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293B1 -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293B1
KR101999293B1 KR1020180074523A KR20180074523A KR101999293B1 KR 101999293 B1 KR101999293 B1 KR 101999293B1 KR 1020180074523 A KR1020180074523 A KR 1020180074523A KR 20180074523 A KR20180074523 A KR 20180074523A KR 101999293 B1 KR101999293 B1 KR 101999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pillow
finishing
honey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청수
Original Assignee
손청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청수 filed Critical 손청수
Priority to KR102018007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벌집형 위생 베개는 좌측면 및 우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상판, 전판, 하판 및 후판과, 제1곡선판과, 제2곡선판과, 제3곡선판과, 제4곡선판을 포함하고, 상판, 전판, 하판 및 후판은 중앙부에 벌집형의 타공홀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고 사람의 머리가 안착되는 안착틀;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곡선판, 제2곡선판, 제3곡선판 및 제4곡선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좌우방향 지지대; 안착틀의 좌측단부 내에 삽입되어 안착틀의 좌측부를 지지하며, 우측면에는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이 형성된 제1마감틀; 안착틀의 우측단부 내에 삽입되어 안착틀의 우측부를 지지하며, 좌측면에는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이 형성된 제2마감틀; 및 제1마감틀 및 제2마감틀을 안착틀에 체결시키는 다수개의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는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머리에 베개를 베고 자더라도 베개에 땀이 차지 않아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Honeycomb hygiene pillow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베개 내부와 외부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베개에 사용자의 땀이 차지 않아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조립 및 분해작업이 간단하여 베개의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잘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해 사용하는 물품을 말한다.
베개는 통상적으로 베개의 형태를 갖추기 위한 내피와, 내피의 내부에 충전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충전물과, 내피의 외부면에 덮어씌워져 내피의 오염을 방지하는 외피로 구성된다.
내피와 외피는 주로 직물재의 봉재에 의해 형성되며, 충전물은 통상 발포스폰지, 압축솜, 왕겨, 곡물, 짧은 관형태의 합성수지필러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성 소재들도 많이 첨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베개의 경우, 사용자가 베개를 벨 때, 베개가 사용자의 머리의 무게에 의하여 눌리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에 밀착되어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땀이 차게 되어,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베개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693호의 “통풍 베개"(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베개의 경우, 내부의 충전물로 인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의 땀과 침 등이 충전물로 침투하여 오염되므로,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베개 내부와 외부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베개를 베더라도 베개에 땀이 차지 않아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가능한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벌집형 위생 베개는, 사람의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에 있어서, 좌측면 및 우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상판, 전판, 하판 및 후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전판을 연결하는 제1곡선판과, 상기 전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제2곡선판과, 상기 하판과 상기 후판을 연결하는 제3곡선판과, 상기 후판과 상기 상판을 연결하는 제4곡선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전판, 하판 및 후판은 중앙부에 벌집형의 타공홀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고 좌우측 단부에 제1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 전판, 하판 또는 후판 중 어느 하나의 판에 상기 사람의 머리가 안착되는 안착틀;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곡선판, 제2곡선판, 제3곡선판 및 제4곡선판의 내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곡선판, 제2곡선판, 제3곡선판 및 제4곡선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좌우방향 지지대; 좌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과 전면, 전면과 하면, 하면과 후면, 후면과 상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마련되고, 상기 안착틀의 좌측단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틀의 좌측부를 지지하며, 상면, 전면, 하면 및 후면에는 상기 안착틀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제1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홀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이 형성된 제1마감틀; 우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과 전면, 전면과 하면, 하면과 후면, 후면과 상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마련되고, 상기 안착틀의 우측단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틀의 우측부를 지지하며, 상면, 전면, 하면 및 후면에는 상기 안착틀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제1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홀이 형성되고, 좌측면에는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이 형성된 제2마감틀; 및 상기 제1고정홀 및 제2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마감틀 및 상기 제2마감틀을 상기 안착틀에 체결시키는 다수개의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좌우방향 지지대의 중앙부에 적층되어 연결된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마감틀이 상기 안착틀의 좌측단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마감틀은 상기 좌우방향 지지대와 접촉되어 삽입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마감틀이 상기 안착틀의 우측단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마감틀은 상기 좌우방향 지지대와 접촉되어 삽입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벌집형 위생 베개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착틀의 좌우측 단부 내에 상기 제1마감틀 및 제2마감틀을 삽입하여 상기 안착틀에 형성된 제1고정홀과 상기 제1마감틀 및 제2마감틀에 형성된 제2고정홀을 일치시키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고정홀 및 제2고정홀에 체결핀을 삽입하여 상기 제1마감틀 및 제2마감틀을 상기 안착틀에 체결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안착틀의 상판, 전판, 하판 및 후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벌집형의 타공홀들과 제1마감틀 및 제2마감틀에 형성된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을 통해 원활하게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머리에 베개를 베고 자더라도 베개에 땀이 차지 않아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가능할뿐더러, 사용자의 머리에 땀이 차지 않아 사용자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벌집형 구조를 통해 통기성 뿐만 아니라 견고함과 경량화가 동시에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베개 속이 없어,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그리고, 조립 및 분해작업이 간단하여 베개의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의 안착틀 및 좌우방향 지지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의 안착틀 및 좌우방향 지지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의 체결핀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의 안착틀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해 안착틀의 상부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10)는 사람의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로써, 안착틀(100), 좌우방향 지지대(200), 제1마감틀(300), 제2마감틀(400) 및 체결핀(5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안착틀(100), 좌우방향 지지대(200), 제1마감틀(300), 제2마감틀(400) 및 체결핀(500)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플라스틱, 고무 등의 소프트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착틀(100)은 좌측면 및 우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상판(1100), 전판(1200), 하판(1300) 및 후판(1400)과, 상판(1100)과 전판(1200)을 연결하는 제1곡선판(1500)과, 전판(1200)과 하판(1300)을 연결하는 제2곡선판(1600)과, 하판(1300)과 후판(1400)을 연결하는 제3곡선판(1700)과, 후판(1400)과 상판(1100)을 연결하는 제4곡선판(18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판(1100), 전판(1200), 하판(1300) 또는 후판(1400) 중 어느 하나의 판에 사람의 머리가 안착된다.
또한, 상판(1100), 전판(1200), 하판(1300) 및 후판(1400)은 중앙부에 벌집형의 타공홀(c1)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고 좌우측 단부에 제1고정홀(h1)이 형성된다.
여기서, 벌집형의 타공홀(c1)들은 통풍이 가능하며, 경량화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상판(1100), 전판(1200), 하판(1300) 및 후판(1400)의 좌우측 단부에는 제1고정홀(h1)이 둘 이상 형성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뒤로 누울 경우 안착틀(100)의 상판(1100) 또는 하판(1300)을 편안하게 벨 수 있도록, 안착틀(100)의 높이는 6cm 내지 8cm로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8cm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높이가 더 높거나 더 낮게 마련될 수 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 안착틀(100)을 회전시켜 안착틀(100)의 전판(1200) 또는 후판(1400)을 편안하게 벨 수 있도록, 안착틀(100)의 전후길이는 12cm 내지 15cm로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8cm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전후길이가 더 길거나 더 짧게 마련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안착틀(100)의 좌우길이는 25cm 내지 40cm로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6cm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좌우길이가 더 길거나 더 짧게 마련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안착틀(100)의 각부 길이가 인체공학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베개(10)를 편안하게 벨 수 있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우방향 지지대(200)는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다수개로 마련되고, 제1곡선판(1500), 제2곡선판(1600), 제3곡선판(1700) 및 제4곡선판(1800)의 내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제1곡선판(1500), 제2곡선판(1600), 제3곡선판(1700) 및 제4곡선판(1800)을 지지한다.
그리고, 좌우방향 지지대(200)는 사용자가 베개(10)를 베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무게로 인해 안착틀(100)이 구부러질 때 같이 구부러지며, 이 때 발생되는 복원력을 통해 안착틀(100)을 지지하여 안착틀(100)이 무너지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안착틀(100)의 상판(1100)에 머리를 베는 경우, 상판(1100)은 사용자의 머리 무게로 인해 구부러지고, 상판(1100)에 연결된 제1곡선판(1500)과 제4곡선판(1800)은 좌우방향 지지대(200)에 의해 지지되어 상판(1100)에 비해 적게 구부러지며 상판(1100)을 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개(10)를 베더라도 베개(10)가 무너지지 않으며, 상판(1100)이 구부러짐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안착틀(100)과 좌우방향 지지대(200)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마감틀(300)은 좌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과 전면, 전면과 하면, 하면과 후면, 후면과 상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1마감틀(300)은 안착틀(100)의 좌측단부 내에 삽입되어 안착틀(100)의 좌측부를 지지하며, 상면, 전면, 하면 및 후면에는 안착틀(10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제1고정홀(h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홀(h2)이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제1마감틀(300)은 안착틀(100)의 좌측단부 내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1마감틀(300)의 높이 및 전후폭은 안착틀(100)의 높이 및 전후폭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마감틀(300)의 우측면에는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c2)이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1마감틀(300)의 우측면은 제1마감틀(300)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통풍이 가능하며, 경량화하기 위해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c2)이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마감틀(400)은 우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과 전면, 전면과 하면, 하면과 후면, 후면과 상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2마감틀(400)은 안착틀(100)의 우측단부 내에 삽입되어 안착틀(100)의 우측부를 지지하며, 상면, 전면, 하면 및 후면에는 안착틀(100)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제1고정홀(h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홀(h2)이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제2마감틀(400)은 안착틀(100)의 우측단부 내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2마감틀(400)의 높이 및 전후폭은 안착틀(100)의 높이 및 전후폭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마감틀(400)의 좌측면에는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c2)이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2마감틀(400)의 좌측면은 제2마감틀(400)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통풍이 가능하며, 경량화하기 위해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c2)이 형성된다.
정리하면, 제1마감틀(300) 및 제2마감틀(400)은 안착틀(100) 전체를 지지한다.
부가적으로, 좌우방향 지지대(200)는 제1마감틀(300) 및 제2마감틀(400)의 삽입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우방향 지지대(200)는 제1곡선판(1500), 제2곡선판(1600), 제3곡선판(1700) 및 제4곡선판(1800)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마감틀(300) 및 제2마감틀(400)이 안착틀(10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좌우방향 지지대(200)의 단부에 접촉되어 삽입되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제1마감틀(300) 및 제2마감틀(400)이 좌우방향 지지대(200)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안착틀(100)의 내부에 삽입된 위치에서 제1고정홀(h1)과 제2고정홀(h2)이 겹쳐질 수 있다.
다시말해, 제1마감틀(300)이 안착틀(100)의 좌측단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제1마감틀(300)은 좌우방향 지지대(200)와 접촉되어 삽입위치가 고정되고, 제2마감틀(400)이 안착틀(100)의 우측단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제2마감틀(400)은 좌우방향 지지대(200)와 접촉되어 삽입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체결핀(500)은 제1고정홀(h1) 및 제2고정홀(h2)에 제1고정홀(h1), 제2고정홀(h2) 순으로 삽입되어 제1마감틀(300) 및 제2마감틀(400)을 안착틀(100)에 체결시킨다.
여기서, 체결핀(500)은 안착틀(100)의 단부에 안착되는 머리부(510)와, 머리부(510)의 하측 중심부에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며, 하단에 걸림턱이 마련된 한 쌍의 다리부(5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체결핀(500)이 제1고정홀(h1) 및 제2고정홀(h2)에 삽입될 때, 한 쌍의 다리부(520)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굽혀지며, 체결핀(500)이 제1고정홀(h1) 및 제2고정홀(h2)에 삽입되어 머리부(510)가 안착틀(100)에 안착되면, 한 쌍의 다리부(520)는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벌어지며 걸림턱이 제1마감틀(300) 또는 제2마감틀(400)에 걸린다.
따라서, 체결핀(500)은 머리부(510)가 안착틀(100)의 단부에 안착되고 한 쌍의 다리부(520)가 제1감틀 또는 제2마감틀(400)에 걸려, 제1마감틀(300) 및 제2마감틀(400)을 안착틀(100)에 체결시킨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10)는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좌우방향 지지대(200)의 중앙부에 적층되어 연결된 보조지지대(6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지지대(600)는 사용자가 베개(10)를 베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무게로 인해 안착틀(100)이 구부러질 때 좌우방향 지지대(200)와 같이 구부러지며 좌우방향 지지대(200)를 지지하여, 좌우방향 지지대(200)의 구부러짐을 완화시킨다.
즉, 보조지지대(600)는 좌우방향 지지대(200)가 덜 구부러지게 하며, 제1곡선판(1500), 제2곡선판(1600), 제3곡선판(1700) 및 제4곡선판(1800)이 견고해 질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보조지지대(600)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베개(10)를 베는 경우, 좌우방향 지지대(200)에 적층되는 보조지지대(60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좌우방향지지대는 덜 구부러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보조지지대(600)는 좌우방향 지지대(20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10)는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상판(1100)의 하측 중심부 및 하판(1300)의 상측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판(1100) 및 하판(130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전후방향 지지대(7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전후방향 지지대(700)는 사용자가 안착틀(100)의 상판(1100)을 베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무게로 인해 상판(1100)이 구부러질 때 같이 구부러지며, 이 때 발생되는 복원력을 통해 상판(1100)을 지지하여 상판(1100)이 덜 구부러지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전후방향 지지대(700)는 안착틀(10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한 쌍의 전후방향 지지대(700)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바(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800)는 사용자가 안착틀(100)의 상판(1100) 또는 하판(1300)을 베는 경우, 상판(1100) 또는 하판(1300)을 지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 안착틀(100)을 회전시켜 전판(1200) 또는 후판(1400)을 베는데, 연결바(800)는 안착틀(100)의 상판(1100)과 하판(1300)이 서로 멀어지게 구부러져 안착틀(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벌집형 위생 베개(10)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안착틀(100)의 좌우측 단부 내에 제1마감틀(300) 및 제2마감틀(400)을 삽입하여 안착틀(100)에 형성된 제1고정홀(h1)과 제1마감틀(300) 및 제2마감틀(400)에 형성된 제2고정홀(h2)을 일치시키는 제1단계를 실시한다.
그리고, 제1고정홀(h1) 및 제2고정홀(h2)에 체결핀(500)을 삽입하여 제1마감틀(300) 및 제2마감틀(400)을 안착틀(100)에 체결시키는 제2단계를 실시하여, 벌집형 위생 베개(10)의 조립을 완료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위생 베개(10)는 안착틀(100)의 상판(1100), 전판(1200), 하판(1300) 및 후판(14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벌집형의 타공홀(c1)들과 제1마감틀(300) 및 제2마감틀(400)에 형성된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c2)을 통해 원활하게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머리에 베개(10)를 베고 자더라도 베개(10)에 땀이 차지 않아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가능할뿐더러, 사용자의 머리에 땀이 차지 않아 사용자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벌집형 위생 베개(10)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간단하여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벌집형 위생 베개
100 : 안착틀 200 : 좌우방향 지지대
300 : 제1마감틀 400 : 제2마감틀
500 : 체결핀 600 : 보조지지대
700 : 전후방향 지지대 800 : 연결바

Claims (4)

  1. 사람의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에 있어서,
    좌측면 및 우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상판, 전판, 하판 및 후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전판을 연결하는 제1곡선판과, 상기 전판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제2곡선판과, 상기 하판과 상기 후판을 연결하는 제3곡선판과, 상기 후판과 상기 상판을 연결하는 제4곡선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전판, 하판 및 후판은 중앙부에 벌집형의 타공홀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고 좌우측 단부에 제1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 전판, 하판 또는 후판 중 어느 하나의 판에 상기 사람의 머리가 안착되는 안착틀;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곡선판, 제2곡선판, 제3곡선판 및 제4곡선판의 내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곡선판, 제2곡선판, 제3곡선판 및 제4곡선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좌우방향 지지대;
    좌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과 전면, 전면과 하면, 하면과 후면, 후면과 상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마련되고, 상기 안착틀의 좌측단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틀의 좌측부를 지지하며, 상면, 전면, 하면 및 후면에는 상기 안착틀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제1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홀이 형성되고, 우측면에는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이 형성된 제1마감틀;
    우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면과 전면, 전면과 하면, 하면과 후면, 후면과 상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마련되고, 상기 안착틀의 우측단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틀의 우측부를 지지하며, 상면, 전면, 하면 및 후면에는 상기 안착틀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제1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홀이 형성되고, 좌측면에는 벌집형 격자모양의 구멍들이 형성된 제2마감틀; 및
    상기 제1고정홀 및 제2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마감틀 및 상기 제2마감틀을 상기 안착틀에 체결시키는 다수개의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위생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좌우방향 지지대의 중앙부에 적층되어 연결된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위생 베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틀이 상기 안착틀의 좌측단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마감틀은 상기 좌우방향 지지대와 접촉되어 삽입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마감틀이 상기 안착틀의 우측단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마감틀은 상기 좌우방향 지지대와 접촉되어 삽입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위생 베개.
  4. 청구항1에 의한 벌집형 위생 베개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착틀의 좌우측 단부 내에 상기 제1마감틀 및 제2마감틀을 삽입하여 상기 안착틀에 형성된 제1고정홀과 상기 제1마감틀 및 제2마감틀에 형성된 제2고정홀을 일치시키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고정홀 및 제2고정홀에 체결핀을 삽입하여 상기 제1마감틀 및 제2마감틀을 상기 안착틀에 체결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위생 베개의 조립 방법.
KR1020180074523A 2018-06-28 2018-06-28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 KR10199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523A KR101999293B1 (ko) 2018-06-28 2018-06-28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523A KR101999293B1 (ko) 2018-06-28 2018-06-28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293B1 true KR101999293B1 (ko) 2019-07-11

Family

ID=6725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523A KR101999293B1 (ko) 2018-06-28 2018-06-28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2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922U (ko) * 1994-12-30 1996-07-18 김춘섭 베개
KR200201408Y1 (ko) * 2000-04-12 2000-11-01 홍길선 머리카락 끼임 방지용 대나무발 베게
KR200233439Y1 (ko) * 2000-12-01 2001-09-25 최홍규 베게
KR200416982Y1 (ko) * 2006-03-10 2006-05-22 이건호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922U (ko) * 1994-12-30 1996-07-18 김춘섭 베개
KR200201408Y1 (ko) * 2000-04-12 2000-11-01 홍길선 머리카락 끼임 방지용 대나무발 베게
KR200233439Y1 (ko) * 2000-12-01 2001-09-25 최홍규 베게
KR200416982Y1 (ko) * 2006-03-10 2006-05-22 이건호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2817A (en) Infant mattress system with sleeping recess
KR102127797B1 (ko) 조립식 소파 프레임
US6704958B2 (en) Pillow, especially for use during therapeutic measures
KR20130000325U (ko) 에어메쉬베개
KR101999293B1 (ko) 벌집형 위생 베개 및 그 조립 방법
US20070011818A1 (en) Corner guard for box spring
KR200482090Y1 (ko) 다목적 영유아용 쿠션
KR101715566B1 (ko) 복수 개의 스프링층을 포함하는 침구용 매트리스
JP3613674B2 (ja) マットレス
KR101046760B1 (ko) 4면지퍼로 탈부착 가능한 필로우탑
US20060230536A1 (en) Face down attachment for lounge chair
US20090317600A1 (en) Elastic fabric cushion structure
US11253089B2 (en) Pillow apparatus and system
US10226026B2 (en) Raised slung pet bed assembly
KR200416982Y1 (ko) 베개
JP5479813B2 (ja) 子守帯
AU2009202044A1 (en) Infant bedding accessory
US11553801B2 (en) Bed divider
US2449500A (en) Chair seat
JP2000139653A (ja)
KR20110087549A (ko) 매트리스용 에지포머를 이용한 비대칭형 매트리스
KR200378450Y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통풍시트
KR200497823Y1 (ko) 유아용 바디필로우
KR101276289B1 (ko) 탈부착 가능한 수유쿠션을 포함하는 소파
JP2000279301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