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185B1 - 내진용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내진용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185B1
KR101998185B1 KR1020190021498A KR20190021498A KR101998185B1 KR 101998185 B1 KR101998185 B1 KR 101998185B1 KR 1020190021498 A KR1020190021498 A KR 1020190021498A KR 20190021498 A KR20190021498 A KR 20190021498A KR 101998185 B1 KR101998185 B1 KR 101998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expansion
anchor bolt
hol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상호
Original Assignee
양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상호 filed Critical 양상호
Priority to KR102019002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발전소 등의 주거 및 산업 플랜트의 구조에 사용되는 지반 또는 콘크리트 벽면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앵커볼트(10)에 대하여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져 부착시설물에 대한 결합력 및 결속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내진성이 부가되면서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빠르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내진성이 우수한 내진용 앵커볼트(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진용 앵커볼트(10)은 앵커볼트몸체(100), 밀착고정체(200) 및 너트부(300)로 구성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앵커볼트몸체(100)는 건물의 벽면(W) 내부에 형성된 천공(20)에 삽입되어 별도의 구조물이 결합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별도의 구조물은 내진용 앵커볼트(10)에 의해 결합 또는 연결되어 천공(20)에 삽입되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콘크리트 블럭 또는 교통안전시설물 등일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이 결합된 앵커볼트몸체(100)가 천공(20)에 삽입시 천공(20)에 삽입된 앵커볼트몸체(100)가 견고히 천공(20) 내에서 고정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밀착고정체(200)와 너트부(300)가 앵커볼트몸체(100)에 결합되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내진용 앵커볼트{ANCHOR BOLT FOR EARTHQUAKE-PROOF}
본 발명은 내진용 앵커볼트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발전소 등의 주거 및 산업 플랜트의 구조에 사용되는 지반 또는 콘크리트 벽면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앵커볼트에 대하여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져 부착시설물에 대한 결합력 및 결속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내진성이 부가되면서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빠르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내진성이 우수한 내진용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지진 등에 의한 지반의 흔들림에 의해 흔들림방지를 위해 부착시설물을 콘크리트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내진 앵커볼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콘크리트에 드릴을 이용하여 드릴링으로 천공한 다음, 앵커볼트를 콘크리트 내부에 형성된 천공홀에 부착한다.
상기 부착시설물은 슬라브와 같은 콘크리트에 배관 등과 같은 건물의 중요 시설물을 콘크리트에 고정하는 배관 등의 지지체와 같은 구조물로서,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은 이후에 내진 앵커볼트를 삽입하여 내진 앵커볼트를 조여서 콘크리트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체에 시설물 등의 시설물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내진 앵커볼트에 부착시설물 또는 부착시설물의 지지체를 고정함으로써 지지체 등으로 시설물 등의 시설물을 콘크리트에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벽면에 구멍을 뚫어 다시 빠질 수 없도록 하여 시설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앵커 볼트가 개발되었는데 종래의 앵커볼트는 구조물이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일단부에 그 직경이 넓어지는 확장부와,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확장부의 하단부에 안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상기 확장부에 밀려 케이스의 직경을 확장하는 절개부로 구성되어 상기 벽면에 천공된 구멍으로 삽입되는 케이스를 확장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기술이다.
이에, 근래에 들어 불의 고리의 지진활동이 활발해진 가운데 우리나라 그리고 근접한 일본에서도 많은 지진이 발생되고 있고 최근에는 경주, 포항 및 일본과 근접한 부산 및 포항 등의 경남권 지역의 시민들은 직접 그 진동을 감지하여 전국민이 공포가 확산되고 있어 건축물의 내진설계가 매우 필요한 실정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내진기능을 가지는 앵커볼트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기술은 스프링의 길이방향 즉, 축심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외 좌우방향으로도 유동되어 내진성을 가지고 있다 하나, 이 기술은 지진의 발생시 연결된 구조물을 좌우로 흔들어 오히려 설치된 구조물의 이탈을 유도하거나 연결된 볼트봉을 부러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3841호(발명의 명칭 : 내진용 앵커볼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1270호(발명의 명칭 : 내진용 스프링 앙카볼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앵커볼트몸체를 외경이 다른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로 구분하여 상기 제1볼트부에서 확관되면서 상호 이격되게 대칭되는 확관소켓을 결합하면서 상호 확관소켓의 내측에 확관소켓의 확관을 유도하면서 완충역할을 하는 확관유도완충부재를 결합하며, 상기 제2볼트부에 체결되어 확관소켓을 이동 및 확관유도완충부를 밀착하여 확관을 진행하도록 너트를 채워 벽면의 천공 내에서 면밀히 삽입될 뿐만 아니라 천공 내에서 견고한 결합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내진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내진용 앵커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W) 내부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어 구조물이 결합 또는 연결된 앵커볼트몸체와 상기 앵커볼트몸체에 체결되어 천공 내주면을 밀착 고정하는 밀착고정체로 구성되는 내진용 앵커볼트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몸체는 벽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머리부가 상단에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정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의 제1볼트부와 상기 제1볼트부 하부에 연결되어 제1볼트부의 외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거나 동일한 외경을 가지면서 외주면에 역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의 제2볼트부로 구분되고,
상기 밀착고정체는, 상기 제1, 2볼트부로 각각 체결되어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서로 상하 대칭으로 체결되며, 일측에 제1볼트부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공과 타측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외주면에 내부로 내통되면서 타측 단부까지 절개된 가로방향의 절개공이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내부로 내통되면서 타측 단부까지 절개된 가로방향의 절개부가 다수 개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등분된 다수 개의 확관편이 형성되는 한 쌍의 확관소켓;과,
상기 제1볼트부에 체결된 상측의 확관소켓과 제2볼트부에 체결된 하측의 확관소켓 사이에 마련되어 결속되며, 상기 상측 확관소켓의 수용부와 하측 확관소켓의 수용부에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어 서로 상하 대칭으로 결속되며 타측이 개방 및 내부로 단속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단속홈에 내통되도록 일측 중앙에 제1, 2볼트부가 결속되도록 제1, 2볼트부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 결속공이 형성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 타측 외주단에 일면에서 돌출되어 확관소켓의 절개공을 결속되어 절개공의 위치 및 수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확관유도부와 상기 제1, 2볼트부에 결속되면서 제1볼트부에 결속된 상측의 확관유도부 밀착부와 제2볼트부에 하측의 확관유도부 밀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부 및 하부가 대응되는 확관유도부의 단속홈에 수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확관유도완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볼트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제2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부로 이루어진 내진용 앵커볼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상기 확관소켓의 수용부 내경이 볼트공이 위치한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면서 확관편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때 확관유도부의 밀착부 외주단이 수용부의 내경이 최대로 큰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진용 앵커볼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확관소켓의 절개공 폭이 차단된 절개공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폭을 가지며, 이때 확관유도부의 끼움돌기가 확관소켓의 타측 단부에 절개된 절개공에 밀착되는 내진용 앵커볼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확관유도부와 탄성체가 설치되지 않고 동일한 외경을 가진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로 구성되는 일체의 앵커볼트몸체에 체결된 상측 및 하측 확관소켓의 절개공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의 절개공만이 형성되면서 마주하는 한 쌍의 확관편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볼트몸체의 제1, 2볼트부 일체 외주면 상하 길이방향으로 단차진 가이드홈이 서로 대면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부에 체결된 상측의 확관소켓과 제2볼트부에 체결된 하측의 확관소켓 사이에 마련되어 제1, 2볼트부를 가로지르면서 그 외주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커버하면서 각각의 상부는 상측 확관소켓의 수용부로 인입 및 각각의 하부는 하측 확관소켓의 수용부로 인입되면서 제1, 2볼트부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반구형의 확관캡이 제1, 2볼트부에 커버시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이때 상기 확관캡의 일측단 길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2볼트부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내측가이드돌기와 타측단 길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확관소켓의 절개공에 결속되는 외측가이드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가이드돌기와 외측가이드돌기가 좌측 확관캡과 우측 확관캡의 상호 전후 대칭으로 배치되는 내진용 앵커볼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확관소켓의 절개공 폭이 차단된 절개공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폭을 가지며, 이때 확관캡의 외측가이드돌기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확관소켓의 타측 단부에 절개된 절개공에 밀착되는 내진용 앵커볼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부를 결속하며, 상기 너트부의 외주면 육각형태에 대응되도록 상부 중앙에서 내부의 길이로 형성되는 너트결속공이 형성되면서 외주면이 천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보강체가 구비되는 내진용 앵커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진용 앵커볼트의 앵커볼트몸체에 결합되는 밀착고정체에 의해 벽면의 천공 내주면을 긴밀히 밀착하여 이탈을 방지하며, 밀착고정체의 탄성체가 앵커볼트몸체를 지탱하게 됨으로서 지진 등으로 인해 시설물이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내진 앵커에 전달되는 상하 및 좌우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의 시공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정면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단면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의 전체적인 형태를 결합하는 분리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에서 단차진 제1, 2볼트부를 가진 앵커볼트몸체의 정면 도면(a), 돌출탭을 경계로 제1, 2볼트부를 가진 앵커볼트몸체 정면 도면(b) 및 가이드홈을 형성한 앵커볼트몸체의 정면 도면(c).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에서 상측 확관소켓의 사시 도면(a) 및 단면 도면(b) 그리고 하측 확관소켓의 사시 도면(c) 및 단면 도면(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에서 상측 확관유도부, 탄성체 및 하측 확관유도부의 결합 구조를 가진 확관유도완충부재의 분리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에서 탄성체의 기본 정면 도면(a)과 중앙 외주면이 배부름 형태를 가진 탄성체의 정면 도면(b).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에서 확관유도부의 사시 도면(a)과 단면 도면(b).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에서 확관캡이 구비된 내진용 앵커볼트의 단면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에서 상/하측 확관소켓 사이에 좌/우측 확관캡이 결합되는 분리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에서 앵커볼트몸체의 가이드홈에 좌/우측 확관캡이 결합되는 분리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에서 확관캡의 사시 도면(a)과 단면 도면(b).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앵커볼트에서 너트부로 보강체가 결합되는 분리 도면.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W) 내부에 형성된 천공(20)에 삽입되어 구조물이 결합 또는 연결된 앵커볼트몸체(100)와 상기 앵커볼트몸체(100)에 체결되어 천공(20) 내주면을 밀착 고정하는 밀착고정체(200)로 구성되는 내진용 앵커볼트(10)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몸체(100)는 벽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머리부(111)가 상단에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정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의 제1볼트부(110a)와 상기 제1볼트부(110a) 하부에 연결되어 제1볼트부(110a)의 외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거나 동일한 외경을 가지면서 외주면에 역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의 제2볼트부(110b)로 구분되고,
상기 밀착고정체(200)는, 상기 제1, 2볼트부(110a)(110b)로 각각 체결되어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서로 상하 대칭으로 체결되며, 일측에 제1볼트부(110a)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공(211)과 타측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12)가 형성된 외주면에 내부로 내통되면서 타측 단부까지 절개된 가로방향의 절개공(214)이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등분된 다수 개의 확관편(215)이 형성되는 한 쌍의 확관소켓(210a)(210b);과,
상기 제1볼트부(110a)에 체결된 상측의 확관소켓(210a)과 제2볼트부(110b)에 체결된 하측의 확관소켓(210b) 사이에 마련되어 결속되며, 상기 상측 확관소켓(210a)의 수용부(212)와 하측 확관소켓(210b)의 수용부(212)에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어 서로 상하 대칭으로 결속되며 타측이 개방 및 내부로 단속홈(221-2)이 형성되면서 상기 단속홈(221-2)에 내통되도록 일측 중앙에 제1, 2볼트부(110a)(110b)가 결속되도록 제1, 2볼트부(110a)(110b)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 결속공(221-3)이 형성되는 밀착부(221-1)와 상기 밀착부(221-1) 타측 외주단에 일면에서 돌출되어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을 결속되어 절개공(214)의 위치 및 수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끼움돌기(221-4)가 형성되는 한 쌍의 확관유도부(221a)(221b)와 상기 제1, 2볼트부(110a)(110b)에 결속되면서 제1볼트부(110a)에 결속된 상측의 확관유도부(221a) 밀착부(221-1)와 제2볼트부(110b)에 하측의 확관유도부(221b) 밀착부(221-4) 사이에 마련되어 상부 및 하부가 대응되는 확관유도부(221a)(221b)의 단속홈(221-2)에 수용되는 탄성체(222)를 포함하는 확관유도완충부재(220);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볼트부(110b)에 나사 결합되도록 제2볼트부(110b)에 체결되는 너트부(300)로 이루어진 내진용 앵커볼트(10)를 제공한다.
먼저,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진용 앵커볼트(10)는 앵커볼트몸체(100), 밀착고정체(200) 및 너트부(300)로 구성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앵커볼트몸체(100)는 건물의 벽면(W) 내부에 형성된 천공(20)에 삽입되어 별도의 구조물이 결합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별도의 구조물은 내진용 앵커볼트(10)에 의해 결합 또는 연결되어 천공(20)에 삽입되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콘크리트 블럭 또는 교통안전시설물 등일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이 결합된 앵커볼트몸체(100)가 천공(20)에 삽입시 천공(20)에 삽입된 앵커볼트몸체(100)가 견고히 천공(20) 내에서 고정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밀착고정체(200)와 너트부(300)가 앵커볼트몸체(100)에 결합된다.
도 3, 도 4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몸체(100)는 상부의 제1볼트부(110a)와 하부의 제2볼트부(110b)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볼트부(110a)는 상단에 육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진 머리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부(110a) 하단에 연결되어 소정의 수직길이로 연장되는 제2볼트부(110b)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볼트부(110a)(110b)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볼트부(110b)의 외경은 제1볼트부(110a)의 외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거나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2볼트부(110a)(110b)가 천공(20)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제1볼트부(110a)의 머리부(111)는 천공(20)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밀착고정체(200)는 제1, 2볼트부(110a)(110b)로 체결되는 상호 상하대칭형의 이격된 한 쌍의 확관소켓(210a)(210b)과 상기 한 쌍의 확관소켓(210a)(210b) 사이에 배치되는 확관유도완충부재(220)로 구성되며, 상기 확관소켓(210a)(210b)은 원통형의 형태로서 이격된 한 쌍이 상호 대칭으로 제1볼트부(110a) 및 제2볼트부(110b)로 각각 체결되어 각각의 수용부(212)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이때 제1볼트부(110a)로 상측의 확관소켓(210a)이 체결 그리고 하측의 확관소켓(210b)이 제2볼트부(110b)에 체결하게 된다.
상기 상측에 위치한 확관소켓(210a)은 일측 즉, 상면에 제1볼트부(110a)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면서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공(211)이 형성되며, 타측인 하면은 개방되면서 내부로 수용부(212)가 형성되어 볼트공(211)을 연통하며, 이때 상기 수용부(212)는 확관소켓(210a)이 제1볼트부(110a)에 체결시 제1볼트부(110a)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의 내경 즉, 볼트공(211)의 내경에 비해 큰 내경을 가진 수용부(212)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212) 둘레를 커버하는 외주면은 외주면의 수직 길이방향으로 수용부(212)로 내통되도록 절개된 절개공(214)이 외주면 전체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가 형성되며, 이때 확관소켓(210a)의 외주면 절개공(214)으로 구획된 등간격의 다수 개의 확관편(213)이 외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에 위치한 확관소켓(210b)은 상측에 위치한 확관소켓(210a)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상기 제1볼트부(110a)의 외경과 차이를 가진 제2볼트부(210b)일 경우 하측인 하면에 형성된 볼트공(211)이 제2볼트부(210b)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 볼트공(21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볼트부(110a)에 형성된 나사선과 제2볼트부(110b)에 형성된 나사선이 서로 반대로 나사선이 형성 즉, 제1볼트부(110a)의 나사선이 정방향의 나사선이라면 제2볼트부(110b)의 나사선이 역방향의 나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2볼트부(110a)(110b) 각각에 체결되는 확관소켓(210a)(210b)의 볼트공(211)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이 상호 치합함에 따라 제1, 2볼트부(110a)(110b)에 대응되는 확관소켓(210a)(210b)의 나사선으로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제1볼트부(110a)와 제2볼트부(110b)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 나사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제1, 2볼트부(110a)(110b)에 체결되는 확관소켓(210a)(210b)의 볼트공(211)에 대응되는 나사선으로 치합 체결되게 된다.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제1, 2볼트부(110a0(110b)의 나사선이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짐으로서 일체의 앵커볼트몸체(10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시 제1, 2볼트부(110a)(110b)에 각각 체결된 확관소켓(210a)(210b)이 서로 간격이 좁아짐 또는 멀어짐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제1볼트부(110a)와 제2볼트부(110b) 각각의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진 나사선이 형성되면서 제1볼트부(110a)와 제2볼트부(110b) 외경이 동일한 외경을 가지되, 상기 제1볼트부(110a)와 제2볼트부(110b)가 경계가 되는 외주에 단차진 돌출탭(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확관소켓(210a)(210b)의 볼트공(211)이 형성된 외주면이 육각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천공(20)에 삽입시 천공(20) 내주면을 긴밀히 밀착 및 단속하여 앵커볼트몸체(100)의 회전시 상기 확관소켓(210a)(210b)은 천공(20)에 밀착되어 회전이 제한되면서 천공(20)의 상하이동만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도 5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확관유도완충부재(220)는 상측의 확관소켓(210a)과 하측의 확관소켓(210b) 사이에 배치되면서 각각의 확관소켓(210a)(210b) 수용부(212)로 수용되며, 서로 상하대칭으로 이격된 한 쌍의 확관유도부(221a)(221b)와 상기 확관유도부(221a)(221b)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222)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확관유도부(221a)(221b)는 상측 확관소켓(210a)의 수용부(212)에 상측 확관유도부(221a)가 수용 그리고 하측 확관소켓(210b)의 수용부에 하측 확관유도부(221b)가 수용되어 각각의 단속홈(221-2)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확관유도부(221a)(221b)는 원통형의 밀착부(221-1)와 상기 밀착부(221-1) 하단 외주에 다수 개의 끼움돌기(221-4)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의 확관유도부(221a)를 구성하는 밀착부(221-1)는 타측이 하부가 개방되면서 내부로 단속홈(221-2)이 형성되며, 상기 단속홈(221-2)은 제1볼트부(110a)의 외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가지면서 수용부(212)의 내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밀착부(221-1)의 외주면이 상측 확관소켓(210a)의 수용부(212)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수용부(212)에서 상하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밀착부(221-1)의 일측인 상부 중앙에 단속홈(221-2)으로 내통되면서 제1볼트부(110a)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 결속공(221-3)이 형성되어 제1볼트부(110a)를 삽입 결속하며, 상기 끼움돌기(221-4)는 밀착부(221-1)의 하부 외주단에 이격된 다수 개가 돌출형성되며, 이때 상기 끼움돌기(221-4)는 상측 확관소켓(210a)의 절개공(214)으로 삽입 결속하게 된다.
상기 하측의 확관유도부(221b)는 상측의 확관유도부(221a)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 상측 확관유도부(221a)와 상하대칭으로 배치되면서 제2볼트부(110b)에 삽입 결속되도록 제2볼트부(110b)에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 결속공(221-3)을 형성하며, 상기 하측 확관유도부(221b)를 구성하는 밀착부(221-1)의 단속홈(221-2)에 제2볼트부(110b)가 결속 배치되며, 상기 밀착부(221-1)의 외주면이 하측 확관소켓(210b)의 수용부(212)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수용부(212)에서 상하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밀착부(221-1)에 형성된 끼움돌기(22104)는 하측 확관소켓(210b)의 절개공(214)으로 삽입 결속하여 단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확관유도부(221a)(221b)의 높이는 확관소켓(210a)(210b)의 수용부(212) 높이에 비해 작은 높이 또는 동일한 높이를 가져 앵커볼트몸체(100)의 회전으로 확관소켓(210a)(210b) 및 확관유도부(221a)(221b)의 상하 이동시 확관소켓(210a)(210b)의 수용부(212)로 확관유도부(221a)(221b) 전체가 삽입되어 수용부(212)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결속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a)와 같은 상기 탄성체(222)는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이며, 상기 제1, 2볼트부(110a)(110b)에 결속되어 상측 확관유도부(221a)와 하측 확관유도부(221b) 사이에 마련되며, 이때 탄성체(222)의 상부는 상측 확관유도부(221a)의 단속홈(221-2)에 수용되면서 탄성체(222)의 하부는 하측 확관유도부(221b)의 단속홈(221-2)에 수용되어 밀착하게 된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은 상기 탄성체(222)의 중앙 외주면이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배부름형태를 가지되, 상기 돌출된 외주의 외경은 확관소켓(210a)(210b)의 수용부(212)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222)의 중앙 외주면의 외경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이며, 일예로 배부름형태를 가진 탄성체(222)를 가짐으로서 앵커볼트몸체(100)의 회전으로 상측 확관소켓(210a)과 하측 확관소켓(210b)이 상호 밀착되면서 확관편(213)이 외측으로 변형될 때 탄성체(222)가 압축되면서 탄성체(222)의 돌출된 외주가 외측으로 더욱 확장되면서 상측 및 하측 확관소켓(210a)(210b)의 확관편(213) 내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확관편(213)의 확관 변형력을 유도하여 천공(20) 내주면에 확관편(213)이 강하게 압박하도록 지지력을 강화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몸체(100)에 밀착고정체(200)를 결합 후 상기 앵커볼트몸체(100)의 제2볼트부(110b) 하부로부터 너트부(300)를 나사 결합하여 밀착고정체(200)가 앵커볼트몸체(100)로부터 이탈 및 결속력을 증대하게 된다.
이에, 상기 내진용 앵커볼트(10)가 천공(20)에 설치시 먼저, 앵커볼트몸체(100)에 상술한 밀착고정체(200) 및 너트부(300)를 결합 후 천공(20)에 삽입하며, 이때 천공(20) 내주면에 밀착고정체(200)의 상측 및 하측 확관소켓(210a)(210b) 외주면이 강하게 밀착되어 있으며, 이후 제1볼트부(110a)의 머리부(111)에 치합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앵커볼트몸체(100)를 회전하여 상측 확관소켓(210a)과 하측 확관소켓(210b) 사이가 상호 밀착시키며, 이때 앵커볼트몸체(100)를 더 회전시켜 상측 확관소켓(210a)의 확관편(213) 단부와 하측 확관소켓(210b) 확관편(213) 단부가 강한 압력으로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천공(20) 내주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되며, 동시에 상측 확관유도부(221a)와 하측 확관유도부(221b)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222)가 압축되면서 변형된 확관소켓(210a)(210b)의 지지력을 강화하여 천공(20) 내벽을 지속적으로 압박을 유도하게 되며, 또한 지반의 흔들림에 따른 진동이 앵커볼트(10)로 전달되어도 탄성체(222)가 진동을 완화 흡수함으로서 천공(20) 내주면과 확관소켓(210a)(210b) 간의 이격 및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앵커볼트몸체(10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확관소켓(210a)(210b)의 수용부(212) 내경이 볼트공(211)이 위치한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면서 확관편(213)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때 확관유도부(221a)(221b)의 밀착부(221-1) 외주단이 수용부(212)의 내경이 최대로 큰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진용 앵커볼트(10)를 제공한다.
상기 상측 확관소켓(210a) 및 하측 확관소켓(210b)이 각각 수용부(212)의 내경이 볼트공(211)이 위치한 내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내경의 경사도에 대응되도록 확관편(213)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때 확관유도부(221a)(221b)의 끼움돌기(221-4)가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에 끼워지면서 상기 끼움돌기(221-4)가 위치한 확관유도부(221a)(221b)의 외주단이 확관소켓(210a)(210b)의 수용부(212) 내경 중 최대로 큰 내경을 가진 수용부(212)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에, 상기 앵커볼트몸체(100)의 회전으로 상측 확관소켓(210a)과 하측 확관소켓(210b)의 확관편(213)이 압박하면서 외측으로 벌어져 천공(20) 내주면을 강하게 압박하는 동시에 탄성체(222)의 압축으로 확관소켓(210a)(210b) 수용부(212) 내주면을 확관수용부(221a)(221b)가 가압하여 확관편(213)의 확관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 폭이 차단된 절개공(214)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폭을 가지며, 이때 확관유도부(221a)(221b)의 끼움돌기(221-4)가 확관소켓(210a)(210b)의 타측 단부에 절개된 절개공(214)에 밀착되는 내진용 앵커볼트(10)를 제공한다.
상술한 동일한 수용부(212) 내경을 가진 확관소켓(210a)(210b) 또는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수용부(212) 내경을 확관소켓(210a)(210b)에 적용되어 확관편(213)과 확관편(213)을 구획하는 절개공(214)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짐으로서 상기 절개공(214)에 끼워지는 확관유도부(221a)(221b)의 끼움돌기(221-4)가 절개공(214)을 따라 이동되면서 확관편(213)의 확관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확관유도완충부재(220)의 확관유도부(221a)(221b) 대신에 확관캡(221c)(221d)을 설치하여 다음과 같은 내진용 앵커볼트를(10) 제공한다.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확관유도부(221a)(221b)와 탄성체(222)가 설치되지 않고 동일한 외경을 가진 제1볼트부(110a)와 제2볼트부(110b)로 구성되는 일체의 앵커볼트몸체(100)에 체결된 상측 및 하측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의 절개공(214)만이 형성되면서 마주하는 한 쌍의 확관편(213)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볼트몸체(100)의 제1, 2볼트부(110a)(110b) 일체 외주면 상하 길이방향으로 단차진 가이드홈(113)이 서로 대면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부(110a)에 체결된 상측의 확관소켓(210a)과 제2볼트부(110b)에 체결된 하측의 확관소켓(210b) 사이에 마련되어 제1, 2볼트부(110a)(110b)를 가로지르면서 그 외주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커버하면서 각각의 상부는 상측 확관소켓(210a)의 수용부(212)로 인입 및 각각의 하부는 하측 확관소켓(210b)의 수용부(212)로 인입되면서 제1, 2볼트부(110a)(110b)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반구형의 확관캡(221c)(221d)이 제1, 2볼트부(110a)(110b)에 커버시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이때 상기 확관캡(221c)(221d)의 일측단 길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2볼트부(110a)(110b)의 가이드홈(113)에 끼워지는 내측가이드돌기(221-5)와 타측단 길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에 결속되는 외측가이드돌기(221-6)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가이드돌기(221-5)와 외측가이드돌기(221-6)가 좌측 확관캡(221c)과 우측 확관캡(221d)의 상호 전후 대칭으로 배치되는 내진용 앵커볼트(10)를 제공한다.
먼저,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앵커볼트몸체(100)의 제1볼트부(110a)와 제2볼트부(110b)가 상호 동일한 외경을 가진 일체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볼트부(110a)에 체결되는 상측 확관소켓(210a)과 제2볼트부(110b)에 체결되는 하측 확관소켓(210b)에 있어 상기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면서 절개공(214)에 의해 구획되는 확관편(213)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아 상기 일체의 제1, 2볼트부(110a)(110b) 상하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서로 대면하는 가이드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확관캡(221c)(221d)은 탄성력을 가지며, 상측 확관소켓(210a)과 하측 확관소켓(210b) 사이에 형성된 일체의 제1, 2볼트부(110a)(110b) 외주면 양측에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각각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일체의 제1, 2볼트부(110a)(110b)를 양측을 커버시 제1, 2볼트부(110a)(110b)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수평단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일체의 제1, 2볼트부(110a)(110b) 양측 중 좌측에 좌측 확관캡(221c)과 우측에 우측 확관캡(221d)이 배치되게 되고, 이때 좌측 및 우측의 확산캡(221c)(221d) 상부가 상측 확관소켓(210a)의 수용부(212)에 밀착 수용 그리고 확산캡(221c)(221d) 하부가 하측 확산소켓(210b)의 수용부(212)로 밀착 수용된다.
상기 확산캡(221c)(221d)의 양측단 중 일측단에는 수직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가이드돌기(221-5)와 타측단에는 수직길이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가이드돌기(221-6)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가이드돌기(221-5)는 일체의 제1, 2볼트부(110a)(110b)에 형성된 가이드홈(113)에 결착되면서 외측가이드돌기(221-6)는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일체의 제1, 2볼트부(110a)(110b) 양측에 배치된 좌측 확관캡(221c)과 우측 확관캡(221d)이 커버시 좌측 확관캡(221c)의 내측가이드돌기(221-5)와 우측 확관캡(221d)의 외측가이드돌기(221-6)가 상호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반대로 좌측 확관캡(221c)의 외측가이드돌기(221-6)와 우측 확관캡(221d)의 내측가이드돌기(221-5)가 상호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삭제
이에, 상기 앵커볼트몸체(100)의 회전으로 상측 확관소켓(210a)과 하측 확관소켓(210b)이 상하 이동하려는 힘에 의해 확관캡(221c)(221d)의 외측가이드돌기(221-6)가 가이드홈(113)에 단속되면서 지지력에 의해 확관캡(221c)(221d)의 내측가이드돌기(221-5)가 가압력 및 확관력에 의해 확관소켓(210a)(210b)의 확관편(213)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때 제1, 2볼트부(110a)(110b)의 나사선 방향이 동일할 경우에 해당되며, 반대로 일체의 제1, 2볼트부(110a)(110b) 각각의 나사선 방향이 서로 다를 경우 확관편(213)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외측가이드돌기(221-6)에 대응되는 상측 확관소켓(210a) 및 하측 확관소켓(210b)의 절개공(214)에 밀착됨으로서 확관캡(221c)(221d)의 상측 및 하측이 서로 반대 방향의 힘이 전달되어 뒤틀림형태로 변형되면서 대응되는 확관소켓(210a)(210b)의 확관편(213)을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변형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 폭이 차단된 절개공(214)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폭을 가지며, 이때 확관캡(221c)(221d)의 외측가이드돌기(221-6)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확관소켓(210a)(210b)의 타측 단부에 절개된 절개공(214)에 밀착되는 내진용 앵커볼트(10)를 제공한다.
상기 일체의 제1, 2볼트부(110a)(110b)에 형성된 나사선의 방향이 서로 다를 경우 앵커볼트몸체(100)의 회전으로 상측 확관소켓(210a)과 하측 확관소켓(210b)이 상하 이동되며, 동시에 확관캡(221c)(221d)의 내측가이드돌기(221-5)가 제1, 2볼트부(110a)(110b)의 가이드홈(113)에 단속되어 가압하면서 확관소켓(210a)(210b)의 일부 이동에 대응되는 확관캡(221c)(221d)이 이동시 상기 확관캡(221c)(221d)의 외측가이드돌기(221-6)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확관소켓(210a)(210b) 절개공(214)의 좁은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확관편(213)의 확관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볼트부(110b)에 체결되는 너트부(300)를 결속하며, 상기 너트부(300)의 외주면 육각형태에 대응되도록 상부 중앙에서 내부의 길이로 형성되는 너트결속공(401)이 형성되면서 외주면이 천공(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보강체(400)가 구비되는 내진용 앵커볼트(10)를 제공한다.
상기 보강체(400)는 너트부(300)를 결속하면서 제2볼트부(110b)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 중앙에서 내부로 관통되는 수평단면이 육각인 너트결속공(401)이 형성되어 육각의 너트부(300)를 결속하며, 상기 천공(20)에 상기 내진용 앵커볼트(10)를 시공시 상기 보강체(400)가 천공(20) 하부에 박혀 천공(20) 내주면에 보강체(400)의 외주면이 강하게 밀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이때 앵커볼트몸체(100)의 회전시 너트부(300)도 동시에 회전되어 제2볼트부(110b)에 체결된 확관소켓(210b)의 하부를 강하게 밀착하도록 하며, 상기 보강체(400)의 외경은 확관소켓(210a)(201b)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내진용 앵커볼트 10 앵커볼트몸체 100 제1볼트부 110a
제2볼트부 110b 머리부 111 돌출탭 112
가이드홈 113 밀착고정체 200 확관소켓 210a, 210b
볼트공 211 수용부 212 확관편 213
절개공 214 확관유도완충부재 220 확관유도부 221a, 221b
밀착부 221-1 단속홈 221-2 결속공 221-3
끼움돌기 221-4 확관캡 221c, 221d 내측가이드돌기 221-5
외측가이드돌기 221-6 탄성체 222 너트부 300
보강체 400 너트결속공 401

Claims (8)

  1. 건물의 벽면(W) 내부에 형성된 천공(20)에 삽입되어 구조물이 결합 또는 연결된 앵커볼트몸체(100)와 상기 앵커볼트몸체(100)에 체결되어 천공(20) 내주면을 밀착 고정하는 밀착고정체(200)로 구성되는 내진용 앵커볼트(10)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몸체(100)는 벽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머리부(111)가 상단에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정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의 제1볼트부(110a)와 상기 제1볼트부(110a) 하부에 연결되어 제1볼트부(110a)의 외경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거나 동일한 외경을 가지면서 외주면에 역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의 제2볼트부(110b)로 구분되고,
    상기 밀착고정체(200)는, 상기 제1, 2볼트부(110a)(110b)로 각각 체결되어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서로 상하 대칭으로 체결되며, 일측에 제1볼트부(110a)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공(211)과 타측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12)가 형성된 외주면에 내부로 내통되면서 타측 단부까지 절개된 가로방향의 절개공(214)이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등분된 다수 개의 확관편(215)이 형성되는 한 쌍의 확관소켓(210a)(210b);과,
    상기 제1볼트부(110a)에 체결된 상측의 확관소켓(210a)과 제2볼트부(110b)에 체결된 하측의 확관소켓(210b) 사이에 마련되어 결속되며, 상기 상측 확관소켓(210a)의 수용부(212)와 하측 확관소켓(210b)의 수용부(212)에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어 서로 상하 대칭으로 결속되며 타측이 개방 및 내부로 단속홈(221-2)이 형성되면서 상기 단속홈(221-2)에 내통되도록 일측 중앙에 제1, 2볼트부(110a)(110b)가 결속되도록 제1, 2볼트부(110a)(110b)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 결속공(221-3)이 형성되는 밀착부(221-1)와 상기 밀착부(221-1) 타측 외주단에 일면에서 돌출되어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을 결속되어 절개공(214)의 위치 및 수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끼움돌기(221-4)가 형성되는 한 쌍의 확관유도부(221a)(221b)와 상기 제1, 2볼트부(110a)(110b)에 결속되면서 제1볼트부(110a)에 결속된 상측의 확관유도부(221a) 밀착부(221-1)와 제2볼트부(110b)에 하측의 확관유도부(221b) 밀착부(221-4) 사이에 마련되어 상부 및 하부가 대응되는 확관유도부(221a)(221b)의 단속홈(221-2)에 수용되는 탄성체(222)를 포함하는 확관유도완충부재(220);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볼트부(110b)에 나사 결합되도록 제2볼트부(110b)에 체결되는 너트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앵커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부(110a)와 제2볼트부(110b) 각각의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진 나사선이 형성되면서 제1볼트부(110a)와 제2볼트부(110b) 외경이 동일한 외경을 가지되,
    상기 제1볼트부(110a)와 제2볼트부(110b)가 경계가 되는 외주에 단차진 돌출탭(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앵커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소켓(210a)(210b)의 수용부(212) 내경이 볼트공(211)이 위치한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면서 확관편(213)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때 확관유도부(221a)(221b)의 밀착부(221-1) 외주단이 수용부(212)의 내경이 최대로 큰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앵커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 폭이 차단된 절개공(214)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폭을 가지며, 이때 확관유도부(221a)(221b)의 끼움돌기(221-4)가 확관소켓(210a)(210b)의 타측 단부에 절개된 절개공(214)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앵커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22)의 중앙 외주면이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배부름형태를 가지되, 상기 돌출된 외주의 외경은 확관소켓(210a)(210b)의 수용부(212)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앵커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유도부(221a)(221b)와 탄성체(222)가 설치되지 않고 동일한 외경을 가진 제1볼트부(110a)와 제2볼트부(110b)로 구성되는 일체의 앵커볼트몸체(100)에 체결된 상측 및 하측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의 절개공(214)만이 형성되면서 마주하는 한 쌍의 확관편(213)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볼트몸체(100)의 제1, 2볼트부(110a)(110b) 일체 외주면 상하 길이방향으로 단차진 가이드홈(113)이 서로 대면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부(110a)에 체결된 상측의 확관소켓(210a)과 제2볼트부(110b)에 체결된 하측의 확관소켓(210b) 사이에 마련되어 제1, 2볼트부(110a)(110b)를 가로지르면서 그 외주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커버하면서 각각의 상부는 상측 확관소켓(210a)의 수용부(212)로 인입 및 각각의 하부는 하측 확관소켓(210b)의 수용부(212)로 인입되면서 제1, 2볼트부(110a)(110b)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반구형의 확관캡(221c)(221d)이 제1, 2볼트부(110a)(110b)에 커버시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이때 상기 확관캡(221c)(221d)의 일측단 길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2볼트부(110a)(110b)의 가이드홈(113)에 끼워지는 내측가이드돌기(221-5)와 타측단 길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에 결속되는 외측가이드돌기(221-6)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가이드돌기(221-5)와 외측가이드돌기(221-6)가 좌측 확관캡(221c)과 우측 확관캡(221d)의 상호 전후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앵커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소켓(210a)(210b)의 절개공(214) 폭이 차단된 절개공(214)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폭을 가지며, 이때 확관캡(221c)(221d)의 외측가이드돌기(221-6) 상단 및 하단이 대응되는 확관소켓(210a)(210b)의 타측 단부에 절개된 절개공(214)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앵커볼트.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트부(110b)에 체결되는 너트부(300)를 결속하며, 상기 너트부(300)의 외주면 육각형태에 대응되도록 상부 중앙에서 내부의 길이로 형성되는 너트결속공(401)이 형성되면서 외주면이 천공(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보강체(4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앵커볼트.
KR1020190021498A 2019-02-24 2019-02-24 내진용 앵커볼트 KR101998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98A KR101998185B1 (ko) 2019-02-24 2019-02-24 내진용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98A KR101998185B1 (ko) 2019-02-24 2019-02-24 내진용 앵커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185B1 true KR101998185B1 (ko) 2019-07-09

Family

ID=6726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498A KR101998185B1 (ko) 2019-02-24 2019-02-24 내진용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1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62A (ko) * 2020-06-30 2022-01-06 장근영 플라스틱 제품 조립구조
KR20220128690A (ko) 2021-03-15 2022-09-22 김규혁 내진용 앵커볼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6211A (ja) * 1990-06-06 1992-02-17 Shinjiyou Seisakusho:Yugen ばね付きアンカーボルト
JPH0643034U (ja) * 1992-11-07 1994-06-07 義明 小柳 コンクリート用アンカー
JP2003227180A (ja) * 2002-01-31 2003-08-15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吊り金物ユニットおよびその設置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KR20050063667A (ko) *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 파워앙카 앵커볼트유닛
KR100963565B1 (ko) * 2009-09-25 2010-06-15 삼진스틸산업(주) 스프링 이용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20150065120A (ko) * 2013-12-04 2015-06-12 엠피텍(주) 앵커볼트 구조체
KR101643841B1 (ko) 2015-01-08 2016-07-28 김창겸 내진용 앵커볼트
KR101781270B1 (ko) 2015-11-20 2017-09-22 김대식 내진용 스프링 앙카볼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6211A (ja) * 1990-06-06 1992-02-17 Shinjiyou Seisakusho:Yugen ばね付きアンカーボルト
JPH0643034U (ja) * 1992-11-07 1994-06-07 義明 小柳 コンクリート用アンカー
JP2003227180A (ja) * 2002-01-31 2003-08-15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吊り金物ユニットおよびその設置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KR20050063667A (ko) *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 파워앙카 앵커볼트유닛
KR100963565B1 (ko) * 2009-09-25 2010-06-15 삼진스틸산업(주) 스프링 이용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20150065120A (ko) * 2013-12-04 2015-06-12 엠피텍(주) 앵커볼트 구조체
KR101643841B1 (ko) 2015-01-08 2016-07-28 김창겸 내진용 앵커볼트
KR101781270B1 (ko) 2015-11-20 2017-09-22 김대식 내진용 스프링 앙카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62A (ko) * 2020-06-30 2022-01-06 장근영 플라스틱 제품 조립구조
KR102378991B1 (ko) 2020-06-30 2022-03-28 장근영 플라스틱 제품 조립구조
KR20220128690A (ko) 2021-03-15 2022-09-22 김규혁 내진용 앵커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185B1 (ko) 내진용 앵커볼트
CA1039917A (en) Portable wall assembly
KR101770999B1 (ko) 콘크리트 건축물 고인장 철근 커플러
KR20110004645A (ko) 내진용 배관 행거
KR101896867B1 (ko) 방진부를 구비한 앵커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272272B1 (ko) 배관의 수축팽창을 흡수하는 내진형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20180020692A (ko) 배관용 내진 고무링 조립체
KR20070064065A (ko) 건축물의 층간 방음구조체를 이용한 난방용 배관 설치구조
KR20230033011A (ko) 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phc 파일 구조체
JP6284669B1 (ja) ボルト連結具
KR100574744B1 (ko) 관 이동조절 이음장치
KR20190098410A (ko) 방진가대용 스토퍼
KR100779183B1 (ko) 하수관 연결소켓
KR102487953B1 (ko) 도관 추락방지용 고정장치
KR20170128956A (ko) 내진 및 면진 기능을 갖는 배관 지지장치
KR20180013235A (ko) 수직유동형 내진용 인서트
KR200487183Y1 (ko) 내진 및 내화용 입상 파이프
KR20180013236A (ko) 수직유동형 내진용 스트롱 앵커볼트
KR20110045730A (ko) 배관 고정장치
KR100704248B1 (ko) 내진형 관 연결구
KR20190031842A (ko) 관통 파이프 커넥터
KR102464451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볼트 구조
KR200378956Y1 (ko) 새들 분수전
KR20180042875A (ko) 내진 설계형 이형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