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363B1 - 철거용 크라샤 - Google Patents

철거용 크라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363B1
KR101999363B1 KR1020190010379A KR20190010379A KR101999363B1 KR 101999363 B1 KR101999363 B1 KR 101999363B1 KR 1020190010379 A KR1020190010379 A KR 1020190010379A KR 20190010379 A KR20190010379 A KR 20190010379A KR 101999363 B1 KR101999363 B1 KR 101999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portion
body part
coupl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국
Original Assignee
유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제국 filed Critical 유제국
Priority to KR1020190010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게부를 포함하고 있는 메인본체부의 기울어짐 발생시 연결본체부와 일체화되어 기울어짐으로써 집게부를 포함한 메인본체부가 연결본체부에서 떨어져 나가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철거용 크라샤에 관한 것으로, 연결본체부와 상기 연결본체부에 연결되는 집게부를 포함한 메인본체부와, 상기 연결본체부에서 메인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쐐기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쐐기홀을 포함한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와 쐐기면을 포함한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물체의 파지 및 파쇄작업을 할 때에 메인본체부만 따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연결본체부와 메인본체부를 체결하는 체결볼트의 조기 파손 방지 및 체결볼트 파손으로 인한 메인본체부의 탈락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연결본체부와 메인본체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의 다수개의 체결볼트가 등간격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어 많은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파손이 적게 발생되고, 어느 하나의 체결볼트가 파손되더라도 다른 위치의 체결볼트가 연결본체부와 메인본체부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여 연결본체부에서 메인본체부가 바로 떨어져 나가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철거용 크라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거용 크라샤{Crusher for demolition}
본 발명은 집게부를 포함하고 있는 메인본체부의 기울어짐 발생시 연결본체부와 일체화되어 기울어짐으로써 집게부를 포함한 메인본체부가 연결본체부에서 떨어져 나가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철거용 크라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라샤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철거 시 콘크리트 구조물을 파쇄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크라샤는 연결본체가 굴삭기나 크레인 등의 붐대에 연결 설치되고 회동집개를 갖는 메인본체가 연결본체에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파쇄부가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을 물어 파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본체와 메인본체는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213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도 1에서와 같이 메인본체(100)에 형성되는 형성되는 제1 접합판(120)이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턱을 가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에 걸림플랜지(510)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나사부(520)를 형성하고 있는 연결압착부(500)가 너트부재(600)의 나사공(61)에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본체(400)에 메인본체(100)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2013-0092132 A 크라샤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은 제1 접합판(120)이 하부방향으로 단턱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제2 접합판(410)은 상기 단턱이 돌출된 부분이 배치될 수 있도록 ∪자 형태로 되어 제1, 2 접합판(120, 410)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의 연결압착부(500)가 너트부재(600)에 중앙의 위치에 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굴삭기를 통한 작업시 물체를 물고 파쇄하기 위한 과정에서 제1, 2 접합판(120, 410) 간의 마찰로 인한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잦았다.
즉, 상기 메인본체(100)에는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집게가 형성되어 물체를 파지할 수 있게 되는데 물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물체를 파쇄시키는 과정에서 연결본체(400)에서 메인본체(100)의 각도가 꺽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메인본체(100)는 중앙의 연결압착부(500)와 너트부재(60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압착부(500)와 너트부재(600)를 기준으로 연결본체(400)에서 메인본체(100)가 전, 후 또는 좌, 우측으로 비틀어지게 되면서 제1 접합판(120)이 제2 접합판(410)의 일부를 타고 올라가거나 누르게 되면서 더욱 하중을 과중시키게 된다.
이러한 하중의 과중 현상은 중앙에 위치한 연결압착부(500)와 너트부재(600)에 작용하게 되어 메인본체(100)의 비틀어짐으로 인한 하중에 제1, 2 접합판(120, 410)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하중이 연결압착부(500)에 작용하게 되어 연결압착부(500)의 파손으로 이어지게 되면서 집게가 포함된 메인본체(100)가 연결본체(400)에서 탈락하여 작업장 내의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곤 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거용 크라샤는 연결수단의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와 집게부를 포함한 메인본체부용 플레이트를 통해 연결본체부에 메인본체부의 결합시 쐐기 결합이 가능하여 지렛대 원리에 의해 물체의 파지 및 파쇄작업을 할 때에 메인본체부만 따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연결본체부와 메인본체부를 체결하는 체결볼트의 조기 파손 방지 및 체결볼트 파손으로 인한 메인본체부의 탈락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철거용 크라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본체부와 메인본체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의 다수개의 체결볼트가 등간격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어 많은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파손이 적게 발생되고, 어느 하나의 체결볼트가 파손되더라도 다른 위치의 체결볼트가 연결본체부와 메인본체부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여 연결본체부에서 메인본체부가 바로 떨어져 나가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연결수단의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와 집게부를 포함한 메인본체부용 플레이트를 통해 연결본체부에 메인본체부의 결합시 쐐기 결합이 가능하여 지렛대 원리에 의해 물체의 파지 및 파쇄작업을 할 때에 메인본체부만 따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연결본체부와 메인본체부를 체결하는 체결볼트의 조기 파손 방지 및 체결볼트 파손으로 인한 메인본체부의 탈락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본체부와 메인본체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의 다수개의 체결볼트가 등간격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어 많은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파손이 적게 발생되고, 어느 하나의 체결볼트가 파손되더라도 다른 위치의 체결볼트가 연결본체부와 메인본체부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여 연결본체부에서 메인본체부가 바로 떨어져 나가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크라샤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거용 크라샤의 집게부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도 1에서 연결본체부, 메인본체부 및 연결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도 2에서 집게부가 오므라든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연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연결본체부(10)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제1 결합홀(11a)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본체(1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본체(11)는 꼭 원형의 단면을 가질 필요는 없으나, 다수의 제1 결합홀(11a)은 등간격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11)에는 제1, 2 유압실린더 결합용 힌지(12, 13)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메인본체부(20)는 상술한 연결본체부(1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수의 제2 결합홀(21a)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홀(21a)은 등간견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본체(21)에는 제1 힌지(H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제1, 2 집게(22a, 22b)로 이루어진 집게부(22)가 구성된다.
상기 집게부(22)는 물체를 파지하거나 파쇄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본체부(10)에는 상술한 집게부(22)를 가동시키기 위해 일측은 메인본체(21)에 제2힌지(H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집게부(22)의 제1, 2 집게(22a, 22b)에 제3 힌지(H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2 집게용 유압실린더(23, 2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2 집게용 유압실린더(23, 24)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집게부(22)를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연결수단(30)은 상술한 연결본체부(10)에 메인본체부(2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연결수단(30)은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연결본체부(10)에 체결볼트(B)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본체(11)에 형성된 제1 결합홀(11a)과 대응하는 위치인 등간격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는 제1 체결홀(31a)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체결홀(31a)의 내측으로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쐐기형 결합홀(31b)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본체용 결합플레이트(3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30)에는 메인본체(20)에 고정결합하되 상술한 연결본체용 결합플레이트(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메인본체용 결합플레이트(32)가 구성된다.
상기 메인본체용 결합플레이트(32)는 메인본체부(20)를 구성하고 있는 메인본체(21)에 형성된 제2 결합홀(21a)에 체결볼트(B)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이와 대응하는 위치인 등간격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는 제2 체결홀(32a)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으로는 연결본체용 결합플레이트(31)의 쐐기형 결합홀(3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동일한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쐐기면(32b)을 외측에 형성하는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1)의 쐐기형 결합홀(31b)에는 윤활제가 배치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제1 윤활홈(h1)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2)를 구성하는 쐐기면(32b)에는 윤활제가 배치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제2 윤활홈(h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윤활홈(h1, h2)은 동일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 상기 제1, 2 윤활홈(h1, h2)에 배치되는 윤활제는 겔 또는 고체상태의 윤활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제1, 2 윤활홈(h1, h2)을 통해 본 발명은 연결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본체부(20)의 회전시 마찰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연결수단(30)을 구성하는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1)와 연결본체부(10) 사이에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끼움쇠(33)를 더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2)의 상측에 제2 끼움쇠 결합홈(32c)을 더 형서한 후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2)와 연결본체부(20) 사이에는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끼움쇠(34)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끼움쇠(33)는 연결수단(30)의 구성요소들의 가공시 가공오차가 발생할 때에 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끼움쇠(34)는 연결본체부(10)에 메인본체부(20)의 결합시 메인본체부(20)의 회전시 마찰을 줄이기 위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30)을 구성하는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1)의 쐐기형 결합홀(31b)과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2)의 쐐기면(32b) 사이에는 쐐기 형상으로 링 형태의 이루어진 제3 끼움쇠(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끼움쇠(35)는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10 및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2) 사이에 형성되어 베어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가공시 발생하는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3 끼움쇠(35)는 분할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철거용 크라샤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철거용 크라샤(50)는 일반적인 크라샤와 마찬가지로 메인본체부(20)의 집게부(22)가 작동하여 철거시 물체를 파지 또는 파쇄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메인본체부(20)의 제1, 2 집게용 유압실리더(23, 24)의 작동에 의해 집게부(22)를 구성하는 제1, 2 집게(22a, 22b)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작동하면서 물체를 파지 또는 파쇄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본체부(10)의 연결본체(11)를 좌, 우 또는 전, 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1, 2 유압실린더용 힌지(12, 1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집게부(22)를 이용해 물체의 파지 또는 파지된 물체를 파쇄할 경우 제1, 2 유압실린더용 힌지(12, 13) 중 어느 하나의 힌지에 결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면 연결본체(11)가 해당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면서 지렛대 원리에 의해 물체를 파쇄 또는 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본체부(10)에 결합되어 있는 메인본체부(20)는 연결수단(30)의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1)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형 결합홀(31b)과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2)의 쐐기면(32b)에 의해 메인본체부(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결본체부(10)와 메인본체부(20)가 연결수단(30)에 의해 쐐기면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메인본체부(20)의 집게부(22)가 물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연결본체(11)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에 메인본체부(20)의 메인본체(21)도 함께 기울어지게 되어 특정 위치의 체결볼트(B)로 전달되는 하중을 전체 체결볼트(B)로 분산시켜 체결볼트(B)의 조기 파손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연결본체부(10)에서 메인본체부(20)가 떨어져 나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은 연결본체부(10)의 연결본체(11)에 연결수단(30)의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1)가 체결볼트(B)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며, 이때에 체결볼트(B)는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메인본체부(20)의 메인본체(21)에는 연결수단(30)의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볼트(B)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1)와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2)는 서로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1)의 쐐기형 결합홀(31b)과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2)의 쐐기면(32b)에 의해 쐐기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연결본체부(10)의 연결본체(11)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쐐기 결합이 이루어져 있어 쐐기형 결합홀(31b)과 쐐기면(32b)의 모든면에서 하중이 전달되어 연결본체부(10)가 기울어지더라도 연결본체부(10)와 메인본체부(20)의 결합부위가 빠지지 않으면서 메인본체부(20)와 연결본체부(10)가 일체화되어 기울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결국에는 연결본체부(10)에서 메인본체부(20)가 꺽이지 않고 같은 방향으로 일체화된 상태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본체부(10)의 연결본체(11)가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한 체결볼트(B)가 많은 하중이 발생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연결본체부(10)의 기울어짐 발생시의 하중은 각각의 체결볼트(B)에 고르게 전달되는 하중분산효과로 인하여 체결볼트(B)의 조기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중을 전달받는 연결수단(30)의 체결볼트(B)가 등간격의 원형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본체부(10)의 연결본체(21)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질 경우 연결본체부(10)와 연결수단(30)의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1)를 체결하는 체결볼트(B)의 원형 배열된 직경의 크기 및 메인본체부(20)와 연결수단(30)의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32)를 체결하는 체결볼트(B)의 원형 배열된 직경의 크기가 종래의 연결본체부 및 메인본체부를 체결하기 위해 체결하였던 볼트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하중을 받더라도 파손이 더 적게 이루어지게 되고, 더욱이, 어느 하나의 체결볼트(B)의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위치의 체결볼트(B)가 있기 때문에 연결본체부(10)에서 메인본체부(20)가 바로 떨어져 나가지 않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10 : 연결본체부
11 : 연결본체 11a : 제1 결합홀
12 : 제1 유압실린더 결합용 힌지 13 : 제2 유압실린더 결합용 힌지
20 : 메인본체부
21 : 메인본체 21a : 제1 결합홀
22 : 집게부 22a : 제1 집게 22b : 제1 집게
23 : 제1 집게용 유압실린더 24 : 제2 집게용 유압실린더
H1 : 제1 힌지 H2 : 제2 힌지 H3 : 제3 힌지
30 : 연결수단
31 :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
31a : 제1 체결홀 31b : 쐐기형 결합홀 h1 : 제1 윤활홈
32 :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
32a : 제2 체결홀 32b : 쐐기면 33c : 제3 끼움쇠 결합홈
h2 : 제2 윤활홈
33 : 제1 끼움쇠 34 : 제2 끼움쇠 35 : 제3 끼움쇠
50 : 철거용 크라샤

Claims (5)

  1. 등간격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1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본체와 한쌍의 제1, 2 유압실린더 결합용 힌지를 포함하는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와 결합하되 등간격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2 결합홀을 포함하는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에 제1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제1, 2 집게로 이루어진 집게부와 상기 메인본체에 제2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집게부의 제1, 2 집게에 형성된 제3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2 집게용 유압실린더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에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결합홀과 대응하는 위치인 등간격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1 체결홀과 상기 제1 체결홀의 내측으로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쐐기형 결합홀을 형성하고 있는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본체부에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결합홀과 대응하는 위치인 등간격으로 원형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2 체결홀과 상기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의 쐐기형 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쐐기면을 형성하고 있는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에 형성된 쐐기형 결합홀과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쐐기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에 형성된 쐐기형 결합홀에는 윤활제가 배치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제1 윤활홈이 형성되고,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의 쐐기면에는 윤활제가 배치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제2 윤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철거용 크라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와 연결본체부 사이에는 도넛 형상의 제1 끼움쇠가 형성되고,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에는 제2 끼움쇠 결합홈을 더 형성한 후 연결본체부와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 사이에 도넛 형상의 제2 끼움쇠가 더 형성되며, 연결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에 형성된 쐐기형 결합홀과 메인본체부용 결합플레이트의 쐐기면에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제3 끼움쇠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철거용 크라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제3 끼움쇠는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철거용 크라샤.
KR1020190010379A 2019-01-28 2019-01-28 철거용 크라샤 KR101999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379A KR101999363B1 (ko) 2019-01-28 2019-01-28 철거용 크라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379A KR101999363B1 (ko) 2019-01-28 2019-01-28 철거용 크라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363B1 true KR101999363B1 (ko) 2019-10-01

Family

ID=6820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379A KR101999363B1 (ko) 2019-01-28 2019-01-28 철거용 크라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3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393Y1 (ko) * 2001-05-30 2001-10-17 김재식 유압파쇄기의 회전테이블 클램프장치
KR20100013826A (ko) * 2008-08-01 2010-02-10 (주)부광티알씨 중장비 차량용 탈부착식 작업장치
KR20130001890U (ko) * 2011-09-11 2013-03-20 박영윤 크러셔의 죠 구동체의 회동 제어 장치
KR20140001584U (ko) * 2012-09-07 2014-03-17 박진석 중장비 결합용 어태치먼트
KR20150106510A (ko) * 2014-03-11 2015-09-22 (주)엘케이지엘에스피 테이퍼 롤러 베어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393Y1 (ko) * 2001-05-30 2001-10-17 김재식 유압파쇄기의 회전테이블 클램프장치
KR20100013826A (ko) * 2008-08-01 2010-02-10 (주)부광티알씨 중장비 차량용 탈부착식 작업장치
KR20130001890U (ko) * 2011-09-11 2013-03-20 박영윤 크러셔의 죠 구동체의 회동 제어 장치
KR20140001584U (ko) * 2012-09-07 2014-03-17 박진석 중장비 결합용 어태치먼트
KR20150106510A (ko) * 2014-03-11 2015-09-22 (주)엘케이지엘에스피 테이퍼 롤러 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2551B2 (en) Compactor tooth
US4607547A (en) Stripped hex head drive socket
US10899170B2 (en) Additional wheel weight for a utility vehicle
US5868518A (en) Wedge and spool assembly
US10286400B2 (en) Removable tip for a demolition jaw
US20050055853A1 (en) Mechanically attached tip assembly
US4571968A (en) Steel frame shearing apparatus
JPS59500524A (ja) 迅速作動取付装置
KR101999363B1 (ko) 철거용 크라샤
US4446762A (en) Universally usable hydraulic wrench for simultaneously tightening or loosening two threaded connectors or for tightening or loosening a single threaded connector with a greater force
KR20120016029A (ko) 신속 결합 소켓
AU2021240293A1 (en) Quick-hitch for construction vehicle tools
JP6857700B1 (ja) 鉄骨の揚重装置
JP2000273895A (ja) 結合片
US8393660B2 (en) Gripping member for a work tool
US3681808A (en) Crowfoot-type drag rope socket assembly
US10722894B2 (en) Tooth block for a demolition tool
KR100814475B1 (ko) 건설장비용 핀 결합구조
KR10182057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크라샤
CA3153173A1 (en) Safety assembly for off-highway truck
US9044815B2 (en) Keyless coupling arrangement
JP7174464B1 (ja) ねじ式クランプ
RU2086399C1 (ru) Ключ для свинчивания-развинчивания труб
EP2987918B1 (en) Removable pin stub
JPH0640219U (ja) 破砕機の牙部材取付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