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88B1 -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88B1
KR102001588B1 KR1020180070737A KR20180070737A KR102001588B1 KR 102001588 B1 KR102001588 B1 KR 102001588B1 KR 1020180070737 A KR1020180070737 A KR 1020180070737A KR 20180070737 A KR20180070737 A KR 20180070737A KR 102001588 B1 KR102001588 B1 KR 102001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unpowder
funnel
pipe memb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8007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42B33/02Filling cartridges, missiles, or fuzes; Inserting propellant or explosive charges
    • F42B33/0214Filling cartridges, missiles, or fuzes; Inserting propellant or explosive charges by casting
    • F42B33/0228Funnel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42B33/02Filling cartridges, missiles, or fuzes; Inserting propellant or explosive charges
    • F42B33/0207Processes for loading or filling propulsive or explosive charge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하부 측에 용융된 화약을 배출하는 화약 배출부가 위치되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외벽체 내에 형성된 스팀 유로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여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응고되어 부착된 잔여화약을 빠르고 안전하게 제거하여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스팀으로 응고된 잔여 화약을 다시 용융시켜 탄체 내로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잔여 화약을 재활용하는데 소요되는 과정을 단순화하고,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포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포탄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GUNPOWFER CHARGING DEVICE HAVING STEAM JACKET AND METHOD FOR REMOVING COAGULATION OF GUNPOWFER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잔류되는 화약을 용융시켜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화약의 충전 및 냉각 시스템은 화약을 용융 케틀(kettle)에서 용융시킨 후 탄체에 충전하여 냉각 설비에서 냉각 과정을 거치게 된다.
융융된 화약을 탄체 내로 주입하는데 깔때기 형상의 화약 충전용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화약 충전용 기구는 하부에 배출구가 위치되고, 배출구를 중심으로 상부 측으로 점차 폭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윗부분의 폭이 넓고, 아래부분의 폭이 좁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융된 화약을 탄체 내로 원활하게 주입하여 충전한다.
탄체 내에 용융된 화약을 충전한 후 화약 충전용 기구의 내부에는 잔여 화약이 응고되고 있다.
화약 충전용 기구는 내부에 응고된 잔여 화약을 제거한 후 재사용되고 있다.
즉, 화약용 충전 기구는 탄체 내에 용융된 화약을 충전한 후 다음 충전 작업을 하기 위해서 내부에 응고된 잔여 화약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화약용 충전 기구는 강한 물리적인 충격을 응고된 잔여화약에 가해 잔약을 부숴 약을 부수는 공정을 통해 내부의 응고된 잔여화약을 제거하고 있다.
이에 잔여화약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강한 물리적인 충격을 잔여화약에 가하면서 화약용 충전 기구가 파손되거나, 물리적인 충격을 가할 때 발생되는 스파크 등에 의해 화약이 폭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고,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면서 작업자에게 상해가 발생될 위험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에 잔여화약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강한 물리적인 충격을 잔여화약에 가하기 위한 작업자의 불편함이 있고, 잔여화약을 제거하는 공정이 오래 소요되어 포탄의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847718호 '화약의 충전 및 냉각 방법'(2018.04.04.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화약을 탄체에 충전하고 난 후 내부에 잔류되어 응고되는 잔여 화약을 다시 용융시켜 제거하는 스팀 자켓이 구비되어 스팀의 열로 잔여 화약을 편리하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는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하부 측에 용융된 화약을 배출하는 화약 배출부가 위치되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스팀이 통과할 수 있는 스팀 유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는 원통형의 상부 외벽체, 상기 상부 외벽체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콘 형상의 호퍼형 외벽체 및 상기 호퍼형 외벽체의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 외벽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화약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유로부는 상기 상부 외벽체 내에 위치되는 제1유로부, 상기 호퍼형 외벽체 내에 위치되며 제1유로부와 연결된 제2유로부 및 상기 화약 배출부 내에 위치되며 제2유로부와 연결된 제3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는 일측에 스팀 유로부 내로 스팀을 유입시키는 스팀 유입부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스팀 유로부를 통과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 배출부가 위치되며, 상기 스팀 유입부와 상기 스팀 배출부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는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 단부 측이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내부 유로가 상기 스팀 유로부에 연결되는 스팀 가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 가열관부는 양 단부 측이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내부 유로가 상기 스팀 유로부에 연결되는 제1스팀 관부재 및 상기 제1스팀 관부재와 교차되어 연결되고 양 단부 측이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내부 유로가 상기 스팀 유로부에 연결되는 제2스팀 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스팀 관부재와 상기 제2스팀 관부재는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부 중심에서 서로 수직 방향에서 교차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는 일측에 스팀 유로부 내로 스팀을 유입시키는 스팀 유입부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스팀 유로부를 통과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 배출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스팀 관부재는 일 단부 측이 스팀 유입부와 마주보고 위치되고, 타 단부 측이 스팀 배출부와 마주보고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 가열관부는 상기 제1스팀 관부재와 상기 제2스팀 관부재의 교차된 지점에서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화약 배출부 내로 위치되고 하단부 측이 막혀진 형태의 하부 스팀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 가열관부는 하부 스팀관부재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관개폐 밸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제1스팀 배출구가 위치되고, 상기 관개폐 밸브부는 제1스팀 배출구를 막을 수 있고 회전되어 제1스팀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는 복수의 제2스팀 배출구가 위치된 회전 밸브판부재 및 상기 회전 밸브판부재를 양방향 회전시키는 밸브 회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개폐 밸브부는 상기 회전 밸브판부재와 상기 밸브 회전기기를 승하강시키는 밸브 승하강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 가열관부는 복수의 스팀 통과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하부면과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밸브 승하강기기의 위치를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 가열관부는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화약 배출부 내의 막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잔여 화약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잔여 화약량 감지부는 상기 화약 배출부가 막혀지거나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만 개방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밸브 회전기기 또는 상기 밸브 승하강기기를 작동시켜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하부 측으로 스팀이 직접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은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하부 측에 용융된 화약을 배출하는 화약 배출부가 위치되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외벽체 내에 형성된 스팀 유로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여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응고되어 부착된 잔여화약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 자켓으로 응고된 잔여 화약을 다시 용융시켜 제거함으로써 잔여 화약을 빠르고 안전하게 제거하여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팀으로 응고된 잔여 화약을 다시 용융시켜 탄체 내로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잔여 화약을 재활용하는데 소요되는 과정을 단순화하고,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포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포탄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의 다른 실시예에서 관개폐 밸브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 3의 A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는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하부 측에 용융된 화약을 배출하는 화약 배출부(130)가 위치되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100)의 내부에는 스팀이 통과할 수 있는 스팀 유로부(200)가 위치된다.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스팀이 통과되는 스팀 유로부(200)가 위치되고, 스팀에 의해 가열되는 금속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는 일측에 스팀 유로부(200)와 연결되고 스팀 유로부(200) 내로 스팀을 유입시키는 스팀 유입부(300)가 위치되고, 타측에 스팀 유로부(200)를 통과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 배출부(400)가 위치된다.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는 원통형의 상부 외벽체(110), 상부 외벽체(110)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콘 형상의 호퍼형 외벽체(120), 호퍼형 외벽체(120)의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부 외벽체(1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화약 배출부(130)를 포함한다.
화약 배출부(130)는 상부 외벽체(1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탄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탄체 내부로 용융된 화약을 주입시키게 된다.
스팀 유입부(300)와 스팀 배출부(400)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상부 외벽체(110)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상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된다.
스팀 유로부(200)는 상부 외벽체(110) 내에 위치되는 제1유로부(210), 호퍼형 외벽체(120) 내에 위치되며 제1유로부(210)와 연결된 제2유로부(220), 화약 배출부(130) 내에 위치되며 제2유로부(220)와 연결된 제3유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부(210)는 상부 외벽체(110)의 내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외벽체(110)의 원주 방향에서 연통된 원통형상을 가져 상부 외벽체(110)의 내측면 둘레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스팀이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유로부(220)는 호퍼형 외벽체(120)의 내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호퍼형 외벽체(120)의 상부 외벽체(110)의 원주 방향에서 연통된 원통형상을 가져 호퍼형 외벽체(120)의 내측면 둘레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스팀이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3유로부(230)는 화약 배출부(130)의 내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외벽체(110)의 원주 방향에서 연통된 원통형상을 가져 상부 외벽체(110)의 내측면 둘레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스팀이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스팀 유입부(300)는 상부 외벽체(110)의 높이 방향에서 가운데에 상부 외벽체(110)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상에 위치되고, 스팀 배출부(400)는 스팀 유입부(300)와 마주보고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스팀 유입부(300)는 스팀 공급부(500)와 연결되어 스팀 공급부(50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스팀 유로부(200) 내로 유입시킨다.
스팀 공급부(500)는 물을 가열하여 발생되는 스팀을 스팀 유입부(300)로 공급하여 스팀 유로부(20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물을 저장하고, 물을 가열해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부, 스팀 발생부와 스팀 유입부(300)를 연결하는 스팀 공급관부, 스팀 공급관부에 장착되어 스팀 발생부에서 발생된 스팀을 스팀 유입부(300)로 공급하는 스팀공급용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 공급부(500)는 스팀을 발생시켜 스팀 유로부(200) 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를 내부에 위치된 스팀 유로부(200)를 통과하는 스팀으로 가열하여 응고된 잔여화약을 안전하게 다시 용융시킬 수 있다.
즉, 전열선 등으로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를 급격하게 가열하는 경우 응고된 화약의 폭발을 유발할 수 있어 잔여 화약을 다시 용융시키는 작업 시 위험성이 높고,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는 스팀으로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를 서서히 안정적으로 응고된 화약을 용융시킬 수 있는 적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응고된 잔여 화약을 폭발 위험성 없이 안전하게 용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 단부 측이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내부 유로가 스팀 유로부(200)에 연결되는 스팀 가열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 가열관부(600)는 양 단부 측이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내부 유로가 스팀 유로부(200)에 연결되는 제1스팀 관부재(610), 제1스팀 관부재(610)와 교차되어 연결되고 양 단부 측이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내부 유로가 스팀 유로부(200)에 연결되는 제2스팀 관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팀 관부재(610)와 제2스팀 관부재(620)는 서로 수직 방향에서 교차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1스팀 관부재(610)는 일 단부 측이 스팀 유입부(300)와 마주보고 위치되고, 타 단부 측이 스팀 배출부(400)와 마주보고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제1스팀 관부재(610)는 상부 외벽체(110)의 높이 방향에서 가운데에 상부 외벽체(110)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상에 위치되어 일단부 측이 일 단부 측이 스팀 유입부(300)와 마주보고 위치되고, 타 단부 측이 스팀 배출부(400)와 마주보고 위치되어 스팀 유입부(300)와 스팀 배출부(400)를 직선 상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위치된다.
또한, 제2스팀 관부재(620)는 제1스팀 관부재(610)의 중심에서 제1스팀 관부재(610)와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위치되어 상부 외벽체(110)의 높이 방향에서 가운데에 상부 외벽체(110)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상에 위치된다.
또한, 제1스팀 관부재(610)와 제2스팀 관부재(620)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부 중심을 지나는 십자 형태로 배치되어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되어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에서 내측면에 응고되어 부착된 잔여 화약에 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스팀 가열관부(600)는 제1스팀 관부재(610)와 제2스팀 관부재(620)의 교차된 지점에서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화약 배출부(130) 내로 위치되고 하단부 측이 막혀진 형태의 하부 스팀관부재(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스팀관부재(630)는 상단부가 제1스팀 관부재(610)와 제2스팀 관부재(620)의 교차된 지점에 연결되어 제1스팀 관부재(610)와 제2스팀 관부재(620)의 유로와 연통되게 위치된다.
하부 스팀관부재(630)는 화약 배출부(130)의 중심에 위치되어 화약 배출부(130)의 내측벽에 응고되어 위치된 잔여 화약의 외측면으로 열을 고르게 전달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를 형성하는 외벽체 즉, 상부 외벽체(110), 호퍼형 외벽체(120), 화약 배출부(130) 내부에 위치된 스팀 유로부(200)로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으로 스팀의 열을 응고된 잔여 화약 전달함과 동시에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 즉, 용융된 화약이 채워지는 용융 화약 공간 내에서 스팀 가열관부(600)로 스팀의 열을 응고된 화약으로 전달한다.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 즉, 용융된 화약이 채워지는 용융 화약 공간 내에서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응고된 잔여 화약은 내측면 측에서 스팀 유로부(200)를 통과하는 스팀에 의한 열, 외측면 측에서 스팀 가열관부(600)를 통과하는 스팀에 의한 열을 전달받게 된다.
즉,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응고된 잔여 화약은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각각 스팀에 의한 열을 전달받아 빠르고 안정적으로 용융되어 제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의 다른 실시예에서 관개폐 밸브부(640)의 작동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스팀 가열관부(600)는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관개폐 밸브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제1스팀 배출구(631)가 위치되고, 관개폐 밸브부(640)는 제1스팀 배출구(631)를 막을 수 있고 회전되어 제1스팀 배출구(631)와 연통될 수 있는 복수의 제2스팀 배출구(641a)가 위치된 회전 밸브판부재(641), 회전 밸브판부재(641)를 양방향 회전시키는 밸브 회전기기(64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회전기기(642)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여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어 회전 밸브판부재(641)를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밸브판부재(641)로 제1스팀 배출구(631)를 막거나 제1스팀배출구를 열리게 할 수 있다.
즉, 관개폐 밸브부(640)는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개방된 하부를 열어 하부 스팀관부재(630) 내의 스팀을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 측으로 배출시켜 화약 배출부(130)가 막힌 경우 또는 화약 배출부(130)의 중심부까지 응고된 잔여 화약이 위치되는 경우 화약 배출부(130)를 막고 있는 잔여 화약을 스팀으로 직접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관개폐 밸브부(640)는 회전 밸브판부재(641)와 밸브 회전기기(642)를 승하강시키는 밸브 승하강기기(6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승하강기기(643)는 유압실린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회전모터를 포함한 피니언 기어와 레크기어 구조 등 공지의 직선 왕복 이동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내부에는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면과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스팀 통과구멍(644a)이 구비되고 밸브 승하강기기(643)의 위치를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판부재(644)가 위치된다.
승하강 지지판부재(644)는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면과 이격되게 위치되어 스팀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스팀 통과구멍(644a)이 위치되고,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밸브 승하강기기(643)가 장착되어 밸브 승하강기기(643)의 위치를 지지한다.
밸브 승하강기기(643)는 승하강 지지판부재(644)에 장착되어 밸브 회전기기(642)와 회전 밸브판부재(641)를 함께 상, 하 이동시키게 된다.
밸브 승하강기기(643)는 회전 밸브판부재(641)를 승강시켜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면과 이격시키거나 회전 밸브판부재(641)를 하강시켜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관개폐 밸브부(640)는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화약 배출부(130) 내의 막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잔여 화약량 감지부(6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잔여 화약량 감지부(645)는 화약 배출부(130)가 막혀지거나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만 개방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밸브 회전기기(642) 또는 밸브 승하강기기(643)를 작동시켜 화약 배출부(130) 내에 위치되어 응고된 잔여화약을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 측으로 배출되는 스팀을 통해 직접 용융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잔여 화약량 감지부(645)는 이격되게 위치되어 레이저를 하향 조사하여 화약 배출부(130) 내의 응고된 잔여 화약량을 감지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카메라로 화약 배출부(130) 내를 촬영하여 화약 배출부(130) 내의 응고된 잔여 화약량을 촬영된 영상으로 확인하여 감지할 수 있을 수도 있고, 공지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도 4는 회전 밸브판부재(641)가 제1스팀 배출구(631)를 막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회전 밸브판부재(641)를 회전시켜 제1스팀 배출구(631)와 제2스팀 배출구(641a)를 일치되게 위치시켜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 측으로 스팀을 배출시킴으로써 화약 배출부(130)를 막고 있는 잔여 화약을 스팀으로 제거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밸브 승하강기기(643)가 밸브 회전기기(642)와 회전 밸브판부재(641)를 승강시켜 회전 밸브판부재(641)와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면과 이격시킨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면에는 제1스팀 배출구(631)가 위치되어 제1스팀 배출구(631)를 통해 용융된 화약이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면과 회전 밸브판부재(641)의 사이로 화약이 유입되어 응고됨으로써 회전 밸브판부재(641)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 밸브판부재(641)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 회전 밸브판부재(641)를 승강시켜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면과 이격시킨 상태에서 제1스팀 배출구(631)를 막고 있는 응고된 잔여 화약을 용융시켜 제거한다.
그리고, 회전 밸브판부재(641)를 하강시켜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면과 밀착한 후 회전 밸브판부재(641)를 회전시켜 제1스팀 배출구(631)와 제2스팀 배출구(641a)를 일치시킴으로써 하부 스팀관부재(630) 내의 스팀을 하부 스팀관부재(630)의 하부 측으로 배출시켜 화약 배출부(130)의 중심부까지 응고된 잔여 화약을 잔여 화약을 스팀으로 직접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은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하부 측에 용융된 화약을 배출하는 화약 배출부(130)가 위치되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외벽체 내에 형성된 스팀 유로부(200) 내로 스팀을 공급하여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응고되어 부착된 잔여화약을 제거한다.
그리고,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응고되어 부착된 잔여화약은 내측면 측에서 스팀 유로부(200)를 통과하는 스팀에 의한 열, 외측면 측에서 스팀 가열관부(600)를 통과하는 스팀에 의한 열을 전달받아 빠르고 안정적으로 용융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 자켓으로 응고된 잔여 화약을 다시 용융시켜 제거함으로써 잔여 화약을 빠르고 안전하게 제거하여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스팀으로 응고된 잔여 화약을 다시 용융시켜 탄체 내로 공급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잔여 화약을 재활용하는데 소요되는 과정을 단순화하고,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포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포탄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깔때기 본체부 110 : 상부 외벽체
120 : 호퍼형 외벽체 130 : 화약 배출부
200 : 스팀 유로부 210 : 제1유로부
220 : 제2유로부 230 : 제3유로부
300 : 스팀 유입부 400 : 스팀 배출부
500 : 스팀 공급부 600 : 스팀 가열관부
610 : 제1스팀 관부재 620 : 제2스팀 관부재
630 : 하부 스팀관부재 631 : 제1스팀 배출구
640 : 관개폐 밸브부 641 : 회전 밸브판부재
641a : 제2스팀 배출구 642 : 밸브 회전기기
643 : 밸브 승하강기기 644 : 승하강 지지판부재
644a : 스팀 통과구멍 645 : 잔여 화약량 감지부

Claims (15)

  1.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하부 측에 용융된 화약을 배출하는 화약 배출부가 위치되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스팀이 통과할 수 있는 스팀 유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는,
    원통형의 상부 외벽체;
    상기 상부 외벽체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콘 형상의 호퍼형 외벽체; 및
    상기 호퍼형 외벽체의 하부 측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 외벽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화약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유로부는 상기 상부 외벽체 내에 위치되는 제1유로부;
    상기 호퍼형 외벽체 내에 위치되며 제1유로부와 연결된 제2유로부; 및
    상기 화약 배출부 내에 위치되며 제2유로부와 연결된 제3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는 일측에 상기 스팀 유로부 내로 스팀을 유입시키는 스팀 유입부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스팀 유로부를 통과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 배출부가 위치되며,
    상기 스팀 유입부와 상기 스팀 배출부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고,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 단부 측이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내부 유로가 상기 스팀 유로부에 연결되는 스팀 가열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열관부는,
    양 단부 측이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내부 유로가 상기 스팀 유로부에 연결되는 제1스팀 관부재; 및
    상기 제1스팀 관부재와 교차되어 연결되고 양 단부 측이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내부 유로가 상기 스팀 유로부에 연결되는 제2스팀 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스팀 관부재와 상기 제2스팀 관부재는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부 중심에서 서로 수직 방향에서 교차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는 일측에 상기 스팀 유로부 내로 스팀을 유입시키는 스팀 유입부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스팀 유로부를 통과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 배출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스팀 관부재는 일 단부 측이 상기 스팀 유입부와 마주보고 위치되고, 타 단부 측이 상기 스팀 배출부와 마주보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열관부는 상기 제1스팀 관부재와 상기 제2스팀 관부재의 교차된 지점에서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화약 배출부 내로 위치되는 하부 스팀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열관부는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관개폐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제1스팀 배출구가 위치되고,
    상기 관개폐 밸브부는 상기 제1스팀 배출구를 막을 수 있고 회전되어 제1스팀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는 복수의 제2스팀 배출구가 위치된 회전 밸브판부재; 및
    상기 회전 밸브판부재를 양방향 회전시키는 밸브 회전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관개폐 밸브부는,
    상기 회전 밸브판부재와 상기 밸브 회전기기를 승하강시키는 밸브 승하강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열관부는,
    복수의 스팀 통과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하부면과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밸브 승하강기기의 위치를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팀 가열관부는,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화약 배출부 내의 막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잔여 화약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잔여 화약량 감지부는 상기 화약 배출부가 막혀지거나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만 개방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밸브 회전기기 또는 상기 밸브 승하강기기를 작동시켜 상기 하부 스팀관부재의 하부 측으로 스팀이 직접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15.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하부 측에 용융된 화약을 배출하는 화약 배출부가 위치되는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외벽체 내에 형성된 스팀 유로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여 화약 충진용 깔때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응고되어 부착된 잔여화약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
KR1020180070737A 2018-06-20 2018-06-20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 KR102001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37A KR102001588B1 (ko) 2018-06-20 2018-06-20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37A KR102001588B1 (ko) 2018-06-20 2018-06-20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588B1 true KR102001588B1 (ko) 2019-07-18

Family

ID=6746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37A KR102001588B1 (ko) 2018-06-20 2018-06-20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0805A (zh) * 2022-10-25 2023-01-31 湖北工业大学 一种熔铸炸药成型装置及制作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5197B2 (en) * 2001-06-25 2003-10-21 American Ordina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molten materials using phase-change material
KR20180007606A (ko) * 2016-07-13 2018-01-23 주식회사 한화 화약의 충전 및 냉각을 위한 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5197B2 (en) * 2001-06-25 2003-10-21 American Ordina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molten materials using phase-change material
KR20180007606A (ko) * 2016-07-13 2018-01-23 주식회사 한화 화약의 충전 및 냉각을 위한 장치와 그 방법
KR101847718B1 (ko) 2016-07-13 2018-04-10 주식회사 한화 화약의 충전 및 냉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0805A (zh) * 2022-10-25 2023-01-31 湖北工业大学 一种熔铸炸药成型装置及制作工艺
CN115650805B (zh) * 2022-10-25 2024-01-30 湖北工业大学 一种熔铸炸药成型装置及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75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high-temperature waste treatment
KR102001588B1 (ko) 스팀 자켓 구조를 가지는 화약 충전용 기구 및 화약용 충전용 기구의 잔여 화약 제거 방법
JP2019516580A (ja) 取り出しシステムを有するアディティブ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機械およびかかる機械を使用することによるアディティブ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方法
US4919191A (en) Molten-metal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which are bottom-loading, bottom-pouring and bottom-unloading
GB2043049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molten material
DE2451921B2 (de) Verfahren und integrierte Ofenanlage zum kontinuierlichen Erzeugen von einzelnen Gußstücken
DE102019127314A1 (de) Verfahren zur Kontaktierung der Batteriezellen eines Batteriemoduls und Batterielöschvorrichtung dafür
USRE29606E (en) Scrap reclamation
US62998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pping a furnace
EP3152335B1 (de) Station und verfahren zur überführung einer metallschmelze aus einem schmelzofen in einen transporttiegel sowie eine anordnung und ein system mit einer solchen station
CN112254526B (zh) 一种生产大结晶电熔镁砂的矿热炉设备
DE69729540T2 (de) Schmelzbehandlungsvorrichtung
US20200149817A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etal
EP2855713B1 (de) VERFAHREN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R ABSTICHÖFFNUNG EINES METALLURGISCHEN SCHMELZGEFÄßES UND METALLURGISCHES SCHMELZGEFÄß
US4875663A (en) Closure device with cleaning of a pouring hole
WO2015059531A1 (en) The pressure reactor for producing materials having directed porosity
EP3883893B1 (en) Batch inlet and cleaning device for glass melter
EP0931610B1 (de) Einrichtung zur Metallbeschickung waage-und senkrechter Kaltkammer-Druckgiessmaschinen und Verfahren
JP6659366B2 (ja) 金属溶解装置
US2379651A (en) Electric resistor furnace for the heating and melting of metals
US2164228A (en) Phosphoru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7511731A (ja) 高温度炉
CN208042794U (zh) 用于受控制地利用耐火的物料填充出料口的装置
KR101927770B1 (ko) 냉각 커버
SU1165067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электрошлаковой выплавки слит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