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313B1 - 접지부 일체형 전주 - Google Patents

접지부 일체형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313B1
KR101999313B1 KR1020130087755A KR20130087755A KR101999313B1 KR 101999313 B1 KR101999313 B1 KR 101999313B1 KR 1020130087755 A KR1020130087755 A KR 1020130087755A KR 20130087755 A KR20130087755 A KR 20130087755A KR 101999313 B1 KR101999313 B1 KR 10199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terminal portion
electric pole
connection terminal
groun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363A (ko
Inventor
신동휘
이태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087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부 일체형 전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의 근입부가 도체로 이루어지고, 전주 내부에 구비되는 인장근과 보강근을 접지극으로 이용하여 접지체를 구성하는 접지부 일체형 전주 및 접지부 일체형 전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인장근과 복수의 보강근이 구비되어 콘크리트로 마감되는 전주와, 상기 전주의 하부 중에서 전기가 도통 가능한 도체로 이루어지는 근입부와, 상기 전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접지연결단자부와, 상기 근입부에 설치되는 접지확장단자부와, 상기 상기 접지연결단자부와 접지확장단자부를 연결하는 단자리드선 및 상기 접지연결단자부와 접지확장단자부를 각각 상기 인장근과 보강근에 접속시키는 접속리드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지부 일체형 전주{GROUND CONTACT PART INTEGRAL POWER POLE}
본 발명은 접지부 일체형 전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의 근입부가 도체로 이루어지고, 전주 내부에 구비되는 인장근과 보강근을 접지극으로 이용하여 접지체를 구성하는 접지부 일체형 전주에 관한 것이다.
현행 가공 배전공사 시 가공지선과 완철 또는 피뢰기나 변압기 등과 같은 전주상에 설치되는 기기류 및 중성선의 대지 접지를 위한 접지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접지동봉이나 심타봉 및 접지저항 저감제를 사용한 접지 시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현행 접지 시공법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면, 접지동봉을 사용하는 접지 시공의 경우 접지동봉을 해머로 타격하여 매설한 후 전주 내부를 통하여 지표면 이하 1m 지점에 있는 전주의 접지선 인출구로부터 인출된 접지선과 접지동봉의 상부에 접지극 리드선을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때 접지극 리드선은 지표면 이하 0.75cm 이상 매설되도록 시공되고 있다.
또한, 접지선과 접지극 리드선과의 접속은 스리브 등에 의한 압축접속 또는 권부접속 등의 방법으로 접속하며, 접지장소의 토질 또는 현장여건으로 인하여 규정된 접지저항치를 얻기 어려운 곳에서는 다극접지공법 또는 심타 접지공법 등을 적용하거나, 접지개소 주변의 환경오염 우려가 없는 고강도 접지저항 저감제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접지공사는, 건주공사 완료 후 접지동봉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굴착작업을 하여야 하고, 타격식 접지동봉을 매설하기 위해 인력 수공작업에 의존하여야 하며, 접지공사 시 원하는 접지저항치를 얻기가 쉽지 않으며, 경년변화에 따른 접지성능 저하로 정기적인 유지보수작업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아치형 전주근가에 대하여 현행 접지공사에 사용되는 접지동봉이나 심타봉을 대체하는 접지판을 일체로 형성한 접지기능이 있는 아치형 전주근가를 이용하여, 접지공사를 위한 별도의 추가 굴착공정 없이 전주근가 장착공정과 동시에 접지공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획기적으로 공정을 줄일 수 있고, 전주근가 장착 공정 시 접지공사를 병행할 수 있는 접지판 일체식 전주근가에 관한 기술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접지판을 갖는 전주근가의 경우 그 접지판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나 작용의 구체적인 언급이 없어서, 개량된 아치형 전주근가에 상기한 접지판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전주근가의 형상과 일치하는 평면 형상을 갖추어야 하면서도, 그 접지판으로부터 인출된 리드선을 전주로부터 발생하는 접지선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이 부여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전주근가 및 그 접지판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전주근가와 금속재로 된 접지판이 상호 결합력은 우수하나 금속재의 접지판이 토양의 성분에 따라 전식 등의 화학변화를 일으켜 표면 부식이 진행되어 기존의 접지시스템과 같이 동일하게 접지판의 기능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재로 된 접지판은 기존 접지동봉 등의 시공방법과 같은 매설 상태이므로 고온 다습한 토양 내부 환경에 의해 쉽게 부식되므로 그 사용수명이 짧고 접지 효과가 약화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8-044614호(접지판 일체식 접지근가, 2008.05.21. 공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주의 근입부가 도체로 이루어지고, 전주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장근과 보강근을 접지부로 이용할 수 있는 접지부 일체형 전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인장근과 복수의 보강근이 구비되어 콘크리트로 마감되는 전주; 상기 전주의 하부 중에서 전기가 도통 가능한 도체로 이루어지는 근입부; 상기 전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접지연결단자부; 상기 근입부에 설치되는 접지확장단자부; 및 상기 접지연결단자부와 접지확장단자부를 연결하는 단자리드선;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연결단자부는 상기 전주의 상부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접지확장단자부는 상기 근입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접지연결단자부와 상기 접지확장단자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리드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리드선은 상기 인장근 및 상기 보강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접지연결단자부는 상기 전주의 배전선로 접지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접지연결단자부가 설치된 위치는 상기 전주에 형성된 접지선의 인입구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접지확장단자부가 설치된 위치는 상기 전주에 형성된 접지선의 인출공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연결단자부는 외측으로 접지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고, 내측으로 상기 접속리드선을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단자가 구비되되, 상기 전주의 외면에서 함몰되게 설치하고, 상기 인장근과 이격되게 설치하며, 상기 접지연결단자부의 외측에 구비된 복수의 단자는 완철 및 피뢰기 중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완철 및 피뢰기 중 어느 하나의 접지전류는 상기 접지연결단자부, 상기 접속리드선과 상기 단자리드선, 상기 접속리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인장근 및 상기 보강근, 전체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근입부를 통해 지반으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전주에 배전선로 접지시 전주에 설치하기 위한 접지동봉이나 접지판 등의 기자재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주의 접지시공이 용이하여 배전선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전주의 접지설비에 대한 수선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 일체형 전주의 단면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접지연결단자부가 설치된 전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접지연결단자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 일체형 전주의 접지전류 회로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과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 일체형 전주(10)의 단면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접지연결단자부가 설치된 전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접지연결단자부(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 일체형 전주(10)를 설명하면, 복수의 인장근(100)과 복수의 보강근(200)이 구비되어 콘크리트(300)로 마감되는 전주(10)와, 상기 전주(10)의 하부 중에서 지중에 매설되는 부분으로서 전기가 도통 가능한 도체로 이루어지는 근입부(400)와, 상기 전주(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접지연결단자부(500)와, 상기 근입부(400)에 설치되는 접지확장단자부(600) 및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와 접지확장단자부(600)를 연결하는 단자리드선(700)을 포함한다.
상기 인장근(100) 및 보강근(200)은 상기 전주(10)에 요구되는 강도 및 내구성 등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인장근(100)과 보강근(200)을 상기 전주(10)의 축방향으로 설치하고 콘크리트(300)로 마감하게 된다.
상기 인장근(100)은 사전에 긴장을 한 것이고, 상기 보강근(200)은 긴장을 가하지 않은 것으로서, 콘크리트(300)에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위하여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 및 접지확장단자부(600)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접지확장단자부(60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리드선(8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근(100)과 보강근(20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립되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후에 상기 접속리드선(800)을 이용하여 상기 인장근(100)과 보강근(200)을 환형으로 둘러싸서 상기 인장근(100)과 보강근(200)을 상기 접속리드선(800)과 전기용접을 통하여 결합하여 상기 전주(10)의 골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근입부(400)는 상기 전주(10)의 하부 중에서 지중에 매설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 부위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근입부(400)가 전기가 도통 가능한 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입부(400)는, 상기 전주(10)의 하단으로부터 2.8m 이내의 높이로 형성되며, 전기가 도통 가능한 도전성콘크리트(300')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주(10)의 상부, 즉 상기 전주(10) 중에서 근입부(400)가 아닌 부위에는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가 설치되고, 상기 근입부(400)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접지확장단자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와 접지확장단자부(600)는 상기 단자리드선(70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는, 상기 근입부(400)의 상부로부터 약 2.9m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2개의 접지연결단자부(500)를 설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는 외측으로 접지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도 4에서는 2개로 도시됨)가 구비되고, 콘크리트(300)에 매설되는 접지연결단자부(500)의 내측으로는 인장근(100) 및 보강근(200)과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접속리드선(800)이 연결되기 위한 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가 설치되는 위치는 종래의 전주(10)에 형성된 접지선의 인입구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 일체형 전주(10)를 이용하여 종래의 시설에 적용할 수 있어서 접지 접속작업을 단순화 및 표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주(10)의 외면에서 약 5mm 함몰되게 설치되고, 또 상기 콘크리트(300) 내부에 매설되는 인장근(100)과는 약 9mm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지확장단자부(600)는, 상기 전주(10)의 상부로부터 상기 근입부(400)가 형성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하부로 약 1m 높이의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주(10)에 형성된 접지선의 인출공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접지확장단자부(600)가 형성되어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술한 구성에 따른 접지부 일체형 전주(10)는,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에 완철 및 피뢰기 등의 접지단자를 접속하면,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를 통하여 상기 접속리드선(800)과 단자리드선(700) 및 상기 접속리드선(8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인장근(100)과 보강근(200)을 통해 접지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고, 이는 전체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근입부(400)를 통하여 지반으로 접지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 일체형 전주(10)의 접지전류 회로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 일체형 전주(10)는, 전체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근입부(400)로 인하여 상기 전주(10) 중에서 상기 근입부(400)에 해당하는 전주(10)의 하단으로부터 2.8m 이내의 부분이 접지역할을 할 수 있어 접지극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되고, 상기 접지연결단자부(500)와 접지확장단자부(600) 및 이들과 상기 접속리드선(80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8개의 인장근(100)과 8개의 보강근(200)이 접지극 역할을 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주(10)는 16개의 접지극을 병렬로 구비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지부 일체형 전주(10)는, 도 2에에서 상기 근입부(400) 외면의 전체 면적을 통하여 접지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주(10)에 대비하여 궁극적으로 현저히 낮은 대지저항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른 접지부 일체형 전주(10)를 이용함으로써, 전주(10)를 제조하기 위하여 종래에 설치하던 접지동봉이나 접지판 등의 기자재가 필요하지 않아 전주(10)의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접지부 일체형 전주(10)는 접지시공이 용이하여 종래의 배전선로 등의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시설된 전주(10)의 접지설비에 대한 수선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 전주
100 : 인장근
200 : 보강근
300 : 콘크리트
400 : 근입부
500 : 접지연결단자부
600 : 접지확장단자부
700 : 단자리드선
800 : 접속리드선

Claims (5)

  1. 복수의 인장근과 복수의 보강근이 구비되어 콘크리트로 마감되는 전주;
    상기 전주의 하부 중에서 전기가 도통 가능한 도체로 이루어지는 근입부;
    상기 전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접지연결단자부;
    상기 근입부에 설치되는 접지확장단자부; 및
    상기 접지연결단자부와 접지확장단자부를 연결하는 단자리드선;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연결단자부는 상기 전주의 상부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접지확장단자부는 상기 근입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접지연결단자부와 상기 접지확장단자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리드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리드선은 상기 인장근 및 상기 보강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접지연결단자부는 상기 전주의 배전선로 접지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접지연결단자부가 설치된 위치는 상기 전주에 형성된 접지선의 인입구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접지확장단자부가 설치된 위치는 상기 전주에 형성된 접지선의 인출공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연결단자부는 외측으로 접지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고, 내측으로 상기 접속리드선을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단자가 구비되되, 상기 전주의 외면에서 함몰되게 설치하고, 상기 인장근과 이격되게 설치하며,
    상기 접지연결단자부의 외측에 구비된 복수의 단자는 완철 및 피뢰기 중 어느 하나의 접지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완철 및 피뢰기 중 어느 하나의 접지전류는 상기 접지연결단자부, 상기 접속리드선과 상기 단자리드선, 상기 접속리드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인장근 및 상기 보강근, 전체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근입부를 통해 지반으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부 일체형 전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87755A 2013-07-25 2013-07-25 접지부 일체형 전주 KR10199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755A KR101999313B1 (ko) 2013-07-25 2013-07-25 접지부 일체형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755A KR101999313B1 (ko) 2013-07-25 2013-07-25 접지부 일체형 전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363A KR20150012363A (ko) 2015-02-04
KR101999313B1 true KR101999313B1 (ko) 2019-07-12

Family

ID=5248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755A KR101999313B1 (ko) 2013-07-25 2013-07-25 접지부 일체형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088U (ko) 2017-10-30 2019-05-09 안시영 콘크리트 전주와 일체화된 접지부재
CN110130671B (zh) * 2019-05-24 2021-06-11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度市供电公司 断裂电线杆的内加固装置以及修复方法
KR102109524B1 (ko) * 2019-08-23 2020-05-13 (주)한맥이엔지 배전선로 접지용 전신주 접지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41Y1 (ko) * 2003-12-24 2004-03-10 주식회사 삼성산업 접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289B1 (ko) * 2002-07-16 2006-03-03 (주)두영티앤에스 접지 전극 일체형 전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25268B1 (ko) * 2005-12-01 2007-06-04 이영만 접지수단을 구비한 콘크리트 전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41Y1 (ko) * 2003-12-24 2004-03-10 주식회사 삼성산업 접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363A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360B1 (ko)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KR101104836B1 (ko) 전주용 접지 장치
KR101999313B1 (ko) 접지부 일체형 전주
KR101077081B1 (ko) 접지기능을 갖는 아치형 전주근가의 도전성 콘크리트층 매설용 접지선 단자 접속형 접지판
KR101097717B1 (ko) 원형 콘크리트 접지극을 이용한 접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034191B1 (ko) 맨홀 접지구조
KR100819389B1 (ko) 동복강판에 의한 접지판 및 그 접지판을 갖는 아치형전주근가
KR101447198B1 (ko) 신설작업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기초대
WO2011159041A2 (ko) 바닥면에 도전성 콘크리트층의 접지기능을 갖는 아치형 전주근가
KR101022515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1124965B1 (ko) 접지일체형 맨홀
KR10083039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100866027B1 (ko) 망상전극의 나동선 접합용 관형 십자 슬리브
CN211689715U (zh) 一种预制式导电混凝土结构
KR100598466B1 (ko) 전주 일체형 접지장치
KR101347532B1 (ko)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CN114672810B (zh) 一种用于钢筋混凝土阴极保护的参比电极及制作方法
CN201667392U (zh) 地下工程专用接地引出装置
KR200206713Y1 (ko) 서지 방전용 접지봉
KR102449609B1 (ko) 배전 선로의 리드레스 접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95308B1 (ko) 전주용 접지 저항저감장치
Shojaeian et al. An experience in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testing of concrete encased grounding electrode for a residential building
KR101468392B1 (ko) 직사각 쟁반형 접지극 및 접지극 스폿용접 조립대 구조를 갖는 아치형 접지근가용 접지유닛
RU129101U1 (ru) Анодный заземлитель
KR100544695B1 (ko) 전주용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