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677B1 -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 Google Patents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677B1
KR101997677B1 KR1020190001845A KR20190001845A KR101997677B1 KR 101997677 B1 KR101997677 B1 KR 101997677B1 KR 1020190001845 A KR1020190001845 A KR 1020190001845A KR 20190001845 A KR20190001845 A KR 20190001845A KR 101997677 B1 KR101997677 B1 KR 10199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drone
main body
vertical
lan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규
강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드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드론
Priority to KR102019000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677B1/ko
Priority to PCT/KR2019/013374 priority patent/WO20201454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6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adapted to receive antennas or rado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3/00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23/06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generating vortices
    • B64C23/065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generating vortices at the wing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n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6Undercarriages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5/00Stabilising surfaces
    • B64C5/06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25Fixed-w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10W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2001/0054Fuselage structures substantially made from particular materials
    • B64C2201/021
    • B64C2201/10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10Drag re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40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에 있어서, 드론의 본체부; 드론의 비행을 위해 본체부에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수평 날개부; 및 수평 날개부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높이 및 형상을 가지는 날개부; 및 수평 날개부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높이와 형상을 가지는 하단 날개부;로 구성되어, 수평 날개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수직 날개부;를 포함하되, 하단 날개부는 본체부의 가장 낮은 하부 면의 높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DRONES COMPRISING VERTICAL WINGS PERFORMING A LANDING SUPPORT}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인 드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드론을 경량화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이란 무선전파를 통해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를 뜻한다. 군수산업의 목적으로 시작된 최근 기술에 발전에 따라 상업적인 목적이나 연구적인 목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소형 드론의 경우 그 활용도가 다양하여, 운송, 보안, 감시, 관측 등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상황이다.
소형 드론 중 대부분은 배터리를 통해 작동하기 때문에 많은 드론 제작사가 드론의 무게를 경량화 하여 장시간 가동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많은 제작사가 내부 부품의 소형화나 가벼운 소재를 적용하여 드론을 경량화 하고 있으나, 부품의 소형화나 가벼운 소재를 적용하는 경우 드론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회사가 드론의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무게를 경량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론의 경량화를 위해 수직 날개를 랜딩 프레임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드론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에 있어서, 드론의 본체부; 드론의 비행을 위해 본체부에 지상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수평 날개부; 및 수평 날개부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높이 및 형상을 가지는 날개부; 및 수평 날개부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높이와 형상을 가지는 하단 날개부;로 구성되어, 수평 날개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수직 날개부;를 포함하되, 하단 날개부는 본체부의 가장 낮은 하부 면의 높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단 날개부는 본체부와 맞닿는 접촉면,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단 모서리와 후단 모서리, 본체부와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는 윙팁(wing tip)을 포함하며, 전단 모서리와 후단 모서리가 이루는 면은 윙팁으로 향할수록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단 모서리는 오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단 날개부의 윙팁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단 날개부는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되며, 대칭되는 위치에서 서로 대칭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 날개부와 하단 날개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날개부는 일체형으로 구비된 수직 날개부의 일부분을 통과하며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하부 일 영역에는 본체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단 날개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보조 날개부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날개부는 상기 드론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하단 날개부와 서로 반대된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날개부는 상기 하단 날개부와 이등변삼각형의 꼭지점 형태가 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날개부는 드론이 착륙 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단 날개부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되, 보조 날개부의 윙팁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는 카본재질로 형성되고, 수평 날개부 및 수직 날개부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카본섬유 강화플라스틱), 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ABS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단 날개부의 윙팁에는 상기 드론이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착륙하기 위해 마찰력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게 형성되는 소재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상부 일 영역에는 드론의 조작을 위한 안테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는 손잡이의 역할을 겸하기 위해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고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하부 일 영역에는 외부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드론의 이동 경로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탐지기능을 포함하고, 위치 탐색기능과 드론의 이동 거리에 따른 배터리 소모율에 기초하여 최적의 귀환 경로를 산출하는 기능이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생성된 수직 날개를 랜딩 프레임으로 이용하게 되는 구조를 통해 별도의 랜딩 프레임을 달지 않게 되어 드론을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의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추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추진부를 가지는 드론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드론은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통상 이착륙(ctol; conventional take-off and landing)의 비행 특성을 가지는 비행체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구현하려는 드론의 비행 특성에 따라 수직 이착륙(vtol; vertical take-off and landing)을 수행하는 비행체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드론의 비행 특성에 의해 구현되는 구조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론은 본체부(100), 수평 날개부(200) 및 수직 날개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현되는 드론은 비행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랜딩 기어나 지지체를 생략하고, 드론의 하부면으로 형성되는 날개를 통해 이를 대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드론이 랜딩 기어나 지지체를 구현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무게의 상승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본체부(100)는 통상적으로 드론이 비행에 필요한 기계/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본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형태는 구현하려는 비행의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본체부(100)는 통상 이착륙에 특화되어 있는 구조로서, 공기저항을 낮출 수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수평 날개부(200)는 드론의 비행을 위해 양력을 발생시키며, 본체부(100)에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된 날개를 뜻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이착륙의 특성을 가지기 위해 수평 날개부(200)의 단면은 에어포일(airfoil)의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또한, 수평 날개부(200)는 적어도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날개부(200)가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전익기(flying wing), 선미익(canard) 혹은 회전익기(rotorcraft) 등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구현하려는 비행 형태에 따라 수평 날개부(200)가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수평 날개부(200)의 구현 방법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수직 날개부(300)는 수평 날개부(200)의 끝과 본체부(100)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현될 수 있지만, 추가 실시예로 본체부(10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직 날개부(300)는 상단 날개부와 하단 날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단 날개부는 수평 날개부(200)를 기준으로 상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높이와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하단 날개부는 수평 날개부(200)를 기준으로 하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높이와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수직 날개부(300)의 하단 날개부는 본 발명에서 랜딩 지지체를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경량화 된 드론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체부(100)는 카본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 날개부(200)와 수직 날개부(300)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카본섬유 강화플라스틱), 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ABS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본체부(100)와 날개부(200,3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하단 날개부의 윙팁(wing tip)은 드론이 지상을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이착륙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이착륙을 위해 마찰력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소재로 하단 날개부의 윙팁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의 좌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론의 좌측면도에서 본체부(100)에 구비되는 보조 날개부(110)와 안테나부(120)를 확인할 수 있고, 수직 날개부(300)를 구성하는 상단 날개부(310)와 하단 날개부(320)를 확인할 수 있다.
상단 날개부(310)는 수평 날개부(200)를 기준으로 상부면에 위치하고, 통상적인 수직꼬리날개(vertical tail)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단 날개부(310)는 드론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형태와 크기는 구현되는 드론의 비행 방법이나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단 날개부(320)는 수평 날개부(200)를 기준으로 하부면에 위치하며, 수직꼬리날개 및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하단 날개부(320)의 형태는 본체부(100)와 맞닿는 접촉면, 접촉면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단 모서리(322)와 후단 모서리(323), 본체부와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는 윙팁(321)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전단 모서리(322)와 후단 모서리(323)가 이루는 면은 윙팁으로 향할수록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단 모서리(322)는 오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단 날개부(320)를 통해 드론이 공력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때, 하단 날개부(320)도 적어도 한 쌍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수평 날개부(200)에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서로 대칭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랜딩 지지체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하단 날개부(320)는 본체부(100)의 가장 낮은 하부면의 높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본체부(100)의 하부면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드론이 랜딩 후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하단 날개부(320)의 윙팁(321)은 편평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수직 날개부(300)는 상단 날개부(310)와 하단 날개부(3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추가 실시에로 상단 날개부(310)와 하단 날개부(320)가 분리되어 비행에 적합한 공력을 출력할 수 있는 위치에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날개부(300)가 상단 날개부(310)와 하단 날개부(320)의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수평 날개부(200)가 수직 날개부(300)의 일 부분을 통과하며,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조 날개부(110)는 비행 시 공력을 생성하는 역할 및 드론의 착륙 시, 본체부(100)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 날개부(110)는 본체부(100)의 하부 일 영역에 구비되어 본체부(1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단 날개부(32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게 된다.
즉, 보조 날개부(110)는 본체부(100)의 하부면부터 지상까지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보조 날개부(110)는 드론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하단 날개부와 서로 반대된 방향에 구비되고, 하단 날개부(320)와 이등변삼각형의 꼭지점 형태로 배치되도록 본체부(100)의 하부 일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보조 날개부(110)도 하단 날개부(320)와 마찬가지로 윙팁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드론이 지상에 착륙하였을 시 보조 날개부(110)와 하단 날개부(320)의 지지를 착륙하게 되는 것이다.
추가 실시예로 보조 날개부(110)도 하단 날개부(320)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0)에서 가장 넓은 폭을 가지고, 윙팁에 가까워질수록 좁은 폭을 가지는 곡률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체부(100)의 상단면에 구비되어 드론을 조작하기 위한 안테나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3을 참조하면, 안테나부는 손잡이의 역할을 겸하기 위해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고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론의 본체부(100)에서 추진부(130)를 더 확인할 수 있다.
드론의 추진부(130)는 비행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드론에 존재할 수 있다.
추진부(130)를 구현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5 및 도 6을 통해 그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
안테나부(12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추가 실시예로 손잡이가 제외된 곡면형태로 구현되어 드론의 비행 능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의 저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론의 하단에서 센서부(140)를 확인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본체부(100) 하단 일 영역에 구비되어, 외부의 환경정보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40)의 센싱 기능 중에는 드론의 이동 경로를 측정할 수 있는 GPS와 같은 위치 탐지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탐지기능을 바탕으로 드론의 이동 거리와 베터리 소모율을 기초하여 최적의 귀환 경로를 산출할 수 있는 기능이 센서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카메라나 열감지 센서 등이 센서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추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추진부(130)를 가지는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드론의 추진부(130)가 비행체 엔진의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고, 도 6을 참조하면 드론의 추진부(130)는 프로펠러의 형태로 구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진부(130)는 드론의 본체부(100)나 수평 날개부(2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어디에나 구비가 가능하다.
이때, 비행체 엔진의 형태로 추진부(130)가 구현되는 경우, 드론의 후면 일 영역에 구현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추진부(130)가 프로펠러의 형태로 구현되면 도6에 도시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회전익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에 추진부(130)의 구현방식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하지만, 추진부(130)가 구현되는 방법에 따라 드론의 본체부(100), 수평 날개부(200) 및 수직 날개부(300)의 형태가 최적의 공력을 낼 수 있도록 달라질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부 110: 보조 날개부
120: 안테나부 130: 센서부
140: 추진부
200: 수평 날개부
300: 수직 날개부
310: 상단 날개부 320: 하단 날개부

Claims (17)

  1.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에 있어서,
    드론의 본체부;
    상기 드론의 비행을 위해 상기 본체부에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수평 날개부;
    상기 수평 날개부의 끝과 상기 본체부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수평 날개부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높이 및 형상을 가지는 상단 날개부; 및 상기 상단 날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평 날개부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높이와 형상을 가지는 하단 날개부;로 구성되는 수직 날개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 영역에는 상기 본체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단 날개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보조 날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날개부는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대칭되는 위치에서 서로 대칭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 날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가장 낮은 하부 면의 높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맞닿는 접촉면,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단 모서리와 후단 모서리, 상기 본체부와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는 윙팁(wing tip)을 포함하며, 상기 전단 모서리와 후단 모서리가 이루는 면은 상기 윙팁으로 향할수록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보조 날개부는 상기 드론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하단 날개부와 서로 반대된 방향에 구비되되, 상기 보조 날개부가 한 쌍의 상기 하단 날개부와 이등변삼각형의 꼭지점 형태가 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모서리는 오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날개부의 윙팁(wing tip)은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날개부와 하단 날개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날개부는 상기 일체형으로 구비된 수직 날개부의 일부분을 통과하며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날개부는 상기 드론이 착륙 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 날개부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되, 상기 보조 날개부의 윙팁이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카본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날개부 및 수직 날개부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카본섬유 강화플라스틱), 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ABS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날개부의 윙팁에는 상기 드론이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착륙하기 위해 마찰력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게 형성되는 소재로 코팅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 영역에는 상기 드론의 조작을 위한 안테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손잡이의 역할을 겸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고리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 영역에는 외부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론의 이동 경로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탐지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탐지기능과 상기 드론의 이동 거리에 따른 베터리 소모율에 기초하여 최적의 귀환 경로를 산출하는 기능이 더 포함되는 것인,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KR1020190001845A 2019-01-07 2019-01-07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KR101997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45A KR101997677B1 (ko) 2019-01-07 2019-01-07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PCT/KR2019/013374 WO2020145485A1 (ko) 2019-01-07 2019-10-11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45A KR101997677B1 (ko) 2019-01-07 2019-01-07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677B1 true KR101997677B1 (ko) 2019-10-02

Family

ID=6842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845A KR101997677B1 (ko) 2019-01-07 2019-01-07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7677B1 (ko)
WO (1) WO20201454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166A (ko) *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경기항공 이동이 용이한 드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621A (en) * 1996-06-10 1999-01-19 Eurocopter France Helicopter landing gear with skids
KR101116831B1 (ko) * 2009-08-27 2012-03-05 (주)아모스텍 지능형 무인 소형 비행체 로봇 조정 시스템
US20140158816A1 (en) * 2012-12-07 2014-06-12 Delorean Aerospace, Ll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20150367932A1 (en) * 2013-10-05 2015-12-24 Dillon Mehul Patel Delta M-W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683784B1 (ko) * 2016-08-22 2016-12-09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지도 처리시스템
KR101697681B1 (ko) * 2014-12-03 2017-01-19 문기범 고정 로터형 드론
KR101776954B1 (ko) * 2015-12-16 2017-09-08 주식회사 샘코 분리형 날개를 가진 다목적 하이브리드 수직 이착륙 무인항공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621A (en) * 1996-06-10 1999-01-19 Eurocopter France Helicopter landing gear with skids
KR101116831B1 (ko) * 2009-08-27 2012-03-05 (주)아모스텍 지능형 무인 소형 비행체 로봇 조정 시스템
US20140158816A1 (en) * 2012-12-07 2014-06-12 Delorean Aerospace, Ll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20150367932A1 (en) * 2013-10-05 2015-12-24 Dillon Mehul Patel Delta M-W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697681B1 (ko) * 2014-12-03 2017-01-19 문기범 고정 로터형 드론
KR101776954B1 (ko) * 2015-12-16 2017-09-08 주식회사 샘코 분리형 날개를 가진 다목적 하이브리드 수직 이착륙 무인항공기
KR101683784B1 (ko) * 2016-08-22 2016-12-09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지도 처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166A (ko) *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경기항공 이동이 용이한 드론
KR102639304B1 (ko) 2021-09-14 2024-02-21 주식회사 지에이 이동이 용이한 드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485A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222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foldable fixed wing and based on twin-ducted fan power system
US7854409B2 (en) Canarded deltoid main wing aircraft
CN101795939B (zh) 斜置翼身融合飞机
US11577827B2 (en) YAW-enhancing attitude control system for VTOL fixed-wing aircraft
US20080149758A1 (en) Modular unmanned air-vehicle
US20070215746A1 (en) Aircraft Having A Ring-Shaped Wing Structure
US11505315B2 (en) Flying object and flying object position control system
CN109808913B (zh) 一种带有可偏转翼梢小翼的无人机设计方法
US20070029440A1 (en) Aircraft configuration for micro and mini uav
US20060016931A1 (en) High-lift, low-drag dual fuselage aircraft
US20160096613A1 (en) Vtol symmetric airfoil fuselage of fixed wing design
KR102135285B1 (ko) 수직 이착륙 고정익 무인기
US20210016877A1 (en) A structure construction for an aircraft and aircraft comprising the structure construction
CN105905295A (zh) 垂直起降固定翼飞行器
CN106672231A (zh) 无人驾驶飞行器
US20180334253A1 (en) Aircraft comprising a wing formed by a plurality of distributed airfoils
KR101997677B1 (ko) 랜딩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 날개를 포함하는 드론
CN103863561B (zh) 一种机翼可折叠式垂直起降无人机
CN208134595U (zh) 一种荷载20公斤级长航时无人机
CN110844071A (zh) 一种可长航时宽速域高机动巡飞的无人飞行器
CN207078323U (zh) 微小型可悬停固定翼飞行器
US6435932B1 (en) Model space craft glider
US20190092448A1 (en) Tail-less unmanned aerial vehicle
CN212423467U (zh) 一种可长航时宽速域高机动巡飞的无人飞行器
US6732974B1 (en) Tiper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