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997B1 - 체중지지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체중지지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997B1
KR101997997B1 KR1020170170018A KR20170170018A KR101997997B1 KR 101997997 B1 KR101997997 B1 KR 101997997B1 KR 1020170170018 A KR1020170170018 A KR 1020170170018A KR 20170170018 A KR20170170018 A KR 20170170018A KR 101997997 B1 KR101997997 B1 KR 101997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height adjusting
coupled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260A (ko
Inventor
장우영
이순혁
이진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5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5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knee, leg or stump 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2003/0205Crutches with no pivoting movement during use, e.g. tri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지지 보조장치는, 발이 지면에 닿지 않게 다리가 안착되는 다리지지부; 바닥베이스와, 지면에 디딤시 발의 3점 보행을 구현하는 위치에서 바닥베이스의 하면에 결합된 복수의 디딤부재가 구비된 바닥지지부; 및 다리지지부와 바닥지지부에 결합된 지지축부를 포함하되, 지지축부는, 다리지지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높이조절개구가 일렬로 배치된 높이조절축과, 높이조절축을 둘러싸게 설치되되 높이조절스토퍼에 의해 높이조절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지축; 바닥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부지지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지지축을 지지하는 하부지지축; 하부지지축을 둘러싸면서 바닥베이스와 높이조절케이싱에 탄성결합되어, 바닥지지부가 지면을 디디면서 발생되는 지면에 대한 바닥지지부의 지면반발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 및 높이조절케이싱과 충격흡수부재를 둘러싸게 설치되고, 상단에 높이조절케이싱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충격흡수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호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체중지지 보조장치{weight bearing brace}
본 발명은 체중지지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보행시 체중이 발목이 아니라 무릎에서 지지되어, 족관절 수술부위의 재손상 방지 및 수술적 효과 증대를 위한 체중지지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Cannon et al. Foot and Ankle Surgery 2004의 연구에 의하면, 족관절 수술한 환자는 평균 비체중 부하기간이 대략 4주 내지 8주 정도로 보고되었다. 족관절 수술 후에 비체중 부하기간 동안에, 족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게 보행을 보조하는 도구로, 겨드랑이 목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지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재활도구 중에 하나인 겨드랑이목발(axillary crutches)은 그 사용 시 겨드랑이신경을 보호하기 위해서 겨드랑이에 접촉을 금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엄격한 목발사용원칙인 겨드랑이로부터 약5cm(2인치)아래에 옆구리에 목발의 머리를 두고 목발손잡이와 팔굽의 각도를 20도-30도를 유지한 채, 신체측면에서 약5cm(2인치) 간격을 두고 발 앞 15cm(6인치) 위치에 목발접지부분을 거치한 후 옆구리를 통해서 체중의 80%정도를 목발에 실리게 하고 체중의 나머지는 팔의 힘으로 감당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재활환자 중 이와 같이 엄격한 목발사용원칙을 준수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이를 아는 사람도 적다. 그래서 겨드랑이신경장애로 통증을 겪을 뿐 아니라 팔의 마비를 겪는 재활환자들이 많이 생긴다. 겨드랑이목발(axillary crutches)은 이같이 불편하며 겨드랑이에 고통을 주어 사용 중에는 전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
겨드랑이신경을 보호하기 위해서 비겨드랑이목발(non-axillary crutches)도 사용되지만, 이 목발에는 체중의 40-50%정도가 실리지만 이를 위해서는 팔의 힘이 많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래서 오랜시간 사용 시 팔이 아프며 전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 또 재활용 보행기가 있지만 자유롭게 거동하기에는 불편하며 사용 시 전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
한편, 외골격로봇(입는 로봇)이 있지만 현재의 기술로 제작된 것은 아직은 사용하기에 부자연스럽고 불편하며 고가의 장비로서 일반재활환자가 사용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너무 크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7630호에는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이 개시되어 있다. 발명은 목발의 접지면과 목발의 기립간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목발하부에 목발기립각도조절용고정관절을 설치하여 경사진 면을 이동할 때 목발사용의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는 목발이다. 따라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7630호의 목발기립 각도조절용고정관절을 한번 고정하면 이동시에는 관절의 회전이 불가하다. 또 팔의 힘을 이용하여 목발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발목 고정술, 발목 골절 수술 등과 같은 족관절 수술 후에, 발을 이용하여 체중지지를 하면 안되는 환자들에게 장착되어, 보행시 체중이 발목이 아니라 무릎에서 지지되어, 족관절 수술부위의 재손상의 방지 및 수술적 효과 증대를 위한 체중지지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닥에 대한 디딤점이 한 개인 기존의 목발과 달리, 본 발명은 보행시 발의 3점 디딤점, 예컨대, 발뒤꿈치가 디디는 첫번째 지점, 엄지외 나머지발가락이 디디는 두번째 지점, 엄지발가락이 디디는 세번째 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에 각각 디딤부재가 마련되어, 보행시 착용자가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체중지지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발뒤꿈치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중이 많이 가해지고, 발가락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중이 적게 가해지도록, 세개의 디딤부재가 배치되어, 보행시 체중심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체중지지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무릎위치에 맞춰, 지지축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체중지지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시 바닥을 디딜 때, 무릎과 골반에 전달되는 과도한 하중과 지면반발력을 충격흡수부재를 통해 흡수할 수 있는 체중지지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측면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보행시 체중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착용자가 별도의 목발의 사용없이도 안정적으로 보행토록 할 수 있는 체중지지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축부가 무릎안착부에 대해 접이식 구조로 설치되어, 착용을 해제하지 않고도 의자에 착석할 수 있는 체중지지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지지 보조장치는, 발이 지면에 닿지 않게 다리가 안착되는 다리지지부; 바닥베이스와, 지면에 디딤시 발의 3점 보행을 구현하는 위치에서 바닥베이스의 하면에 결합된 복수의 디딤부재가 구비된 바닥지지부; 및 다리지지부와 바닥지지부에 결합된 지지축부를 포함하되, 지지축부는, 다리지지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높이조절개구가 일렬로 배치된 높이조절축과, 높이조절축을 둘러싸게 설치되되 높이조절스토퍼에 의해 높이조절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지축; 바닥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부지지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지지축을 지지하는 하부지지축; 하부지지축을 둘러싸면서 바닥베이스와 높이조절케이싱에 탄성결합되어, 바닥지지부가 지면을 디디면서 발생되는 지면에 대한 바닥지지부의 지면반발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 및 높이조절케이싱과 충격흡수부재를 둘러싸게 설치되고, 상단에 높이조절케이싱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충격흡수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호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높이조절축은 하부지지축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지면에 대한 다리지지부의 설치높이가 조절되고, 높이조절스토퍼가 복수의 높이조절개구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높이조절축의 설치높이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디딤부재는 바닥베이스에 높이조정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디딤부재 중 바닥베이스의 후단에 위치된 디딤부재는, 바닥베이스의 전단에 위치된 적어도 두 개의 디딤부재에 대해 5°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간격만큼 길게 높이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리지지부의 하면에는 지지축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고정스토퍼가 더 구비되고, 지지축부는 다리지지부에 대해 힌지연결되어, 위치고정스토퍼의 락킹해제시 다리지지부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거나, 다리지지부에 대해 나란하게 위치되는 접이식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리의 측면에 위치되고, 다리지지부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리지지부는, 무릎과 종아리가 안착되는 무릎안착부; 및 무릎안착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무릎안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종아리 스트랩이 마련되어, 착용시 종아리가 무릎안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허벅지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허벅지 스트랩이 마련되어, 착용시 허벅지가 허벅지 지지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릎안착부는, 상면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하면이 무릎안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종아리지지블럭을 더 포함하고, 종아리지지블럭은 무릎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발목 고정술, 발목 골절 수술 등과 같은 족관절 수술 후에, 발을 이용하여 체중지지를 하면 안되는 환자들에게 장착되어, 보행시 체중이 발목이 아니라 무릎에서 지지되어, 족관절 수술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술회복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에 대한 디딤점이 한 개인 기존의 목발과 달리, 본 발명은 보행시 발의 3점 디딤점, 예컨대, 발뒤꿈치가 디디는 첫번째 지점, 엄지외 나머지발가락이 디디는 두번째 지점, 엄지발가락이 디디는 세번째 지점에 해당되는 부분에 각각 디딤부재가 마련되어, 보행시 착용자가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어, 족관절수술한 환자도 외부활동이 가능하게 보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발뒤꿈치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중이 많이 가해지고, 발가락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중이 적게 가해지도록, 세개의 디딤부재가 배치되어, 보행시 적은 힘으로 디딤부재가 바닥을 디디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착용자의 보행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장에 따라, 착용자의 무릎위치에 적합하게 무릎안착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정상다리와 본 발명을 착용한 다리 간의 높낮이이 균형을 맞춰, 착용자의 체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또한, 본 발명은 보행시 바닥지지부가 바닥을 디딜 때, 무릎과 골반에 전달되는 과도한 하중과 지면반발력을 충격흡수부재를 통해 흡수할 수 있어, 보행시 착용자에게 누적되는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가 착용자의 다리측면에 위치되어, 착용자가 다리측면에 위치된 손잡이에 의해 하중이 지지됨에 따라, 보행시 체중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착용자가 별도의 목발의 사용없이도 안정적으로 보행토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축부가 무릎안착부에 대해 접이식 구조로 설치되어, 착용을 해제하지 않고도 의자에 착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지지 보조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지지 보조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지지 보조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지지부의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지지부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축부의 펼침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지지축부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지지 보조장치가 착용자에 착용된 상태이고, 도 8은 착용자가 의자에 착석할 때 체중지지 보조장치의 착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중지지 보조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지지 보조장치는 발목 고정술, 발목 골절 수술 등과 같은 족관절 수술 후에, 발을 이용하여 체중지지를 하면 안되는 환자들에게 장착되어, 보행시 체중이 발목이 아니라 무릎에서 지지되어, 족관절 수술부위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술회복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리지지부, 지지축부(130), 바닥지지부(140), 손잡이(150), 적어도 하나의 허벅지스트랩(160), 적어도 하나의 종아리스트랩(170) 및 종아리지지블럭(190)을 포함한다.
다리지지부는 발이 지면에 닿지 않게 다리를 지지한다. 다리지지부는 무릎안착부(110)와 허벅지 지지부(120)로 이루어진다.
무릎안착부(110)는, 착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무릎을 중심으로 무릎과 종아리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무릎안착부(110)는 무릎과 종아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종아리부분을 감싸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무릎안착부(110)의 내면(111)은 종아리를 안정적으로 잡아주면서, 통풍이 잘되는 메쉬재질로 이루어진다.
무릎안착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종아리스트랩(170)이 설치된다. 종아리스트랩(170)은 종아리가 무릎안착부(110)에 안착될 때, 종아리를 무릎안착부(110)에 고정한다.
종아리스트랩(170)은 착용시 종아리가 무릎안착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아리스트랩(170)은 밴드타입, 벨트타입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안착부(110)에는 종아리지지블럭(19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종아리지지블럭(190)은 무릎안착부(1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종아리지지블럭(190)은 무릎안착부(110)에 안착된 종아리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종아리지지블럭(190)은 상면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하면이 무릎안착부(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종아리지지블럭(190)은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부피가 조절되는 에어블럭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종아리지지블럭(190)은 다공질폼블럭으로 통풍이 잘되고 푹신한 타입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 지지부(120)는 무릎안착부(110)의 상부로 돌출되게, 무릎안착부(110)의 전단에서 설치되어, 허벅지를 지지한다. 허벅지 지지부(120)는 허벅지 지지대(121) 및 상단지지대(122)로 이루어진다. 상단지지대(122)와 허벅지 지지대(121)는 일체로 형성된다. 허벅지 지지대(121)는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단지지대(122)는 허벅지 지지대(121)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단지지대(122)는 허벅지 지지대(121)에서 앞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무릎과 종아리가 무릎안착부(110)에 안착될 때, 허벅지 지지부(120)는 상단지지대(122)가 허벅지 앞부분과 맞닿고, 허벅지 지지대(121)가 허벅지의 측면과 맞닿아 허벅지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허벅지 지지대(121)에는 적어도 하나의 허벅지스트랩(160)이 마련된다. 허벅지스트랩(160)은 허벅지를 허벅지 지지대(121)에 고정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허벅지스트랩(160)에 대해 제1허벅지스트랩(161)과 제2허벅지스트랩(162)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허벅지스트랩(161)과 제2허벅지스트랩(162)은 상호 간에 이격되게, 허벅지 지지대(121)에 설치된다. 제1허벅지스트랩(161)과 제2허벅지스트랩(162)은 착용시 허벅지가 허벅지 지지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허벅지스트랩(161)은 허벅지 뒷부분이 허벅지 지지대(121)에 고정되도록 사용된다. 제2허벅지스트랩(162)은 허벅지 앞부분이 허벅지 지지대(121)에 고정되도록 사용된다.
제1허벅지스트랩(161)과 제2허벅지스트랩(162)은 밴드타입, 벨트타입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허벅지 지지대(121)의 측면에는 손잡이(150)가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는 착용자가 본 발명을 장착했을 때, 착용자의 바깥방향을 향해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50)는 허벅지 지지대(121)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손잡이(150)는 다리의 측면에 위치되게, 허벅지 지지부(1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손잡이(150)는 손잡이(150)의 지지축에 복수의 개구(152)가 마련된다. 손잡이(150)의 지지축은 허벅지 지지대(121)와 맞닿는 부분이다.
손잡이(150)는 손잡이스토퍼(154)에 의해 허벅지 지지부(120)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손잡이스토퍼(154)는 복수의 개구(152) 중 어느 하나의 개구와 허벅지 지지대(121)를 관통하여, 손잡이(150)를 허벅지 지지대(121)에 결합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팔길이에 따라 손잡이(150)가 허벅지 지지대(121)에 설치되는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축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축부(130)는 바닥지지부(140)에 대한 무릎안착부(110)의 설치높이가 조절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축부(130)는 보행시 지면반발력을 흡수토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축부(130)는 무릎안착부(110)에 대해 펼침상태에서 수직하게 위치되고, 접힘상태에서 나란하게 위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진다.
지지축부(130)는 무릎안착부(110)의 하면에 결합된다. 지지축부(130)는 무릎안착부(110)에 결합되는 상부지지축과, 바닥지지부(140)에 결합되는 하부지지축(133)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축은 높이조절축(132)과 높이조절케이싱(135)이 높이조절스토퍼(136)에 의해 상호 간에 결합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축(132)은 축베이스(131)에 힌지연결되어, 축베이스(131)에 대해 접이식으로 연결된다. 축베이스(131)는 무릎안착부(110)의 하단에 고정된 브라켓이다.
그리고, 높이조절축(132)은 위치고정스토퍼(139)에 의해 위치가 제한된다. 위치고정스토퍼(139)는 일단(139a)이 축베이스(131)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높이조절축(13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위치고정스토퍼(139)의 타단에는 락킹부재(139b)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축(132)의 펼침상태에서, 즉, 높이조절축(132)이 무릎안착부(110)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된 경우, 위치고정스토퍼(139)는 일단(139a)이 축베이스(131)에 결합된 상태에서, 락킹부재(139b)가 높이조절축(132)에 마련된 위치고정홈(132b)에 삽입되어 높이조절축(132)에 락킹된다. 위치고정스토퍼(139)는 축베이스(131)와 높이조절축(132)에 연결되어, 높이조절축(132)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의자에 앉기 위해, 지지축부(130)를 접을 경우, 위치고정홈(132b)에 삽입된 락킹부재(139b)의 락킹이 해제되면서, 높이조절축(132)과 위치고정스토퍼(139)의 결합이 해제된다. 위치고정스토퍼(139)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후, 지지축부(130)가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안착부(110)에 맞닿게 접힌다. 지지축부(130)가 접힘상태가 되면, 위치고정스토퍼(139)는 락킹부재(139b)가 위치고정홈(132b)에 삽입되어 높이조절축(132)에 락킹되어, 지지축부(13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조절축(132)은 외면에 복수의 높이조절개구(132a)가 마련된다. 높이조절축(132)은 내부가 중공된 통형 구조를 가진다. 높이조절축(132)은 하부지지축(133)에 연결된다.
높이조절케이싱(135)은 높이조절축(132)을 둘러싸게 설치되고, 높이조절스토퍼(136)에 의해 높이조절축(13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높이조절케이싱(135)은 충격흡수부재(137)에 의해 바닥베이스(141)에 연결된다. 높이조절스토퍼(136)는 복수의 높이조절개구(132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높이조절축(132)의 위치를 제한한다.
하부지지축(133)은 바닥베이스(141)의 상면에 결합된다. 하부지지축(133)은 높이조절축(132)으로 삽입되어, 높이조절축(13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지지축(133)은 높이조절축(132)을 지지한다.
충격흡수부재(137)는 하부지지축(133)을 둘러싸면서 바닥베이스(141)와 높이조절케이싱(135)에 탄성결합되어, 바닥지지부(110)가 지면을 디디면서 발생되는 지면에 대한 지면반발력을 흡수한다.
충격흡수부재(137)는 보행시 바닥지지부(140)가 바닥을 디딜 때, 무릎과 골반에 전달되는 과도한 하중과 지면반발력을 흡수할 수 있어, 보행시 착용자에게 누적되는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137)는 보호케이싱(138)에 의해 보호된다. 보호케이싱(138)은 충격흡수부재(139)의 탄성운동에 영향을 주지않게 높이조절케이싱(135)과 충격흡수부재(139)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보호케이싱(138)에는 걸림턱(138a)이 마련된다. 걸림턱(138a)은 충격흡수부재(139)의 탄성운동시 높이조절케이싱(135)의 상하이동에 영향을 주지않되, 충격흡수부재(139)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지지축부에 의해,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장에 따라, 착용자의 무릎위치에 적합하게 무릎안착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정상다리와 본 발명을 착용한 다리 간의 높낮이이 균형을 맞춰, 착용자의 체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축부(130)가 접이식 구조를 가져, 착용을 해제하지 않고도 착용자가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닥지지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지지부(140)는 착용자의 보행시 발을 대행하는 구성이다.
보행이란 두 개의 발이 교차로 움직이면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체중을 디디는 단계는 입각기(stance phacse)와, 발을 떼어 이동하는 단계인 유각기(swing phase)를 60: 40의 비율로 걷는다. 뒤꿈치 닿기는 보행의 최초 시작으로 발뒤꿈치가 지면에 최초 접촉된느 시점이다. 다음으로, 무릎의 나사홈 잠김을 풀기 위한 슬와근이 작용한 후 체중닿기가 시작된다. 60%의 체중닫기(입각기)의 마지막 단계는 발가락 떼기를 하면서, 유각기가 시작되어 40%의 유각기를 마친 후 다시 뒤꿈치 닿기를 끝으로 3점 보행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점보행점에 대해, 발뒤꿈치가 디디는 제1디딤점, 발바닥 외측면인 엄지외 나머지발가락이 디디는 제2디딤점, 마지막으로, 발바닥 내측인 엄지발가락 부분이 디디는 제3디딤점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지지부(140)는 바닥베이스(141)와 복수의 디딤부재(142, 143, 144)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베이스(141)는 하부지지축(133)의 하단에 위치된다. 바닥베이스(141)의 하면에는 복수의 디딤부재(142, 143, 14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닥베이스(141)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평판이다.
바닥베이스(141)의 하면에는 복수의 나사(141a, 141b, 141c)가 설치된다. 복수의 나사(141a, 141b, 141c)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어, 각각 나사홈(142a, 143a, 144a)에 나사결합된다.
복수의 나사(141a, 141b, 141c)에는 복수의 디딤부재(142, 143, 144)가 각각 나사결합된다. 복수의 디딤부재(142, 143, 144)의 상단에는 각각 나사홈(142a, 143a, 144a)가 마련된다.
복수의 디딤부재(142, 143, 144)는 바닥베이스(141)의 하면에 설치되어, 보행시 지면을 디디는 부재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딤부재(142, 143, 144)가 제1디딤점 내지 제3디딤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보행시 바닥지지부(140)가 3점보행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디딤부재(142, 143, 144)에 대해, 제1디딤부재(142)와 한쌍의 제2디딤부재(143, 144)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제1디딤부재(142)는 바닥베이스(141)의 후단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된다. 제1디딤부재(142)는 제1디딤점에서 바닥베이스(141)에 설치된다.
한쌍의 제2디딤부재(143, 144)는 바닥베이스(141)의 전단에서 지면을 향해 돌출된다. 한쌍의 제2디딤부재(143, 144)는 제2디딤점 및 제3디딤점에서, 바닥베이스(141)에 설치된다.
한쌍의 제2디딤부재(143, 144)는 바닥베이스(141)의 하면을 기준으로 제1디딤부재(142)의 끝단에 대해 5°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간격만큼, 설계상의 수치의 차이는 있을 테지만 대략 5mm 내외의 높이차이로, 제1디딤부재(142)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디딤부재(142) 및 한쌍의 제2디딤부재(143, 144)는 각각 바닥베이스의 (141a, 141b, 141c)에 나사결합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바닥베이스(141)에 대한 설치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1디딤부재(142)는 한쌍의 제2디딤부재(143, 144)에 대해 5°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간격만큼 높게 높이조절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나사홈(142a, 143a, 144a)의 깊이는 한쌍의 제2디딤부재(143, 144)의 끝단이 제1디딤부재(142)의 끝단에 대해 5° 내지 10°의 범위만큼 차이나게 설계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디딤부재(142)의 끝단을 기준으로, 한쌍의 제2디딤부재(143, 144)의 끝단이 5° 내지 10°의 범위 만큼 차이나게, 바닥베이스(141)에 대한 한쌍의 제2디딤부재(143, 144)의 설치높이가 제1디딤부재(142)의 설치높이보다 짧게 설계한 이유는, 보행하는 과정에서 발뒤꿈치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중이 많이 가해지고, 발가락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중이 적게 가해져, 보행시 체중심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을 착용한 사람은 목발을 사용하여 보행하는 사람과 비교하여, 적은 힘을 들여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 있다.
즉, 종래에 지면에 닿는 디딤점이 한 개인 기존의 목발과 달리, 본 발명은 보행시 착용자가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어, 족관절수술한 환자도 외부활동이 가능하게 보조할 수 있고, 착용자의 보행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본 발명은 발목 고정술, 발목 골절 수술 등과 같은 족관절 수술 후에, 발을 이용하여 체중지지를 하면 안되는 환자들에게 장착되어, 보행시 체중이 발목이 아니라 무릎에서 지지되어, 족관절 수술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보행시 안정감을 주워, 재활활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보조할 수 있어, 수술회복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족관절 수술 후에 수술부위에 무리를 주지 않기 위해 가만히 누워만 있으면, 근육이 점차적으로 힘이 없어지는 동시에 움직임이 없고 수술부위로의 혈액순환이 활발하지 않아 수술회복도가 떨어진다.
이에 반해, 족괄절을 수술한 환자도, 어느 정도 수술부위가 안정된 후, 본 발명을 착용하여 재활활동을 하면, 안정적으로 걷기운동을 할 수 있고, 걷기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허벅지 근육이 운동하고 혈액순환이 활발하게 되면서 수술부위로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어, 수술회복도를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착용하면 수술후 재활기간동안에도 편리하게 걸을 수 있어, 외부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체중지지 보조장치 110: 무릎안착부
120: 허벅지 지지부 121: 허벅지 지지대
122: 상단지지대 130: 지지축부
131: 축베이스 132: 높이조절축
133: 하부지지축 136: 높이조절스토퍼
137: 충격흡수부재 139: 위치고정스토퍼
140: 바닥지지부 141: 바닥베이스
142: 제1디딤부재 143, 144: 한쌍의 제2디딤부재
150: 손잡이 160: 허벅지스트랩
170: 종아리스트랩 190: 종아리지지블럭

Claims (8)

  1. 발이 지면에 닿지 않게 다리가 안착되는 다리지지부;
    바닥베이스와, 상기 지면에 디딤시 발의 3점 보행을 구현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닥베이스의 하면에 결합된 복수의 디딤부재가 구비된 바닥지지부; 및
    상기 다리지지부와 상기 바닥지지부에 결합된 지지축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축부는,
    상기 다리지지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높이조절개구가 일렬로 배치된 높이조절축과, 상기 높이조절축을 둘러싸게 설치되되 높이조절스토퍼에 의해 높이조절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지축;
    상기 바닥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지지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지지축을 지지하는 하부지지축;
    상기 하부지지축을 둘러싸면서 상기 바닥베이스와 상기 높이조절케이싱에 탄성결합되어, 상기 바닥지지부가 상기 지면을 디디면서 발생되는 상기 지면에 대한 상기 바닥지지부의 지면반발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케이싱과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둘러싸게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높이조절케이싱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호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지지 보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축은 상기 하부지지축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면에 대한 상기 다리지지부의 설치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높이조절스토퍼가 상기 복수의 높이조절개구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축의 설치높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지지 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딤부재는 상기 바닥베이스에 높이조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디딤부재 중 상기 바닥베이스의 후단에 위치된 디딤부재는, 상기 바닥베이스의 전단에 위치된 적어도 두 개의 디딤부재에 대해 5°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간격만큼 길게 높이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지지 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지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축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고정스토퍼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부는 상기 다리지지부에 대해 힌지연결되어, 상기 위치고정스토퍼의 락킹해제시 상기 다리지지부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거나, 상기 다리지지부에 대해 나란하게 위치되는 접이식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지지 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다리지지부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지지 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지지부는
    무릎과 종아리가 안착되는 무릎안착부; 및
    상기 무릎안착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릎안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종아리 스트랩이 마련되어, 착용시 상기 종아리가 상기 무릎안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허벅지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허벅지 스트랩이 마련되어, 착용시 허벅지가 상기 허벅지 지지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지지 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안착부는, 상면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하면이 상기 무릎안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종아리지지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아리지지블럭은 상기 무릎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지지 보조장치.
KR1020170170018A 2017-11-16 2017-12-12 체중지지 보조장치 KR101997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2821 2017-11-16
KR1020170152821 2017-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260A KR20190056260A (ko) 2019-05-24
KR101997997B1 true KR101997997B1 (ko) 2019-07-08

Family

ID=6668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018A KR101997997B1 (ko) 2017-11-16 2017-12-12 체중지지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547A (zh) * 2019-09-12 2019-12-03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膝部韧带损伤固定装置
KR102581420B1 (ko) * 2021-10-26 2023-09-21 김민경 양손이 자유로운 목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8051A1 (en) * 2001-11-26 2003-05-29 Peter Fismer Detachable knee or lower leg support system for crutches
JP2003339802A (ja) * 2002-05-22 2003-12-02 Asutekku:Kk 歩行用杖
US20130152986A1 (en) * 2011-12-20 2013-06-20 iWALKFREE, INC. Hands-Free Crutc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9592B1 (en) * 2002-11-04 2004-10-05 Fletcher H. Reynolds Collapsible knee crutch
JP4764391B2 (ja) 2007-08-29 2011-08-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8051A1 (en) * 2001-11-26 2003-05-29 Peter Fismer Detachable knee or lower leg support system for crutches
JP2003339802A (ja) * 2002-05-22 2003-12-02 Asutekku:Kk 歩行用杖
US20130152986A1 (en) * 2011-12-20 2013-06-20 iWALKFREE, INC. Hands-Free Cr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260A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919B1 (en) Crutch device
US7303537B1 (en) Ambulation assistance device
US5941263A (en) Leg support crutch
JP2758076B2 (ja) 片足障害者用成形外科器具
CA2193881C (en) Mobility assisting device
US8021316B2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KR101882782B1 (ko) 환자용 다리 고정장치
US20170231853A1 (en) Device and methods for movement assistance
KR101997997B1 (ko) 체중지지 보조장치
US7959545B2 (en) Walking aid
US9180037B1 (en) Leg brace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JP2006305225A (ja) 歩行補助具
US6932096B2 (en) Modified crutch with three mode lower leg/foot support
US6397868B1 (en) Seat suspended between crutches
CN106726373A (zh) 一种临时行走辅助机器人
US6257258B1 (en) Seat suspended between crutches
KR101975493B1 (ko) 충격완화 보행 보조기
KR101191829B1 (ko) 휜 다리 교정용 기구
CA2543217C (en) Pressure off knee brace
US20040054309A1 (en) Ambulatory hip fixation-traction splint set
KR200443470Y1 (ko) 자세교정기
CN209332649U (zh) 一种多功能助行器
CN214435289U (zh) 一种带有膝部支撑功能的助行器
KR20220146114A (ko) 보행 이론에 따라 자유로운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 핸즈프리 목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