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21B1 - 배수 유도핀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유도핀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21B1
KR102001521B1 KR1020170146051A KR20170146051A KR102001521B1 KR 102001521 B1 KR102001521 B1 KR 102001521B1 KR 1020170146051 A KR1020170146051 A KR 1020170146051A KR 20170146051 A KR20170146051 A KR 20170146051A KR 102001521 B1 KR102001521 B1 KR 102001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body part
drain hole
pin
in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539A (ko
Inventor
조명환
유인호
류희룡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46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가 용이한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물 재배조(10)의 배수구(11)에 설치되는 배수 장치에 있어서, 배수구(11)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몸체부(100); 및 상기 몸체부(100) 에 결합되는 배수망(20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00)를 수직으로 관통시키는 배수 구멍(101); 및 상기 몸체부(100) 내에서 부유하는 배수 유도핀(14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식물재배조(10)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청소 겸용 배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 유도핀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Drainage apparatus including drainage induction pin}
본 발명은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배수구 또는 배수 장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배수 유도핀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 재배조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수 장치가 개시된다.
식물 재배조의 배수 장치는 식물 재배조의 배수구에 설치되어 식물 재배조의 배수를 돕는다.
배수망과 배수 파이프를 포함하는 배수 장치가 식물 재배조에 설치되고, 배수 장치의 상부로 흙이 쌓이면 배수 장치가 배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배수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될 때, 배수 장치의 상부 도는 측면으로 흙 또는 양액이 유입되어 배수 장치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했다.
예를 들면, 배수 장치의 배수관 내로 양액 또는 물이 흐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배수관 내의 공기층(cavity)에 의한 막힘 문제와, 흙을 통과한 물 또는 양액이 배수관을 통과함으로써 배수관 내측에 축적되는 물 때 또는 침전물(scale)로 인한 막힘 문제인 것이다(도 1 참조).
이러한 막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식물 재배조의 배수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했다. 배수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과도한 수분으로 인해 식물의 생장에 방해가 되며, 심하면 식물의 뿌리가 썩어 식물이 죽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식물 재배조에서 배수 장치를 분리하여 세척해야 하는데, 상부에 쌓여있는 흙 때문에 배수 장치를 분리하기도 어렵고, 배수 장치를 분리한다 하더라도 식물의 뿌리를 건드리게 되어 식물의 뿌리가 상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식물 재배조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의 배수구를 청소하기 위한 배수 장치 및 청소구는 다수 개시되어 있으나, 식물 재배조의 배수구에 적합한 배수 장치는 개시되어 있지 않고,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배수 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3-329453호는 곡관의 내면 청소구에 관한 것으로, 가요성 외관과 그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통된 동안색을 가지며, 상기 내색의 일단을 만곡시킴과 동시에, 타단에 핸들을 설치하고 그 핸들을 축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청소구의 선단을 원격적으로 곧게 하거나 굽히거나 할 수 있는 곡관의 내면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이 역시, 일반적인 배관의 청소구일 뿐 식물 재배조에 적합하게 발명된 배수 장치는 아니며, 배수 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순 없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18125호는 세면대 전용 배수관 머리카락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미리 배수관에 설치하여 일정기간 동안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중에 자연스럽게 머리카락이 걸려지도록 한 후 이를 제거할 수 있는 머리카락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이 역시, 일반적인 배관의 청소구일 뿐 식물 재배조에 적합하게 발명된 배수 장치는 아니기에 배수 장치를 제공할 수 없음은 물론, 배수 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순 없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3-32945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181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식물 재배조에 설치된 배수 장치의 막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즉, 배수 장치의 배수를 유도하고 배수 장치 내의 공기층(cavity)과 스케일(scale)을 해소시킬 수 있는 배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물 재배조(10)의 배수구(11)에 설치되는 배수 장치에 있어서, 배수구(11)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몸체부(100); 및 상기 몸체부(100) 에 결합되는 배수망(20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00)를 수직으로 관통시키는 배수 구멍(101); 및 상기 몸체부(100) 내에서 부유하는 배수 유도핀(14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식물재배조(10)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배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배수 유도핀(140)의 상부에 연결되는 뚜껑부(145)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145)에 의해 상기 배수 구멍(101)의 상부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 유도핀(140)이 부유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면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 유도핀(140)은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수위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 유도핀(140)의 비중은 물의 비중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부(145)는 상기 배수 구멍(101)보다 높이 부유하되 상기 배수망(2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 구멍(101)을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턱(11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망(200)은, 상기 배수망(200)을 커버하며 투수 가능한 거름망(2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물 재배조(10)의 바닥의 상부면과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면은 서로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 구멍(101)을 폐쇄하도록 상기 뚜껑부(145)의 면적이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지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유도핀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에 의해 배수 장치 내의 공기층(cavity)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장치의 배수 유도핀에 의해 배수 장치 내에서의 배수가 원활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장치에 의해 배수 장치를 분리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배수 장치 내의 스케일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장치에 의해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해져 식물의 생장을 도울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물 재배조 및 배수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와 식물 재배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사용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와 식물 재배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사용 예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 겸용 배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
도 2 내지 도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는 식물 재배조(10)의 배수구(11)에 설치되며, 몸체부(100), 배수망(200) 및 배수 유도핀(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는 배수구(11)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조(10)라면 제한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몸체부(10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배수구(11)에 설치된다.
몸체부(100)의 원통 지름은 배수구(11)의 지름과 같거나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수구(11)의 지름보다 몸체부(100)의 지름이 클 경우 설치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몸체부(100)는 식물 재배조(10)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위치한다.
또한, 몸체부(100)는 식물 재배조(1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식물 재배조(10)와 일체형인 몸체부(100)에 배수망(200) 및 배수 유도핀(140) 만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배수 구멍(101)은 몸체부(100)를 수직으로 관통시켜 형성되며, 식물 재배조(10) 내의 물 또는 양액을 배수시킨다.
걸림턱(110)은 몸체부(100)의 상부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걸림턱(110)에 의해 몸체부(100)가 식물재배조(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 때, 몸체부(100)의 상부면과 식물재배조(10)의 바닥면의 상부면은 결합되어 요철없이 서로 연속적인 상태이다.
배수 유도핀(140)은 몸체부(100)의 내측에서 몸체부(100) 내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몸체부(100) 내의 공기층(cavity)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 유도핀(140)은 몸체부(10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배수 구멍(101) 및 몸체부(100)의 내측에 낀 물 때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배수 장치가 설치된 식물 재배조(10)에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되면, 식물 재배조(10) 내의 물 또는 양액이 배수 장치를 통해 배수된다. 이때, 배수 유도핀(140)은 몸체부(100) 내의 물 또는 양액에 의해 부유되며 몸체부(100)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몸체부(100) 내의 물 또는 양액의 수위에 따라 배수 유도핀(140)은 상하이동하며 몸체부(100) 내측의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수되는 물 또는 양액에 의해 배수 유도핀(140)이 몸체부(100) 내에서 회전될 수 있는데, 언급한 배수 유도핀(140)의 동작에 의해 몸체부(100) 내벽의 스케일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배수망(200)은 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배수 시 토양의 유입을 막아주며, 상부에 씌워지는 거름망(210)을 포함한다.
거름망(210)은 배수망(200)을 커버하며 투수 가능하며, 흙은 통과되지 않는 크기의 메쉬망 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는 식물 재배조(10)의 배수구(11)에 설치되며, 몸체부(100), 배수망(200), 및 배수 유도핀(140)을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와 달리 몸체부(100)가 배수 유도핀(140)의 상부와 연결되는 뚜껑부(145)를 더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뚜껑부(145)는 배수 유도핀(140)과 서로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배수 유도핀(140)의 상부와 연결된다.
뚜껑부(145)는 배수 구멍(101)의 상부를 폐쇄시킨다. 이 때, 배수 유도핀(140)는 몸체부(1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수 유도핀(140)은 뚜껑부(145)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예에서는, 배수 유도핀(140)는 뚜껑부(145)의 가장자리 일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뚜껑부(145)는 몸체부(100)의 내측 지름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배수 구멍(101)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식물 재배조(10)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 미만일 경우 뚜껑부(145)가 배수 구멍(101)의 상부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도 8 참조).
식물 재배조(10)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뚜껑부(145)는 수면에 의해 부유되어 배수 구멍(101)의 상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 때, 뚜껑부(145)는 배수 구멍(101)의 상부에서 부유되되 배수망(200)의 내측에 위치하고, 배수 유도핀(140)은 몸체부(100)의 내측에 걸쳐 위치하게 된다(도 7 참조). 즉, 뚜껑부(145)가 배수된 물의 수위에 따라 배수 구멍(101)의 상부에서 부유됨으로써 배수 구멍(101)을 개방하거나, 부유되지 않음으로써 배수 구멍(101)의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도 8 내지 도 9 참조).
배수 유도핀(140)의 설명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배수 유도핀(140) 구성을 강조하여 설명한다. 배수 유도핀(140)은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장치에 추가로 포함되는 뚜껑부(145)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유도핀(140)은 몸체부(10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배수되는 물을 안내하고, 몸체부(100) 내측의 공기층을 해소시킨다.
즉, 배수 유도핀(140)의 길고 연장된 형상에 의해 몸체부(100) 내측에 형성될 수 있는 공기층(기포층)이 해소되는 것이다. 또한, 공기층의 해소를 돕기 위해 유도핀(140)의 말단에 쐐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쐐기부에 의해 공기층의 기포가 원활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부(145)와 연결된 배수 유도핀(140) 역시 배수 구멍(101)과 부유된 뚜껑부(145)의 사이를 통해 유입되는 물 또는 양액이 배수 유도핀(140)을 따라 회전하며 소용돌이 형상으로 배수되어 몸체부(100) 내측에 형성될 수 있는 스케일을 제거하거나 방지한다.
배수 유도핀(140)의 길이는 배수망(200)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한데, 배수망(200)의 길이보다 작을 경우 일정량 이상의 배수관(12) 또는 몸체부(100)의 높이 이상의 수위가 될 경우 배수 유도핀(140)이 배수관(12) 또는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수 유도핀(140)은 배수관(12) 또는 몸체부(100)의 내측 수위에 따라 부유해야한다. 따라서, 배수 유도핀(140)의 비중은 물의 비중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배수 유도핀(140)은 브러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세척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브러쉬를 포함할 경우, 브러쉬에 스케일이 생기기 쉬워 되려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 공기층
S: 스케일
10: 식물 재배조
11: 배수구
12: 배수관
100: 몸체부
101: 배수 구멍
110: 걸림턱
140: 유도핀
145: 뚜껑부
200: 배수망
210: 거름망

Claims (10)

  1. 식물 재배조(10)의 배수구(11)에 설치되는 배수 장치에 있어서,
    배수구(11)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몸체부(100); 및
    상기 몸체부(100) 에 결합되며 상기 식물 재배조(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배수망(20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00)를 수직으로 관통시키는 배수 구멍(101); 및
    상기 몸체부(100) 내에서 부유하는 배수 유도핀(14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식물재배조(10)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배수 유도핀(140)은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연장된 일부는 상기 식물 재배조(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식물 재배조(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망(200)과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 또는 양액이 상기 배수 유도핀(140)을 따라 소용돌이 형상으로 안내되어 배수되는,
    배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배수 유도핀(140)의 상부에 연결되는 뚜껑부(145)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145)에 의해 상기 배수 구멍(101)의 상부가 폐쇄되는,
    배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핀(140)이 부유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내면을 세척하는,
    배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핀(140)은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수위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배수 장치.
  5.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핀(140)의 비중은 물의 비중보다 작은,
    배수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45)는 상기 배수 구멍(101)보다 높이 부유하되 상기 배수망(2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 구멍(101)을 개방시키는,
    배수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턱(110)을 더 포함하는,
    배수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망(200)은,
    상기 배수망(200)을 커버하며 투수 가능한 거름망(210)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조(10)의 바닥의 상부면과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면은 서로 연속적인,
    배수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구멍(101)을 폐쇄하도록 상기 뚜껑부(145)의 면적이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지름보다 큰,
    배수 장치.
KR1020170146051A 2017-11-03 2017-11-03 배수 유도핀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KR10200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51A KR102001521B1 (ko) 2017-11-03 2017-11-03 배수 유도핀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51A KR102001521B1 (ko) 2017-11-03 2017-11-03 배수 유도핀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39A KR20190050539A (ko) 2019-05-13
KR102001521B1 true KR102001521B1 (ko) 2019-07-19

Family

ID=6658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051A KR102001521B1 (ko) 2017-11-03 2017-11-03 배수 유도핀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5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507Y1 (ko) * 2006-09-04 2006-12-05 이화성 작물의 공중재배용 포트
KR100713015B1 (ko) * 2006-03-29 2007-05-04 영봉 강 씽크대용 배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9453A (ja) 1992-05-28 1993-12-14 Isao Shirayanagi 曲管の内面掃除具
KR20170018125A (ko) 2015-08-05 2017-02-16 박용래 세면대 전용 배수관 머리카락 제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015B1 (ko) * 2006-03-29 2007-05-04 영봉 강 씽크대용 배수장치
KR200432507Y1 (ko) * 2006-09-04 2006-12-05 이화성 작물의 공중재배용 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39A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1893C (en) Hair straining device
KR102001521B1 (ko) 배수 유도핀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1945509B1 (ko)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980813B1 (ko) 청소가 용이한 배수 장치
KR200460004Y1 (ko) 이물질 여과기능을 가진 세면대용 배수밸브
JP6488456B2 (ja) 管トラップ及び管トラップの製造方法
KR101496285B1 (ko) 배수구의 마개 장치
JP2009030330A (ja) 排水構造
KR200235663Y1 (ko) 어류 양식 수조의 급배수 장치
KR20110003946U (ko) 배수구 청소도구
JP7028425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JP3429556B2 (ja) 鉢物底面灌水槽
US1757977A (en) Strainer
KR20130128740A (ko) 오버플로우 섬프 어항
TWI603669B (zh) 水耕栽培裝置及水耕栽培方法
KR102668213B1 (ko) 물마개 겸용 배수구 거름망
EP3064668A1 (en) System for regulating the flow of water
CN208370694U (zh) 一种悬浮式面水排放装置
KR200435801Y1 (ko) 배수트랩
KR100404687B1 (ko) 어류 양식 수조의 급배수 장치
JP2007085102A (ja) 排水栓用ヘヤーキャッチャー
KR200451989Y1 (ko) 물갈이가 쉬운 어항
JP2023048818A (ja) 洗面化粧台用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洗面化粧台
JP3884035B2 (ja) 水栽培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