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721B1 - Table form assembly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able form assembly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721B1
KR101997721B1 KR1020170147649A KR20170147649A KR101997721B1 KR 101997721 B1 KR101997721 B1 KR 101997721B1 KR 1020170147649 A KR1020170147649 A KR 1020170147649A KR 20170147649 A KR20170147649 A KR 20170147649A KR 101997721 B1 KR101997721 B1 KR 10199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form
module
foam
frame
lin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713A (en
Inventor
강경인
김명호
이동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7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721B1/en
Publication of KR2019005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7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을 연결 지지하는 테이블 폼 프레임과, 상기 테이블 폼 모듈 및 상기 테이블 폼 프레임을 연결하는 테이블 폼 링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폼 모듈은: 콘크리트와 접촉 가능한 테이블 폼 플레이트와, 상기 테이블 폼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테이블 폼 링크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The table form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a table form frame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and a table form linkage connecting the table form module and the table form frame, A table foam plate capable of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concrete, and a table form link body supporting the table form plate.

Figure R1020170147649
Figure R1020170147649

Description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TABLE FORM ASSEMBLY AND A SYSTEM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대한 것으로, 종래의 크기가 큰 일체형 테이블 폼과 달리 벽체 및 기둥 거푸집공사에 사용되는 폼을 이용하여 부재의 범용성을 확장한 구조의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nd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versatility of a member is expanded by using a foam used for a wall and a column formwork, unlike a conventional large- Foam assembly system.

테이블 폼은 건물 각층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것으로, 거푸집 판, 장선, 멍에 등의 슬라브 거푸집과 동바리를 일체화하여 수직,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대형 슬라브 거푸집이다. 종래의 테이블 폼의 경우 시공이 간편하고 생산성이 높아 최근 초고층공사나 층고가 높은 건축공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 폼은 고층아파트, 병원, 사무소 등과 같이 수직, 수평적인 반복 모듈을 가지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주로 사용된다. 테이블 폼은 판넬이 대형이고 설치 유닛의 수가 적어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장비 중심의 운용으로 공사 투입 인력 절감 및 안정성 증대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able form is a large slab formwork which can be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integrating a slab form such as a form plate, a joist line, yoke, and a tiller to form a bottom concrete floo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tablet form, construction is easy and productivity is high, so it is widely used in high-rise construction and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recently. These table forms are mainly used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repeating modules, such as high-rise apartments, hospitals, offices and the like. The table form has a large panel and a small number of installation units, which not only shortens the working time significantly, but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nstruction workforce and increasing stability with equipment-oriented operation.

하지만, 종래의 테이블 폼의 경우 크기가 큰 일체형 구조를 취하여 각각의 테이블 폼의 무게가 상당히 무거워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멍에 장선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구조로 인해 평면이 자주 바뀌거나 구조부재의 배치가 복잡한 경우생산성이 크게 하락하거나 시공 현장에서 규격화된 테이블 폼을 적용하기 곤란한 경우 대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즉, 종래의 테이블 폼은, ① 멍에, 장선과 동바리 및 거푸집 패널의 일체형구조로 인해 가변성이 떨어지므로 건물 형태변화나 비정형평면에 적용시 추가적인 필러공사가 크게 요구되고, ② 거푸집 패널과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으로 인해 거푸집 탈형이 어렵고 위험하며, ③ 무게가 지나치게 무거워 슬라브 두께가 얇으면 기계 장비 사용의 어려움으로 적용이 불가능하며 타워크레인의 부하 증대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와 운반 작업이 까다롭고, ④ 일체화 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및 해체 시 일체화된 형태로 운반 및 보관이 이루어져야하며 무량판구조로 정형화된 구조가 아닌 건축공사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며, ⑤ 필러작업(테이블 폼을 설치하고 난 후 주변부에 합판을 가공하여 콘크리트가 새지 않도록 면을 덮는 작업)을 시행해야 하는데, 이때 그 사이즈에 맞추어 현장에서 목재를 짜고 동바리를 세우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⑥ 테이블 폼이 수평을 이루고 있는지와 특정 동바리에 하중이 많이 걸리는지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공사 도중 동바리가 하중을 못이기고 붕괴되거나 프레임이 기울어져 품질이 하락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tablet form, it takes a large integral structure, and the weight of each tablet form is heavy. Therefore, there is a difficulty in construction, and when the flat structure often changes due to the integral structure made of yoke, Or when it is difficult to apply a standardized table form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often impossible to apply it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ponse is poor.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table foam is required to have additional filler construction when it is applied to the change of the building shape or the irregular plane, because the flexibility of the conventional table foam is reduced due to the unity structure of the yoke, the joist line, ③ If the slab thickness is too thin, it can not be applied due to difficulty in using the machine equipment. It causes load increase of the tower crane and it is difficult to carry and the work is difficult. It is not possible to apply it to construction work other than the standardized structure due to the flat plate structure, and ⑤ the filler work (after the table form is installed, the plywood is processed in the peripheral part To cover the surface so that the concrete does not leak). In this case, ⑥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table form is horizontal and how much load is applied to a particular shore. Therefore, the shore can not load the shore during construction. And there was a case where the quality deteriorated due to collapse or skewing of the frame.

한편, 재래식 거푸집에 해당하는 유로폼이나 핸드셋 타입의 시스템 거푸집인 알폼, 스카이덱 등은 거푸집 패널이 들고 이동하고 설치해체하기 용이한 사이즈로 규격화, 모듈화 되어 있으나 작업자가 유닛 하나하나를 직접 시공해야하므로 업무강도가 높고 시공이 복잡하여 작업 시공성 및 공정 시공 원가의 급격한 증대로 작업 생산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핸드셋 타입 거푸집은, ① 규격화된 다수의 모듈을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설치하고 해체해야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며 인력기반의 시공법으로 인해 난이도가 높고 노무량이 많고, ②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안전사고 발생이 많으며, ③ 층고가 높은 건축물의 경우 별도의 비계설치가 요구되며 작업이 까다롭다.On the other hand, the Euroform or the handset type system form which is a conventional form, such as the al foam and the sky deck, are standardized and modularized in such a size that the form panel can be easily moved and disassembled and disassembl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work productivity is lowered due to a high strength and a complicated construction due to a drastic increase in work construction efficiency and process construction cost.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handset type die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a plurality of standardized modules must be manually installed and disassembled one by one, so that a long working time is required; a difficulty is caused by labor-based construction methods; There is a lot of accidents. ③ In case of a building with high height, a separate scaffolding is required and the operation is difficult.

등록특허공보 제1513993호 (2015. 04. 23)Patent Registration No. 1513993 (Feb.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 일체화된 종래의 테이블 폼이 수반하는 문제점과, 각각의 소형화된 재래식 거푸집을 사용하는 경우 시공성 급락이라는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000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has been solved simultaneously to 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nventional integrated table foam and the problem of plunging workability when each of the miniaturized conventional formwork is used .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 및 기둥 거푸집 공사 전용으로 개발된 유로폼 및 하이코라이트 폼(Hybrid Eco light form) 등 핸드셋 거푸집을 테이블 형태로 제작하여 테이블 폼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종래의 테이블 폼이 가진 문제점과 핸드셋 타입 시스템 폼인 알폼, 유로폼, 스카이덱의 문제점을 모두 보완하고 각각의 장점을 살리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a handset form such as a Euroform and a Hybrid Eco light form developed for a wall and a column formwork to be used as a table form and to utilize it as a table for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nd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that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handset type system foam, euro foam, sky deck, and each advantag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을 연결 지지하는 테이블 폼 프레임과, 상기 테이블 폼 모듈 및 상기 테이블 폼 프레임을 연결하는 테이블 폼 링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폼 모듈은: 콘크리트와 접촉 가능한 테이블 폼 플레이트와, 상기 테이블 폼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테이블 폼 링크 바디를 포함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a table form frame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and a table form linkage for connecting the table form modules and the table form frames, Wherein the table foam module comprises: a table foam assembly capable of being in contact with concrete; and a table foam link body supporting the table foam plate.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링크 바디는: 상기 테이블 폼 링크 바디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아우터 링크 바디와, 상기 아우터 링크 바디의 내부에 연결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 링크 바디의 틀 구조를 지지하고 상기 아우터 링크 바디와 함께 상기 테이블 폼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이너 링크 바디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table form link body includes: an outer link body forming an outer frame of the table form link body; and an outer link body coupl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outer link body to support the frame structure of the outer link body, And an inner link body for stably supporting the table foam plate together with the outer link body.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프레임은: 상기 테이블 폼 링크바디가 복수 개가 연결되는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the table form frame may include: a table form rear frame body to which a plurality of the table form link bodies are connected.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는 복수 개가 상호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 plurality of the table foam rear frame bodi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의 일면에는 상기 테이블 폼 모듈의 안착을 유도하는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 table-form rear frame body guide for guiding the seating of the table foam module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ble-shaped rear frame body.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가이드는 삼각 돌기 형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 plurality of the table foam rear frame body guides may be dispos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는 중공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는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의 내부에 수용 인출 가능한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을 구비할 수도 있다.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forms a hollow structure and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is configur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And a table-shaped rear frame body extension that can be retractably received within the table-form rear frame body.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이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에 수용 내지 인출되는 경우 위치 고정하기 위한 익스텐션 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assembled table foam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fixing par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extension when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extension is received in or drawn out from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링키지는: 상기 테이블 폼 모듈 간의 연결을 이루는 모듈 링키지와,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일단은 상기 모듈 링키지에 연결되는 레테럴 프레임 링키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table form linkage comprising: a module linkage that establishes a connection between the table form modules; a retainer that supports at least a portion of the table form stationary frame body, Frame linkage.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링크 바디의 측부에는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 폼 모듈 사이에 상기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를 폐쇄시키는 모듈 블록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 link body flat ti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able form link body, and a module block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table foam modules to close the link body flat tie mounting portion.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블록은, 상기 테이블 폼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콘트리트의 누설을 방지하는 모듈 커넥션 블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the module block may include a module connection block disposed between the table foam modules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crete.

상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블록은, 상기 테이블 폼 모듈의 외곽에 배치되어 콘트리트의 누설을 방지하는 모듈 사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the module block may include a module side block dispos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table foam module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cret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을 연결 지지하는 테이블 폼 프레임과, 상기 테이블 폼 모듈 및 상기 테이블 폼 프레임을 연결하는 테이블 폼 링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폼 모듈은: 콘크리트와 접촉 가능한 테이블 폼 플레이트와, 상기 테이블 폼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테이블 폼 링크 바디와, 상기 테이블 폼 링크 바디의 적어도 일부로 형성되는 모서리 측을 연결하는 테이블 폼 코너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와, 상기 테이블 폼 플레이트 측에 배치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태 내지 상기 테이블 폼 플레이트의 상태를 감지하는 테이블 폼 센서부와, 상기 테이블 폼 센서부의 감지 신호 및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이블 폼의 탈형 내지 상태 변화를 통한 대응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a table form frame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and a table form linkage connecting the table form modules and the table form frames Wherein the table foam module comprises: a table foam plate that is in contact with concrete; a table form link body that supports the table form plate; and a table form corner body that connects the edge sides form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table form link body A tablet form sensor unit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concrete or the state of the tablet form plate disposed on the tablet form plate side and the concrete placed on the tablet form plate side; Using the preset data stored in the It may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state of the table through the demold prefabricated form as claimed to provide a table form assembly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은, 규격화된 핸드셋 거푸집을 활용하여 비교적 대형의 테이블 폼으로서의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형성이 가능하여, 현장에 요구되는 다양한 최종 규격의 테이블 폼으로서의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형성이 가능하여 시공 범용성을 확대할 수 있다. First,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y and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s a relatively large table foam utilizing the standardized handset form, It is possible to form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s a table foam of the present invention.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은, 테이블 폼 모듈은 기존 유로폼 혹은 알폼 내지 이들과 동일한 규격과 체결 부위를 유지하는 하이코 테이블 폼으로 형성하고, 이를 복수 개 연결 조립하는 멍에재로서의 테이블 폼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 유닛 구조를 통한 테이블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장선재가 필요 없이 가로 세로 방향으로의 확장성을 증대시켜 시스템 거푸집의 설계기준에 맞춘 다양한 규격의 테이블 폼으로서의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설계 자유도를 증진할 수도 있다. Second, in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the table foam module is formed of a conventional Euro foam or al foam, Table form as yoke to be assembled as a joint It is possible to form a table through a combined unit structure that is joined to a frame, so that it can be expand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out the need for a joind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table form assembly to enhance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은, 거푸집과 콘크리트가 부착되지 않으므로 탈형을 용이하게 하고, 모든 작은부품은 볼트결합을 통해 교체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Third, the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nd the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to facilitate demoulding because the form and concrete are not attached, and all the small parts can be replaced and combined through the bolt connection So that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are easy and the maintenance property can be improved.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은, 무게 측면에서도 기존 테이블 폼대비 상당한 경량화를 이루어 수평 및 수직 양중이 용이해졌으며 모듈단위로 설치해체가 손쉬워 자재 관리와 운반도 편리하다. 테이블 형태로 조립되어 타워크레인이나 지게차, 트롤리로 설치되므로 층고에 상관없이 기계식 시공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Fourth,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have considerably reduced weigh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able foam, thereby facilitating horizontal and vertical balancing. Also, It is also convenient to carry. It can be assembled in a table form and installed as a tower crane, forklift or trolley, so that it can be made mechanically regardless of the floor height.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은, 센서부를 통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상태 내지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기울기 내지 위치 등의 장착 상태 감지를 통하여 시공 상태 내지 시설 안전성의 감지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Fifth, the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having the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nd the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construction state or facility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detection of safety more smoot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테이블 폼 링키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모듈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부분 실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다른 일유형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다른 일유형의 테이블 폼 프레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또 다른 일유형의 테이블 폼 프레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또 다른 일유형의 상태도 및 블록선도이다.
1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artial plan view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in Fig.
Figures 5 and 6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table form linkage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module block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partial realistic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table foam frame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14 are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another type of table foam frame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a state diagram and a block diagram of another type of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이 테이블 폼을 떠받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을 테이블 폼 커넥터를 생략하고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테이블 폼 틸팅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테이블 폼 틸팅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llustrates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with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ing a table foam, Figure 2 illustrates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as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form tilting support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foam tilting assembly of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and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comprising the same.

먼저, 본 발명의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10)는 테이블 폼 모듈(100)과 테이블 폼 프레임(200)과 테이블 폼 링키지(30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모듈 블록(400)을 포함한다. First,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form module 100, a table form frame 200, and a table form linkage 300, and optionally includes a module block 400.

테이블 폼 모듈(100)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테이블 폼 모듈(100)은 테이블 폼 프레임(200)를 통하여 복수 개가 일체로 어셈블리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A plurality of table foam modules 100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table foam modules 100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the table foam frame 200.

테이블 폼 모듈(100)은 테이블 폼 플레이트와, 테이블 폼 링크 바디와, 테이블 폼 코너 바디를 포함한다. 테이블 폼 플레이트(110)는 거푸집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테이블 폼 플레이트(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형성한다. The table form module 100 includes a table form plate, a table form link body, and a table form corner body. The table foam plate 110 forms a direct connection with the concrete laid in the space formed by the table foam plate 110 as a component forming the form.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는 테이블 폼 플레이트(110)를 지지한다. 테이블 폼 플레이트(110)는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에 의하여 볼트 등의 위치 고정 부재를 통하여 위치 고정되어 지지된다.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는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는 격자 형상의 매트릭스 구조를 취하는데, 경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는 매트릭스 구조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는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아우터 링크 바디(121)와 내부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이너 링크 바디(123)를 포함한다. 이너 링크 바디(123)는 아우터 링크 바디(121)의 내부에 연결 배치되어 아우터 링크 바디(121)의 틀 구조를 지지하고 아우터 링크 바디(121)와 함께 테이블 폼 플레이트(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블 폼 모듈(100)은 개별적인 구성으로 특히 매트릭스 타입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기술되는데, 복수 개의 거푸집을 테이블폼화시키는 범위에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하이코라이트 폼 등의 핸드셋 거푸집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able form link body 120 supports the table form plate 110. The table foam plate 110 is fixed and supported by a table form link body 120 through a position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The table form link body 120 has a grid form matrix structure in which the table form link body 120 may have various shapes.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table form link body 120 may have a matrix structure The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The table form link body 120 includes an outer link body 121 forming an outer frame of the table form link body 120 and an inner link body 123 forming an inner support structure. The inner link body 123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link body 121 to support the frame structure of the outer link body 121 and stably supports the table form plate 110 together with the outer link body 12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ble form module 100 is described as having a separate structure, especially a matrix type structure, which can be embodied in a handset form such as a Haikolite form as described above to the extent of tabulating a plurality of form have.

테이블 폼 프레임(200)은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을 연결 지지한다. 테이블 폼 프레임(200)은 본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 빔 형태의 부재가 두 개가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설계 사양에 따라 개수 및 형상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나, 단순 사각 빔 형태의 프레임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테이블 폼 프레임(200)은 본 실시예에서 두 개가 이격 배치된다. The table form frame 200 connects and supports a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Although the table foam frame 2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longitudinal beam-shaped members are disposed in this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the number and shape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s. However, the frame structure of the simple square- . The table form frame 200 is two spaced apart in this embodiment.

테이블 폼 프레임(200)은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를 포함하는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는 테이블 폼 링크바디(120)가 복수 개가 연결된다.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는 멍에로서 사각 비임 형상을 구비하고 연결되는 테이블 폼 모듈(100)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개수 및 이격 배치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0개의 테이블 폼 모듈(100)가 5X2의 매트릭스 배치 구조를 이루는데, 사각 비임 형상의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의 배치 간격 방향으로 테이블 폼 모듈(100)이 이루는 전체 길이 대비하여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가 배치되는 위치를 지점으로 길이의 비율을 나눌 때 1:3:1의 비율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안정적인 배치 위치를 점유하도록 구성한다. The table form frame 200 includes a table form residential frame body 210 having a plurality of table form link bodies 120 connected thereto. The table-shaped rear frame body 210 has a square beam shape as a yoke, and various shapes, numbers, and spacing structure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and number of the connected table foam modules 100. [ In this embodiment, ten table foam modules 100 are arranged in a matrix arrangement of 5X2, and the total length of the table foam module 100 in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square foam-shaped rear frame bodies 210 Whe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210 to the position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210 is divided, the spacers are spaced apart at a ratio of 1: 3: 1 to occupy a stable placement position.

테이블 폼 링키지(300)는 테이블 폼 모듈(100) 및 테이블 폼 프레임(200)을 연결한다. 테이블 폼 링키지(300)는 모듈 링키지(310)와 프레임 링키지(320)를 포함한다. 모듈 링키지(310)는 테이블 폼 모듈(100)에 장착되고, 프레임 링키지(320)는 테이블 폼 프레임(200)에 연결되고, 모듈 링키지(310)와 프레임 링키지(320)는 서로 연결된다. The table form linkage 300 connects the table form module 100 and the table form frame 200. The table form linkage 300 includes a module linkage 310 and a frame linkage 320. The module linkage 310 is mounted to the table form module 100 and the frame linkage 320 is connected to the table form frame 200 and the module linkage 310 and the frame linkage 3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모듈 링키지(310)는 설계 사양에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 편 형태로 구성된다. 모듈 링키지(310)는 편 형태의 모듈 링키지 바디(311)를 구비하고, 모듈 링키지 바디(311)의 중앙에는 관통 형성되는 모듈 링키지 바디 프레임 체결부(313)이 형성되고, 모듈 링키지 바디(311)의 하단에는 모듈 링키지 폼 프레임 체결부(315)가 구비된다. The module linkage 310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specification, bu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ece in this embodiment. The module linkage 310 includes a module linkage body 311 having a flat shape and a module linkage body frame fastening part 31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odule linkage body 311. The module linkage body frame 311 has a module linkage body 311, A module linkage form frame fastening portion 315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프레임 링키지(320)는 모듈 링키지(310)와 연결되어 테이블 폼 프레임(200)의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링키지(320)는 프레임 링키지 바디(321)와 프레임 링키지 연장부(323)를 구비하는데, 프레임 링키지 연장부(323)는 프레임 링키지 바디(321)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고, 프레임 링키지 바디(321)는 'ㄷ'자 형상을 구비하여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의 외주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수용하여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프레임 링키지 연장부(323)에는 프레임 링키지 연장부 체결부(325)가 구비되고, 프레임 링키지 연장부 체결부(325)와 모듈 링키지 폼 프레임 체결부(315)는 위치 정렬된 후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하여 정렬 위치 고정되어 테이블 폼 프레임(200)과 테이블 폼 모듈(1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The frame linkage 320 is coupled to the module linkage 310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210 of the table form frame 200. In this embodiment, the frame linkage 320 includes a frame linkage body 321 and a frame linkage extension 323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rame linkage body 321, The linkage body 321 has a 'C' shape to surround and suppor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210, thereby forming a structure. The frame linkage extension part 323 is provided with a frame linkage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325. The frame linkage extension part fastening part 325 and the module linkage form frame fastening part 315 are align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ble form frame 200 and the table form module 100 is established.

경우에 따라 테이블 폼 프레임(200)은 경우에 따라 테이블 폼 모듈(100)과의 신속한 장착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경우에 따라 테이블 폼 프레임(200)은 테이블 폼 모듈(100)의 장착 탑재 위치를 안내하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테이블 폼 프레임(200)의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의 외주에는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가이드(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가이드(220)는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의 일면으로 테이블 폼 모듈(100)을 향한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적어도 부분 연속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가이드(220)는 테이블 폼 모듈(100)이 테이블 폼 프레임(200)에 안착되는 것을 유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가이드(220)는 삼각 돌기 형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테이블 폼 모듈(100)이 실제 작업 현장에서 대략적 배치 위치에 놓을 경우 스스로 자기 위치 조정 상태를 형성하고 불필요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최종적인 체결 상태 형성을 이루는데 신속하고 원활한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table form frame 200 may further comprise components for guiding rapid mounting with the table form module 100. In other words, the table form frame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mponent for guid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table form module 100. The table form frame 200 of the table form frame 200 may include a table- A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guide 22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table-shaped rear frame body guide 2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table-shaped rear frame body 210 is at least partially continuous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table-form module 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table form resume frame body guide 220 induces the table form module 100 to be seated in the table form frame 200 where the table form resume frame body guide 220 is shaped like a triangular prism And a plurality of structures are arranged. With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table form module 100 is placed at a roughly arranged position in an actual work site, it forms a self-adjusting state by itself and prevents unnecessary movement, thereby achieving a final fastened state. . ≪ / RTI >

또 한편, 테이블 폼 프레임(200)은 실제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규격화된 테이블 폼 프레임(200)의 길이보다 다소 긴 공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품 확장성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able form frame 200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for expanding the product so as to correspond to a space somewhat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tandardized table form frame 200 generated at the actual work site.

즉, 테이블 폼 프레임(200)의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는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2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 공간(211)이 구비되고,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에 구비되는 중공 공간에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230)이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의 내부에 수용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That is, the table-shaped rear frame body 210 of the table form frame 200 may further include a table-shaped rear frame body extension 230, which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ble- And a hollow space provided in the hollow space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210.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extension 23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210, And is configured to be retractably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210.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230)은 억지 끼워 맞춤으로 인출 내지 수용 상태가 일정한 외력 이상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위치 고정 상태를 형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230)의 수용 내지 인출 상태를 고정하는 별도의 익스텐션 고정부(2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익스텐션 고정부(240)는 익스텐션 고정 바아(241)와 익스텐션 고정 프레임 관통구(243)와 익스텐션 고정 인출 관통구(245)를 포함한다. 익스텐션 고정 프레임 관통구(243)와 익스텐션 고정 인출 관통구(245)는 각각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와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230)에 배치된다. 익스텐션 고정 인출 관통구(245)는 사전 설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테이블 폼 페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230)의 인출 길이에 따른 고정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The table-shaped rear frame body extension 230, which is retractably received in the table-shaped rear frame body 210, has a structure that forms a position fixing state when an external force equal to or more than a certain amount is applied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extension fixing part 240 for fixing the receiving state or the drawing state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extension 230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at is, the extension fixing part 240 includes an extension fixing bar 241, an extension fixing frame through-hole 243, and an extension fixing through-hole 245. The extension fixing frame through-hole 243 and the extension fixing through-hole 245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table-foam-type main frame 210 and the table-form main frame body extension 230. A plurality of extension fixing through-holes 245 may be provided at preset intervals to adjust the fixing position of the table-form frame frame body extension 230 according to the drawing length.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210)로부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230)가 인출되어 고정되어야 하는 위치가 형성된 경우, 익스텐션 고정 바아(241)를 익스텐션 고정 프레임 관통구(243)와 익스텐션 고정 인출 관통구(245)에 삽입하여 인출 위치를 고정하고 현장에 맞는 배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position where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extension 230 is pulled out and fixed from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210 is formed, the extension fixing bar 241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fixing frame through- It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245 to fix the drawing position and form an arrangement structure suitable for the field.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폼 모듈은 정형화된 폼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유로폼 등과 같은 정형화된 폼이 사용되는 경우, 거푸집 작업 실행을 위해 사용되는 플랫타이와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테이블 폼 모듈에 구비되는 경우가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table form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formalized form. When a formalized form such as a euro form is used, a component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with a flat tie used for executing a formwork operation Or may be provided in the table foam module.

이 경우,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의 측부에는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125)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연속 배치되는 구성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의 측부에는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125)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이 연속 배치되는 경우 테이블 폼 모듈(100) 사이 내지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이 형성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가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의 측부에 형성된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125)가 단독 내지 복수 개가 합쳐져 큰 영역을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듈 블록(4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모듈 블록(400)은 모듈 커넥션 블록(410)과 모듈 사이드 블록(420)을 포함한다. In this case, a link body flat tie-mounting part 125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able-form link body 12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components arranged continuously to prevent leakage of concrete,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in the side of the table form link body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nk body flat tie mounting part 125 is provided, and when a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are arranged continuously, When a plurality of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ies are disposed, the link body flat mount attaching portions 125 formed on the side portions of the respective table foam link bodies 120 are joined together to form a large area, The module block 400 can be further arranged to prevent leakage. The module block 400 includes a module connection block 410 and a module side block 420.

모듈 커넥션 블록(410)은 단일의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내부에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100)이 연속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테이블 폼 링크 바디(120)의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125)에 배치되는데, 단면은 신장된 십자가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모듈 커넥션 블록(410)은 모듈 커넥션 블록 바디(411)와 모듈 커넥션 블록 연장부(413)를 구비하는데, 모듈 커넥션 블록 바디(411)의 양단에 모듈 커넥션 블록 연장부(413)가 배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모듈 커넥션 블록 바디(411)의 두께와 모듈 커넥션 블록 연장부(413)는 두께 차를 갖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들의 크기 등은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12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설계된다. 경우에 따라 모듈 커넥션 바디를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 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두 개의 테이블 폼 모듈(100)의 테이블 폼 링크 바디의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125)에 수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바 별도의 고정 부재를 구비하자 않는 경우를 기술하였다. The module connection block 410 is disposed in the link body flat mount portion 125 of each of the table form link bodies 120 when a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100 are arranged in a single preformed table foam assembly, The cross section may have an elongated cross shape. The module connection block 410 includes a module connection block body 411 and a module connection block extension 413. The module connection block extension 413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module connection block body 411. [ In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module connection block body 411 and the thickness of the module connection block extension portion 41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izes of the module connection block extensions 41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hape of the link body flat- And is designed to have a corresponding shape and siz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link body flat mount part 125 of the table form link body of two adjoining table form modules 100, A case where the structure to be disposed is taken and a separate fixing member is not provided is described.

모듈 사이드 블록(420)은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간의 서로 마주하는 테이블 폼 모듈의 테이블 폼 링크 바디의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125)가 형성하는 부분 내지 단일의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의 테이블 폼 모듈의 최외곽 테이블 폼 링크 바디의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125)가 형성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모듈 사이드 블록(420)은 모듈 사이드 블록 바디(421)와,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모듈 사이드 블록 바디 연장부(423)와 모듈 사이드 블록 바디(421)의 중아에 형성되는 모듈 사이드 블록 바디 체결부(425)를 포함한다. 모듈 사이드 블록 바디(421)는 대응하는 최외곽 위치의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125)에 삽입되고 이 경우 모듈 사이드 블록 바디 연장부(423) 링크 바디 플랫 타이 장착부(125)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모듈 사이드 블록 바디(421)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취한다. 별도의 체결 부재가 모듈 사이드 블록 바디(421)에 형성된 모듈 사이드 블록 바디 체결부(425)를 관통함으로써 소정의 체결 위치 고정 상태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복수 개의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경우 이들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타설된 콘크리트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The module side block 420 is a portion of the table foam module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ies, or the portion formed by the link body flat mounts 125 of the link body of the table foam module, It may be mounted on a portion formed by the link body flat tie mounting portion 125 of the table form link body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hat is, the module side block 420 includes a module side block body 421, a module side block body extension part 423 extended at both ends, and a module side block body fastening part 42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odule side block body 421 (425). The module side block body 421 is inserted into the link body flat tie mounting portion 125 at the outermo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dule side block body 421. In this case, And the side block body 421. A separate fastening member may pass through the module side block body fastening portion 425 formed in the module side block body 421 to form a predetermined fastened position fixing state and a plurality of the assembled table foam assemblies are dispo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the poured concrete from the space between them.

또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에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상태를 감지하거나 또는 거푸집 내지 테이블 폼의 배치 상태를 감지하여 상태 모니터링 내지 이상 상태 감지 대응 기능을 더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curing state of the poured concrete or to detect the placement state of the form or table foam to further monitor the state or to respond to the abnormal state detection.

즉, 본 발명은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1)을 구성할 수 있는데,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1)은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10)와, 테이블 폼 센서부(40)와, 제어부(20)와 저장부(30) 등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테이블 폼 센서부(40)는 테이블 폼 플레이트 측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테이블 폼 센서부(40)는 테이블 폼 프레임에 배치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온도와 같은 상태를 감지하는 테이블 폼 온도 센서(41) 내지 테이블 폼 프레임의 위치 내지 기울기 상태를 감지하는 테이블 폼 기울기 센서(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stitute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system 1, which comprises a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10, a table foam sensor unit 40, a control unit 20, A storage unit 30, and the like. That is, the table form sensor unit 40 is disposed on the table foam plate 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ble form sensor unit 40 is disposed on the table form frame and detects the table foam temperature A table form tilt sensor 43 for sensing the position or inclination of the sensor 41 or the table form frame, and the like.

테이블 폼 센서부(4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는 제어부(20)로 전달되는데, 제어부(20)는 저장부(30)로 전달한다. 저장부(30)에는 사전 설정 저장된 양생 기준 온도 내지 기울기 기준치 등의 사전 설정 테이블 폼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테이블 폼 센서부(40)가 감지한 감지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테이블 폼 센서부(40)에서 감지된 신호와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상태의 정상 여부 내지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출력부(50)를 통하여 현재 상태 내지 이상 유무 등을 표시 내지 출력할 수도 있다. 출력부(5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어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도 있고, 음향 장치로 구현되어 안전 상태 내지 이상 상태에 대한 음향적 경고를 제공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sensed signal sensed by the tablet form sensor unit 4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and the control unit 20 transmits the sensed signal to the storage unit 30. Preset table form data such as a preset reference curing reference temperature and a slope reference valu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or a sensed signal sensed by the table form sensor unit 40 may be stored. The control unit 20 compares the signal sensed by the table form sensor unit 40 with the preset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normal or abnormal and outputs the current state or abnormal state through the output unit 50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or output. The output unit 5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to visually display status information or may be implemented as a sound device to provide an acoustic warning for a safe state or an abnormal state, Do.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10: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20: 제어부
30: 저장부 40: 테이블 폼 센서부
50: 출력부
100: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200: 테이블 폼 프레임
300: 테이블 폼 링키지 400: 모듈 블록
1: Prefabricated table form assembly system
10: Prefabricated table foam assembly 20:
30: storage unit 40: table form sensor unit
50: Output section
100: prefabricated table form assembly 200: table form frame
300: Table form linkage 400: Module block

Claims (13)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테이블 폼 모듈을 연결 지지하는 테이블 폼 프레임과, 상기 테이블 폼 모듈 및 상기 테이블 폼 프레임을 연결하는 테이블 폼 링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폼 모듈은: 콘크리트와 접촉 가능한 테이블 폼 플레이트와, 상기 테이블 폼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테이블 폼 링크 바디와, 상기 테이블 폼 링크 바디의 적어도 일부로 형성되는 모서리 측을 연결하는 테이블 폼 코너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와,
상기 테이블 폼 플레이트 측에 배치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태 내지 상기 테이블 폼 플레이트의 상태를 감지하는 테이블 폼 센서부와, 상기 테이블 폼 센서부의 감지 신호 및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이블 폼의 탈형 내지 상태 변화를 통한 대응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폼 프레임은: 상기 테이블 폼 링크바디가 복수 개가 연결되는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는 중공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는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의 내부에 수용 인출 가능한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 폼 링크 바디의 측부에는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 폼 모듈 사이에 상기 링크 바디 플랫타이 장착부를 폐쇄시키는 모듈 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A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a table form frame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plurality of table form modules, and a table form linkage connecting the table form modules and the table form frames, wherein the table form module comprises: And a table form corner assembly connecting the edge of the table form link body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table form link body. ,
A table form sensor unit disposed on the table foam plate side and sensing the state of the concrete or the state of the table foam plate placed on the table foam plate side,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through a demolding or a state change,
Wherein the table form frame comprises: a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to which a plurality of the table form link bodies are connected,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forms a hollow structure and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And a table-shaped rear frame body extension which can be taken out from the body frame,
Further comprising a link body flat tie mount on a side of the table form link body and a module block between the table form modules to close the link body flat tie mou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링크 바디는:
상기 테이블 폼 링크 바디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아우터 링크 바디와,
상기 아우터 링크 바디의 내부에 연결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 링크 바디의 틀 구조를 지지하고 상기 아우터 링크 바디와 함께 상기 테이블 폼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이너 링크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ble form link body comprises:
An outer link body forming an outer frame of the table form link body,
And an inner link bod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link body to support the frame structure of the outer link body and to stably support the table form plate together with the outer link body. .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는 복수 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i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의 일면에는 상기 테이블 폼 모듈의 안착을 유도하는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guide for guiding the seating of the table form modu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가이드는 삼각 돌기 형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plurality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guides are disposed in a triangular shap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 익스텐션이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에 수용 내지 인출되는 경우 위치 고정하기 위한 익스텐션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fixtur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extension when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extension is received or withdrawn from the table form vertical fram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폼 링키지는:
상기 테이블 폼 모듈 간의 연결을 이루는 모듈 링키지와,
상기 테이블 폼 레테럴 프레임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일단은 상기 모듈 링키지에 연결되는 레테럴 프레임 링키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ble form linkage comprises:
A module linkage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able form modules,
Wherein the at least one table frame compri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table form stationary frame body, and at least one end of the stationary frame linkage is connected to the module linkag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블록은, 상기 테이블 폼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콘트리트의 누설을 방지하는 모듈 커넥션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dule block comprises a module connection block disposed between the table foam modules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cr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블록은, 상기 테이블 폼 모듈의 외곽에 배치되어 콘트리트의 누설을 방지하는 모듈 사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dule block comprises a module side block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table foam module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crete.
삭제delete
KR1020170147649A 2017-11-07 2017-11-07 Table form assembly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KR1019977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649A KR101997721B1 (en) 2017-11-07 2017-11-07 Table form assembly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649A KR101997721B1 (en) 2017-11-07 2017-11-07 Table form assembly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713A KR20190051713A (en) 2019-05-15
KR101997721B1 true KR101997721B1 (en) 2019-07-09

Family

ID=6657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649A KR101997721B1 (en) 2017-11-07 2017-11-07 Table form assembly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72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24Y1 (en) * 2001-09-29 2002-04-10 영산개발 주식회사 Euro-Form Type Concrete Form Made by Synthetic Panel and Frame and Structure of the Frame
KR200439183Y1 (en) * 2006-10-13 2008-03-26 이상선 Sleeper for Flooring Slab
KR100887611B1 (en) * 2007-05-17 2009-03-10 (주)삼아테크 Joint apparatus for form
KR101186711B1 (en) * 2010-08-18 2012-09-27 현대건설주식회사 Method for concrete curing using curing-controllable formwork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993B1 (en) 2014-08-04 2015-04-23 주식회사 블루폼 Transfer apparatus for for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24Y1 (en) * 2001-09-29 2002-04-10 영산개발 주식회사 Euro-Form Type Concrete Form Made by Synthetic Panel and Frame and Structure of the Frame
KR200439183Y1 (en) * 2006-10-13 2008-03-26 이상선 Sleeper for Flooring Slab
KR100887611B1 (en) * 2007-05-17 2009-03-10 (주)삼아테크 Joint apparatus for form
KR101186711B1 (en) * 2010-08-18 2012-09-27 현대건설주식회사 Method for concrete curing using curing-controllable formwor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713A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483B1 (en) The building is equipped with safety scaffold equipment
CN104583510A (en) A lift truck operated stacking formwork table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759710B1 (en) Supporting beam formwork method for forming a beam of buildings
KR101997721B1 (en) Table form assembly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CN103628692B (en) A kind of floor beam mounting bracket and use it to install the method for floor beam
JP5645334B2 (en) Structure dismantling system
KR20150120779A (en) Bracket for the horizontal frame of a one-way steel structure
JP4605310B2 (en) Tower crane mount, tower crane support method, tower crane mount mounting structure
CN205677081U (en) The delay of a kind of Super High steel frame core wall structure semi-girder truss connects equipment
KR20160000312A (en) Scaffolding
CN210152320U (en) Bolt ball node type net rack jig frame
KR20130104923A (en) Assembled gang form
CN210289183U (en) Auxiliary device for mounting beam steel bars
CN110080540B (en) Large-span steel structure slid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3175076U (en) Mounting bracket for mount
KR101702957B1 (en) Table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lab using the same
JPH0874412A (en) Building scaffol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1305596A (en) Rapid dismounting and mounting reinforcing structure for beamless floor slab of bas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8563033U (en) Y type post template connection structure
CN220686865U (en) Assembled high-bearing container house frame
JPH0996114A (en) Form support timbering
CN110318460B (en) Construction method of inverted-step-shaped special-shaped steel structure
CN209907831U (en) Antistatic movable floor support
CN219840351U (en) A pin-connected panel operation platform for elevator well construction
CN217268833U (en) Suspended floor construction support frame with detachable and adjustable s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