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714B1 -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714B1
KR101999714B1 KR1020190042772A KR20190042772A KR101999714B1 KR 101999714 B1 KR101999714 B1 KR 101999714B1 KR 1020190042772 A KR1020190042772 A KR 1020190042772A KR 20190042772 A KR20190042772 A KR 20190042772A KR 101999714 B1 KR101999714 B1 KR 101999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top wall
light
inner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우
이준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토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토전자
Priority to KR102019004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1Sources
    • G01N2201/06113Coherent sources; la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2L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8Optics, miscellaneo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은 400nm에서 633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량의 유리창으로 발산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차량의 틴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빛이 상기 유리창을 투과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빛을 처리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빛을 발산하는 광원, 및 상기 빛의 조도를 높이는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는 제1외부 상부벽, 제2외부 상부벽, 제1외부 측면벽, 제2외부 측면벽, 제1내부 측면벽, 제2내부 측면벽, 제1내부 상부벽, 제2내부 상부벽, 제3내부 상부벽, 및 제4내부 상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상부벽, 상기 제1외부 측면벽, 상기 제1내부 측면벽, 상기 제1내부 상부벽, 및 상기 제3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2외부 상부벽, 상기 제2외부 측면벽, 상기 제2내부 측면벽, 상기 제2내부 상부벽, 및 상기 제4내부 상부벽은 광학 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며, 상기 제1외부 상부벽과 상기 제2외부 측면벽은 상기 광학 축과 수직인 축에 대해 0도에서 15도 사이의 제1각을 가지며, 상기 제1외부 상부벽은 상기 광학 축에서 상기 제1외부 측면벽까지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외부 상부벽은 상기 광학 축에서 상기 제2외부 측면벽까지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외부 측면벽과 상기 제2외부 측면벽은 곡선이며, 상기 제1외부 측면벽은 상기 제1외부 상부벽에서 안쪽으로 하향 각도로 상기 제1내부 측면벽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외부 측면벽은 상기 제2외부 상부벽에서 안쪽으로 하향 각도로 상기 제2내부 측면벽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내부 측면벽과 상기 제2내부 측면벽은 상기 광학 축과 각각 평행이며, 상기 제1내부 측면벽은 상기 제1외부 측면벽에서 상기 제1내부 상부벽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내부 측면벽은 상기 제2외부 측면벽에서 상기 제2내부 상부벽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2내부 상부벽은 곡선이며, 상기 광학 축과 수직인 축에 대해 0도에서 30도 사이의 제2각을 가지며, 상기 제3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4내부 상부벽도 곡선이며, 상기 제1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2내부 상부벽 사이에 상기 광학 축과 수직인 축과 평행인 표면이 위치하며, 상기 제3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4내부 상부벽은 정점에서 서로 만나며, 상기 제1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3내부 상부벽 사이, 상기 제2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4내부 상부벽 사이에 금속층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층은 크롬과 같은 금속의 도금, 또는 증착을 통해 생성되며, 상기 제1외부 상부벽, 상기 제1외부 측면벽, 상기 제1내부 측면벽, 상기 제1내부 상부벽, 상기 제2내부 상부벽, 상기 제2내부 측면벽, 상기 제2외부 측면벽, 및 상기 제2외부 상부벽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의 내부는 유리와 같은 투명한 수지로 생성된다.

Description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System for seeing through a tinting window}
본 발명은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를 식별할 수 있는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차량의 운전자들은 프라이버시, 자외선 차단, 햇빛 차단 등의 목적으로 차량의 유리창에 검은색의 필름을 부착한다. 이를 틴팅(tinting)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썬팅이라는 용어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법에는 차량의 유리창에 대해 가시광선 투과율이 일정 퍼센트(예컨대, 자동차의 앞면 유리창은 70 퍼센트, 좌우 옆면 유리창은 40 퍼센트) 이상 되도록 틴팅을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프라이버시 등을 이유로 법을 지키고 있지 않다.
가시광선 투과율이 일정 퍼센트 이하일 때, 외부에서 차량의 내부의 사람이나 물건을 식별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차량이 범죄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내부에서 인명사고가 났을 때, 사고를 조기에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
종래기술로는 틴팅된 차량의 내부를 식별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이 있다. 하지만 최근의 틴팅은 적외선 투과로 인해 차량의 내부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해 적외선까지 차단한다. 적외선까지 차단한 차량의 경우, 종래의 적외선 카메라만으로는 차량의 내부를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틴팅된 차량의 내부를 식별하기 위해 엑스레이(X-ray)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엑스레이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틴팅된 차량의 내부를 식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차량의 내부를 식별할 수 있는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은 400nm에서 633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량의 유리창으로 발산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차량의 틴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빛이 상기 유리창을 투과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빛을 처리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빛을 발산하는 광원, 및 상기 빛의 조도를 높이는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렌즈는 평면볼록렌즈이며, 상기 평면볼록렌즈의 구면의 가운데는 노치(notch)를 포함하며, 상기 노치의 양 쪽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으로 구현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반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해 투과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하며, 분리된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각각의 픽셀 값들을 계산하며, 상기 분리된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계산된 픽셀 값들 중에서 임의의 픽셀 값보다 작은 픽셀들의 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된 픽셀들의 수가 임의의 값보다 클 때, 상기 광원이 상기 빛을 상기 차량의 상기 유리창으로 발산하도록 상기 광원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는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발산되는 상기 빛을 이용하지 않고 생성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은 특정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이용함으로써 틴팅된 차량이라 하더라도 차량의 내부를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고하면, 차량(10)의 유리창(11)이 틴팅될 때, 보통의 CCTV나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10)의 내부의 사람이나 사물이 식별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100)은 틴틴된 차량(10)이라 하더라도 차량(10)의 내부의 사람, 또는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틴팅 원도우 투시 시스템(100)은 범죄 예방, 또는 사고 예방을 위해 이용된다.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100)은 광원 모듈(200), 카메라 모듈(300), 및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광원 모듈(200), 카메라 모듈(300), 및 컨트롤러(40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광원 모듈(200), 카메라 모듈(300), 또는 컨트롤러(400)는 분리되어 2개 이상의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광원 모듈(200), 카메라 모듈(300), 또는 컨트롤러(400)는 분리되어 2개 이상의 장치들로 구현될 때, 광원 모듈(200), 카메라 모듈(300), 또는 컨트롤러(400)는 각각이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 서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100)은 지하 주차장, 또는 외부의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광원 모듈(200)은 400nm에서 633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량(10)의 유리창(11)으로 발산한다.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차량(10)의 유리창(11)이 틴팅될 때, 400nm 이하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차량(10)의 내부의 사람, 또는 사물을 식별할 수 없다.
또한, 차량(10)의 내부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해 적외선까지 차단한 차량(10)의 유리창(11)은 800nm 이상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 영역의 빛이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적외선을 이용하여 차량(10)의 내부의 사람, 또는 사물도 식별할 수 없다.
또한, 별도의 광원 모듈(200)이 없을 때, 주변의 빛은 검은색으로 틴팅된 유리창(11)에 반사되지 않고, 모두 흡수된다. 따라서 별도의 광원 모듈(200)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차량(10)의 내부의 사람, 또는 사물도 식별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광원 모듈(200)이 400nm에서 633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량(10)의 유리창(11)으로 발산함으로써 차량(10) 내부의 사람, 또는 사물에 의해 빛이 반사된다.
광원 모듈(200)은 상기 빛을 발산하는 광원(210), 및 상기 빛의 조도를 높이는 렌즈(220)를 포함한다.
광원(210)은 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이다. 광원(210)은 기판(211)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220)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라고 호칭될 수 있다. 렌즈(220)는 광원(210)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조도를 높이기 위해 이용된다. 렌즈(220)를 이용함으로써 차량(10)이 광원 모듈(2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차량(10)까지 빛이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고하면, 렌즈(220-1)는 평면볼록렌즈이며, 상기 평면볼록렌즈의 구면의 가운데는 노치(notch; 221)를 포함하며, 노치(221)의 양 쪽 가장자리(223, 225)는 톱니 모양으로 구현된다. 렌즈(220-1)는 양 쪽 가장자리(223, 225)가 톱니 모양으로 구현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광원(21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분산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광원(21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조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3을 참고하면, 렌즈(220-2)는 제1외부 상부벽(231), 제2외부 상부벽(233), 제1외부 측면벽(235), 제2외부 측면벽(237), 제1내부 측면벽(239), 제2내부 측면벽(241), 제1내부 상부벽(243), 제2내부 상부벽(245), 제3내부 상부벽(247), 및 제4내부 상부벽(249)을 포함한다.
제1외부 상부벽(231), 제1외부 측면벽(235), 제1내부 측면벽(239), 제1내부 상부벽(243), 및 제3내부 상부벽(247)과, 제2외부 상부벽(233), 제2외부 측면벽(237), 제2내부 측면벽(241), 제2내부 상부벽(245), 및 제4내부 상부벽(249)은 광학 축(Y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다. 상기 광학 축(Y축)은 광원(210)으로부터 출력되는 빛과 기판(211) 사이의 각도가 90도인 축을 의미한다. 상기 광학 축은 Y축일 수 있다.
제1외부 상부벽(231)과 제2외부 측면벽(233)은 상기 광학 축(Y축)과 수직인 축(X축)에 대해 0도에서 15도 사이의 각(θ1)을 가진다. 제1외부 상부벽(231)은 상기 광학 축(Y축)에서 제1외부 측면벽(235)까지 직선으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2외부 상부벽(233)은 상기 광학 축(Y축)에서 제2외부 측면벽(237)까지 직선으로 연장된다.
제1외부 측면벽(235)과 제2외부 측면벽(237)은 곡선이다. 제1외부 측면벽(235)은 제1외부 상부벽(231)에서 안쪽으로 하향 각도로 제1내부 측면벽(239)까지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2외부 측면벽(237)도 제2외부 상부벽(233)에서 안쪽으로 하향 각도로 제2내부 측면벽(241)까지 연장된다.
제1내부 측면벽(239)과 제2내부 측면벽(241)은 상기 광학 축(Y축)과 각각 평행이다. 제1내부 측면벽(239)은 제1외부 측면벽(235)에서 제1내부 상부벽(243)까지 연장된다. 제2내부 측면벽(241)은 제2외부 측면벽(237)에서 제2내부 상부벽(245)까지 연장된다. 제1내부 측면벽(239), 제2내부 측면벽(241), 제3내부 상부벽(247), 및 제4내부 상부벽(249)에 의해 노치(253)가 정의된다. 노치(253)에서 광원(210)이 위치한다.
제1내부 상부벽(243)과 제2내부 상부벽(245)은 곡선이며, 상기 광학 축(Y축)과 수직인 축(X축)에 대해 0도에서 30도 사이의 각(θ2)을 가진다. 유사하게 제3내부 상부벽(247)과 제4내부 상부벽(249)도 곡선이다. 제1내부 상부벽(243)과 제2내부 상부벽(245) 사이에 상기 광학 축(Y축)과 수직인 축(X축)과 평행인 표면(244)이 위치한다. 반면, 제3내부 상부벽(247)과 제4내부 상부벽(249)은 정점(248)에서 서로 만난다.
제1내부 상부벽(243)과 제3내부 상부벽(247) 사이, 제2내부 상부벽(245)과 제4내부 상부벽(249)사이에 금속층(251)이 형성된다. 금속층(251)을 포함함으로써 유리 재질보다 더 많은 빛이 반사될 수 있다. 금속층(251)은 크롬과 같은 금속의 도금, 또는 증착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제1외부 상부벽(231), 제1외부 측면벽(235), 제1내부 측면벽(239), 제1내부 상부벽(243), 제2내부 상부벽(245), 제2내부 측면벽(241), 제2외부 측면벽(237), 및 제2외부 상부벽(233)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220-2)의 내부는 유리와 같은 투명한 수지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렌즈(220-2)는 도 3과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광원(21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렌즈(220-3)는 제1외부 상부벽(271), 제1외부 측면벽(275), 제2외부 측면벽(277), 제1내부 측면벽(279), 제2내부 측면벽(281), 제1내부 상부벽(283), 제2내부 상부벽(285), 제3내부 상부벽(287), 및 제4내부 상부벽(289)을 포함한다.
제1외부 측면벽(275), 제1내부 측면벽(279), 제1내부 상부벽(283), 및 제3내부 상부벽(287)과, 제2외부 측면벽(277), 제2내부 측면벽(281), 제2내부 상부벽(285), 및 제4내부 상부벽(289)은 광학 축(Y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다. 상기 광학 축(Y축)은 광원(210)으로부터 출력되는 빛과 기판(211) 사이의 각도가 90도인 축을 의미한다. 상기 광학 축은 Y축일 수 있다.
제1외부 상부벽(271)은 상기 광학 축(Y축)과 수직인 축(X축)에 대해 0도에서 10도 사이의 각(θ3)을 가진다. 제1외부 상부벽(271)은 상기 광학 축(Y축)에서 양쪽으로 각각 제1외부 측면벽(275)과 제2외부 측면벽(277)까지 곡선으로 하향 각도 로 연장된다.
제1외부 측면벽(275)과 제2외부 측면벽(277)은 곡선이다. 제1외부 측면벽(275)은 제1외부 상부벽(271)에서 안쪽으로 하향 각도로 제1내부 측면벽(279)까지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2외부 측면벽(277)도 제1외부 상부벽(271)에서 안쪽으로 하향 각도로 제2내부 측면벽(281)까지 연장된다.
제1내부 측면벽(279)과 제2내부 측면벽(281)은 상기 광학 축(Y축)과 각각 평행이다. 제1내부 측면벽(279)은 제1외부 측면벽(275)에서 제1내부 상부벽(283)까지 연장된다. 제2내부 측면벽(281)은 제2외부 측면벽(277)에서 제2내부 상부벽(285)까지 연장된다. 제1내부 측면벽(279), 제2내부 측면벽(281), 제3내부 상부벽(287), 및 제4내부 상부벽(289)에 의해 노치(283)가 정의된다. 노치(283)에서 광원(210)이 위치한다.
제1내부 상부벽(283)과 제2내부 상부벽(285)은 곡선이며, 상기 광학 축(Y축)과 수직인 축(X축)에 대해 0도에서 30도 사이의 각(θ4)을 가진다. 유사하게 제3내부 상부벽(287)과 제4내부 상부벽(289)도 곡선이다. 제1내부 상부벽(283)과 제2내부 상부벽(285) 사이에 상기 광학 축(Y축)과 수직인 축(X축)과 평행인 표면(284)이 위치한다. 반면, 제3내부 상부벽(287)과 제4내부 상부벽(289)은 정점(288)에서 서로 만난다.
제1내부 상부벽(283)과 제3내부 상부벽(287) 사이, 제2내부 상부벽(285)과 제4내부 상부벽(289)사이에 금속층(281)이 형성된다. 금속층(281)을 포함함으로써 유리 재질보다 더 많은 빛이 반사될 수 있다. 금속층(281)은 크롬과 같은 금속의 도금, 또는 증착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제1외부 상부벽(271), 제1외부 측면벽(275), 제1내부 측면벽(279), 제1내부 상부벽(283), 제2내부 상부벽(285), 제2내부 측면벽(281), 및 제2외부 측면벽(277)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220-3)의 내부는 유리와 같은 투명한 수지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렌즈(220-3)는 도 4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광원(21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카메라 모듈(300)은 차량(10)의 틴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빛이 유리창(11)을 투과하여 차량(10)의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빛을 처리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카메라 모듈(300)은 상기 반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310), 및 렌즈에 의해 투과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32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320)는 생성된 이미지를 컨트롤러(4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센서(320)는 광원 모듈(2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10)의 유리창(11)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20)는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컨트롤러(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5를 참고하면, 컨트롤러(400)는 이미지 센서(3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 이미지(IMG)로 변환하고 변환된 그레이스케일 이미지(IMG)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R1, R2)로 분리한다. 제1영역(R1)이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이다. 예컨대,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이란 이미지(IMG)의 모서리에서 일정하게 떨어진 거리(d1)를 의미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분리된 복수의 영역들(예컨대, R1, R2) 중 어느 하나의 영역(예컨대, R1)에서 각각의 픽셀 값들을 계산한다. 변환된 그레이스케일 이미지(IMG)는 복수의 픽셀들로 나뉠 수 있다. 픽셀 값은 0에서 255까지의 값을 가진다.
컨트롤러(400)는 분리된 복수의 영역들(R1, R2) 중 어느 하나의 영역(예컨대, R1)에서 계산된 픽셀 값들 중에서 임의의 픽셀 값(예컨대, 100)보다 작은 픽셀들의 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트된 픽셀들의 수가 임의의 값보다 클 때, 컨트롤러(400)는 상기 이미지에 대해 차량(10)의 유리창(11)의 틴팅되어 사물, 또는 사람의 식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카운트된 픽셀들의 수가 임의의 값보다 클 때, 컨트롤러(400)는 광원(210)이 400nm에서 633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량(10)의 유리창(11)으로 발산하도록 광원 모듈(200)를 제어한다. 카메라 모듈(300)은 상기 빛이 유리창(11)을 투과하여 차량(10)의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빛을 처리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400nm에서 633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량(10)의 유리창(11)으로 발산하였기 때문에 차량(10) 내부의 사람, 또는 사물의 식별이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30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없을 때만 광원 모듈(200)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100)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트롤러(400)는 분리된 복수의 영역들(R1, R2) 중 어느 하나의 영역(예컨대, R1)에서 계산된 픽셀 값들의 평균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평균 픽셀 값이 임의의 픽셀 값보다 작을 때, 컨트롤러(400)는 광원(210)이 400nm에서 633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량(10)의 유리창(11)으로 발산하도록 광원 모듈(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6을 참고하면, 이미지 센서(320)는 광원 모듈(2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10)의 유리창(11)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10).
이미지 센서(320)는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컨트롤러(400)로 전송할 수 있다(S20).
컨트롤러(400)는 전송된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 이미지(IMG)로 변환하고 변환된 그레이스케일 이미지(IMG)를 복수의 영역들(R1, R2)로 분리하고, 분리된 복수의 영역들(R1, R2) 중 어느 하나의 영역(예컨대, R1)에서 각각의 픽셀 값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픽셀 값들에 따라 광원 모듈(200)의 제어 여부를 결정한다(S30).
컨트롤러(400)는 상기 계산된 픽셀 값들 중에서 임의의 픽셀 값보다 작은 픽셀들의 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트된 픽셀들의 수가 임의의 값보다 클 때, 컨트롤러(400)는 광원(210)이 400nm에서 633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량(10)의 유리창(11)으로 발산하도록 광원 모듈(20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10: 차량
200: 광원 모듈;
300: 카메라 모듈;
400: 컨트롤러;

Claims (5)

  1. 400nm에서 633nm 사이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차량의 유리창으로 발산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차량의 틴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빛이 상기 유리창을 투과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의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빛을 처리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빛을 발산하는 광원; 및
    상기 빛의 조도를 높이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제1외부 상부벽, 제2외부 상부벽, 제1외부 측면벽, 제2외부 측면벽, 제1내부 측면벽, 제2내부 측면벽, 제1내부 상부벽, 제2내부 상부벽, 제3내부 상부벽, 및 제4내부 상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 상부벽, 상기 제1외부 측면벽, 상기 제1내부 측면벽, 상기 제1내부 상부벽, 및 상기 제3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2외부 상부벽, 상기 제2외부 측면벽, 상기 제2내부 측면벽, 상기 제2내부 상부벽, 및 상기 제4내부 상부벽은 광학 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며,
    상기 제1외부 상부벽과 상기 제2외부 측면벽은 상기 광학 축과 수직인 축에 대해 0도에서 15도 사이의 제1각을 가지며, 상기 제1외부 상부벽은 상기 광학 축에서 상기 제1외부 측면벽까지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외부 상부벽은 상기 광학 축에서 상기 제2외부 측면벽까지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외부 측면벽과 상기 제2외부 측면벽은 곡선이며, 상기 제1외부 측면벽은 상기 제1외부 상부벽에서 안쪽으로 하향 각도로 상기 제1내부 측면벽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외부 측면벽은 상기 제2외부 상부벽에서 안쪽으로 하향 각도로 상기 제2내부 측면벽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내부 측면벽과 상기 제2내부 측면벽은 상기 광학 축과 각각 평행이며, 상기 제1내부 측면벽은 상기 제1외부 측면벽에서 상기 제1내부 상부벽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내부 측면벽은 상기 제2외부 측면벽에서 상기 제2내부 상부벽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2내부 상부벽은 곡선이며, 상기 광학 축과 수직인 축에 대해 0도에서 30도 사이의 제2각을 가지며, 상기 제3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4내부 상부벽도 곡선이며, 상기 제1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2내부 상부벽 사이에 상기 광학 축과 수직인 축과 평행인 표면이 위치하며, 상기 제3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4내부 상부벽은 정점에서 서로 만나며,
    상기 제1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3내부 상부벽 사이, 상기 제2내부 상부벽과 상기 제4내부 상부벽 사이에 금속층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층은 크롬과 같은 금속의 도금, 또는 증착을 통해 생성되며,
    상기 제1외부 상부벽, 상기 제1외부 측면벽, 상기 제1내부 측면벽, 상기 제1내부 상부벽, 상기 제2내부 상부벽, 상기 제2내부 측면벽, 상기 제2외부 측면벽, 및 상기 제2외부 상부벽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의 내부는 유리와 같은 투명한 수지로 생성되는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인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반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해 투과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하며, 분리된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각각의 픽셀 값들을 계산하며, 상기 분리된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계산된 픽셀 값들 중에서 임의의 픽셀 값보다 작은 픽셀들의 수를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된 픽셀들의 수가 임의의 값보다 클 때, 상기 광원이 상기 빛을 상기 차량의 상기 유리창으로 발산하도록 상기 광원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는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 발산되는 상기 빛을 이용하지 않고 생성된 이미지인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KR1020190042772A 2019-04-11 2019-04-11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KR10199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772A KR101999714B1 (ko) 2019-04-11 2019-04-11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772A KR101999714B1 (ko) 2019-04-11 2019-04-11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714B1 true KR101999714B1 (ko) 2019-07-12

Family

ID=6725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772A KR101999714B1 (ko) 2019-04-11 2019-04-11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7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770A (ko) * 2008-04-22 2009-10-27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광 센서 장치
KR20140088432A (ko) * 2013-01-02 2014-07-10 주식회사 오토산업 안개 감지 장치
KR20160097070A (ko) * 2015-02-06 2016-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창유리 가시광선 투과율 원격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4812A (ko) * 2017-02-16 2018-08-24 (주)지앤티솔루션 승차인원 검지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770A (ko) * 2008-04-22 2009-10-27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광 센서 장치
KR20140088432A (ko) * 2013-01-02 2014-07-10 주식회사 오토산업 안개 감지 장치
KR20160097070A (ko) * 2015-02-06 2016-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창유리 가시광선 투과율 원격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4812A (ko) * 2017-02-16 2018-08-24 (주)지앤티솔루션 승차인원 검지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7842B2 (en) Camera system for a vehicle
KR102061445B1 (ko) 가시광 및 적외선 융합 영상 기반 객체 검출 방법 및 장치
CN104039610B (zh) 摄像机系统、尤其用于车辆的摄像机系统
US20140247357A1 (en) Attached matter detector, and attached matter detection method
US11378248B2 (en) IR illuminator with secondary function
CN106488092B (zh) 集成的摄像机、环境光检测及雨传感器组件
EP3225020A1 (en) Imaging device, object detector and mobile device control system
KR20110101177A (ko) 차창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
US10873687B2 (en) IR illuminator to avoid camera field-of-view
JP2015519554A (ja) カメラ及び照明を用いたガラス面の雨滴検出
US10989848B2 (en) Heat-blocking filter and monitoring system
CN112313936B (zh) 车辆视觉系统及车辆
EP2869021B1 (en) Multiple imager vehicle optical sensor system
CN114845012A (zh) 用于车辆内部的监控单元
CN114174114A (zh) 减轻红外光的感知到的红色
KR101999714B1 (ko) 틴팅 윈도우 투시 시스템
US9720132B2 (en) Illumination for the detection of raindrops on a window by means of a camera
US20210056335A1 (en) Variable ir illumination
JP6246932B2 (ja) カメラを用いた窓ガラス上にある雨滴を検出するための照明
CN113382857B (zh) 具有窗玻璃和相关联的热成像仪的装置及其优化方法
US11290703B2 (en) Stereo camera, onboard lighting unit, and stereo camera system
US11274800B2 (en) IR illuminator with asymetric radiation pattern
WO2021153615A1 (ja) 視点検知システム
WO2019225165A1 (ja) 配光制御装置、投光システム及び配光制御方法
JP7473616B2 (ja) 自動露光遮蔽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