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461B1 -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electrical power system having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electrical power system having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461B1
KR102002461B1 KR1020180126112A KR20180126112A KR102002461B1 KR 102002461 B1 KR102002461 B1 KR 102002461B1 KR 1020180126112 A KR1020180126112 A KR 1020180126112A KR 20180126112 A KR20180126112 A KR 20180126112A KR 102002461 B1 KR102002461 B1 KR 102002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module
information
monitoring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1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정민
김동수
이현모
한송이
최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티엔씨
Priority to KR1020180126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4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4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r analysing measured signals, e.g. for indicating peak values ; Details concerning sampling, digitizing or waveform cap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7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2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or power factor or reactive power compensating or correcting units

Abstract

Provided is a system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sis device having a multiprocessing structure. The system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sis device having a multiprocessing structure comprises: a first signal input/output module for receiving an analog signal and an event signal measured in a system; a second signal input/output module for receiving measurement data of a pager measurement unit (PMU) disposed in the system; a monitoring control module including a first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calculation for compar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on analog signals, event signals, and measurement data inputted into the first signal input/output module and the second signal input/output module so as to monitor the state of the system; an information control module including a second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calculation for sampling the information on the analog signals, the event signals, and the measurement data inputted into the first signal input/output module and the second signal input/output module, and transmit a trigger signal when an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is detected; a recorder module operating by the trigger signal and recording the sampled data as a COMTRADE type accident file; and a power module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first signal input/output module, the second signal input/output module,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and the recorder module. Thus, efficient monitoring of power system accidents and rapid recording of accident conditions can be possible.

Description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electrical power system having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a system having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s,

본 발명은 GPS시각 동기화된 PMU데이터 등으로 전력계통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계통 이상 발생시 고장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데이터 처리구조로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정확한 사고분석이 가능한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capable of monitoring a power system in real time by PMU data synchronized with GPS time and storing and analyzing fault related data when a system fault occu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aul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having a multi-processing structure that can operate more efficiently and accurately analyze accidents.

전력계통은 발전설비, 송전 및 배전설비, 변전설비 등 전력생산 및 운용과 관련된 일체의 설비로 이루어진다. 산업발전과 소비전력의 증가에 따라 발전설비나 변전설비 등의 대용량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생산전력의 안정성과 품질향상도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나 설비용량의 증가는 작은 사고로도 전력 생산 및 공급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는 쉽지 않다.The power system consists of all facilities related to power generation and operation such as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nd substation facilities. As the industrial power generation and power consumption increase, the capacity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substation facilities is increasing, and the stability and quality improvement of production power are continuously required. However, the increase of facility capacity has a great impact on power generation and supply It is not easy to satisfy such a demand.

따라서 계통 사고를 보다 정확하게 감시하여 미연에 방지하거나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대처 가능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력계통의 사고는 기계설비 등의 경우와 달리 외관 상으로 징후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고, 사고의 형태도 규칙 또는 불규칙한 외란의 형태로 시간 차를 두고 지속될 수 있으며, 또한 사고의 여파가 하위구조에 연속하여 영향을 주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일반적인 방식으로 적절하게 파악하고 대비하기 매우 곤란하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preventing system accidents from being monitored more precisely, or capable of quickly coping with an accident. Unlike mechanical systems, power system accidents can be difficult to see easily on the appearance, and accident types can be kept in time or in the form of rules or irregular disturbances. Also, And it is very difficult to appropriately grasp and prepare in a general manner for various reasons.

예를 들어, 종래 전력계통의 감시를 위해 계통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기술 등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대개 정상 운용상태에서 설비의 운용효율 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일 뿐 이를 통해 예상치 못한 사고를 미리 인식하거나, 사고분석이 가능한 종합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그로부터 사고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독 등이 이루어지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사고상황에 대한 감시 및 분석 등에 보다 적합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였다.For example, a technique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system data for monitoring a power system has been disclosed. However, it is generally used for improv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a facility in a normal operation stat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accident, to provide comprehensive data capable of accident analysis, and to accurately read the accident situation therefrom.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develop more appropriate technology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accident situ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2324호, (2008. 05. 26)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2324, (May 26, 200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중 데이터 처리구조로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정확한 사고분석이 가능한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having a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that can operate more efficiently with a multiple data processing structure and perform accurate incident analysi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는, 계통에서 측정된 아날로그신호 및 이벤트신호를 입력받는 복수 개의 제1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신호입출력모듈; 계통에 배치된 페이저측정유닛(PMU)의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2입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2신호입출력모듈; 상기 제1신호입출력모듈 및 상기 제2신호입출력모듈로 입력된 상기 아날로그신호, 상기 이벤트신호, 및 상기 측정데이터의 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계통의 상태를 감시하는 연산을 하는 제1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감시제어모듈; 상기 제1신호입출력모듈 및 상기 제2신호입출력모듈로 입력된 상기 아날로그신호, 상기 이벤트신호, 및 상기 측정데이터의 정보를 샘플링하는 연산을 하며 상기 계통의 이상상태가 감지되면 트리거신호를 송출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정보제어모듈; 상기 트리거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정보제어모듈에서 샘플링된 데이터를 COMTRADE형식의 사고파일로 기록하는 레코더모듈; 및 상기 제1신호입출력모듈, 상기 제2신호입출력모듈, 상기 감시제어모듈, 상기 정보제어모듈, 및 상기 레코더모듈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한다.The system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a system having a multi-proces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input / output terminals receiving analog signals and event signals measured in a system; A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receiving measurement data of a phaser measurement unit (PMU) arranged in the system; And a first processor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monitoring the state of the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of the analog signal, the event signal, and the measurement data input to the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and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Monitoring control module; Outputting a trigger signal when the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is detected by sampling the information of the analog signal, the event signal, and the measurement data input to the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and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An information control module including two processors; A recorder module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trigger signal and recording data sampled by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in an accident file of a COMTRADE format; And a power module for a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and the recorder module.

상기 제1프로세서 및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아날로그신호, 상기 이벤트신호, 및 상기 측정데이터로부터 상기 계통의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및 동기페이저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and the second processor can extract and proces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voltage, current, power, frequency, and synchronous pager information of the system from the analog signal, the event signal, and the measurement data have.

상기 제1프로세서 및 상기 제2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상태정보로부터 상기 계통의 이상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An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can be detected from the state information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and the second processor.

상기 제1프로세서 및 상기 제2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태정보 중 전압, 전류, 전력,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가하여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감소하여 설정된 하한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연산을 하여 상기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and the second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power, and frequency of the status information reaches a set upper limit value or decreases to reach a set lower limit value So that the abnormal state can be detected.

상기 제1프로세서 및 상기 제2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태정보 중 전압, 전류, 및 전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 주기당 변화율을 계산하고, 상기 변화율의 크기가 설정된 기준변화율의 크기 이상인 회수를 판별하는 연산을 하여 상기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and the second processor calculates a rate of change per one cycle of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and power in the status information, and when the rate of chan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change rate So that the abnormal state can be detected.

상기 제1프로세서 및 상기 제2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태정보 중 전력의 단위시간 당 크기 변동폭이 설정된 기준변동폭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연산을 하여 상기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and the second processor may detect the abnormal state by perform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magnitude of variation in power per unit time of the state information exceeds a set reference variation width.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신호로 상기 레코더모듈의 동작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상기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사고파일에 상기 이상상태의 전후시점을 기록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processor records at least one of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recorder module and an interval between the star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recorder module with the trigger signal, can do.

상기 계통 내 서로 다른 지점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데이터의 시각동기를 위한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GPS module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for time synchronization of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at different points in the system.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사고파일에 기록된 상기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변동상황을 재현하고 서로 다른 상 사이의 변동 추이를 비교하는 연산을 하여 상기 계통의 단락 및 지락 사고를 구분하여 판독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recalculates the fluctuation conditions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of the system recorded in the accident file and compares the trends of the fluctuations between the different phases to distinguish the short-circuit and ground fault of the system have.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사고파일에 기록된 고조파의 파형 및 크기를 분석하는 연산 및 상기 사고파일에 기록된 복수의 정보를 중복 표시하여 비교하는 연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계통의 사고를 판독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processor performs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of analyzing the waveform and size of harmonics recorded in the accident file and an operation of compar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recorded in the accident file to compare them, Can be read.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계통 사고의 효율적인 감시와 사고 상황의 신속한 기록이 가능하며 또한 사고 상황의 정확한 분석을 통해 계통사고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특히, 계통 관련 데이터의 저장, 감시, 분석이 이루어지는 장치 내 데이터 처리구조를 다중 구조로 형성하고 서로 효율적으로 연계시켜 보다 효과적이고 신속한 계통 사고의 감시 및 분석과 판단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를 다양한 전력계통에 적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계통 상황에도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정확한 분석과정을 통해 전력계통 관련 사고에도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onitor power system accidents and record accident situations quickly, and to cope effectively with systematic accidents through accurate analysis of accident situations. In particular, the data processing structure of the apparatus in which system related data is stored, monitored, and analyzed is formed into a multi-structure structure and efficiently linked with each other, thereby enabling more effective and quick monitoring and analysis of systematic accidents. By applying such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power systems,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pe with system conditions varying in real time and cope with power system related accidents smoothly through an accurate analysis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의 후면 단자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레코더모듈에 저장되는 사고파일을 그래프로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감시제어모듈의 고조파 분석과정을 화면으로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감시제어모듈의 전압 및 전류에 대해 서로 다른 상의 변동 추이를 중복 표시하여 비교하는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감시제어모듈의 사고 판독 시 사고파일에 기록된 전압과 전류 각 상의 변동 추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감시제어모듈의 사고 판독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having a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processing process of the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r terminal configuration of the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of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ccident file stored in a recorder module is outputted as a graph.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utputting a harmonic analysis process of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on a scree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rocess of comparing and displaying different trends of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of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is displayed on a scree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ariation in voltage and current angle phase recorded in an accident file when an accident of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is read.
8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ccident reading method of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having a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의 후면 단자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having a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of FI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r terminal configuration of the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of FIG. 1.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1) 는 전력계통(이하, 계통)에서 측정된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데이터는 계통에서 측정된 아날로그신호(전류, 전압 값 등 연속적으로 변동되는 신호일 수 있다)와 이벤트신호(접점 변동신호를 포함하며 계통을 구성하는 전기설비의 상태 변동에 따라 상기 설비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신호일 수 있다) 및 페이저측정유닛(PMU: Phasor Measurement Unit)의 측정데이터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중앙연산장치를 갖는 감시제어모듈(30) 및 정보제어모듈(40)의 다중 처리구조로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실시간으로 상시 수집되는 계통 데이터의 감시 및 분석 작업을 진행하는 처리구조[감시제어모듈(30) 및 관련구조], 및 사고파일의 생성, 저장, 및 기록상황을 관리하는 정보제어구조[정보제어모듈(40) 및 관련구조]를 병렬적으로 구성하고 서로 연계시켜, 실시간으로 급박하게 변동되는 계통의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처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1 to 3, the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1 having a multi-proces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process various data measured in a power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The data includes analog signals measured in the system (which may be continuously varying signals such as current and voltage values), event signals (including contact variation signals, and various types And measurement data of a phaser measurement unit (PMU), and these various data ar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and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having different central processing units Processing structure. In particular, a processing structure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and related structure)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systematic data that is always collected in real time, and an information control structure for managing the creation, storage, The control module 40 and the related structure] are configured in parallel and linked with each other to quickly grasp the situation of the system that is rapidly changing in real time and cope with the accident effectively.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1)는, 계통에서 측정된 아날로그신호 및 이벤트신호를 입력받는 복수 개의 제1입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1신호입출력모듈(10), 계통에 배치된 페이저측정유닛(PMU)의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2입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2신호입출력모듈(20), 제1신호입출력모듈(10) 및 제2신호입출력모듈(20)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 이벤트신호, 및 측정데이터의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계통의 상태를 감시하는 연산을 하는 제1프로세서(310)를 포함하는 감시제어모듈(30), 제1신호입출력모듈(10) 및 제2신호입출력모듈(20)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 이벤트신호, 및 측정데이터의 정보를 샘플링하는 연산을 하며 계통의 이상상태가 감지되면 트리거신호를 송출하는 제2프로세서(410)를 포함하는 정보제어모듈(40), 트리거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정보제어모듈(40)에서 샘플링된 데이터를 COMTRADE형식의 사고파일로 기록하는 레코더모듈(50), 및 제1신호입출력모듈(10), 제2신호입출력모듈(20), 감시제어모듈(30), 정보제어모듈(40), 및 레코더모듈(50)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모듈(60)을 포함한다.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1 having a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s follows. A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sis apparatus (1) having a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10)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input / output terminals (10) for receiving analog signals and event signals measured in a system, A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a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10 and a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receiving measurement data of a phaser measurement unit (PMU) A monitoring and control module 30, a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10, and a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30 including a first processor 310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monitoring the state of the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of the analog signal, Outputting a trigger signal when an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is detected by performing an operation of sampling information of an analog signal, an event signal, and measurement data input to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and a second processor 410 The control module 40, A recorder module 50 for recording data sampled by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in a COMTRADE format as an accident file, and a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10, a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A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an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and a power module 60 for a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recorder module 5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신호입출력모듈(10) 및 제2신호입출력모듈(20)은 각각 복수 개의 신호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입출력모듈(10)은 복수 개의 제1입출력단자(110)를 포함하여 계통에서 측정된 아날로그신호 및 이벤트신호를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제1입출력단자(110)는 아날로그신호 입력용 단자와 이벤트신호 입력용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배면에 정렬하여 배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제1입출력단자(110)들을 통해서 계통 상의 서로 다른 다양한 위치에서 수집된 아날로그신호(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변동되는 전류, 전압 값 등일 수 있다)와 계통 상의 서로 다른 다양한 위치에서 수집된 이벤트신호(전술한 바와 같이 설비의 상태 변동에 따라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를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1)에 실시간으로 입력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제1입출력단자(110)에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을 결속하고 이를 계통 상에 형성된 데이터수집장치와 연결하여 계통에서 수집된 다양한 신호를 용이하게 입력 받을 수 있다.The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10 and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signal input / output terminals. As shown in FIG. 1, the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input / output terminals 110, and receives analog signals and event signals measured in the system. The first input / output terminal 110 may include an analog signal input terminal and an event signal input terminal, which may be arrang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apparatus as shown in FIG. (Which may be continuously varying currents, voltage values, etc., as described above) collected at various different locations on the system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input / output terminals 110 as shown and a variety of different locations on the system Can be input to the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1 having a multi-processing structure in real time as the event signal (which may be a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of the facility as described above) Although not shown, a cable for data transmission is connected to each first input / output terminal 110 and connected to a data collection device formed on the system, so that various signals collected in the system can be inputted easily.

제2신호입출력모듈(20) 역시 제2입출력단자(21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신호입출력용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입출력단자(210)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입출력단자(210)를 통해서 특히 계통에 배치된 페이저측정유닛(PMU: Phasor Measurement Unit)의 측정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페이저측정유닛은 계통 상의 서로 다른 여러 지점에 다수가 설치되어 각 설치지점에서 페이저정보(각 지점의 상태벡터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저정보는 GPS모듈(미도시)의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시간오차가 보정된 후 시각 동기화된 동기페이저(Synchrophasor)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제2입출력단자(210)로 입력되는 측정데이터는 페이저정보 또는 동기페이저정보일 수 있으며 페이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GPS모듈의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페이저정보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signal input / output terminals including th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210. At least on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210 may be formed, and measurement data of a phasor measurement unit (PMU) disposed in the system may be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210.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phaser measurement units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points on the system to generate pager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state vector of each point) at each installation point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Such pager information may be converted into synchronous phaser synchronized information after time error is corrected us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GPS module (not shown). The measurement data input to th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210 may be pager information or synchronous phaser information. When pager information is input, the measurement data may be converted into synchronous phaser information us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GPS module.

동기페이저 정보는 지표면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측정되어 상대적인 시간오차가 발생된 페이저 정보의 시간오차를 보정하여 일치시킨 정보로서 서로 일치하는 시각에 대한 전체 계통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계통 상황을 파악하고 감시할 수 있다. 즉 동기페이저 정보로부터 계통의 서로 다른 지점에 대한 전력상황을 동기화하여 감시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계통 데이터의 지속적인 수집을 통해 계통 상황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면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제2신호입출력모듈(20)은 페이저측정유닛의 측정데이터를 입력 받는 제2입출력단자(210) 외에 GPS모듈의 신호를 입력 받는 또 다른 신호입출력용 단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자에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을 결속하여 페이저측정유닛 및 GPS모듈 등에 연결할 수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1)는 계통 내 서로 다른 지점에서 측정된 측정데이터의 시각동기를 위한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synchronous phaser information is measured at different points on the ground surface, the time error of the pager information having the relative time error is corrected, and the information is matched to provid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entire system to the synchronized time. Therefore, The situation can be grasped and monitor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ynchronize the power situation to different points of the system from the synchronous pager information, and more accurate and detailed monitoring of the system situ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continuous collection of the systematic data including the same.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ignal input / output terminal receiving a signal of the GPS module in addition to th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210 receiving measurement data of the phaser measurement unit, The cable for data transmission can be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pager measuring unit and the GPS modu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1 having a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includes a GPS module (not shown)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for time synchronization of measurement data measured at different points in the system .

감시제어모듈(30)은 제1신호입출력모듈(10) 및 제2신호입출력모듈(20)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 이벤트신호, 및 측정데이터의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계통의 상태를 감시하는 연산을 하는 제1프로세서(310)를 포함한다. 제1프로세서(310)는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타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일종의 중앙연상장치에 해당하며 감시제어모듈(30)은 이러한 중앙연산장치를 포함하는 독립된 모듈로 구성된다. 제1프로세서(310)는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저장장치의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계통 감시 및 사고 분석과 관련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감시제어모듈(30)은 제1프로세서(310)가 구동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compares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of the analog signal, the event signal, and the measurement data input to the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10 and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to monitor the state of the system The first processor 310 includes a first processor 310 and a second processor 310. The first processor 310 corresponds to a kind of central associating device that performs an operation by driving a program stored in an embedded program or another device, and the supervisory control module 30 is composed of an independent module including such a central processing unit. The first processor 310 may execute an embedded program or a program of the program storage device to perform an operation related to system monitoring and accident analysis. Although not shown, the supervisory control module 30 may include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a program that the first processor 310 drives.

정보제어모듈(40)은 제1신호입출력모듈(10) 및 제2신호입출력모듈(20)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 이벤트신호, 및 측정데이터의 정보를 샘플링(sampling)하는 연산을 하며 계통의 이상상태가 감지되면 트리거신호를 송출하는 제2프로세서(410)를 포함한다. 제2프로세서(410) 역시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타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일종의 중앙연산장치에 해당하며 정보제어모듈(40)은 이를 포함하는 독립된 모듈로 구성된다. 정보제어모듈(40)은 제2프로세서(410)가 구동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감시제어모듈(30) 및 정보제어모듈(40)은 각각 독립된 중앙연산장치를 포함하여 독립된 연산을 병렬로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performs an operation for sampling the information of the analog signal, the event signal, and the measurement data input to the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10 and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And a second processor 410 for transmitting a trigger signal when a state is detected. The second processor 410 also corresponds to a kind of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n operation by driving a program stored in a built-in program or another apparatus, and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is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module including the same.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may include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program that the second processor 410 drives. That is,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and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are formed so as to perform independent operations in parallel, including independent central processing units.

정보제어모듈(40)의 샘플링은 연속된 값들로부터 일정 시간간격마다 순간값들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연산을 의미한다. 샘플링의 시간간격이 짧아질수록 동일 시간에 많은 데이터가 생성되므로 계통감시 및 사고분석의 정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특히, 정보제어모듈(40)은 제1프로세서(310)와 독립된 제2프로세서(410)를 이용하여 항시적으로 샘플링 연산을 수행하고 샘플링 주기를 축소시켜 고속으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인 계통정보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오차 없이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특히 계통 전류 및 전압 값 등의 연속적인 변화에 관한 정보도 제1프로세서(310)와 독립된 제2프로세서(410)에서 수행되는 고속샘플링 과정을 통해 처리되므로 실질적인 오차 없이 그대로 저장되고 분석될 수 있다.Sampling of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means an operation of extracting and storing instantaneous values at successive time intervals from successive values. As the sampling time interval becomes shorter, more data is generated at the same time,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accuracy of system monitoring and accident analysis.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may perform the sampling operation at all times by using the second processor 410 independent of the first processor 310, reduce the sampling period, and perform the operation at a high speed. Thu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store continuous changes in the system information substantially without error.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inuous change of the system current and the voltage value is also processed through the high-speed sampling process performed by the second processor 410 independent of the first processor 310,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analyzed without any substantial error.

반면, 감시제어모듈(30)의 제1프로세서(310)는 입력된 데이터의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계통의 상태를 감시하는 연산을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특히, 제1프로세서(310)는 전술한 측정데이터의 동기페이저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연산을 통해 계통의 서로 다른 지점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으므로, 지표면의 넓은 지역에 걸쳐 배치된 계통 전체에 대해서도 실시간 감시가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시제어모듈(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장된 사고파일을 이용하여 계통사고도 매우 명확하게 판독할 수 있으므로 계통에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감시제어모듈(30)의 사고판독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rocessor 310 of the supervisory control module 30 independently compares the information of the input data to monitor the state of the system. Particularly, since the first processor 310 can check and analyze status information of different points of the system in real time through the operation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nchronous pager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data described above, Real-time monitoring can be performed very smoothly for the entire system. Also, since the monitoring and control module 30 can read systematic accidents very clearly by using the stored accident file as described later, even if an accident occurs in the system, the monitoring and control module 30 can cope effectively. The accident reading process of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감시제어모듈(30)의 제1프로세서(310)와 정보제어모듈(40)의 제2프로세서(410)는 전술한 아날로그신호, 이벤트신호, 및 측정데이터로부터 계통의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및 동기페이저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로세서로 전압 및 전류 측정치 외에도 전력, 주파수, 등 계통의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상태정보를 산출하여 계통 감시 및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상태정보는 계통의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각 프로세서에 내장되거나 각 프로세서에서 구동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상태정보를 활용하여 계통의 감시 및 분석을 보다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태정보를 활용한 여러 가지 감시 및 분석과정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first processor 310 of the supervisory control module 30 and the second processor 410 of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receive the voltage, current, power, frequency, and frequency of the system from the analog signals, event signals, And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synchronous pager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nd processed. In addition to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each processor can be used for system monitoring and analysis by generating various status information that can more accurately reflect the state of the power, frequency, and system. 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pparent power of the system, the active power, the reactive power, and the frequency information, which may be computed using a program embedded in each processor or driven by each processor. The monitoring and analysis of the system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by utilizing the various status information. Various monitoring and analysis processes using the status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레코더모듈(50)은 제2프로세서(410)에서 송출된 트리거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정보제어모듈(40)에서 샘플링된 데이터를 COMTRADE형식의 사고파일로 기록한다. 레코더모듈(50)은 트리거신호 수신 전까지는 일종의 휴면상태로 있을 수 있으며 트리거신호에 의해 기동하여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하며 사고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트리거신호는 제2프로세서(410)를 이용하여 레코더모듈(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레코더모듈(50)은 이러한 트리거신호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사고파일은 계통 데이터 및 관련 파형의 저장이 가능한 파일 포맷인 COMTRADE형식 파일로 레코더모듈(50)에 저장되어 사고 판독 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레코더모듈(50)은 예를 들어,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트리거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사고파일을 하드디스크 장치 등에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다.The recorder module 50 operates according to the trigg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processor 410, and records the data sampled by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as an accident file of the COMTRADE format. The recorder module 50 may be in a kind of dormant state until receiving the trigger signal, and may be activ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trigger signal to generate an accident file. The trigger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corder module 50 using the second processor 410, and the recorder module 50 can be operated by this trigger signal. The accident file can be stored in the recorder module 50 as a COMTRADE format file, which is a file format capable of storing systematic data and related waveforms, and can be very useful for accidental reading. The recorder module 50 may be, for example, a data storage including a large capacity hard disk, and may operate by a trigger signal to record and store an accident file on a hard disk device or the like.

즉 정보제어모듈(40)은 계통의 이상상태가 감지되면 트리거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필요한 시점에만 레코더모듈(50)을 동작시킬 수 있다. 특히, 제1프로세서(310) 및 제2프로세서(410) 양 측에서 계통의 데이터가 처리되는바 제1프로세서(310) 및 제2프로세서(41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전술한 상태정보로부터 계통의 이상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제어모듈(40)의 제2프로세서(410)에서 상태정보를 처리하는 과정 중 이상상태가 감지되면 바로 트리거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감시제어모듈(30)의 제1프로세서(310)에서 상태정보를 처리하는 과정 중 이상상태가 감지되면 이를 정보제어모듈(40)과 공유하여 제2프로세서(410)가 트리거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감시제어모듈(30) 측에서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정보제어모듈(40)측에 공유함으로써 정보제어모듈(40)에서 트리거신호를 송출하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That is,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can operate the recorder module 50 only at a necessary time by transmitting a trigger signal when an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is detected. Particularly, since data of the system is proces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rocessor 310 and the second processor 410, the stat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310 and the second processor 410, An abnormal state can be detected. For example, the second processor 410 of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can transmit the trigger signal immediately when an abnormal state is detected during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first processor 310 may be configured to send the trigger signal to the second processor 410 by sharing the abnormal state with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during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state informa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transmits a trigger signal by sensing an abnormal state on the side of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and sharing the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side.

전원모듈(60)은 제1신호입출력모듈(10), 제2신호입출력모듈(20), 감시제어모듈(30), 정보제어모듈(40), 및 레코더모듈(50)에 동작전원을 인가한다. 전원모듈(60)은 전원 입력단자 등을 통해 외부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변압기 등을 통해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모듈에 인가할 수 있다. 전원모듈(60)은 제1신호입출력모듈(10), 제2신호입출력모듈(20), 감시제어모듈(30), 정보제어모듈(40), 레코더모듈(50) 등과 같이 모듈화된 형태로 단일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레코더모듈(50)은 다른 모듈과 함께 단일 하우징 내에 통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저장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별도의 하우징 내에 분리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감시제어모듈(30), 정보제어모듈(40), 및 레코더모듈(50)의 구체적인 작동과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power module 60 a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10,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and the recorder module 50 . The power module 60 can be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through a power input terminal or the like, and can be converted into operating power through a transformer or the like and applied to each module. The power module 60 is a single module in a modular form such as a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10, a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a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an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a recorder module 50, And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The recorder module 50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modules in a single housing, but may be separately disposed in a separate housing to increase storage capacity. Hereinafter, the detailed operation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and the recorder module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전술한 계통의 이상상태 감지과정과 트리거신호를 이용한 레코더모듈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and the operation of the recorder module using the trigger signa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전술한 바와 같이, 계통의 이상상태는 제1프로세서(310) 및 제2프로세서(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계통의 상태정보로부터 감지될 수 있다. 제1프로세서(310) 및 제2프로세서(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태정보 중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가하여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감소하여 설정된 하한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연산을 하여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전압, 전류, 유효전력, 무효전력,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한값 및 하한값을 설정하고 기준이 되는 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하여 상한값이나 하한값에 도달하는 경우 이상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에 대해 기준값(정상상태의 값일 수 있다)의 100.0~999.9% 사이의 값으로 상한값을 설정하고, 기준값의 0~100.0% 사이의 값으로 하한값을 설정하여 상한값 또는 하한값에 도달하는 때 이상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전류에 대해 기준값(정상상태의 값일 수 있다)의 100.0~999.9% 사이의 값으로 상한값을 설정하고, 상한값에 도달하는 때 이상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에 대해 정격주파수~99.99(Hz) 사이의 값으로 상한값을 설정하고, 0~정격주파수(Hz) 사이의 값으로 하한값을 설정하여 상한값 또는 하한값에 도달하는 때 이상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전압 및 전류의 기준값, 상한값, 하한값은 예를 들어, 교류의 진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처리과정을 통해 계통의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can be detected from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system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310 and the second processor 410. [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310 and the second processor 410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of the voltage, current, power, and frequency of the status information reaches the set upper limit value or decreases to reach the set lower limit value It is possible to detect an abnormal state by performing an operation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it is abnormal. That is, when the upper limit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are set to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active power, reactive power, and frequency, and the value is increased or decreased from the reference value and reaches the upper limit value or the lower limit value. For example, an upper limit value is set to a value between 100.0 and 999.9% of a reference value (which may be a steady state value) with respect to a voltage, and a lower limit value is set to a value between 0 and 100.0% of a reference value to reach an upper limit value or a lower limit value The abnormal state can be determined.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upper limit value to a value between 100.0 and 999.9% of the reference value (which may be the value of the steady stat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and to judge the abnormal state when reaching the upper limit valu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an abnormal state when the upper limit value is set to a value between the rated frequency and 99.99 (Hz) for the frequency and the lower limit value is set to a value between 0 and the rated frequency (Hz) . At this time, the reference value, the upper limit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may mean, for example, the amplitude of the alternating current. The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can be detected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ocessor.

또한, 제1프로세서(310) 및 제2프로세서(4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태정보 중 전압, 전류, 및 전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 주기당 변화율을 계산하고, 변화율의 크기가 설정된 기준변화율의 크기 이상인 회수를 판별하는 연산을 하여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태정보 값의 변화율을 계산하고 기준변화율과의 연속적인 비교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에 대해 기준변화율을 한 주기당 기준값(정상상태의 값일 수 있다)의 5%로 설정하고 적어도 3주기 동안 변화율을 측정하여 변화율이 5%이상인 회수가 3회 이상인 경우 이상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전류에 대해 기준변화율을 한 주기당 기준값(정상상태의 값일 수 있다)의 5%로 설정하고 적어도 3주기 동안 변화율을 측정하여 변화율이 5%이상인 회수가 3회 이상인 경우 이상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에 대해서도 기준변화율을 기준값(정상상태의 값일 수 있다)의 5%로 설정하고 적어도 3주기 동안 변화율을 측정하여 변화율이 5%이상인 회수가 3회 이상인 경우 이상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전압 및 전류의 기준값은 예를 들어 교류의 진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변화율 및 기준변화율은 주기당 진폭의 변화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변화율과 기준변화율은 크기(절대값)로 비교하되 변화율의 부호(음 또는 양)가 일치되는 경우에 비교할 수 있다. 데이터의 종류나 그에 따른 변화상태에 따라 기준변화율의 값은 적절히 조정될 수 있고, 기준변화율과 변화율의 비교판정 회수도 증감시켜 판정의 강도를 적절하게 조정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처리과정을 통해 계통의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310 and the second processor 410 calculates a rate of change per one period of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and power in the statu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n abnormal state by performing an operation for discriminating the number of times larger than the size. That 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ate of change of the state information value and detect the abnormal state more accurately through continuous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rate of change. For example, if the reference change rate for a voltage is set to 5% of a reference value per one cycle (which may be a steady state value), and the change rate is measured for at least three cycles, if the change rate is 5% . Further, the reference change rat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is set to 5% of the reference value per one cycle (which may be the value of the steady state), and the rate of change is measured during at least three cycles. When the rate of change is more than 5% . Also, with respect to the active power and the reactive power, the reference change rate is set to 5% of the reference value (which may be a steady state value), and the change rate is measured for at least three cycles.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change rate is 5% can do. In this case, the reference value of the voltage and current may mean, for example, the amplitude of the alternating current, and the rate of change and the reference rate of change may mean the rate of change of amplitude per cycle. The rate of change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reference can be compared when the magnitude (absolute value) is compared but the sign (positive or negative) of the rate of change is matched. The value of the reference change rat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kind of the data and the change state thereof and the strength of the determina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times of comparison between the reference change rate and the change rate. Thus, the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can be detected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ocessor.

또한, 제1프로세서(310) 및 제2프로세서(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태정보 중 전력의 단위시간 당 크기 변동폭이 설정된 기준변동폭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연산을 하여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효전력 또는 무효전력의 단위시간 당 기준변동폭을 기준값(정상상태의 값일 수 있다)의 8%로 설정하고 측정된 변동폭이 이를 초과하는 경우 이상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기준변동폭의 값 역시 적절히 증감시켜 판정의 강도를 적절하게 조정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컴퓨팅 모듈로 측정데이터 및 상태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변동상태를 판별하는 연산을 하여 이상상태를 매우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컴퓨팅 모듈로 상기와 같은 연산 중 어느 하나의 연산을 수행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연상을 중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상상태의 판정 기준을 적절히 변경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사고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처리과정을 통해서 계통의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310 and the second processor 4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agnitude of fluctuation of the power per unit time in the state information exceeds the set reference fluctuation width to detect an abnormal state It is possible. For example, the reference fluctuation per unit time of the active power or the reactive power may be set to 8% of the reference value (which may be a value of the steady state), and the abnormal state may be determined when the measured fluctuation exceeds this range. The value of the reference fluctuation width can also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to appropriately adjust the strength of the judgment. In this manner, the computing module can perform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t least one vari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tate data in various ways, so that the abnormal state can be detected very accurately. It is possible to perform any one of the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or to duplicate two or more associations with the computing modul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determine the accident situation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determination criteria of the abnormal state. Thus, the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can be detected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ocessor.

이상상태가 감지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프로세서(410)는 트리거신호를 송출하여 레코더모듈(50)을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레코더모듈(50)에는 사고파일이 생성되어 기록되며, 기록된 사고파일을 이용하여 계통사고를 보다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 계통에서 발생한 사고는 감시제어모듈(30)의 제1프로세서(310)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비교 분석과정을 통해서 매우 정확하게 판독이 가능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독립된 프로세서로 독립된 연산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감시제어모듈(30) 및 정보제어모듈(40)의 계통 데이터의 병렬적 처리구조를 통해서 계통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정확하게 분석하여 대처할 수 있다.If an abnormal state is detected, the second processor 410 transmits a trigger signal to operate the recorder module 5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an accident file is generated and recorded in the recorder module 50, and the system accident can be read more accurately by using the recorded accident file. Accidents occurring in the system can be read very accurately through a series of comparative analyzes performed by the first processor 310 of the monitoring and control module 30.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supervisory control module 30 and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40, which are configured to perform independent operations simultaneously with independent processors, can more effectively monitor systematic accidents and accurately Can be analyzed and coped with.

제2프로세서(410)는 트리거신호로 레코더모듈(50)의 동작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사고파일에 이상상태의 전후시점을 기록할 수 있다. 즉 트리거신호는 단순 동작신호가 아니며 레코더모듈(50)이 생성하는 사고파일의 기록범위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레코더모듈(50)은 순시(instantaneous)파형뿐만 아니라 이상상태에 의한 동요 기록 전체를 사고파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순시파형의 경우 이상상태 감지 전 0.1~3초부터 감지 후 0.1~20초까지의 범위 내에서, 동요기록의 경우에는 이상상태 감지 전 1~10초부터 감지 후 1~20분까지의 범위 내에서 기록하여 그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의 변동상황이 기록된 사고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전 후의 상황을 명확하게 기록하고 보다 정확한 사고 판독이 가능하다. 사고파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집된 계통 데이터와 관련 파형의 저장이 가능한 COMTRADE파일 포맷으로 기록될 수 있으며, 실제 계통의 모의시험이 가능한 COMTRADE 파일 형태로 변동상황을 기록 및 저장함으로써 계통사고의 분석 및 판독과정도 매우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410 may record at least one of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operation of the recorder module 50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recorder module 50 as the trigger signal . That is, the trigger signal is not a simple operation signal and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recording range of an accident file generated by the recorder module 50. [ The recorder module 50 can store not only the instantaneous waveform but also the entire motion record due to the abnormal state as an accident fi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nstantaneous waveform, 0.1 to 3 seconds before the abnormal state detection, 0.1 to 20 seconds Within the range from 1 to 10 seconds before the detection of the abnormal condition and 1 to 20 minutes after the detection from the detection of the abnormal condition in the case of the fluctuation recording, have. This makes it possible to clearly record th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accident and to read the accident more accurately. The accident file can be recorded in the COMTRADE file format, which can store the collected systematic data and related waveforms as described above. By analyzing and analyzing systematic accidents by recording and storing the change status in the form of COMTRADE file capable of simulating actual system, The reading process can also proceed very smoothly.

이하, 감시제어모듈의 사고파일을 이용한 계통사고 분석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ystematic accident analysis process using an accident file of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레코더모듈에 저장되는 사고파일을 그래프로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감시제어모듈의 고조파 분석과정을 화면으로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감시제어모듈의 전압 및 전류에 대해 서로 다른 상의 변동 추이를 중복 표시하여 비교하는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감시제어모듈의 사고 판독 시 사고파일에 기록된 전압과 전류 각 상의 변동 추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감시제어모듈의 사고 판독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utputting an accident file stored in the recorder module as a graph,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utputting a harmonic analysis process of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as a screen,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outputting a screen showing a process of comparing and displaying different phase change trends of voltages and currents of a voltage and a current of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FIGS. 8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ccident reading method of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FIG.

사고파일은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상태정보 변동상황의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감시제어모듈(30)은 제1프로세서(310)에 내장되거나 프로그램저장장치로부터 제1프로세서(310)에 로드된 분석프로그램을 통해 제1레코더모듈(50)에 기록된 사고파일에 접근하여 기록된 내용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사고파일에는 도시된 것처럼 각 상의 전압 변동상황과 전류 변동상황, 피상전력과 유효전력의 변동상황, 무효전력 등의 변동상황 등이 이상상태 감지시점(도 4의 세로 점선으로 표시된 trigger point에 해당함) 전후로 명확하게 기록된다. 그러나 사고파일에 기록된 내용은 이로써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다른 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310)는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러한 사고파일에 기록된 다양한 정보로부터 계통사고를 분석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동기페이저 정보를 상태벡터로 제공하거나, 각 전압 및 전류 값의 최대값, 최소값, 또는 평균값 등의 산술적인 값을 제공하거나, 입력된 산식으로 사고지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거나, 고조파를 분석하거나, 서로 다른 상의 파형을 중복 표시하여 비교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incident file may, for example, include a record of the state information change situation as illustrated in FIG.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30 accesses the accident file recorded in the first recorder module 50 through the analysis program loaded in the first processor 310 or embedded in the first processor 310 or stored in the first processor 310, Contents can be provided in graph form. In the accident file, the voltage fluctuation state of each phase, the current fluctuation condition, the fluctuation condition of the apparent power and the active power, the fluctuation condition of the reactive power, etc., are detected at the abnormal condition detection point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point indicated by the vertical dotted line in FIG. Clearly recorded before and after. However,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accident fil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other information. 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to analyze systematic incidents from various information recorded in the accident file using an analysis program. The analysis program may, for example, provide the synchronous phaser information as a state vector, provide an arithmetic value such as a maximum value, a minimum value, or an average value of each voltage and current value, or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accident point by the input formula Analyzing harmonics, or displaying waveforms of different phases over and over and comparing them.

예를 들어, 제1프로세서(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조파의 파형 및 크기를 표시하고 분석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고조파에 관한 정보는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텍스트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분석프로그램의 고조파 분석기능을 이용하여 63고조파 이상의 고조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프로세서(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파일에 기록된 복수의 정보(예를 들어, 계통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로 다른 상의 변동 추이 등일 수 있다)를 중복 표시하여 비교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비교 연산은 전압 및 전류의 변동상황을 재현하고 서로 다른 상 사이의 변동 추이를 비교하여 계통의 단락 및 지락 사고를 구분하여 판독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For exampl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operations to display and analyze the waveform and magnitude of the harmonics, as shown in FIG. Information about harmonics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aph or in the form of text. Using the harmonic analysis function of the analysis program, harmonics above 63 harmonics can be analyzed and the result can be provided. Also, for exampl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cident file as shown in FIG. 6 (for example, a variation trend of at least one of voltage and current of the system ) May be displayed so as to be compared with each other. Especially, these comparison operations are very useful for reproducing the voltage and current fluctuation situation and comparing the trends between the different phases so as to distinguish and read the system short circuit and ground fault.

즉, 제1프로세서(310)의 연산과정을 통해서 특히 계통의 단락 및 지락 사고를 매우 명확하게 구분하여 판독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310)는, 사고파일에 기록된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변동상황을 재현하고 서로 다른 상 사이의 변동 추이를 비교하는 연산을 하여 계통의 단락 및 지락 사고를 구분하여 판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분석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특정 사고파일에 접근하고 전압과 전류 각 상의 변동 추이의 기록을 입력 받아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1선 지락사고, 2선 지락사고, 2선 단락사고, 3선 단락사고와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사고상태를 매우 명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판독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through the calculation process of the first processor 310, it is possible to very clearly distinguish between short-circuit and ground-fault accidents. The first processor 310 can reproduce the fluctuation conditions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of the system recorded in the accident file and compute the fluctuation trends between the different phases so that the short circuit and the ground fault of the system can be classified and read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analysis program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to access a specific accident file, and a record of the variation trend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angle may be inputted and compared. This makes it possible to read very clearly different types of accidents, for example, 1-wire ground fault, 2-wire ground fault, 2-wire short fault and 3-wire short fault. The read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FIG.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상의 전압(Va)이 감소하고, 해당 상의 전류(Ia)는 증가하고, 중성선 전류(In)가 증가하는 경우, 제1프로세서(310)는 동일 시간대 이러한 전압 및 전류 값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중성선을 통해 누전되는 1선 지락사고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상의 전압(Vb, Vc)이 감소하고, 해당 상의 전류(Ib, Ic)는 증가하고, 중성선 전류(In)가 증가하는 경우, 제1프로세서(310)는 동일 시간대 이러한 전압 및 전류 값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중성선을 통해 누전되는 2선 지락사고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상의 전압(Vb, Vc)이 감소하고, 해당 상의 전류(Ib, Ic)는 증가하되, 중성선 전류(In)가 없거나 미미한 경우, 제1프로세서(310)는 동일 시간대 이러한 전압 및 전류 값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B-C상이 단락된 2선 단락사고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 상의 전압(Va, Vb, Vc)이 모두 감소하고, 삼 상의 전류(Ia, Ib, Ic)가 증가하되, 중성선 전류(In)가 없거나 미미한 경우, 제1프로세서(310)는 동일 시간대 이러한 전압 및 전류 값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전체가 단락된 3선 단락사고로 판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고 판독은 제1프로세서(310)의 상기한 연산과정을 통해 도 7과 같은 사고파일로부터 매우 명확하게 그 결과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사고상태를 매우 명확하게 판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계통사고의 종류에 따른 매우 효과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Va of one phase decreases, the current Ia increases, and the neutral line current In increases, as shown in FIG. 8, By comparing these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value, it can be read out by a 1-wire ground fault that is short-circuited through the neutral line. 9, when the voltages Vb and Vc of the two phases decrease and the currents Ib and Ic increase and the neutral line current In increases, the first processor 310 By comparing these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values at the same time, they can be read by a 2-wire ground fault that is shorted through the neutral lin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voltages Vb and Vc of the two phases decrease and the currents Ib and Ic of the phase increase, but the neutral line current In does not exist or is insignificant, the first processor 310 By comparing these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values at the same time, the BC phase can be read in a short-circuited two-wire short-circuit accident. 11, when the three phase voltages Va, Vb and Vc are all decreased and the three phase currents Ia, Ib and Ic are increased but the neutral line current In is not or only insignificant, The processor 310 can read the entire 3-wire short circuit accident by comparing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 changes at the same time. Such an accidental reading is very clearly obtained from the accident file as shown in FIG. 7 through the above-described calculation process of the first processor 31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d the state of the accident very clearly by using the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zing apparatus having the multi-process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possible to respond very effectively and quickly according to the type of systematic acciden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
10: 제1신호입출력모듈
20: 제2신호입출력모듈
30: 감시제어모듈
40: 정보제어모듈
50: 레코더모듈
60: 전원모듈
110: 제1입출력단자
210: 제2입출력단자
310: 제1프로세서
410: 제2프로세서
1: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with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10: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20: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30: Monitoring control module
40: Information control module
50: Recorder module
60: Power module
110: first input / output terminal
210: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310: a first processor
410: second processor

Claims (10)

계통에서 측정된 아날로그신호 및 이벤트신호를 입력받는 복수 개의 제1입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1신호입출력모듈;
계통에 배치된 페이저측정유닛(PMU)의 측정데이터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2입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2신호입출력모듈;
상기 제1신호입출력모듈 및 상기 제2신호입출력모듈로 입력된 상기 아날로그신호, 상기 이벤트신호, 및 상기 측정데이터의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계통의 상태를 감시하는 연산을 하는 제1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감시제어모듈;
상기 제1신호입출력모듈 및 상기 제2신호입출력모듈로 입력된 상기 아날로그신호, 상기 이벤트신호, 및 상기 측정데이터의 정보를 샘플링하는 연산을 하며 상기 계통의 이상상태가 감지되면 트리거신호를 송출하는 제2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정보제어모듈;
상기 트리거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정보제어모듈에서 샘플링된 데이터를 COMTRADE형식의 사고파일로 기록하는 레코더모듈; 및
상기 제1신호입출력모듈, 상기 제2신호입출력모듈, 상기 감시제어모듈, 상기 정보제어모듈, 및 상기 레코더모듈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 및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아날로그신호, 상기 이벤트신호, 및 상기 측정데이터로부터 상기 계통의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및 동기페이저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하고,
상기 제1프로세서 및 상기 제2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상태정보로부터 상기 계통의 이상상태가 감지되고, 상기 감시제어모듈은 상기 사고파일을 이용하여 계통사고를 분석하며,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사고파일에 기록된 상기 계통의 전압 및 전류의 변동상황을 재현하고 서로 다른 상 사이의 변동 추이를 비교하는 연산을 하여,
한 상의 전압이 감소하고, 해당 상의 전류는 증가하고, 중성선 전류가 증가하는 경우 1선 지락사고로,
두 상의 전압이 감소하고, 해당 상의 전류는 증가하고, 중성선 전류가 증가하는 경우 2선 지락사고로,
두 상의 전압이 감소하고, 해당 상의 전류는 증가하되, 중성선 전류가 없거나 미미한 경우 2선 단락사고로,
삼 상의 전압이 모두 감소하고, 삼 상의 전류가 증가하되, 중성선 전류가 없거나 미미한 경우 3선 단락사고로,
상기 계통의 단락 및 지락 사고를 구분하여 판독하는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
A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input / output terminals receiving analog signals and event signals measured in the system;
A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input / output terminal receiving measurement data of a phaser measurement unit (PMU) arranged in the system;
And a first processor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monitoring the state of the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of the analog signal, the event signal, and the measurement data input to the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and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Monitoring control module;
Outputting a trigger signal when the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is detected by sampling the information of the analog signal, the event signal, and the measurement data input to the first signal input / output module and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An information control module including two processors;
A recorder module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trigger signal and recording data sampled by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in an accident file of a COMTRADE format; And
Output module, the second signal input / output module,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the information control module, and the power module for a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recorder module,
The first processor and the second processor extract and proces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voltage, current, power, frequency, and synchronous phaser information of the system from the analog signal, the event signal, and the measurement data,
An abnormal state of the system is detected from the state information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and the second processor, the monitoring control module analyzes the systematic accident using the accident file,
The first processor performs an operation of reproducing the fluctuation conditions of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system recorded in the accident file and comparing the fluctuation trends between different phases,
If the voltage of one phase decreases, the current of the phase increases, and the neutral current increases,
The voltage of two phases decreases, the current of the phase increases, and the neutral line current increases. In the case of a 2-wire ground fault,
If the voltage of two phases decreases and the current of the phase increases, but there is no or little neutral line current,
If the three phase voltages are all decreased and the three phase currents are increased but there is no or little neutral current,
A systematic accident monitoring and analysis apparatus having a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that reads out and discriminates short-circuit and ground-fault accidents of the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 및 상기 제2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태정보 중 전압, 전류, 전력,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증가하여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감소하여 설정된 하한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연산을 하여 상기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and the second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power, and frequency of the status information reaches a set upper limit value or decreases to reach a set lower limit value And a multiprocessing structure for detecting the abnormal state by performing an operation for discriminating a fa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 및 상기 제2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태정보 중 전압, 전류, 및 전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 주기당 변화율을 계산하고, 상기 변화율의 크기가 설정된 기준변화율의 크기 이상인 회수를 판별하는 연산을 하여 상기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활용한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and the second processor calculates a rate of change per one cycle of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and power in the status information, and when the rate of chan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change rate And a plurality of processing structures for detecting the abnormal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 및 상기 제2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태정보 중 전력의 단위시간 당 크기 변동폭이 설정된 기준변동폭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연산을 하여 상기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cessor and the second processor performs a multiprocessing structure for detecting the abnormal state by perform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a magnitude fluctuation of power per unit time of the power exceeds a set reference fluctuation width System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system accid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신호로 상기 레코더모듈의 동작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및 상기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사이의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사고파일에 상기 이상상태의 전후시점을 기록하는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rocessor records at least one of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recorder module and an interval between the star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recorder module with the trigger signal, System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with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내 서로 다른 지점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데이터의 시각동기를 위한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을 더 포함하는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PS module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for time synchronization of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at different points in the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서는, 상기 사고파일에 기록된 고조파의 파형 및 크기를 분석하는 연산 및 상기 사고파일에 기록된 복수의 정보를 중복 표시하여 비교하는 연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계통의 사고를 판독하는 다중 처리구조를 갖는 계통사고 감시 및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ocessor performs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of analyzing the waveform and size of harmonics recorded in the accident file 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and compa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recorded in the accident file, Fault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with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s for reading.
KR1020180126112A 2018-10-22 2018-10-22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electrical power system having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KR1020024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12A KR102002461B1 (en) 2018-10-22 2018-10-22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electrical power system having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12A KR102002461B1 (en) 2018-10-22 2018-10-22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electrical power system having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461B1 true KR102002461B1 (en) 2019-07-24

Family

ID=6748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12A KR102002461B1 (en) 2018-10-22 2018-10-22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electrical power system having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46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499A (en) * 2001-11-05 2003-05-14 주식회사프로컴시스템 Power System Dynamics Monitor
KR100832324B1 (en) 2006-12-18 2008-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 monitoring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system
KR101883603B1 (en) * 2017-08-08 2018-07-30 박청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power qual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499A (en) * 2001-11-05 2003-05-14 주식회사프로컴시스템 Power System Dynamics Monitor
KR100832324B1 (en) 2006-12-18 2008-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 monitoring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system
KR101883603B1 (en) * 2017-08-08 2018-07-30 박청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power qu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98629B (en) Monitoring of an electrical energy supply network
CN102262200B (en) Portable power quality and fault recording integrated device
CN103744396B (en) A kind of device being applied to SVG, APF cooperation control
CN201218822Y (en) Electric energy quality on-line monitoring device
CN102539976A (en) Electric multifunctional wave recording analyzer
CN111082455A (en) Wind power plant grid-connected performanc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06786467B (en) Fault warning and device for preventing unwanted operation are scurried into a kind of exchange
CN101363896A (en) High precision voltage transient event detection and wave-recording method
KR102056856B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electrical power system using PMU data and COMTRADE type data
CN103412200A (en)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phase sequenc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07942192A (en) A kind of controller switching equipment CT automatic test approach and system
KR100813663B1 (en) Power quality data acquisition system
CN2562195Y (en) Anomalous running measuring and recording instrument for intellectual network kilowatt meter
CN102565608A (en) Multipoint grounding seeking instrument of voltage transformer
CN201740855U (en) On-line multifunctional monitoring device of generator excited system
CN104101787A (en) Portable low-voltage reactive compensation standard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KR102002461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electrical power system having multiple processing structure
CN110579679A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line fault detection system based on negative sequence current vector analysis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CN109387724A (en) Based on the lateral modified synchronous capacitor method for diagnosing faults of vertical analysis
CN109142862A (en) A kind of intelligent electrically engineering survey system and its measurement method
CN110058117B (en) Reactor turn-to-turn short circuit fault detection method based on outer package vibration distribution
CN112200998A (en) Early fire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applied to pow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03983935A (en) Indicating instrument detecting system and method
CN101059554A (en) Specific exciting frequency accumulator on-line internal resistance four-line measurement method and signal source device
CN110794335A (en) Single-phase grounding detection system based on waveform differenc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