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095B1 - Apparatus for separating unpolished head rice using chu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parating unpolished head rice using chu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095B1
KR101999095B1 KR1020190037638A KR20190037638A KR101999095B1 KR 101999095 B1 KR101999095 B1 KR 101999095B1 KR 1020190037638 A KR1020190037638 A KR 1020190037638A KR 20190037638 A KR20190037638 A KR 20190037638A KR 101999095 B1 KR101999095 B1 KR 101999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ulley
belt
bucket elevator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쌍용기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기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기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0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orting whole brown rice using a chute, comprising a first bucket elevator (10), a main body (20), and a second bucket elevator (30), wherein the main body (20)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bucket elevator (10) and the second bucket elevato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ole brown rice in a complete form can be sorted.

Description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APPARATUS FOR SEPARATING UNPOLISHED HEAD RICE USING CHUTE}{APPARATUS FOR SEPARATING UNPOLISHED HEAD RICE USING CHUTE}

본 발명은 벼에서 왕겨를 탈부하여 현미를 생산하고, 현미에서 돌을 분리하는 현미 석발기에 두께 선별기의 슈트를 연결하여, 현미 석발기의 진동을 이용하여 슈트를 진동시킴으로써, 돌을 분리하는 석발 공정 후, 현미가 두께 선별기의 슈트를 통과하게 과정에서, 현미에 포함된 미숙립과 싸래기가 현미에서 분리되어, 온전한 형태의 완전 현미를 선별할 수 있는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parating a stone by separating a stone by separating the stone by connecting the chute of the thickness separator to a brown stone making machine for separating the stone from the brown r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te brown rice sorter using a chute capable of sorting whole brown rice of a perfect type by separating the immature lip and the wax contained in the brown rice from the brown ric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brown rice through the chute of the thickness separator.

대한민국 특허 제10-1430990호(2014년 8월 11일, 등록)에 "일체형 컴팩트 라이스밀"이 소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430990 (registered on Aug. 11, 2014), "Integrated Compact Rice Mill" is introduced.

상기 일체형 컴팩트 라이스밀은 벼를 도정하기 위한 현미기, 현미분리기, 석발기 및 정미기가 소정 공간을 갖는 도정하우징내에 집적화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정하우징내에서 벼의 현미, 현미분리, 석발 및 정미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현미기는 상기 도정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현미분리기는 상기 도정하우징의 중앙측 상부에, 상기 석발기는 상기 도정하우징의 중앙측 하부에, 상기 정미기는 상기 도정하우징의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도정하우징의 일측에는 벼를 상기 도정하우징 내부의 현미기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버킷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현미기와 현미분리기 사이에는 현미기에서 배출되는 혼합물을 현미분리기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버킷엘리베이터가 마련되고, 상기 석발기와 정미기 사이에는 상기 석발기에서 분리된 현미를 정미기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3 버킷엘리베이터가 마련되며, 상기 현미기는 벼로부터 왕겨를 벗겨내기 위해 현미케이스 내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되 그 간격이 0.4mm이상이고 0.6mm이하인 한 쌍의 고무롤러와, 상기 한 쌍의 고무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현미케이스 내를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무롤러 간격은 벼 두께의 1/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현미분리기는 혼합물로부터 현미 및 미탈부 벼를 분리하기 위해 장착케이스내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미분리판과, 상기 현미분리판을 진동시키기 위해 장착케이스의 크랭크축에 고정 설치되는 편심 베어링과, 상기 현미분리판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정공장을 설치코자 하는 장소에 상기 도정을 위한 단위공정기기 및 이를 운반하는 반송기의 운반 및 조립, 설치가 불필요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ted compact rice mill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so as to be integrated in a paddy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 a rice hound, a brown rice separator, a stone separator, a rice grit separator, a rice grit separator, a brown rice separator, Wherein the rice bowl is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center of the canned housing, the rice bowl is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center of the canned housing, A first bucket elevator for moving the rice to the inside of the canning housing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nning housing, and a mixture discharged from the canister is placed between the canister and the brown rice separator, And a second bucket elevator is provided between the stone pedal and the polishing machine, And a third bucket elevator for transferring the brown rice separated from the stonewashing machine to the rice mill, wherein the rice hanter is spaced apart from the brown rice case so as to peel off the rice husk from the rice, wherein the interval is 0.4 mm or more and 0.6 mm or less A pair of rubber rollers,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pair of rubber rollers, and an air blower for blowing air into the brown rice case, wherein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ubber rollers satisfies 1/2 of the thickness of the rice Wherein the brown rice separator comprises a brown rice separating plate capable of vibrating in a mounting case for separating brown rice and rice bran from the mixture, an eccentric separating plate fixed to the crank shaft of the mounting case for vibrating the brown rice separating plate, And an operating lever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rown rice separating plate. The steps necessary for the distance to place the device and transport and assembly of the transport group which carries them, that the installation is unnecessary to be characterized.

그러나, 상기 일체형 컴팩트 라이스밀은 석발기의 진동을 이용하여 왕겨를 벗겨낸 현미에서 미숙립 및 싸래기를 분리하여 완전한 현미를 선별하는 공정이 없고, 모터의 동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사용하는 것과 벨트의 텐션을 조정을 하는 것에 대한 기술이 없다. However, in the integrated compact rice mill, there is no process of separating the immature lip and the wax from the brown rice which has been ripped off by using the vibration of the stone machine, There is no description about adjusting the tens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현미 석발기에 두께 선별기의 슈트를 연결하고, 현미 석발기의 진동을 이용하여 슈트를 진동하게 됨으로써, 돌을 분리하는 석발 공정 후, 현미가 두께 선별기의 슈트를 통과하게 과정에서, 현미에 포함된 미숙립과 싸래기가 현미에서 분리되어, 온전한 형태의 완전 현미를 선별할 수 있는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chute of a thickness gauge by connecting a chute of a thickness gauge to a microscope stone of a main body and vibrating the chute by using vibration of a micro-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it is to provide a complete brownie separator using a chute which is able to distinguish the complete brown rice of the complete form, separated from the brown rice by the immature lip contained in the brown r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하를 많이 받는 현미기를 제 1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하고, 현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하를 적게 받는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제 2 버킷 엘리베이터, 왕겨배출수단의 송풍팬, 현미 석발기 등을 제 2 모터로 구동함으로써,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부하를 많이 받는 현미기의 작동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first bucket elevator, a second bucket elevator, a blowing fan of rice hull discharge means, And the like are driven by the second motor, the power for driving the components is efficiently distributed, and a complete brown rice sorter is provided using the chu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relatively large load of the microwave oven is not interfered by other components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개의 텐셔너가 2개의 벨트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lete brown rice sorter using a chute in which one tensioner can adjust two belt tensio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는 벼공급 호퍼의 벼를 본체의 벼투입 호퍼로 일정량씩 공급하기 위한 제 1 버킷 엘리베이터와, 제 1 버킷 엘리베이터를 통해 공급되는 벼에서 왕겨를 탈부하여 현미를 얻기 위한 본체와, 본체에서 나오는 현미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버킷 엘리베이터로 구성되고, 제 1 버킷 엘리베이터와 제 2 버킷 엘리베이터 사이에 본체가 배치되는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에 있어서,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lete brown rice sorter using a chute, comprising: a first bucket elevator for feeding a rice of a rice feed hopper by a predetermined amount into a rice feed hopper of a main body; And a second bucket elevator for transferring the brown rice from the main body to the next process, wherein a chute in which the main body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ucket elevator and the second bucket elevator is used In a complete brownie sorter,

상기 본체는 최상부에 배치되는 벼투입 호퍼와, 벼투입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벼에서 왕겨를 탈부하는 현미기와, 현미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벼에서 탈피된 왕겨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왕겨배출수단과, 왕겨배출수단의 하부에 배치되어, 현미에 포함되어 있는 돌을 제거하는 현미 석발기를 포함하고, 현미 석발기의 진동 스크린에 슈트가 연결되어, 슈트가 현미 석발기의 진동 스크린과 함께 진동하게 됨으로써, 현미가 슈트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현미중에 포함된 미숙립 및 싸래기가 분리되어, 온전한 형태의 완전 현미를 선별할 수 있는 두께 선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ncludes a rice feed hopper dispos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rice hopper, a rice hound machin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ice hopper for removing rice hull from rice, and a rice hound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ice hound rice, Wherein the chute is connected to a vibrating screen of the brown rice stalks and the chute is connected to the chute discharging means for removing the stones contained in the brown r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ckness gauge capable of separating the immature lip and wicker contained in the brown rice during the passage of the brown rice through the vibrating screen so as to select the whole brown rice in its entirety.

상기 두께 선별기는 경사지게 배치된 현미 석발기의 진동 스크린 하단에 슈트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슈트가 진동 스크린과 함께 진동하게 되며, 슈트가 진동 스크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경사지게 배치되고, 슈트의 바닥면에 일렬로 천공된 다수개의 통공이 다수개의 열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슈트로 공급되는 현미 중에서 미숙립 및 싸래기는 슈트의 통공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고, 온전한 형태의 완전 현미가 슈트를 통과하여 슈트의 하단부에 배치된 현미 호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ckness discriminating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chut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ibrating screen of the microspheres disposed at an inclined position so that the chute vibrates together with the vibrating screen and the chute is arranged more inclined relative to the vibrating scree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rforated in a row are uniformly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so that the immature lip and the wick are droppe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chute in the brown rice supplied to the chute and the complete brown rice of a perfect shape passes through the chute, Is fed to the brown rice hopper disposed in the rice hopper.

상기 통공은 폭(W1)이 완전 현미의 크기를 고려하여 1.8mm ~ 2.3mm이고, 슈트의 하부에 가이드 부재가 배치되어, 통공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미숙립 및 싸래기가 가이드 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rough hole has a width W1 of 1.8 mm to 2.3 mm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a perfect brown rice. A guide member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ute, and an immature lip and a strap falling downward through a through- And is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은 제 1 모터의 동력에 의해 현미기가 구동되고, 제 2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제 2 버킷 엘리베이터, 왕겨배출수단의 송풍팬, 현미 석발기의 송풍팬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machine is driven by the power of the first motor, and the first bucket elevator, the second bucket elevator, the blowing fan of the rice husk outlet unit, and the blowing fan of the brown rice extractor are driven by the power of the second motor .

상기 제 제 2 모터의 구동축에 제 1 구동풀리가 장착되고, 제 1 구동풀리가 제 1 벨트에 의해 제 2 전동풀리와 연결되며, 제 2 전동풀리가 샤프트에 장착되고, 샤프트에 제 3 전동풀리, 제 4 전동풀리, 현미 석발기용 요동캠, 제 5 전동풀리 및 제 6 전동풀리가 각각 장착되며, 제 3 전동풀리가 제 2 벨트에 의해 제 2 버켓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와 연결되고, 제 4 전동풀리가 제 3 벨트에 의해 현미 석발기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와 연결되며, 제 5 전동풀리가 제 4 벨트에 의해 왕겨배출수단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와 연결되고, 제 6 전동풀리가 제 5 벨트에 의해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drive pulley is mounted on a drive shaft of the second motor, a first drive pulley is connected to a second electric pulley by a first belt, a second electric pulley is mounted on a shaft, A fifth electric pulley, and a sixth electric pulley, the third electric pulley is connected to the second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by a second belt, and the fourth electric pulley is connected to the fourth electric pulley, The fifth pulley is connected to the pulley for driving the blowing fan for the rice flour discharging means by the fourth belt, and the sixth pulley is connected to the pulley for driving the blowing fan for the brown rice discharging means by the third belt, And the electric pulley is connected to the first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by the fifth belt.

또한, 본 발명은 제 3 전동풀리와 제 2 버켓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를 연결하는 제 2 벨트의 텐션과, 제 4 전동풀리와 현미 석발기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를 연결하는 제 3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셔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ulley for driving a third electric pulley and a pulley for driving a blower fan for a brown rice powder ejection, the tension of a second belt connecting a third electric pulley and a second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And a tensioner for adjusting the tension.

상기 텐셔너는 제 1 텐셔닝 풀리와 제 2 텐셔닝 풀리 사이에 평철 형태의 브라켓이 배치되고, 브라켓을 관통하는 중심축의 일단에 아암의 상단이 연결되어, 아암이 경사지게 배치되며, 아암의 하단에 직각으로 연결축이 연결되고, 연결축에 제 1 텐셔닝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심축의 타단에 제 2 텐셔닝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아암의 중간 지점에 스프링의 하단에 연결되고, 스프링의 상단이 브라켓에 장착된 걸이구에 장착되며, 브라켓의 양 측부 장공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볼트가 장공을 통해 본체의 어느 한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nsioner includes a flattened bracket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nsioning pulley and the second tensioning pulley. The upper end of the arm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central shaft passing through the bracket. The arm is inclined. A second tensioning pulley is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center shaft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pring at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arm, The upper end of the spring is mounted on a hook that is mounted on the bracket, both side long holes of the bracket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lt is fastened to one fram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lot.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는 석발 공정 후, 두께 선별기를 별도로 구현하지 않고도 현미에 포함된 미숙립과 싸래기를 현미에서 분리할 수 있어, 온전한 형태의 완전 현미를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us, the complete brownie sorter using the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ungrown lye contained in the brown rice and the seaweed from the brown rice without separately implementing the thickness separator after the boiling process, thereby selecting the perfect brown rice as a who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는 부하를 많이 받는 현미기를 제 1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하고, 현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하를 적게 받는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제 2 버킷 엘리베이터, 왕겨배출수단의 송풍팬, 현미 석발기 등을 제 2 모터로 구동함으로써,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부하를 많이 받는 현미기의 작동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간섭되지 않으며, 텐셔너를 이용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full brown rice sorter using the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bucket elevator, a second bucket elevator, a rice husk outlet device, and a rice husk outlet device, which are driven by the power of the first moto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stribute the power for driving the components,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relatively large loa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with by the other components, The tension of the belt can be adjusted by using a tens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두께 선별기의 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동력전달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동력전달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동력전달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텐셔너에 의해 제 2 벨트와 제 3 벨트의 장력이 함께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lete brown rice sorter using a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mplete brown rice sorter using the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complete brown rice sorter using the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ute of the thickness gaug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omplete brown rice sorter using a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a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6 is a side view showing a complete brown rice sorter using a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a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Figs. 8 and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at the tension of the second belt and the third belt are adjusted together by the tensioner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sion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는 벼공급 호퍼(11)의 벼를 본체(20)의 벼투입 호퍼(21)로 일정량씩 공급하기 위한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와,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를 통해 공급되는 벼에서 왕겨를 탈부하여 현미를 얻기 위한 본체(20)와, 본체(20)에서 나오는 현미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버킷 엘리베이터(30)로 구성되고,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와 제 2 버킷 엘리베이터(30) 사이에 본체(20)가 배치된다.1 to 3, a complete brown rice sorter using a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ice bucket elevator for supplying a rice of a rice feed hopper 11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a rice feed hopper 21 of a main body 20, A main bucket elevator 10 for transferring brown rice from the main body 20 to the next process, a main body 20 for detaching rice hatches from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first bucket elevator 10 to obtain brown rice, (30), and a main body (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ucket elevator (10) and the second bucket elevator (30).

상기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와 제 2 버킷 엘리베이터(30)는 이미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irst bucket elevator 10 and the second bucket elevator 30 are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본체(20)는 최상부에 배치되는 벼투입 호퍼(21)와, 벼투입 호퍼(21)의 하부에 배치되어, 벼에서 왕겨를 탈부하는 현미기(22)와, 현미기(22)의 하부에 배치되어, 벼에서 탈피된 왕겨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왕겨배출수단(23)과, 왕겨배출수단(23)의 하부에 배치되어, 현미에 포함되어 있는 돌을 제거하는 현미 석발기(24)를 포함하고, 현미 석발기(24)의 진동 스크린(241)에 슈트(252)가 연결되어, 슈트(252)가 현미 석발기(24)의 진동 스크린(241)과 함께 진동하게 됨으로써, 현미가 슈트(25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현미중에 포함된 미숙립 및 싸래기가 분리되어, 온전한 형태의 완전 현미를 선별할 수 있는 두께 선별기(25)를 더 포함한다.The main body 20 includes a rice infeed hopper 21 dispos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rice hopper 21 and a rice hound machine 22 disposed below the rice infeed hopper 21 to remove rice hull from rice, A rice husk discharging means (23) disposed below the rice husk discharging means (23) for discharging the rice husk released from the rice and discharging the rice husk to the outside, And the chute 252 is connected to the vibrating screen 241 of the microsammeter 24 so that the chute 252 vibrates together with the vibrating screen 241 of the microsammeter 24 , And a thickness selector (25) capable of separating the immature lip and wicker contained in the brown rice through the process of passing the brown rice through the chute (252), so that the whole brown rice of the perfect type can be select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두께 선별기(25)는 경사지게 배치된 현미 석발기(24)의 진동 스크린(241) 하단에 슈트(252)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슈트(252)가 진동 스크린(241)과 함께 진동하게 되며, 슈트(252)가 진동 스크린(24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경사지게 배치되고, 슈트(252)의 바닥면에 일렬로 천공된 다수개의 통공(253)이 다수개의 열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슈트(252)로 공급되는 현미 중에서 미숙립 및 싸래기는 슈트의 통공(252)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고, 온전한 형태의 완전 현미가 슈트(252)를 통과하여 슈트(252)의 하단부에 배치된 현미 호퍼(26)로 공급된다.3 and 4, the thickness separator 25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hute 252 at the lower end of the vibrating screen 241 of the inclined microscope 24, And the chute 252 is arranged to be inclined relative to the vibrating screen 241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53 perforated in a lin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ute 252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The immature lip and wax in the brown rice being supplied to the chute 252 are droppe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252 of the chute and the complete brown rice of the full form passes through the chute 252 to form the chute 252 And is supplied to a brown rice hopper 26 disposed at the lower end.

상기 통공(253)은 폭(W1)이 완전 현미의 크기를 고려하여 1.8mm ~ 2.3mm이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슈트(252)의 하부에 가이드 부재(254)가 배치되어, 통공(252)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미숙립 및 싸래기가 가이드 부재(2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through hole 253 has a width W1 of 1.8 mm to 2.3 mm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omplete brown rice. A guide member 254 is disposed below the chute 252 as shown in FIG. 3, 252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member 254.

상기 현미기(22), 왕겨배출수단(23) 및 현미 석발기(24)는 이미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ice hatching machine 22, rice hull discharging means 23, and a brown rice stoker 24 are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는 본체(20)를 현미기(22), 왕겨배출수단(23), 현미 석발기(24) 및 두께 선별기(25)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점유 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현미 석발기(24)의 진동 스크린(241)에 두께 선별기(25)의 슈트(252)를 연결하여 간단한 구조로 현미에서 미숙립 및 싸래기를 분리할 수 있는 얻을 수 있으며, 미숙립 및 싸래기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본체(20)가 아닌 다른 곳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The complete brown rice sorter using the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main body 20 is compactly constituted by the rice bowl 22, the rice husk outlet unit 23, the brown rice grinder 24 and the thickness separator 25 And the chute 252 of the thickness discriminating device 25 is connected to the vibrating screen 241 of the brown stoner 24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brown rice by the simple structure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the means for separating the immature lip and the straining from the body 20.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는 제 1 모터(41)의 동력에 의해 현미기(22)가 구동되고, 제 2 모터(51)의 동력에 의해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 제 2 버킷 엘리베이터(30), 왕겨배출수단(23)의 송풍팬(232), 현미 석발기(24)의 송풍팬(243)이 구동된다.5 to 7, the full-brown separator using the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microcomputer (not shown) which is driven by the power of the first motor 41 and the power of the second motor 51 The first bucket elevator 10, the second bucket elevator 30, the blowing fan 232 of the rice husk discharging means 23 and the blowing fan 243 of the microcomputer 24 are driven.

상기 제 1 모터(41)의 풀리(42)와 현미기(22)를 구동하기 위한 풀리(223)가 벨트(43)에 의해 연결된다(도 5 참조). A pulley 223 for driving the pulley 42 of the first motor 41 and the horn 22 is connected by a belt 43 (see Fig. 5).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제 2 모터(51)의 구동축(511)에 제 1 구동풀리(P1)가 장착되고, 제 1 구동풀리(P1)가 제 1 벨트(V1)에 의해 제 2 전동풀리(P2)와 연결되며, 제 2 전동풀리(P2)가 샤프트(60)에 장착되고, 샤프트(60)에 제 3 전동풀리(P3), 제 4 전동풀리(P4), 현미 석발기용 요동캠(245), 제 5 전동풀리(P5) 및 제 6 전동풀리(P6)가 각각 장착되며, 제 3 전동풀리(P3)가 제 2 벨트(V2)에 의해 제 2 버켓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P7)와 연결되고, 제 4 전동풀리(P4)가 제 3 벨트(V3)에 의해 현미 석발기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P8)와 연결되며, 제 5 전동풀리(P5)가 제 4 벨트(V4)에 의해 왕겨배출수단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P9)와 연결되고, 제 6 전동풀리(P6)가 제 5 벨트(V5)에 의해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P10)와 연결된다.7, a first driving pulley P1 is mounted on a driving shaft 511 of the second motor 51, and a first driving pulley P1 is driven by a first belt V1, The second electric pulley P2 is attached to the shaft 60 and the third electric pulley P3 and the fourth electric pulley P4 are connected to the shaft 60, The third power pulley P3 is attached to the second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P7 by the second belt V2, and the cam 245, the fifth power pulley P5 and the sixth power pulley P6 are mounted, And the fourth electromotive pulley P4 is connected to the pulley P8 for driving the blowing fan for the powder discharge by the third belt V3 and the fifth electromotive pulley P5 is connected to the fourth belt And the sixth electric pulley P6 is connected to the first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P10 and the second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P4 by the fifth belt V5, .

이것에 의해, 제 2 모터(51)의 동력이 제 1 벨트(V1)를 통해 제 2 전동풀리(P2)로 전달되면, 제 2 전동풀리(P2)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 2 전동풀리(P2)에 의해 샤프트(60)가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60)의 회전에 의해 제 3 내지 제 6 전동풀리(P3, P4, P5, P6))와 현미 석발기용 요동캠(245)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현미 석발기용 요동캠(245)의 회전에 의해 현미 석발기(24)가 진동하게 된다. As a result, when the power of the second motor 5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otor-driven pulley P2 through the first belt V1, the second motor-pulley P2 is rotated, whereby the second motor- The third to sixth electric pulleys P3, P4, P5, and P6) and the pivoting cam 245 for rotating the microscope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60 do. Then, the rotation of the oscillation cam 245 for oscillation of the microscopic stone causes the microscopic stone eraser 24 to vibrate.

또한, 제 3 전동풀리(P3)의 동력이 제 2 벨트(V2)를 통해 제 2 버켓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P7)으로 전달되고, 제 4 전동풀리(P4)의 동력이 제 3 벨트(V3)를 통해 현미 석발기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P8)로 전달되며, 제 5 전동풀리(P5)의 동력이 제 4 벨트(V4)를 통해 왕겨배출수단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P9)로 전달되고, 제 6 전동풀리(P6)의 동력이 제 5 벨트(V5)를 통해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P10)로 전달됨으로써, 제 2 모터(51)의 동력에 의해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 제 2 버킷 엘리베이터(30), 왕겨배출수단(23)의 송풍팬(232), 현미 석발기(24)의 송풍팬(243)이 각각 구동된다.The power of the third electric pulley P3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P7 through the second belt V2 and the power of the fourth electric pulley P4 is transmitted to the third belt V3, And the power of the fifth electric pulley P5 is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belt V4 to the pulley P8 for driving the blowing fan for the rice husk exhausting means through the fourth belt V4 P9 and the power of the sixth electric pulley P6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P10 through the fifth belt V5 so that the first motor 51 is driven by the power of the second motor 51, The bucket elevator 10, the second bucket elevator 30, the blowing fan 232 of the rice husk discharging means 23 and the blowing fan 243 of the brown pot discharger 24 are drive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는 부하를 많이 받는 현미기(22)를 제 1 모터(41)의 동력으로 구동하고, 현미기(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하를 적게 받는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 제 2 버킷 엘리베이터(30), 왕겨배출수단(23)의 송풍팬(232), 현미 석발기(24)의 송풍팬(243)를 제 2 모터(51)로 구동함으로써,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부하를 많이 받는 현미기의 작동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full brown rice sorter using the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rives the microwave oven 22 that receives a large load with the power of the first motor 41, The first bucket elevator 10, the second bucket elevator 30, the blowing fan 232 of the rice husk discharging means 23 and the blowing fan 243 of the brown pot 24 are driven by the second motor 51 Thereby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power for driving the component, and the operation of the relatively large load of the micro-machine is not interfered by other components.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는 제 3 전동풀리(P3)와 제 2 버켓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P7)를 연결하는 제 2 벨트(V2)의 텐션과, 제 4 전동풀리(P4)와 현미 석발기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P8)를 연결하는 제 3 벨트(V3)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셔너(70)를 더 포함한다.8 to 10, the full brown rice separator using the ch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belt V2 connecting the third electric pulley P3 and the second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P7 And a tensioner 70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hird belt V3 connecting the pulley P8 for driving the fourth electric pulley P4 and the blowing fan for the powder discharge.

상기 텐셔너(70)는 제 1 텐셔닝 풀리(72)와 제 2 텐셔닝 풀리(73) 사이에 평철 형태의 브라켓(71)이 배치되고, 브라켓(71)을 관통하는 중심축(74)의 일단에 아암(75)의 상단이 연결되어, 아암(75)이 경사지게 배치되며, 아암(75)의 하단에 직각으로 연결축(76)이 연결되고, 연결축(76)에 제 1 텐셔닝 풀리(7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심축(74)의 타단에 제 2 텐셔닝 풀리(7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아암(75)의 중간 지점에 스프링(77)의 하단에 연결되고, 스프링(77)의 상단이 브라켓(71)에 장착된 걸이구(78)에 장착되며, 브라켓(71)의 양 측부 장공(711, 713)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볼트(791, 793)가 장공(711, 713)을 통해 본체(20)의 어느 한 프레임(201)에 체결된다.The tensioner 70 includes a flattened bracket 71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nsioning pulley 72 and the second tensioning pulley 73, The arm 75 is inclined so that the connecting shaft 76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arm 75 at a right angle and the first tensioning pulley 76 A second tensioning pulley 73 is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shaft 74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pring 77 at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arm 75, The upper end of the spring 77 is mounted on the hook 78 mounted on the bracket 71 and the both side long holes 711 and 713 of the bracket 71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lts 791 and 793 And is fastened to one of the frames 201 of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long holes 711 and 713.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텐셔너(70)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브라켓(71)의 양 측단이 본체(20)의 어느 한 프레임(201)에 볼트(791, 793)에 의해 장착된다. 이때, 볼트(791, 793)가 장공(711, 713)의 중간 지점 또는 그 위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제 1 텐셔닝 풀리(72)와 제 2 텐셔닝 풀리(73)가 제 2 벨트(V2)와 제 3 벨트(V3)를 지지하여, 제 1 텐셔닝 풀리(72)와 제 2 텐셔닝 풀리(73)가 제 2 벨트(V2)와 제 3 벨트(V3)의 장력을 조정하게 된다.8, both ends of the bracket 71 are attached to one of the frames 201 of the main body 20 by the bolts 791 and 793, respectively. At this time, since the bolts 791 and 793 are disposed at or at the middle of the elongated holes 711 and 713, the first tension pulley 72 and the second tension pulley 73 are engaged with the second belt V2 Supporting the third belt V3 so that the first tensioning pulley 72 and the second tensioning pulley 73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belt V2 and the third belt V3.

이후, 사용 과정에서 또는 외부 온도의 변화에 의해 제 2 벨트(V2)와 제 3 벨트(V3)가 늘어나 제 2 벨트(V2)와 제 3 벨트(V3)의 장력이 작아지면, 도 9의 화살표(81) 방향으로 브라켓(71)을 이동한 후, 볼트(791, 793)를 조임으로써, 제 1 텐셔닝 풀리(72)와 제 2 텐셔닝 풀리(73)가 처진 제 2 벨트(V2)와 제 3 벨트(V3)를 위로 더 밀어 올려, 제 2 벨트(V2)와 제 3 벨트(V3)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tension of the second belt V2 and the third belt V3 becomes small due to the increase of the second belt V2 and the third belt V3 during the use process or by the change of the external temperature, The first tensioning pulley 72 and the second tensioning pulley 73 are moved to the second belt V2 and the second belt V2 by the bolts 791 and 793 after the bracket 7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ensioning pulley 81, The third belt V3 is further pushed up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belt V2 and the third belt V3.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텐셔너(70)로 제 2 벨트(V2)와 제 3 벨트(V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tension of the second belt (V2) and the tension of the third belt (V3) can be adjusted by one tensioner (70).

10 :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20 : 본체
30 : 제 2 버킷 엘리베이터 21 : 벼투입 호퍼
22 : 현미기 23 : 왕겨배출수단
24 : 현미 석발기 25 : 두께 선별기
252 : 슈트
10: first bucket elevator 20:
30: Second bucket elevator 21: Rice feeding hopper
22: Brown rice machine 23: rice husk discharge means
24: Microspheres 25: Thickness gauge
252: Suit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벼공급 호퍼(11)의 벼를 본체(20)의 벼투입 호퍼(21)로 일정량씩 공급하기 위한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와,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를 통해 공급되는 벼에서 왕겨를 탈부하여 현미를 얻기 위한 본체(20)와, 본체(20)에서 나오는 현미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 2 버킷 엘리베이터(30)로 구성되고,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와 제 2 버킷 엘리베이터(30) 사이에 본체(20)가 배치되는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최상부에 배치되는 벼투입 호퍼(21)와, 벼투입 호퍼(21)의 하부에 배치되어, 벼에서 왕겨를 탈부하는 현미기(22)와, 현미기(22)의 하부에 배치되어, 벼에서 탈피된 왕겨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왕겨배출수단(23)과, 왕겨배출수단(23)의 하부에 배치되어, 현미에 포함되어 있는 돌을 제거하는 현미 석발기(24)를 포함하고, 현미 석발기(24)의 진동 스크린(241)에 슈트(252)가 연결되어, 슈트(252)가 현미 석발기(24)의 진동 스크린(241)과 함께 진동하게 됨으로써, 현미가 슈트(25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현미중에 포함된 미숙립 및 싸래기가 분리되어, 온전한 형태의 완전 현미를 선별할 수 있는 두께 선별기(25)를 더 포함하고,
제 1 모터(41)의 동력에 의해 현미기(22)가 구동되고, 제 2 모터(51)의 동력에 의해 제 1 버킷 엘리베이터(10), 제 2 버킷 엘리베이터(30), 왕겨배출수단(23)의 송풍팬(232), 현미 석발기(24)의 송풍팬(243)이 구동되고,
상기 제 2 모터(51)의 구동축(511)에 제 1 구동풀리(P1)가 장착되고, 제 1 구동풀리(P1)가 제 1 벨트(V1)에 의해 제 2 전동풀리(P2)와 연결되며, 제 2 전동풀리(P2)가 샤프트(60)에 장착되고, 샤프트(60)에 제 3 전동풀리(P3), 제 4 전동풀리(P4), 현미 석발기용 요동캠(245), 제 5 전동풀리(P5) 및 제 6 전동풀리(P6)가 각각 장착되며, 제 3 전동풀리(P3)가 제 2 벨트(V2)에 의해 제 2 버켓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P7)와 연결되고, 제 4 전동풀리(P4)가 제 3 벨트(V3)에 의해 현미 석발기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P8)와 연결되며, 제 5 전동풀리(P5)가 제 4 벨트(V4)에 의해 왕겨배출수단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P9)와 연결되고, 제 6 전동풀리(P6)가 제 5 벨트(V5)에 의해 제 1 버킷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P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
A first bucket elevator 10 for supplying a rice of the rice feed hopper 11 to the rice feed hopper 21 of the main body 20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a rice hatcher for feeding the rice hatch from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first bucket elevator 10 And a second bucket elevator 30 for conveying the brown rice from the main body 20 to the next process. The first bucket elevator 10 and the second bucket elevator 30 30. A complete brownie sorter using a chute in which a main body (20) is disposed,
The main body 20 includes a rice infeed hopper 21 dispos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rice hopper 21 and a rice hound machine 22 disposed below the rice infeed hopper 21 to remove rice hull from rice, A rice husk discharging means (23) disposed below the rice husk discharging means (23) for discharging the rice husk released from the rice and discharging the rice husk to the outside, And the chute 252 is connected to the vibrating screen 241 of the microsammeter 24 so that the chute 252 vibrates together with the vibrating screen 241 of the microsammeter 24 , Further comprising a thickness selector (25) capable of separating the immature lip and wax contained in the brown ric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brown rice through the chute (252)
The rice husk 22 is driven by the power of the first motor 41 and the first bucket elevator 10, the second bucket elevator 30 and the rice husk outlet means 23 And the blowing fan 243 of the microcomputer 24 are driven,
The first driving pulley P1 is mounted on the driving shaft 511 of the second motor 51 and the first driving pulley P1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pulley P2 by the first belt V1 The second electric pulley P2 is mounted on the shaft 60 and the third electric pulley P3, the fourth electric pulley P4, the oscillating cam 245 for the powder discharge, The third pulley P3 is connected to the second bucket elevator drive pulley P7 by the second belt V2 and the fourth pulley P4 is connected to the fourth pulley P6 by the second belt V2, The electric pulley P4 is connected to the pulley P8 for driving the blowing fan for the powder discharge by the third belt V3 and the fifth electric pulley P5 is connected to the fourth belt V4 And the sixth electric pulley P6 is connected to the first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P10 by a fifth belt V5. The fifth belt V5 is connected to the pulley P9 for driving the blower fan for the means, Whole brown rice sorbent using.
제 5 항에 있어서,
제 3 전동풀리(P3)와 제 2 버켓 엘리베이터 구동용 풀리(P7)를 연결하는 제 2 벨트(V2)의 텐션과, 제 4 전동풀리(P4)와 현미 석발기용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풀리(P8)를 연결하는 제 3 벨트(V3)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셔너(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ension of the second belt V2 connecting the third electric pulley P3 and the second bucket elevator driving pulley P7 and the tension of the second belt V2 connecting the fourth electric pulley P4 and the pulley Further comprising a tensioner (70)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hird belt (V3) connecting the second belt (P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70)는 제 1 텐셔닝 풀리(72)와 제 2 텐셔닝 풀리(73) 사이에 평철 형태의 브라켓(71)이 배치되고, 브라켓(71)을 관통하는 중심축(74)의 일단에 아암(75)의 상단이 연결되어, 아암(75)이 경사지게 배치되며, 아암(75)의 하단에 직각으로 연결축(76)이 연결되고, 연결축(76)에 제 1 텐셔닝 풀리(7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심축(74)의 타단에 제 2 텐셔닝 풀리(7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아암(75)의 중간 지점에 스프링(77)의 하단에 연결되고, 스프링(77)의 상단이 브라켓(71)에 장착된 걸이구(78)에 장착되며, 브라켓(71)의 양 측부 장공(711, 713)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볼트(791, 793)가 장공(711, 713)을 통해 본체(20)의 어느 한 프레임(201)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ensioner 70 includes a flattened bracket 71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nsioning pulley 72 and the second tensioning pulley 73, The arm 75 is inclined so that the connecting shaft 76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arm 75 at a right angle and the first tensioning pulley 76 A second tensioning pulley 73 is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shaft 74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pring 77 at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arm 75, The upper end of the spring 77 is mounted on the hook 78 mounted on the bracket 71 and the both side long holes 711 and 713 of the bracket 71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lts 791 and 793 Is fastened to one of the frames (201) of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long holes (711, 713).
KR1020190037638A 2019-04-01 2019-04-01 Apparatus for separating unpolished head rice using chute KR101999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38A KR101999095B1 (en) 2019-04-01 2019-04-01 Apparatus for separating unpolished head rice using chu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38A KR101999095B1 (en) 2019-04-01 2019-04-01 Apparatus for separating unpolished head rice using chu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095B1 true KR101999095B1 (en) 2019-07-11

Family

ID=6725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638A KR101999095B1 (en) 2019-04-01 2019-04-01 Apparatus for separating unpolished head rice using chu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09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361A (en) * 2019-08-12 2019-10-25 徐州工程学院 A kind of process units of Phellinus rhizoma polygonati great burdock health care tea
CN110560199A (en) * 2019-10-23 2019-12-13 山东农业大学 Wheat preprocessing device
CN111282618A (en) * 2020-02-24 2020-06-16 山东农业大学 Wheat deep-processing pretreatment equipment
WO2022082424A1 (en) * 2020-10-19 2022-04-28 梁左男 Vertical conveying device for rice milling machine
KR20220102375A (en) * 2021-01-13 2022-07-20 주식회사 로드텍이엔지 Portable device for removing hull from r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668Y1 (en) * 2000-09-05 2001-07-19 김진종 Palace device for velt-elastic of indian ink tools
KR20010086827A (en) * 2000-03-03 2001-09-15 김용현 Multifunction rice polisher
KR200302037Y1 (en) * 2002-10-14 2003-01-24 신양수 Unpolished rice apparatus with sorting machine of foreign body
JP2015058389A (en) * 2013-09-18 2015-03-30 ヤンマー株式会社 Grain adjus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827A (en) * 2000-03-03 2001-09-15 김용현 Multifunction rice polisher
KR200231668Y1 (en) * 2000-09-05 2001-07-19 김진종 Palace device for velt-elastic of indian ink tools
KR200302037Y1 (en) * 2002-10-14 2003-01-24 신양수 Unpolished rice apparatus with sorting machine of foreign body
JP2015058389A (en) * 2013-09-18 2015-03-30 ヤンマー株式会社 Grain adjus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361A (en) * 2019-08-12 2019-10-25 徐州工程学院 A kind of process units of Phellinus rhizoma polygonati great burdock health care tea
CN110560199A (en) * 2019-10-23 2019-12-13 山东农业大学 Wheat preprocessing device
CN111282618A (en) * 2020-02-24 2020-06-16 山东农业大学 Wheat deep-processing pretreatment equipment
WO2022082424A1 (en) * 2020-10-19 2022-04-28 梁左男 Vertical conveying device for rice milling machine
KR20220102375A (en) * 2021-01-13 2022-07-20 주식회사 로드텍이엔지 Portable device for removing hull from rice
KR102431791B1 (en) 2021-01-13 2022-08-11 주식회사 로드텍이엔지 Portable device for removing hull from r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095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unpolished head rice using chute
EP0798055B1 (en) Cereal separation apparatus
CN1236865C (en) Cereal sorting system and roll sorting machine
JP3197017U (en) Grain sorter
US4498981A (en) Vibrating anti-blinding cleaning and grading machines
CN210973087U (en) Electromagnetic iron remover feeding device with scattering mechanism
KR102421445B1 (en) Combine to which discharge part equipped with secondary sorting device is applied
US673875A (en) Grain separating and cleaning machine.
US3857333A (en) Huller
CN107116024B (en) Vibrating screen device
JP3909966B2 (en) Hulling sorter
JP3988276B2 (en) Grain sorting device
KR200387178Y1 (en) grain grader for sort out crushed rice
KR100621480B1 (en) Grain grader for sort out crushed rice
KR101832829B1 (en) Sorting apparatus of embryo bud of rice
JP6739184B2 (en) Hulling device
US1926621A (en) Portable grain cleaning machine
RU2195371C2 (en) Centrifugal separator of loose material
KR930000706Y1 (en) Rice cleaner
JP4234560B2 (en) Finishing wind selection device used in rice wheat preparation and shipping equipment
CN219745534U (en) Cylinder cleaning screen for rice processing
US310181A (en) Middlings purifier
SU1547862A1 (en) Vibration centrifugal sifting machine
US1246108A (en) Machine for separating meats of cotton-seed from the hulls.
RU76828U1 (en)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ON OF BULK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