에서 소둔 온도에 따른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도,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 페라이트 함량, 식 (2) 값 및 절곡성 평가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austenitic stability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annealing temperature in each component, the fine hardness variation of the austenitic phase and the ferrite phase, the ferrite content, the value of the formula (2) and the bendability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No.No. 비고Remarks 소둔온도
(℃)
Annealing Temperature
(℃)
안정화도
(℃)
Stabilization
(℃)
경도차
(ΔHv)
Hardness difference
(ΔHv)
페라이트
함량
ferrite
content
Mn + 0.5*Ni + NMn + 0.5 * Ni + N 크랙길이
(mm)
Crack length
(mm)
1One 실시예 1Example 1 10501050 -50.2-50.2 112.9112.9 55.355.3 4.024.02 00 실시예 2Example 2 11001100 -55.2-55.2 105.5105.5 55.755.7 4.094.09 00 실시예 3Example 3 11501150 -60.2-60.2 86.986.9 56.356.3 4.174.17 00 실시예 4Example 4 12001200 -65.2-65.2 93.993.9 58.458.4 4.274.27 00 22 실시예 5Example 5 10501050 -50.0-50.0 113.4113.4 56.456.4 4.034.03 00 실시예 6Example 6 11001100 -55.0-55.0 108.3108.3 56.856.8 4.094.09 00 실시예 7Example 7 11501150 -60.0-60.0 107.1107.1 57.457.4 4.174.17 00 실시예 8Example 8 12001200 -65.0-65.0 105.7105.7 57.257.2 4.264.26 00 3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501050 -48.2-48.2 124.5124.5 56.556.5 3.993.99 33 실시예 9Example 9 11001100 -53.2-53.2 112.0112.0 56.856.8 4.064.06 00 실시예 10Example 10 11501150 -58.2-58.2 109.6109.6 58.158.1 4.144.14 00 실시예 11Example 11 12001200 -63.2-63.2 113.9113.9 60.260.2 4.234.23 00 44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0501050 -45.3-45.3 128.7128.7 55.455.4 3.963.96 1616 실시예 12Example 12 11001100 -50.3-50.3 112.4112.4 55.655.6 4.034.03 00 실시예 13Example 13 11501150 -55.3-55.3 115.8115.8 55.655.6 4.124.12 00 실시예 14Example 14 12001200 -60.3-60.3 113.0113.0 57.157.1 4.214.21 00 5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0501050 -45.0-45.0 132.4132.4 46.346.3 3.943.94 1212 실시예 15Example 15 11001100 -50.0-50.0 120.0120.0 48.248.2 4.004.00 00 실시예 16Example 16 11501150 -55.0-55.0 117.3117.3 48.748.7 4.094.09 00 실시예 17Example 17 12001200 -60.0-60.0 114.0114.0 49.549.5 4.174.17 00 66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0501050 -40.1-40.1 126.4126.4 47.847.8 3.923.92 1010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11001100 -45.1-45.1 128.6128.6 46.746.7 3.993.99 2020 실시예 18Example 18 11501150 -50.1-50.1 110.5110.5 51.251.2 4.074.07 00 실시예 19Example 19 12001200 -55.1-55.1 111.2111.2 50.350.3 4.174.17 00 77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10501050 -36.8-36.8 153.5153.5 44.444.4 3.863.86 2020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11001100 -41.8-41.8 129.3129.3 42.642.6 3.933.93 1818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11501150 -46.8-46.8 149.3149.3 43.943.9 3.993.99 2020 실시예 20Example 20 12001200 -51.8-51.8 109.1109.1 44.944.9 4.084.08 00 88 비교예 9Comparative Example 9 10501050 -35.7-35.7 144.6144.6 47.747.7 3.773.77 2020 비교예 10Comparative Example 10 11001100 -40.7-40.7 130.3130.3 52.652.6 3.833.83 1111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11501150 -45.7-45.7 123.7123.7 50.850.8 3.913.91 1818 실시예 21Example 21 12001200 -50.7-50.7 117.0117.0 52.652.6 4.004.00 00 99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10501050 -34.3-34.3 176.5176.5 52.952.9 3.743.74 2020 비교예 13Comparative Example 13 11001100 -39.3-39.3 129.0129.0 50.450.4 3.833.83 2020 비교예 14Comparative Example 14 11501150 -44.3-44.3 137.2137.2 51.851.8 3.903.90 2020 비교예 15Comparative Example 15 12001200 -49.3-49.3 122.3122.3 52.952.9 3.993.99 55 1010 비교예 16Comparative Example 16 10501050 -32.8-32.8 151.1151.1 43.743.7 3.783.78 2020 비교예 17Comparative Example 17 11001100 -37.8-37.8 129.3129.3 46.346.3 3.843.84 2020 비교예 18Comparative Example 18 11501150 -42.8-42.8 134.7134.7 47.547.5 3.913.91 2020 비교예 19Comparative Example 19 12001200 -47.8-47.8 128.1128.1 52.152.1 4.004.00 44 1111 비교예 20Comparative Example 20 10501050 -28.8-28.8 178.5178.5 52.352.3 3.703.70 2020 비교예 21Comparative Example 21 11001100 -33.8-33.8 149.0149.0 53.153.1 3.773.77 2020 비교예 22 Comparative Example 22 11501150 -38.8-38.8 147.2147.2 54.654.6 3.853.85 2020 비교예 23Comparative Example 23 12001200 -43.8-43.8 128.3128.3 53.753.7 3.943.94 66

표 3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상의 경도 편차가 120 Hv 이하일 때,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3 and FIG. 3, it can be seen that cracks do not occur when the hardness variation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is 120 Hv or less.

또한, 표 3 및 도 4에 따르면, 도 4에 따르면 소둔 온도를 고려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안정화도가 -50℃ 이하일 때 120 Hv 이하의 경도 편차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able 3 and Figure 4, according to Figure 4 it can be seen that the stability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in consideration of the annealing temperature has a hardness deviation of 120 Hv or less when -50 ℃ or less.

상기 실시예들의 경우, 비교예들과 비교하여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에서의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화도를 나타내는 식 (1)을 만족하고,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상의 경도 편차가 120 Hv 이하로 나타나, 절곡 변형 후 크랙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formula (1) indicating the stability of the austenite phase in the duplex stainless steel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s is satisfied, and the hardness deviation of the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is 120 Hv or less, and after bending deformation You can see that no crack occurs.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소둔 열처리 온도 범위를 만족하더라도 본 발명에서의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안정화도를 나타내는 식 (1)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크랙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3, even if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range is satisfi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rack occurs when the formula (1) indicating the degree of stability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atisfied.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예들의 경우에는 식 (1)의 값이 -50 초과인 바, 이는 오스테나이트의 안정도가 낮아 소성 유기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어 오스테나이트 오스테나이트 상과 페라이트상의 경도 편차 증가로 설명된다. 비교예들의 경우에는 절곡부에서 크랙이 발생하여 절곡부 품질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s, the value of the formula (1) is greater than -50, which is explained by the low stability of the austenite,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calcined organic martensite, thereby increasing the hardness deviation of the austenitic austenite phase and the ferrite phase. .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s it can be seen that cracks occur in the bent portion is poor quality of the bent portion.

또한, 실시예들의 경우, 비교예들과 비교하여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인 Mn, Ni, N의 함량에 관계된 식 (2)의 값이 4 이상이다. 이에 비해, 비교예들의 경우에는 식 (2)의 값이 4 미만이다. 이를 통해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안정화도는 소둔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오스테나이트상 내에 포함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 Mn, Ni, N의 함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s, the value of Formula (2) related to the content of Mn, Ni, and N, which are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s, is 4 or more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In comparison,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s, the value of Equation (2) is less than four.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duplex stainless steel is directly affected by the contents of the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s Mn, Ni, and N contained in the austenite phase which varies with annealing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도를 고려한 성분계를 도출하고, 소둔온도와의 관계에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도를 수식적으로 측정하여, 절곡성 결과와 연결지음으로써, 적정한 합금 성분 범위에서 절곡부 품질이 향상된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Th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a component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austenite stabilization degree, and formally measures the stability of the austenite in relation to the annealing temperature, thereby connecting with the bendability resul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bend quality was improved in an appropriate alloy range.

즉, 소둔온도를 제어함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도를 확보하면서 상(phas)간 경도 편차를 저감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절곡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That is, by controlling the annealing temperature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hardness variation between the phase (phas) while ensuring the austenite stabilization, thereby improving the bend quality.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following.

Claims (8)

중량%로, C: 0.08% 이하(0 제외), Si: 1% 이하(0 제외), Mn: 2 내지 4%, Cr: 19 내지 22%, N: 0.2 내지 0.3%, Ni: 0.5 내지 1.5, Cu: 1%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식(1): 551 - 462(C+N) - 9.2Si - 8.1Mn - 13.7Cr - 29(Ni+Cu) - 18.5Mo - 0.1x소둔온도(℃) ≤ -50
(여기서, C, N, Si, Mn, Cr, Ni, Cu, Mo 는 각각 탄소, 질소, 실리콘, 망간, 크롬, 니켈, 구리, 몰리브덴의 중량%를 의미한다.)
By weight, C: 0.08% or less (excluding 0), Si: 1% or less (excluding 0), Mn: 2-4%, Cr: 19-22%, N: 0.2-0.3%, Ni: 0.5-1.5 , Cu: 1% or less (excluding 0), including residual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Equation (1): 551-462 (C + N)-9.2 Si-8.1 Mn-13.7 Cr-29 (Ni + Cu)-18.5 Mo-0.1 x Annealing temperature (° C) ≤ -50
(C, N, Si, Mn, Cr, Ni, Cu, Mo means the weight percent of carbon, nitrogen, silicon, manganese, chromium, nickel, copper, molybdenum,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Mo; 0.5% 이하를 더 포함하는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The method of claim 1,
Mo;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further comprising 0.5%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미세 경도 편차는 120 Hv 이하인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The method of claim 1,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of less than 120 Hv in fine hardness between austenitic and ferritic phases.
제1항에 있어서,
페라이트 상분율이 45 내지 60%인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The method of claim 1,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with ferritic phase percentages of 45 to 60%.
제1항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상에 함유된 Mn, Ni 및 Cu와 관계된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식(2): Mn + 0.5*Ni + N ≥ 4
(여기서, Mn, Ni, N 는 각각 오스테나이트상 내의 망간, 니켈, 질소의 중량%를 의미한다.)
The method of claim 1,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2) related to Mn, Ni and Cu contained in the austenitic phase.
Equation (2): Mn + 0.5 * Ni + N ≥ 4
(Wherein Mn, Ni, N means the weight percent of manganese, nickel, and nitrogen in the austenite phase, respectively.)
중량%로, C: 0.08% 이하(0 제외), Si: 1% 이하(0 제외), Mn: 2 내지 4%, Cr: 19 내지 22%, N: 0.2 내지 0.3%, Ni: 0.5 내지 1.5, Cu: 1%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강을 열간 압연하는 단계;
열연강판을 하기 식 (1)을 만족하도록 1050 내지 1200℃의 범위에서 소둔 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식(1): 551 - 462(C+N) - 9.2Si - 8.1Mn - 13.7Cr - 29(Ni+Cu) - 18.5Mo - 0.1x소둔온도(℃) ≤ -50
(여기서, C, N, Si, Mn, Cr, Ni, Cu, Mo 는 각각 탄소, 질소, 실리콘, 망간, 크롬, 니켈, 구리, 몰리브덴의 중량%를 의미한다.)
By weight, C: 0.08% or less (excluding 0), Si: 1% or less (excluding 0), Mn: 2-4%, Cr: 19-22%, N: 0.2-0.3%, Ni: 0.5-1.5 , Cu: hot rolling a stainless steel comprising 1% or less (excluding 0),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Annealing heat treatment the hot-rolled steel sheet in the range of 1050 to 1200 ℃ to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1); manufacturing method of lean duplex stainless steel including improved bendability.
Equation (1): 551-462 (C + N)-9.2 Si-8.1 Mn-13.7 Cr-29 (Ni + Cu)-18.5 Mo-0.1 x Annealing temperature (° C) ≤ -50
(C, N, Si, Mn, Cr, Ni, Cu, Mo means the weight percent of carbon, nitrogen, silicon, manganese, chromium, nickel, copper, molybdenum, respectively.)
제6항에 있어서,
Mo; 0.5% 이하를 더 포함하는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6,
Mo; Method for producing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ability further comprising 0.5% or less.
제6항에 있어서,
열연소둔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냉연강판을 1050 내지 1200℃의 온도로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절곡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6,
Cold rolling the hot-rolled annealed steel sheet to obtain a cold-rolled steel sheet; And annealing the cold rolled steel sheet at a temperature of 1050 to 1200 ° C .;
KR1020170179151A 2017-12-26 2017-12-26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03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51A KR102003223B1 (en) 2017-12-26 2017-12-26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18/013419 WO2019132226A1 (en) 2017-12-26 2018-11-07 Lean duplex steel having improved ben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51A KR102003223B1 (en) 2017-12-26 2017-12-26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724A KR20190077724A (en) 2019-07-04
KR102003223B1 true KR102003223B1 (en) 2019-10-01

Family

ID=6706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151A KR102003223B1 (en) 2017-12-26 2017-12-26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3223B1 (en)
WO (1) WO201913222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906B1 (en) * 2019-07-17 2021-06-25 주식회사 포스코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oroved streng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6490625A (en) * 2020-11-30 2023-07-25 日铁不锈钢株式会社 Double-phase stainless steel sheet, double-phase stainless steel hot-rolled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double-phase stainless steel she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308A (en) 2005-02-28 2006-09-07 Jfe Steel Kk Austenitic-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grain boundary corrosion res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517B1 (en) * 2012-12-24 2014-10-23 주식회사 포스코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48658A (en) * 2015-10-26 2017-05-10 주식회사 포스코 Lean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bending property
KR20170069338A (en) * 2015-12-10 2017-06-21 주식회사 포스코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ing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KR101735003B1 (en) * 2015-12-23 2017-05-15 주식회사 포스코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308A (en) 2005-02-28 2006-09-07 Jfe Steel Kk Austenitic-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grain boundary corrosion re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226A1 (en) 2019-07-04
KR20190077724A (en)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3566C2 (en) Wear-resistant steel strip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379079B1 (en) Lean duplex stainless steel
RU2593567C2 (en) High-strength steel strip with high impact strength and yield point of 700 mpa and its production method
KR102003223B1 (en)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end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74697A (en) Low-nickel containing stainless steels
EP3978643A2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699314A1 (en) Utility 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hot work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419878B1 (en) Method for cold rolling for duplex stainless steel
KR101735003B1 (en) Lean duplex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789365B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strength
KR101554771B1 (en) Super ductil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KR20180018908A (en) Duplex stainless steel having low content of ni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54517B1 (en)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7700B1 (en) Lean duplex stainless steel
KR20200131038A (en)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KR101650258B1 (en) Austenitic stainl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79076B1 (en)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80179612A1 (en) Duplex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79063B1 (en)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463015B1 (en) High-streng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hot workability
US20180363112A1 (en)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69590B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ridging resistance and formability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 of
KR100832694B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deep drawability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287549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deep drawing
KR101889176B1 (en) High strength duplex stainless steel reduced crac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