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527B1 - Support platform module, floating garbage bl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upport platform module, floating garbage bl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527B1
KR102000527B1 KR1020170103625A KR20170103625A KR102000527B1 KR 102000527 B1 KR102000527 B1 KR 102000527B1 KR 1020170103625 A KR1020170103625 A KR 1020170103625A KR 20170103625 A KR20170103625 A KR 20170103625A KR 102000527 B1 KR102000527 B1 KR 10200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garbage
sea
floating
mooring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8904A (en
Inventor
강효동
원종화
김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어시스
Priority to KR102017010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527B1/en
Publication of KR2019001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5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류플랫폼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유쓰레기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계류플랫폼모듈은 해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계류하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둘 이상의 계류플랫폼모듈, 이웃하는 상기 계류플랫폼모듈을 서로 연결시켜 해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는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을 따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구비되는 차단막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platform module and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loating garbage having the same, wherein the mooring platform module is two or more mooring platform modules that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a and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mooring platform adjacent to the mooring platfor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cking film for connecting the modules to each other to block the floating garbage at sea and a blocking film support provid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blocking film.

Description

계류플랫폼모듈,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및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 {Support platform module, floating garbage bl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thereof}Mooring platform module,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Support platform module, floating garbage bl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본 발명은 계류플랫폼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유쓰레기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으로 유입되는 쓰레기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로서, 해상의 일정 영역에서 계류하는 계류플랫폼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부유쓰레기 차단효과를 극대화시킨 계류플랫폼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유쓰레기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platform module and a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used to block wastes, etc. flowing into the ocean. It relates to a mooring platform module that maximizes the effect of suspended waste blocking by using and a suspended waste blocking device having the same.

최근 해양에서 부유하는 쓰레기가 급증하고 있으며, 연간 800만 톤 이상의 쓰레기가 하천을 통해 해양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 쓰레기가 방치될 경우 해저면에 침적되어 수중 생물의 번식 및 정착을 방해하며, 플라스틱 등 고분자 화합물은 파랑 및 태양광에 의하여 미세 입자로 분해되어 생태계 파괴 및 오염의 원인이 된다. 국내의 경우 매년 18만 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발생량의 30% 미만으로 추정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floating garbage from the ocean is rapidly increasing, and more than 8 million tons of waste are introduced into the ocean through the rivers a year. When these marine debris is left, it is deposited on the sea floor and prevents the reproduction and settlement of aquatic organisms. Polymer compounds such as plastics are decomposed into fine particles by blue and solar light, causing ecosystem destruction and pollution. In Korea, 180,000 tons of marine debris is generated annually, which is estimated to be less than 30% of the total generation.

전술한 해양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부유식 차단막을 활용한 태평양 쓰레기 섬(Great Pacific Garbage Patch) 수거 및 처리 논의를 시작으로 해양 부유쓰레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2001년 이후로 한강 및 영산강, 섬진강 유역 6개소에서 차단막이 사용되고 있으나 실적이 미비하다.Interest in marine debris is increasing, beginning with discussions on the collection and disposal of the Pacific Pacific Garbage Patch, which utilizes floating barriers to remove the aforementioned marine debris. Meanwhile, since 2001, barriers have been used in the Han,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since 2001, but the results are poor.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해상 부유쓰레기를 차단하는 차단막에 요구되는 주요성능은 해상/하상 환경 및 부유쓰레기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저항하는 강도와 위치 유지에 대한 안정성 등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국내외 주요 제품들은 정수(still water) 상태에서 ‘부유물 차집 기능’에 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main performance required for the shielding film to block marine floating garbage may include strength and stability to maintain position and resistance to the load generated by the marine / floating environment and the floating garbage. However, domestic and overseas major products are focused on the 'floating feature collection function' in still water (still water).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제품은 일반적으로 환경 및 부유물 하중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수평식 붐(boom)과 유연한 그물망 구조로 구성되어 해상에서 요구되는 내구성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유실되거나 파손되어 그 자체로 해양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That is, the produc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generally do not consider the environment and the floating load, consisting of a horizontal boom (boom) and a flexible net structure does not meet the durability required at sea, lost or damaged It is itself a cause of marine pollution.

전술한 붐(boom) 형태의 부유쓰레기 수거 설비는 비용대비 경제적(positive cost-benefit ratio)이나, 새로운 형태의 장비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종래 국내에서 사용된 쓰레기 차단막(boom type)은 해상 상태와 유입 쓰레기의 특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어 정상상태 사용에도 파손되거나 유실되어, 그 자체가 또 다른 해양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boom-type suspended waste collection facility has a positive cost-benefit ratio, but it is urgent to develop a new type of equipment. Conventionally, the boom type used in Korea is designed without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s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owing waste, and is damaged or lost even in the use of the normal state, which is another cause of marine pollution.

종래 사용되고 있는 쓰레기 차단막은 붐(Boom) 형태의 구조로 파력, 조력, 풍하중과 같은 해상환경하중에 취약하여 그 설치 위치를 특정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해 제품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황천(荒天) 시에는 설치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Conventionally used garbage barrier has a boom-type structure, which is vulnerable to marine environmental loads such as wave force, tidal force, and wind load, making it difficult to specify its installation location. ), The installation itself is impossible.

도 7의 (a)는 태풍과 같은 기상악화로 인한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 차단막(300')이 파손 및 훼손되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고 막대한 경제적, 환경적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의 (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 차단막이 유실되어 주변 해안가에 쓰레기 상태(10')로 방치되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2차적 폐기물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FIG. 7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ash barrier 3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due to bad weather such as a typhoon is damaged and damaged, which does not function normally and causes enormous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7 (b) is a photograph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econdary waste is increased at the same time as the waste blocking fil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ost and left in a garbage state (10 ') on the surrounding shore, adversely affecting the marine ecosystem.

본 발명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해양 부유쓰레기의 확산 방지를 위한 해양플랜트 설계 기술을 접목한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며, 환경 하중을 고려한 반영구적인(Semi-permanent) 계류 시스템(Mooring system)을 가지는 계류플랫폼모듈을 구비한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incorporating a marine plant design technology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marine floating garbage, which has been recently increased, and has a semi-permanent mooring system considering environmental load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having a mooring platform module.

이 경우, 상기 계류플랫폼모듈은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차단막 및 지지대구조, 환경 하중 및 부유쓰레기에 의한 표류력을 고려한 계류부와, 실시간 부유쓰레기의 유입과 부유쓰레기양을 계측하는 영상촬영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oring platform module is a mooring part considering the barrier and support structure, the environmental load and the drift force caused by the floating garbage, and the image of measuring the inflow and the amount of the floating garbage in real tim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계류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계류플랫폼; 해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는 차단막이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계류플랫폼을 해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계류시키는 계류부; 상기 계류플랫폼에 부력을 제공하는 밸러스트 유닛; 상기 밸러스트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밸러스트 유닛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플랫폼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oring platform moor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 and at least a portion exposed to the sea surface; A connection portion to which a barrier for blocking floating garbage at sea is connected; A mooring portion for mooring the mooring platform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ea; A ballast unit providing buoyancy to the mooring platform;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ballast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a ballast unit. The mooring platform module may include a mooring platform module.

또한, 상기 쓰레기에 의해 상기 차단막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쓰레기의 수집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감지부와, 상기 수집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tension acting on the barrier film by the rubbish and obtain the collected amount data of the rubbish, and a transmission unit to transmit the collected amount data.

이 경우, 상기 계류플랫폼에 구비되어 해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와,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oring platform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acquiring image data by capturing the sea,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그리고,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상기 계류플랫폼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oring platform.

여기서, 상기 계류부는 해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계류앵커 및 상기 계류앵커와 상기 계류플랫폼을 연결하는 계류선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mooring portion may include one or more mooring anchor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abed, and a mooring line connecting the mooring anchor and the mooring platform.

또한, 상기 전원부는 밧데리로 구성되거나 또는 태양광 발전기, 파력 발전기, 조력 발전기, 해수온도차 발전기, 소형 풍력 발전기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상 재생에너지 발전기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mposed of a battery or a marine renewable energy generator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olar generator, wave power generator, tidal generator, seawater temperature generator, small wind generator.

그리고, 상기 계류플랫폼은 해수에 의한 부식방지재질로 제작되거나, 부식방지액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해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음극방식장치(cathodic protection system)를 구비할 수 있다.The mooring platform may be made of a corrosion resistant material by seawater, coated with a corrosion inhibitor, or may be provided with a cathodic protection system for preventing corrosion by seawater.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계류하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둘 이상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계류플랫폼모듈; 이웃하는 상기 계류플랫폼모듈을 서로 연결시켜 해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는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을 따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구비되는 차단막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oring platform module of any one of claims 1 to 7 which are spa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oor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 Blocking film to block the floating floating in the sea by connecting the adjacent mooring platform modules with each other; And a blocking film suppor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blocking film.

이 경우, 해상으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를 감지하는 쓰레기 감지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further include a garbage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floating garbage flowing into the sea.

그리고,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는 상기 계류플랫폼모듈 또는 상기 부유 쓰레기가 유입되는 해상에 인접한 육지에 설치할 수 있다.The waste detection device may be installed on land adjacent to the sea where the mooring platform module or the floating waste flows.

여기서,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는 상기 계류플랫폼모듈에 구비되어 해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와,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계류플랫폼모듈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표시 또는 저장하는 중앙제어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garbage detect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mooring platform module to display the image to obtain the image data to take the image, th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nd display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mooring platform module or A central control unit for storing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상 부유쓰레기를 차단하는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에 있어서, 해상의 미리 정해진 지역에 둘 이상의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계류플랫폼모듈을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시켜 설치하는 단계; 부유쓰레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부유쓰레기가 감지된 경우에 차단막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rine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for blocking marine floating garbage, the mooring platform module of any one of claims 1 to 8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 Installing by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Detecting suspended garbage; When the floating garbage is detected it can provide a marine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 blocking film.

그리고, 상기 차단막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이웃하는 상기 계류플랫폼모듈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차단막을 설치할 수 있다.And,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blocking film, the blocking film may be installed to connect the adjacent mooring platform modules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차단막에 의해 차집된 부유쓰레기의 만재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부유쓰레기가 만재된 경우에는 상기 부유쓰레기를 수집하여 버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whether the floating garbage collected by the blocking membrane is full, and collecting the floating garbage when the floating garbage is loaded.

이 경우, 상기 부유쓰레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막을 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uspended garbage is not detec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assembling the barrier layer.

본 발명의 부유쓰레기 차단장치에 따르면 부유쓰레기 차단막의 새로운 기술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uspended garbage b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pose a new technical solution of the suspended garbage shield.

최근 상황을 살펴보면, 해상 부유쓰레기의 확산에 따른 도서 지역의 쓰레기 수거를 위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부유 쓰레기가 해안으로 확산되기 전 조기수거가 가능해지며, 이로 인해 도서 지역 쓰레기 수거 및 처리비용 절감할 수 있다.Looking at the recent situation, there is a huge cost for waste collection in the island area due to the spread of marine floating garbage. Therefore, by using the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early before the floating garbage is spread to the shore, thereby reducing waste collection and disposal costs in the island region.

또한, 스트로폼 부표를 이용하는 대규모 양식업이 발달한 국내뿐만 아니라 하절기 태풍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며 양식업을 영위하고 있는 동남아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해외 시장 개척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overseas markets targeting Southeast Asian countries that are located in the migration route of typhoons in summer as well as in Korea, where large-scale aquaculture using straw foam buoys is developed.

나아가, 해상 부유쓰레기로 인한 수산업 및 해운산업의 경제적 피해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상악화로 발생하는 차단막 구조물의 파손의 가능성을 현저히 낮춤으로써, 유지 보수비용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conomic damage of the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y due to marine floating garbage, and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membrane structure caused by bad weather,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또한, 해상 부유쓰레기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수생태계 보존 및 환경오염 방지 등 해양 환경보전에 적극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tively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such as the preservation of aquatic ecosystems and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preventing the spread of marine suspended garb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플랫폼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플랫폼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mooring platform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ooring platform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showing a marine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a marine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uspended garba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가 해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spended garbage block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sea.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는 해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계류하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둘 이상의 계류플랫폼모듈(100)과,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을 서로 연결시켜 해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10)를 차단하는 차단막(300)과, 상기 차단막(300)을 따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구비되는 차단막 지지대(20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1000 includes two or more mooring platform modules 100 and mooring platform modules 100 that are moor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 and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barrier layer 300 is connected to block the floating garbage 10 at sea, and the barrier membrane support 200 is provided along the barrier layer 3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각각의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은 해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계류하도록 구성된다. Each mooring platform module 100 is configured to mo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sea.

이 경우, 해상으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를 감지하기 위하여 쓰레기 감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는 부유 쓰레기가 해상으로 유입되는 육지 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에 구비되거나, 더 나아가 인공위성(촬영 이미지)이 활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garbage detection device may be provided to detect floating garbage flowing into the sea. The garbage detection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land side where floating garbage flows into the sea, or may be provided in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as described below, or further, an artificial satellite (photographed image) may be utilized.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는 예를 들면, 영상촬영장치 또는 레이더 탐지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garbage detection device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or a radar detector.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1400)의 예로서 레이더가 사용된 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radar is used as an example of the garbage detection device 14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1400)에 의해 해상으로 유입되는 부유쓰레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차단막(300)을 설치하게 된다.The blocking film 300 is installed b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floating garbage flowing into the sea by the garbage detecting device 1400.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1400)를 통해 일정 량의 부유 쓰레기가 감지되면 설치선을 출항시켜 해상에 계류중인 복수 개의 계류플랫폼모듈(100) 사이에 차단막(300)과 차단막 지지대(200)를 설치하여 연결하는 설치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When a certain amount of floating garbage is detected through the garbage detection device 1400, the installation line is departed and installed by connecting the barrier membrane 300 and the barrier membrane support member 200 between the plurality of mooring platform modules mooring at sea.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차단막(300)과 차단막 지지대(200)의 설치 방법은 설치선 이외에도 차단막 등을 계류플랫폼모듈(100)에 구비하여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barrier membrane 300 and the barrier membrane support 200 may be used to automatically install the barrier membrane in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lin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에서는 종래와 같이 해상에서 부유하는 방식의 차단장치가 아니라 해상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계류(mooring)하는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해상 부유쓰레기의 유무에 따라 신속하게 차단막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mploying a system for moor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ea rather than the blocking device of the floating method as in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oating garbage in the sea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stalling a barrier.

예를 들어, 하천 등에서 해양으로 유입되는 부유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이 하천의 하류가 해양과 연결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하천을 통해 해양으로 유입될 수 있는 부유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is installed in an area in which the downstream of the stream is connected to the ocean so as to block the floating garbage flowing into the ocean from the river, such that the floating garbage can flow into the ocean through the river. You can prevent i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에 포함되는 계류플랫폼모듈(100)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included in the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은 해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계류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계류플랫폼(120), 해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는 차단막(300)이 연결되는 연결부(160), 상기 계류플랫폼(120)을 해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계류시키는 계류부(140), 상기 계류플랫폼(120)에 부력을 제공하는 밸러스트 유닛(170), 상기 밸러스트 유닛(170)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및 상기 제어부(190)와 밸러스트 유닛(17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is moor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 and the mooring platform 120,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exposed above the sea surface,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film 300 for blocking garbage floating at sea Mooring unit 140 for mooring the connection portion 160, the mooring platform 1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ea, ballast unit 170 for providing buoyancy to the mooring platform 120, the ballast unit 170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and the power supply unit 13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190 and the ballast unit 170 may be provided.

상기 계류플랫폼(120)은 해수면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지 않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류플랫폼(120)은 해상에서 계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계류플랫폼(120)이 잠기는 해수면(500)의 높이(H)는 상기 계류플랫폼(120)이 계류하는 위치에 따라 변화하게 되며, 예를 들어 대략 15m 내지 50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The mooring platform 120 may be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 surface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mooring surface is not submerged. At this time, the mooring platform 120 is arranged to moor at sea. The height H of the sea level 500 in which the mooring platform 120 is locke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oring position of the mooring platform 120, and may have a height of about 15 m to 50 m, for example.

상기 계류플랫폼(120)은 해수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CFRP :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GFRP :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로 제작되거나, 또는 스틸(steel) 등으로 제작된 후 부식방지액으로 코팅이 되어 제작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음극방식장치 (cathodic protection system)를 부착하여, 계류플랫폼의 부식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한다. The mooring platform 120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corrosion by sea water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or made of steel (steel) and then coated with a corrosion inhibitor This can be produced. In addition, by attaching a cathodic protection system that can prevent corrosion, to prevent corrosion of mooring platforms in advance.

상기 계류플랫폼(120)은 상기 차단막(300)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160)를 구비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류플랫폼(120)의 상단부가 해수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계류플랫폼(120)의 하단부가 해수면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mooring platform 120 has a connecting portion 160 to which the blocking film 300 can be connected, and may have a cylindrical pipe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refore, the upper end of the mooring platform 120 may protrude from the sea surface, the lower end of the mooring platform 120 may be arranged to be submerged in the sea surface.

한편, 계류부(140)는 상기 계류플랫폼(120)이 해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계류(mooring)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mooring unit 140 is configured to moor the mooring platform 1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ea.

이 경우, 상기 계류부(140)는 해저(6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계류앵커(150), 상기 계류앵커(150)와 상기 계류플랫폼(120)을 연결하는 계류선(141)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oring part 140 is a mooring line 141 connecting one or more mooring anchors 150, the mooring anchors 150 and the mooring platform 120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abed 600. It can be provided.

상기 계류앵커(150)는 해저(600) 또는 해저의 암반 등에 고정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또는 스틸(steel)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계류앵커(150)는 상기 계류플랫폼(120)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여 부유하지 않도록 상기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mooring anchor 150 may be fixed to the seabed 600 or a rock of the seabed, and may be made of concrete or steel. In this case, the mooring anchor 150 may be firmly fixed to the sea floor so that the mooring platform 120 does not float away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계류앵커(150)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계류플랫폼(120)의 계류 영역의 범위가 너무 넓어지지 않도록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류앵커(150)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어질수록 상기 계류플랫폼(120)의 계류 영역의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이다.One or more mooring anchors 150 may be installed. Two or more mooring anchors 150 are preferably installed,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range of the mooring region of the mooring platform 120 is not too wide. Do. This is because the smaller the number of mooring anchors 150 is, the wider the range of mooring regions of the mooring platform 120 is.

상기 계류플랫폼(120)에는 페어리드(fairlead) 또는 후크(hook)와 같은 고정부(122)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122)와 계류앵커(150)를 계류선(141)이 서로 연결하여 상기 계류플랫폼(120)이 상기 계류앵커(150)에 연결되어 계류하게 된다.The mooring platform 120 is provided with a fixing part 122 such as a fairlead or a hook, and the mooring line 141 connects the fixing part 122 and the mooring anchor 150 to each other. The mooring platform 120 is connected to the mooring anchor 150 to moor.

상기 계류선(141)은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그 재질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틸 와이어(steel wire) 또는 스틸 체인(steel chai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해수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식방지액으로 코팅이 되어 제작될 수 있다. The mooring line 141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a load appli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steel wire or steel chain. Even in this case, the coating may be manufactured with a corrosion preventing solution so that corrosion by seawater does not occur.

한편, 상기 계류선(141)의 연결방법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카테너리계류(catenary mooring) 방식 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세미-타우트(semi-taut) 방식 등을 포함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mooring line 141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cluding a relatively long catenary mooring method or a relatively short semi-taut method.

한편, 상기 계류플랫폼(120)에는 미리 결정된 부력을 제공하는 밸러스트 유닛(170)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oring platform 120 may be provided with a ballast unit 170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buoyancy.

상기 밸러스트 유닛(170)은 상기 계류플랫폼(120)에 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계류플랫폼(170)이 해수에 잠기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밸러스트 유닛(170)은 밸러스트 평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밸러스트 탱크(171)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171)로 상기 밸러스트 평형수가 유입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유입밸브(176)와 상기 밸러스트 평형수가 유출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유출밸브(174)와, 상기 밸러스트 평형수의 유입 및 유출을 수행하는 펌프(172)를 구비할 수 있다.The ballast unit 17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buoyancy to the mooring platform 12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mooring platform 170 submerged in seawater. For example, the ballast unit 170 is a ballast tank 171, the ballast ballast water is introduced and stored, and the inlet valve 176 and the ballast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ballast ballast water flows into the ballast tank 171. An outlet valve 174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allow the ballast water to flow out, and a pump 172 for perform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ballast ballast water.

따라서, 제어부(190)는 상기 밸러스트 유닛(170)을 제어하여 상기 계류플랫폼(120)에 적절히 부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밸브(176)를 개방하고 상기 펌프(172)를 구동시켜 상기 밸러스트 탱크(171)로 상기 밸러스트 평형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밸브(174)를 개방하고 상기 펌프(172)를 구동시켜 상기 밸러스트 탱크(171)에서 상기 밸러스트 평형수를 유출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ballast unit 170 to provide buoyancy to the mooring platform 120 appropriately. Specifically, the ballast ballast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ballast tank 171 by opening the inlet valve 176 and driving the pump 172. In addition, the ballast ballast wat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ballast tank 171 by opening the outlet valve 174 and driving the pump 172.

한편, 상기 계류플랫폼(120)에는 전술한 제어부(190), 밸러스트 유닛(170)을 비롯한 각종 전자장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oring platform 12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30 for supplying power to a variety of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the control unit 190, the ballast unit 170 described above.

상기 전원부(130)는 상기 계류플랫폼(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해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각종 전자장비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ooring platform 120 to supply power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without being affected by seawater.

상기 전원부(130)는 밧데리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밧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전원부(130)가 밧데리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소정시간 사용 후에 상기 밧데리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상기 계류플랫폼(120)이 해상에서 계류하도록 설치되므로 이러한 교체 작업은 매우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밧데리의 교체 동안에 상기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의 각종 전자장비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부유쓰레기의 효과적인 수집이 곤란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ttery, etc. may supply power through the battery. However, when the power supply unit 130 is composed of a battery or the lik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replacing the battery after a predetermined time of use. In particular, since the mooring platform 120 is installed to be mooring at sea, such replacement work may be very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In addition, during the replacement of the battery, various electronic equipment of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may become inoperable,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effectively collect the garbage.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부(130)를 구성하는 경우에 해상에서 개발 가능한 재생에너지 발전기로 전원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태양광 수집기(132)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기의 형태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전원부(130)는 해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130)는 태양광 발전기, 파력 발전기, 조력 발전기, 해수온도차 발전기, 소형 풍력 발전기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상 재생에너지 발전기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when configuring the power supply unit 130,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as a renewable energy generator that can be developed at sea. Although shown in the form of a photovoltaic generator using the solar collector 132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include a generator using renewable energy that can be utilized at sea.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an offshore renewable energy generator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olar generator, a wave generator, an tidal generator, a seawater temperature generator, and a small wind generator.

이 경우, 상기 전원부의 교체/교환을 위한 작업이 줄어들게 되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나아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work for replacing / exchanging the power supply unit is reduced, maintenance is easy, and since renewable energy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원부(130)는 육지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130)는 육지에서 연결된 해저 또는 해상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receive power from the land.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seabed or a sea cable (not shown) connected on land.

한편, 상기 계류플랫폼(120)에 구비된 상기 연결부(160)에 전술한 차단막(300)이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차단막(300)에 의해 차집된 부유쓰레기가 점차 증가하여 만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막(300)에 의해 차집된 부유쓰레기를 수집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단막(300)에 의해 부유쓰레기를 차집하는 경우에 상기 부유쓰레기의 만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165)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mentioned blocking film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60 provided in the mooring platform 120, the suspended garbage collected by the blocking film 300 may be gradually increased and loade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remove the floating garbage collected by the blocking film 300. To this end, in the case of collecting the floating garbage by the blocking film 300, it may be provided with a detection unit 165 that can detect whether the floating garbage is full.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165)는 상기 부유쓰레기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단막(300)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부유쓰레기의 수집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집량 데이터는 전송부(112)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ctor 165 may acquire a collection amount data of the suspended garbage by detecting a tension acting on the blocking film 300 generated by the suspended garbage. In this case, the collection amoun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worker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112.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전송부(112)를 통해 전송된 수집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부유쓰레기의 만재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부유쓰레기가 만재된 경우에 청항선 등의 선박 등을 파견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부유쓰레기 만재판단은 중앙제어장치 등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부(112)를 통해 전송된 장력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부유쓰레기가 만재된 것으로 판단하고, 선박 등의 호출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analyzes the collection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112 to determine whether the floating garbage is full, and when the floating garbage is loaded, it is possible to dispatch a ship such as a cruise ship. On the other hand, this floating garbage-loaded judgment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a central control unit. For example, by comparing the tension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112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suspended garbage is loaded when the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and may be used as a call signal of a ship or the lik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계류플랫폼(100) 상부에는 야간 선박 운항을 위한 점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ooring platform 100 may include a lighting device for operating a night ship.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플랫폼모듈(100)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전술한 쓰레기 감지장치가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mooring platform modu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above-described waste detection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Hereinafter,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은 해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계류하도록 구성되며, 해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is configured to mo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a, and is configured to acquire the image data by capturing the sea and to transmit the image data.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는 육지 또는 선박 등에 위치한 중앙제어장치(400)로 전송된다. 이 경우, 상기 중앙제어장치(400)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저장할 수 있다.Image data obtained from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400 located on land or a ship.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400 may display or store the image data.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는 영상촬상장치 또는 레이더 등일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쓰레기 감지장치는 상기 계류플랫폼(120)에 구비되어 해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110)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described above, the garbage detecting apparatus may be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or a radar, and the garbage detect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4 is provided in the mooring platform 120 to photograph the sea image data. It may be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to obtain a.

상기 영상촬영장치(110)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데이터는 전술한 전송부(112)를 통해 상기 중앙제어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image data obtained by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400 through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unit 112.

상기 영상촬영장치(110)는 해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시간 동영상 촬영을 위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또는 정지 이미지 촬상을 위한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10 may acquire image data by capturing the sea, and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for real-time video recording or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still images.

이 경우, 해상에 설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영상촬영장치(110)는 해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해상촬영이 가능한 촬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전원부(130)는 상기 영상촬영장치(1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동일한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in consideration of being installed at sea,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seawater, or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taking a sea image.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supply power to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10.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FIG. 2 have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를 설치하여 부유쓰레기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llecting the floating garbage by installing the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10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의 설치방법은 해상의 미리 정해진 지역에 둘 이상의 계류플랫폼모듈(100)을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시켜 설치하는 단계(S410), 부유쓰레기를 감지하는 단계(S420), 상기 부유쓰레기(10)가 감지된 경우에 차단막(300)을 설치하는 단계(S4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1000 may include installing two or more mooring platform modules 1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 (S410), and detecting floating garbage. In operation S420, when the floating garbage 10 is detected, the method may include installing the blocking film 300 (S430).

먼저, 하천 등에서 해양으로 유입되는 부유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하천의 하류가 해양과 연결되는 영역 등에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을 설치하게 된다.First,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is installed in an area in which a downstream of the river is connected to the ocean in order to block floating garbage flowing into the ocean from a river or the like.

이 경우,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단막(3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막(300)을 설치하여 상기 부유쓰레기(10)를 수집하기에 적절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may be installed at least two to install the blocking film 30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o install the blocking film 300 to collect the floating garbage (10) It can be installed spaced apart by a suitable distance.

또한,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의 영상촬영장치(110)를 통해 해상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영상데이터는 육지 또는 차단막 설치선 또는 청항선 선박 등에 설치된 중앙제어장치(400)로 전송된다. 이 경우,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의 전송부(112)는 모바일 통신, 위성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cquiring the image data for the sea through the image capturing device 110 of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the image data is to the central control unit 400 installed on land or a barrier installation ship or a cruise ship vessel Is sent. In this case, the transmitter 112 of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transmits the sensing information in real time using mobile communication, satellite communication, or short-range communication.

상기 영상데이터가 상기 중앙제어장치(400)로 전송된 경우에 해상에 부유쓰레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판단작업은 작업자가 상기 중앙제어장치(4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중앙제어장치(4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을 영상 분석 장치 등을 통해 자동으로 판단하여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im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4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floating garbage on the sea. The determina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check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entral control unit 400 or by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entral control unit 400 through an image analysis device. Can be.

상기 부유쓰레기(10)가 감지된 경우에 차단막(300)을 설치하게 된다.When the floating garbage 10 is detected, the blocking film 300 is installed.

이 경우 차단막 설치선 등을 파견하여 상기 계류플랫모듈(100) 사이에 차단막(300)과 차단막지지대(200)를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rrier membrane installation line may be dispatched to install the barrier membrane 300 and the barrier membrane support 200 between the mooring flat module 100.

상기 차단막(300)은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차단막(300)은 와이어 프레임에 연결된 스틸 와이어(steel wire) 또는 메쉬(mes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film 300 is installed to connect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blocking layer 300 may be formed of a steel wire or a mesh connected to a wire frame.

이 경우, 부유쓰레기(10)에 의해 상기 차단막(300)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차단막(30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차단막지지대(200)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load acts on the blocking film 300 by the floating garbage 10, the blocking film support 200 may be install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locking film 300.

상기 차단막 지지대(200)는 차단막(300) 설치시 차단막(300)과 함께 설치되는 구조물로써, 차단막(300)의 무게를 지지하며, 자중에 의한 차단막 처짐 방지를 위한 구조물이다. 상기 차단막 지지대(200)는 계류플랫폼모듈(100)과 유사한 형태(SPAR 형태, 긴 원통형 구조물)로 외력에 의한 수직 방향 운동(Heave motion) 최소화를 위한 구조물이다.The blocking film support 200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blocking film 300 when the blocking film 300 is installed, and supports the weight of the blocking film 300 and prevents the blocking film from sagging due to its own weight. The barrier support 200 is a structure similar to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SPAR shape, long cylindrical structure) is a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vertical motion (Heave motion) by the external force.

상기 차단막지지대(200)는 상기 차단막(300)을 따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 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지지대(200)는 스틸(steel)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film support 200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blocking film 300. The barrier membrane support 200 may be made of steel or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300)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차단막(300)에 의해 부유쓰레기(10)가 해양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ocking membrane 300 is installed, the floating garbage 10 may be blocked by the blocking membrane 300 from entering the ocean.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suspended garbage block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계류플랫폼모듈(100)을 설치(S410)하고, 부유쓰레기를 감지(S420)하여 차단막을 설치(S430)하는 단계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Referring to FIG. 6, the step of installing the mooring platform module 100 (S410) and detecting the floating garbage (S420) to install the blocking film (S430)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 경우, 상기 부유쓰레기 차단장치(1000)에 의해 부유쓰레기를 차집하는 경우에 상기 차단막(300)에 의해 차집된 부유쓰레기(10)의 만재여부를 감지(S440)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floating garbage is collected by the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1000, whether the floating garbage 10 collected by the blocking film 300 is detected (S44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계류플랫폼(120)에는 상기 부유쓰레기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차단막(300)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165)를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oring platform 120 may include a sensing unit 165 capable of sensing the tension acting on the blocking film 300 generated by the floating garbage.

따라서, 상기 감지부(165)에 의해 감지된 수집량 데이터는 전송부(112)를 통해 전송되며, 상기 수집량 데이터를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부유쓰레기의 만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llection amount data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65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11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loating garbage is full by comparing the collection amount data with a threshold value.

상기 부유쓰레기(10)가 만재된 경우에는 선박 등을 파견하여 상기 부유쓰레기(10)룰 수집(S450)할 수 있다.When the floating garbage 10 is full, the ship may be dispatched to collect the floating garbage 10 rule (S450).

나아가,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에 의해 상기 부유쓰레기(1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막(300)을 분해(S470)하게 된다. 상기 부유쓰레기(10)가 없는 동안에도 상기 차단막(300)을 계속해서 설치하게 되면, 상기 차단막(300)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차단막(300)의 손상 또는 파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선박의 운항을 방해 할 수 있기 때문에, 차단막의 해상 설치는 필요시 최소한의 기간 동안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Further, when the floating garbage 10 is not detected by the garbage detection device, the blocking film 300 is decomposed (S470). If the blocking film 300 is continuously installed even while the floating garbage 10 is not present, the life of the blocking film 300 may be shortened, and further, damage or breakage of the blocking film 300 may be caused. to be.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barriers at sea is aimed at installation for a minimum period if necessary, as they may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vessel.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 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compon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en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계류플랫폼모듈
200..차단막지지대
300..차단막
1000..부유쓰레기 차단장치
100..Mooring Platform Module
200..Block Barrier Support
300. Blocking
1000..Floating Garbage Blocker

Claims (15)

해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계류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계류플랫폼;
해상으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를 감지하는 쓰레기 감지장치;
해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가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경우 부유 쓰레기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상기 계류플랫폼을 해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계류시키기 위하여 해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계류앵커 및 상기 계류앵커와 상기 계류플랫폼을 연결하는 계류선을 포함하는 계류부;
상기 계류플랫폼에 조절 가능한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 밸러스트 평형수가 유입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유입밸브와 상기 밸러스트 평형수가 유출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유출밸브와, 상기 밸러스트 평형수의 유입 및 유출을 수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밸러스트 유닛;
상기 밸러스트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 상기 밸러스트 유닛 및 상기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양 계류플랫폼을 연결하는 차단막에 작용되는 부유 쓰레기에 의해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쓰레기의 수집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쓰레기 수집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플랫폼모듈.
A mooring platform mooring at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 and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ver the sea level;
Garbage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floating garbage flowing into the sea;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a blocking film for blocking the floating garbage when the garbage floating in the sea is detected by the garbage detection device;
A mooring portion comprising one or more mooring anchor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abed to moor the mooring platform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ea and a mooring line connecting the mooring anchor and the mooring platform;
In order to provide adjustable buoyancy to the mooring platform, a ballast tank, an inlet valve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so that ballast ballast water flows into the ballast tank, an outlet valve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ballast ballast water flows out, and the ballast ballast water A ballast unit comprising a pump for performing inflow and outflow of the;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ballast unit;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waste detection device, the ballast unit and the control unit;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tension by floating garbage acting on the barrier film connecting both mooring platforms to obtain the waste collection data; And,
Mooring platform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arbage collection amount data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는 계류플랫폼에 구비되어 해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데이터는 상기 전송부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플랫폼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garbage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on the mooring platform includes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for capturing the sea to obtain the image data, the image data is mooring platform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by the transmiss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는 영상촬영장치이며,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상기 계류플랫폼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플랫폼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garbage detection device is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wherein the mooring platform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op of the mooring platfor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밧데리로 구성되거나 또는 태양광 발전기, 파력 발전기, 조력 발전기, 해수온도차 발전기, 소형 풍력 발전기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상 재생에너지 발전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플랫폼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as a battery or mooring platform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arine renewable energy generator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olar generator, wave power generator, tidal generator, seawater temperature difference generator, small wind gen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플랫폼은 해수에 의한 부식방지재질로 제작되거나, 부식방지액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해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음극방식장치(cathodic protection system)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플랫폼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mooring platform is a mooring platform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corrosion-resistant material by sea water, coated with a corrosion inhibitor, or provided with a cathodic protection system (cathodic protection system) to prevent corrosion by sea water.
해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 계류하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둘 이상의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계류플랫폼모듈;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에 의하여 해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가 감지된 경우, 이웃하는 상기 계류플랫폼모듈의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여 해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는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을 따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차단막에 설치되는 원통형 차단막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계류플랫폼모듈, 상기 차단막 및 차단막 지지대는 적어도 일부분이 해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A mooring platform module of any one of claims 1, 3, 4, 6, and 7, which are moor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 and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garbage floating in the sea is detected by the garbage detection device, a blocking film to block the floating floating on the sea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of the adjacent mooring platform module to each other; And
And a cylindrical blocking film supporter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blocking film and installed on the blocking film.
The mooring platform module, the barrier layer and the barrier membrane support is suspended garbage b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over the sea surfac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감지장치는 해상에 인접한 육지에 구비되어 해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garbage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on the land adjacent to the sea floating garbage b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for capturing the sea to obtain the image dat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플랫폼모듈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 저장 또는 분석하는 중앙제어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displaying, storing or analyz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ooring platform module.
해상 부유쓰레기를 차단하는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에 있어서,
해상의 미리 정해진 지역에 둘 이상의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계류플랫폼모듈을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시켜 설치하는 단계;
부유쓰레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부유쓰레기가 감지된 경우에 차단막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
In the marine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for blocking marine floating garbage,
Installing at least two mooring platform modules of any one of claims 1, 3, 4, 6, and 7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etecting suspended garbage;
And installing a blocking film when the floating garbage is detec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이웃하는 상기 계류플랫폼모듈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차단막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barrier film,
The offshore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of the neighboring mooring platform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installing the barrier to connect to each oth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에 의해 차집된 부유쓰레기의 만재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부유쓰레기가 만재된 경우에는 상기 부유쓰레기를 수집하여 버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nd detecting whether the floating garbage collected by the blocking film is full, and collecting the floating garbage when the floating garbage is load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쓰레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막을 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유쓰레기 차단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f the floating garbage is not detected, the marine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assembling the barrier film.
KR1020170103625A 2017-08-16 2017-08-16 Support platform module, floating garbage bl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thereof KR1020005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25A KR102000527B1 (en) 2017-08-16 2017-08-16 Support platform module, floating garbage bl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25A KR102000527B1 (en) 2017-08-16 2017-08-16 Support platform module, floating garbage bl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04A KR20190018904A (en) 2019-02-26
KR102000527B1 true KR102000527B1 (en) 2019-10-01

Family

ID=6556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625A KR102000527B1 (en) 2017-08-16 2017-08-16 Support platform module, floating garbage bl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5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134B1 (en) 2019-12-11 2020-12-16 주식회사 포어시스 Intelligent System for Collecting Floating Waste on River and S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564B1 (en) * 2019-09-18 2021-04-22 주식회사 포어시스 Blocking screen connection platform having float state switching function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451988B1 (en) * 2020-06-18 2022-10-07 주식회사 포어시스 Omni-directional Ocean Debris Blocking and Collecting System
CN113721507B (en) * 2021-08-23 2024-03-26 江苏科技大学 Water floating garbage coll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32B1 (en) * 2010-12-08 2012-05-24 한국과학기술원 Oil fence, unfolding and keeping method of oil fence
JP2013151834A (en) * 2012-01-26 2013-08-08 Hitachi Ltd Jelly fish net raising timing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838A (en) * 1998-02-06 1999-08-17 Shibata Ind Co Ltd Pollution preventive curtain
KR101325692B1 (en) * 2011-11-03 2013-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32B1 (en) * 2010-12-08 2012-05-24 한국과학기술원 Oil fence, unfolding and keeping method of oil fence
JP2013151834A (en) * 2012-01-26 2013-08-08 Hitachi Ltd Jelly fish net raising timing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134B1 (en) 2019-12-11 2020-12-16 주식회사 포어시스 Intelligent System for Collecting Floating Waste on River and S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04A (en)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527B1 (en) Support platform module, floating garbage bl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method thereof
KR102191134B1 (en) Intelligent System for Collecting Floating Waste on River and Sea
US6575662B2 (en)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968527B1 (en) Offshore fixed type of remote auto feeding system for fish feeds
CA2710399C (en) Tidal flow power generation
KR20100071117A (en) Robotic phonton and automatic rubbish screening system, to clean up rubbishes floating into and out of waters zone
KR101786494B1 (en)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maintenance of large scale stormwater storage reservoirs
CN103175946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lake-flooding of shallow lake
Scott et al. Offshore cage systems: A practical overview
US20190141963A1 (en)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integrated with steel fish farming cage
KR20090011975A (en) Apparatus for collection of floating waste on water surface
JP2017501344A (en) Fluid dynamics system
CN115541704A (en) Nuclear power plant cold source safety system
KR101006982B1 (en) pendulum type cultivation of fish cage
KR102243564B1 (en) Blocking screen connection platform having float state switching function and floating garbage bloc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8661021B (en) System for controlling interception and collection of source garbage at coastal entrance of river
US20110198302A1 (en) Floating marine debris trap
CN220010050U (en) Floating platform for installing underwater monitoring equipment
CN117804371B (en) Photoelectric type bridge substructure scouring monitoring device,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US2023034074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reversibly span a surface of a waterway
CN218067182U (en) Surface water quality of water automatic monitoring front end sampling device
CN214748153U (en) Marine integrated environment data acquisition device
Porter et al. Humboldt Offshore Wind Port Development Feasibility Study
Allyn et al. Design of Moorings for Complex Fish Passage Project
CN112049089A (en) Ear of grain formula semi-submerged oil encloses accuse clearing device based on bi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