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337B1 - 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 Google Patents

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337B1
KR101998337B1 KR1020180172259A KR20180172259A KR101998337B1 KR 101998337 B1 KR101998337 B1 KR 101998337B1 KR 1020180172259 A KR1020180172259 A KR 1020180172259A KR 20180172259 A KR20180172259 A KR 20180172259A KR 101998337 B1 KR101998337 B1 KR 101998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ter
drip tray
wet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공현우
Original Assignee
공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현우 filed Critical 공현우
Priority to KR102018017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3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3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ype indoor air purifier which enables indoor air sucked by a blower to pass through a wet type filter so that the indoor air can be purified and supplied to the inside and, simultaneously, enables moisture of the wet type filter to be evaporated and supplied to the inside. Accordingly, the wet type indoor air can be managed to be clean all the time, and proper humidity of the inside can be maintained to create pleasant indoor environment. A division plate that divides the inside of a main body is installed in the wet type indoor air purifier, wherein the blow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vision plate and the wet type filte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 front surface cover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is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rear cover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본 발명은 블로워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습식필터를 통과시키면서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습식필터의 수분을 기화시켜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항상 청정하게 관리함은 물론, 실내의 적정 습도를 유지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도록 한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the indoor air while the indoor air sucked by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wet filter and supplies it back to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vaporizes the moisture of the wet filter and supplies it to the room, as well as always keeping the indoor air clean. It relates to a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to maintain a proper humidity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空氣淸淨器, air cleaner)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로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공기청정기는 소정의 필터를 이용한 필터링 방법으로 공기를 정화하였다.In general, an air cleaner is a device that purifies polluted air and converts it into fresh air. The air cleaner is used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A conventional air cleaner is a filtering method using a predetermined filter. Was clarified.

상기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등의 성능에 따라 공기 정화능력에 현저한 차이가 나고, 더구나 필터 등을 제때 교환하지 않는 경우 오히려 실내공기의 오염을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air cleaner has a remarkable difference in air purific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a filter for purifying contaminated air, and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increase the pollution of indoor air rather than replacing the filter in a timely manner.

한편, 최근에는 필터방식이 아니라 습식으로 된 공기청정기가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예로서 소위 '에어 워셔 (Airwasher)' 또는 '습식형 공기정화기'라고 불리는 제품을 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a wet air cleaner, not a filter method, has been released in various forms. An example is a so-called 'airwasher' or 'wet air purifier'.

기존의 습식 공기청정기는 대부분 분무노즐에 의하여 물을 분사하는 스크러버 시스템 방식으로 공기 중의 먼지나 가스를 제거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입시켜고 공기청정기 내부에 있는 분무노즐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시키고 이를 공기 중에 있는 먼지나 가스 등에 충돌시켜 제거하는 구조로 된 것으로, 물을 순환시키는 장치, 물저장탱크, 급수밸브, 폐수밸브, 순환펌프, 송풍팬, 제어기기, 충돌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 wet air cleaners are mostly equipped with a scrubber system that sprays water by spray nozzles to remove dust and gas from the air. This method is designed to inhale air into the inside of the air purifier and to spray water using a spray nozzle inside the air purifier and to remove it by colliding with dust or gas in the air. It is composed of water storage tank, water supply valve, wastewater valve, circulation pump, blower fan, controller and collision plate.

또 다른 방식으로는 디스크 형상의 판이 적정한 깊이로 물속에 잠겨 회전하면서 팬에 의해 유입된 먼지를 충돌에 방법으로 제거하는 방식이 있다.Another method is to remove the dust introduced by the fan in a collision method while the disk-shaped plate is rotated in the water to the appropriate depth.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부족한 수분을 증발 또는 분무에 의한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정화는 물론 습도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Since the wet air cleaner is installed indoors and can supply insufficient moisture by evaporation or spraying, it is known that the indoor air purification as well as humidity control are possible.

그러나 상기 분무방식은 제품의 크기가 커짐은 물론 누수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이 적어 공기정화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praying method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product as well as the leakage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is not high because the contact area of water and air is small.

그리고 디스크 방식의 경우에는 송풍공기가 디스크의 일부분에만 접촉됨에 따라 공기의 접촉부분이 디스크의 표면적 일부로 한정되기 때문에 만족할만한 정화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In the case of the disk method,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atisfactory purifying effect because the contact portion of the air is limited to a part of the surface area of the disk as the blower air contacts only part of the disk.

따라서 본 발명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0629호의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가 제공되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is provided with an indoor air management apparatus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of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0629 as shown in Figure 1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looks at the configuration as follows.

- 아 래 -- under -

공기배출수단(110)의 작동과 함께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흡입관(P1)과 실내공기배출관(P2)이 각각 설치되며, 공기흡입수단(120)의 작동과 함께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실외공기흡입관(P3)과 실외공기공급관(P4)이 각각 설치된 본체(100);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의 작동과 함께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을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그 흡입된 실내공기가 물이 적셔지면서 흘러내리는 가습유도수단(22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기화시켜 가습공기공급관(P5)을 통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가습수단(200);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에서 흡입된 공기는 실내공기배출관(P2) 쪽으로 유도하고, 상기 실외공기흡입관(P3)에서 흡입된 공기는 실외공기공급관(P4) 쪽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부 중앙부에 그 본체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설치된 6면체의 공기유도수단(300); 상기 공기배출수단(110), 공기흡입수단(120),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실내공기가 탁하거나 오염되었을 때 그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시키고 또는 실내가 건조할 때 가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이루어지고,The indoor air suction pipe (P1) and the indoor air discharge pipe (P2) for sucking the indoor air with the operation of the air discharge means 110 and discharges the sucked indoor air to the outside are installed, respectively, of the air suction means 120 A main body 100 provided with an outdoor air suction pipe P3 and an outdoor air supply pipe P4 for sucking outdoor air together with the operation and supplying the sucked outdoor air to the room; With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air discharge means 210,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indoor air suction pipe P1, and the sucked indoor air is vapo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umidifying induction means 220 which flows while the water is wet. Humidification means 200 for supplying indoors through the humidifying air supply pipe (P5); The air sucked from the indoor air suction pipe (P1) is directed to the indoor air discharge pipe (P2), and the air sucked from the outdoor air suction pipe (P3) is directed to the outdoor air supply pipe (P4)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 hexahedron air inducing means 300 installed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in a central portion; When the indoor air is muddy or polluted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air exhausting means 110, the air intake means 120, and the humidifying air exhausting means 210, the indoor air is exchanged with the outdoor air or when the room is dry.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o humidify;

상기 가습수단(200)은, 최상부에 설치된 물공급챔버(230)와, 그 물공급챔버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이 적셔지면서 흘러내리도록 상기 물공급챔버의 하부에 설치된 가습유도수단(220)과, 그 가습유도수단을 흘러내리는 물을 받도록 상기 가습유도수단의 하부에 설치된 물받이(240)와, 그 물받이의 물이 부족하면 물받이로 물을 보충하도록 상기 물받이의 일 측에 설치된 물 보충수단(250)과, 상기 물받이의 물 수위를 측정하도록 물받이에 설치된 물 수위측정기(260)와, 상기 물받이의 물을 상기 물공급챔버로 펌프하여 공급하거나 또는 외부로 드레인 시키도록 설치된 펌프수단(270)과,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공기를 가습유도수단(220)을 통과시킨 후 그 가습유도수단을 통과한 가습에어를 가습공기공급관(P5)으로 배출시키는 가습공기배출수단(210)과, 상기 물보충수단, 물 수위측정기, 펌프수단, 가습공기배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이루어진다.The humidifying means 200, the water supply chamber 230 is installed at the top, the humidifying induction means 22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hamber so that the water flows while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hamber and , A water reservoir 240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umidification guide means to receive water flowing down the humidification guide means, and water replenishing means 25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ip tray so as to replenish water with the drip tray if water is insufficient. ), A water level measurer 260 installed in the drip tray to measure the water level of the drip tray, a pump means 270 installed to pump or supply water from the drip tray to the water supply chamber, or to the outside;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indoor air suction pipe (P1), and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the humidifying induction means 220, and the humid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humidifying inducing means is discharged to the humidifying air supply pipe (P5). Key is composed of a humidified air discharge unit 210, the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water filling means, the water level gauge, pump means, and humidified air outlet means.

상기 가습수단(200)의 구성에서 문제점은, 가습공기배출수단(210)에서 공기를 가습유도수단(220)으로 공급하게 되면 대부분의 공기는 가습유도수단(220)을 통과하면서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가습이 이루어지지만 일부의 공기는 물받이(240)와 가습유도수단(22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물받이(240)에 받아진 물이 출렁이게 되어 물 수위측정기(260)의 오류를 발생시키게 되었다.The problem in the configuration of the humidifying means 200, when the air supply from the humidifying air discharge means 210 to the humidifying induction means 220, most of the air passes through the humidifying induction means 220 while pollutants in the air At the same time the humidification is made but some air passes between the drip tray 240 and the humidification induction means 220, the water received by the drip tray 240 is rippled to generate an error of the water level gauge 260 Was made.

또 종래의 가습수단(200)은 물공급챔버(230)에서 공급되는 상부의 물이 가습공기배출수단(210)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바로 부딪치면서 물방올형태로 배출되어 그 물방올이 실내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umidification means 200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while directly hitt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umidifying air discharge means 210, the upper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hamber 230, the water droplets fall into the room A problem occurred.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9519호 : 습식 공기정화장치.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9519: Wet air purifier. 한국등록특허 제10-1551328호 : 습식형 공기청정기.Korean Patent No. 10-1551328: Wet air cleaner.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0629호 :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0629: Indoor air management device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첫째, 습식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실내공기의 정화효율을 높이고, 그와 아울러 가습 효율을 극대화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며,First,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wet filter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indoor air, and also to maximize the humidification efficiency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둘째, 물받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물받이에 받아진 물의 수위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볼탑밸브의 오류 발생을 방지하고,Secondly,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drip tray, the water level measurement of the drip tray is accurately measured to prevent the error of the ball top valve.

셋째, 습식필터에 충전되는 구슬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하여 가습필터에서 발생하는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도록 한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ird, to provide a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to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generated in the humidification filter by using the material of the beads filled in the wet filter as a synthetic resi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내부를 양분하는 구획 판(20)이 설치되고, 그 구획 판의 일 측에는 블로워(30)를 타 측에는 습식필터(40)를 설치되며, 하부에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전면커버(50)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후방커버(60)를 설치하여 된 본체(10)를 마련하되, 상기 습식필터(40)는 양 측판(41a) 및 바닥면(41b)의 가장자리에 고정편(41c)이 90°절곡되게 형성되고 전·후방 및 상부는 개방되며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배수 홀(41d)을 형성시켜 된 '∪'형의 틀체(41)로 이루어지고, 상기 틀체의 내부에는 그 틀체의 내부 공간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망체(42)가 안착되며, 상기 망체의 내부에는 구슬(43)이 가득 수용되고, 상기 틀체의 상부 후방과 전방 상부에는 'ㄱ'자형 후방가로대(44)와, 'ㄱ'자형 전방가로대(45)가 설치되며, 상기 틀체의 상부에는 구슬로 물을 공급하는 챔버(46)가 설치되고 상기 틀체의 하부에 는 물받이(47)가 설치되며, 상기 물받이의 일측에는 물 저장부(70)가 형성되고, 상기 물 저장부에는 볼탑밸브(71)와, 그 볼탑밸브의 작동에 따라 작동되어 챔버로 공급하는 펌프(72)를 설치하여 된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슬(43)은, 물이 스며들지 않고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세균증식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ㄱ'자형 전방가로대(45)는,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챔버(46)에서 망체(42)에 수용된 구슬(43)로 공급되는 챔버(46)와 구슬(43)의 상부 사이로 낙하되는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ㄱ'자형 후방가로대(44) 보다 폭이 2배 이상 넓게 형성되고,
상기 틀체(41)의 하부와 물받이(47)의 결합구조는, 물받이(47)를 틀체(41)의 하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결합하도록 상기 틀체(41)의 바닥면(41b) 하부 양측 가장자리에는 레일(41e)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47)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레일에 끼워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끼움 편(47a)이 형성되며.
물 저장부(70)는, 물받이(47)의 일 측단과 안전하고 견고하게 연결 설치하기 위하여 물 저장부(70)의 상부 일 측에 상기 물받이(47)의 하부 일 측을 지지하며 받쳐주는 받침 편(70a)이 연장 형성되고, 그 받침 편은 상기 물받이(47) 쪽에서 물 저장부(70) 쪽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70b)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47)의 일측 하부에는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물 저장부(7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물 저장부(70)와 연통하는 배수 홀(47b)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46)의 물 공급박스(46a)의 바닥 면은, 상기 후방가로대(44)와, 전방가로대(45)의 사이에 긴밀히 끼워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물 공급구멍(46b)이 형성된 하부결합부(46a-1)와, 상기 후방가로대(44)와, 전방가로대(45)의 상면에 얹혀지며 지지되는 단턱부(46a-2)와, 상부 4방 모서리가 상기 양 측판(41a)의 고정편(41c)에 수용되어 지지되는 상향 수직부(46a-3)를 갖는'

Figure 112019059053501-pat00013
'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problem solving mean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artition plate 20 for dividing the inside is installed, a blower 3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 wet filter 40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and a front cover 50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at the lower part thereof. In the rear, a main body 10 having a rear cover 60 is provided, but the wet filter 40 has a fixing piece 41c bent by 90 ° at the edges of both side plates 41a and the bottom surface 41b.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및' shaped frame 41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41d) in the bottom, front, rear and the top is open, the interior of the frame to match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The mesh 42 formed in the shape to be seated, the interior of the mesh is full of beads 43 are accommodated, the upper rear and front upper portion of the frame 'b' shaped rear side rail 44 and 'b' shaped The front side stand 45 is installed, the chamber 46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is installed And a drip tray 47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ame body, a water storage unit 7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p tray, the water storage un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ll top valve 71 and the ball top valve In the wet indoor air purifier provided with a pump 72 for supplying the chamber,
The beads 43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that prevents bacterial growth by quickly drying without water infiltration,
The 'a' shaped front rail stand 45, the chamber 46 and the beads 43 are supplied to the beads 43 accommodated in the mesh 42 in the chamber 46 by the wind supplied from the blower (30) The width is formed at least two times wider than the 'b'-shaped rear side rail 44 to prevent water falling between the upper portio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frame 41 and the drip tray 47 has rails at both bottom edges of the bottom surface 41b of the frame 41 so that the drip tray 47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rame 41. 41e are formed, respectively, and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drip tray 47 are formed with fitting pieces 47a which are fitted to the rail and slide.
The water reservoir 70 supports and supports the lower one side of the drip tray 47 on the upper one side of the water reservoir 70 in order to safely and firmly connect with one side end of the drip tray 47. A piece 70a is formed to extend, and the supporting piec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70b having a downward slope from the drip tray 47 toward the water storage unit 70.
A drain hole 47b is formed at one lower portion of the drip tray 47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torage unit 70 so that the wind supplied from the blower 30 does not affect the water storage unit 70.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box 46a of the chamber 46 is tightly fitted and fixed between the rear side stand 44 and the front side stand 45, and the bottom coupling having the water supply hole 46b formed therein. A portion 46a-1, the rear side stand 44, the stepped portion 46a-2 which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ide stand 45, and the upper four corners are fixed to the side plates 41a. With an upward vertical portion 46a-3 received and supported by piece 41c '
Figure 112019059053501-pat00013
'Formed in the shape of a let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습식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실내공기의 정화효율을 높이고, 그와 아울러 가습 효율을 극대화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며, 물받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물받이에 받아진 물의 수위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볼탑밸브의 오류 발생을 방지하고, 습식필터에 충전되는 구슬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하여 가습필터에서 발생하는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object,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wet filter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indoor air, and at the same time maximize the humidification efficiency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drip tray, the level of water received in the drip tray can be measured accurately to prevent the error of the ball top valve and to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generated in the humidification filter by using the material of beads filled in the wet filter as synthetic resin. have.

도 1은 종래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에서 가습수단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에서 후방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에서 습식필터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에서 습식필터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에서 습식필터의 요부 발췌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air management apparatus having a conventional humidification func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means extracted from the conventional indoor air management device hav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ver is removed from the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et filter in a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t filter in the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wet filter in the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블로워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습식필터를 통과시키면서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습식필터의 수분을 기화시켜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항상 청정하게 관리함은 물론, 실내의 적정 습도를 유지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도록 한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the indoor air while the indoor air sucked by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wet filter and supplies it back to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vaporizes the moisture of the wet filter and supplies it to the room, as well as always keeping the indoor air clean. It relates to a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to maintain a comfortable humidity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아 래 - - under -

본 발명의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는, 본체(10)의 내부를 양분하는 구획 판(20)이 설치되고, 그 구획 판(20)의 일 측에는 블로워(30)를 타 측에는 습식필터(40)를 설치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흡입구(51)와 배출구(53)가 형성된 전면커버(5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후방에는 후방커버(60)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In the wet indoor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tion plate 20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and a blower 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20 and a wet filter 40 on the other side. And a front cover 50 having an inlet 51 and an outlet 53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a rear cover 60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

상기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으로써, 이는 이미 사용되고 있는 기술인바 그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The above configuration is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technique already used and will be briefly described.

본 발명의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의 양 측면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양 측면 외 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를 목적하는 곳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11)들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된다.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both side frames of the wet indoor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to the intended wet indoor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ackets 11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그 본체(10)의 내부를 양분하는 구획 판(20)이 설치되는데, 그 구획 판(20)을 설치하는 이유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측에는 블로워(30)를 설치하고 타 측에는 습식필터(40)를 설치하여 상기 블로워(30)에서 습식필터(40)로 공급되는 공기가 습식필터(40) 외에 다른 곳으로 우회하여 습식필터(40) 전방으로 넘어오지 못하고 습식필터(40)로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 partition plate 20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partition plate 20 is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lower 30 is installed on the side and the wet filter 4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air supplied to the wet filter 40 from the blower 30 is diverted to another place besides the wet filter 40 and the wet filter 40. This is to ensure that only the wet filter 40 is supplied to the front.

상기 구획 판(20)에는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블로워(30)의 케이스(31) 전방 일부는 통기공(21)의 외곽을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습식필터(40)로만 공급되게 하였다.A vent hole 21 through which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30 passes is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20, and a part of the front of the case 31 of the blower 30 passes through the outside of the vent hole 21. By being formed,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30 is supplied only to the wet filter 40.

상기 습식필터(40)는 물이 흘러내리는 구슬(43)이 가득 채워지는데, 상기 구슬(43)로는 챔버(46)에서 공급되는 물이 흘러내리게 되고 그 흘러내리는 물은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 하고 수분을 기화시켜 정화된 공기와 함께 가습공기를 발생시킨다.The wet filter 40 is filled with beads 43, the water flows dow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hamber 46 flows down to the beads 43 and the flow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blower 30 I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vaporizes moisture to generate humid air together with the purified air.

상기 전면커버(50)는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커버(50)에는 흡입구(51)와 배출구(53)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30)가 작동되면 흡입구(51)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습식필터(40)를 통과한 정화된 가습공기는 배출구(53)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공급된다. The front cover 5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inlet 51 and the outlet 53 are formed in the front cover 50, respectively, when the blower 30 is operated, the inlet 51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and the purified 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wet filter 40 is supplied back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53.

따라서 실내는 청정한 공기와 함께 가습 된 공기가 공급됨으로 실내를 쾌적하게 조성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interior of the room is supplied with humidified air together with clean air to create a comfortable room.

한편, 상기 흡입구(51)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실내공기 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1차로 걸러준다.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port 51 is installed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present in the indoor air primarily.

상기 후방커버(60)는 블로워(30)와 습식필터(40)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 내부를 밀봉하여 구획 판(20)을 중심으로 본체(10) 내부를 양분한다.The rear cover 60 protects the blower 30 and the wet filter 40 and seal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o bipartite the main body 10 around the partition plate 2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 것이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부인 습식필터(40)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above description briefly describe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bes the wet filter 40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습식필터(4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판(41a) 및 바닥면(41b)의 가장자리에 고정편(41c)이 90°절곡되게 형성되고 전·후방 및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배수 홀(41d)을 형성시켜 된 '∪'형의 틀체(41)와, 상기 틀체의 내부에 안착 설치되도록 틀체의 내부 공간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와 좌·우 측면이 개방된 망체(42)와, 상기 망체의 내부에 가득 수용되어 물이 스며들지 않으면서 흘러내리는 합성수지제의 구슬(43)과, 상기 틀체의 상부 후방 일측단에서 타측단에 이르도록 설치된 'ㄱ'자형 후방가로대(44)와, 상기 틀체의 전방 상부 일측단에서 타측단에 이르도록 설치된 상기 후방가로대 보다 폭이 2배 이상 넓은 'ㄱ'자형 전방가로대(45)와, 상기 틀체의 상부에 하부일부가 끼워 결합되어 하부가 상기 각 가로대에 지지되어 상기 구슬로 물을 공급하는 챔버(46)와, 상기 틀체의 하부에 기밀성이 유지되게 연결 설치되어 틀체의 하부로부터 서랍 형태로 슬라이딩 되는 물받이(47)와, 상기 물받이의 일측단과 연결설치되어 물받이의 물을 받아 수용하는 물 저장부(70)와, 상기 물 저장부에 설치되어 물 수위에 따라 상·하 작동되는 볼탑밸브(71)와, 상기 볼탑밸브의 작동에 따라 작동되어 물 저장부의 물을 상기 챔버로 공급하는 펌프(72)로 이루어진다.7 and 8, the wet filter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fixing piece 41c is bent at 90 degrees at the edges of both side plates 41a and the bottom surface 41b, and the front, rear, and top portions thereof. Is open an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41d) 41 and the upper and left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to b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frame A net body 42 having an open side on its right side, a synthetic resin ball 43 which is housed inside the net body and flows down without infiltrating water, and from one end of the upper rear side of the frame to the other end; 'A' shaped rear side stand 44 and 'A' shaped front side stand 45 wider than the rear side stand installed to reach the other end from the front upper one side end of the frame, and the frame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t of each horizontal A chamber 46 supported by a stand for supplying water to the bead, a drip tray 47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ame to maintain airtightness and sliding in a drawer form from the bottom of the frame,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p tray; A water storage unit 70 installed to receive water from the drip tray, a ball top valve 71 installed at the water storage unit and opera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ll top valve It consists of a pump 72 for supplying water to the chamber.

상기의 구성에서 틀체(41)는, 양 측판(41a) 및 바닥면(41b)의 가장자리에 고정편(41c)이 90°절곡되게 형성되고 전·후방 및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바닥면(41b)에는 복수 개의 배수 홀(41d)이 형성된 '∪'자형으로 형성된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frame 41 is formed such that the fixing piece 41c is bent by 90 ° at the edges of both side plates 41a and the bottom surface 41b, and the front, rear and top portions are opened and the bottom surface 41b is opened. It is formed in a '∪' shape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41d).

상기 틀체(41)의 구성에서 양 측판(41a)은 상향 수직되는 형태를 취하고 바닥면(41b)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 측판(41a)과 바닥면(41b)의 가장자리에는 90°절곡된 고정편(41c)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망체(42)를 안정적으로 잡아주며 보호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frame 41, both side plates (41a) take the form of vertically upward, the bottom surface 41b is made of a flat plate and fixed at 90 ° bent at the edges of the both side plates (41a) and the bottom surface (41b) Since the piece 41c is formed, the net body 42 described below is stably held and protected.

또 상기 바닥면(41b)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수 홀(41d)은 습식필터(40)의 구슬(43)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배수시키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41d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41b serve to drain water flowing along the beads 43 of the wet filter 40.

상기 틀체(41)의 일실시 예는 바닥면(41b) 하부 양측 가장자리에는 레일(41e)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47)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레일(41e)에 끼워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끼움 편(47a)이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47)의 일측 측벽 하부에는 상기 물 저장부(70)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 홀(47b)이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frame 41, rails 41e are formed at both bottom edges of the bottom surface 41b, respectively, and upper and both edges of the drip tray 47 are fitted to the rails 41e to slide. A piece 47a is formed. A drain hole 47b for drain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70 is formed below one side wall of the drip tray 47.

상기 바닥면(41b) 하부 양측 가장자리에 레일(41e)이 형성되고 물받이(47)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에 끼움 편(47a)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물받이(47)를 틀체(41)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결합할 때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리결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ails 41e are formed at both bottom edges of the bottom surface 41b and the fitting pieces 47a are formed at the upper both edges of the drip tray 47, so that the drip tray 47 is separated from the frame 41, or This is to allow easy and easy separation when combining.

본 발명의 망체(42)는, 상기 틀체(41)의 내부에 안착 설치되도록 틀체(41)의 내부 공간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망체(42)가 틀체(41) 내부에 긴밀하게 안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net body 4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41 so as to be seated inside the frame 41, the reason is that the net body 42 is inside the frame 41 This is to make the seat tightly fixed.

상기 망체(42)의 일실시 예는, 4방 가장자리에 상기 양 측판(41a)의 가장자리에 90°절곡된 고정편(41c)과 면 접촉되어 고정되는 절곡 편(42a)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절곡 편(42a)이 고정편(41c)과 면 접촉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of the mesh 42, the bent piece by forming a bent piece (42a) in contact with the fixing piece 41c, which is bent at 90 degrees to the edges of the side plate (41a) at four sides on the surface 42a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xing piece 41c, whereby a firm fixing is achieved.

상기 절곡 편(42a)과 고정편(41c)은 고정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The bending piece 42a and the fixing piece 41c are preferably fixed by using a fixing piece.

상기 망체(42)의 내부에는 합성수지제의 구슬(43)을 가득 채우며, 그 채워지는 구슬(43)은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합성수지제로 형성시켰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구슬(43)에 묻어있는 수분이 빨리 건조되어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inside of the net body 42 is filled with synthetic resin beads 43, the filling beads 43 are formed of synthetic resin so that water does not penetrate, the reason, the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prevent the bacteria from growing by quickly drying the moisture buried in the beads 43 when not used.

합성수지제의 구슬(43)은 그 재질의 특성상 수분이 스며들지 않기 때문에 건조가 뻘리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진다.Beads made of synthetic resin 43 has the advantage that the drying is faster because moisture does not seep in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종래에는 구슬(43)을 돌이나 황토로 제조된 것이기 때문에 물이 스며들어 건조가 빨리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세균이 증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구슬을 세척하기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구슬(43)은 합성수지제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Conventionally, since the beads 43 are made of stone or oc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bacteria are multiplying due to the infiltration of water, and the drying of the beads 43 is difficult. However, the beads 43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of synthetic resin. By forming zero, the conventional problem is solved.

상기 틀체(41)의 후방 상부에는 일측단에서 타측단에 이르도록 'ㄱ'자형 후방가로대(44)를 설치하는데, 그 이유는, 후방가로대(44)의 상부를 평명이 되도록 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챔버(46)의 하부를 받쳐주며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frame 41 is provided with a 'b'-shaped rear side rail 44 to reach from the other end to the other end, for the reas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o make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ide rail 44 flat This is to support and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hamber 46.

또한, 상기 틀체(41)의 전방 상부에는 일측단에서 타측단에 이르도록 상기 후방가로대(44)보다 폭이 2배 이상 넓은 폭을 갖는 'ㄱ'자형 전방가로대(45)를 설치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후방가로대(44)와 마찬가지로 상부를 평명이 되도록 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챔버(46)의 하부를 받쳐주며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 그 첫 번째 이유이고, 두 번째로는 상기 챔버(46)에서 공급되는 물이 습식필터(40)로 공급될 때에 물줄기 형태로 공급되는바 이때,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이 강하게 되면 물이 날리면서 물방울 형태로 습식필터(40)를 통과하여 전면커버(50)의 배출구(52)로 배출됨으로 상기 물방울을 전방가로대(45)가 막아주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rame 41 is installed a 'b' shaped front side stand 45 having a width more than twice as wide as the rear side stand 44 so as to reach the other end from one side end, the reason The first reason is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hamber 4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upper part is flat as the rear side bar 44, and the second is in the chamber 46 When the supplied water is supplied to the wet filter 40 is supplied in the form of a stream, at this time, if the air pressure supplied from the blower 30 is strong, the water flows through the wet filter 40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and the front cover ( This is to prevent the water droplets from being blocked by the front side stand 45 by being discharged to the outlet 52 of 50).

상기 틀체(41)의 상부에는 챔버(46)의 하부일부가 끼워 결합되어 하단 면이 상기 각 가로대(44,45)에 지지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챔버(46)의 일실시 예 구성은,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물 공급박스(46a)와, 그 물 공급박스(46a)의 바닥면 후방가로대(44) 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구슬(43)로 물이 공급되도록 형성된 물 공급구멍(46b)과, 상기 물 공급박스(46a)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물 공급구멍(46b)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물 공급구멍(46b)으로 물을 스프레이 형태로 공급하는 물 공급 관(46c)과, 상기 물 공급박스(46a)의 상부 개방된 부분을 덮는 뚜껑(46d)으로 이루어진다.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46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41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supported on each of the crosspieces 44 and 45. In one embodiment of the chamber 46, the upper portion is An open rectangular water supply box 46a, and a water supply hole 46b formed to supply water to the beads 4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rear side rail 44 of the water supply box 46a; A water supply pipe 46c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hole 46b along an inner length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box 46a and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hole 46b in a spray form; The lid 46d covers an upper open portion of the water supply box 46a.

그리고 상기 물 공급박스(46a)의 바닥 면은, 상기 후방가로대(44)와, 전방가로대(45)의 사이에 긴밀히 끼워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물 공급구멍(46b)이 형성된 하부결합부(46a-1)와, 상기 후방가로대(44)와, 전방가로대(45)의 상면에 얹혀지며 지지되는 단턱부(46a-2)와, 상부 4방 모서리가 상기 양 측판(41a)의 고정편(41c)에 수용되어 지지되는 상향 수직부(46a-3)를 갖는'

Figure 112018131744980-pat00001
'자 형태로 형성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box 46a is tightly fitted and fixed between the rear side stand 44 and the front side stand 45, and the bottom coupling portion 46a- has the water supply hole 46b formed therein. 1), the rear side stand 44, the stepped portion 46a-2 which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ide stand 45, and the upper four corners of the fixing pieces 41c of the side plates 41a. Having an upright vertical portion 46a-3 received and supported therein '
Figure 112018131744980-pat00001
Is formed in the shape of '

상기 물 공급박스(46a)의 바닥 면 구조를 상기와 같이 하는 이유는, 챔버(46)의 하부를 틀체(41)의 상부가 안전하고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bottom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box 46a is as described above is to securely and securely secure the lower part of the chamber 46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41.

상기 물 공급구멍(46b)으로 물을 스프레이 형태로 공급하는 이유는, 습식필터(40)의 구슬(43)로 공급되는 물이 물줄기를 이루지 않고 골고루 퍼져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고, 이와 같이 물이 스프레이 형태로 골고루 퍼져 공급되면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구슬(43)과 구슬(43)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수분의 기화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물이 제거하여 청정한 공기는 물론 수분의 가습효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The reason for supplying water in the form of a spray to the water supply hole 46b is to allow the water supplied to the beads 43 of the wet filter 40 to be spread evenly without forming a stream of water. If it is evenly spread in the form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30 passes between the beads 43 and 43 to increase the evaporation efficiency of the w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foreign matters supplied from the blower 30 By removing the clean air as well as increasing the humidification efficiency of moisture.

상기와 같이 수분의 기화 효율을 높이고 공기의 이물질 제거 효율이 높아야 배출구(52)로 배출되는 가습공기가 실내를 쾌적하게 조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humidification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52 must be mad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vaporization of moisture and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본 발명의 물받이(47)는, 상기 틀체(41)의 하부에 기밀성이 유지되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슬(43)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받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물받이(47)를 틀체(41)의 하부에 기밀성이 유지되게 연결 설치하는 이유는,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물받이(47)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써, 상기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물받이(47)로 들어가면 물받이(47)의 물이 출렁이기 때문에 볼탑밸브(71)의 작동을 불안전하게 하여 오작동을 유발시킴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drip tray 47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ld 41 to maintain airtightness and serves to receiv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beads 43. The reason why the connec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airtight is to prevent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30 from being supplied to the drip tray 47,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30 enters the drip tray 47. This is to prevent this by causing the malfunction of the ball-top valve 71 because the water of the drip 47 is rocking, causing the malfunction.

상기 물받이(47)의 일측단에는 물 저장부(70)가 형성되어 물받이(47)의 물을 받아 수용하며, 상기 물 저장부(70)에 수용된 물은 볼탑밸브(71)의 작동에 의해 물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외부의 물을 보충하고 물받이(47)의 물이 적정수위를 유지할 경우에는 물받이의 물을 펌프(72)가 펌핑하여 챔버(46)으로 공급한다.A water reservoir 7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rip 47 to receive and receive the water of the drip 47,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servoir 70 is 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ball top valve 71. If the amount is small, the external water is replenished, and when the water in the drip tray 47 maintains the proper level, the water in the drip tray 72 is pumped to supply the chamber 46.

상기 습식필터(40)를 흐르는 물은 기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 저장부(70)의 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적으로 적어지고 그때마다 볼탑밸브(71)를 통하여 외부 물을 보충한다.Since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et filter 40 is vaporized,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unit 70 gradually decreases as time passes and supplements the external water through the ball top valve 71 each time.

상기 물 저장부(70)의 상부 일 측에는 상기 물받이(47)의 하부 일 측을 지지하며 받쳐주는 받침 편(70a)이 연장 형성되고, 그 받침 편(70a)은 상기 물받이(47) 쪽에서 물 저장부(70) 쪽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70b)을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물받이(47)의 물을 물 저장부(70)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An upper side of the water storage unit 7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iece 70a that supports and supports the lower one side of the drip tray 47, and the support piece 70a stores water in the drip tray 47 side. An inclined surface 70b having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portion 70 is formed in order to allow the water of the drip tray 47 to proceed easily and quickly to the water storage portion 70.

또한, 상기 블로워(30)가 설치되는 상기 틀체(41)의 후면에는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필터(80)를 틀체(41)로부터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이물질은 걸러주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blower 3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41 in which the blower 30 is installed so as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filter 80 from the frame 41 so as to filter foreign matters from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30. The foreign material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was filtered out.

또 상기 틀체(41)의 내부 양측에는 일 측단이 상기 구획 판(20)과 연결 설치되어 습식필터(4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 함과 동시에 습식필터(40)의 양 측면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판(90)이 설치되고, 상기 양 지지판(9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습식필터(40)의 양측 하부 일부를 수용하며 받쳐주는'∪'자형 받침부(91)가 형성되며, 상기 양 지지판(9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습식필터(40)의 양측 상부 일부를 수용하며 잡아주는 결합부(92)를 형성시켜 습식필터(40)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one side end of the frame 41 is connected to the partition plate 20 to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wet filter 40 to the front and at the same time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wet filter 40. The support plate 90 is installed,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oth support plate 90 is formed of a '∪' shaped support portion 91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both lower portions of the wet filter 40, the both support plates The upper both sides of the (90) was formed to securely and firmly support the wet filter (40) by forming a coupling portion (92) to receive and hold the upp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wet filter (40).

상기 습식필터(40)는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와 마찰을 일으키기 전방으로 밀리는 작용을 함으로 상기 습식필터(40)는 상기 받침부(91)와 결합부(92)에 의해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진다.The wet filter 40 is pushed forward to cause friction with the high-pressur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30, the wet filter 40 is secured by the support portion 91 and the coupling portion 92 Firmly fix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습식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실내공기의 정화효율을 높이고, 그와 아울러 가습 효율을 극대화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며, 물받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물받이에 받아진 물의 수위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볼탑밸브의 오류 발생을 방지하고, 습식필터에 충전되는 구슬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하여 가습필터에서 발생하는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t indoor ai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wet filter to improv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indoor air, and also maximizes the humidification efficiency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It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drip tray to accurately measure the level of water received in the drip tray to prevent the error of the ball top valve and to prevent the growth of bacteria generated in the humidification filter by using synthetic material of beads filled in the wet filter. There is an advantage.

10 : 본체 20 : 구획 판
30 : 블로워 40 : 습식필터
41 : 틀체 41a : 양 측판
41b : 바닥면 41c : 고정편
41d : 배수 홀 41e : 레일
42 : 망체 42a : 절곡 편
43 : 구슬 44 : 후방가로대
45 : 전방가로대 46 : 챔버
46a : 물 공급박스 46a-1 : 하부결합부
46a-2 : 단턱부 46a-3 : 수직부
46b : 물 공급구멍 46c : 물 공급 관
46d : 뚜껑 47 : 물받이
47a : 끼움 편 47b : 배수 홀
50 : 전면커버 60 : 후방커버
70 : 물 저장부 70a : 받침 편
70b : 경사면 71 : 볼탑밸브
72 : 펌프 80 : 필터
90 : 지지판 91 : 받침부
92 : 결합부
10: main body 20: partition plate
30: blower 40: wet filter
41: frame 41a: both side plates
41b: Bottom surface 41c: Fixed piece
41d: drain hole 41e: rail
42: mesh 42a: bending piece
43: ball 44: the rear stand
45: front side 46: chamber
46a: water supply box 46a-1: lower coupling portion
46a-2: stepped portion 46a-3: vertical portion
46b: water supply hole 46c: water supply pipe
46d: lid 47: drip tray
47a: fitting piece 47b: drain hole
50: front cover 60: rear cover
70: water reservoir 70a: backing piece
70b: inclined surface 71: ball top valve
72: pump 80: filter
90: support plate 91: support portion
92: coupling part

Claims (8)

내부를 양분하는 구획 판(20)이 설치되고, 그 구획 판의 일 측에는 블로워(30)를 타 측에는 습식필터(40)를 설치되며, 하부에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전면커버(50)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후방커버(60)를 설치하여 된 본체(10)를 마련하되, 상기 습식필터(40)는 양 측판(41a) 및 바닥면(41b)의 가장자리에 고정편(41c)이 90°절곡되게 형성되고 전·후방 및 상부는 개방되며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배수 홀(41d)을 형성시켜 된 '∪'형의 틀체(41)로 이루어지고, 상기 틀체의 내부에는 그 틀체의 내부 공간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망체(42)가 안착되며, 상기 망체의 내부에는 구슬(43)이 가득 수용되고, 상기 틀체의 상부 후방과 전방 상부에는 'ㄱ'자형 후방가로대(44)와, 'ㄱ'자형 전방가로대(45)가 설치되며, 상기 틀체의 상부에는 구슬로 물을 공급하는 챔버(46)가 설치되고 상기 틀체의 하부에 는 물받이(47)가 설치되며, 상기 물받이의 일측에는 물 저장부(70)가 형성되고, 상기 물 저장부에는 볼탑밸브(71)와, 그 볼탑밸브의 작동에 따라 작동되어 챔버로 공급하는 펌프(72)를 설치하여 된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슬(43)은, 물이 스며들지 않고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세균증식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ㄱ'자형 전방가로대(45)는,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챔버(46)에서 망체(42)에 수용된 구슬(43)로 공급되는 챔버(46)와 구슬(43)의 상부 사이로 낙하되는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ㄱ'자형 후방가로대(44) 보다 폭이 2배 이상 넓게 형성되고,
상기 틀체(41)의 하부와 물받이(47)의 결합구조는, 물받이(47)를 틀체(41)의 하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결합하도록 상기 틀체(41)의 바닥면(41b) 하부 양측 가장자리에는 레일(41e)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47)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레일에 끼워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끼움 편(47a)이 형성되며.
물 저장부(70)는, 물받이(47)의 일 측단과 안전하고 견고하게 연결 설치하기 위하여 물 저장부(70)의 상부 일 측에 상기 물받이(47)의 하부 일 측을 지지하며 받쳐주는 받침 편(70a)이 연장 형성되고, 그 받침 편은 상기 물받이(47) 쪽에서 물 저장부(70) 쪽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70b)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47)의 일측 하부에는 블로워(30)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물 저장부(7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물 저장부(70)와 연통하는 배수 홀(47b)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46)의 물 공급박스(46a)의 바닥 면은, 상기 후방가로대(44)와, 전방가로대(45)의 사이에 긴밀히 끼워 결합되어 고정되며 물 공급구멍(46b)이 형성된 하부결합부(46a-1)와, 상기 후방가로대(44)와, 전방가로대(45)의 상면에 얹혀지며 지지되는 단턱부(46a-2)와, 상부 4방 모서리가 상기 양 측판(41a)의 고정편(41c)에 수용되어 지지되는 상향 수직부(46a-3)를 갖는'
Figure 112019502739392-pat00014
'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A partition plate 20 for dividing the inside is installed, a blower 3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a wet filter 40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and a front cover 50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at the lower part thereof. In the rear, a main body 10 having a rear cover 60 is provided, but the wet filter 40 has a fixing piece 41c bent by 90 ° at the edges of both side plates 41a and the bottom surface 41b.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및' shaped frame 41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41d) in the bottom, front, rear and the top is open, the interior of the frame to match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The mesh 42 formed in the shape to be seated, the interior of the mesh is full of beads 43 are accommodated, the upper rear and front upper portion of the frame 'b' shaped rear side rail 44 and 'b' shaped The front side stand 45 is installed, the chamber 46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is installed And a drip tray 47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ame body, a water storage unit 7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p tray, the water storage un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ll top valve 71 and the ball top valve In the wet indoor air purifier provided with a pump 72 for supplying the chamber,
The beads 43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that prevents bacterial growth by quickly drying without water infiltration,
The 'a' shaped front rail stand 45, the chamber 46 and the beads 43 are supplied to the beads 43 accommodated in the mesh 42 in the chamber 46 by the wind supplied from the blower (30) The width is formed at least two times wider than the 'b'-shaped rear side rail 44 to prevent water falling between the upper portio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frame 41 and the drip tray 47 has rails at both bottom edges of the bottom surface 41b of the frame 41 so that the drip tray 47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rame 41. 41e are formed, respectively, and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drip tray 47 are formed with fitting pieces 47a which are fitted to the rail and slide.
The water reservoir 70 supports and supports the lower one side of the drip tray 47 on the upper one side of the water reservoir 70 in order to safely and firmly connect with one side end of the drip tray 47. A piece 70a is formed to extend, and the supporting piec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70b having a downward slope from the drip tray 47 toward the water storage unit 70.
A drain hole 47b is formed at one lower portion of the drip tray 47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torage unit 70 so that the wind supplied from the blower 30 does not affect the water storage unit 70.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box 46a of the chamber 46 is tightly fitted and fixed between the rear side rail 44 and the front side rail 45 and has a water supply hole 46b formed therein. 46a-1, the rear side stand 44, the stepped portion 46a-2 which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ide stand 45, and the upper four corners of the fixing pieces of the side plates 41a. Having an upward vertical portion 46a-3 received and supported by 41c.
Figure 112019502739392-pat00014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42)의 양 측면 4방 가장자리는, 상기 양 측판(41a)의 가장자리에 90°절곡된 고정편(41c)과 면 접촉되어 고정되는 절곡 편(42a)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ur side edges of both sides of the mesh 42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side plates 41a to form a bending piece 42a which is fix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xing piece 41c bent at 90 °. Wet indoor air clean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30)가 설치되는 상기 틀체(41)의 후면에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80)가 틀체(41)로부터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80)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detachably coupled from the frame (41) on the rear of the frame (41) on which the blower (30)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41)의 내부 양측에는 일 측단이 상기 구획 판(20)과 연결 설치되어 습식필터(4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 함과 동시에 습식필터(40)의 양 측면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판(90)이 설치되고, 상기 양 지지판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습식필터(40)의 양측 하부 일부를 수용하며 받쳐주는'∪'자형 받침부(91)가 형성되며, 상기 양 지지판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습식필터(40)의 양측 상부 일부를 수용하며 잡아주는 결합부(92)를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end of the frame 41 is connected to the partition plate 20 to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wet filter 40 to the front and to fix and support both sides of the wet filter 40. Support plate 90 is installed,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oth support plate is formed with a '∪' shaped receiving portion 91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wet filter 40, the upper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Wet indoor ai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92 is formed to receive and hold the upp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wet filter (40).
KR1020180172259A 2018-12-28 2018-12-28 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KR1019983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59A KR101998337B1 (en) 2018-12-28 2018-12-28 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59A KR101998337B1 (en) 2018-12-28 2018-12-28 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337B1 true KR101998337B1 (en) 2019-10-01

Family

ID=6820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259A KR101998337B1 (en) 2018-12-28 2018-12-28 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3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149B1 (en) * 2019-10-23 2021-04-20 국토건설(주) Management System of Air In The Room
KR20220071467A (en) 2020-11-24 2022-05-31 배성로 Hybrid air purifier using wind turb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519Y1 (en) 2006-08-10 2006-10-23 주식회사 케스 Washing type air cleaner
KR100820149B1 (en) * 2006-11-22 2008-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Humidifying apparatus for air-conditioner and air-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0990679B1 (en) * 2010-03-29 2010-10-29 주식회사 지구 Vaporization humidifier type ceiling bury
KR20140000629A (en) 2012-06-25 2014-01-03 주식회사 에스티 Indoor air control system have humidification function
KR101433289B1 (en) * 2013-05-15 2014-08-25 주식회사 에스티 Vaporization humidifier type ceiling bury
KR101551328B1 (en) 2015-05-11 2015-09-18 오문섭 Water type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519Y1 (en) 2006-08-10 2006-10-23 주식회사 케스 Washing type air cleaner
KR100820149B1 (en) * 2006-11-22 2008-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Humidifying apparatus for air-conditioner and air-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0990679B1 (en) * 2010-03-29 2010-10-29 주식회사 지구 Vaporization humidifier type ceiling bury
KR20140000629A (en) 2012-06-25 2014-01-03 주식회사 에스티 Indoor air control system have humidification function
KR101433289B1 (en) * 2013-05-15 2014-08-25 주식회사 에스티 Vaporization humidifier type ceiling bury
KR101551328B1 (en) 2015-05-11 2015-09-18 오문섭 Water type air clea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149B1 (en) * 2019-10-23 2021-04-20 국토건설(주) Management System of Air In The Room
KR20220071467A (en) 2020-11-24 2022-05-31 배성로 Hybrid air purifier using wind turb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037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010559B1 (en) Air purifing apparatus with water
KR101628076B1 (en) a dust clearing device
KR101152015B1 (en) air purifing apparatus with water
KR101998337B1 (en) Clean equipment wet process interior air
KR101428212B1 (en) Air cleaning system
KR102040399B1 (en) Water Adsorption type Air Filter
KR101175158B1 (en) Multipurpose air purifier which has humidification and sacrifice function
KR101916886B1 (en) Humidifier
KR101565067B1 (en) Heat-transfer type air-circulation device having a humidifier function
JP6934595B2 (en) Humidifying device
KR101144602B1 (en) Humidifier combined an air cleaner
KR20080104482A (en) Air purifier by water cleaned
KR101999794B1 (en) Ventilation System of Indoor Air
KR101698318B1 (en)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101667951B1 (en) Multi-purpose air purifier
KR101018930B1 (en) Complex type air cleaner attached to ceiling
KR20090118337A (en) Roof mounting type complex humidifier
KR102106596B1 (en) Air cleaner
KR20190007772A (en) Air purifier
KR20210020587A (en)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using grass
KR200452696Y1 (en) Colander of humidifier
KR101743236B1 (en) One Bulgama an air purifier
KR102242149B1 (en) Management System of Air In The Room
KR102262223B1 (en) Air purifier using flush toilet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