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434B1 - System of remote monitoring of escalator - Google Patents

System of remote monitoring of esca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434B1
KR102001434B1 KR1020190019226A KR20190019226A KR102001434B1 KR 102001434 B1 KR102001434 B1 KR 102001434B1 KR 1020190019226 A KR1020190019226 A KR 1020190019226A KR 20190019226 A KR20190019226 A KR 20190019226A KR 102001434 B1 KR102001434 B1 KR 102001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load
dimensional code
area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이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일 filed Critical 이상일
Priority to KR102019001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3206
    • H04N5/2329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technology for accurately identifying whether or not an accident occurs in an existing escalator while remotely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escalator through a relatively very simple repair on an existing escalator. To this end, a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n esca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sensor unit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 step side of sides of a skirt guard of an escalator and including a two-dimensional code sensor reading two-dimensional code information provided on a side of a reference step, which is at least one step among steps where a user of the escalator is located to det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tep passing therethrough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and a load sensor installed in a place where each step is joined to a step chain to detect th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step; a camera unit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of an area where the escalator operates while controlling a photographing area and zooming in or out; a first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a region of interest that requires monitoring among operating regions of the escalator according to a permanent load measured for each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tep, and an instantaneous load on each step; and a second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n accident area and a maintenance-required area based on image capturing data of the camera unit for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permanent load measured for each step.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OF REMOTE MONITORING OF ESCALAT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이용 시설 등에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의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에 대해서 하중센서 및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대한 식별장치를 통해, 에스컬레이터의 유지 보수 및 사고 발생 감지 시 구체적인 유지 보수 및 사고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해당 지점에 대한 추가적인 영상 등을 구체적으로 확보하여 유지 보수 및 사고 대응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remotely monitoring the state of an escalator installed in a multipurpose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scalator which is operated by a load sensor and an identification device for a step of the escal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accurately grasping specific maintenance and accident points at the time of detection, and securing additional images and the like for the corresponding points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maintenance and accident response.

대형 건물 및 쇼핑몰 등 다중이용 시설에는 층간 이동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등 층간 이동 시설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 중 엘리베이터는, 박스형의 바디 및 바디의 상하 운동 제어라는 비교적 단순한 구동 방식 및 제어의 간편성 때문에,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최근 빠르게 원격 상태 점검 및 유지 보수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In multi-use facilities such as large-sized buildings and shopping malls, inter-floor moving facilities such as elevators and escalators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for interlayer movement. Of these elevators, remote monitoring is possible because of the relatively simple driv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body and body of the box and the simplicity of the control, so that the remote state inspection and maintenance technology is rapidly applied recently.

한편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구동모터, 감속기, 사용자가 발을 디디는 다수개의 스텝(Step), 스텝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텝 체인을 포함하고, 해당 구성들의 동작을 제한 및 가이드하는 기구, 각종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는 해당 구성들이 각자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엘리베이터와 다르게 스텝이 경사 및 평형 이동되는 특징, 엘리베이터와 같은 사용자의 이동이 제한되는 박스형의 구조가 없이 오픈되어 있고 사용자가 스텝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특징 및 구동부의 특성 때문에 외부에서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scalator, a driving motor, a speed reducer, a plurality of steps for the user to step foot, a step chain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tep, a mechanism for restricting and guiding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And the like. The escal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pective components ar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features of which the step is inclined and balanced unlike the elevator, the features which are opened without the box-like structur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user such as the elevator is restric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monitor the operation state from the outsid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part.

이에 따라서 기존에는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정기 점검 및 사고 발생 시의 사후 대응 등을 통해 관리자가 직접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을 중단하고 각 구성의 이상 유무를 점거하고 있으나, 이 경우 사용자들의 안전성이 담보되지 못하고, 에스컬레이터 상태 점검의 시간 및 인력 제한의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in the past, the administrator has stopped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directly by regular inspection of the escalator and the post-event respons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However, in this case, the safety of the user is not ensured and the escalator status There was a problem of time and manpower limitation of inspection.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로, 에스컬레이터 역시 자동 구동되는 특성 상, 안전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해당 설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서 원격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As with elevators, escalators are also automatically driven, so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monitor the facility for safety, and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remotely monitor the status of escalators.

기존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622825호가 게시되어 있다. 해당 기술에서는 계단에 승객 탑승 시 계단의 상면에 위치한 무게감지 센서가 승객을 감지하고, 하중의 정도에 따라서 이상 운전 유무를 판별하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22825 is published as an existing technology. In this technology, a weight detection sensor located on the top of a staircase when the passenger is seated on the stairs detects a passenger, and a techniqu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bnormal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is po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load.

그러나, 해당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상면의 요철 구조 및 스텝이 외부에 노출 및 외부에서 구성 내부로 진입하는 렌딩 플레이트와의 요철 맞물림 구조에 의해서, 기존의 스텝의 상면에 무게감지 센서를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텝 자체를 무게감지 센서가 부착된 스텝으로 교체해야 하고, 스텝의 식별 번호 역시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구조 자체를 변경하거나 스텝을 완전히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apply the technique, a concave-convex engagement structure of the concave-convex struc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scalator step and the renting plate in which the step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structure from the outside, Since it is impossible to attach the step itself,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step itself with the step with the weight sensor,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tep accurat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escalator or completely replace the step .

즉, 상기의 선행 기술 적용을 위해서는 에스컬레이터의 교체 작업이 필수로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 에스컬레이터의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이에 따른 기술 적용 시의 비용 상승 및 구현의 어려움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That is, in order to apply the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escalator in advance. Therefor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remotely monitor the status of the escalator. Accordingly, .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에스컬레이터에 비교적 매우 간단한 보수 시공을 통해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동시에, 에스컬레이터에서의 사고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remotely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n escalator through a relatively simple maintenance work on an existing escalator and accurately grasping whether or no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escalator.

또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작동 상 이상 발생 또는 사고 발생 시 해당 이벤트 발생 위치를 비교적 매우 높은 정확도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grasping the event occurrence position at a relatively high accuracy when an error occurs in an operation of an escalator or an accident occurs.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운용 감지 시 해당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에 정확하고 구체적인 영상 자료 등을 이벤트 파악을 위한 추가적인 자료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원격 모니터링 시의 이상 운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echnology that can provide accurate and specific image data in the area where the event occurs when the abnormal operation is sensed, as additional data for event recognition, so that it can efficiently cope with abnormal operation during remote monitoring of the escalator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the technology to make it possible.

상기 각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 가드의 측면 중 스텝 측면과 인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자가 위치되는 스텝 중 적어도 하나의 스텝인 기준 스텝 측면에 설치된 2차원 코드 정보를 독출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통과하는 스텝의 식별 정보를 감지하는 2차원 코드 센서와, 각 스텝이 스텝 체인에 결착되는 곳에 설치되어 스텝에 가해지는 하중을 센싱하는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촬영 영역 및 줌 인/아웃이 제어되어, 에스컬레이터가 동작하는 영역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센서부의 동작에 따라서, 각 스텝마다 측정되는 영구 하중, 각 스텝의 식별 정보 및 각 스텝의 순간 하중에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동작 영역 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관심 영역을 판별하는 제1 판단부; 및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 촬영 데이터 및 각 스텝마다 측정되는 영구 하중을 기준으로 사고 영역 및 유지 보수 필요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는 제2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Dimensional code information provided on a side of a reference step, which is at least one step among steps where a user of the escalator is located, is provided in at least one position adjacent to the step side of the side face of the skirt guard of the escalator A sensor unit including a two-dimensional code sensor for sen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tep that passes through an escalator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the escalator, and a load sensor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each step is stuck to the step chain and sensing a load applied to the step; A camera section for photographing the area around the escalator in which the photographing area and zoom in / out are controlled; A first judging unit for judging, based on the permanent load measured for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step, and the instantaneous load of each step, an area of interest of the escalator to be monitored, And a second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n accident area and a maintenance required area based on the imaging data of the camera unit for the area of interest and the permanent load measured for each step.

상기 제1 판단부는, 상기 2차원 코드 센서에 의해서 각 기준 스텝의 2차원 코드가 인식됨에 따라서 각 기준 스텝 및 각 기준 스텝 사이의 스텝들의 2차원 코드 센서 통과 여부를 판단하고, 스텝이 상기 2차원 코드 센서를 반복 통과하는 주기인 1 회전 주기 내에 변동되는 하중값을 각 스텝의 순간 하중으로 설정하며, 각 스텝의 순간 하중 센싱 결과에 따라서 각 스텝의 순간 하중의 이동 방향을 측정한 결과, 상기 순간 하중이 스텝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스텝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순간 하중이 이동되는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passes through the steps between each reference step and each reference step as the two-dimensional code of each reference step is recognized by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The instantaneous load of each step is set as the instantaneous load of each step, and the instantaneous load of each step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antaneous load sensing result. As a resul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ad is moved in a step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region in which the instantaneous load is moved is determined as the region of interest.

상기 제1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의 동작에 따라서 각 스텝마다 측정되는 순간 하중의 이동 방향을 측정한 결과, 상기 순간 하중이 스텝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스텝으로 이동되며, 에스컬레이터 제어 장치에 설정된 동작 속도와 상기 순간 하중의 이동 속도를 비교한 결과 에스컬레이터의 동작 영역 중 어느 한 고정 영역에 상기 순간 하중이 기설정된 제1 임계 하중을 초과한 채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한 고정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moves the instantaneous load in steps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p as a result of measuring a moving direction of an instantaneous load measured at each step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tantaneous load is maintained to exceed the predetermined first critical load in one of the operating regions of the escalato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peed and the moving speed of the instantaneous load, Area.

상기 제2 판단부는, 상기 제1 판단부에 의해서 상기 관심 영역이 판별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을 상기 관심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관심 영역을 확대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줌-인을 제어하고, 상기 관심 영역을 촬영한 카메라부의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심 영역에 포함된 스텝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사고 발생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고, 관심 영역에 포함된 스텝에 객체가 미존재하는 경우 유지 보수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sets the shooting area of the camera unit as the area including the ROI when the ROI is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and controls the zoom- Analyzes the image data of the camera unit that has photographed the area of interest, and transmits an accident occurrenc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when the object exists in the step included in the ROI,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상기 제2 판단부는, 각 스텝마다 측정되는 영구 하중들 중, 기설정된 제2 임계 하중을 초과하는 영구 하중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임계 하중을 초과하는 영구 하중이 측정된 스텝을 상기 2차원 코드 센서에 의해서 각 기준 스텝의 2차원 코드가 인식됨에 따라서 각 기준 스텝과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식별하고, 식별된 스텝에 대한 유지 보수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cond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 step in which the permanent load exceeding the second critical load is measured in the presence of a permanent load exceeding a predetermined second critical load among the permanent loads measured in each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identifies the two-dimensional code of each reference step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each reference step, and transmits maintenanc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identified step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상기 2차원 코드 센서는, 스커트 가드의 측면 중, 렌딩 플레이트 하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2차원 코드에는 각 기준 스텝의 식별 정보가 기록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is install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rental plate among the side faces of the skirt guar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reference step is recorded in the two-dimensional code.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스텝에 측면에 해당 스텝의 식별 정보를 기록한 2차원 코드를 부착하고, 스텝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스커트 가드의 측면 일 부분에 얇거나 해당 측면을 타공하여 설치한 2차원 코드 센서를 이용하여, 작동 시 각 스텝의 위치 및 이동 상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동시에, 스텝의 상면이 아닌, 스텝이 스텝 체인에 결착되는 부근에 간단하게 하중 센서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기존의 스텝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간단하게 하중 센서를 설치하여 각 스텝의 하중을 상술한 2차원 코드 파악, 하중 센서 및 구동부의 속도 등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wo-dimensional code, i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tep is recorded on a side surface of a conventional step, is attached to a side surface of a skirt guard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ep, It is possible to clearly grasp the position and the movement state of each step at the time of operation. Simultaneously, a load sensor is simply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step where the step is attached to the step chain ra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 and the load sensor is simply installed without disturbing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step, Dimensional code identification, the load sensor and the speed of the driving unit.

또한 하중 센서의 동작에 따라서 이상 동작이 파악된 스텝 또는 구동 영역에 대해서, 일반적인 감시 카메라의 구동에 있어서 해당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고, 정해진 제어 수치에 따라서 감시 카메라의 촬영 각도 및 줌-인(Zoom-In)을 제어하여, 관심영역 발생 시 해당 영역을 구체적으로 촬영한 영상을 관리자 단말 등에 송출하도록 한다. Further, in the step or drive area in which the abnormal operation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ad sensor, the area is set as a region of interest in driving a general surveillance camera, and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surveillance camera and zoom- Zoom-In) is controlled to transmit an image of a specific reg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when the region of interest is generated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or the like.

이에 따르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원격 모니터링을 기 설치된 장비 및 간단하게 설치 가능한 구성을 통해 가능하게 하고, 해당 모니터링에 있어서 최첨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과 매우 유사한 모니터링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범용성 증가, 구현 비용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is enables remote monitoring of existing escalators through pre-installed equipment and simple installation configurations and enables them to have a monitoring efficiency very similar to the state-of-the-art remote monitoring system in their monitoring,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implementation cost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스텝의 예.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일부 구성의 예.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이 모니터링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1 is an example of a step to which an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s. 2 and 3 show an example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an escalator to which an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is moni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 / or aspects are n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 (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such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that some of the various ways of practicing various aspects of the principles of various aspects may be utilized, and that the description set forth is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an embodiment," "an embodiment," " an embodiment, "" an embodiment ", etc.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better or worse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means that the feature and / or component is present, bu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components and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so,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Furthermor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are to be understood as being generical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has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mean ideal or overly formal .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omitted or partially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explain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and the righ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in scope.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number of drawings will be referred to and described concurrently to describe one technical characteristic or constituent elements of the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어 각 구성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separate database for storing data and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And can perform functions according to each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수행하는 모든 기능에 의해서, 관리자 단말 등에는 해당 기능 수행에 의한 다양한 아이콘, 메뉴 등이 출력되며, 출력된 정보를 확인한 단말주가 입력 수단을 통해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메뉴가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실행 또는 웹사이트로의 접속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해당 기능의 수행에 의하여 생성, 수정 및 삭제되는 다양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별도의 저장 공간이 포함되는 메모리 등에 저장/관리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performed by the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various icons, menus, and the like to be output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the like,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enu capable of inputting data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can be output through execution or connection to a web site. In addition, various data generated, modified and deleted by the execution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can be stored / managed in a database or a memory including a separate storage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스텝의 예,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일부 구성의 예이다.FIG. 1 is an example of a step to which an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S. 2 and 3 are examples of a part of an escalator to which an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술한 도면을 동시에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는 사용자의 발을 받쳐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디딤판(11) 및 라이저(12)로 구성되는 스텝(10)이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에 의한 탑승객체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서로 도 1과 같은 요철 구조가 도 2와 같이 맞물려,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연결 및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각 스텝은 한 쌍의 스커트 가드(30) 사이에서 이동되어, 그 이동이 가이드된다. 각 스텝(10)은 연결 축(15) 및 지지부재(13)를 통해 스텝 체인(20)에 경사에 따라서 연결 축(15)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착됨으로써, 스텝 체인(20)의 이동에 따라서 스텝(10)이 함께 이동되며, 이때 스텝 체인(20)의 이동 경사 및 각도에 따라서, 라이저(12)가 회동되면서 디딤판(11)은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높낮이가 변경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scalator generally comprises a step 10 comprising a tread 11 and a riser 12, which enable the user to use the escalator to support the foot, And the concavo-convex structure as shown in Fig. 1 is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and connected and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each step is moved between the pair of skirt guards 30 to guide its movement. Each step 10 is coupled to the step chain 20 via the connecting shaft 15 and the supporting member 13 so as to be able to rotate about the connecting shaft 15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At this time, the riser 12 is rota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d angle of the step chain 20, and the tread 11 is kept in a parallel state and the height is changed.

한편 스텝 체인(2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제어부에 의해서 구동이 제어되는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 운동력에 의해서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구동 방식에 의해서 스텝(10)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스텝 체인(20), 구동 모터 및 핸드 레일(50)이 연동되어, 스텝(10)의 이동 속도와 동일하게 핸드 레일(50)이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된다. 한편 카메라(60)는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가 동작하는 영역 주위를 촬영하여 기본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시스템 상의 구성에 의해서 그 촬영 각도 및 줌-인(Zoom-In)이 제어된다.The step chain 20 is connected to a drive motor, not shown,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and moves the step 10 in one direction by a driving method like a conveyor belt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 At this time, the step chain 20, the driving motor, and the handrail 50 are interlocked to drive the handrail 50 to move in one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moving speed of the step 10. [ On the other hand, the camera 60 can be installed to photograph the periphery of a general escalator to perform basic monitoring, and its photographing angle and zoom-in are controlled by a configuration on a system to be described lat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10)은 구동 영역, 즉 탑승자를 디딤판(11)이 지지하는 영역에서 외부에 노출되며, 랜딩 플레이트(40)에 의해서 외부로의 노출이 제어된다. 즉 구동 영역을 제외하고, 랜딩 플레이트(40)로 진입하거나 반대 측의 랜딩 플레이트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며, 그 외에는 내부에서 상술한 구동 방식에 의해서 이동된다.As shown in Fig. 2, the step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driving area, i.e., the area where the occupant is supported by the tread 11, and the exposure to the outside is controlled by the landing plate 40. [ That is, except for the driving area, it enters the landing plate 40 or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landing plate on the opposite side, and is otherwise moved by the driving method described above.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되는 도중, 본 발명에서는 2차원 코드(14)가 스텝(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2차원 코드(14)는 별다른 전력 공급 없이 2차원 코드 센서(31)에 의해서 인식 시 특정 정보가 독출될 수 있도록 부착된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바코드, QR코드, NFC 태그 등이 2차원 코드(14)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매우 얇은 구성으로서 스텝(10)과 스커트 가드(30)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마찰이 발생하지 않고, 스텝(10) 측면에 설치되어 인식 시 특정 정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2차원 코드(14)가 부착된 스텝(10)의 식별 정보가 독출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In the course of driving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dimensional code 14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tep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dimensional code 14 means a device attached so that specific information can be read out by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without any power supply. For example, a bar code, a QR code, an NFC tag, or the like can be included in the two-dimensional code 14, and besides, as a very thin structure, friction does not occu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tep 10 and the skirt guard 30 , And means any device which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ep 10 to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recognition, preferabl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ep 10 to which the two-dimensional code 14 is attach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d out .

본 발명에서 2차원 코드(14)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스텝(10)의 측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나, 자재 비용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의 스텝(10) 중 일정 간격(예를 들어 4스텝 당 하나)마다의 스텝(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2차원 코드(14)가 부착된 스텝(10)을 기준 스텝으로 하여, 기준 스텝의 경우 부착된 2차원 코드(14) 정보와 함께 식별 정보가 관리된다. 즉 2차원 코드(14)에 스텝(1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2차원 코드(14)에는 측정 식별 정보가 간단하게 저장되며, 해당 식별 정보에 2차원 코드(14)가 부착된 기준 스텝의 식별 정보가 링크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dimensional code 14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all the steps 10, but in order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cost of the material, (One for each step). In this case, the step 10 to which the two-dimensional code 14 is attached is used as a reference step, and in the case of the reference step,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managed together with the attached two-dimensional code 14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ep 10 can be included in the two-dimensional code 14. Otherwise, the measure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imply stored in the two-dimensional code 14, and the tw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ttached reference step can be link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기준 스텝을 제외한 스텝의 경우, 식별 정보만이 관리될 수 있다. 즉, 2차원 코드(14)가 부착된 스텝(10)의 식별 정보 및 해당 스텝들 사이의 각 스텝은 식별 정보만이 데이터베이스에 의해서 관리됨으로써, 특정 스텝(10)의 위치를 2차원 코드(14)와의 위치 관계에 의해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tep excluding the reference step,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managed. That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ep 10 to which the two-dimensional code 14 is attached and each step between the steps are managed by the database only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step 10 is stored in the two-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2차원 코드 센서(31)는,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스텝(10)이 이동되는 도중, 2차원 코드 센서(31)의 인지 범위를 스텝(10)이 통과 시, 해당 스텝(10)에 부착된 2차원 코드(14)를 인식하여 2차원 코드 정보,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10)의 식별 정보를 독출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2차원 코드 센서(31)를 통과하는 스텝(10)의 식별 정보를 감지한다.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detects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during the movement of the step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when the step 10 passes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two- Dimensional code 14 to read out the two-dimensional code information, preferab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ep 10 as described above, and to rea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ep 10 through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As shown in FIG.

2차원 코드 센서(31)는 스커트 가드(30)의 측면 중, 스텝(10)의 측면과 인접되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2차원 코드(14)의 진행 영역에 설치된다. 이때 기존의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스커트 가드(30)의 영역 중 상술한 구동 영역에 2차원 코드 센서(31)가 설치되는 경우, 스커트 가드(30)와 스텝(10), 2차원 코드(14)의 간격보다 작은 폭으로 구성되어 마찰 발생이 억제되는 크기의 센서가 설치되어야 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설치 영역의 스커트 가드(30)를 일부 절개하고, 절개된 영역에 2차원 코드 센서(31)를 설치할 수 있다.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step 10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skirt guard 30, preferably in a traveling region of the two-dimensional code 14. [ At this time, when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is installed in the above-mentioned driving region in the area of the skirt guard 30 in the case of the existing escalator, the distance between the skirt guard 30 and the step 10, A sensor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kirt guard 30 and capable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friction may be provided or the skirt guard 30 of the installation area may be partially cut and the two- .

이러한 경우 스커트 가드(30)에 대한 추가 시공의 불편함 및 2차원 코드 센서(31)의 크기 제한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스커트 가드(30)가 폐쇄되지 않은 영역, 즉 스커트 가드(30)의 측면 중, 렌딩 플레이트(40) 하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skirt guard 30 in a region where the skirt guard 30 is not closed, that is, the skirt guard 30, because the inconvenience of additional construction of the skirt guard 30 and the size limitation of the two-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plate 40 is install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nting plate 40.

이에 따라서 제어부와의 연동을 통해,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방향 및 구동 속도의 설정값을 이용하여 각 스텝(10)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산출하게 되면, 기준 스텝들에 대한 2차원 코드(14)의 식별을 통해서, 현재 어떤 스텝이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에 의해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후술하는 기능 수행에 의해서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를 스텝(10) 단위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each step 10 are calculated by using the setting values of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escalator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control unit, identification of the two-dimensional code 14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teps It is possible to clearly grasp in which position the current step is located by driving the escalator in real time. Accordingly, when a specific event is generated by performing a func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position where the event is generated can be grasped in units of steps (10).

한편, 하중 센서(16, 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텝(10)이 스텝 체인(20)에 결착되는 곳에 설치되어 스텝(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술한 2차원 코드 센서(31)와 함께 센서부를 구성한다. 하중 센서(16, 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인 기존 사용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에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디딤판(11)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 축(15)과 스텝(10)의 연결 영역, 연결 축(15)과 스텝 체인(20)의 연결 영역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중 센서(16, 21)가 측정하는 하중값은, 일정한 수식을 통해 스텝(1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연산될 수 있다. 하중 연산은, 후술하는 제1 판단부(미도시) 및 제2 판단부(미도시)에서 수행되거나, 하중 센서(16, 21)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1, the load sensors 16 and 21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 respective steps 10 are stuck to the step chain 20 and function to sense the load applied to the step 10 And constitutes a sensor unit together with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described above. The load sensors 16 and 21 are no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plate 11 so that the load sensors 16 and 21 can be easily installed on an escalator us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area between the connection shaft 15 and the step chain 20,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load value measured by the load sensor (16, 21) can be calculated as a load applied to the step (10) through a constant expression. The load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in a first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and a second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performed by a processor of the load sensors 16 and 21.

본 발명에서 제1 판단부 및 제2 판단부는, 상술한 에스컬레이터의 제어부 또는 제어 단말 내부에 기능적으로 구현되는 구성을 의미하거나, 관리자 단말 등 별도의 단말 내부에 기능적으로 구현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하중 센서(16, 21), 2차원 코드 센서(31) 등은 다중의 유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서 상술한 제1 판단부 및 제2 판단부가 구현되는 단말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refer to a configuration that is functionally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or the control terminal of the above-described escalator, or a configuration that is functionally implemented in a separate terminal such as an administrator terminal. For this purpose, the load sensors 16 and 21,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and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in which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described above are implemented through a plurality of wire / wireless network structures, .

제1 판단부는 구체적으로, 센서부의 동작에 따라서, 각 스텝(10)마다 측정되는 영구 하중, 각 스텝(10)의 식별 정보 및 각 스텝(10)의 순간 하중에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동작 영역 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관심 영역을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monitors the operation region of the escalator in accordance with the permanent load measured for each step 1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step 10, and the instantaneous load of each step 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a necessary area of interest.

순간 하중은 각 스텝(10)에 탑승자의 탑승 등에 의해서 스텝(10)이 구동 영역에 노출되는 순간 등 짧은 순간에 가해지는 하중을 의미한다. 즉 가장 긴 시간으로 측정되는 경우에도, 스텝(10)이 2차원 코드 센서(31)를 반복 통과하는 주기인 1 회전 주기 내에 변동되는 하중값이 순간 하중으로 측정될 것이다. 즉 이 이상의 기간을 유지하는 하중의 경우 상술한 영구 하중으로 측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instantaneous load refers to a load applied at a short time such as the instant when the step 10 is exposed to the drive region by the occupant or the like in each step 10. That is, the longest time, the load value fluctuating within one rotation period, which is a period in which the step 10 repeatedly passes through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will be measured as an instantaneous load. That is, in the case of the load holding the above period,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load by the above-mentioned permanent load.

이때, 제1 판단부는, 2차원 코드 센서(31)에 의해서 각 기준 스텝의 2차원 코드(14)가 인식됨에 따라서 각 기준 스텝 및 각 기준 스텝 사이의 스텝(10)들의 2차원 코드 센서(31) 통과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judging section judges whether or not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of each of the steps 10 between the respective reference steps and each reference step as the two-dimensional code 14 of each reference step is recognized by the two- ) Is passed or not.

예를 들면, 특정 스텝(10)의 하중이 측정되면 하중 센서(16, 21)의 식별 정보 및 센싱된 하중값이 하중 센서(16, 21)로부터 제1 판단부에 전달되며, 실시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2차원 코드 센서(31)의 동작에 의해서 현재 구동 상태에서의 각 스텝(10)의 위치가 파악된다. 이 경우, 상술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각 에스컬레이터의 부분 영역들에서의 하중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ad of the specific step 10 is measur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oad sensors 16 and 21 and the sensed load value are transmitted from the load sensors 16 and 21 to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The position of each step 10 in the current driving state is grasped by the operation of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3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he loads in the partial areas of each current escalator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이때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체인을 지지하는 롤러 등의 장비, 스커트 가드(30)의 손상 및 기타 고정 설치되는 부품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또는 탑승자에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스텝(10)의 하중이 스텝(10) 들의 이동에 따라서 순간적으로 변동되는 구동 방식에 따라서 스텝(10)에 가해지는 순간 하중의 비정상값이 해당 특정 영역 유지되도록 스텝(10)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특정 스텝(10), 스텝 체인(20)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등 이동되는 부품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라면, 스텝(10)에 가해지는 하중은 해당 스텝(10)에서 고정적으로 비정상값을 유지할 것이다. If an error occurs in the driving of the escalator at this time, in the case where equipment such as rollers for supporting the chain, damage to the skirt guard 30 and other parts to be fixedly installed occur or an accident occurs in the occupant, (10) is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p (10) so that the abnormal value of the load moment is applied to the step (10)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method in which the load of the step (10) . On the other hand,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moving part, such as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pecific step 10, the step chain 20, or the like, the load applied to the step 10 is fixed abnormally Value.

즉, 이러한 고장 발생 또는 사고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선서는 각 스텝(10)에 가해지는 영구 하중 및 순간 하중 및 순간 하중의 변동값과 함께 해당 영역을 파악하기 위한 각 스텝(10)의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That is,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or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step 10 for grasping the corresponding region together with the values of the permanent load, the instantaneous load and the instantaneous load applied to each step 10 .

이러한 하중 값이 비정상적으로 파악되는 경우, 제1 판단부에 의해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동작 영역 중 해당 영역을 모니터링이 필요한 관심 영역으로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load value is detected abnormall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operation area of the escalator as an area of interest that needs to be monitored.

한편, 제2 판단부는 제1 판단부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관심영역으로 판별된 영역에 대한 카메라부(60)의 영상 촬영 데이터 및 각 스텝(10)마다 측정되는 영구 하중을 기준으로 사고 영역 및 유지 보수 필요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거나, 해당 영역에 대한 영상 촬영 데이터 및 하중 값을 산출하여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ccident area and a maintenance area based on the imaging data of the camera unit 60 and the permanent load measured for each step 10 for the area determined as the area of interest, At least one of the required areas, or calculates the image pickup data and the load value for the corresponding area, and transmits the image pickup data and the load valu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즉 제2 판단부는 제1 판단부에 의해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그 영역에 대한 영구 하중(또는 순간 하중)을 기준으로 해당 영역이 사고 영역인지 또는 유지 보수 필요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주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사고 영역인지 또는 유지 보수 필요 영역인지 여부에 따라서 관리자 단말에 사고 발생 또는 유지 보수 필요 상황 발생 등에 대한 대응에 필요한 자료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collects and analyzes specific data of the region determined to be abnormal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region is the accident region or the maintenance region based on the permanent load (or instantaneous load)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data necessary for 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or maintenance required situ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it is an accident area or a maintenance required area or not do.

한편 제1 판단부에 의해서 2차원 코드(14) 들의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관심 영역을 판별하게 되는데, 이때 2차원 코드(14)가 정상적으로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도 고장으로 판단하여 해당 2차원 코드(14)의 점검을 관리자 단말에 요청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even if the two-dimensional code 14 is not normally sens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dimensional code 14 is in failure and the corresponding two-dimensional code 14 )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이를 위해서, 후술하는 기능 이외에, 제2 판단부는 에스컬레이터의 동작 속도를 기반으로 2차원 코드(14)가 부착된 기준 스텝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음에 따라서 2차원 코드(14)의 인식 주기를 산출할 수 있고, 각 주기마다 2차원 코드(14)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 정상적으로 인식된 2차원 코드(14)를 바탕으로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2차원 코드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인식되지 않은 기준 스텝의 식별 정도를 선택하여 관리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정확하게 인식되지 않은 2차원 코드(14)가 부착된 스텝을 선별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recognition period of the two-dimensional code 14 as the reference step with the two-dimensional code 14 attached thereto being set at predetermined intervals based on the operating speed of the escalator Dimensional code 14. If the two-dimensional code 14 is not normally recognized for each cyc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wo-dimensional code that is not normally recognized based on the normally recognized two-dimensional code 14 is grasped, The identification degree of the reference step that has not been correctly recognized is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selectively check the step with the two-dimensional code 14 that is not recognized correctly.

이러한 기능 수행 및 후술하는 제1 및 제2 판단부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기준 스텝의 식별 정보, 각 기준 스텝에 부착된 2차원 코드(14)의 식별 정보, 각 식별 정보 간의 매칭 정보와 함께, 각 기준 스텝 사이의 스텝들의 연결 순 식별 정보 및 식별 정보의 연결 순서에 대한 정보가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se functions an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etermination units described later, the database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referenc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wo-dimensional code 14 attached to each reference step, Together,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or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eps between the reference steps and the connection order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managed.

이러한 제1 판단부 및 제2 판단부의 기능 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예가 도 4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이 모니터링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Specific examples of the functions of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are shown in FIGS. 4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is monito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기설정된 간격마다 2차원 코드(141, 142)가 스텝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진행 방향(D1)이 설정되면, D1 방향으로 스텝이 이동되면서 에스컬레이터가 구동된다. 이 경우, 탑승자들의 탑승 등에 의해서 특정 스텝에 하중(O1)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탑승자가 에스컬레이터를 걷는 등의 행위를 하는 경우, 해당 하중(O1)은 정상적인 경우, 즉 탑승자가 진행 방향(D1)으로 걷게 됨에 따라서 D1 방향으로 다음 스텝에 하중(O2)이 가해질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two-dimensional codes 141 and 142 are attached to the step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is case, when the advancing direction D1 of the escalator is set, the escalator is driven while the step is moved in the direction D1. In this case, the load (O1) is applied to the specific step by the passengers or the like. At this time, when the occupant performs an action such as walking the escalator, the load O2 will be applied to the next step in the direction D1 as the load O1 is normal, that is, as the occupant steps in the traveling direction D1.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순간 하중 센싱을 수행하는 경우, 순간 하중을 상술한 1 회전 주기 이내의 하중 및 그 하중의 변동값이 모두 측정될 수 있으며, 탑승자가 특정 스텝에서 다른 스텝으로 이동하는 경우 순간 하중 센싱 결과 특정 스텝에서 다른 스텝으로 하중이 이동될 것이다.That is, when the instantaneous load sensing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instantaneous load can be measured within the above-described one rotation period and the variation value of the load can be measured. If the occupant moves from one specific step to another, As a result of the load sensing, the load will be shifted from one step to another.

이 경우 상술한 O1에서 O2로의 하중의 이동 방향은 D1 방향과 일치하여, 탑승자가 빠른 이동을 위해서 에스컬레이터 작동 도중 D1 방향으로 탑승 스텝을 옮기는 경우로 판단되어, 정상 작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에스컬레이터의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제2 판단부에서 에스컬레이터에 구비된 경고 알림음 출력 수단(미도시)으로 직접 경고음을 알리도록, 즉 걷지말고 탑승을 유지함을 독려하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관리자 단말에 해당 음성 출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순간 하중의 이동 속도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순간 하중의 이동이 매우 빨라 탑승객이 뛰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술한 경고음을 알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oad from O1 to O2 described above coincides with the D1 direction, and it is judged that the occupant moves the boarding step in the D1 direction during the escalator operation for the quick movement, so that it can be judged as normal operation. However, even in such a case,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of the escalator increases. Therefore, the second judging unit outputs a voice to directly notify the warning sound output means (not shown) provided in the escalator, that is, , Or may transmit a signal requesting the corresponding voice output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In this case, the moving speed of the instantaneous load may be additionally considered, so that the above-described warning sound is notifi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tantaneous load is moved very fast and the occupant is running.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이 O1에서 O3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D1 방향, 즉 정상적인 에스컬레이터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하중이 이동되는 상황을 의미한다.However, when the load is shifted from O1 to O3 as shown in Fig. 4, it means that the load is shifted in the direction D1, that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normal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scalator.

이 경우, 탑승자가 특정 물건을 밑으로 떨어뜨리거나, 탑승자가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등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제1 판단부는 해당 영역, 즉 순간 하중이 각 스텝의 현재 이동 방향(D1)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판단하게 된다.In this case, it means that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such as a passenger dropping a specific object downward, or an accident occurs due to a passenger slipping and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region, i.e., the region in which the instantaneous load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urrent moving direction D1 of each step, as the region of interest.

이 경우, 기준 스텝(S1, S4)에는 2차원 코드(141, 142)가 부착되어 있고, 해당 기준 스텝(S1, S4)의 인지 및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저장 상태에 의해서, 각 기준 스텝(S1, S4) 사이의 스텝(S2, S3)의 존재 및 연결 순서가 파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wo-dimensional codes 141 and 142 are attached to the reference steps S1 and S4.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reference steps S1 and S4 and the data storage state of the above-described database, , S4 and the presence of the steps S2, S3 and the connection order can be grasped.

그리고, 각 하중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하중(O1, O2, O3)의 센싱이 수행되면, 해당 하중 센서의 식별 정보에 의해서, 하중(O1, O2, O3)이 센싱된 스텝(S3, S4, S5)의 식별 정보가 센싱될 수 있고, 시간 순서에 따라서 각 스텝에 대한 하중의 이동 방향이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sensing of the loads O1, O2 and O3 measured by the respective load sensors is carried out at the steps S3, S4 and S5 in which the loads O1, O2 and O3 are sens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oad sensors concerned Can be sens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oad for each step can be grasped according to the time sequence.

제2 판단부는 이러한 관심영역이 판별되는 해당 관심영역이 판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관리자 단말(70)에 즉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관심 영역에 대한 명확한 이벤트 식별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can immediately transmit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OI in which the ROI is identified is determin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functions can be performed to clearly identify the event region.

예를 들어 제2 판단부는, 제1 판단부에 의해서 관심 영역이 판별되는 경우, 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을 관심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설정하고, 관심 영역을 확대하도록 카메라부의 줌-인을 제어하고, 관심 영역을 촬영한 카메라부의 촬영 데이터를 분석한다.For example, if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region of interest,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may set the captured region of the camera unit as the region including the region of interest, and control the zoom-in of the camera unit to enlarge the region of interest, And analyzes the photographic data of the camera section that photographed the region of interest.

한편 상술한 예들 이외에, 제2 판단부는 정상적인 카메라부의 동작 도중 특정 영역에 객체 인식 밀도가 집중되는 경우, 해당 위치를 상술한 관심 영역과 유사한 영역으로 판단하고, 해당 영역을 집중적으로 촬영하도록 카메라부의 각도 및 줌-인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는 탑승자가 집중된 영역에서의 범죄 모니터링에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object is in a similar area to the above-described area of interest when the object recognition density is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during normal camera operation, And zoom-in can be controlled. Such image data can be used for crime monitoring in a region where the occupant is concentrated.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영역 중, 특정 영역으로서 관심 영역에 집중된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해당 촬영 경과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300, 310) 중, 관심 영역에 포함된 스텝에 객체(301)가 존재하는 경우 사고 발생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70)에 전송하고, 관심 영역에 포함된 스텝에 객체가 미존재하는 경우 유지 보수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7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예에서 순간 하중이 스텝의 정상 이동 방향(D1)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탑승자가 존재하거나 사물 등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낙하 또는 비정상 움직임에 의한 사고 발생 확률이 높기 때문에,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에서 에스컬레이터 이외의 객체가 인지되는 경우 사고 발생 알림 정보를, 그렇지 않은 경우 스텝 등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비정상적인 순간 하중의 움직임이 파악되는 것이기 대문에 유지 보수 알림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an image of the driving area of the escalator concentrated in the area of interest as a specific area. If there is an object 301 in the step included in the ROI among the images 300 and 310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data, it transmits the accident occurrenc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when the object does not exist in the step. That is, when the instantaneous load is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normal moving direction D1 of the step in the above exampl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accident due to falling or abnormal motion is high when a passenger is present or an object such as a thing exists, If an object other than the escalator is recognized in the image included in the image, the operation of the escalator such as the step of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is notified, and the operation of the abnormal moment load is recognized.

한편 이러한 특정 사고 발생 이외에, 어느 한 영역, 즉 고정된 영역에 비정상적 하중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도 비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occurrence of such a specific accid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b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even when the abnormal load is constantly maintained in one area, that is, the fixed area. In this case, maintenance may also be necessary.

즉, 도 5의 예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특정 하중(O4)이 감지되면서, 스텝이 D1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중, 하중이 스텝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스텝으로 이동되어 하중(O5)이 감지되고, 그 다음 스텝으로 하중(O6)이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의 순간 하중(O4, O5, O6)등의 이동 속도와, 에스컬레이터의 제어 장치에 설정된 동작 속도를 비교하여, 해당 이동 속도의 크기가 일치하는 경우라면, 특정 고정 영역(200)에 지속적으로 비정상적인 순간 하중이 유지되는 것이며, 이때 정상 범위를 벗어난, 즉 유지되는 순간 하중이 기설정된 제1 임계 하중을 초과한 채(고장에 의해서 제1 임계 하중 이외의 기타 임계 하중 미만으로 측정된 채의 예도 포함한다.)로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고정 영역(200)을 관심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심 영역으로 판단되면, 상술한 제2 판단부의 기능 수행에 의해서, 관심 영역 판별 결과 정보 및 해당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촬영 데이터 등이 관리자 단말(70)에 전송될 수 있다.5, for example, when a specific load O4 is detected, the load is moved in a step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p, while the step is moved in the direction D1, so that the load O5 And the load O6 can be detected in the next step. In this case, when the moving speeds of the instantaneous loads (O4, O5, O6) and the like are compared with the operating speed set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escalator and the magnitudes of the moving speeds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momentary load that is out of the normal range, that is, the instantaneous load that is maintained exceeds the predetermined first critical load (which is measured by the failure to be less than the other critical loads other than the first critical load) (For example, one hour) with the fixed region 200, it is determined that the fixed region 200 is a region of interes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gion of interest is a region of interest, the region of interest determination result information and the image capturing data of the region of inter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한편 특정 스텝에 고장이 발생하여 정상 하중 이외의 비정상 하중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술한 고정 영역에 대한 고장 발생이 아닌 해당 특정 스텝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심 영역을 판별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관심 영역은 고정된 영역 또는 이동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failure occurs in a specific step and an abnormal load other than the normal load is continuously maintained,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specific step rather than a failure in the fixed area, . Of course, in this case, the region of interest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fixed region or a region to be moved.

도 7의 예를 참조하면, 제2 판단부는 각 스텝마다 측정되는 영구 하중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순간 하중의 판단 시점(1회전 주기)를 초과하여 측정되는 하중들 중, 기설정된 제2 임계 하중을 초과하는(고장에 의해서 제2 임계 하중 이외의 기타 임계 하중 미만으로 측정된 채의 예도 포함한다.) 영구 하중(M1)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하중이 측정된 스텝을 2차원 코드 센서에 의해서 각 기준 스텝의 2차원 코드(C1, C2)가 인식됨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에 의하여 각 기준 스텝과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식별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명확한 스텝 식별을 위해서, 추가적으로 스텝의 이동 방향(D2) 및 속도(V1)가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제2 판단부는 식별된 스텝에 대한 유지 보수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70)에 전송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determiner calculates a second critical value among the loads measured over the determination time (one rotation period) of the instantaneous load as described above, that is, (Including the case where the load is measured to be less than the other critical loads other than the second critical load due to the failure). When the permanent load M1 is present, the load is measured by the two- Dimensional code (C1, C2) of each reference step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each reference step by the information managed by the database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in order to clearly identify the step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direction D2 and the speed V1 of the step may additionally be used. Then,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transmits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identified step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so that maintenance for the escalator is possible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스텝에 측면에 해당 스텝의 식별 정보를 기록한 2차원 코드를 부착하고, 스텝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스커트 가드의 측면 일 부분에 얇거나 해당 측면을 타공하여 설치한 2차원 코드 센서를 이용하여, 작동 시 각 스텝의 위치 및 이동 상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동시에, 스텝의 상면이 아닌, 스텝이 스텝 체인에 결착되는 부근에 간단하게 하중 센서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기존의 스텝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간단하게 하중 센서를 설치하여 각 스텝의 하중을 상술한 2차원 코드 파악, 하중 센서 및 구동부의 속도 등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wo-dimensional cod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ep is recorded on the side of the existing step is attached, and a two-dimensional cod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kirt guard, By using the code sensor, it is possible to clearly grasp the position and movement situation of each step during operation. Simultaneously, a load sensor is simply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step where the step is attached to the step chain ra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 and the load sensor is simply installed without disturbing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step, Dimensional code identification, the load sensor and the speed of the driving unit.

또한 하중 센서의 동작에 따라서 이상 동작이 파악된 스텝 또는 구동 영역에 대해서, 일반적인 감시 카메라의 구동에 있어서 해당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고, 정해진 제어 수치에 따라서 감시 카메라의 촬영 각도 및 줌-인(Zoom-In)을 제어하여, 관심영역 발생 시 해당 영역을 구체적으로 촬영한 영상을 관리자 단말 등에 송출하도록 한다. Further, in the step or drive area in which the abnormal operation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ad sensor, the area is set as a region of interest in driving a general surveillance camera, and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surveillance camera and zoom- Zoom-In) is controlled to transmit an image of a specific reg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when the region of interest is generated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or the like.

이에 따르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원격 모니터링을 기 설치된 장비 및 간단하게 설치 가능한 구성을 통해 가능하게 하고, 해당 모니터링에 있어서 최첨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과 매우 유사한 모니터링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범용성 증가, 구현 비용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is enables remote monitoring of existing escalators through pre-installed equipment and simple installation configurations and enables them to have a monitoring efficiency very similar to the state-of-the-art remote monitoring system in their monitoring,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implementation cost can be expec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of unnecessary embodiment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4 will be omitted. .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8,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 input / output subsystem (not shown) An I / O subsystem) 11400, a power circuit 11500,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At this tim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correspond to the user terminal A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or the computing device B described above.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Memory 11200 can include, for exampl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disk, SRAM, DRAM, ROM,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have. Memory 11200 may include software modules, a set of instructions, or various other data required for operation of computing device 10000.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t this point, accessing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processor 11100 or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processor 111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 / or output peripheral devices of computing device 10000 to processor 11100 and memory 11200. The processor 11100 can execute a variety of functions and process data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by executing a software module or set of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200. [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may couple various input / output peripherals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For exampl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a peripheral,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a touch screen or sensor, as needed,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put / output peripheral devices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th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Power circuitry 11500 may provide power to all or a por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one or more power supplies, such as a power management system, a battery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nd may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Communication circuitry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Or as described above, communication circuitry 11600 may, if necessary, enable communications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by sending and receiving RF signals, also known as electromagnetic signals, including RF circuitry.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8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8, or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8 may be omitted. Lt; RTI ID = 0.0 > components. ≪ / RTI >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8, a comput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and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circuit 1160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 Bluetooth, NFC, Zigbee, etc.). The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instruction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An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fer unit (not shown) for transferring the fil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embodyed temporarily.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ing device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 가드의 측면 중 스텝 측면과 인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자가 위치되는 스텝 중 적어도 하나의 스텝인 기준 스텝 측면에 설치된 2차원 코드 정보를 독출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에 따라서 통과하는 스텝의 식별 정보를 감지하는 2차원 코드 센서와, 각 스텝이 스텝 체인에 결착되는 곳에 설치되어 스텝에 가해지는 하중을 센싱하는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촬영 영역 및 줌 인/아웃이 제어되어, 에스컬레이터가 동작하는 영역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센서부의 동작에 따라서, 각 스텝마다 측정되는 영구 하중, 각 스텝의 식별 정보 및 각 스텝의 순간 하중에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동작 영역 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관심 영역을 판별하는 제1 판단부; 및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 촬영 데이터 및 각 스텝마다 측정되는 영구 하중을 기준으로 사고 영역 및 유지 보수 필요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는 제2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To an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embodied in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Dimensional code information provided on a side of a reference step, which is at least one step among steps where a user of the escalator is located, is read out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tep side of the skirt guard of the escalator, A sensor unit including a two-dimensional code sensor for sen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tep to be passed according to an operation, and a load sensor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each step is stuck to the step chain and sensing a load applied to the step;
A camera section for photographing the area around the escalator in which the photographing area and zoom in / out are controlled;
A first judging unit for judging, based on the permanent load measured for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step, and the instantaneous load of each step, an area of interest of the escalator to be monitored, And
And a second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f an accident area and a maintenance required area based on the image pickup data of the camera unit for the area of interest and the permanent load measured for each step.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부는,
상기 2차원 코드 센서에 의해서 각 기준 스텝의 2차원 코드가 인식됨에 따라서 각 기준 스텝 및 각 기준 스텝 사이의 스텝들의 2차원 코드 센서 통과 여부를 판단하고, 스텝이 상기 2차원 코드 센서를 반복 통과하는 주기인 1 회전 주기 내에 변동되는 하중값을 각 스텝의 순간 하중으로 설정하며,
각 스텝의 순간 하중 센싱 결과에 따라서 각 스텝의 순간 하중의 이동 방향을 측정한 결과, 상기 순간 하중이 스텝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스텝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순간 하중이 이동되는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Dimensional code sensor,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has passed between the reference step and each reference step as the two-dimensional code of each reference step is recognized by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The instantaneous load of each step is set as a load value that varies within one revolution cy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tantaneous load is moved in a step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p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nstantaneous load moving direction of each step in accordance with the instantaneous load sensing result of each step, Is determined as an area of inter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의 동작에 따라서 각 스텝마다 측정되는 순간 하중의 이동 방향을 측정한 결과, 상기 순간 하중이 스텝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스텝으로 이동되며, 에스컬레이터 제어 장치에 설정된 동작 속도와 상기 순간 하중의 이동 속도를 비교한 결과 에스컬레이터의 동작 영역 중 어느 한 고정 영역에 상기 순간 하중이 기설정된 제1 임계 하중을 초과한 채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한 고정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instantaneous load is moved in steps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p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stantaneous load measured at each step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tantaneous load is maintained to exceed the predetermined first critical load in one of the operating regions of the escalato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oving speeds,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부는,
상기 제1 판단부에 의해서 상기 관심 영역이 판별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을 상기 관심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관심 영역을 확대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줌-인을 제어하고,
상기 관심 영역을 촬영한 카메라부의 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심 영역에 포함된 스텝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사고 발생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고, 관심 영역에 포함된 스텝에 객체가 미존재하는 경우 유지 보수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amera unit to zoom in to enlarge the ROI if the ROI is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f the object exists in the step included in the ROI, transmits the accident occurrenc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if there is no object in the step included in the ROI, And the maintenanc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부는,
각 스텝마다 측정되는 영구 하중들 중, 기설정된 제2 임계 하중을 초과하는 영구 하중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임계 하중을 초과하는 영구 하중이 측정된 스텝을 상기 2차원 코드 센서에 의해서 각 기준 스텝의 2차원 코드가 인식됨에 따라서 각 기준 스텝과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서 식별하고, 식별된 스텝에 대한 유지 보수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Wherein when a permanent load exceeding a predetermined second critical load exists among the permanent loads measured in each step, the step of measuring the permanent load exceeding the second critical load is performed by the two- Dimensional code of the escalator is identified according to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each reference step, and maintenanc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identified step is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코드 센서는,
스커트 가드의 측면 중, 렌딩 플레이트 하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2차원 코드에는 각 기준 스텝의 식별 정보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wo-dimensional code sensor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esca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is install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a renting plate in a side surface of the skirt guar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reference step is recorded in the two-dimensional code.
KR1020190019226A 2019-02-19 2019-02-19 System of remote monitoring of escalator KR102001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26A KR102001434B1 (en) 2019-02-19 2019-02-19 System of remote monitoring of esca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26A KR102001434B1 (en) 2019-02-19 2019-02-19 System of remote monitoring of esca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434B1 true KR102001434B1 (en) 2019-07-18

Family

ID=6746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226A KR102001434B1 (en) 2019-02-19 2019-02-19 System of remote monitoring of esca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43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6439A (en) * 2020-05-26 2021-11-30 奥的斯电梯公司 Escalator step with strain sensor
CN114639222A (en) * 2022-03-22 2022-06-17 广西高重厚泽科技有限公司 Escalator operation safety automatic detection alarm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440A (en) * 2005-12-15 2007-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Passenger conveyor
JP5074470B2 (en) * 2009-09-16 2012-1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assenger conveyor device and method for restarting the same
KR20150105542A (en) * 2014-03-07 2015-09-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afe operating system of escalator using transmission and weight sensor
KR20170039046A (en) * 2015-09-30 2017-04-10 이동훈 Escal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440A (en) * 2005-12-15 2007-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Passenger conveyor
JP5074470B2 (en) * 2009-09-16 2012-1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assenger conveyor device and method for restarting the same
KR20150105542A (en) * 2014-03-07 2015-09-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afe operating system of escalator using transmission and weight sensor
KR20170039046A (en) * 2015-09-30 2017-04-10 이동훈 Escal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6439A (en) * 2020-05-26 2021-11-30 奥的斯电梯公司 Escalator step with strain sensor
EP3915927A1 (en) * 2020-05-26 2021-12-01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steps with strain sensors
CN114639222A (en) * 2022-03-22 2022-06-17 广西高重厚泽科技有限公司 Escalator operation safety automatic detection alarm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0949B1 (en) Video-based system and method of elevator door detection
CN101883730B (en) Passive detection of persons in elevator hoistway
EP34523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elevator positioning
KR102001434B1 (en) System of remote monitoring of escalator
WO2007034560A1 (en) Elevator control device
CN104724566A (en) Elevator having image recognition function
EP3674242B1 (en) Enhancing elevator sensor operation for improved maintenance
EP3505480B1 (en) Elevator inspection using automated sequencing of camera presets
EP3508445B1 (en) Elevator auto-positioning for validating maintenance
EP3518610B1 (en) Service tool wireless access management system
EP3301056B1 (en) Enhanced elevator status information provisions for fire alarm systems
KR202000960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urning shared bicycle with lock
EP386299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6435215B2 (en) Elevator system
WO2020213035A1 (en) Passenger guidance device and passenger guidance method
EP4319184A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2155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human behavior in escalator area
JP5484224B2 (en) Device for detecting string-like foreign matter on doors of railway vehicles
JP6951473B2 (en)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passenger conveyor
US20190168997A1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for occupant evacuation
EP3808693A1 (en) Elevator condition based maintenance using an in-car camera
CN111071878B (en) Elevator car leveling sensor
JP7112511B2 (en) People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Peopl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Elevator
JP6409659B2 (en) Elevator device and its control device
JP2015129043A (en) Abnormality monitoring device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