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083B1 -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083B1
KR102001083B1 KR1020190031497A KR20190031497A KR102001083B1 KR 102001083 B1 KR102001083 B1 KR 102001083B1 KR 1020190031497 A KR1020190031497 A KR 1020190031497A KR 20190031497 A KR20190031497 A KR 20190031497A KR 102001083 B1 KR102001083 B1 KR 102001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le housing
fixing
ma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635A (ko
Inventor
김택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9003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0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개시한다. 개시된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는, 숫하우징과, 숫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조립 또는 분리되는 암하우징과, 암하우징을 차체와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암하우징 고정부와, 숫하우징을 차체와 배터리팩 중 다른 하나에 고정하며, 암하우징 고정부에 가이드되면서 암하우징에 조립되는 숫하우징의 위치가 조절되는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체와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암하우징과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숫하우징을 결합할 때 적정한 압력으로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결합할 때 조립 공차로 인하여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더라도 그 위치가 보정되면서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전류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자동차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자동차의 부품에 장착되었을 때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안전검사를 거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는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서로 다른 부품에 고정한 후 조립할 때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으면 조립이 어려워 정확한 접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 제20-0264075호(등록일:2002년01월30일, 명칭: 자동차용 커넥터 조립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결합할 때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더라도 그 위치가 보정되면서 정확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는, 숫하우징과, 상기 숫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조립 또는 분리되는 암하우징과, 상기 암하우징을 차체와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암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숫하우징을 상기 차체와 상기 배터리팩 중 다른 하나에 고정하며,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암하우징에 조립되는 상기 숫하우징의 위치가 조절되는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는, 상기 암하우징과 조립되는 상기 숫하우징을 접속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는, 상기 배터리팩에 결합되며, 상기 암하우징이 고정되는 베이스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구비되어 상기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를 접속위치로 가이드하는 접속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브래킷은, 상기 암하우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우징 장착부재가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정렬부재는, 상기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가 결합되는 보스부재와, 상기 보스부재에 형성되는 결합홈부와, 상기 결합홈부의 상단부 내면에서 외측으로 확장형성되는 가이드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는, 상기 숫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에 가이드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숫하우징을 상기 암하우징에 접속하는 숫하우징 고정부재와,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차체에 결합되며,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를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하우징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탄성 지지부는,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가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에 가이드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는, 중앙부에 상기 숫하우징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 탄성 지지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 탄성 지지부의 유동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이동 결합홀부가 형성되는 이동브래킷와, 상기 이동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의 접속정렬부재에 삽입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탄성 지지부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며,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차체 고정판부재와, 상기 차체 고정판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탄성 지지판부재와, 상기 차체 고정판부재와 상기 탄성 지지판부재를 결합하며, 상기 탄성 지지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고정부재와,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의 이동 결합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체 고정판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차체와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암하우징과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숫하우징을 결합할 때 적정한 압력으로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공차에 의해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더라도 그 위치를 보정하면서 정확하게 결합하여 접속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하우징 고정부와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접속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하우징 고정부와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접속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100)는 숫하우징(110)과 암하우징(120)을 용이하고 안정되게 접속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암하우징 고정부(130)와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숫하우징(110)은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에 결합되고, 암하우징(120)은 암하우징 고정부(130)에 결합된다. 또한, 숫하우징(110)과 암하우징(120)은 차체(10) 및 배터리팩(20)에 각각 결합되며, 차체(10)를 배터리팩(20)에 근접시킴에 따라 접속되고, 차체(10)를 배터리팩(20)에서 이격시킴에 따라 분리된다.
암하우징 고정부(130)는 차체(10)와 배터리팩(2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배터리팩(20)에 결합되며, 내부에 암하우징(120)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암하우징 고정부(130)는 볼트를 통해 배터리팩(20)에 결합되는 베이스 브래킷(131)과,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의 정렬을 위한 접속정렬부재(133)를 포함한다.
*베이스 브래킷(131)은 암하우징(12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하우징 장착부재(131a)가 돌출 형성되고, 테두리부에 접속정렬부재(133)가 구비된다. 하우징 장착부재(131a)는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에 삽입되면서 암하우징(120)과 숫하우징(110)의 접속을 가이드한다. 이때, 암하우징(120)은 하우징 장착부재(131a)를 관통하여 배터리팩(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정렬부재(133)는 베이스 브래킷(1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접속위치에서 벗어난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를 접속위치로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접속정렬부재(133)는 베이스 브래킷(131)에서 돌출 형성되는 보스부재(133a)와, 보스부재(133a)에 형성되는 결합홈부(133b)와, 결합홈부(133b)에서 확장 형성되는 가이드경사면(133c)을 구비한다.
보스부재(133a)는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와 결합된다.
결합홈부(133b)는 보스부재(133a)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가이드경사면(133c)은 결합홈부(133b)의 상단부 내면에서 외측으로 확장형성되며, 결합위치에서 벗어난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를 결합홈부(133b)로 가이드한다. 예를 들어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는 가이드경사면(133c)에 의해 결합홈부(133b)로 가이드되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렬부재(133)는 베이스 브래킷(131)의 모서리부에 4개 구비될 수 있다.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는, 숫하우징(110)이 고정되며, 차체(10)와 배터리팩(20)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는 차체(10)에 고정되어 암하우징 고정부(130)에 가이드되면서 숫하우징(110)을 암하우징(120)에 접속시킨다. 이때,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는 암하우징 고정부(130)의 위치에 따라 숫하우징(11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는 숫하우징(110)이 장착되며 베이스 브래킷(131)과 선택적으로 조립 및 분리되는 숫하우징 고정부재(150)와, 차체(10)에 결합되며 숫하우징 고정부재(15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탄성 지지부(160)를 포함한다.
이때,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는 암하우징(120)과 조립되는 숫하우징(110)을 접속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에 따라, 숫하우징(110)이 암하우징(120)에 특정한 압력으로 안정되게 접속되어 숫하우징(110)과 암하우징(120)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숫하우징 고정부재(150)는 중앙부에 숫하우징(110)이 장착되며, 접속정렬부재(133)에 가이드됨에 따라 하우징 탄성 지지부(160)에서 위치가 보정되면서 숫하우징(110)을 암하우징(120)에 접속시킨다. 이를 위하여 숫하우징 고정부재(150)는 하우징 탄성 지지부(16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브래킷(151)과 이동브래킷(151)을 숫하우징(110)의 접속위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핀(153)을 포함한다.
이동브래킷(151)은 베이스 브래킷(131)에 결합되면서 숫하우징(110)과 암하우징(120)을 접속시키며, 하우징 탄성 지지부(16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암하우징(120)에 접속되는 숫하우징(110)을 특정압력으로 접속시킨다.
이러한 이동브래킷(151)은 숫하우징(110)이 장착되는 하우징 결합부재(151a)가 중앙부에 구비되고, 하우징 결합부재(151a)의 양측에 이동 결합홀부(151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이동브래킷(151)은 하우징 탄성 지지부(16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 결합홀부(151b)를 통해 하우징 탄성 지지부(160)와 결합된다.
가이드핀(153)은 이동브래킷(151)의 모서리부에 4개가 돌출 형성되어 접속정렬부재(13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핀(153)은 숫하우징(110)과 암하우징(120)의 조립 공차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단부에 가이드면(153a)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핀(153)의 가이드면(153a) 길이와 접속정렬부재(133)의 가이드경사면(133c) 길이만큼 차체(10)와 배터리팩(20) 사이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를 보정할 수 있다.
하우징 탄성 지지부(160)는 숫하우징 고정부재(150)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차체(10)에 결합되며, 암하우징 고정부(130)에 조립되는 숫하우징 고정부재(150)를 암하우징 고정부(130)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 탄성 지지부(160)는, 볼트를 통해 차체(10)에 결합되는 차체 고정판부재(161)와, 차체 고정판부재(161)에 탄성 지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지지판부재(163)와, 탄성 지지판부재(163)를 차체 고정판부재(161)에 고정하는 탄성 고정부재(165)와, 숫하우징 고정부재(150)를 하우징 탄성 지지부(16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유동 가이드부재(167)를 포함한다.
차체 고정판부재(161)는 중앙부에 숫하우징(110)이 관통하며, 숫하우징 고정부재(150)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이동공간부(16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차체 고정판부재(161)는 탄성 고정부재(165)를 통해 탄성 지지판부재(163)가 이격되게 결합된다.
탄성 지지판부재(163)는 차체 고정판부재(161)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탄성 고정부재(165)에 의해 차체 고정판부재(161)에 탄성 지지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 지지판부재(163)는 하우징 결합부재(151a)가 관통하는 관통홀부(163a)가 형성되고, 관통홀부(163a)의 외측으로 탄성 고정부재(165)가 결합되는 체결핀(163b)이 일체로 형성된다. 체결핀(163b)에는 나사가 형성된다.
탄성 고정부재(165)는 차체 고정판부재(161)와 탄성 지지판부재(163) 사이에 위치하도록 체결핀(163b)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재(165a)와, 체결핀(163b)에 체결되어 차체 고정판부재(161)와 탄성 지지판부재(163)를 고정하는 롱너트(165b)를 구비한다. 롱너트(165b)는 차체 고정판부재(161)를 관통하여 체결핀(163b)에 결합되며 상단부가 차체 고정판부재(161)의 상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탄성 고정부재(165)는 이동브래킷(151)이 베이스 브래킷(131)에 조립됨에 따라 차체(10)측으로 이동되는 탄성 지지판부재(163)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한편, 차체 고정판부재(161)의 하면 및 탄성 지지판부재(165)의 상면에는 스프링부재(165a)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스프링부재(165a)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스프링 안착관(161b, 163c)이 각각 형성된다.
유동 가이드부재(167)는 숫하우징 고정부재(150)의 이동 결합홀부(151b)를 관통하여 차체 고정판부재(161)에 결합되며, 숫하우징 고정부재(15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부재(167)는 이동 결합홀부(151b)를 관통하여 차체 고정판부재(161)에 삽입되는 고정핀(167a)과, 차체 고정판부재(161)의 상측에서 고정핀(167a)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67b)와, 고정핀(167a)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브래킷(151)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167c)를 구비한다.
또한, 유동 가이드부재(167)는 고정핀(167a)의 직경과 이동 결합홀부(151b)의 직경 차이가 암하우징(120)과 숫하우징(110)의 조립 공차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를 이동브래킷(151)이 고정핀(167a)에 지지되어 이동되면서 암하우징(120)과 숫하우징(110)의 조립 공차를 보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차체(10)와 배터리팩(20)을 접속할 수 있도록 차체(10)를 배터리팩(2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차체(10)에는 숫하우징(110)이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를 통해 결합되고, 배터리팩(20)에는 암하우징(120)이 암하우징 고정부(130)에 의해 결합되며, 차체(10)와 배터리팩(20)의 조립 공차에 의해 암하우징 고정부(130)와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140)가 정확한 조립위치로 정렬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터리팩(20)을 차체(10)로 이동하면 가이드경사면(133c)이 가이드핀(153)의 가이드면(153a)에 접촉되어 가이드되면서 이동브래킷(151)이 하우징 탄성 지지부(160)에서 이동되어 결합홈부(133b)의 중심과 가이드핀(153)의 중심이 정확하게 정렬된다.
그리고, 배터리팩(20)을 차체(10)로 더 이동하면 결합홈부(133b)와 가이드핀(153)이 완전하게 결합되면서 암하우징(120)과 숫하우징(110)이 접속된다. 이후 배터리팩(20)이 차체(10)로 완전하게 이동하면 스프링부재(165a)가 압축되면서 이동브래킷(151)을 베이스 브래킷(131)측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숫하우징(110)과 암하우징(120)의 접속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110 : 숫하우징
120 : 암하우징 130 : 암하우징 고정부
131 : 베이스 브래킷 133 : 접속정력부재
140 :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 150 : 숫하우징 고정부재
151 : 이동브래킷 151a : 하우징 결합부재
151b : 이동 결합홀부 153 : 가이드핀
160 : 하우징 탄성 지지부 161 : 차체 고정판부재
163 : 탄성 지지판부재 165 : 탄성 고정부재
167 : 유동 가이드부재

Claims (6)

  1. 숫하우징; 상기 숫하우징과 선택적으로 조립 또는 분리되는 암하우징; 상기 암하우징을 차체와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암하우징 고정부; 및 상기 숫하우징을 상기 차체와 상기 배터리팩 중 다른 하나에 고정하며,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암하우징에 조립되는 상기 숫하우징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암하우징과 조립되는 상기 숫하우징을 접속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는, 상기 숫하우징이 결합되며,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에 가이드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숫하우징을 상기 암하우징에 접속하는 숫하우징 고정부재; 및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차체에 결합되며,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를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하우징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탄성 지지부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며,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차체 고정판부재; 상기 차체 고정판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탄성 지지판부재; 상기 차체 고정판부재와 상기 탄성 지지판부재를 결합하며, 상기 탄성 지지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고정부재; 및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의 이동 결합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체 고정판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판부재는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의 하우징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는, 상기 배터리팩에 결합되며, 상기 암하우징이 고정되는 베이스 브래킷; 및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구비되어 상기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를 접속위치로 가이드하는 접속정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래킷은, 상기 암하우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우징 장착부재가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렬부재는, 상기 숫하우징 위치조절 접속부가 결합되는 보스부재;
    상기 보스부재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의 상단부 내면에서 외측으로 확장형성되는 가이드경사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탄성 지지부는,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가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에 가이드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하우징 고정부재는, 중앙부에 상기 숫하우징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 탄성 지지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 탄성 지지부의 유동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이동 결합홀부가 형성되는 이동브래킷; 및
    상기 이동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암하우징 고정부의 접속정렬부재에 삽입되는 가이드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190031497A 2019-03-19 2019-03-19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01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97A KR102001083B1 (ko) 2019-03-19 2019-03-19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97A KR102001083B1 (ko) 2019-03-19 2019-03-19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295A Division KR101969996B1 (ko) 2017-10-31 2017-10-31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635A KR20190049635A (ko) 2019-05-09
KR102001083B1 true KR102001083B1 (ko) 2019-07-18

Family

ID=6654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497A KR102001083B1 (ko) 2019-03-19 2019-03-19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0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3470A (ja) 2008-09-19 2012-02-02 ベター プレイス ,ゲーエムベーハー 電動車両にバッテリーを電気的に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3470A (ja) 2008-09-19 2012-02-02 ベター プレイス ,ゲーエムベーハー 電動車両にバッテリーを電気的に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5028939A (ja) 2008-09-19 2015-02-12 ルノー エス.ア.エス. 電動車両にバッテリーを電気的に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635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087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01086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US11417968B2 (en) Pluggable module connector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onductively connecting at least two battery modules
CA2683734A1 (en) Modular toy vehicle
KR102001088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1969996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1830421B1 (ko) 차량용 커넥터
US10062975B2 (en) Battery connector
KR102001083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01089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01082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01080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01085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01084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01081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KR102001090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N107438922A (zh) 电气插塞连接件
EP3637561B1 (en) Docking structure between vehicle body and battery
KR101879868B1 (ko) 커넥터용 터미널 고정장치
CN103430385B (zh) 特别是用于车辆控制器的直接插塞元件
US9484170B2 (en) Fuse securing structure for power source circuit cutoff device
CN210535936U (zh) 伺服驱动装置
US6786735B2 (en) Wireless electrical connection for components mounted on a movable truck bed
JP5303251B2 (ja) 給電部材および車両用灯具
KR101830423B1 (ko) 차량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