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886B1 -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886B1
KR102001886B1 KR1020170006193A KR20170006193A KR102001886B1 KR 102001886 B1 KR102001886 B1 KR 102001886B1 KR 1020170006193 A KR1020170006193 A KR 1020170006193A KR 20170006193 A KR20170006193 A KR 20170006193A KR 102001886 B1 KR102001886 B1 KR 102001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control
remote device
screen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645A (ko
Inventor
설순욱
신예진
이강원
이연지
정진서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8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04L67/280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이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REPEATING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이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PTV, 오디오기기 및 보일러, 에어콘과 같은 온난방시스템, 전자레인지와 전기밥솥과 같은 주방용 기기, 세탁기 등과 같은 댁내 기기(이하, '원격장치'라 칭함)에서는 원격 제어 방식을 채용하여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서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다양한 동작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원격장치를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된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가 개발되어,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로 여러 대의 가정용 기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많은 원격장치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한 제어기능은 구비하고 있으나, 개별 리모트 콘트롤러 및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한 제어는 리모트 콘트롤러와 원격장치들 사이에 장애물이 가로막고 있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집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 등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용되지 못하여 부득이 사용자가 직접 기기들에 접근하여 제어해야 한다는 등의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특히 전자의 개별 리모트 콘트롤러로 여러 대의 원격장치들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응하는 수만큼 리모트 콘트롤러를 지니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원격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이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는, 원격장치와 접속된 중계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정보가 상기 중계단말을 통해 제어단말로 전달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접속정보를 따라서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단말을 통해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제어화면 내에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는 상기 원격장치의 화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어신호와는 별도인 상기 제어단말로부터의 이미지 요청에서 상기 원격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정보가 변경된 시점에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된 시점까지 제3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에 확인되는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의 크기가 임계 크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기 정의된 최대대기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화면은,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상태목록 UI(User Interface), 및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된 이벤트목록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목록 UI와 상기 이벤트목록 UI 간에는, 각각의 표현 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타입(Type) 중 적어도 일부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은, 원격장치와 접속된 중계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정보가 상기 중계단말을 통해 제어단말로 전달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접속정보를 따라서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단말을 통해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제어화면 내에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는 상기 원격장치의 화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어신호와는 별도인 상기 제어단말로부터의 이미지 요청에서 상기 원격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정보가 변경된 시점에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된 시점까지 제3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에 확인되는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의 크기가 임계 크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기 정의된 최대대기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화면은,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상태목록 UI(User Interface), 및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된 이벤트목록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목록 UI와 상기 이벤트목록 UI 간에는, 각각의 표현 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타입(Type) 중 적어도 일부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원격제어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원격제어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이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원격장치의 제어에 있어서 편의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성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 기반 제어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화면 UI 변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미지 요청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의 그룹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플랫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플랫폼은, 원격장치(10), 중계단말(20), 원격제어중계장치(30), 및 제어단말(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원격장치(10)는 원격 제어의 대상이 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중계단말(20)과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단말(40)로부터의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중계단말(20)과의 접속에 이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와이파이(Wi-Fi)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장치(10)는 예컨대, IPTV, 오디오기기 및 보일러, 에어콘과 같은 온난방시스템, 전자레인지와 전기밥솥과 같은 주방용 기기, 세탁기 등과 같은 댁내 기기 또는 내비게이션 등의 장치가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중계단말(20)에 접속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중계단말(20)은 설치된 프록시(Proxy) 애플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원격 제어에 있어서 게이트웨이(Gateway)의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예컨대, 스마트 패드나 테블릿 PC, 스마트 폰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프록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와 실행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원격제어중계장치(30)는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40)이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버를 일컫는다.
제어단말(40)은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통해서 원격장치(10)를 제어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스마트 패드나 테블릿 PC, 스마트 폰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웹 페이지 접속을 위한 웹 브라우저가 설치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원격 제어 플랫폼은 전술한 구성의 채택에 따라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40)이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원격제어중계장치(3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30)는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31), 제어화면을 생성하는 생성부(32), 및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처리부(3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상의 획득부(31), 생성부(32), 및 처리부(33)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3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원격제어중계장치(30) 내에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원격제어중계장치(3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3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40)이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원격제어중계장치(3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원격장치(10)와 중계단말(2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획득부(31)는 원격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31)는 원격장치(10)와 접속된 중계단말(20)로부터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처럼, 중계단말(20)을 매개로 획득되는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는 예컨대, 상태목록(stateList)와 이벤트목록(eventList)로 구분된 JSON 포맷으로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17004466888-pat00001
여기서, 상태목록(stateList)은 원격장치(10)의 화면에서 표현 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타입(Type)의 목록을 의미하며, 이벤트목록(eventList)는 원격장치(1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제어정보에 대한 타입(type)의 목록을 의미한다.
상태목록(stateList)의 'divider'는 상태목록(stateList)의 제목을 표시하기 위한 타입이고, 'image'는 원격장치(10)의 화면정보 즉 화면 캡처 이미지를 표시하며, text'의 경우 문자로 표현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벤트목록(eventList)의 'divider'는 이벤트목록(eventList)의 제목을 표시하며, 'dpad'는 상하좌우 방향키와 확인 버튼을 포함한다.
그리고, 'button'은 선택할 수 있는 단일 버튼을, 'menu'는 메뉴, 검색어 목록 등과 같은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타입이고, 'textinput'은 텍스트 입력란을 표시하는 type이며, 마지막으로 'search'는 검색창을 표시하는 타입을 말한다.
생성부(32)는 제어화면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부(32)는 원격장치(10)와 접속된 중계단말(20)로부터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상태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원격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한다.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의 경우,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단에 원격장치(10)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상태목록 UI(User Interface)가 위치하며, 화면 하단에는 원격장치(10)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된 이벤트목록 UI가 위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는 상태목록 UI와 이벤트목록 UI로 구분되는 제어화면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좌측 그림은 상태목록(stateList)에 대한 UI 구성으로서, ‘divider', 'image', 및'text'가 각각의 타입으로서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이다.
도 4의 우측 그림은 이벤트목록(eventList)에 대한 UI 구성으로서, ‘divider', 'dpad', 'textinput', 'search', 'button', 'menu'가 각각의 타입으로서 포함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한편, 이처럼 UI로서 구현되는 상태목록(stateList)의 타입과 이벤트목록(eventList)의 타입 간에는 상호 중복이 가능하며, 또한 UI에서의 배열 순에 대한 제약도 따르지 않는데,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격장치(10)의 종류마다 그에 적합한 UI의 형태로 바꿀 수 있는 범용의 제어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처리부(33)는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33)는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이 생성되면, 해당 웹 페이지의 접속정보(예: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가 중계단말을 통해 제어단말(40)로 전달되도록 처리하여, 전달된 접속정보를 따라서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40)이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웹 페이지의 접속정보는 예컨대, 중계단말(20) 내 프록스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SMS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 형태로 제어단말(4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제어단말(40)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메시지 내 접속정보를 따라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처리부(33)는 제어단말(40)이 제어화면을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제어신호를 중계단말을 통해 원격장치(10)로 전송함으로써,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어신호에 따라서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상태정보는 중계단말(20)을 통해 원격장치(10)로부터 획득되며, 변경된 상태정보에 따라 웹 페이지가 새로고침 되므로, 제어화면의 UI가 새롭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원격장치(10)의 변경된 화면정보에 해당하는 화면 캡처 이미지의 경우, 전송 용량을 고려하여 텍스트로 인코딩된 형태로 획득되는데, 이러한 화면 캡처 이미지는 상태목록(stateList)의 타입인 'image'에 삽입되어, 이후 디코딩 과정을 거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화면 내에 새로운 이미지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로 인코딩된 형태로 획득되는 원격장치(10)의 화면정보의 경우, 제어단말(40)의 화면 크기에 따라 인코딩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제어단말(40)에 대해 최적화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원격장치(10)의 일 예로서 소개한 내비게이션의 경우, 경로 안내 등 장치 화면에 지도를 표시할 때, 인터넷 환경에 따라 지도를 표시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달라진다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원격장치(10)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화면의 우측 상단에 이미지 요청 버튼을 마련함으로써, 제어단말(40)의 이미지 요청 버튼 선택에 따른 이미지 요청 시마다 원격장치(10)의 화면정보에 해당하는 화면 캡처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어화면 내에 새로운 이미지 형태로 표출하게 된다.
즉, 제어화면 내 이미지 요청 버튼이 제어단말(40)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원격장치(10)의 화면정보에 해당하는 화면 캡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태목록(stateList)의 타입인 'image'에 삽입함으로써, 기존 제어화면 내 UI의 구성에서 화면 캡처 이미지만이 변경될 수 있도록 구현할 있는 것이다.
또한, 앞서 원격장치(10)의 일 예로서 함께 소개한 IPTV나 보일러의 경우, 메뉴를 이동하는 상하좌우 방향버튼이나 온도를 조절하는 상하버튼을 반복적으로 누르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버튼 클릭에 따른 제어신호 입력 시마다) 매번 제어화면을 갱신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제어화면이 갱신되기까지 기다려야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 측면에서 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원격장치(10)의 특성을 추가 고려하기 위해 반복적인 버튼 동작을 요구하는 경우에 일정 대기시간 동안의 버튼 동작에 대한 다수의 제어신호를 모아서 전송하는 그룹핑 방식을 채택하게 되며, 이러한 그룹핑 방식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한 다음의 4가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제1 방식을 따르는 처리부(33)에서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화면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큐(Queue)에 저장하고 임계 시간(t)만큼 대기하며, 해당 임계 시간이 경과하기 전 제어신호가 재차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제어신호 또한 큐에 저장하고 마찬가지로 신규로 임계 시간을 대기하게 된다.
만약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까지 새로운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큐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신호를 원격장치(10)로 일괄 전송하여 원격장치(10)에서는 일괄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태정보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큐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변경된 상태정보만을 반영하여 제어화면이 새롭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제2 방식을 따르는 처리부(33)에서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화면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큐(Queue)에 저장하고 임계 시간(t)만큼 대기한다.
만약, 임계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새로운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큐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의 제어신호만을 원격장치(10)로 전송하여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9를 참조하여 제3 방식을 따르는 처리부(33)에서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화면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큐(Queue)에 저장하고 임계 시간(t)만큼 대기하며, 해당 임계 시간이 경과하기 전 제어신호가 재차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제어신호 또한 큐에 저장하고 마찬가지로 신규로 임계 시간을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큐의 최대저장크기만큼 제어신호가 저장된 경우, 더 이상 제어신호의 입력을 대기하지 않고, 큐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신호를 원격장치(10)로 일괄 전송함으로써, 원격장치(10)에서는 일괄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태정보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여 제4 방식을 따르는 처리부(33)에서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화면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큐(Queue)에 저장하고 임계 시간(t)만큼 대기하며, 임계 시간이 경과하기 전 제어신호가 재차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제어신호 또한 큐에 저장하고 마찬가지로 신규로 임계 시간을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제어신호를 입력을 대기한 총 대기시간이 기 정의된 최대대기시간(T)에 해당하는 경우, 더 이상 제어신호의 입력을 대기하지 않고, 큐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신호를 원격장치(10)로 일괄 전송함으로써, 원격장치(10)에서는 일괄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태정보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30)의 구성에 따르면,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40)이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원격장치(10)의 제어에 있어서 편의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성취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획득부(31)는 단계 'S10'에 따라 원격장치(10)와 접속된 중계단말(20)로부터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중계단말(20)을 매개로 획득되는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는 예컨대, 상태목록(stateList)와 이벤트목록(eventList)로 구분된 JSON 포맷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부(32)는 원격장치(10)와 접속된 중계단말(20)로부터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가 획득되면, 단계 'S20' 및 'S30'에 따라 획득된 상태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원격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처리부(33)는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이 생성되면, 단계 'S40'에 따라 해당 웹 페이지의 접속정보(예: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가 중계단말을 통해 제어단말(40)로 전달되도록 처리하여, 전달된 접속정보를 따라서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40)이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웹 페이지의 접속정보는 예컨대, 중계단말(20) 내 프록스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SMS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 형태로 제어단말(4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제어단말(40)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메시지 내 접속정보를 따라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33)는 단계 'S50' 및 'S60'에 따라 제어단말(40)이 제어화면을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제어신호를 중계단말을 통해 원격장치(10)로 전송함으로써,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어신호에 따라서 원격장치(10)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상태정보는 중계단말(20)을 통해 원격장치(10)로부터 획득되며, 변경된 상태정보에 따라 웹 페이지가 새로고침 되므로, 제어화면의 UI가 새롭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3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40)이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원격장치(10)의 제어에 있어서 편의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성취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한 제어단말이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원격장치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원격장치
20: 중계단말
30: 원격제어중계장치
31: 획득부 32: 생성부
33: 처리부
40: 제어단말

Claims (18)

  1. 원격장치와 접속된 중계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정보가 상기 중계단말을 통해 제어단말로 전달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접속정보를 따라서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단말을 통해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큐에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큐에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큐에 최대저장크기만큼 제어신호가 저장된 경우 제어신호의 입력을 대기하지 않고 상기 큐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제어화면 내에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는 상기 원격장치의 화면정보를 포함되며,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어신호와는 별도인 상기 제어단말로부터의 이미지 요청에서 상기 원격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정보가 변경된 시점에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된 시점까지 제3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기 정의된 최대대기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은,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상태목록 UI(User Interface), 및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된 이벤트목록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목록 UI와 상기 이벤트목록 UI 간에는,
    각각의 표현 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타입(Type) 중 적어도 일부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
  9. 원격장치와 접속된 중계단말로부터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웹 페이지 기반의 제어화면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및
    상기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정보가 상기 중계단말을 통해 제어단말로 전달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접속정보를 따라서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한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상기 원격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단말을 통해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큐에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큐에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큐에 최대저장크기만큼 제어신호가 저장된 경우 제어신호의 입력을 대기하지 않고 상기 큐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며,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는 시점까지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제어화면 내에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는 상기 원격장치의 화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어신호와는 별도인 상기 제어단말로부터의 이미지 요청에서 상기 원격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정보가 변경된 시점에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된 시점까지 제3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14. 삭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 시점에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기 정의된 최대대기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원격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은,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상태목록 UI(User Interface), 및 상기 원격장치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된 이벤트목록 U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목록 UI와 상기 이벤트목록 UI 간에는,
    각각의 표현 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타입(Type) 중 적어도 일부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9 항, 제 11 항, 제 13 항, 제 15 항 및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 9 항, 제 11 항, 제 13 항, 제 15 항 및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006193A 2017-01-13 2017-01-13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01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193A KR102001886B1 (ko) 2017-01-13 2017-01-13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193A KR102001886B1 (ko) 2017-01-13 2017-01-13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645A KR20180083645A (ko) 2018-07-23
KR102001886B1 true KR102001886B1 (ko) 2019-07-19

Family

ID=6310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193A KR102001886B1 (ko) 2017-01-13 2017-01-13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8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6717A1 (ja) * 2008-09-08 2010-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及び遠隔制御装置
KR101513017B1 (ko) * 2013-10-15 2015-04-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네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15B1 (ko) * 1999-11-24 2007-02-08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시스템에서의 그래픽 화면 처리 속도 향상 방법
KR101545141B1 (ko) * 2012-10-15 2015-08-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복수 단말 동시 원격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1060A (ko) * 2012-11-13 2014-05-21 서정환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735713B1 (ko) * 2015-05-29 2017-05-24 주식회사 코이노 원격제어로부터의 접근 보호를 위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6717A1 (ja) * 2008-09-08 2010-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及び遠隔制御装置
KR101513017B1 (ko) * 2013-10-15 2015-04-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네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645A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785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thereof
CN105683845B (zh) 用于装置检测和app配置的系统和方法
EP2840813B1 (en)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instance interface of virtualization object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KR102622652B1 (ko) 컨트롤러 기반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자동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2644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entral control device
EP2401871B1 (en) Remote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9842491B2 (en) Universal remote control
JP5952301B2 (ja) 移動通信端末における周辺デバイスを遠隔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70063611A1 (en) User Configuration Mechanism for Internet-of-Things (IOT)
US9806900B2 (en) Wireless provisioning and configuring of hardware elements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10003683B2 (en)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smart appliances
CN107003836B (zh) 用于所连接的消费者设备的灵活设备模板
CN111856955A (zh) 用于控制用于智能家居服务的装置的方法和设备
WO2017020523A1 (zh) 用于远程控制终端的方法和装置
US1068481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797812B1 (ko)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US20130304241A1 (en) Appliance control
US20160352577A1 (en) Multiple gateway virtualization
US20120079387A1 (en) Customizable internet protocol remote control
KR102001886B1 (ko) 원격제어중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18709A (ko) 단말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US11792269B2 (en) Method for generating application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ame
CN103269360A (zh) 一种对电器设备进行控制的方法及装置
KR101459929B1 (ko) 차량 제어용 설정 데이터의 공유 방법
JP5714067B2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