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339B1 -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 Google Patents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339B1
KR102000339B1 KR1020170102679A KR20170102679A KR102000339B1 KR 102000339 B1 KR102000339 B1 KR 102000339B1 KR 1020170102679 A KR1020170102679 A KR 1020170102679A KR 20170102679 A KR20170102679 A KR 20170102679A KR 102000339 B1 KR102000339 B1 KR 10200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nection leg
water meter
suppo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587A (ko
Inventor
예영동
Original Assignee
예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영동 filed Critical 예영동
Priority to KR102017010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3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내부에 수도계량기(12)를 수용하여 보호하고, 하부에 관통 형성되게 관통공(11)을 구비하는 보호통(10)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10)의 수도계량기(12)의 양측으로 연통되는 배관(1)을 수용하면서 배관(1)이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관통홈(21)을 구비하는 연결다리(20); 상기 연결다리(20)의 하부를 감싸 수용하게 관통되는 지지공(31a)을 구비하고, 연결다리(20)와 서로 고정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31)를 구비하는 안착판(30); 및 상기 연결다리(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도계량기(12)의 위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판(41)을 구비하되, 연결다리(2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는 삽설공(42)과, 지지판(41)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삽설공(42)에 삽설로 인해 고정되는 삽설돌부(43)와, 연결다리(20) 상에 지지판(41)의 삽설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절단홈(44)을 구비하는 지지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못, 볼트, 핀을 박는 타크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지지수단을 원터치 형태로 장착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진되고, 연결다리의 회전이 가능해 배관의 연결이 손쉬운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A water gauge and the protective case being easy for building}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도계량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못, 볼트, 핀을 박는 타크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지지수단을 원터치 형태로 장착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진되고, 연결다리의 회전이 가능해 배관의 연결이 손쉬운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택이나 빌딩 등으로 수도관이 인입되는 지점에는 수도계량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수도계량기는 외부의 충격 및 계절에 따른 온도 차이에 의하여 파손 또는 동파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보호통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은 매설을 하여야 함으로 되메우기 시 보호통 하부에 흙이 제대로 메워지지 않아 보호통이 하중에 의해 위치가 변동하여 수도미터기를 보온하기 힘들었고, 다양한 위치의 외부수도관을 수용할 수 없어 작업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연결다리를 별도의 고정수단인 못, 볼트, 핀을 박는 타크 등을 사용하게 됨으로 작업율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0513311호에 따르면, ‘몸체의 상부에 속뚜껑이 설치된 보호통과, 상기 보호통의 하부에 연결된 입수유도관과 출수유도관과, 상기 입수유도관과 출수유도관으로 지열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부에 하나 이상의 포집관통관을 형성하고 하부에 다수 개의 포집파이프를 형성하여 입수유도관 및 출수유도관의 하부에 착탈되는 지열포집판을 구비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통관 및 입/출수 유도관과 관통되는 바닥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관통공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지열포집측공을 형성한 바닥판이 상기 지열포집판의 상부에 끼움방식으로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지열포집판을 통해 보온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지만, 상기 지열포집판을 통해 매설 시 적은 양의 흙이 보호통의 하부에 위치하여 되메우기가 힘들고, 수도관의 방향에 따라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0513311호 “수도계량기 보호통”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못, 볼트, 핀을 박는 타크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지지수단을 원터치 형태로 장착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진되고, 연결다리의 회전이 가능해 배관의 연결이 손쉬운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내부에 수도계량기를 수용하여 보호하고, 하부에 관통 형성되게 관통공을 구비하는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의 수도계량기의 양측으로 연통되는 배관을 수용하면서 배관이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관통홈을 구비하는 연결다리; 상기 연결다리의 하부를 감싸 수용하게 관통되는 지지공을 구비하고, 연결다리와 서로 고정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를 구비하는 안착판; 및 상기 연결다리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도계량기의 위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판을 구비하되, 연결다리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는 삽설공과, 지지판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삽설공에 삽설로 인해 고정되는 삽설돌부와, 연결다리 상에 지지판의 삽설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절단홈을 구비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착판은 연결다리와 서로 고정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 외부에 형성되는 고정돌부와, 연결다리 상에 고정돌부가 삽설되어 고정되는 관통공과, 관통공의 하부에 절개되어 고정돌부의 유입을 용이하게 형성되는 절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못, 볼트, 핀을 박는 타크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지지수단을 원터치 형태로 장착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진되고, 연결다리의 회전이 가능해 배관의 연결이 손쉬운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안착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안착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내부에 수도계량기(12)를 수용하여 보호하고, 하부에 관통 형성되게 관통공(11)을 구비하는 보호통(10)에 관련되며, 연결다리(20), 안착판(30), 지지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다리(20)는 상기 보호통(10)의 수도계량기(12)의 양측으로 연통되는 배관(1)을 수용하면서 배관(1)이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관통홈(21)을 구비한다. 연결다리(20)는 상기 보호통(10)의 양측 하부 방향에 한쌍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보호통(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수도계량기(12)에 연결된 배관(1)이 양측으로 연결된 부분을 감싸 보호하면서 별도의 외부 배관(2)과의 연결이 가능하게 관통홈(21)을 구비하는 바, 이러한 관통홈(21)에는 배관(1)이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착판(30)은 상기 연결다리(20)의 하부를 감싸 수용하게 관통되는 지지공(31a)을 구비하고, 연결다리(20)와 서로 고정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31)를 구비한다. 안착판(30)은 상술한 연결다리(20)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 안착판(30)의 양측에는 각각의 연결다리(20)가 수용될 수 있게 지지공(31a)이 형성되고, 안착판(30)의 지지공(31a) 하부 방향으로 삽설되어 연결다리(20)의 하부에 억지끼움되는 회전부(31)를 구비하는 바, 이로 인하여 상기 연결다리(20)는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 연결다리(20)에 수용된 배관(1) 역시도 회전하여 별도의 외부 배관(2)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착판(30)은 연결다리(20)와 서로 고정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31) 외부에 형성되는 고정돌부(32)와, 연결다리(20) 상에 고정돌부(32)가 삽설되어 고정되는 관통공(33)과, 관통공(33)의 하부에 절개되어 고정돌부(32)의 유입을 용이하게 형성되는 절개홈(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판(30)의 회전부(31)의 외부에는 고정돌부(32)가 형성되어 연결다리(20)의 하부에 형성된 절개홈(34)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33)에 삽설하여 고정하게 된다. 연결다리(20)의 외부에는 돌출부(22)가 형성되는 바,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22)와 회전부(31) 사이에 안착판(30)이 위치하고, 연결다리(20) 상에 회전부(31)장착됨으로 연결다리(20)는 회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고정돌부(32)는 절개홈(34)을 따라 형성된 관통공(33)으로 손쉽게 삽설됨으로 편의성이 증진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지수단(40)은 상기 연결다리(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도계량기(12)의 위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판(41)을 구비한다. 지지수단(40)은 연결다리(2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22)의 상부 방향으로 삽설되면서 수도계량기(12)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는, 종래에 연결다리(20) 상에 고정하기 위해 못, 볼트, 타크 등으로 고정을 시행하여야 함으로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40)은 연결다리(2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는 삽설공(42)과, 지지판(41)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삽설공(42)에 삽설로 인해 고정되는 삽설돌부(43)와, 연결다리(20) 상에 지지판(41)의 삽설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절단홈(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수단(40)은 연결다리(20) 상에 장착되어 상부에 수도계량기(12)를 지지하도록 하는 바, 이는 연결다리(20) 상에 형성된 삽설공(42)에 지지판(41)의 내부면에 형성된 삽설돌부(43)가 삽설되어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판(41)은 보호통(10)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다리(20)에 삽설하는 것이 용이치 않음으로 지지판(41) 상에 형성된 절단홈(44)을 통하여 연결다리(20)에 삽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럼으로 별도의 못, 볼트, 타크 등을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다리(20)는 360°의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관(1)의 연결이 용이함으로 시공이 편의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못, 볼트, 핀을 박는 타크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지지수단을 원터치 형태로 장착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진되고, 연결다리의 회전이 가능해 배관의 연결이 손쉬운 시공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배관 2: 외부 배관
10: 보호통 11: 관통공
12: 수도계량기 20: 연결다리
21: 관통홈 22: 돌출부
30: 안착판 31: 회전부
32: 고정돌부 33: 관통공
34: 절개홈 40: 지지수단
41: 지지판 42: 삽설공
43: 삽설돌부 44: 절단홈

Claims (3)

  1. 지하에 매설되어 내부에 수도계량기(12)를 수용하여 보호하고, 하부에 관통 형성되게 관통공(11)을 구비하는 보호통(10)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10)의 수도계량기(12)의 양측으로 연통되는 배관(1)을 수용하면서 배관(1)이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관통홈(21)을 구비하는 연결다리(20);
    상기 연결다리(20)의 하부를 감싸 수용하게 관통되는 지지공(31a)을 구비하고, 연결다리(20)와 서로 고정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31)를 구비하는 안착판(30); 및
    상기 연결다리(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도계량기(12)의 위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판(41)을 구비하되, 연결다리(2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는 삽설공(42)과, 지지판(41)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삽설공(42)에 삽설로 인해 고정되는 삽설돌부(43)와, 연결다리(20) 상에 지지판(41)의 삽설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절단홈(44)을 구비하는 지지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30)은 연결다리(20)와 서로 고정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31) 외부에 형성되는 고정돌부(32)와, 연결다리(20) 상에 고정돌부(32)가 삽설되어 고정되는 관통공(33)과, 관통공(33)의 하부에 절개되어 고정돌부(32)의 유입을 용이하게 형성되는 절개홈(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3. 삭제
KR1020170102679A 2017-08-12 2017-08-12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200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679A KR102000339B1 (ko) 2017-08-12 2017-08-12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679A KR102000339B1 (ko) 2017-08-12 2017-08-12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587A KR20190017587A (ko) 2019-02-20
KR102000339B1 true KR102000339B1 (ko) 2019-07-15

Family

ID=6556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679A KR102000339B1 (ko) 2017-08-12 2017-08-12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3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069Y1 (ko) * 2005-11-07 2006-01-23 최명중 수도미터기 보호통 지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869Y1 (ko) * 1993-08-07 1996-05-14 안선규 수도 미터기 보호통의 높이 조절장치
KR20060038071A (ko) * 2004-10-29 2006-05-03 이상기 수도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오염 방지 장치
KR100513311B1 (ko) 2004-11-11 2005-09-07 김영철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1568929B1 (ko) * 2014-03-05 2015-11-12 예용철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069Y1 (ko) * 2005-11-07 2006-01-23 최명중 수도미터기 보호통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587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7971A1 (en) Faucet Mounting Sleeve
JP2006348516A (ja) 量水器用ユニットベース
KR101273809B1 (ko) 관통슬리브
KR101454467B1 (ko) 수도 계량기용 보호통
KR102000339B1 (ko)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1568929B1 (ko)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2292942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US20180238031A1 (en) Dual size valve base
JP2018040299A (ja) 水車吊支装置
KR102106221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CN109883503A (zh) 一种方便拆卸的水表保温装置
KR20120106208A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덮개 고정장치
KR101764073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200485695Y1 (ko) 상광하협 형상의 지열전달용 연결구를 갖는 수도미터 보호통
KR20110013081A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하부 보온재의 내삽용 보온재
KR20160001971U (ko) 배관보호 슬리브
KR200430631Y1 (ko) 매설표시기
KR200407069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지지구조
CN213394516U (zh) 一种窨井用监控设备安装固定装置
KR101995713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구
KR102260133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302638Y1 (ko) 수도미터 보호통의 동결방지구조
KR101261444B1 (ko) 수도계량기함용 보온장치
KR200371082Y1 (ko) 수도미터기의 동결 동파방지장치
KR101861841B1 (ko) 다양한 규격에 적용가능한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및 그 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