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234B1 -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234B1
KR102002234B1 KR1020170183162A KR20170183162A KR102002234B1 KR 102002234 B1 KR102002234 B1 KR 102002234B1 KR 1020170183162 A KR1020170183162 A KR 1020170183162A KR 20170183162 A KR20170183162 A KR 20170183162A KR 102002234 B1 KR102002234 B1 KR 10200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rve
interface
probes
light sourc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610A (ko
Inventor
지창현
전상범
이홍균
전새영
김용권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3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2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5/0400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on a specially adapted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기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설치된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하는 광 신호를 오브젝트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은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은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 사이에 집적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NEURAL PROBE INTERFACE DEVICE WITH TRANSMISSION OF OPTIC SIGNAL}
이하, 실시예들은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 신호를 이용하여 신경 세포를 자극하고 신경 프로브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추출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Michigan Probe"로 잘 알려져 있는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143551호는 광학 자극 능력을 가진 신경 프로브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Michigan Probe"는 신경 프로브의 표면에 광원과 전극 패드를 함께 설치하고, 신경 프로브에 설치된 광원이 신경 세포를 자극함에 따라 전극 패드가 신경 세포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이러한 "Michigan Probe"는 신경 프로브의 표면에 일체로 광원과 전극 패드가 설치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광원 또는 전극 패드 중 어느 하나에 손상이 생기면 손상이 생긴 광원 또는 전극 패드를 교체하지 못하고 신경 프로브 전체를 폐기하여야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오브젝트로 광 신호를 전달하는 광 프로브와 오브젝트로부터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신경 프로브를 집적한 구조를 가지는 새로운 타입의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광원으로부터 광 프로브로 방사하는 광 신호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광 프로브와 신경 프로브를 집적한 구조를 조립하거나 분리하기에 쉬운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기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설치된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하는 광 신호를 오브젝트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은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은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 사이에 집적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으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신축성 있게 이어지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전기 리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광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로 방사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는 개방 부분;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기 리드들이 형성된 폐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은 상기 폐쇄 부분의 복수 개의 전기 리드들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개방 부분을 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단부들은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조립될 때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은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전원을 수용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은 서로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전원이 설치되는 제1시트와, 상기 제1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함입된 제1오목부와, 상기 제1오목부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의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오브젝트에 설치되는 제2시트와, 상기 제1돌출부와 결합하는 제2오목부와, 상기 제1오목부와 결합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원; 및 인터페이스 기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과,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에 인접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형성된 복수 개의 비아 홀들과, 상기 복수 개의 비아 홀들을 통과하는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는,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이 설치되는 연장부로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로 방사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도록 상기 광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 사이에 위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는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들의 각각의 연장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로 방사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과 상기 프로세서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 개의 전극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 패드들은 상기 바디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는 광원으로부터 광 프로브로 방사하는 광 신호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는 광 프로브와 신경 프로브를 집적한 구조를 조립하거나 분리하기에 쉽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의 탈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기판과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기판과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의 인터페이스 기판과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기판과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오브젝트"는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감각 기관을 통해 자극을 받아들이고 자극에 따라 행동을 수행하는 인체, 동물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오브젝트는 인체, 동물 등의 신경 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인터페이스"는 장치와 오브젝트 사이에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구성을 말한다. 장치의 인터페이스는 장치로부터 오브젝트로 광 신호를 전달하고, 오브젝트로부터 장치로 전기 신호를 감지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의 탈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기판과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기판과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장치(100)가 광 신호를 오브젝트(O)에 전달하고, 오브젝트(O)로부터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도록, 전원(130) 및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130)은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원(130)은 구동기(driver)(132), 광원(134), 프로세서(136) 및 케이블(138)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132)는 광원(134)을 구동시킬 수 있다. 광원(134)은 광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34)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이다. 예를 들어, 광원(134)은 돔 형상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134)으로부터 방사하는 광 신호가 렌즈를 통하여 굴절될 수 있다. 프로세서(136)는 구동기(132)를 제어하여 광원(134)의 구동을 제어하고, 감지된 전기 신호 등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6)는 광원(13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외부와 정보 교환이 가능한 무선 통신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38)은 구동기(132), 광원(134) 및 프로세서(136)에 연결되어 외부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138)은 외부로부터 구동기(132), 광원(134) 및 프로세서(136)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136)에 구동기(132) 및 광원(13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40)는 장치(100)와 오브젝트(O) 사이에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40)는 인터페이스 기판(141), 신경 프로브(142), 광 프로브(143), 마이크로 렌즈(144), 굴절률 정합제(145) 및 불투명 물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기판(141)은 신경 프로브(142), 광 프로브(143), 마이크로 렌즈(144) 등이 설치되는 기본 구조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기판(141)은 Si 재질로 형성된 기판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기판(141)에는 신경 프로브(142) 또는 광 프로브(143)가 관통하는 비아 홀(via hole)(1411)이 형성될 수 있다.
신경 프로브(142)는 오브젝트(O)로부터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신경 프로브(142)는 와이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신경 프로브(142)가 오브젝트(O)로부터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면, 감지된 전기 신호가 신경 프로브(142)를 통하여 후술할 커넥터(150)의 전기 리드(154)에 전달될 수 있다.
광 프로브(143)는 광원(134)으로부터 방사하는 광 신호를 수신하여 오브젝트(O)로 수신한 광 신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광 프로브(143)는 광 섬유(optic fiber)일 수 있고, 도파관 타입일 수 있다. 광 프로브(143)는 길쭉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신경 프로브(142)와 광 프로브(143)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신경 프로브(142)의 길이는 광 프로브(143)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144)는 광원(134)으로부터 방사하는 광 신호를 수신하여 광 프로브(143)로 수신한 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144)는 인터페이스 기판(141)에서 인터페이스 기판(141)과 광 프로브(143)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렌즈(144)는 볼록 렌즈일 수 있다.
굴절률 정합제(145)는 광 프로브(143)의 단면에서 프레넬 반사(Fresnel reflection)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굴절률 정합제(145)는 마이크로 렌즈(144)와 광 프로브(143)가 만나는 연결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굴절률 정합제(145)는 광 프로브(143)의 코어 굴절률 또는 마이크로 렌즈(14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액체, 접착제이다. 예를 들어, 굴절률 정합제(145)는 겔 형태의 실리카(silica)일 수 있다.
불투명 물질은 신경 프로브(142) 또는 광 프로브(143)가 통과하는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형성된 비아 홀(1411)의 틈으로 빠져나오는 광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불투명 물질은 인터페이스 기판(141)을 기준으로 마이크로 렌즈(144)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불투명 물질은 원하는 굴절률을 달성하되 당업자에게 공지된 인체에 무해한 물질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기판(141)은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142)들 및 복수 개의 광 프로브(143)들이 집적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 기판(141)에는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142)들이 통과하는 복수 개의 비아 홀(1411)들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142)들은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광 프로브(143)들은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142)들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집적된다.
일 실시예에서,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142)들의 각각을 프로세서(136)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넥터(150)는 광원(134)으로부터 마이크로 렌즈(144)를 통하여 광 프로브(143)로 이어지는 광 신호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142)들의 각각을 프로세서(136)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150)는 연성 인쇄회로기판(152), 전기 리드(154) 및 커플러(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이 가지는 성질인 "연성"은 인터페이스(140)로부터 전원(130)으로 신축성 있게 이어지는 구부러진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은 인터페이스(140)의 인터페이스 기판(141)으로부터 전원(130)의 프로세서(136)로 신축성 있게 이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은 광원(134)으로부터 마이크로 렌즈(144)를 통하여 광 프로브(143)로 이어지는 광 신호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인터페이스 기판(141)으로부터 프로세서(136)로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기 리드(154)는 신경 프로브(142)를 프로세서(136)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오브젝트(O)에서 감지된 전기 신호는 신경 프로브(142)를 따라 전기 리드(154)를 통하여 프로세서(136)로 전달된다. 일 예에서, 신경 프로브(142)가 복수 개인 경우, 전기 리드(154)도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142)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 개일 수 있다. 커플러(156)는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을 프로세서(136)에 전기적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이 광원(134)과 인터페이스 기판(141) 사이에 위치될 때,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은 광원(134)으로부터 마이크로 렌즈(144)를 통하여 광 프로브(143)으로 전달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은 광원(134)으로부터 광 프로브(143)로 방사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는 개방 부분 및 신경 프로브(142)가 연결된 전기 리드(154)가 형성된 폐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의 개방 부분은 인터페이스 기판(141) 위에 배치되고,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의 폐쇄 부분은 인터페이스 기판(141)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경 프로브(142)는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의 폐쇄 부분에 형성된 전기 리드(154)로부터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의 개방 부분을 통하여 인터페이스 기판(141)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100)는 광원(134)으로부터 마이크로 렌즈(144)를 통하여 광 프로브(143)로 전달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면서도 오브젝트(O)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감지하고 전기 리드(154)를 통하여 프로세서(136)로 감지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립이 쉬운 구조로서, 신경 프로브(142)는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신경 프로브(142)가 이의 대응하는 전기 리드(154)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성 인쇄회로기판(152)이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조립되면, 신경 프로브(142)는 비아 홀(1411)을 통과하여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신경 프로브(142)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142)들이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매트릭스 구조로 집적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142)들은 비아 홀(1411)들을 통과하여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설치될 뿐,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미리 일체화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신경 프로브(142)와 광 프로브(143)가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광 프로브(143)들이 매트릭스 구조로 인터페이스 기판(141)에 집적된 경우, 광 프로브(143)는 복수 개의 비아 홀(1411)들이 이루는 다각 구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비아 홀(1411)들이 이루는 다각 구조는 마이크로 렌즈(144)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비아 홀(1411)들이 이루는 다각 구조는 사각형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과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의 배치 관계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 프로브들을 1x4 어레이로 구성하고, 이와 나란하게 광 프로브들을 1x4 어레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서로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재사용 가능한 부분과 일회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사용 가능한 부분은 전원(130)을 수용하는 제1하우징(110)으로 구현되고, 일회용 부분은 인터페이스(140)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120)으로 구현된다. 즉,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은 서로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하우징(120)은 오브젝트(O)의 표면(S)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140)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120)은 사용 후 폐기하고, 전원(130)을 수용하는 제1하우징(110)은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과 다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10)은 제1시트(112), 제1오목부(114) 및 제1돌출부(116)를 구비하고, 제2하우징(120)은 제2시트(122), 제2오목부(124) 및 제2돌출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은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시트(112)는 구동기(132)가 놓이는 부분으로, 제1하우징(110)의 반지름 방향으로 제1하우징(11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1오목부(114)는 제2돌출부(126)와 결합하는 부분으로, 제1시트(112)로부터 제1하우징(110)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고, 제1하우징(110)의 반지름 방향으로 제1하우징(110)의 중심을 향하여 리세스될 수 있다. 제1돌출부(116)는 제1오목부(114)로부터 제1하우징(110)의 반지름 방향으로 제1하우징(11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돌출부(116)는 래치(latch)일 수 있다. 제2시트(122)는 오브젝트(O)의 표면(S)에 놓이는 부분으로, 제1하우징(110)을 지지하도록 제2하우징(120)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2오목부(124)는 제1돌출부(116)와 결합하는 부분으로, 제2시트(122)로부터 제2하우징(120)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제2하우징(120)의 반지름 방향으로 제2하우징(120)의 외측을 향하여 리세스될 수 있다. 제2돌출부(126)는 제1오목부(114)와 결합하는 부분으로, 제2오목부(124)로부터 제2하우징(120)의 반지름 방향으로 제2하우징(12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의 인터페이스 기판과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기판과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구동기(232), 광원(234) 및 프로세서(236)를 포함하는 전원(230)과, 비아 홀(2411)이 형성된 인터페이스 기판(241),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 광 프로브(243) 및 마이크로 렌즈(244)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240)와, 전원(230) 및 인터페이스(240)를 연결하는 연성 인쇄회로기판(252)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프로세서(236)로 전달할 수 있다.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는 광원(234)으로부터 광 프로브(243)로 방사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는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와 인터페이스 기판(241)의 조립과 분리가 쉬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신경 프로브(2423)를 포함하는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는 인터페이스 기판(241)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는 바디(2421), 연장부(2422), 신경 프로브(2423) 및 전기 패드(242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421)는 연장부(2422) 및 전기 패드(2424)가 형성되는 기본 구조이다. 바디(2421)는 Si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디(2421)는 광원(234)과 인터페이스 기판(241) 사이의 영역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2422)는 바디(2421)로부터 연장하여 광원(234)과 인터페이스 기판(24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연장부(2422)는 광원(234)으로부터 광 프로브(243)로 전달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도록 광원(234)과 인터페이스 기판(241) 사이에 위치된다. 연장부(2422)도 바디(2421)와 마찬가지로 Si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장부(2422)는 마이크로 렌즈(244)의 위가 아닌 비아 홀(2411)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비아 홀(2411)을 관통하는 신경 프로브(2423)는 연장부(2422)에 설치될 수 있다. 신경 프로브(2423)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2423)들은 서로 이격되며 연장부(2422)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2423)들의 이격되는 거리는 복수 개의 비아 홀(2411)들의 이격되는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전극 패드(2424)는 신경 프로브(2423)와 프로세서(236)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서,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는 복수 개인 경우, 광원(234)으로부터 광 프로브(243)로 방사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들의 각각의 연장부(2422)는 서로 이격되며 광원(234)과 인터페이스 기판(24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들의 각각의 연장부(2422)에 설치된 신경 프로브(2423)가 통과하는 비아 홀(2411)이 각각의 연장부(2422)의 위치에 대응하게 인터페이스 기판(241)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242)들의 각각의 연장부(2422)의 이격되는 거리는 인접한 비아 홀(2411)들이 이격되는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 패드(2424)는 바디(2421)의 표면에 복수 개로서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2421)의 표면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된 복수 개의 전극 패드(2424)들은 일부가 제1열로, 나머지가 제1열과 다른 제2열로 바디(2421)의 일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제1열의 전극 패드(2424)들은 바디(2421)의 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설치될 수 있다. 제2열의 전극 패드들도 제1열의 전극 패드(2424)들과 마찬가지로 바디(2421)의 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설치될 수 있다. 제1열의 전극 패드(2424)들과 제2열의 전극 패드들 사이의 거리, 제1열에서의 인접한 전극 패드(2424)들 사이의 거리 및 제2열에서의 인접한 전극 패드들 사이의 거리는 장치(200)의 크기 조절에 따라 적절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열의 전극 패드(2424)들과 제2열의 전극 패드들은 서로 엇갈리게 바디(2421)의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경 프로브(2423)는 신경 프로브 표면(24231)을 가지는 길쭉한 형상을 구비하고, 신경 프로브(2423)의 말단에 신경 프로브 팁(24232)이 형성되며, 신경 프로브 표면(24231)에는 신경 프로브 전기 리드(24233)와 신경 프로브 패드(24234)가 형성될 수 있다. 신경 프로브 표면(24231)의 프로파일, 신경 프로브 팁(24232)의 형상, 신경 프로브 전기 리드(24233)의 배치 및 신경 프로브 패드(24234)의 형상과 배치 등은 오브젝트(O)의 특성, 장치(200)의 형상 등에 맞게 적절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 프로브(2423)는 도파관(waveguide) 타입일 수 있다. 신경 프로브(2423)와 오브젝트가 만나는 신경 프로브(2423)의 말단(distal end)에는 첨단 형상의 신경 프로브 팁(24232)이 형성될 수 있다. 신경 프로브(2423)는 신경 프로브 표면(24231)에 형성된 신경 프로브 전기 리드(24233) 및 신경 프로브 팁(24232)에 형성 또는 신경 프로브 팁(24232)의 주변에 형성되고 신경 프로브 전기 리드(24233)에 연결된 신경 프로브 패드(24234)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 프로브 패드(24234)가 오브젝트로부터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면, 감지된 전기 신호가 신경 프로브 전기 리드(24233)를 통하여 프로세서(236)에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기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설치된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하는 광 신호를 오브젝트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은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은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 사이에 집적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으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신축성 있게 이어지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전기 리드들;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광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로 방사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는 개방 부분;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기 리드들이 형성된 폐쇄 부분;
    을 포함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은 상기 폐쇄 부분의 복수 개의 전기 리드들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개방 부분을 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으로 이어지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5.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기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설치된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하는 광 신호를 오브젝트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은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은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 사이에 집적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으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신축성 있게 이어지는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전기 리드들;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단부들은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조립될 때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은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함께 조립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6.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기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설치된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하는 광 신호를 오브젝트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은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은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 사이에 집적되는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전원을 수용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은 서로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전원이 설치되는 제1시트와, 상기 제1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함입된 제1오목부와, 상기 제1오목부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의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오브젝트에 설치되는 제2시트와, 상기 제1돌출부와 결합하는 제2오목부와, 상기 제1오목부와 결합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7. 삭제
  8.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원; 및
    인터페이스 기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과,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에 인접하게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에 복수 개의 열들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 개의 비아 홀들과, 상기 복수 개의 비아 홀들을 통과하는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들은,
    상기 광원과 상기 인터페이스 기판 사이의 영역의 외부에 배치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이 설치되는 연장부;
    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광 프로브들로 방사하는 광 신호의 경로를 확보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들의 연장부들은 상기 복수 개의 비아 홀들의 열들을 따라 서로 이격되며 나란히 상기 복수 개의 비아 홀들 위에 배치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 어셈블리들은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과 상기 프로세서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 개의 전극 패드들을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 패드들은 상기 바디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신경 프로브들의 각각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70183162A 2017-12-28 2017-12-28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0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62A KR102002234B1 (ko) 2017-12-28 2017-12-28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62A KR102002234B1 (ko) 2017-12-28 2017-12-28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610A KR20190080610A (ko) 2019-07-08
KR102002234B1 true KR102002234B1 (ko) 2019-07-19

Family

ID=6725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162A KR102002234B1 (ko) 2017-12-28 2017-12-28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0105B1 (en) 2019-02-01 2021-03-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96050A (ko)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9325B2 (ja) 2008-09-12 2013-07-03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回転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光コヒーレンス断層画像生成装置
US20140200431A1 (en) * 2011-07-25 2014-07-17 Diagnostic Biochips, Llc Integrated Optical Neural Probe
US20160143551A1 (en) 2009-11-19 2016-05-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Neural probe with optical stimulation cap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22071A1 (en) * 2012-10-16 2014-04-23 Sapiens Steering Brain Stimulation B.V. A probe, especially a probe for neural applications
KR101828149B1 (ko) * 2016-05-13 2018-02-1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광 자극을 위한 신경 탐침 모듈 및 그를 구비한 신경 탐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9325B2 (ja) 2008-09-12 2013-07-03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回転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光コヒーレンス断層画像生成装置
US20160143551A1 (en) 2009-11-19 2016-05-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Neural probe with optical stimulation capability
US20140200431A1 (en) * 2011-07-25 2014-07-17 Diagnostic Biochips, Llc Integrated Optical Neural Pro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610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52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single localized read transaction in which multiple RFID tags are read
KR102002234B1 (ko) 광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프로브 인터페이스 장치
US10702697B2 (en) Device for deep electrical and optical brain stimulation
US8142200B2 (en) Slip ring spacer and method for its use
EP2736594B1 (en) Neuromodulation transfection system with passive fluid delivery
US20160349466A1 (en) Rfid-enabled optical adapter for use with a patch panel
US20130079615A1 (en) Neural probe with optical stimulation capability
CN110785205B (zh) 耦接至光电器件的可植入电极
US20110295331A1 (en) Laser-based nerve stimulators for, e.g., hearing restoration in cochlear prostheses and method
US20130030352A1 (en) Neuromodulation transfection system with active fluid delivery
Schwaerzle et al. Miniaturized 3× 3 optical fiber array for optogenetics with integrated 460 nm light sources and flexible electrical interconnection
KR101828149B1 (ko) 광 자극을 위한 신경 탐침 모듈 및 그를 구비한 신경 탐침 시스템
US20160073887A1 (en) Optoelectronic device to write-in and read-out activity in brain circuits
KR101159252B1 (ko) 광섬유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광자극 탐침 구조체
KR101150422B1 (ko) 반사면을 구비한 광자극 탐침
EP2808056B1 (en) Optical stimulation device
US11389645B2 (en) Chronic implantable neural probe array for neural signal acquisition and stimulation
KR102198430B1 (ko) 사물부착 태그 구조
KR20230000396A (ko) Rf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광유전학용 발광형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5484886A (zh) 电极装置
Katz et al. 7 Methods for Simultaneous Electrophysiology and Optogenetics In V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