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348B1 -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348B1
KR101998348B1 KR1020170146539A KR20170146539A KR101998348B1 KR 101998348 B1 KR101998348 B1 KR 101998348B1 KR 1020170146539 A KR1020170146539 A KR 1020170146539A KR 20170146539 A KR20170146539 A KR 20170146539A KR 101998348 B1 KR101998348 B1 KR 101998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solenoid valve
hole
armature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177A (ko
Inventor
이재경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7014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3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1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with additional mechanism between armature and closur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로부로 유입되는이물질 및 유체를 줄여 불량률을 낮추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유압포트가 관통형성된 중공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내부에서 직선이동하여 상기 유압포트를 개폐하는 스풀이 형성된 유로제어부; 및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관통된 코일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어셈블리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스풀 사이에 배치되어 아마추어의 구동력을 상기 스풀로 전달하는 로드와, 일단과 타단이 관통되어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코어플레이트가 형성된 자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플레이트는, 내주면과 외주면이 상호 관통되어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유입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와 상호 연통되는 유로홈; 및 상기 유로홈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로부로 유입되는이물질 및 유체를 줄여 불량률을 낮추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을 변환하여 전달하는 변속기에 사용되며, 변속기는 변속과정이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와, 일정한 패턴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로 나뉜다.
이 중에서 자동 변속기는 토크 컨버터, 작동기구, 유성기어장치, 유압제어기구,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제어기구에는 자동 변속기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압력조절용 밸브 기구가 마련되고, 압력조절용 밸브 기구로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내부 구조에 따라 스풀 타입 밸브(Spool Type Valve), 볼 타입 밸브(Ball Type Valve, 포핏 타입(Poppet Type Valve) 등이 있다.
이 중 스풀 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크게 전원을 공급받아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로부와, 상기 자로부로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스풀 등의 구성부품을 작동시켜 작동유의 공급통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유로제어부로 나누어진다.
한편, 솔레노이드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자로부의 내부에서 직선이동하는 아마추어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할 수 있도록 작동공간에는 유체가 충전된다.
이러한 유체는 아마추어의 이동 시 솔레노이드 밸브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솔레노이드 밸브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런데 아마추어의 이동 시 솔레노이드 밸브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혼입될 경우,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각종 부품이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마모되어 아마추어의 운동성능이 저하되고,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조절용 밸브기구가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상기한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자로부에 축적되는 이물질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일례로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2)의 하단에 코어(2) 외부로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연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연통로(21)를 통해 배출된 이물질이 섞인 유체가 코일어셈블리(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폴(3)에서 코어(2)가 상호 면접촉하는 면에 제1연통로(21)와 연통되는 제2연통로(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로(31)와 연통되도록 코일어셈블리(4)의 길이방향으로 제3연통로(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코일어셈블리(4)에서 상기 폴(3)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 면에는 이물질이 섞인 유체가 역방향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돌기가 상호 지그재그 형상으로 돌출된 미로형상의 제4연통로(42)가 형성된다.
즉, 제3연통로(41)를 통해 이동된 유체는 제4연통로(42)로 이동된다.
그리고, 코일어셈블리(4)에서 제3연통로(41)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4연통로(42)와 연통되는 제5연통로(43)가 코일어셈블리(4)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1연통로(2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 섞인 유체가 제2연통로(31)와 제3연통로(41) 및 제4연통로(42)를 거쳐 제5연통로(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이물질이 자로부(1)에 축적되는 것을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로부(1)에 유입되는 이물질 섞인 유체가 자로부(1) 전체를 이동하기 때문에 유체가 자로부(1)내부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이물질이 자로부(1)에 축적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다수개의 다수개의 연통로(21, 31, 41, 42, 43)를 형성하기 위해 코어(2)와 폴(3) 및 코일어셈블리(4)를 가공함으로써, 제작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자로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리 차단할 수 있고, 자로부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마모되고 아마추어의 운동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외주면에 유압포트가 관통형성된 중공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내부에서 직선이동하여 상기 유압포트를 개폐하는 스풀이 형성된 유로제어부; 및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관통된 코일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어셈블리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스풀 사이에 배치되어 아마추어의 구동력을 상기 스풀로 전달하는 로드와, 일단과 타단이 관통되어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코어플레이트가 형성된 자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플레이트는, 내주면과 외주면이 상호 관통되어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유입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와 상호 연통되는 유로홈; 및 상기 유로홈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플레이트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둘레를 따라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입구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을 관통하고, 상기 유로홈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날개부에서 상기 유로제어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관통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에서 상기 유로제어부가 배치된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1관통공의 내주면보다 큰 내주면을 갖는다.
상기 유로홈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2바퀴 이상 형성된다.
상기 유로홈의 폭은 깊이보다 넓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코어플레이트에 유입홈과 유로홈 및 배출홈을 형성함으로써, 자로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이해, 자로부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마모되고 아마추어의 운동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우압조절용 밸브기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관통공의 둘레는 제1관통공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고, 유입구는 몸체부의 제2관통공 내주면과 날개부의 외주면을 상호 관통됨으로써, 로드의 외주면과 유입구가 형성된 제2관통공의 내주면이 상호 이격되어 유입구로 이물질이 섞인 유체가 유입될 때, 이물질이 로드의 외주면과 제2관통공의 내주면에 끼이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로홈은 날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됨으로써, 외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역방향으로 침투하거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이 많아도 유입구 및 유로홈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로홈은 날개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2바퀴 이상 형성됨으로써, 자로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줄이고 불량을 줄이는 이물질 강건성을 확보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로홈은 그 폭이 깊이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날개부의 외주면에 유로홈을 가공 시, 유로홈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이물질 섞인 유체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출구는 유로홈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고, 날개부에서 상기 유로제어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등격으로 이격되어 관통됨으로써, 배출구는 유로홈을 통해 이동된 이물질 섞인 유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플레이트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이동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로제어부(100)와 자로부(200)를 포함한다.
유로제어부(100)는 자로부(200)로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작동유의 공급통로를 개방 또는 차단한다.
이러한 유로제어부(100)는 플랜지(110) 및 스풀(120)을 포함한다.
플랜지(11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외주면에 유압포트(111)가 관통형성된다.
스풀(120)은 원기둥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탄성부재(121)와 접하고, 타단은 자로부(200)와 접하며, 외주면은 플랜지(110)의 내주면과 접하여 플랜지(110)의 내부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스풀(120)은 자로부(200)로부터 자력이 발생되면 플랜지(110)의 내부에서 직선이동하여 플랜지(1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유압포트(111)를 개폐시킨다.
즉, 상기 스풀(120)의 직선이동에 의해 상기 유압포트(111)가 개폐된다.
자로부(200)는 전원을 공급 받아 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자로부(200)는 하우징(210)과 코일어셈블리(220)와 아마추어(230)와 로드(240) 및 코어플레이트(25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플랜지(110)의 타단방향에 결합된 것으로서, 하우징(210)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자로부(200)를 이루는 각종 부품들을 수용한다.
코일어셈블리(220)는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으로 관통된 것으로서,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용되고, 보빈과 코일로 이루어진다.
보빈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등의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축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원통형상이며, 그 외주면에는 코일이 감겨져 있다.
코일은 보빈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아마추어(230)는 코일어셈블리(220)의 내부에 직선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코일어셈블리(220)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된다.
즉, 아마추어(230)는 코어어셈블리의 전자기력에 의해 직선이동한다.
로드(240)는 아마추어(230)와 유로제어부(100)의 스풀(120)사이에 형성되어 아마추어(230)의 구동력을 스풀(120)로 전달한다.
즉, 로드(240)는 아마추어(230)와 스풀(120) 사이에서 아마추어(230)의 구동력에 의해 직선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로드(240)는 아마추어(230) 또는 스풀(12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 독립된 형태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코어플레이트(250)는 자로부(200)의 일단, 즉 유로제어부(100)와 자로부(200)의 경계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시, 유로제어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자로부(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코어플레이트(250)의 중심은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로드(240)가 삽입되고, 코일어셈블리(220)에서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아마추어(230)를 끌어당긴다.
이러한 코어플레이트(250)는 몸체부(251)와 날개부(254)와 유입구(255)와 유로홈(256) 및 배출구(257)를 포함한다.
몸체부(251)는 코어플레이트(25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로드(240)가 관통된다.
날개부(254)는 몸체부(251)의 상부에서 둘레를 따라 외부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날개부(254)는 코일어셈블리(220)가 배치된 방향인 타면이 코일어셈블리(220)의 일면과 상호 면접촉된다.
이로 인해, 날개부(254)는 코일어셈블리(220)의 일면에 용이하게 걸쳐져 코일어셈블리(2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유입구(255)는 코어플레이트(25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상호 관통하는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몸체부(251)의 내주면과 날개부(254)의 외주면을 상호 관통한다.
이러한 유입구(255)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평면상 방사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유입구(255)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섞인 유체가 유입된다.
한편, 외부로부터 이물질 섞인 유체가 유입구(255)로 유입될 때, 로드(240)의 외주면과 몸체부(251)의 내주면이 상호 밀착되면, 로드(240)의 외주면과 몸체부(251)의 내주면으로 굵은 입자로 이루어진 이물질이 끼이거나 몸체부(251)의 상부에 쌓일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코어플레이트(250)의 몸체부(251)는 제1관통공(252) 및 제2관통공(253)을 포함한다.
제1관통공(252)을 원통형상의 몸체부(251)에서 중심공간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로드(240)가 관통되어 로드(240)의 외주면과 제1관통공(252)의 내주면이 상호 밀착된다.
그리고, 제2관통공(253)은 제1관통공(252)에서 상기 유로제어부(100)가 배치된 방향에 형성되어 제1관통공(252)을 관통한 로드(240)가 관통된다.
여기서, 제2관통공(253)의 둘레는 제1관통공(252)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구(255)는 몸체부(251)의 제2관통공(253) 내주면과 날개부(254)의 외주면을 상호 관통한다.
따라서, 로드(240)의 외주면과 유입구(255)가 형성된 제2관통공(253)의 내주면이 상호 이격됨으로써, 유입구(255)로 이물질이 섞인 유체가 유입될 때, 로드(240)의 외주면과 제2관통공(253)의 내주면 사이로 이물질 섞인 유체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관통공(253)은 이물질이 로드(240)의 외주면과 제2관통공(253)의 내주면에 끼이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로홈(256)은 코어플레이트(250)의 둘레, 더욱 상세하게는 코어플레이트(250)의 날개부(254)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로 인해, 유로홈(256)은 제2관통공(253)의 내주면과 날개부(254)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유입구(255)와 연통된다.
즉, 제2관통공(253)을 통해 유입구(255)로 유입된 이물질 섞인 유체는 날개부(254)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로홈(256)으로 이동된다.
또한, 유로홈(256)은 날개부(254)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됨으로써, 외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역방향으로 침투하거나, 유입구(255)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이 많아도 유입구(255) 및 유로홈(256)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로홈(256)은 이물질 강건성 확보를 위해 날개부(254)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2바퀴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유로홈(256)은 자로부(200)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줄이고 불량을 줄이는 이물질 강건성을 확보할수 있다.
또한, 유로홈(256)은 그 폭이 깊이보다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날개부(254)의 외주면에 유로홈(256)을 가공 시, 유로홈(256)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유입구(255)로부터 유입된 이물질 섞인 유체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배출구(257)는 유로홈(256)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것으로서, 날개부(254)에서 상기 유로제어부(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다수개가 상호 등격으로 이격되어 관통된다.
이로 인해, 배출구(257)는 유로홈(256)을 통해 이동된 이물질 섞인 유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다수개의 다수개의 연통로(21, 31, 41, 42, 43)가 코어(2)와 폴(3) 및 코일어셈블리(4)에 각각 형성되고, 이물질 섞인 유체가 자로부(1) 전체를 이동하였던 종래와 달리, 본원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이물질 섞인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입구(255)와 유로홈(256) 및 배출구(257)가 하나의 구성 즉, 코어플레이트(250)에만 형성되어 이물질 섞인 유체가 자로부(200)내부에 전체적으로 이동하지 않음으로써, 이물질이 자로부(200)에 축적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코어플레이트(250)만 가공함으로써, 제작구조가 단순해져 이에 따른 제작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에 이물질 섞인 유체가 이동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플레이트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이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이물질 섞인 유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251)의 제2관통공(253)을 통해 제2관통공(253)의 내주면과 날개부(254)의 외주면을 상호 연통하는 유입구(255)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관통공(253)에는 로드(240)가 관통되는데 제2관통공(253)의 내주면과 로드(240)의 외주면은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체가 제2관통공(253)의 내주면에 형성된 유입구(255)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255)로 유입된 유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54)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로홈(256)으로 이동된다.
유로홈(256)은 날개부(254)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된 홈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날개부(254)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유로홈(256)은 자로부(200)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줄이고 불량을 줄이는 이물질 강건성을 확보할수 있다.
유로홈(256)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는 도 5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54)에서 다수개가 상호 등격으로 이격되어 유로제어부(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관통된 배출구(257)를 통해 코어플레이트(250)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코어플레이트(250)는 외부로부터 이물질 섞인 유체가 제2관통공(253)을 통해 유입구(255)로 유입되고, 유입구(255)로 유입된 유체는 유로홈(256)으로 이동되어 배출구(25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유로제어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자로부(200)로 유입되는 것을 명확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코어플레이트(250)에 유입홈과 유로홈(256) 및 배출홈을 형성함으로써, 자로부(20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이해, 자로부(2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마모되고 아마추어(230)의 운동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조절용 밸브기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관통공(253)의 둘레는 제1관통공(252)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고, 유입구(255)는 몸체부(251)의 제2관통공(253) 내주면과 날개부(254)의 외주면을 상호 관통됨으로써, 로드(240)의 외주면과 유입구(255)가 형성된 제2관통공(253)의 내주면이 상호 이격되어 유입구(255)로 이물질이 섞인 유체가 유입될 때, 이물질이 로드(240)의 외주면과 제2관통공(253)의 내주면에 끼이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로홈(256)은 날개부(254)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됨으로써, 외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역방향으로 침투하거나, 유입구(255)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이 많아도 유입구(255) 및 유로홈(256)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로홈(256)은 날개부(254)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2바퀴 이상 형성됨으로써, 자로부(200)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줄이고 불량을 줄이는 이물질 강건성을 확보할수 있다.
유로홈(256)은 그 폭이 깊이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날개부(254)의 외주면에 유로홈(256)을 가공 시, 유로홈(256)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유입구(255)로부터 유입된 이물질 섞인 유체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배출구(257)는 유로홈(256)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고, 날개부(254)에서 상기 유로제어부(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등격으로 이격되어 관통됨으로써, 배출구(257)는 유로홈(256)을 통해 이동된 이물질 섞인 유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유로제어부 110: 플랜지
111: 유압포트 120: 스풀
121: 탄성부재 200: 자로부
210: 하우징 220: 코일어셈블리
230: 아마추어 240: 로드
250: 코어플레이트 251: 몸체부
252: 제1관통공 253: 제2관통공
254: 날개부 255: 유입구
256: 유로홈 257: 배출구

Claims (5)

  1. 외주면에 유압포트가 관통형성된 중공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내부에서 직선이동하여 상기 유압포트를 개폐하는 스풀이 형성된 유로제어부; 및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관통된 코일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어셈블리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스풀 사이에 배치되어 아마추어의 구동력을 상기 스풀로 전달하는 로드와, 일단과 타단이 관통되어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코어플레이트가 형성된 자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플레이트는,
    내주면과 외주면이 상호 관통되어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유입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와 상호 연통되는 유로홈;
    상기 유로홈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배출구;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둘레를 따라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구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을 관통하고, 상기 유로홈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날개부에서 상기 유로제어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관통된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에서 상기 유로제어부가 배치된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1관통공의 내주면보다 큰 내주면을 갖는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홈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2바퀴 이상 형성된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홈의 폭은 깊이보다 넓은 것
    인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170146539A 2017-11-06 2017-11-06 솔레노이드 밸브 KR10199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39A KR101998348B1 (ko) 2017-11-06 2017-11-06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39A KR101998348B1 (ko) 2017-11-06 2017-11-06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77A KR20190051177A (ko) 2019-05-15
KR101998348B1 true KR101998348B1 (ko) 2019-07-09

Family

ID=6657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539A KR101998348B1 (ko) 2017-11-06 2017-11-06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6734B (zh) * 2019-11-20 2022-01-18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流量阀及其位置控制方法与控制装置
KR102424668B1 (ko) * 2020-11-18 2022-07-2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솔레노이드 밸브
KR20240044202A (ko) 2022-09-28 2024-04-0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996B1 (ko) * 2013-09-16 2015-03-3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77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348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60433B1 (ko) 용량 제어 밸브
EP2491275B1 (de) Vorrichtung zum impulsartigen freigeben einer in einem speichergehäuse bevorratbaren fluidmenge
US7926513B2 (en) Spool valve
EP2864678B1 (en) Method for solenoid motor venting with contamination protection via a hydraulic sleeve
DE112004000114B4 (de) Magnetventil
CN110195778B (zh) 电磁致动阀和包括该电磁致动阀的液压控制模块
US20060272714A1 (en) Magnetic circuit design for linear actuator with small coil diameter
JP2009511837A (ja) 液圧切換弁
KR20120027144A (ko) 작은 패키지 공간을 점유하는 안정성 향상 특징을 가진 다이캐스트 슬리브
US7938143B2 (en)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KR20190037113A (ko) 솔레노이드-작동식 밸브용의 필터 조립체
US8534639B1 (en) Solenoid valve with a digressively damped armature
KR101660592B1 (ko) 밸브 장치
US20030136931A1 (en) Solenoid
DE102015119098B4 (de) Regelanordnung für eine mechanisch regelbare Kühlmittelpumpe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CN108119690B (zh) 电磁的操纵装置
CN112837886A (zh) 电磁的操纵装置
KR101574999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5391037B2 (ja) 電磁弁装置
US20140326336A1 (en) Valve, In Particular A Pressure Regulating Valve Or Pressure Limiting Valve
DE2949202C2 (ko)
US6676105B2 (en) Self-contained hydraulic dampening for a solenoid operated spool valve
JP2008267569A (ja) アクチュエータ付バルブ装置
KR10145735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