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469B1 -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 - Google Patents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469B1
KR102001469B1 KR1020170154817A KR20170154817A KR102001469B1 KR 102001469 B1 KR102001469 B1 KR 102001469B1 KR 1020170154817 A KR1020170154817 A KR 1020170154817A KR 20170154817 A KR20170154817 A KR 20170154817A KR 102001469 B1 KR102001469 B1 KR 10200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pressing
protruding teeth
belt
br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638A (ko
Inventor
장영진
김명희
Original Assignee
(주)덴탈하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탈하이브 filed Critical (주)덴탈하이브
Priority to KR102017015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상악치아군 또는 하악치아군에 위치하는 돌출니를 뿌리 방향으로 가압하여 교정할 수 있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을 제시하며, 교정대상 돌출니가 포함된 상악치아군 또는 하악치아군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해당 치아군을 감싸는 교정기 본체; 상기 교정기 본체 중 상기 돌출니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돌출니의 뿌리 반대방향 단부를 상기 교정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 및 상기 교정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니를 뿌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ORTHODONTICS APPARATUS AND ORTHODONTICS METHOD}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치아군 또는 하악치아군에 위치하는 돌출니를 뿌리 방향으로 가압하여 교정할 수 있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균일한 치열, 부정교합 및 안면돌출은 치아나 턱뼈의 발육이상, 치아에 영향을 미치는 나쁜 습관 또는 유전 등으로 인해 치아 및 구강악 안면부위가 제자리에서 바르게 자라지 못하여 발생된다. 치열 및 구강의 구조는 사람의 인상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음식물의 분쇄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치아 교정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치아 교정은 금속 브라켓으로 된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금속 치아 교정과 치아 안쪽에 교정 장치를 적용하는 설측 교정과 투명한 소재의 투명 교정기를 치아에 장착하여 교정하는 투명 교정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교정 방식은 투명한 소재의 투명 교정기를 마우스 패드와 같이 치아에 덮어 쒸우는 방식이므로 교정기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착탈이 가능하여 착용성이 뛰어난 효과로 인해 다른 교정 방식에 비해 크게 각광 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교정기를 이용한 투명 교정 방식은 교정이 필요한 치아의 이동 거리와 방향을 고려하여 다수 개의 단계로 투명 교정기를 제조하여 착용하는 방식으로, 각 단계별 착용기간 동안 투명 교정기를 착용하게 되면, 투명 교정기의 형상으로 치아가 이동하게 되어 최종 단계의 투명 교정기까지 착용할 경우 최종적으로 치아 교정이 완료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치아 배열이 불규칙하거나, 특정 치아가 심하게 돌출된 경우와 같이 투명 교정기의 교정력만으로 교정이 쉽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교정 방식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투명 교정기의 치아 이동거리의 제한에 의해 교정기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투명교정장치는 앞서 설명한 금속 브래킷에 의한 고정식 교정장치에 비해 전술한 바와 같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아의 이동시 장치가 잘 맞지 않으면 장치의 안착이 잘 되지 않아서 바람직한 치아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치아군에 포함된 돌출니를 뿌리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별도의 부재로 해당 치아에 교정력을 제공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3890호에 개시된 투명 교정기를 살펴보면 투명 교정기에 추가적인 교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버튼을 설치하고, 버튼을 탄성벨트로 견인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탄성벨트가 투명 교정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교정력을 제공함에 따라 교정효과가 크지 않고, 탄성벨트가 치아의 전면 측에만 설치되어 있어서 치아가 뿌리 방향으로 가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치아군에 포함된 돌출니를 교정하기 위하여 돌출니를 교정기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직접적으로 뿌리방향으로 가압하여 교정할 수 있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탄성력을 갖는 가압벨트를 통해 돌출니를 가압하면서 가압벨트의 양단부를 돌출니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고정함으로써 돌출니를 정확하게 뿌리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가압벨트의 길이를 용이하게 축소시킴으로써 교정단계에 따라 가압벨트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가압벨트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정대상 돌출니가 포함된 상악치아군 또는 하악치아군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해당 치아군을 감싸는 교정기 본체; 상기 교정기 본체 중 상기 돌출니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돌출니의 뿌리 반대방향 단부를 상기 교정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 및 상기 교정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니를 뿌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돌출니의 교정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교정대상 돌출니가 포함된 상악치아군 또는 하악치아군에 대응하는 형태로 교정기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교정기 본체 중 상기 돌출니에 대응하는 부분의 뿌리 반대방향 단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상기 교정기 본체의 전, 후면에 각각 걸림버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교정기 본체를 교정대상자의 치아군에 덮어 씌우면서 상기 돌출니를 상기 절개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가압벨트를 상기 돌출니에 걸쳐진 상태에서 가압벨트의 양단부를 상기 걸림버튼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절개부를 통해 교정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돌출니가 가압부를 구성하는 가압벨트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므로 교정효과가 향상되고 교정기간이 단축될 수 있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압벨트의 양단부가 돌출니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걸림버튼에 고정되어 돌출니에 걸쳐지므로 돌출니를 정확하게 뿌리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텐셔너를 구성하는 텐션조절돌기가 걸림버튼에 구비됨에 따라 가압벨트의 길이가 용이하게 축소되므로, 교정단계에 따라 가압벨트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압벨트가 교정기 본체에 형성된 유동방지턱에 수용되므로 가압벨트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가 시술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가 시술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걸림버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니의 교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악치아군”은 교정대상자의 위턱에 위치하는 치아들을 의미하며, “하악치아군”은 교정대상자의 아래턱에 위치하는 치아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돌출니'는 주변의 치아보다 뿌리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치아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ㅇ르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니 교정용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가 시술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가 시술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는 상악치아군 또는 하악치아군에 위치하는 돌출니를 뿌리 방향으로 가압하여 교정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기 본체(100), 절개부(200) 및 가압부(300)를 주요구성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교정기 본체(100)는 교정하고자 하는 하악치아군 또는 상악치아군을 감싸서 현재 치아 상태에 따라 최종적으로 교정된 치아로 배열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교정이 필요한 치아를 확장, 회전, 복귀 압하, 정출 등 여러 가지 양상의 이동을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교정틀이다.
교정기 본체(100)는 통상의 마우스피스 형태로 형성되면서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치아색상의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교정이 필요한 치아의 최대 이동량을 고려하여 다 단계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교정기 본체(100)는 치아군의 인상을 채득하고, 채득된 인상에 석고를 부어 치아 모델을 형성한 후 치아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치아군의 인상 또는 구강 내부를 직접 3D 스캔하여 3D 치아 모델을 형성한 후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교정기 본체(100)는 재질의 두께에 따라 교정력 즉 치아이동 능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예컨대 두께가 얇아질수록 부드러워서 탄성력은 강하지만 교정력이 약하고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탄성력은 저하되고 교정력이 강해질 수 있다. 따라서 교정기 본체(100)는 교정 초기에는 플라스틱 재질이 얇은 두께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교정이 진행됨에 따라 탄성력은 저하되지만 교정력이 강해질 수 있도록 점점 플라스틱 재질의 두께가 두껍게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00)는 교정 대상의 치아 중 뿌리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니(1)의 교정을 위하여 돌출니(1)를 교정기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절개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니(1)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 형성됨으로써 돌출니(1)의 단부 즉, 뿌리 반대방향의 단부를 교정기 본체(100)이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니(1)를 전체적으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부(300)는 절개부(200)로 노출된 돌출니(1)를 직접적으로 뿌리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돌출니(1)를 압하시켜 교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가압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버튼(310) 및 가압벨트(320)를 주요 구성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버튼(310)은 후술되는 가압벨트(320)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걸림버튼(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니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쌍을 이루면서 절개부(200)가 형성된 교정기 본체(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이 돌출니(1)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가압벨트(320)의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버튼(310)은 교정기 본체(100)와는 별도로 제작되면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교정기 본체(100)에 접착 또는 융착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걸림버튼(310)은 교정기 본체(100)의 제작 과정에서 해당부분을 외력이나 열로 변형시킴으로써 교정기 본체(100)와 동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걸림버튼(310)은 교정기 본체(100)가 가열된 상태에서 해당부분이 가압공구에 의해 가압되면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버튼(310)은 도 3에 발췌되어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본체(311) 및 플랜지(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버튼본체(311)는 가압벨트(320)가 끼워져 걸리는 부분으로써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가압벨트(320)가 걸릴 수 있으며, 다각형의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플랜지(312)는 가압벨트(320)가 버튼본체(3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본체(311)보다 큰 지름을 가지면서 버튼본체(311)의 단부 즉, 버튼본체(311)의 양단부 중 교정기 본체(100)의 반대 방향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랜지(312)는 버튼본체(311)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압벨트(320)가 버튼본체(3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도 4는 걸림버튼(3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가압부(3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랜지(312)는 버튼본체(311)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면서 외곽 둘레의 일부분에 걸림턱(312a)이 버튼본체(3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턱(312a)은 플랜지(312)의 외곽 둘레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가압벨트(320)가 버튼본체(311)의 외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가압벨트(320)는 버튼본체(311)에 걸린 상태에서 플랜지(312)에 의해 버튼본체(311)의 길이방향 이동이 방지되고, 걸림턱(312a)에 의해 버튼본체(311)의 폭 방향 이동이 방지되어 버튼본체(311)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압벨트(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200)로 노출된 돌출니(1)를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뿌리방향으로 압하시켜 교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가압벨트(3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부가 전술한 걸림버튼(310)에 고정된 상태로 돌출니(1)에 걸쳐짐으로써 탄성력을 통해 돌출니(1)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벨트(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고리로 형성되어 돌출니(1)에 걸쳐진 상태에서 양단부가 걸림버튼(310)에 각각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벨트(320)는 두 개의 라인을 통해 돌출니(1)를 뿌리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압벨트(320)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면서 양단부가 걸림버튼(310)에 각각 묶여서 고정될 수도 있으며,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가압벨트(320)는 교정기간이 경과할수록 돌출니(1)가 뿌리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력이 약화되므로 가압력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가압부(300)는 가압벨트(320)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셔너(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셔너(330)는 가압벨트(320)의 길이를 가변시켜서 가압벨트(320)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텐셔너(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버튼(31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텐션조절돌기(3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조절돌기(331)는 가압벨트(320)가 걸리는 버튼본체(311)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가 돌출형성되어 가압벨트(320)가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되어 가압벨트(32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가압벨트(320)는 버튼본체(311)에 걸린 상태에서 일부분이 텐션조절돌기(331)에 감김으로써 길이가 단축될 수 있으며, 길이가 단축될 경우에는 가압력이 강해질 수 있다.
여기서, 텐션조절돌기(331)는 단부에 텐션조절돌기(311)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판형의 돌기플랜지(332)가 형성되어 가압벨트(3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가압벨트(320)는 수평방향 즉, 돌출니(1)의 횡방향으로 유동할 경우에는 돌출니(1)에서 분리될 우려가 있으므로 횡방향의 유동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가압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방지턱(3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방지턱(340)은 가압버튼(310)과 나란한 상태를 이루면서 절개부(200)가 형성된 교정기 본체(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가압벨트(320)에 대응하는 폭의 단턱으로 형성되어 가압벨트(320)를 수용한다.
즉, 가압벨트(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라인으로 구성될 경우, 두 개의 라인이 유동방지턱(340)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횡방향(수평방향)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교정기 본체를 이용한 돌출니의 교정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돌출니(1)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정대상 돌출니(1)가 포함된 상악치아군이나 하악치아군에 대응하는 형태로 교정기 본체(100)를 제작한다(S100).
이때에는, 치아군의 인상을 채득하고, 채득된 인상에 석고를 부어 치아 모델을 형성한 후 치아 모델을 기반으로 교정기 본체(100)를 제작하거나, 치아군의 인상 또는 구강 내부를 직접 3D 스캔하여 3D 치아 모델을 형성한 후 교정기 본체(100)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작된 교정기 본체(100)의 돌출니(1)에 대응하는 부분에 뿌리 반대방향의 단부를 절개하여 절개부(200)를 형성한다(S200).
또한, 절개부(200)가 형성된 교정기 본체(100)의 전면 및 후면에는 걸림버튼(310)을 형성한다(S300).
이때에는, 교정기 본체(100)와 별도 구성되는 걸림버튼(310)을 교정기 본체(100)에 접착이나 융착을 통해 고정하거나, 교정기 본체(100)를 가열한 상태에서 걸림버튼(3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공구로 가압하여 걸림버튼(310)을 돌출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버튼(31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조절돌기(331)를 형성한다(S400).
이때, 걸림버튼(310)과 나란한 방향의 교정기 본체(100) 전, 후면에는 가압벨트(320)를 수용하기 위한 유동방지턱(3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교정기 본체(100)를 교정대상자의 치아군에 덮어 씌우면서 돌출니(1)를 절개부(200)로 노출시킨다(S500).
그리고, 가압벨트(320)의 양단부를 걸림버튼(310)에 고정하면서 가압벨트(320)의 중앙부분을 돌출니(1)에 걸쳐서 고정한다(S600).
한편, 교정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압벨트(320)의 가압력을 조절할 경우에는 가압벨트(320)의 일부분을 텐션조절돌기(331)에 감아서 가압벨트(320)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가압벨트(320)의 가압력을 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니 교정정치 및 교정방법에 의하면, 절개부(200)를 통해 교정기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 돌출니(1)가 가압부(300)를 구성하는 가압벨트(320)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므로 교정효과가 향상되고 교정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교정기간의 경과시에는 가압벨트(32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교정기 본체
200 : 절개부
300 : 가압부
310 : 걸림버튼
311 : 버튼본체
312 : 플랜지
312a : 걸림턱
320 : 가압벨트
330 : 텐셔너
331 : 텐션조절돌기
332 : 돌기 플랜지
340 : 유동방지턱
1 : 돌출니

Claims (8)

  1. 교정대상 돌출니가 포함된 상악치아군 또는 하악치아군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해당 치아군을 감싸는 교정기 본체;
    상기 교정기 본체 중 상기 돌출니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돌출니의 뿌리 반대방향 단부를 상기 교정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 및
    상기 교정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니를 뿌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상기 교정기 본체의 전,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돌출니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돌출니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제각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걸림버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니에 걸쳐진 상태로 양단부가 각각 상기 걸림버튼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통해 상기 돌출니를 뿌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벨트; 및
    상기 걸림버튼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벨트의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가압벨트에 의한 가압력을 조절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2. 교정대상 돌출니가 포함된 상악치아군 또는 하악치아군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해당 치아군을 감싸는 교정기 본체;
    상기 교정기 본체 중 상기 돌출니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돌출니의 뿌리 반대방향 단부를 상기 교정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 및
    상기 교정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니를 뿌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상기 교정기 본체의 전,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돌출니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돌출니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제각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걸림버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니에 걸쳐진 상태로 양단부가 각각 상기 걸림버튼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통해 상기 돌출니를 뿌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벨트; 및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상기 교정기 본체의 전,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압벨트와 대면하고, 상기 가압벨트에 대응하는 폭의 단턱을 이루면서 상기 가압벨트를 수용하여 상기 가압벨트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을 포함하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버튼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상기 가압벨트가 끼워져 걸리는 버튼본체; 및
    상기 버튼본체보다 큰 지름을 가지면서 상기 버튼본체의 앙단부 중 상기 교정기 본체 반대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걸림버튼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벨트의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가압벨트에 의한 가압력을 조절하는 텐셔너를 더 포함하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는,
    상기 가압벨트가 걸린 상기 걸림버튼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압벨트가 감기면서 상기 가압벨트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텐션조절돌기를 포함하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상기 교정기 본체의 전,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압벨트와 대면하고, 상기 가압벨트에 대응하는 폭의 단턱을 이루면서 상기 가압벨트를 수용하여 상기 가압벨트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70154817A 2017-11-20 2017-11-20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 KR10200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17A KR102001469B1 (ko) 2017-11-20 2017-11-20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17A KR102001469B1 (ko) 2017-11-20 2017-11-20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38A KR20190057638A (ko) 2019-05-29
KR102001469B1 true KR102001469B1 (ko) 2019-10-01

Family

ID=6667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817A KR102001469B1 (ko) 2017-11-20 2017-11-20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5853A1 (de) * 2020-03-04 2020-05-14 Michael Konik Zahnschiene, Aligner-Set mit einer solchen Zahnschien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2491049B1 (ko) * 2022-03-22 2023-01-19 문상진 소아용 치열 유지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689A (ja) 2005-04-01 2006-10-19 Katsunari Nishihara 歯列矯正具
KR101547112B1 (ko) * 2014-12-05 2015-08-25 이진균 투명 교정기 데이터 생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1640B2 (ja) * 1996-08-08 2005-05-25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歯列矯正用支持体
KR100334260B1 (ko) * 1999-10-19 2002-04-25 전윤식 돌출치아의 교정장치
TWI544907B (zh) * 2013-06-13 2016-08-11 曾振文 牙齒矯正系統的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689A (ja) 2005-04-01 2006-10-19 Katsunari Nishihara 歯列矯正具
KR101547112B1 (ko) * 2014-12-05 2015-08-25 이진균 투명 교정기 데이터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38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4427B1 (ja) 歯科矯正治療用アライナー
KR101638329B1 (ko) 가철식 곡선 이동형 치열교정기구
JP5314809B1 (ja) ラバーダムクランプ
JP2009000412A (ja) 歯列矯正具
JP2021527491A (ja) 患者の歯の歯科矯正治療のための歯科矯正システム、患者の歯の歯科矯正治療のための装置を配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かかる歯科矯正システムの装置の使用
KR102001469B1 (ko) 돌출니 교정용 교정장치 및 돌출니의 교정방법
KR101703708B1 (ko) 치아 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방법
KR102060882B1 (ko) 투명 교정장치
KR102104786B1 (ko)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KR101509655B1 (ko) 치아 교정기
KR20130125132A (ko) 치아 교정기
KR101158725B1 (ko) 설측 견인용 치열교정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053983B1 (ko) 치아교정용 악궁 확장장치 및 교정방법
JP6684363B2 (ja) 歯列矯正具
KR101804991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한 몰드형 지그 제작 방법 및 그 몰드형 지그
KR20060099554A (ko) 치아교정구와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방법
KR101657608B1 (ko) 유아용 두상 교정모
JP6945108B2 (ja) 歯列矯正装置
KR101741025B1 (ko) 치아 교정 장치
KR101641497B1 (ko) 치열 교정용 튜브의 부착을 위한 몰드형 지그 제작 방법
US3763564A (en) Anterior vestibular film for dental use
KR101216388B1 (ko) 매몰귀 교정구
WO2021251421A1 (ja) マウスピース型可撤式矯正装置
KR101655307B1 (ko) 하악 돌출형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상악 교합 장치
US20200107907A1 (en) Orthodontic br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