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287B1 - 의심행동 관리가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심행동 관리가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287B1
KR102002287B1 KR1020180086010A KR20180086010A KR102002287B1 KR 102002287 B1 KR102002287 B1 KR 102002287B1 KR 1020180086010 A KR1020180086010 A KR 1020180086010A KR 20180086010 A KR20180086010 A KR 20180086010A KR 102002287 B1 KR102002287 B1 KR 10200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tracking
image
information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원
Original Assignee
신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원 filed Critical 신지원
Priority to KR102018008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07C9/00166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일정 구역으로의 출입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일정 구역 및 상기 일정 구역을 구획하는 복수의 섹터를 출입하는 경우 권한을 인증하는 출입 단말기; 상기 일정 구역 내를 촬영하는 복수의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서버; 상기 출입 단말기를 통한 출입자의 식별, 권한 및 이력을 관리하는 출입관리 서버; 상기 일정 구역 내에 진입한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영상기반 생체신호측정기법을 통하여 상기 출입자의 행동에 대한 의심정도를 판단하는 의심도 판단서버; 및 상기 의심정도가 기 설정된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해당 출입자의 정보 수집과 경로를 추적하는 추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서버는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상기 출입자의 진행된 상기 일정구역 내에서의 이동경로 역추적 및 상기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추적을 수행하는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상기 추적 및 역추적 과정에서의 상기 출입자의 정보 수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의심행동 관리가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본 발명은 의심행동 관리가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 과정에서 의심 행동을 하는 인물을 관리할 수 있는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비 순찰, 시설관리, 영업 및 차량 출입관리, 순찰내역관리, 군 경계근무 관리 등과 같이 특정인만 출입이 허가되는 건물 내지 구역에 출입을 통제하고 출입을 관리하는 다양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1947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이 있다. 선행문헌 1은 일정 지역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출입자의 근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구역 또는 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생체 인식을 통한 출입자의 출입을 단속하여 안전사고 및 장비 또는 물품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며, 출입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여 근무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노무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1과 기존 출입통제 및 점검을 하기 위한 시스템들은 1차로 출입자 또는 담당자 및 점검자가 해당 구역을 출입한 후, 점검하고, 점검한 정보를 2차로 관리부서 또는 해당부서에 이동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점검정보를 컴퓨터에 옮겨 확인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출입관리 시스템들의 경우 단순히 출입제한 대상자를 선정하거나 관리대상자로 선정된 인물에 대하여만 관리가 가능하며, 관리적인 면에서도 수동적인 방법으로 해당 인물의 행동을 관찰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랐다.
본 발명은 비인가자, 위장침입, 테러, 정보유출 등 시설 출입자에 대한 다양한 사전 위험감지 및 초동 대응이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물 자체뿐 아니라 일반적인 출입자들의 행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의심 행동자체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능동적인 의심자의 추적이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정 구역으로의 출입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일정 구역 및 상기 일정 구역을 구획하는 복수의 섹터를 출입하는 경우 권한을 인증하는 출입 단말기; 상기 일정 구역 내를 촬영하는 복수의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서버; 상기 출입 단말기를 통한 출입자의 식별, 권한 및 이력을 관리하는 출입관리 서버; 상기 일정 구역 내에 진입한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영상기반 생체신호측정기법을 통하여 상기 출입자의 행동에 대한 의심정도를 판단하는 의심도 판단서버; 및 상기 의심정도가 기 설정된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해당 출입자의 정보 수집과 경로를 추적하는 추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서버는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상기 출입자의 진행된 상기 일정구역 내에서의 이동경로 역추적 및 상기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추적을 수행하는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상기 추적 및 역추적 과정에서의 상기 출입자의 정보 수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출입관리 서버는, 출입자의 식별정보, 권한관련 데이터, 출입 이력정보, 출입제한자 정보 및 의심인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출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출입 단말기로부터 출입을 시도하는 출입자에 대하여 식별하고, 권한, 출입제안 여부 및 의심인물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여 이를 상기 출입 단말기를 포함하는 출입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출입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관련 데이터는 출입자의 이름, 연락처, 출입자 코드, 소속부서 정보, 출입 권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심도 판단서버는,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 중인 각 인물에 대하여 영상기반생체신호측정 알고리즘(BTI 알고리즘)을 통하여 의심도를 산출하는 의심정도 산출부; 및 상기 의심정도 산출부에 의하여 기 설정된 일정 수준 이상의 의심정도가 산출된 출입자로 정의되는 의심인물에 대하여 상기 출입관리서버로부터 조회하는 매칭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심정도 산출부는 두리번 거림, 반복 행동의 진동/진폭을 포함하는 과잉행동패턴 분석 및 홍조를 포함하는 해당 출입자의 색체 분석을 통하여 의심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적서버는, 상기 촬영부들의 식별정보 및 상기 촬영부들의 위치에 따른 인접정보 및 분기정보가 저정되는 촬영부 맵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의심인물의 진행방향 또는 진행 역방향으로의 위치 및 시간상 연속된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적서버는, 현재 추적중인 의심인물에 대한 분석 정보가 임시로 저정되는 추적 데이터베이스; 상기 의심인물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부; 상기 추적중인 의심인물의 순방향 추적 분석 및 역방향 추적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순방향 추적과 역방향 추적 과정에서의 상기 의심인물의 안면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외관 데이터와 상기 의심인물의 의심정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추적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적수행부는, 상기 의심인물로 판정되는 시점부터 상기 의심인물이 진행하는 방향으로의 영상을 상기 영상 요청부에 요청하여 획득하고, 상기 의심인물이 촬영된 영상을 역방향으로 분석하여 기 진행한 경로를 따라 상기 영상 요청부에 요청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해당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상기 의심인물의 안면인식을 포함하는 외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적수행부는 역추적 과정에서 촬영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촬영부로 분기하는 위치에서의 전달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의심인물의 경로를 인식하여 해당 경로에 대한 촬영부의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심도 판단서버는 상기 추적서버가 추적 및 역추적 중인 의심인물에 대한 의심정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관리 대상자에 대한 모니터링에 더하여 행위 자체에 대한 평가 및 이를 기반으로한 인물 추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정 출입자 검출, 자살시도 감지, 범죄 시도 감지, 군 병영생활에서의 이상징후 감지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지역의 출입관리를 위한 인프라 설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도 판단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적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일 실시예에따른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지역의 출입관리를 위한 관련 구성부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지역의 출입관리를 위한 인프라 설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단말기(100)와 촬영부(CCTV; 200, 200a)들이 일정한 지역 내에 구비된다. 이 때 일정한 지역(지역 S)라 함은 보안관리를 위한 관리지역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정한 건물, 일정한 구역, 일정한 군부대와 같이 하나의 단위로서 출입 및 의심인물을 관리하기 위한 전체 지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정한 지역(지역s)에는 전체 지역의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출입단말기(100)와 일정 지역 내의 영역 중 특별한 관리를 필요로 하는 섹터들(섹터 A, 섹터 B, 섹터 C)에 진입을 관리하기 위한 출입단말기(101)들이 구비된다.
촬영부(200, 200a)들은 이러한 일정한 지역 내를 이동하기 위한 경로 상에 주로 구비되며, 단일 경로 상에 구비되는 촬영부(200)와 경로가 둘 이상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촬영부(200a)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출입단말기(100, 101)들과 촬영부(200, 200a)들의 식별정보, 위치적 관계와 분기관계들은 후술할 촬영부 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출입단말기(100, 101)는 후술할 출입관리서버(300)와 연결되어 출입하는 출입자들의 인증 및 관리를 수행하며, 촬영부(200, 200a)들은 이정한 경로 상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분석 등의 자료로서 제공된다. 촬영부(200)는 출입단말기(100, 101)에도 인접하게 구비됨으로써 출입자에 대한 관리 및 의심인물의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되는 촬영부는 단순히 가시광선 대역에서 촬영하는 것뿐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상(Thermo image)을 촬영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진동(작은 움직임에 따른 진폭과 주파수를 의미)을 색체로 바꾸어 나타내는 촬영장비일 수 있다. 이 때 미세진동에 따른 이미지는 진동의 주파수 및 진폭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심도 판단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적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출입관리서버(300)는 상술한 출입 단말기(100, 101)를 통한 출입자의 식별, 권한 및 이력을 관리한다. 출입관리서버(300)는 출입자 정보 DB(310) 및 출입관리부(320)를 포함한다.
출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는 출입자의 식별정보, 권한관련 데이터, 출입 이력정보, 출입제한자 정보 및 의심인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권한관련 데이터는 출입자의 이름, 연락처, 출입자 코드, 소속부서 정보, 출입 권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관리부(320)는 출입 단말기(100, 101)로부터 출입을 시도하는 출입자에 대하여 식별하고, 권한, 출입제안 여부 및 의심인물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여 이를 상기 출입 단말기를 포함하는 출입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출입자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이 때 출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는 별도의 서버로 구축되어 각종 정보를 출입관리부(320)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나, 각 출입 단말기(100, 101)별로 기초적인 출입관리에 기여하는 출입 정보, 즉 출입허가자에 대한 최소한의 개인정보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출입관리부(320)는 자체적으로 네트워크 장애 시에도 단말기에서 기본사항에 대한 로컬 인증 및 출입문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장애가 복구되면, 복구 시점에서 해당 출입 단말기(100, 101)에 저장된 출입 이력정보를 출입관리서버(300)로 일괄 전송 후 데이터 삭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저장서버(500)는 상술한 일정 구역 내를 촬영하는 촬영부로부터 영상을 전달받아 저장한다. 각 영상은 촬영부의 일련번호 및 촬영 일시가 저장된다. 촬영 일시는 TAG 또는 헤더에 저장되며, 헤더에 저장되는 경우 촬영 일시에 따른 단위 시간으로 구분된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의심도판단서버(400)는 일정 구역 내에 진입한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영상기반 생체신호측정기법을 통하여 상기 출입자의 행동에 대한 의심정도를 판단한다. 의심도 판단서버(400)는 의심정도 산출부(410)와 매칭처리부(420)를 포함한다.
의심정도 산출부(410)는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 중인 각 인물에 대하여 영상기반생체신호측정 알고리즘(BTI 알고리즘)을 통하여 의심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영상기반생체신호측정 알고리즘을 통한 의심도 산출은 출입자의 스트레스, 공격서(적극성), 긴장, 불안, 위험도에 따른 행동성향과 색상(홍조 등)을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일정한 지수로서 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열화상 또는 진동화상으로을 분석하는 경우 두리번 거림, 반복 행동, 안면 근육의 긴장도 등의 과잉행동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열화상을 통하여 홍조 등의 생체 특성에 따른 과잉행동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특정 지수 이상의 과잉행동패턴을 감지하는 경우 해당 출입자에 대하여 의심인물로 선정할 수 있다.
매칭처리부(420)는 의심정도 산출부(41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일정 수준 이상의 의심정도, 의심지수가 산출된 출입자로 정의되는 의심인물에 대하여 식별이 가능한 경우 식별정보를 출입관리서버로부터 조회하고, 식별을 위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 의심지수와 함께 해당 의심인물에 대한 영상정보를 추적서버(600) 또는 의심도 출입관리서버(300)에 전달한다. 출입관리 서버(300)는 의심인물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이를 출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조회하여 의심인물인지 여부, 출입제한 인물인지 여부, 과거 출입 이력 등을 조회하여 이를 관리자 등에게 통보한다.
한편, 이 때 의심지수의 수치의 의미는 사람에 대한 평가가 아닌 행동 자체에 대한 평가이며, 해당 출입자가 하고 있는 행동의 의심스러운 정도를 의미한다.
의심지수가 일정 이상 산출되면, 추적서버(600)에 이를 전달하여 추적을 시작하게 한다. 이 후 의심도 판단서버(400)는 추적서버(600)가 추적을 진행하는 동안 해당 의심인물에 대한 의심정도, 즉 의심지수를 지속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의심지수라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인물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현재 하고 있는 행동에 대한 평가이므로 지속적인 의심지수의 산출을 통하여 의심인물의 행동에 대한 평가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추적서버(600)는 의심정도가 기 설정된 일정 수준 이상인 의심인물이 발견된 경우 해당 출입자의 정보 수집과 경로를 추적한다. 추적서버(600)는 촬영부(200, 200a)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출입자의 이미 진행된 일정구역 내에서의 이동경로를 역추적하여 해당 의심인물에 대한 식별정보와 기 수행한 행동에 관한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의심인물의 이동에 따른 지속적으로 추적하면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감시를 수행한다.
촬영부 맵 데이터베이스(6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부들의 식별정보와 촬영부들의 위치에 따른 인접정보 및 분기정보가 저정된다. 촬영부 맵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촬영부(CCTV, 200, 200a) 관련 정보는 후술할 추적 수행부(650)의 요청에 따라 연속적인 추적 또는 역추적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영상 요청부(620)는 동영상 상에서 시간에 따른 의심인물의 진행방향 또는 진행 역방향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촬영부의 위치에 따른 제1 촬영부로부터 제2 촬영부로 해당 의심인물이 이동하는 경우 제2 촬영부를 특정하여 제1 촬영부의 영상과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영상을 요청하거나, 분기지점에서 촬영부(200a)의 영상을 분석하여 의심인물이 이동한 위치의 촬영부에 시간상 연속적인 영상을 요청하게 된다.
추적 데이터베이스(630)는 현재 추적중인 의심인물에 대한 분석 정보가 임시로 저정된다. 추적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된 분석 정보 및 이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 영상 정보 등은 해당 추적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 기록 또는 저장될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는 삭제한 후 기록화할 수 있다.
안면인식부(640)는 의심인물의 안면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면인식부(640)는 종래의 알려진 안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의심인물에 대한 안면인식을 수행하여 이를 추적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안면인식부(640)는 안면인식 이외에도 의심인물의 복장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추적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다.
추적 수행부(650)는 추적중인 의심인물의 순방향 추적 분석 및 역방향 추적 분석을 수행하고, 순방향 추적과 역방향 추적 과정에서의 의심인물의 안면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외관 데이터와 상기 의심인물의 의심정도 데이터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추적수행부(650)는 의심인물로 판정되는 시점부터 의심인물이 진행하는 방향으로의 영상을 연속적으로 영상 요청부에 요청하여 획득하고, 의심인물이 촬영된 이전 영상을 영상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분석하여 기 진행한 경로를 따라 영상 요청부(620)에 요청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해당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의심인물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거나, 해당 의심인물이 한 행동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의심인물이 한 행동과 해당 시점에서의 의심지수를 산출하여 일정한 의심지수가 산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을 관리자에게 하이라이트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적수행부(650)는 역추적 과정에서 촬영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촬영부(200a)로 분기하는 위치에서의 전달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의심인물의 진행 경로를 인식하여 해당 경로에 대한 촬영부의 영상을 영상 요청부(620)를 통하여 요청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는 일반적인 경우 모니터링부(상황실)에서 복수의 CCTV 영상을 일일이 확인하면서 특정 출입인의 이상 행동을 감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위와 같은 의심도 판단서버(400)를 통한 이상행동을 감지하는 경우 이를 상황실의 복수의 영상 중 해당 영상에 강조를 위한 표시를 함과 동시에 이상행동의 종류 등을 함께 알리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적은 주의력으로도 사고의 발생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심인물로 판정되는 경우 이의 추적인 진행 이력을 일괄적으로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추가적인 조치를 위한 분석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출입단말기
200: 촬영부
300: 출입관리서버
400: 의심도판단서버
500: 영상저장서버
600: 추적서버

Claims (10)

  1. 일정 구역으로의 출입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일정 구역 및 상기 일정 구역을 구획하는 복수의 섹터를 출입하는 경우 권한을 인증하는 출입 단말기;
    상기 일정 구역 내를 촬영하는 복수의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서버;
    상기 출입 단말기를 통한 출입자의 식별, 권한 및 이력을 관리하는 출입관리 서버;
    상기 일정 구역 내에 진입한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영상기반 생체신호측정기법을 통하여 상기 출입자의 행동에 대한 의심정도를 판단하는 의심도 판단서버; 및
    상기 의심정도가 기 설정된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해당 출입자의 정보 수집과 경로를 추적하는 추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서버는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상기 출입자의 진행된 상기 일정 구역 내에서의 이동경로 역추적 및 상기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추적을 수행하는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상기 추적 및 역추적 과정에서의 상기 출입자의 정보 수집을 수행하고,
    상기 의심도 판단서버는,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 중인 각 인물에 대하여 영상기반생체신호측정 알고리즘(BTI 알고리즘)을 통하여 의심도를 산출하는 의심정도 산출부; 및
    상기 의심정도 산출부에 의하여 기 설정된 일정 수준 이상의 의심정도가 산출된 출입자로 정의되는 의심인물에 대하여 상기 출입관리서버로부터 조회하는 매칭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심정도 산출부는 두리번 거림, 반복 행동의 진동/진폭을 포함하는 과잉행동패턴 분석 및 홍조를 포함하는 해당 출입자의 색체 분석을 통하여 의심정도를 산출하고,
    상기 추적서버는,
    상기 촬영부들의 식별정보 및 상기 촬영부들의 위치에 따른 인접정보 및 분기정보가 저정되는 촬영부 맵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의심인물의 진행방향 또는 진행 역방향으로의 위치 및 시간상 연속된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부;
    를 포함하는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 서버는,
    출입자의 식별정보, 상기 출입자의 [이름, 연락처, 출입자 코드, 소속부서 정보, 출입 권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권한관련 데이터, 출입 이력정보, 출입제한자 정보 및 의심인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출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출입 단말기로부터 출입을 시도하는 출입자에 대하여 식별하고, 권한, 출입제안 여부 및 의심인물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여 이를 상기 출입 단말기를 포함하는 출입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출입관리부;를 포함하는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관련 데이터는 출입자의 이름, 연락처, 출입자 코드, 소속부서 정보, 출입 권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서버는,
    현재 추적중인 의심인물에 대한 분석 정보가 임시로 저정되는 추적 데이터베이스;
    상기 의심인물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부;
    상기 추적중인 의심인물의 순방향 추적 분석 및 역방향 추적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순방향 추적과 역방향 추적 과정에서의 상기 의심인물의 안면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외관 데이터와 상기 의심인물의 의심정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추적수행부;를 포함하는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수행부는,
    상기 의심인물로 판정되는 시점부터 상기 의심인물이 진행하는 방향으로의 영상을 상기 영상 요청부에 요청하여 획득하고, 상기 의심인물이 촬영된 영상을 역방향으로 분석하여 기 진행한 경로를 따라 상기 영상 요청부에 요청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해당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상기 의심인물의 안면인식을 포함하는 외관데이터를 수집하는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수행부는 역추적 과정에서 상기 촬영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촬영부로 분기하는 위치에서의 전달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의심인물의 경로를 인식하여 해당 경로에 대한 촬영부의 영상을 요청하는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의심도 판단서버는 상기 추적서버가 추적 및 역추적 중인 의심인물에 대한 의심정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촬영부를 이용한 출입 및 의심인물 관리 시스템.
KR1020180086010A 2018-07-24 2018-07-24 의심행동 관리가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 KR10200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010A KR102002287B1 (ko) 2018-07-24 2018-07-24 의심행동 관리가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010A KR102002287B1 (ko) 2018-07-24 2018-07-24 의심행동 관리가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287B1 true KR102002287B1 (ko) 2019-07-23

Family

ID=6743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010A KR102002287B1 (ko) 2018-07-24 2018-07-24 의심행동 관리가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2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2139A (zh) * 2020-10-14 2021-03-26 深圳云天励飞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门禁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
CN115116164A (zh) * 2022-06-08 2022-09-27 武汉虹信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园区门禁权限动态管理方法、系统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7993A (ja) * 2008-03-27 2009-10-15 Secom Co Ltd 画像監視装置
JP5460462B2 (ja) * 2010-05-19 2014-04-0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犯罪防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7993A (ja) * 2008-03-27 2009-10-15 Secom Co Ltd 画像監視装置
JP5460462B2 (ja) * 2010-05-19 2014-04-0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犯罪防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2139A (zh) * 2020-10-14 2021-03-26 深圳云天励飞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门禁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
CN115116164A (zh) * 2022-06-08 2022-09-27 武汉虹信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园区门禁权限动态管理方法、系统及介质
CN115116164B (zh) * 2022-06-08 2023-12-19 武汉虹信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园区门禁权限动态管理方法、系统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277B1 (ko) 얼굴 감시 및 열화상 감시를 이용한 건강 이상 감지방법, 건강 이상 감지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71675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well time of objects in an environment
JP4753193B2 (ja) 動線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406246B2 (ja) 対象物特定装置、対象物特定方法および対象物特定プログラム
JP4759988B2 (ja) 複数カメラ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
KR20180042802A (ko) 정의된 영역 내의 객체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53191A1 (en) Image analysis system, image analysis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6221355A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2008040781A (ja) 被写体照合装置および被写体照合方法
CN111860152A (zh) 人员状态检测的方法、系统、设备和计算机设备
JP2009098814A (ja) 入退場管理方法および顔画像認識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002287B1 (ko) 의심행동 관리가 가능한 출입관리 시스템
JP719693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744439A (zh) 一种智慧安检闸机系统
CN108650485A (zh) 基于图像检测和无线探针的人员监控方法及系统
KR101850682B1 (ko) 영상분석 기반의 통합형 출입제어 시스템
JP4892268B2 (ja) 入退室・所在管理システム
CN211979734U (zh) 一种智慧安检闸机系统
CN112132048A (zh)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社区巡更分析方法及系统
KR101492799B1 (ko) 감시영역 입퇴실자 추적을 통한 출입 통제 기능을 가지는 출입 통제 통합 영상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782228A (zh) 一种工作时长获得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688931A (zh) 异常行为监测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3343913A (zh) 目标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20200092608A (ko) 공동현관 및 지하 주차장 출입문의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JP2003109129A (ja) 通行管理装置、通行管理システム、及び通行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