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447B1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447B1
KR102000447B1 KR1020120138771A KR20120138771A KR102000447B1 KR 102000447 B1 KR102000447 B1 KR 102000447B1 KR 1020120138771 A KR1020120138771 A KR 1020120138771A KR 20120138771 A KR20120138771 A KR 20120138771A KR 102000447 B1 KR102000447 B1 KR 102000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vel
standby mode
multimedia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988A (ko
Inventor
김경진
하유빈
이승훈
박준수
김대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4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 중 특정 레벨을 선택하는 입력 모듈과,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대응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는 실행 모듈과, 상기 계산된 에너지 효율값을 상기 디바이스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 모듈과, 그리고 특정 조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홈 스크린 모드(home screen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MULTIMEDIA DEVICE CONNECTED TO AT LEAST ONE NET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기술이다.
대기 전력(Standby Power)이라 함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ex : 컴퓨터, TV 또는 기타 가전제품 등)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전의 준비상태를 유지하는 데 소비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기 플러그를 꽂아 놓으면 실제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소모되는 전력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TV 등 리모콘으로 동작시키는 제품의 경우, 현재는 제품들이 꺼져있지만 리모콘을 누르면 켜질 준비를 하고 있는 리모콘 수신상태가 소비전력에 해당한다. 실생활에서 이와 같이 소비되는 전력은 보통 전기요금의 약 10% 정도에 이른다. 따라서, 스탠바이 모드에서 전력 소비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종래 기술에 의한 스탠바이 모드(또는 대기 모드, 대기 전력 모드 등) 상태에서는, 유저에게 아무런 옵션도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스탠바이 모드와 관련된 전력 소비 상태를 안내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전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탠바이 모드를 다양한 레벨로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각의 레벨에 따른 스탠바이 모드를 자동으로 컨트롤 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크린의 영역별 전원공급 상태 또는 외부 네트워크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스탠바이 모드의 전력 소모량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 중 특정 레벨을 선택하는 입력 모듈과,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따른 에너지 효율값을 계산하는 계산 모듈과,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대응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는 실행 모듈과, 상기 계산된 에너지 효율값을 상기 디바이스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 모듈과, 그리고 특정 조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홈 스크린 모드(home screen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 중 특정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따른 에너지 효율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대응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에너지 효율값을 상기 디바이스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그리고 특정 조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홈 스크린 모드(home screen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탠바이 모드를 다양한 레벨로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레벨에 따른 스탠바이 모드를 자동으로 컨트롤 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린의 영역별 전원공급 상태 또는 외부 네트워크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스탠바이 모드의 전력 소모량을 정확히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정의한다.
나아가, 상기 전술한 발명의 효과 뿐만 아니라, 당해 특허출원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예측되는 다른 발명의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홈 스크린 모드로 전환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조건에서 스탠바이 모드가 자동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Flow Chart) 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 모듈(101), 복조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104), 메모리(105), 제어부(106), 비디오 출력부(107), 오디오 출력부(108), 전원 공급부(109)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리모트 컨트롤러(11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01)은, 예컨대 RF 튜너로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STB 등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 설계 가능하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01)은,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조부(102)는, 방송 수신 모듈(10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0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경우, 복조부(10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0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는 외부 장치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104)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05)는, 제어부(106)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예를 들어 다양한 OS, 미들웨어 및 플랫폼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06)로부터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1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0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송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방송 수신 모듈(101), 복조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에 대해서는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107)는, 제어부(106)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107)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하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08)는, 제어부(106)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08)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09)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06)와,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107)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0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트롤러(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부(206)는, 역다중화부(210), 영상처리부(220), OSD 생성부(240), 믹서(2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 그리고 포맷터(26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역다중화부(2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상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2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믹서(250)는, OSD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2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2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그리고, 포맷터(2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모드를 새롭게 정의하고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나아가, 당업자가 이전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도 3의 모듈들을 일부 다르게 설계 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00)는 메모리(310), 계산 모듈(320), 실행 모듈(330), 출력 모듈(340), 입력 모듈(350), 근접 거리 센서(360), 컨트롤 모듈(370), 픽셀 파워 공급 모듈(38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90) 등을 포함한다. 물론, 일부 모듈을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상기 입력 모듈(3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 중 특정 레벨을 선택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계산 모듈(320)은,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따른 에너지 효율값을 계산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실행 모듈(330)은,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대응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출력 모듈(340)은, 상기 계산된 에너지 효율값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모듈(370)은 특정 조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홈 스크린 모드(home screen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모듈(370)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00)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메모리(310)는, 각각의 레벨별 에너지 소비량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은, 스탠바이 모드에서 기설정된 영역내 픽셀에만 파워를 공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1정보 또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이루어 지는 여부를 결정하는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인디케이트 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어, 제1레벨은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가 모두 오프 상태에 대응하며, 제2레벨은 상기 제1정보는 온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제2정보는 오프 상태에 대응하며, 제3레벨은 상기 제1정보는 오프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제2정보는 온 상태에 대응하며, 그리고 제4레벨은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 모두 온 상태에 대응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계산 모듈(320)은, 상기 메모리(310)에 액세스 하여, 선택 가능한 레벨 중 에너지 소비량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과 현재 설정된 레벨의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의 비율에 따라 상기 에너지 효율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일특징이다.
Figure 112012099904705-pat00001
(Y : 에너지 효율값, F(a,b) : 현재 설정된 레벨의 제1정보(a) 및 제2정보(b)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지는 함수, M : 선택 가능한 레벨 중 에너지 소비량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00)는, 기설정된 거리내 물체를 감지하도록 설계된 근접 거리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나아가, 상기 근접 거리 센서에 의해 기설정된 거리내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실행 모듈(330)은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특정 조건은, 예를 들어 상기 스탠바이 모드가 실행된 스크린내 블랙 영역 또는 non 블랙 영역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어 DTV, IPTV, 스마트 TV, 태블릿 PC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특징은 종래 기술과 달리 스탠바이 모드를 유저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레벨로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특징은 각각의 스탠바이 모드별로 소비되는 전력량, 에너지 등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벨에 따른 스탠바이 모드 상태는 모든 영역의 픽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또한 외부 네트워크 통신 상태도 오프(off)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제1레벨로 스탠바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에너지 소비량 또는 전력 소비량은 예를 들어 최소값 A 에 해당한다.
나아가, 제2레벨에 따른 스탠바이 모드 상태는 특정 영역의 픽셀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외부 네트워크 통신 상태는 오프(off)인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만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날짜/시간 정보 등이 제공된다. 상기 제2레벨로 스탠바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에너지 소비량 또는 전력 소비량은 예를 들어 B에 해당한다(A < B < 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의 전체 영역의 픽셀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영역내 픽셀에게만 파워가 공급되도록 설계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이하 도 7 내지 도 9 참조).
또한, 제3레벨에 따른 스탠바이 모드 상태는 모든 영역의 픽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외부 네트워크 통신 상태만 온(on)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제3레벨로 스탠바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에너지 소비량 또는 전력 소비량은 예를 들어 C에 해당한다(A < C < D). 도 4에 도시된 B 및 C의 대소관계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종류 및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제4레벨에 따른 스탠바이 모드 상태는 특정 영역의 픽셀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또한 외부 네트워크 통신 상태 역시 온(on)인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만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전에 설명한 제2레벨과 달리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날씨 정보/뉴스 속보/게임 결과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레벨로 스탠바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에너지 소비량 또는 전력 소비량은 예를 들어 최대값 D 에 해당한다.
한편, 전술하여 설명한 수학식 1 및 도 4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참조하여, 에너지 효율값 또는 소비량 등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F(a,b) 함수값은, 현재 설정된 레벨의 에너지 소비량을 의미하며, 제1정보(a) 및 제2정보(b)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정보(a)는 특정 영역의 픽셀에만 파워를 공급하는지 여부와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정보(b)는 외부 네트워크 통신 상태와 관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특정 영역의 픽셀에만 파워를 공급하는 경우 F(a,b) 함수값은 증가하고, 픽셀에 파워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전체 블랙 화면) F(a,b) 함수값은 감소한다. 한편, 외부 네트워크 통신이 온 상태인 경우 F(a,b) 함수값은 증가하고, 외부 네트워크 통신이 오프 상태인 경우 F(a,b) 함수값은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 1에서는 M 을 "선택 가능한 레벨 중 에너지 소비량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A 또는 D 값이 수학식 1의 M에 해당할 수도 있다. 물론, 수학식 1과 달리, 즉 스탠바이 상태가 아닌 완벽하게 전원이 온 상태(예를 들어, 스마트 TV의 홈 스크린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와 대비하여, 현재의 스탠바이 모드의 상대적인 전력 소비량을 표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전에 설명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레벨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511)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옵션(511)의 배경 화면(510)은 블랙 화면으로 처리할 수도 있고 또는 기저장된 이미지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 배경 화면(510)이 블랙 화면에 대응하는 경우, 옵션(51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픽셀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1레벨, 제2레벨, 제3레벨 및 제4레벨은 도 4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의 제1레벨, 제2레벨, 제3레벨 및 제4레벨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상태로 정의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의 편의성 및 데이터 처리의 신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각 레벨에 따른 스탠바이 모드별 달라지는 특징들을 안내하는 가이드 메시지가 상기 옵션(511)과 함께 디스플레이 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와 유사하게, 도 6 역시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것이다. 다만 구체적인 설정 방식이 다르므로 별도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600)는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3가지 항목들(611, 612, 613)을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상기 3가지 항목들(611, 612, 613)을 제외한 배경 화면(610)은 블랙 화면으로 처리할 수도 있고 또는 기저장된 이미지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 배경 화면(610)이 블랙 화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3가지 항목들(611, 612, 61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픽셀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첫째, 제1아이템(611)은 스탠바이 모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픽셀의 영역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아이템(611)에서 풀(Full) 옵션은 스탠바이 모드에서 전체 화면 영역의 픽셀에 모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하 도 10 및 도 11과 같은 스탠바이 모드 상태를 의미한다. 나아가, 상기 제1아이템(611)에서 파트(Part) 옵션은 스탠바이 모드에서 일부 영역내 픽셀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하 도 7 및 도 8과 같은 스탠바이 모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1아이템(611)에서 오프(Off) 옵션은 스탠바이 모드에서 전체 화면을 블랙으로 만드는 경우를 의미한다.
둘째, 제2아이템(612)은 스탠바이 모드가 지속되는 시간 정보를 인디케이트 한다. 유저의 필요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 지속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고, 만약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스탠바이 모드가 계속 지속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셋째, 제3아이템(613)은 상기 제2아이템(612)과 연동되도록 설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아이템(613)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아이템(612)을 선택할 수 없는 디스인에이블(disenable) 상태로 자동 변환한다. 반면, 상기 제3아이템(613)이 온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아이템(612)을 선택할 수 있는 인에이블(enable)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설계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 보다 다양한 옵션(option)들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며, 반면 도 5와 같이 설계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 유저의 셋팅 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바이 모드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는, 현재 스탠바이 모드 상태이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는 이전에 설명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계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의 스탠바이 모드는, 화면의 일정 영역내 픽셀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은 차단된 경우로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70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상기 일정 영역(711)에서만 데이터를 제공하고, 나머지 영역(710)은 블랙 화면으로 처리된다. 상기 나머지 영역(710)내 픽셀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한다. 또한, 상기 일정 영역(711)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는, 시간 정보 및 날짜 정보로서 내부 클락 정보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일정 영역(711)내 데이터 중 에너지 사용값은 현재의 스탠바이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비량의 절대값에 대응할 수도 있고, 또는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스탠바이 모드 중 가장 많은 전력이 소비되는 값 또는 전원 온 상태의 전력 소비값과 대비한 상대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바이 모드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현재 스탠바이 모드 상태이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이전에 설명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의 스탠바이 모드는, 화면의 일정 영역내 픽셀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도 이루어진 경우로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80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상기 일정 영역(811)에서만 데이터를 제공하고, 나머지 영역(810)은 블랙 화면으로 처리된다. 상기 나머지 영역(810)내 픽셀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한다.
한편, 도 7과 달리, 도 8에 도시된 상기 일정 영역(811)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특정 스포츠 팀의 게임 결과).
그리고, 도 8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일정 영역(811)내에 에너지 사용값 또는 에너지 효율성 등을 포함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탠바이 모드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는, 현재 스탠바이 모드 상태이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는 이전에 설명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계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의 스탠바이 모드는, 화면의 일정 영역내 픽셀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도 이루어진 경우로 가정한다. 다만, 도 8과 달리, 도 9는 픽셀에 전원이 공급되는 영역이 2개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0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복수의 일정 영역(911, 912, 913, 914)에서만 데이터를 제공하고, 나머지 영역(910)은 블랙 화면으로 처리된다. 상기 나머지 영역(910)내 픽셀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한다.
도 9에 도시된 블랙 화면(910)을 선택하는 경우, 홈 스크린 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홈 스크린 모드를 포함한 다른 입력 모드로 진입하는 옵션들(911, 912, 913, 914)을 별도로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제1영역(911)을 선택한 경우, 현재의 스탠바이 모드에서 홈 스크린 모드로 자동 변환된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제2영역(912)을 선택한 경우, 스탠바이 모드에서 유저가 설정한 특정 선호 채널로 진입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제3영역(913)을 선택한 경우, 현재의 스탠바이 모드에서 특정 외부 입력 모드(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로 전환되도록 설계 가능하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제4영역(914)이 선택된 경우, 현재의 스탠바이 모드에서 리모컨내 임의의 버튼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로컬키 버튼(Local Key Buttons)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전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실시예들은 블랙 화면 영역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반면, 도 10에서는 유저에게 감성적 GUI 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블랙 화면 대신 특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배경 화면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특정의 이미지 데이터는 유저가 설정한 디폴트 이미지에 대응할 수도 있고, 또는 현재 날짜에 대응하는 날씨 정보 및 기념일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비가 오는 날씨인 경우 우산이 포함된 이미지가 자동으로 배경화면으로 사용되며, 크리스마스인 경우 눈이 내리는 이미지가 자동으로 배경화면으로 사용된다. 또한, 유저가 설정한 결혼 기념일인 경우에는, 선물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배경화면으로 사용된다.
나아가, 특정 영역(1012)에서는, 외부 네트워크 연결과 관계 없이 기본적인 날짜/시간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므로, 외부 네트워크 연결로 인한 에너지 소비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홈 스크린 모드로 다이렉트 연결될 수 있는 옵션(1011)을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과 달리, 도 11은 홈 스크린 모드 이외에 다른 선택 가능한 옵션들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100)는 도 10과 마찬가지로 블랙 화면이 아닌 특정 이미지 데이터(1110)를 배경 화면으로 사용되며, 날짜/시간 등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변환된다.
나아가, 외부 네트워크 연결과 관계 없는 기본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1115)에 대해서는, 이전 도 10에서도 충분히 설명한 바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당업자의 반복 실시에 문제가 없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제1영역(1111)을 선택한 경우, 현재의 스탠바이 모드에서 특정 유저(Mother)가 설정한 홈 스크린 모드로 자동 변환된다.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제2영역(1112)을 선택한 경우, 현재의 스탠바이 모드에서 다른 특정 유저(Justin)가 설정한 홈 스크린 모드로 자동 변환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제3영역(1113)을 선택한 경우, 스탠바이 모드에서 임의의 유저가 설정한 특정 선호 채널로 진입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제4영역(1114)을 선택한 경우, 현재의 스탠바이 모드에서 특정 외부 입력 모드(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로 전환되도록 설계 가능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홈 스크린 모드로 전환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한편, 도 12는 당해 명세서에서 예시하고 있는 실시예들 중 도 11에 대응하나, 도 11로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 7 내지 도 10에서 전술한 스탠바이 모드가 도 12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도 있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유저가 특정 영역(예를 들어, Justin's TV)을 선택한 경우, 도 12에 도시된 스크린 대신 도 13에 도시된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13에 도시된 스크린은, 특정 유저인 저스틴(Justin)의 프라이버시(privacy)를 보호하기 위하여 ID 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윈도우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도 13에 도시된 윈도우 내에 기설정된 ID 및 비밀번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스크린 대신 도 14에 도시된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14에 도시된 스크린은, 상기 특정 유저인 저스틴이 이전에 설정한 홈 스크린 모드에 대응한다.
물론, 도 13에 도시된 윈도우 내에 기설정된 ID 및 비밀번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 때, ID 및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한 기회에 대하여 횟수 및 시간으로 제한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조건에서 스탠바이 모드가 자동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전 실시예들에서는 스탠바이 모드가 디폴트로 실행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반면, 이하 도 15 및 도 16에서는 특정 조건하에서만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500)는 가장 낮은 레벨의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전체 화면내 픽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다. 다만, 종래 기술과 달리 위치 감지 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등)의 동작으로 인하여, 유저(1520)가 기설정된 영역내(5m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로 가정해 보겠다.
이 때, 도 15에 도시된 블랙 화면 대신, 도 16에 도시된 스크린 화면으로 전환된다. 즉,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주변에 유저가 위치한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600)는 제1영역(1610)에는 블랙 화면을 유지하지만, 제2영역(1611)에는 기본적인 정보(예를 들어, 날씨, 날짜, 시간 등)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한다.
물론, 유저가 최초 감지된 이후에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 밖으로 유저(1620)가 이탈한 경우(10m)에도 상기 제2영역(1611)내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나아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최초 인식된 지점에서 가까운 영역에 상기 제2영역(1611)을 설정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Flow Chart) 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17에 도시된 5개의 스텝들을 포함한다. 물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스텝을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나아가, 이전에 설명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도 17을 보충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 중 특정 레벨을 선택한다(S1710).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따른 에너지 효율값을 계산하도록 설계된다(S1720).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대응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도록 설계된다(S1730).
상기 계산된 에너지 효율값을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S1740).
그리고, 특정 조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홈 스크린 모드(home screen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S175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은, 예를 들어 스탠바이 모드에서 기설정된 영역내 픽셀에만 파워를 공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1정보 또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이루어 지는 여부를 결정하는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식별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전 도 4에서 충분히 전술하여 설명한 바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은 예를 들어 4가지 레벨로 정의한다.
제1레벨은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가 모두 오프 상태에 대응하며, 제2레벨은 상기 제1정보는 온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제2정보는 오프 상태에 대응하며, 제3레벨은 상기 제1정보는 오프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제2정보는 온 상태에 대응하며, 그리고 제4레벨은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 모두 온 상태에 대응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전 도 4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 있다.
상기 에너지 효율값을 계산하는 단계(S1720)는, 선택 가능한 레벨 중 에너지 소비량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과 현재 설정된 레벨의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의 비율에 따라 상기 에너지 효율값이 결정된다.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1730)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탑재된 근접 거리 센서에 의해 기설정된 거리내 물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전 도 15 및 도 16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 있다.
상기 특정 조건은, 예를 들어 상기 스탠바이 모드가 실행된 스크린내 블랙 영역 또는 non 블랙 영역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전술한 도면과 도면을 결합하여,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300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310 : 메모리
320 : 계산 모듈
330 : 실행 모듈
340 : 출력 모듈
350 : 입력 모듈
360 : 근접 거리 센서
370 : 컨트롤 모듈
380 : 픽셀 파워 공급 모듈
39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 중 특정 레벨을 선택하는 입력 모듈;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따른 에너지 효율값을 계산하는 계산 모듈;
    상기 선택된 특정 레벨에 대응하는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는 실행 모듈;
    상기 계산된 에너지 효율값을 상기 디바이스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 모듈;
    특정 조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실행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홈 스크린 모드(home screen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모듈; 그리고
    기설정된 거리내 물체를 감지하도록 설계된 근접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거리 센서에 의해 기설정된 거리내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실행 모듈은 상기 스탠바이 모드를 실행하도록 설계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벨별 에너지 소비량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은,
    스탠바이 모드에서 기설정된 영역내 픽셀에만 파워를 공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1정보 또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이루어 지는 여부를 결정하는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인디케이트 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 중
    제1레벨은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가 모두 오프 상태에 대응하며,
    제2레벨은 상기 제1정보는 온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제2정보는 오프 상태에 대응하며,
    제3레벨은 상기 제1정보는 오프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제2정보는 온 상태에 대응하며, 그리고
    제4레벨은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 모두 온 상태에 대응하도록 설계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모듈은,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 하여, 선택 가능한 레벨 중 에너지 소비량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과 현재 설정된 레벨의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의 비율에 따라 상기 에너지 효율값을
    결정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Y = F(a,b)/M (%)
    (Y : 에너지 효율값, F(a,b) : 현재 설정된 레벨의 제1정보(a) 및 제2정보(b)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지는 함수, M : 선택 가능한 레벨 중 에너지 소비량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
    상기 수학식에 의해 에너지 효율값이 결정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은,
    상기 스탠바이 모드가 실행된 스크린내 블랙 영역 또는 non 블랙 영역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를 의미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DTV, IPTV, 스마트 TV, 태블릿 PC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20138771A 2012-12-03 2012-12-03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0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771A KR102000447B1 (ko) 2012-12-03 2012-12-03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771A KR102000447B1 (ko) 2012-12-03 2012-12-03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988A KR20140070988A (ko) 2014-06-11
KR102000447B1 true KR102000447B1 (ko) 2019-07-16

Family

ID=5112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771A KR102000447B1 (ko) 2012-12-03 2012-12-03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4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5366A (ja) * 2009-07-06 2011-01-20 Sharp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1503692A (ja) * 2007-11-02 2011-01-27 フジツウ シーメンス コンピュータ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第1の電子装置と電源ユニットとを備える構成、および、電子装置の動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3692A (ja) * 2007-11-02 2011-01-27 フジツウ シーメンス コンピュータ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第1の電子装置と電源ユニットとを備える構成、および、電子装置の動作方法
JP2011015366A (ja) * 2009-07-06 2011-01-20 Sharp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988A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2512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992080B (zh) 显示设备及其保护方法
KR20090094997A (ko) 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05501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691287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12289271B (zh) 显示设备及调光方式切换方法
JP5204729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57284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동작방법
KR101984576B1 (ko)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컨트롤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0447B1 (ko)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39135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WO2013098991A1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外部機器
KR101951674B1 (ko)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코드를 처리하는 디지털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JP5184709B1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調整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307302B2 (ja) 表示装置、調整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2112004B1 (ko)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 및 디바이스 타입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이템을 컨트롤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5422B1 (ko) 네트워크와 연결된 다기능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52095A (ko) 파노라마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그 장치
KR20150004052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130080750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337395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50111098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4173187A (zh) 动态对比度的确定方法与显示设备
KR2016007374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16366822A (zh) 显示设备、图像亮度范围的动态调整方法以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