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690B1 -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 - Google Patents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690B1
KR101999690B1 KR1020180162896A KR20180162896A KR101999690B1 KR 101999690 B1 KR101999690 B1 KR 101999690B1 KR 1020180162896 A KR1020180162896 A KR 1020180162896A KR 20180162896 A KR20180162896 A KR 20180162896A KR 101999690 B1 KR101999690 B1 KR 101999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late
foreign matter
coating lay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동철
서일우
박경진
Original Assignee
대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산업(주) filed Critical 대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162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6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6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Abstract

Disclosed is an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a debris infiltration prevention unit. The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a debris infiltration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finger plates disposed after being opposed to each other at an upper portion of a bridge, wherein a plurality of finger threads and finger grooves are repeatedly formed in a successive manner on each of the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the finger threads opposed to each other being aligned in an intersecting latch shape; and a debris infiltration prevention unit individually disposed at the finger grooves while being formed in a plate shape coming in contact with an inner wall of the finger grooves, arranged after being spaced from an upper plane of the finger plates towards a lower side, and elastically deformed to maintain the state of coming in contact with a lower plane of the finger threads while the finger threads are slidably moved in the finger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ridge, thereby preventing debris from being infiltrated into a lower portion.

Description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일반적으로 교량은 지상에 세워지는 다수의 교각과,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며, 상판은 다수의 블럭 구조물을 상호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Generally, a brid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r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n upper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er, and the upper plate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block structures are interconnected.

이때, 상판을 구성하는 블럭 구조물은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관계로 시공과정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판들 간의 연결부위에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block structure constituting the top plat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onstruction process because it expands and shrink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n addition, an expansion joint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op plates to prevent the infiltration of foreign matter while maintaining safe operation of the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pansion joint device,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FIG.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200)는 블럭 구조물(B)의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와, 베이스 플레이트(1)의 상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에 볼트(270)로 고정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210,210a)와, 블럭 구조물(B) 사이에 구비되는 방수장치(260)를 포함한다.1 and 2, the expansion joint 2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base plate 1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block structure B, A pair of finger plates 210 and 210a fixed to the base plate 1 with bolts 270 and a waterproofing device 260 provided between the block structures.

그리고 방수장치(260)는 핑거 플레이트(210,210a)와 베이스 플레이트(1)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262)와, 고정부재(26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하향으로 절곡되어 블럭 구조물(B)의 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부재(230)와, 지지부재(230)들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는 방수부재(250)를 포함한다.The waterproofing device 260 includes a fixing member 262 inserted between the finger plates 210 and 210a and the base plate 1 and a fixing member 262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262 and bent downward, And a waterproof member 250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members 230 in a stretchable manner.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200)는 주름체(240)로 이루어진 방수부재(260)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 및 방수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expansion join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unction of blocking and waterproofing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waterproof member 260 made of the corrugated member 24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200)는 방수부재(250)의 주름체(240)와 핑거 플레이트(210,210a) 사이의 높이 간격이 크고 신축이음장치(2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더라도 방수부재(250)의 주름체(240)에 이물질이 적체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축이음장치(200)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신축이음장치(20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xpansion joint device 200, when the height between the corrugated member 240 of the waterproof member 250 and the finger plates 210 and 210a is large and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joint device 200 Even if the waterproofing member 250 does not flow into the waterproofing member 250, the waterproofing member 250 will not function as the expansion joint 200 as time elapses and the life span of the expansion jointing device 200 will be shortened there was.

도 3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5996호에 따른 이물질방지 핑거조인트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이물질방지 핑거조인트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prevention finger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0755996, and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prevention finger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FIG.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이물질방지 핑거조인트구조를 제안하였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structure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ingers shown in FIG. 3 and FIG. 4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물질방지 핑거조인트구조(100)는 한 쌍의 핑거 조인트판(110)의 핑거홈과 핑거산에 교량의 신축시 가변이 가능하도록 자바라 형태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150)를 형성하여, 핑거홈 및 핑거산 사이의 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3 and 4, the foreign matter preventive finger joint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finger groove and a finger mountain of a pair of finger joint plates 110, So as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finger grooves and the finger mountains so as to block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물질방지 핑거조인트구조(100)는 전체적인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작시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파손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핑거 조인트판(110)에 이물질 유입방지장치(150)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150)의 파손과 동시에 핑거 조인트판(110)의 파손도 발생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finger joint structure 100 ha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structure is too complicated to manufacture, and the breakage rate is high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Particularly, since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device 15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nger joint plate 110, the foreign substance inflow prevention device 150 is broken and the finger joint plate 110 is broke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aintenance cost is required.

도 5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5810호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splash-typ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0885810, and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splash-typ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FIG.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를 제안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blocking foreign matter as shown in FIG. 5 and FIG.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50)는 핑거산(11)과 핑거홈(12)을 형성한 한 쌍의 핑거조인트판(10)과, 핑거조인트판(10)을 교량에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한 보조플레이트(20)와,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홈(12) 하단에 형성된 보조플레이트(20)에 결합부재(31)에 의해 결합되며 마주보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 하단부와 맞닿도록 구성되되 교량의 수축시 상기 핑거산(11)의 하단부와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하향되게 휘어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내측으로 중공부를 형성하고, 중공부에는 탄성부(33)가 배치되며, 탄성부(33)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상, 하측으로 상, 하측 고정플레이트를 형성하고, 하측 고정플레이트에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중공부내에 탄성부(33)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를 구성한다.5 and 6, a foreign matter-splash-type expansion joint 50 according to a related art includes a pair of finger joint plates 10 having a finger mount 11 and a finger groove 12 formed therein, An auxiliary plate 20 formed to connect the finger joint plate 10 to the bridge and an auxiliary plate 2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nger groove 12 of the finger joint plate 10 by a coupling member 31 And is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nger mount 11 of the facing finger joint plate 10 and to be bent downward by a sliding ac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finger mount 11 when the bridge is contracted, And an inflow prevention device (30). The hollow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33. The elastic portion 33 forms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pring and the spring And a bolt is formed in the lower fixing plate so that the elastic portion 33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foreign matter introduction preventing device 30.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50)는 반복 사용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를 구성하는 스프링이 노후되고 이로 인해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상부가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의 하단부와 맞닿는 밀착력이 저하되며, 또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를 보조플레이트(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1)가 풀리거나 결합하는데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foreign matter inflow / outflow-type expansion joint device 50 is repeatedly used and the spring constituting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device 30 is aged with time, The engagement force of the lower end of the finger plate 11 of the joint plate 10 is lowered and the engagement member 31 for coupling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device 30 to the auxiliary plate 20 is released or engag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5996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0755996 [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5810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0885810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의 탄성력을 높여 핑거산의 하면에 맞닿는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파손 방지 및 핑거홈에 설치가 용이한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joint device having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having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for enhancing the contact force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a finger mountain,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교량의 상부에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되, 상호 대향되는 일면에 각각 핑거산과 핑거홈이 연속하여 복수 개 반복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는 상기 핑거산은 상호 엇갈려 있는 빗장형태로 배열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 및 상기 핑거홈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핑거홈의 내벽에 밀착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교량의 팽창 및 수축 시에 따라 상기 핑거산이 상기 핑거홈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안 상기 핑거산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이물질이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nger arcs and a plurality of finger grooves are repeated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ridge, the finger arcs and the plurality of finger grooves are repeated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and the finger arcs are mutually staggered A pair of finger plates; And a plurality of finger grooves formed in the finger grooves and formed in a plate shap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nger grooves and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And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unit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mainta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ain while being slidingly moved in the sliding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lower part. have.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은 상기 핑거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되, 길이방향 일단부가 상기 핑거산의 하면에 밀착되고 길이방향 타단부가 상기 핑거홈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며 폭방향 양측부가 상기 핑거홈의 내부측벽에 밀착되는 판형상의 탄성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부의 타단부가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타단부는 상기 핑거홈의 높이방향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groove, and both sid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groove,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is disposed at a center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nger groov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

상기 탄성 플레이트부는 탄성 변형가능한 판형상의 스틸 플레이트; 상기 스틸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는 탄성 변형가능한 피복층; 및 상기 스틸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한 상기 피복층의 폭방향 양측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핑거홈의 내부측벽에 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late portion includes a plate-shaped steel plate elastically deformable; An elastically deformable coating lay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And a wing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both sid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and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ide wall of the finger groove.

상기 피복층 및 상기 날개부는 고무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ating layer and the blade portion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상기 피복층 및 상기 날개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층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폴리우레탄 복합수지층과, 폴리우레탄 수지층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폴리우레탄 복합수지층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층이 높이방향으로 순차로 적층된 다층수지층; 및 상기 다층수지층의 표면에 코팅된 폴리우레아/폴리페닐설폰 복합수지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ating layer and the wing portion are made of an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layer, an ethylene vinyl acetate / polyurethane composite resin layer, a polyurethane resin layer, an ethylene vinyl acetate / polyurethane composite resin layer and an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layer sequentially A multi-layered resin layer laminated on the substrate; And a polyurea / polyphenyl sulfone composite resin coating lay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ulti-layer resin layer.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폴리우레탄 복합수지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가 1: 0.5 내지 2의 비율로 배합되어 발포 성형되고, 상기 폴리우레아/폴리페닐설폰 복합수지 코팅층은 폴리우레아 95 내지 99.5 중량% 및 폴리페닐설폰 0.5 내지 5 중량%로 배합되어 발포 성형되고, 상기 폴리우레아/폴리페닐설폰 복합수지 코팅층은 두께가 0.01 내지 3 mm의 두께로 상기 다층수지층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Wherein the ethylene vinyl acetate / polyurethane composite resin layer is formed by foam-molding an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and a polyurethane resin at a ratio of 1: 0.5 to 2, and the polyurea / polyphenyl sulfone composite resin coating layer comprises polyurea 95 to 99.5 And 0.5 to 5% by weight of polyphenyl sulfone. The polyurea / polyphenyl sulfone composite resin coating layer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ultilayer resin layer to a thickness of 0.01 to 3 mm.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은 상기 핑거홈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핑거홈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스틸 플레이트가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블록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블록이 교량의 상부에 볼트결합되는 경우에 볼트의 머리가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block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finger groove and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groove and the steel plate is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The coupling block may have a bolt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When the coupling block is bol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the head of the bolt may b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상기 핑거홈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결합블록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틸 플레이트의 하부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elastic block provided inside the finger groov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engagement block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상기 탄성블록은 상기 스틸 플레이트의 상기 핑거산의 하면에 대한 초기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스틸 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되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block may be formed such that an upper surface thereof is inclined so as to increase in thickness from the other end of the steel plate toward one end so as to increase an initial adhesion for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ain of the steel plate.

한 쌍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교량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수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보조 플레이트; 및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며 표면에 내수성 코팅층이 형성된 배수용 고무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base plat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finger plates and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ridge; An auxiliary plate having a horizontal plate provided between the finger plate and the base plate, and a vertical plate bent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late; And a pour-in rubber pad having a water-resistant co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plate.

상기 내수성 코팅층은 (i)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얻은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ii) 광중합 개시제 및 (iii) 닥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광중합 반응시켜 수득될 수 있다.The water-resistant coating layer can be obtained by photopolymerization of a mixed solution comprising (i) a photocurable resin prepolymer obtained by reacting polyethylene glycol with methacryloyl chloride, (ii)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iii) a mulberry extract.

상기 닥나무 추출액은 물의 양을 최초의 절반이 될 때까지 농축시켜 얻은 닥나무 추출액이고, 상기 혼합액은 (i) 상기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ii) 상기 광중합 개시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iii) 상기 닥나무 추출액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I)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resin prepolymer and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resin prepolymer, (ii) the amount of the photocurable resin prepolymer is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resin prepolymer, 0.5 to 1.5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iii) 5 to 15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of the mulberry ex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핑거산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장시간 반복 사용되는 경우에도 차량 등에 의해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unit which is arrang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and is resiliently deformed so as to maintain a state of tight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ai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ventive unit from being damaged,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reas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은 핑거홈의 내벽에 이격없이 밀착되게 배치되므로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이물질 적체로 인한 핑거산의 슬라이딩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nger groove without disturbing the foreign matter, inflow of the foreign matt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sliding movement of the finger mountain due to foreign matter accumul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plate shape, it is simple to manufacture and easy to instal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5996호에 따른 이물질방지 핑거조인트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이물질방지 핑거조인트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5810호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와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D-D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 prior art.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nger joint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0755996.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reign matter prevention finger joint according to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inflow-blocking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0885810.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aminant-entraining type expansion joint device according to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telescopic j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illustrating a telescopic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ir of finger plates and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10,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2, illustrating an operational state of the expansion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와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of a telescopic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and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elescopic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astic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는 교량(C)의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제1 볼트(B1)로 고정되며 핑거산(143)과 핑거홈(141)이 연속하여 복수 개 반복 형성된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140)와, 핑거 플레이트(14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 마련되며 하방으로 절곡된 보조 플레이트(120)와, 양끝단이 보조 플레이트(120)에 결합되는 배수용 고무패드(130)와, 복수 개의 핑거홈(141)의 내부에 각각 마련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150)을 포함한다.7 to 11, an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110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bridge C, A pair of finger plates 140 which are mutually opposed to each other and which are fixed to the base plate 110 by a first bolt B1 and in which a plurality of finger arcs 143 and finger grooves 141 are continuously formed repeatedly, An auxiliary plate 120 provided between the plate 140 and the base plate 110 and bent downward; a pouring rubber pad 130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auxiliary plate 120; 141,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교량(C)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설치되는 보조 플레이트(120)와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ase plat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bridge C and supports the auxiliary plate 120 and the pair of finger plates 14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교량(C)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보조 플레이트(120)와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140)를 순차로 제1 볼트(B1)로 볼트 결합한다.The auxiliary plate 120 and the pair of finger plates 140 are sequentially bol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with the first bolt B1 while the base plate 1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C. do.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플레이트(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핑거 플레이트(140) 사이에 배치된다. 보조 플레이트(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마련되는 수평 플레이트(121)와 수평 플레이트(121)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수직 플레이트(123)로 구성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auxiliary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plate 110 and the finger plate 140. The auxiliary plate 120 is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A" composed of a horizontal plate 12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nd a vertical plate 123 bent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late 121.

그리고 배수용 고무패드(130)의 양끝단은 교량(C)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보조 플레이트(120)의 수직 플레이트(123)의 끝단에 각각 결합된다.The both ends of the pouring rubber pads 130 are respectively joined to the ends of the vertical plates 123 of the auxiliary plate 120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bridge C.

배수용 고무패드(130)는 교량(C)의 상부에서 유입된 유수를 배수하는 것으로서, 수분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용 고무패드(130)의 표면에는 내수성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absorbing rubber pad 130 drains water flow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C, and a water-repellent coating lay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absorbing rubber pad 130 to prevent the water- .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the like, but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is natural that it belongs to the claim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분자량이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3.4g(3.4mmol)을 잘 건조된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50의 벤젠을 첨가한 다음, 오일 배스(oil bath)에서 60의 온도로 환류(reflux)하에서 완전 용해시켰다.3.4 g (3.4 mmol) of a polyethylene glycol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 were placed in a well-dried 500 round bottom flask and 50 benzene was added and then completely dissolved under reflux in an oil bath at 60 ° C .

그 다음에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methacryloyl choloride) 0.68mL(7mmol)를 첨가하고, 1mL(7.2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한 후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Then, 0.68 mL (7 mmol) of methacryloyl choloride was added, and 1 mL (7.2 mmol) of triethylamine was added, followed by reaction for 3 hours.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과공정(filtering)을 통해 트리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과량의 n-헥산에 적가한 후, 40의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에스테르계 광경화형 프리폴리머를 얻었다.After the reaction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triethylamine hydrochloride was removed by filtration, the reaction product was added dropwise to n-hexane and then dried in a vacuum oven at 40 to obtain an ester-based light-curable prepolymer .

이렇게 얻은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1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항온조에 장착된 5mm 노즐을 통하여 배수용 고무패드(130)에 코팅될 수 있을 정도의 양을 주입한다.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prepolymer thus obtained and 1 part by weight of benzoin methyl ether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injected in an amount sufficient to coat the dummy rubber pad 130 through a 5 mm nozzle fitted to the thermostatic chamber .

그리고 300~400nm 파장의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배수용 고무패드(130)에 10분 동안 빛을 쬐여 경화함으로써 내수성 코팅층을 형성하였다.Then, the water-repellent coating layer was formed by irradiating light on the embedding rubber pad 130 for 10 minutes by using an ultraviolet lamp having a wavelength of 300 to 400 nm.

실시예 2Example 2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1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는 대신에, 광경화성 수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1 중량부를 혼합한 후, 여기에 추가로 아래에서 제조한 닥나무 추출액 10 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 제조예 1과 동일하게 내수성 코팅층을 형성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resin prepolymer and 1 part by weight of benzoin methyl ether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mixed instead of using a mixture of 10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resin prepolymer and 1 part by weight of benzoin methyl ether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water-resistant coating layer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a mixed solution obtained by further mixing 10 parts by weight of the municipal wax extract prepared below was used.

닥나무 줄기를 5 내지 10cm 길이로 자르고, 이렇게 자른 닥나무 줄기와 닥나무 잎 및 물을 중량비가 1 : 1 : 30이 되도록 잘 섞었다. 이를 가열하되, 물이 최초 양의 절반이 될 때까지 가열시켰다. 닥나무 잎과 줄기를 제거하고 거름망으로 여과하여 닥나무 추출액을 제조하였다.The mulberry stem was cut to a length of 5 to 10 cm, and the thus-cut mulberry stem, mulberry leaf and water were mixed to a weight ratio of 1: 1: 30. It was heated until the water was half of its original volume. The leaves and stems of mulberry leaves were removed and the extracts were filtered through a siev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대조를 위하여 내수성 코팅층을 형성시키지 않은 배수용 고무패드(130)를 그대로 사용하였다.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a padded rubber pad 130 having no water-resistant coating layer was used as it is.

평가예Evaluation example

그 결과, 비교예 1에서 배수용 고무패드(130)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제조하고 이를 장기간 운전한 결과, 운전 후 상당 시간 동안 별다른 악취가 감지되지 않았으나, 약 500 시간 정도가 지나면서 주변의 악취가 미세하게 감지되며, 그 정도가 점차 심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in the comparative example 1,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anufactured using the rubber pads 130 for embers, and it was found that after a long period of operation, no odor was detected for a considerable time after the oper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rounding odor was microscopically detected and the degree of the odor gradually increased.

반면, 실시예 1에서 내수성 코팅층이 형성된 배수용 고무패드(130)는 약 1,000 시간 정도 운전 후에도 주변 악취는 전혀 감지되지 않았으며, 다만 배수용 고무패드(130)의 내부로부터 발생한 미세한 크랙이 외부 표면에도 점차 관찰되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ater-permeable rubber pad 130 having the water-repellent coating layer formed in Example 1, the surrounding odor was not detected at all after about 1,000 hours of operation, but a minute crack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Of the total population.

한편, 실시예 2에서 내수성 코팅층이 형성된 배수용 고무패드(130)는 위 실시예 1의 배수용 고무패드(130)와 같이 약 1,000 시간 정도 운전 후에도 주변 악취는 전혀 감지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위 실시예 1의 배수용 고무패드(130)와 달리 배수용 고무패드(130)의 내부로부터 발생한 미세한 크랙도 외부 표면에서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surrounding padding 130 having the water-repellent coating layer formed in Example 2 was not detected at all after about 1,000 hours of operation as in the case of the padded rubber pad 130 of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unlike the padded rubber pad 130 of Example 1, no micro cracks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padded rubber pad 130 were observed on the outer surface at all.

본 실시예에 따른 핑거 플레이트(140)의 일면에는 각각 핑거산(143)과 핑거홈(141)이 연속하여 복수 개 반복 형성된다. 그리고 교량(C)의 상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140)가 마련된다.A plurality of finger arrays 143 and finger grooves 141 are continuous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finger plates 140 are provided on the bridge C so as to face each other.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140)는 핑거산(143)과 핑거홈(141)이 연속하여 반복 형성된 일면이 상호 대향되며, 상호 대향되는 핑거산(143)은 대향되는 핑거홈(1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엇갈려 있는 빗장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교량(C)이 팽창 또는 수축하는 경우에 핑거산(143)은 대향되게 마련된 핑거홈(14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The pair of finger plates 140 are formed such that one side of the finger arcs 143 and the finger grooves 141 are repeatedly formed one after another and the opposite finger arcs 143 are inserted into the opposite finger grooves 141 Are arranged in the form of mutually staggered bolts. When the bridge C expands or contracts, the finger mount 143 is slidably moved in the finger grooves 141 provided opposite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150)은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140) 각각의 핑거홈(141)의 내부에 마련되고 양측부가 핑거홈(141)의 내벽에 밀착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inger grooves 141 of each of the pair of finger plates 140 and has a plate shape in which both side portion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nger grooves 141 .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150)은 교량(C)의 팽창 및 수축 시에 핑거산(143)이 핑거홈(14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핑거산(143)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되며 이물질이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unit 150 is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tip 143 while the fingertip 143 slides in the finger groove 141 when the bridge C expands and contracts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lower portion.

또한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150)은 핑거 플레이트(14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150)이 장시간 반복 사용되는 경우에도 차량 등에 의해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15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150 is dispo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40. This can prevent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unit 150 from being damaged by the vehicle or the like even whe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unit 150 is repeatedly used for a long tim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tenance cost from being increased.

구체적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150)은 핑거홈(141)의 길이방향(X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되 길이방향(X방향) 일단부가 핑거산(143)의 하면에 밀착되고 길이방향(X방향) 타단부가 핑거홈(141)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며 폭방향(Y방향) 양측부가 핑거홈(141)의 내부측벽에 밀착되는 판형상의 탄성 플레이트부(151)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150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finger groove 141,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 143, And a plate-like elastic plate portion 151 whos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groove 141 and both sid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wall of the finger groove 141.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일단부는 탄성 변형되어 핑거산(143)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타단부는 핑거 플레이트(14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고 핑거홈(141)의 높이방향(Z방향) 중심부에 배치된다.One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elastically deformed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 143.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40 and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nger groove 141 in the height direction (Z direction).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150)은 핑거홈(141)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타단부가 핑거 플레이트(14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결합블록(158)을 더 포함한다. 결합블록(158)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볼트공(159)이 형성되며 결합블록(158)이 교량의 상부에 볼트결합되는 경우에 제2 볼트(B2)의 머리가 핑거 플레이트(14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groove 141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40 And a coupling block 158 coupled thereto. A bolt hole 159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formed in the coupling block 158 and the head of the second bolt B2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40 when the coupling block 158 is bol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타단부가 결합블록(158)의 중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볼트(B2)가 결합블록(158)의 볼트공(159)을 관통하여 수평 플레이트(121) 및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된다. 이때 제2 볼트(B2)의 머리는 핑거 플레이트(14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하여 이로써 차량 등에 의해 제2 볼트(B2)의 머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bolt B2 passes through the bolt hole 159 of the engaging block 158 while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engaged with the center of the engaging block 158 as shown in Fig. And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late 121 and the base plate 110. At this time, the head of the second bolt B2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40, thereby preventing the head of the second bolt B2 from being damaged by a vehicle or the like.

또한 탄성 플레이트부(151)가 결합블록(158)의 중심부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플레이트(121) 및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관통결합되므로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탄성 플레이트부(151)가 핑거홈(141)의 높이방향(Z방향) 중심부에 배치되므로 차량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late 121 and the base plate 110 in a state where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coupling block 158,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can be easily installed Since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inger groove 141 in the height direction (Z direction),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 vehicle or the like.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 플레이트부(151)는 탄성 변형가능한 판형상의 스틸 플레이트(152)와, 스틸 플레이트(152)의 외면을 감싸는 탄성 변형가능한 피복층(153)과, 스틸 플레이트(152)의 상면에 위치한 피복층(153)의 폭방향 양측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핑거홈(141)의 내부측벽에 밀착되는 날개부(154)를 포함한다. 피복층(153)과 날개부(15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9 and 10,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ncludes an elastically deformable plate-shaped steel plate 152, an elastically deformable cover layer 153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152, And wings 154 extending horizontally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153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152 and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ide walls of the finger grooves 141. 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may be integrally formed.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중심부에 마련된 스틸 플레이트(152)는 탄성력 및 복원력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eel plate 15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f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elastic force and restoring force.

스틸 플레이트(152)와 핑거 플레이트(140)는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될 수 있으므로 스틸 플레이트(152)의 양측부와 핑거홈(141)의 내부측벽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Since the steel plate 152 and the finger plate 140 can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both side portions of the steel plate 152 and the inner side walls of the finger grooves 141 shoul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스틸 플레이트(152)의 상면부와 핑거산(143)의 하면부가 상호 밀착 유지되므로 차량 진행시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스틸 플레이트(152)의 양측부와 핑거홈(141)의 내부측벽이 상호 밀착되면 핑거홈(141)의 내부에서 스틸 플레이트(152)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에, 스틸 플레이트(152)와 핑거홈(141)의 내부측벽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스틸 플레이트(152)와 핑거홈(141)의 내부측벽 사이의 마찰로 인해 스틸 플레이트(152)의 탄성 변형이 제한되고 이로 인해 핑거홈(141)의 내부에서 핑거산(143)의 슬라이딩 운동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틸 플레이트(152)의 양측부와 핑거홈(141)의 내부측벽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다.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15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ain 143 are kep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noise due to vibration during vehicle traveling may be generated. When the inner side wall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nois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steel plate 152 and the inner side wall of the finger groove 141 may be generated when the steel plate 152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finger groove 141 have.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teel plate 152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steel plate 152 and the inner side wall of the finger groove 141 is limited and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nger mount 143 inside the finger groove 141 It can be interrupted. Therefore, both side portions of the steel plate 152 and the inner side walls of the finger grooves 1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탄성 플레이트부(151)는 이물질이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스틸 플레이트(152)의 외면을 감싸는 피복층(153)을 마련하고, 스틸 플레이트(152)의 상면에 위치한 피복층(153)의 폭방향 양측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핑거홈(141)의 내부측벽에 밀착되는 날개부(154)를 마련한다.Since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152, the covering layer 153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152 is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ng portions 154 extending horizontally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153 and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ide walls of the finger grooves 141 are provided.

스틸 플레이트(152)의 상면에 위치한 피복층(153)의 폭방향(Y방향) 너비와 스틸 플레이트(152)의 상면에 위치한 피복층(153)의 폭방향(Y방향) 양측부에서 연장된 날개부(154)의 폭방향(Y방향) 너비의 합은 핑거홈(141)의 폭방향(Y방향) 너비에 대응된다.(Y direction) width of the coating layer 153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152 and wings extending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153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152 154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width of the finger groove 141.

상기와 같이 피복층(153)에서 연장된 날개부(154)가 핑거홈(141)의 내부측벽에 밀착되므로 스틸 플레이트(152)와 핑거홈(141)의 내부측벽 사이에 마찰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핑거홈(141)의 내부에서 핑거산(143)의 슬라이딩 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층(153)에서 연장된 날개부(154)가 핑거홈(141)의 내부측벽에 밀착되므로 이물질이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층(153)이 스틸 플레이트(152)의 외면을 감싸므로, 차량진행에 의한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스틸 플레이트(152)가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스틸 플레이트(152)에 발생될 수 있는 녹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wings 154 extending from the coating layer 15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walls of the finger grooves 141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steel plates 152 and the inner sidewalls of the finger grooves 141 is prevented And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nger mount 143 in the finger groove 14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hindered. Further, since the wing portion 154 extending from the coating layer 15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wall of the finger groove 141,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lower portion. Further, since the cover layer 153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15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ise generated by the vibration due to vehicle progress and to prevent the steel plate 152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ust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plate 152.

또한, 피복층(153)은 스틸 플레이트(152)의 외면에 본딩제를 도포한 후 견고하게 본딩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본딩제는 피복층(153)을 스틸 플레이트(152)에 견고하게 본딩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The coating layer 153 may be firmly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152 after the bonding agent is applied to the steel plate 152. In this embodiment, Either of them can be used.

한편, 피복층(153) 및 날개부(154)는 스틸 플레이트(152)와 함께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피복층(153) 및 날개부(154)는 스틸 플레이트(152)와 동일한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are elastically deformed together with the steel plate 152.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the same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as the steel plate 152.

피복층(153) 및 날개부(154)는 스틸 플레이트(152)와 동일한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the same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as the steel plate 152.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피복층(153) 및 날개부(154)가 스틸 플레이트(152)와 동일한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피복층(153) 및 날개부(154)는 다층수지층(155)과, 다층수지층(155)의 표면에 코팅된 폴리우레아/폴리페닐설폰 복합수지 코팅층(156)을 포함한다.10, 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are formed of a multi-layered resin layer 155 and a multi-layered resin layer 155 so that 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have the same elastic force and restoring force as the steel plate 152, And a polyurea / polyphenyl sulfone composite resin coating layer 156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ultilayer resin layer 155.

구체적으로 다층수지층(155)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층(155a)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폴리우레탄 복합수지층(155b)과, 폴리우레탄 수지층(155c)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폴리우레탄 복합수지층(155b)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층(155a)이 높이방향(Z방향)으로 순차로 적층된다. 여기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폴리우레탄 복합수지층(155b)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가 1: 0.5 내지 2의 비율로 배합되어 발포 성형된다.Specifically, the multilayer resin layer 155 includes an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layer 155a, an ethylene vinyl acetate / polyurethane composite resin layer 155b, a polyurethane resin layer 155c, an ethylene vinyl acetate / The stratum 155b and the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layer 155a are sequentially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Z direction). Here, the ethylene vinyl acetate / polyurethane composite resin layer 155b is foam-molded by mixing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and polyurethane resin at a ratio of 1: 0.5 to 2.

피복층(153) 및 날개부(154)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신율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복원력이 낮으며 복원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피복층(153) 및 날개부(154)를 상기와 같은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다층수지층(155)으로 구성하였으며, 다층수지층(155)으로 구성된 피복층(153) 및 날개부(154)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1000회 이상 반복사이클 실험에서도 신율 및 복원력이 95%이상 유지되고 우수한 밀착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When 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are made of ethylene vinyl ace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ongation and durability are lowered. When 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are made of polyurethane, the restoring force is low and the restoration speed is slow.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nd that 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are formed of the multilayer resin layer 155 having the multilay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ating layer 153 composed of the multilayer resin layer 155, (154) wa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longation and restitution force were maintained at 95% or more even with repeated cycling experiments of 1000 times or more and had excellent adhesion.

한편, 다층수지층(155)에는 높이방향(Z방향)으로 직경이 1 내지 5 mm인 관통홀(미도시)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교량(C)의 수축 시에 핑거산(143)이 핑거홈(141)의 내부 바닥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다층수지층(155)이 하방으로 탄성 변형되는 경우에 다층수지층(155)의 하부 폭이 증가되어 핑거홈(141)의 내부측벽을 압착하게 되면 핑거산(143)의 슬라이딩 운동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다층수지층(155)에 복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다층수지층(155)의 탄성 변형에 따른 핑거산(143)의 슬라이딩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not shown) having a diameter of 1 to 5 mm may be formed in the multi-layer resin layer 155 in the height direction (Z direc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multi-layer resin layer 155 is elastically deformed downward as the fingertip 143 slides towar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groove 141 at the time of contraction of the bridge C, And the inner side wall of the finger groove 141 is pressed, sliding movement of the finger mount 143 may be interrupted.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multi-layer resin layer 155 The sliding motion of the finger mount 143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multi-layered resin layer 155 is smooth.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폴리페닐설폰 복합수지 코팅층(156)은 폴리우레아 95 내지 99.5 중량% 및 폴리페닐설폰 0.5 내지 5 중량%로 배합되어 발포 성형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아/폴리페닐설폰 복합수지 코팅층(156)은 두께가 0.01 내지 3 mm의 두께로 다층수지층(155)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Also, the polyurea / polyphenyl sulfone composite resin coating layer 15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am-molded by blending 95 to 99.5% by weight of polyurea and 0.5 to 5% by weight of polyphenyl sulfone. The polyurea / polyphenyl sulfone composite resin coating layer 156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multi-layer resin layer 155 to a thickness of 0.01 to 3 mm.

폴리우레아/폴리페닐설폰 복합수지 코팅층(156)은 피복층(153) 및 날개부(154)의 내화학성과 방수특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폴리우레아/폴리페닐설폰 복합수지 코팅층(156)은 피복층(153) 및 날개부(154)가 핑거산(143)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폴리페닐설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핑거산(143)의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표면경도가 상승하여 핑거산(143)의 하면에 대한 밀착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이물질 유입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The polyurea / polyphenyl sulfone composite resin coating layer 156 improves the chemical resistance and waterproof property of 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Particularly, the polyurea / polyphenyl sulfone composite resin coating layer 156 smoothly slides when the coating layer 153 and the wing portion 154 slide downward while closely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ain 143 Respectively. If the content of the polyphenyl sulfone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sliding of the finger acid 143 is difficult to smoothly smoothly. If the content of the polyphenyl sulfone exceeds the above range, the surface hardness increases and the adhesion for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acid 143 is lowered. The effect may be deteriorated.

한편, 탄성 플레이트부(151)가 결합된 결합블록(158)이 교량의 상부에 볼트결합되는 경우에 탄성 플레이트부(151)는 핑거 플레이트(14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된다.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40 when the coupling block 158 to which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coupled is bol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따라서, 결합블록(158)에 인접한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초기에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일단부의 핑거산(143)의 하면에 대한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150)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100)는 핑거홈(141)의 내부에 마련되되 결합블록(158)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타단부 하면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블록(170)을 더 포함한다.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adjacent to the coupling block 158 and to initially increase the adhesio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 143 at one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The expansion joint device 100 having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1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finger groove 141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engagement block 158, And an elastic block 17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ther end lower surface.

구체적으로 도 1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일단부가 핑거산(143)의 하면에 밀착되는 초기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탄성블록(170)은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되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11 (a), in order to increase the initial adhesion force of one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 143, the elastic block 170 is provided on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And the upper surface is inclined so that the thickness increases from the other end toward the one end.

그리고, 도 11(b)에서와 같이 탄성블록(170)의 상면에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타단부가 안착되고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일단부가 핑거산(143)의 하면에 밀착되어 초기에 탄성 플레이트부(170)가 핑거산(143)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11 (b),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lock 170 and one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 143, The elastic plate portion 170 can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 143 in an adhering forc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블록(170)은 고무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탄성변형에 대응하여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타단부 하면을 지지하는 것이면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Also, the elastic block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s long as it supports the other end bottom surfac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having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D-D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FIG. 12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an expansion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sectional view taken on line D-D of FIG. 12, illustrating an operational state of an expansion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량(C)의 상부에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140)가 마련 및 설치되며, 탄성 플레이트부(150)는 핑거홈(141)의 내부에 각각 마련되고 핑거산(143)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되며 핑거산(143)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핑거산(143)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 운동한다.A pair of finger plates 140 are provided and installed on the bridge C and the elastic plate part 150 is provided inside the finger grooves 141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 143 And is relatively slidingly moved relative to the finger mount 143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 143. [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C)이 수축되는 경우에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140)는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핑거산(143)은 대향되게 마련된 핑거홈(141)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탄성 플레이트부(151)는 핑거산(143)의 이동에 따라 핑거산(143)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더욱 하방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탄성 플레이트부(151)의 양측부는 핑거홈(141)의 내부측벽 밀착되고 상면은 핑거산(143)의 하면에 밀착되므로 이물질이 핑거홈(141)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12 and 13, when the bridge C is contracted, the pair of finger plates 140 are moved in mutually approaching directions, and the finger arcs 143 ar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141). At this time,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is elastically deformed further downward while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 143 as the finger mount 143 moves. Since both side portions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151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wall of the finger groove 141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ain 143, foreign matt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nger groove 14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신축이음장치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보조 플레이트 130: 배수용 고무패드
140: 핑거 플레이트 141: 핑거홈
143: 핑거산 150: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
151: 탄성 플레이트부 152: 스틸 플레이트
153: 피복층 158: 결합블록
170: 탄성블록
100: expansion joint 110: base plate
120: Auxiliary plate 130: Drains rubber pad
140: Finger plate 141: Finger groove
143: Finger mount 150: Foreign body inflow prevention unit
151: Elastic plate part 152: Steel plate
153: coating layer 158: bonding block
170: Elastic block

Claims (12)

교량의 상부에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되, 상호 대향되는 일면에 각각 핑거산과 핑거홈이 연속하여 복수 개 반복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는 상기 핑거산은 상호 엇갈려 있는 빗장형태로 배열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
상기 핑거홈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핑거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길이방향 일단부가 상기 핑거산의 하면에 밀착되고 길이방향 타단부가 상기 핑거홈의 높이방향 중심부에 배치되고 폭방향 양측부가 상기 핑거홈의 내부측벽에 밀착되는 판형상의 탄성 플레이트부와 상기 핑거홈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탄성 플레이트부의 타단부가 중심부에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구비하여 이물질이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 및
상기 핑거홈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결합블록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부의 상기 핑거산의 하면에 대한 초기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 플레이트부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되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 플레이트부의 하부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블록을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A pair of finger plat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an upper portion of a bridge, wherein a plurality of finger arcs and finger grooves are continuous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ridge, the finger arcs being mutually opposed to each other;
The finger grooves being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grooves,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ain,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nger grooves, And an engaging block provided inside the finger groove and having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coupled to a center portion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lower portion, Prevention unit; And
Wherein the elastic plate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finger groove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engaging block and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toward one end, And an elastic block formed to be inclined and elastically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lat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부는,
탄성 변형가능한 판형상의 스틸 플레이트;
상기 스틸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는 탄성 변형가능한 피복층; 및
상기 스틸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한 상기 피복층의 폭방향 양측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핑거홈의 내부측벽에 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plate portion
An elastically deformable plate-shaped steel plate;
An elastically deformable coating lay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And
And a wing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both sid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ating laye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and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idewalls of the finger groov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 및 상기 날개부는 고무재질로 제조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ver layer and the wing portion are made of a rubber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블록이 교량의 상부에 볼트결합되는 경우에 볼트의 머리가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unit in which a bolt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formed in the joint block and the head of the bolt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when the joint block is bol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ridge, Joints.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교량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수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보조 플레이트; 및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며 표면에 내수성 코팅층이 형성된 배수용 고무패드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ase plat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finger plates and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ridge;
An auxiliary plate having a horizontal plate provided between the finger plate and the base plate, and a vertical plate bent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late; And
And a foreign matter infiltration preventing unit including a waterproofing rubber pad having a waterproof coating layer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he waterproofing coating layer being coupl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62896A 2018-12-17 2018-12-17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 KR1019996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96A KR101999690B1 (en) 2018-12-17 2018-12-17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96A KR101999690B1 (en) 2018-12-17 2018-12-17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235A Division KR20200074826A (en) 2019-04-18 2019-04-18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690B1 true KR101999690B1 (en) 2019-07-15

Family

ID=6725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896A KR101999690B1 (en) 2018-12-17 2018-12-17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69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7649A (en) * 2019-11-21 2020-02-11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Civil engineering expansion joint waterproof construction
CN111809514A (en) * 2020-07-31 2020-10-23 成都市长大路桥科技有限公司 Riding type comb plate expansion device
KR102203172B1 (en) 2020-09-09 2021-01-14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Foreign substances blocking type expansion jointing apparatus for bridge with bending blocking plate
KR20210009047A (en) * 2019-07-16 2021-01-26 손찬우 A expansion joint apparatus and joint method for bridge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96B1 (en) 2007-06-19 2007-09-06 대경산업(주) Dust preventing type finger joint of structure
KR100885810B1 (en) 2008-08-08 2009-02-26 대경산업(주) Preventing fromdust intrusion type expansion joint
KR101688916B1 (en) * 2016-01-05 2016-12-22 (주)한국하수도기술 Sewer system for preventing diffuse a od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96B1 (en) 2007-06-19 2007-09-06 대경산업(주) Dust preventing type finger joint of structure
KR100885810B1 (en) 2008-08-08 2009-02-26 대경산업(주) Preventing fromdust intrusion type expansion joint
KR101688916B1 (en) * 2016-01-05 2016-12-22 (주)한국하수도기술 Sewer system for preventing diffuse a od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047A (en) * 2019-07-16 2021-01-26 손찬우 A expansion joint apparatus and joint method for bridge structure
KR102232527B1 (en) 2019-07-16 2021-03-26 손찬우 A expansion joint apparatus and joint method for bridge structure
CN110777649A (en) * 2019-11-21 2020-02-11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Civil engineering expansion joint waterproof construction
CN111809514A (en) * 2020-07-31 2020-10-23 成都市长大路桥科技有限公司 Riding type comb plate expansion device
KR102203172B1 (en) 2020-09-09 2021-01-14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Foreign substances blocking type expansion jointing apparatus for bridge with bending blocking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690B1 (en)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
JP4787197B2 (en) Bridge water conveyanc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5269624A (en) Expansion joint system
KR101533984B1 (en) A waterproof and preventing dust intrusion type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ng method of expansion joint
JP5852353B2 (en) Telescopic device used for brid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A300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WATERPROOFING AND DRAINING INFILTRATED WATER IN STRUCTURES
KR100885810B1 (en) Preventing fromdust intrusion type expansion joint
US8936412B1 (en) Cover for a liquid reservoir
KR100861479B1 (en) Expansion joints for bridges equipped with replacement system of drainage sheets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KR20200074826A (en)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
KR101768164B1 (en) Expansion joint apparatus having high elastic dust intrusion protection unit
KR100502076B1 (en) Bridge structure
KR102587939B1 (en) Non-drain sheet type bridge expansion joint
KR102387148B1 (en)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KR101034281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performance of a bearing of bridge
KR200451461Y1 (en) Expansion joint for undrained
NL193952C (en) Carpeting.
KR100258297B1 (en) Expansion joint matter using concrete slab
KR200324571Y1 (en) Catch basin and counter attached flexible coupling for bridge
KR200425255Y1 (en) The expansion joint using elasticity polymer
JP4617026B2 (en) Bridge horizontal drainage
KR102520638B1 (en) Complex finger expansion joint without drain sheet
KR101812539B1 (en) Sheet Membrane Waterproofing System for Building
KR102507665B1 (en) Drain Structure And Integrated Drain System Having The Same
KR101339947B1 (en) Attach the protection device of pillars suspended sol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