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675B1 -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Google Patents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1675B1 KR102001675B1 KR1020170123527A KR20170123527A KR102001675B1 KR 102001675 B1 KR102001675 B1 KR 102001675B1 KR 1020170123527 A KR1020170123527 A KR 1020170123527A KR 20170123527 A KR20170123527 A KR 20170123527A KR 102001675 B1 KR102001675 B1 KR 1020016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chemical liquid
- hole
- cylinder chamber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5—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 무통주사액 등과 같은 약액을 환자에게 설정된 양으로 투입함은 물론, 환자의 상태 또는 환자의 요구에 따라 추가로 투입되는 볼루스(bolus)의 양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케이스, 계단식 높이조절홈이 구비된 상부케이스, 인입홀 및 인출홀을 포함하는 케이스; 약액이 인입되고 배출되는 약액이송관; 스프링에 결합되어 최대높이로 상승되며, 상기 최대높이는 상기 높이조절홈에 의해 결정되는 볼륨제어수단; 상기 약액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송된 약액 중 일부가 유입되는 실린더챔버; 상기 실린더챔버의 내부를 따라 승강되는 실린더패드와 결합되어 승강되며, 최대 상승높이가 상기 볼륨제어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슈팅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챔버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된 약액은 상기 슈팅버튼을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 무통주사액 등과 같은 약액을 환자에게 설정된 양으로 투입함은 물론, 환자의 상태 또는 환자의 요구에 따라 추가로 투입되는 볼루스(bolus)의 양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액 공급량 조절기는, 약액 공급기로부터 배출되는 약액을 환자의 질병 및 통증 상태에 따라 일정량씩 유출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약액 공급기로부터 배출되어지는 약액의 일부를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저장튜브로 유입시켜 반복적으로 작동되는 버튼체를 사용하여 저장튜브를 반복적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저장튜브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약액을 일정량씩 유출시킬 수 있도록 된 버튼식 약액 공급량 조절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튼식 약액 공급량 조절기는 통상의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일정 유량의 약액 조절은 가능하나 미세한 유량의 약액 조절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말기 암환자 등 미세한 정량 투입을 요하는 환자나 약액의 과다 투입에 의한 쇼크사가 예측되는 환자에게 제공되의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치명사로 이어질 수 있어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유로 조정방식의 약액 공급량 조절기가 제공되어 약액의 미세 정량 유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하였으나, 약액분기호스의 배치 상 말려진 부분으로 인하여 약액의 이송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정량의 약액 공급에 차질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약액의 잔량으로 인한 약액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국내등록특허 제10-1312556호에서 유량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약액분기호스를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형성시켜 약액분기호스 모두를 케이스 내부에 일렬로 균일하게 배치한 유로 조정방식의 약액 공급량 조절기를 소개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역시 투여되는 약물의 양을 근사적으로는 조정할 수 있지만 아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은 여전히 불가능하였다. 예를 들면 시간당 수백 ㎖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은 일반적인 약물 투여기로도 충분하지만, 시간당 수 ㎖의 극소량의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약물 투여기를 사용할 수 없다.
특히, 시간당 수 ㎖의 극소량의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여야 하는 자가통증조절장치(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의 경우 투여되는 약물의 종류, 약물의 양 및 약물의 투여 시간 등을 고려하여 엄격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10-1715900호에서 환자에게 극소량의 약물을 정밀하게 투여하는 데 사용되는 스마트 카트리지 및 상기 스마트 카트리지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는 스마트 PCA 펌프를 소개한 바 있다.
한편, 환자의 상태 및 통증 정도에 따라 약물의 정량 공급 이외에도 추가적인 약물(약액)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볼루스 장치를 이용하여 평상시 약액의 정량 공급은 물론, 환자의 통증이 심해질 경우 추가적인 볼루스 버튼을 이용하여 약액을 추가적으로 공급받아 통증을 완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상태 및 통증 정도에 따라 볼루스의 양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볼루스의 양에 따라 각각의 볼루스 주입기가 제공되었다. 즉, 용량에 따라 볼루스 주입기가 제공되므로, 예를 들어, 만약 0.5㎖의 볼루스를 공급받던 환자가 1.0㎖의 볼루스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사용하던 볼루스 주입기를 분리하고, 1.0㎖의 볼루스를 공급하는 새로운 볼루스 주입기를 장착하여 사용해야만 하며, 다시 1.5㎖의 볼루스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또 다른 볼루스 주입기를 장착하여 사용해야만 했다.
이는 사용상의 불편함은 물론, 각각의 볼루스 주입기를 제작하여 제공해야 하므로 제작비가 상승함은 물론, 유지/관리/보수에 따른 비용도 함께 상승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방식의 볼루스 제어 주입기를 제공해야 하나, 이 역시 고가의 장비이므로 여전히 비용 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량으로 공급되는 약액량과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볼루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기계적 메커니즘의 복합적 구현으로, 볼루스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약액이송관에 적용되는 캐필러리(capillary)를 본딩작업 없이 결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약액이송관에 적용되는 의료용 체크밸브를 고압의 약액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는, 하부케이스, 계단식 높이조절홈이 구비된 상부케이스, 인입홀 및 인출홀을 포함하는 케이스; 약액이 인입되고 배출되는 약액이송관; 스프링에 결합되어 최대높이로 상승되며, 상기 최대높이는 상기 높이조절홈에 의해 결정되는 볼륨제어수단; 상기 약액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송된 약액 중 일부가 유입되는 실린더챔버; 상기 실린더챔버의 내부를 따라 승강되는 실린더패드와 결합되어 승강되며, 최대 상승높이가 상기 볼륨제어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슈팅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챔버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된 약액은 상기 슈팅버튼을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실린더챔버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챔버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삽입홈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챔버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약액이송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액이송관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약액이송관으로부터 일정 간격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지지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액이송관은, 상기 인입홀에 결합되어 약액이 유입되며, 제1-1유로와 제1-2유로를 형성하는 제1분기관; 상기 인출홀에 결합되어 약액이 배출되며, 제2-1유로와 제2-2유로를 형성하는 제2분기관; 상기 제1-1유로와 일단부가 연결된 제1이송로; 상기 제2-1유로와 타단부가 연결된 제2이송로; 상기 실린더챔버에 타단부가 연결된 제3이송로; 상기 제1-2유로와 상기 제2-2유로에 연결되는 제4이송로; 및 상기 제1이송로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3-1유로와 상기 제2이송로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2유로와 상기 제3이송로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3유로를 형성하는 제3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로와 상기 제4이송로는 중심에 모세관이 형성된 캐필러리(capillary)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이송로는 체크밸브 통해 연결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캐필러리를 거쳐 이송되는 약액의 이송압력 이상에서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필러리는, 중심에 모세관이 형성된 상기 캐필러리의 양측으로 각각 상기 모세관과 간섭되지 않는 홀이 형성된 패킹이 결합되며, 상기 패킹이 결합된 상기 캐필러리의 양측으로 각각 내부에 상기 모세관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관이 결합되고, 결합되는 두 개의 관은 상호간에 나사결합(male/female luer lock fitting)되면서 상기 패킹을 가압하여 가압된 패킹에 의해 상기 캐필러리와 상기 두 개의 관 사이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는, 내측에 약액이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에는 폭이 좁게 형성되는 가압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홀의 종단부(終端部)에는 배출방지돌기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밀폐결합되면서 내측에 약액이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에는 약액이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출홀과 연통된 절개홀을 갖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의 시단부(始端部)에는 상기 배출방지돌기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배출홀의 둘레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된 배출관; 및 기(旣) 설정된 탄성을 가지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밀착된 상태로 개재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평상시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약액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가압홀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지지돌기에 테두리부가 지지되면서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밀착된 면이 이격되어 상기 유입홀 내부의 약액이 상기 배출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륨제어수단은,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부에 상기 높이조절홈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볼륨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턱의 상부에는 지지턱의 돌출 길이방향으로 상부에 만곡지게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홈에는 이에 대응되어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륨제어수단은, 스프링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스프링브라켓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브라켓의 상부는 상기 지지턱의 하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슈팅버튼은 하부 외측 둘레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을 따라 승강되며, 상승시 상기 단턱이 상기 볼륨키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상승높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륨키의 상부 둘레부에는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키홈에 체결되어 상기 높이조절홈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턱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볼륨조절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륨조절키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키홈에 각각 삽입되는 회전지지돌기;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계단식 높이조절홈을 통해 볼륨키 및 슈팅버튼의 최대 상승높이를 제한하고, 이를 통해 실린더챔버 내로 유입되는 약액의 저장량을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볼루스 주입기를 통해서도 볼루스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턱에 상부로 만곡진 돌기를 형성하고 높이조절홈에는 이에 대응되어 홈을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볼루스 양의 조절시 부드러운 이동은 물론, 체결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구성된 하나의 볼루스 주입기를 사용함으로써, 볼루스 공급량에 따른 각각의 제품 제작을 벗어나 하나의 볼루스 주입기를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작 편의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유지/보수/관리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측면에서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챔버삽입홈의 구성으로 실린더챔버를 견고하게 설치하고 지지할 수 있으며, 절개부의 구성으로 약액이송관과 실린더챔버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지지단턱의 구성으로 약액이송관과 스프링이 상호 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캐필러리(capillary)와 체크밸브를 이용한 약액이송관의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캐필러리의 양측에 결합되는 패킹과 패킹이 결합된 캐필러리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관이 상호 나사결합되면서 패킹을 가압하여 밀착 및 밀폐시키는 구조로써, 별도의 본딩작업이 필요치 않으므로 캐필러리 관련 부속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도구와 전문인력이 필요치 않으며, 기본적인 수작업만으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캐필러리 결합시 단순한 체결작업으로 구성되므로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작업인력 감소는 물론,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순히 패킹을 결합하고 연결부품을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조립은 물론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개폐판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의 구성을 통해 개폐판의 둘레부를 제외한 중심부가 이격되어 유체가 흐르는 구조의 체크밸브를 적용함으로써, 고압의 유체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브라켓을 적용함으로써, 볼륨키의 상하이동시 정확한 수평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키홈과 함께 이에 체결되는 볼륨조절키를 구비함으로써 볼루스 양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볼륨조절키로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의료진 이외 다른 사람의 임의 조작을 방지함으로써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의 유기적이고 복합적인 설계를 통해 전자적 제어 없이도 기계적 메커니즘만으로 본 발명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면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면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이송관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이송관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캐필러리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캐필러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도 14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해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키가 높이조절홈의 최저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의 상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키가 높이조절홈의 최고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의 상태 단면도,
도 20은 도 18과 도 19의 상태에서 슈팅버튼을 동작시켰을 때의 상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조절키가 결합된 상태 사시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조절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면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이송관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이송관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캐필러리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캐필러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도 14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해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키가 높이조절홈의 최저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의 상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키가 높이조절홈의 최고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의 상태 단면도,
도 20은 도 18과 도 19의 상태에서 슈팅버튼을 동작시켰을 때의 상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조절키가 결합된 상태 사시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조절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면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후면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는 케이스(100), 약액이송관(200), 스프링(300), 볼륨제어수단(400), 볼륨조절키(500), 실린더챔버(600) 및 슈팅버튼(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크게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로 구성되며,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결합되면서 인입홀(130)과 인출홀(140)이 형성된다. 물론, 인입홀(130)과 인출홀(140)의 위치를 하부케이스(110)에만 형성하거나 상부케이스(120)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케이스(110)에는 실린더챔버(60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챔버삽입홈(111)이 형성되며, 챔버삽입홈(111)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부(111-1)가 형성된다. 챔버삽입홈(111)의 둘레에는 스프링(300)의 하단부가 안착지지되는 다수 개의 지지단턱(112)이 스프링(300)의 형상에 맞춰 배열된다. 지지단턱(112)은 하나로 구성하거나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로 구성하였다. 지지단턱(112)은 실린더챔버(600)와 약액이송관(200)의 연결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액이송관(200)으로부터 일정 간격 상부로 이격되어 스프링(30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해야 한다.
상부케이스(120)는 하부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모자 형상이라 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20)의 내측 상부 둘레부에는 120도 등 간격으로 위치된 계단식 높이조절홈(121)이 동일한 수평선 상에 구성된다. 높이조절홈(121)에 형성된 계단 간격은 환자에게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볼루스의 양과 대응된다. 즉, 추가 볼루스의 양을 0.5㎖, 1.0㎖, 1.5㎖, 2.0㎖로 조절하도록 설정할 경우 4개의 계단이 형성되어야 하며, 높이조절홈(121) 각각의 계단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되어야 한다. 계단의 폭은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홈(121)을 넓게 구성하여 두 곳에만 구성하거나 좁게 구성하여 네 곳 이상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일반적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곳에 등 간격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홀(130)은 케이스(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인출홀(140)은 케이스(100)의 하부 타측에 형성된다. 외부에서 인입홀(130)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펌핑된 약액이 케이스(100) 내부의 약액이송관(200)으로 유입되며, 외부에서 인출홀(140)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약액이송관(200)으로부터 배출된 약액이 환자에게 투입된다.
약액이송관(200)은 인입홀(130), 실린더챔버(600), 인출홀(140)과 연결되며, 하부케이스(110)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된다.
스프링(300)은 하부케이스(110)의 지지단턱(112)에 하단부가 안착지지되며, 상부케이스(120)의 개방된 상부방향으로 팽창된다.
볼륨제어수단(400)은 스프링(3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최대높이로 상승되며, 최대높이는 높이조절홈(121)에 의해 결정된다. 즉, 볼륨제어수단(400)은 볼륨키(410)로만 구성하거나 볼륨키(410)와 스프링브라켓(4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볼륨키(410)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삽입홀(411)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부에 높이조절홈(121)에 대응되는 지지턱(412)이 120도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볼륨키(410)로만 구성할 경우 지지턱(412)의 하부에 스프링(300)의 상단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스프링(300)의 팽창력에 의해 볼륨키(410)가 상승하며, 상승하는 볼륨키(410)는 지지턱(412)이 높이조절홈(121)에 지지되면서 최대 상승높이가 제한된다.
스프링브라켓(420)이 함께 구성될 경우 스프링브라켓(420)은 스프링(300)과 볼륨키(410) 사이에 개재된다. 즉, 스프링(300)의 상단부가 스프링브라켓(420)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스프링브라켓(420)의 상부면이 지지턱(412)의 하부에 지지된다. 스프링브라켓(420)은 스프링(300)의 팽창력을 볼륨키(410)에 고르게 분산하여 전달시킨다.
실린더챔버(600)는 하부케이스(110)에 형성된 챔버삽입홈(111)에 삽입결합되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챔버(600)의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된 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어 절개부(111-1)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관의 단부 외측 둘레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약액이송관(200)과 연결된 관에는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호 간에 체결되어 연결된다. 실린더챔버(600)에는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약액이 유입되어 저장되며, 실린더챔버(600)의 부피는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볼루스의 양에 대응된다.
슈팅버튼(700)은 실린더챔버(600)의 내부를 따라 승강되는 실린더패드(710)와 결합되어 승강되는 것으로, 실린더챔버(600), 실린더패드(710) 및 슈팅버튼(700)은 주사기의 원리와 참조할 수 있다. 실린더패드(710)는 실린더챔버(600)의 내측 둘레면과 밀폐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되며, 슈팅버튼(700)의 최대 상승높이는 볼륨제어수단(400)에 의해 결정된다. 즉, 슈팅버튼(700)의 하부 외측 둘레부에는 단턱(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어 삽입홀(411)을 따라 승강되며, 상승시 단턱이 볼륨키(410)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상승높이가 제한된다. 도면상에는 실린더챔버(600)의 상부를 모두 개방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실린더패드(710)와 연결된 슈팅버튼(700)의 연결부위만 삽입되어 승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슈팅버튼(700)과 연결된 실린더챔버(600)의 연결부위도 밀폐상태를 유지하면서 슈팅버튼(700)이 승강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이송관(200)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이송관(200)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약액이송관(2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액이송관(200)은 제1분기관(210), 제2분기관(220), 제3분기관(230), 제1이송로(240), 제2이송로(250), 제3이송로(260), 제4이송로(270), 캐필러리(280) 및 체크밸브(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분기관(210)은 인입홀(130)에 결합되어 약액을 공급받으며, 인입홀(130)과 연결된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바로 제1-1유로(211)와 제1-2유로(212)를 형성한다. 제1-1유로(211)는 인입홀(130)에서 유입되는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2유로(212)는 제1-1유로(211)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1유로(211)와 제1-2유로(212)의 단부 외측 둘레부에는 캐필러리(280)의 결합시 사용될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제2분기관(220)은 인출홀(140)에 결합되어 약액을 배출시키며, 인출홀(140)과 연결된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바로 제2-1유로(221)와 제2-2유로(222)를 형성한다. 제2-1유로(221)는 인출홀(140)에서 배출되는 직선 후방으로 형성되며, 제2-2유로(222)는 제2-1유로(221)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이송로(240)는 제1-1유로(211)와 일단부가 연결되어 하부케이스(110)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다. 제1이송로(240)의 일단부는 후술할 캐필러리(280)가 결합되는 밀착관(275)과 결합된다.
제2이송로(250)는 제2-1유로(221)와 타단부가 연결되어 하부케이스(110)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다.
제3이송로(260)는 실린더챔버(600)의 하부에 연결된 관 내부로 삽입결합되며, 제3이송로(260)에 결합되어 내측에 암나사선이 형성된 관(도면부호 미기재)이 실린더챔버(600)의 하부에 연결된 관과 암수나사 체결된다.
제4이송로(270)는 제1-2유로(212)와 제2-2유로(222)에 직선 연결되며, 제4이송로(270) 역시 후술할 캐필러리(280)가 결합되는 밀착관(275)과 결합된다.
제3분기관(230)은 제1이송로(240)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3-1유로(231)와 제2이송로(25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2유로(232)와 제3이송로(26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3-3유로(233)를 형성한다.
제1이송로(240)와 제4이송로(270)는 중심에 모세관이 형성된 캐필러리(280, capillary)를 통해 연결되고, 제2이송로(250)는 체크밸브(290) 통해 연결되며, 체크밸브(290)는 캐필러리(280)를 거쳐 이송되는 약액의 이송압력 이상에서만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캐필러리(280)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캐필러리(28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캐필러리(280, capillary)의 결합구조는, 모세관이 형성된 캐필러리(280)의 양측으로 각각 모세관과 간섭되지 않는 홀이 형성된 패킹(271, 272)을 결합시키고, 패킹(271, 272)이 결합된 캐필러리(280)의 양측으로 각각 내부에 모세관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관을 결합시키며, 이때, 결합되는 두 개의 관은 상호간에 나사결합되면서 패킹(271, 272)을 가압하여 가압된 패킹(271, 272)에 의해 캐필러리(280)와 두 개의 관 사이가 밀폐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결합구조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면 후술할 실시예로만 캐필러리(280) 결합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캐필러리(280)의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 10과 도 11을 기준으로 우측을 일측, 일측면, 일측부 등으로 지칭하고, 좌측을 타측, 타측면, 타측부 등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캐필러리(280)의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캐필러리(280, capillary), 제1패킹(271), 제2패킹(272), 밀착지지관(273), 밀착결합관(274) 및 밀착관(2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필러리(280)는 중심에 모세관이 형성된 관으로 약액의 플로우(flow) 양을 조절하기 위해 의료기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캐필러리(280)의 양측에 제1패킹(271)과 제2패킹(272)을 결합시키고, 밀착지지관(273)을 밀착결합관(274)에 삽입 후 밀착결합관(274)과 밀착관(275)을 나사결합(male/female luer lock fitting)하면서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제1패킹(271)은 일측면에 모세관과 간섭되지 않는 홀이 형성되어 캐필러리(280)의 일측면 둘레부를 포함하여 캐필러리(280)의 일측부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제2패킹(272)은 타측면에 모세관과 간섭되지 않는 홀이 형성되어 캐필러리(280)의 타측면 둘레부를 포함하여 캐필러리(280)의 타측부를 감싸며 결합된다.
제1패킹(271)과 제2패킹(272)은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홈을 갖는 덮개 형상을 가지며, 홈의 바닥면에 모세관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구조로써, 실리콘의 탄성에 의해 소정의 저항을 가지면서 캐필러리(280)의 양측에 결합된다.
밀착지지관(273)은 내측에 유체가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타측 내부로 제1패킹(271)이 결합된 캐필러리(280)의 일측부가 삽입되어 안착지지되는 제1-1단턱(273-1)이 형성되며, 외측 둘레부에 제1-2단턱(273-2)이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제1-1단턱(273-1)과 제1-2단턱(273-2)을 동일한 수직전상에 구성하였으나, 각각 지지 및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각각의 위치를 달리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밀착결합관(274)은 내측에 유체가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일측 내부로 제2패킹(272)이 결합된 캐필러리(280)의 타측부가 삽입되어 안착지지되는 제2단턱(274-1)이 형성되며, 밀착지지관(273)의 타측부가 밀착결합관(274)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고, 외측 둘레부에 수나사부(274-2)가 형성된다. 제2단턱(274-1)의 폭은 제2패킹(272)이 결합된 캐필러리(28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는 개념적으로만 수나사부(274-2)를 도시하였으며, 수나사부(274-2)와 암나사부(275-2)의 형성위치, 길이 및 형태 등은 공지된 기술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밀착관(275)은 내측에 유체가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타측 내부 둘레면에 수나사부(274-2)에 대응되어 암나사부(275-2)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3단턱(275-1)이 형성되어 밀착결합관(274)에 체결되면서 제1-2단턱(273-2)을 가압하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조는 제1패킹(271)과 제2패킹(272)의 가압에 의해 캐필러리(280)와 밀착지지관(273) 및 밀착결합관(274) 사이가 밀폐되는 구조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캐필러리(280)의 결합구조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일측과 타측에 대한 방향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사시도와 분해도는 일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단면도를 바탕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캐필러리(280)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캐필러리(280), 제1패킹(271), 제2패킹(272), 밀착결합관(274) 및 밀착관(2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필러리(280), 제1패킹(271) 및 제2패킹(272)에 대한 구조는 전술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
밀착결합관(274)은 내측에 유체가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일측 내부로 제2패킹(272)이 결합된 캐필러리(280)의 타측부가 삽입되어 안착지지되는 제2단턱(274-1)이 형성되며, 외측 둘레부에 수나사부(274-2)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형성위치, 길이 및 형태 등도 공지된 기술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밀착관(275)은 내측에 유체가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타측 내부 둘레면에 수나사부(274-2)에 대응되어 암나사부(275-2)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3단턱(275-1)이 형성되어 밀착결합관(274)에 체결되면서 제1패킹(271)을 가압하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조는 일 실시예의 구조에 비해 간소화된 구조로써, 제1패킹(271)과 제2패킹(272)의 가압에 의해 캐필러리(280)와 밀착결합관(274) 및 밀착관(275) 사이가 밀폐되는 구조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크밸브(290)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크밸브(290)의 배출관(282)의 단턱부(282-2)와 절개홀(282-3) 및 지지돌기(282-4)의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크밸브(290)의 유입관(281)의 가압홀(281-2)과 배출방지돌기(281-3)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크밸브(290)의 평상시 개폐부재(283)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의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크밸브(290) 내로 유체 흐름시 개폐부재(283)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크밸브(290)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크밸브(29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체크밸브(290) 유입관(281), 배출관(282) 및 개폐부재(2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유입관(281)은 유체가 유입되는 관으로 유입관(281)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도 17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유입홀(281-1)이 형성된다. 도 17을 기준으로 하면, 유입홀(281-1)은 우측에서 넓어졌다가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진 후 다시 넓어지는 형상이며, 좁아진 부위가 가압홀(281-2)을 형성한다. 가압홀(281-2)은 유입홀(281-1)의 내부에 중공을 갖는 단턱형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홀(281-2)의 종단부(終端部)에는 가압홀(281-2)의 테두리방향으로 배출방지돌기(281-3)가 형성되며, 배출방지돌기(281-3)는 동일한 높이(도 17을 기준으로 좌우길이)로 형성된다. 가압홀(281-2)의 좁은 면적에 의해 유체의 압력이 높아지며,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압력이 일정 압력(설정된 고압) 이상일 경우 후술할 개폐부재(283)의 둘레부를 제외한 중심부위가 배출방지돌기(281-3)로부터 이격되어 가압홀(281-2)이 개방된다.
배출관(282)은 유입관(281)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관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유입관(281)의 일측에 그 타측이 결합되며, 배출관(282)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도 17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유입홀(281-1)과 연통되는 배출홀(282-1)이 형성된다. 도 17을 기준으로 하면, 배출홀(282-1)의 우측에는 단턱부(282-2)가 형성되며, 단턱부(282-2)의 시단부(始端部)에는 배출방지돌기(281-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면서 배출홀(282-1)의 내측 둘레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지지돌기(282-4)가 구비된다. 단턱부(282-2)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홀(282-1)과 연통되는 열십자 형태(+)의 절개홀(282-3)이 형성된다.
개폐부재(283)는 가압홀(281-2)을 폐쇄 및 개방하는 것으로 체크밸브(290)에 적용하고자 하는 설정압력을 고려하여 기(旣) 설정된 탄성을 갖도록 제작하며, 유입홀(281-1)과 배출홀(282-1)의 내경도 설정압력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283)는 유입관(281)과 배출관( 200)의 둘레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방지돌기(281-3)와 지지돌기(282-4)에 밀착된 상태로 개재된다.
개폐부재(283)는 개폐판(283-1) 및 가이드지지봉(28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판(283-1)은 배출방지돌기(281-3)와 지지돌기(282-4)의 사이에 개재되고, 유입관(281) 및 배출관(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지지돌기(282-4)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가이드지지봉(283-2)은 개폐판(283-1)의 중심에서 절개홀(282-3)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절개홀(282-3)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가이드지지봉(283-2)의 구성으로 배출홀(282-1)을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가이드지지봉(283-2)은 절개홀(282-3)의 내경 내에서만 이동하므로 개폐판(283-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개폐판(283-1)의 동작반경 이탈을 방지한다.
개폐부재(283)는 평상시 배출방지돌기(281-3)와 지지돌기(282-4)에 밀착되어 유입관(281)으로 유입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가압홀(281-2)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이 일정 압력(설정된 고압) 이상일 경우에만 지지돌기(282-4)에 테두리부가 지지되면서 배출방지돌기(281-3)와 밀착된 면이 이격되어 유입홀(281-1), 즉 가압홀(281-2) 내부의 유체가 배출홀(282-1)로 이송되도록 동작한다.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체크밸브(290)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의 (a)와 같이 위치한 상태에서 유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고압)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도 16의 (b)와 같이 개폐판(283-1)의 중심부위가 배출방지돌기(281-3)로부터 이격되며, 유체는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절개홀(282-3, 배출관의 내부 우측)과 배출홀(282-1, 배출관의 내부 좌측)을 거쳐 배출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키(410)가 높이조절홈(121)의 최저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의 상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키(410)가 높이조절홈(121)의 최고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의 상태 단면도이며, 도 20은 도 18의 상태에서 슈팅버튼(700)을 동작시켰을 때의 상태 단면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약액 흐름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입홀(130)을 통해 약액이 유입되고, 유입된 약액은 제1-1유로(211)와 제1-2유로(212)로 나누어 이송된다. 이후, 제1-1유로(211)와 제1-2유로(212)는 캐필러리(280)로 연결되어 각각 제1이송로(240)와 제4이송로(270)로 플로우(flow) 양이 조절되어 이송된다. 제1이송로(240)는 제3-1유로(231)를 통해 제3-2유로(232)와 제3-3유로(233)로 유입된다. 이때, 제3-3유로(233)로 유입된 약액은 제2이송로(250)로 이동하나 체크밸브(290)에 의해 이동을 멈추고, 제3-3유로(233)를 통해 실린더챔버(600)의 내부로 이송된다. 체크밸브(290)는 제2이송로(240)의 약액이 제2분기관(220)으로만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실린더챔버(600)의 내부로 이송되는 약액의 유입 압력에 의해 실린더패드(710)는 상승하며, 슈팅버튼(700)이 함께 상승한다.
상승하는 슈팅버튼(700)에 형성된 단턱은 설정된 높이조절홈(121)에 지지고 있는 볼륨키(410)의 하단부에 지지되면서 상승동작을 멈추게 된다. 즉, 유입되는 약액에 의해 슈팅버튼(700)이 상승동작을 멈춘것은 기본적으로 설정된 볼루스 양만큼 약액이 실린더챔버(600)의 내부에 유입된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제4이송로(270)로 유입된 약액은 체크밸브(290)에 의해 제2분기관(220)을 거쳐 인출홀(140)로 배출되어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상은 사용자가 슈팅버튼(700)을 동작시키 전 약액의 흐름 상태를 설명한 것이다.
실린더챔버(600)에 유입되는 약액은 높이조절홈(121)을 통해 설정된 양만큼만 유입되어 저장되며, 도 18에는 유입되는 약액의 양을 최저로 설정했을 때의 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9에는 유입되는 약액의 양을 최고로 설정했을 때의 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는 약액이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에서 슈팅버튼(700)을 동작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미도시 하였으나, 도 18의 상태도 동일한 원리로 이해할 수 있다.
슈팅버튼(700)을 동작시키면(누르면), 동작 압력에 의해 실린더챔버(600)의 내부에 저장된 약액은 제3이송로(260)를 따라 제3-3유로(233)를 거쳐 제3-1유로(231) 및 제3-2유로(232)로 이동한다. 이때, 제3-1유로(231)를 통해 제1이송로(240)로 이동하려는 약액은 동작 압력에 의해 캐필러리(280)의 모세관에 막히게 되며, 동작 압력은 그대로 제2이송로(250)를 통해 체크밸브(290)에 작용하게 된다.
동작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290)가 개방되면서 실린더챔버(600)의 내부에 저장된 약액은 제2분기관(220)을 통해 인출홀(140)로 배출되어 환자에게 투여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조절키(500)가 결합된 상태 사시도이며,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륨조절키(5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볼륨키(410)의 상부 둘레부에는 키홈(413)이 형성되며, 키홈(413)에 체결되어 높이조절홈(121)에 지지되는 지지턱(412)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볼륨조절키(500)가 더 구비된다.
볼륨조절키(500)는 수평지지부(510), 수평지지부(5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케이스(1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키홈(413)에 각각 삽입되는 회전지지돌기(520) 및 수평지지부(5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파지부(530)를 포함한다.
볼륨조절키(500)는 의료진에서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를 환자나 타인이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료사고를 막을 수 있다.
높이조절홈(121)은 동일한 수평위치에 120도 등간격으로 형성되므로, 세 곳을 동일한 힘과 압력으로 누르지 않으면 수평상태가 깨지면서 회전이 불가능해지므로 볼륨조절키(500)를 통해서만 볼루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볼루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파지부(530)를 잡고 볼륨조절키(500)에 형성된 회전지지돌기(520)를 키홈(413)에 삽입한 상태(도 22 참조)에서 수평지지부(510)를 하부로 가압한 상태에서(도 23 참조) 회전시켜 계단식 높이조절홈(121)에 결합되는 지지턱(412)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이때, 상부케이스(120)의 상부 둘레부에는 볼륨조절키(500)의 회전에 따라 조절된 볼루스의 양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수단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턱(412)에는 지지턱(412)이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중심에 상부로 만곡진 돌기(412-1)가 형성되며, 높이조절홈(121)에는 이에 대응되는 홈(121-1)이 형성되어 상호 간의 체결을 견고하게 함은 물론,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볼륨키(410)를 보다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볼륨조절키(500)를 통해 환자의 상태나 요구에 따라 추가적으로 투입되는 볼루스의 양을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인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에 적용되는 암수나사 결합구조는 의료계에서 사용되는 male/female luer lock fitting 결합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케이스
110 : 하부케이스 111 : 챔버삽입홈
111-1 : 절개부 112 : 지지단턱
120 : 상부케이스 121 : 높이조절홈
121-1 : 홈 130 : 인입홀
140 : 인출홀
200 : 약액이송관
210 : 제1분기관 211 : 제1-1유로
212 : 제1-2유로 220 : 제2분기관
221 : 제2-1유로 222 : 제2-2유로
230 : 제3분기관 231 : 제3-1유로
232 : 제3-2유로 233 : 제3-3유로
240 : 제1이송로 250 : 제2이송로
260 : 제3이송로
270 : 캐필러리 271 : 제1패킹
272 : 제2패킹 273 : 밀착지지관
273-1 : 제1-1단턱 273-2 : 제1-2단턱
274 : 밀착결합관 274-1 : 제2단턱
274-2 : 수나사부 275 : 밀착관
275-1 : 제3단턱 275-2 : 암나사부
280 : 체크밸브 281 : 유입관
281-1 : 유입홀 281-2 : 가압홀
281-3 : 배출방지돌기 282 : 배출관
282-1 : 배출홀 282-2 : 단턱부
282-3 : 절개홀 282-4 : 지지돌기
283 : 개폐부재 283-1 : 개폐판
283-2 : 가이드지지봉
300 : 스프링
400 : 볼륨제어수단
410 : 볼륨키 411 : 삽입홀
412 : 지지턱 412-1 : 돌기
413 : 키홈
420 : 스프링브라켓
500 : 볼륨조절키
510 : 수평지지부 520 : 회전지지돌기
530 : 파지부
600 : 실린더챔버
700 : 슈팅버튼
710 : 실린더패드
110 : 하부케이스 111 : 챔버삽입홈
111-1 : 절개부 112 : 지지단턱
120 : 상부케이스 121 : 높이조절홈
121-1 : 홈 130 : 인입홀
140 : 인출홀
200 : 약액이송관
210 : 제1분기관 211 : 제1-1유로
212 : 제1-2유로 220 : 제2분기관
221 : 제2-1유로 222 : 제2-2유로
230 : 제3분기관 231 : 제3-1유로
232 : 제3-2유로 233 : 제3-3유로
240 : 제1이송로 250 : 제2이송로
260 : 제3이송로
270 : 캐필러리 271 : 제1패킹
272 : 제2패킹 273 : 밀착지지관
273-1 : 제1-1단턱 273-2 : 제1-2단턱
274 : 밀착결합관 274-1 : 제2단턱
274-2 : 수나사부 275 : 밀착관
275-1 : 제3단턱 275-2 : 암나사부
280 : 체크밸브 281 : 유입관
281-1 : 유입홀 281-2 : 가압홀
281-3 : 배출방지돌기 282 : 배출관
282-1 : 배출홀 282-2 : 단턱부
282-3 : 절개홀 282-4 : 지지돌기
283 : 개폐부재 283-1 : 개폐판
283-2 : 가이드지지봉
300 : 스프링
400 : 볼륨제어수단
410 : 볼륨키 411 : 삽입홀
412 : 지지턱 412-1 : 돌기
413 : 키홈
420 : 스프링브라켓
500 : 볼륨조절키
510 : 수평지지부 520 : 회전지지돌기
530 : 파지부
600 : 실린더챔버
700 : 슈팅버튼
710 : 실린더패드
Claims (12)
- 하부케이스, 내측 둘레부 복수의 위치에 계단식으로 형성된 높이조절홈이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부케이스, 인입홀 및 인출홀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인입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연결되어 약액이 인입되며, 상기 인출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결되어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이송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방향으로 팽창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결합되어 최대높이로 상승되며, 상기 최대높이는 상기 높이조절홈에 의해 결정되는 볼륨제어수단;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약액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이송된 약액 중 일부가 유입되는 실린더챔버;
상기 실린더챔버의 내부를 따라 승강되는 실린더패드와 결합되어 승강되며, 최대 상승높이가 상기 볼륨제어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슈팅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볼륨제어수단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부에 상기 높이조절홈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의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볼륨키를 포함하며,
상기 볼륨키의 상부 둘레부에는 복수 개의 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키홈에 체결되어 상기 높이조절홈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턱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볼륨조절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챔버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된 약액은 상기 슈팅버튼을 동작시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실린더챔버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챔버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삽입홈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챔버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약액이송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이송관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약액이송관으로부터 일정 간격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지지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의 상부에는 지지턱의 돌출 길이방향으로 상부에 만곡지게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홈에는 이에 대응되어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제어수단은,
스프링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스프링브라켓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브라켓의 상부는 상기 지지턱의 하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버튼은 하부 외측 둘레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을 따라 승강되며, 상승시 상기 단턱이 상기 볼륨키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상승높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조절키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키홈에 각각 삽입되는 회전지지돌기;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3527A KR102001675B1 (ko) | 2017-09-25 | 2017-09-25 |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3527A KR102001675B1 (ko) | 2017-09-25 | 2017-09-25 |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3358A Division KR102001674B1 (ko) | 2019-04-12 | 2019-04-12 |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4923A KR20190034923A (ko) | 2019-04-03 |
KR102001675B1 true KR102001675B1 (ko) | 2019-07-18 |
Family
ID=6616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3527A KR102001675B1 (ko) | 2017-09-25 | 2017-09-25 |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167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86046A1 (ko) * | 2019-11-01 | 2021-05-06 | 김용현 | 약액 푸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9972B1 (ko) * | 2019-07-19 | 2021-06-01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계수기를 구비하는 자가약물주입 조절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47373A2 (en) * | 2006-10-19 | 2008-04-24 | Mfs Medical Flow Systems Ltd. | Device and method for patient activated bolus administration |
WO2012025814A2 (en) | 2010-08-26 | 2012-03-01 | B. Braun Melsungen Ag | Infusion contro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2556B1 (ko) | 2008-09-03 | 2013-09-30 |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 유로 조정방식의 약액 공급량 조절기 |
EP2383006B1 (en) * | 2010-04-27 | 2013-03-20 | Dentsply IH AB | Flow control device for medical liquid |
KR101513465B1 (ko) * | 2013-07-05 | 2015-04-21 | 주식회사 씨피엘 | 일회용 주사기의 안전 필터 |
KR101715900B1 (ko) | 2015-01-13 | 2017-03-13 |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 스마트 카트리지 및 스마트 pca 펌프 |
-
2017
- 2017-09-25 KR KR1020170123527A patent/KR1020016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47373A2 (en) * | 2006-10-19 | 2008-04-24 | Mfs Medical Flow Systems Ltd. | Device and method for patient activated bolus administration |
WO2012025814A2 (en) | 2010-08-26 | 2012-03-01 | B. Braun Melsungen Ag | Infusion control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86046A1 (ko) * | 2019-11-01 | 2021-05-06 | 김용현 | 약액 푸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4923A (ko) | 2019-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1674B1 (ko) |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
US7267669B2 (en) | Two site infusion apparatus | |
US7931643B2 (en) | Miniature pump for drug delivery | |
DK0526475T3 (da) | Programmerbar infusionspumpe | |
US5429485A (en) | Plural inlet pumping cassette with integral manifold | |
EP2392307B1 (en) | Drug solution dose controller | |
KR102001675B1 (ko) |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 |
CA2805738C (en) | Matrix infusion means | |
JP5468063B2 (ja) | 流体的に分離された送り出し装置を備えるポンプモジュール | |
EP3202441A1 (en) | Multi-type medicinal fluid flow rate control apparatus and medicinal fluid injector comprising same | |
US5224934A (en) | Patient controlled bolus dosage infuser | |
CN105517596B (zh) | 用于药物输注的调节器及包括该调节器的药物输注装置 | |
US8696627B2 (en) | Two way accumulator programmable valve pump | |
JP2009503417A (ja) | 特に機械的に作動せしめられる液体ポンプに使用するための流体用弁 | |
KR100961455B1 (ko) |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 |
WO2018054183A1 (en) | Split micro-valve | |
EP0968736A1 (en) | Medical Valve | |
WO2021105981A1 (en) | Fluid pump | |
DE102010029573A1 (de) | Mikropumpe | |
WO2017020773A1 (zh) | 药物注射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