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270B1 - Polymer solution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polymer purifying method, and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 Google Patents

Polymer solution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polymer purifying method, and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270B1
KR101997270B1 KR1020130076330A KR20130076330A KR101997270B1 KR 101997270 B1 KR101997270 B1 KR 101997270B1 KR 1020130076330 A KR1020130076330 A KR 1020130076330A KR 20130076330 A KR20130076330 A KR 20130076330A KR 101997270 B1 KR101997270 B1 KR 101997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polymer
dope
filtra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3207A (en
Inventor
가즈마사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2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2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00Preparation of cellulose esters of organic acids
    • C08B3/06Cellulose acetate, e.g. mono-acetate, di-acetate or tri-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3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in the centre of the conduit
    • B01F25/31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in the centre of the conduit with additional mixing means other than injector mixers, e.g. screens, baffles or rotat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용액의 여과 방법 및 장치, 폴리머 정제 방법, 그리고 용액 제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해 탱크 (6) 에서, 원료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17) 를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에 용해시켜, 도프 (21) 를 만든다. 도프 (21) 를 보조제 여과 방식의 여과기 (12) 에 의해 여과한다. 여과 개시시에, 용매 첨가 유닛 (13) 에 의해, 여과기 (12) 의 상류측에서 도프 (21) 에 용매를 첨가하여 도프 (21) 의 점도를 저하시킨다. 이 점도 저하분에 대응시켜 도프 (21) 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처리량을 향상시킨다. 도프 (21) 를 온도 조절기 (23b) 에 의해 가열한다. 가열에 의한 도프 (21) 의 점도 저하분에 대응하는 용매량을 구하고, 이 분량만큼 용매 첨가 유닛 (13) 에서 용매 첨가량을 줄인다. 여과를 개시할 때나, 여과를 정지시킬 때에, 여과 보조제의 박리에서 기인하는 여과 보조제의 도프 (21) 로의 혼입을 피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lymer solution, a polymer purification method, and a solution film formation method. In the dissolving tank 6, the raw material cellulose acylate 17 is dissolved in methylene chloride 18 to form a dope 21. The dope 21 is filtered by the filter 12 of the auxiliary filter system. A solvent is added to the dope 21 at the upstream side of the filter 12 by the solvent addition unit 13 at the start of filtration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dope 21. [ The flow rate of the dope 21 is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viscosity decrease, and the throughput is improved. The dope 21 is heated by the temperature regulator 23b. The amount of solvent corresponding to the viscosity decrease of the dope 21 due to heating is determined and the amount of the solvent added in the solvent addition unit 13 is reduced by this amoun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incorporation of the filter aid into the dope 21 caused by the separation of the filter aid when the filtration is started or when the filtration is stopped.

Figure R1020130076330
Figure R1020130076330

Description

폴리머 용액의 여과 방법 및 장치, 폴리머 정제 방법, 그리고 용액 제막 방법{POLYMER SOLUTION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POLYMER PURIFYING METHOD, AND SOLUTION FILM FORMING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solution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a polymer purification method, and a solution film formation method.

본 발명은, 폴리머 용액을 여과 보조제에 의해 여과하는 여과 방법 및 장치, 폴리머 정제 방법, 그리고 용액 제막 (製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 polymer solution with a filter aid, a polymer purification method, and a solution film formation method.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는, 편광판의 보호 필름이나 시야각 확대 필름을 비롯한 여러가지 폴리머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학 용도의 폴리머 필름의 제법으로는, 용융 제막 방법, 용액 제막 방법 등이 있다. 용액 제막 방법은, 폴리머와 용매를 함유하는 폴리머 용액 (이하, 도프라고 칭한다) 을, 주행하는 지지체 상에 유연하여 유연막을 형성한 후, 유연막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하고, 건조시켜 필름으로 하는 방법으로, 가열 공정이 없는 점에서, 용융 제막 방법과 같은 열에 의한 필름에 대한 손상의 문제가 없다. 따라서, 투명도의 높음이나 안정적인 광학 특성이 요구되는 폴리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최적이다. BACKGROUND ART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use various polymer films including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ing plate and a viewing angle enlarging film. Example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such a polymer film for optical use include a melt film-forming method, a solution film-forming method, and the like. In the solution film-forming method, a polymer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and a solv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ope ") is formed on a running support to form a coherent film, then the coherent film is peeled off from the support, Since there is no heating process, there is no problem of damage to the film due to heat such as the melt film forming method. Therefore, it is optimal a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film which requires high transparency and stable optical characteristics.

그런데, 도프 중에는, 도프의 용매에 불용인 이물 (異物) 로서, 원래 도프의 원료에 함유되어 있던 불순물이나, 도프를 조제할 때에 혼입된 먼지나 티끌 등의 불순물이 혼입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불순물을 함유하는 도프를 사용하면, 지지체 상에 불순물이 오염으로서 석출되어, 지지체로부터 유연막을 박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것 외에, 완성된 필름에서는 불순물이 위치하는 지점에 있어서 광의 산란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 때문에, 도프를 유연에 제공하기 전에, 도프 중의 불순물을 가능한 한 제거해 둘 필요가 있다. Incidentally, in the dope, impurities such as dust and dirt mixed in the raw material of the original dope and mixed in preparation of the dope may be mixed as a foreign matter insoluble in the solvent of the dope. However, when a dopant containing an impurity is used, impurities are precipitated as impurities on the support, and it becomes difficult to separate the flexible film from the support. In addition, in the finished film, problems such as light scattering Cause.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remove impurities in the dope as much as possible before providing the dope to the softener.

그래서, 통상, 용액 제막 방법에서는, 도프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유연하기 전의 도프를 다공질의 여과재로 여과한다. 여과재로는, 여과지나 금속 필터, 여과포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어떠한 여과재도 여과 개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할수록 통액공이 폐색되어, 여과 시간이 길어지고, 여과 유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여과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를 갖는다. Therefore, in general, in the solution film-forming method, the dope before being softened is filtered with a porous filter medium for the purpose of removing impurities in the dope. As the filter medium, a filter, a metal filter, a filter cloth or the like is u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the filtration material is occluded, the filtration time becomes longer, and the filtration flow rate decreases as time elapses from the start of filtration of any filter material.

또, 여과지나 금속 필터, 여과포 등과 같은 여과재만의 사용에서는, 용매에 대해 난용성을 나타내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여과재 외에 여과 보조제를 사용함으로써, 난용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보조제 여과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여과 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이산화규소 (SiO2) 등의 불활성인 입자 또는 분말이 사용된다. 이 여과 보조제는 금망 (金網) 필터 등의 여과재 지지체 상에 랜덤하게 퇴적시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퇴적층이 형성된 여과재에 도프를 통과시키면, 난용성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불순물을 여과 보조제에 흡착시켜 회수할 수 있는 점에서, 청징도가 높은 양호한 도프가 얻어진다. 그 밖에도, 여과 보조제를 사용하면, 여과재의 클로깅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이 전망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only a filter material such as a filter, a metal filter, a filter cloth or the like, it is difficult to remove impurities showing poor solubility in a solvent. Thu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proposes an auxiliary filtration method for removing impure substances by using a filter aid in addition to the filter medium. As the filter aid, for example inert particles or powder such as silicon dioxide (SiO 2 ) are used. This filter aid is used by being deposited randomly on a filter medium support such as a gold mesh filter. When the dope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medium having such a sediment layer formed thereon, irrespective of whether it is poorly soluble or not, impurities can be adsorbed on the filter aid and recovered, and a good dope with high clarity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f a filter aid is used, clogging of the filter medium can be suppressed, and productivity is expected to be improv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14057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214057

그러나, 여과 보조제를 사용하는 여과 방식에서는, 여과시의 여과 압력의 급격한 변동에 의해, 여과 보조제가 여과재 지지체로부터 박리되어, 하류로 흘러, 이물 고장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여과 압력의 변동은 최대한 억제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 이 때문에, 여과 개시시부터 정상 상태가 될 때까지, 또는 정상 상태로부터 여과 정지시까지의 동안, 여과 압력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여과 유량을 완만하게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여과 유량을 완만하게 상승시키면, 여과 유량을 완만하게 상승시키는 공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filtration system using the filter aid, the filtration aid is peeled off from the filter medium support due to abrupt fluctuation of the filtration pressure during filtration, and flows downstream, which may cause a failure of the foreign matter. Therefore, there is a demand to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filtration pressure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iltrate flow rate gently to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filtration pressure from the start of filtration to the steady state, or from the steady state to the filtration stop. However, if the filtration flow rate is increased gently,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of gently increasing the filtration flow rate is prolong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본 발명의 과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여과 개시나 종료시 등의 과도기에 있어서의 여과 압력의 변동을 억제하여, 여과 보조제가 하류로 흘러 이물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도록 한 폴리머 용액의 여과 방법 및 장치, 폴리머 정제 방법, 그리고 용액 제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ymer solution which suppresses the fluctuation of filtration pressure in a transient state such as at the start and end of filtration and prevents the filtration aid from flowing downstream, A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a polymer purification method, and a solution film formation method.

본 발명의 폴리머 용액의 여과 방법은, 여과 보조제를 갖는 여과기를 사용하여, 폴리머 및 용매를 함유하는 폴리머 용액을 여과하는 여과 방법으로서, 여과기의 상류측에서 폴리머 용액에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폴리머 용액의 점도를 낮추고, 여과기의 압력 손실의 변동을 일정 범위 내로 억제하는 용매 첨가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ltration method of the polymer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ration method for filtrating a polymer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and a solvent by using a filter having a filtration aid agent, wherein a solvent is added to the polymer solution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lter, And a solvent addition step of lowering the viscosity and suppressing the fluctuation of the pressure loss of the filter within a certain range.

여과기에 보내지는 폴리머 용액을 가열하여 폴리머 용액의 점도를 점감 (漸減) 시키는 가열 공정과, 가열 공정에 의한 폴리머 용액의 점도 저하분에 대응시켜, 이 점도 저하분에 대응하는 용매 첨가 공정의 용매 첨가량을 점감시키는 용매 첨가 점감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heating step of heating the polymer solution sent to the filter to gradually decrease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solution and a step of adjusting the amount of solvent added in the solvent addition step corresponding to the viscosity decrease And a solvent addition diminution step of decreasing the solvent addition amount.

본 발명의 폴리머 정제 방법은,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시켜 폴리머 용액을 얻는 용해 공정과, 상기 폴리머 용액의 여과 방법을 사용하는 여과 공정과, 폴리머 및 용매와 비상용성이고, 용매의 비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있는 액체에, 여과 공정을 거친 폴리머 용액을 산포하고 용매를 건조시켜 폴리머를 석출하는 폴리머 석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for purifying a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solving step of dissolving a polymer in a solvent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a filtration step of using a filtration method of the polymer solution, and a step of mixing the polymer and the solvent, And a polymer precipitation step of dispersing the polymer solution obtained through the filtration process on the liquid containing the polymer solution and drying the solvent to precipitate the polymer.

또한, 용해 공정에서는, 폴리머 용액 농도를 2 질량% 이상 19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과 공정은, 절대 여과 정밀도가 2 ㎛ 이상 30 ㎛ 이하인 보조제 여과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매는 단일 종류의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머가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이고, 용매가 메틸렌클로라이드이며, 액체가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머 석출 공정에서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용액의 온도가 20 ℃ 이상 120 ℃ 이하이고, 물의 온도가 4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dissolving step,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solution is preferably 2% by mass or more and 19% by mass or less. In the filtration step,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uxiliary filter filtration with an absolute filtration accuracy of 2 탆 or more and 30 탆 or less. The solvent is preferably a single kind of solvent.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olymer is cellulose acylate, the solvent is methylene chloride, and the liquid is water. In the polymer precipitation step, the temperature of the cellulose acylate solution is preferably 20 占 폚 to 120 占 폚, and the water temperature is preferably 40 占 폚 to 100 占 폚.

본 발명의 용액 제막 방법은, 상기 폴리머 정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석출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시켜 폴리머 용액을 만드는 용해 공정과, 이 용해 공정으로부터 얻어진 폴리머 용액에 대해, 첨가제가 혼합되어 첨가제액을 인라인 첨가하는 첨가 공정과, 첨가제액이 첨가된 폴리머 용액을 유연 도프로 하여 유연 다이로부터 유연 지지체에 흘려 유연막을 형성하는 유연 공정과, 유연막을 유연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olution film-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solution step of dissolving a precipitated polymer obtained by the above-mentioned polymer purification method into a solvent to form a polymer solution, and a step of mixing the additive with the polymer solution obtained from this dissolution step, A softening step of forming a flexible film by flowing the polymer solution to which the additive liquid has been added in a soft dope from a flexible die into a flexible support, and a drying step of peeling the flexible film from the flexible support and drying.

본 발명의 여과 장치는, 여과 보조제를 사용하여, 폴리머 및 용매를 함유하는 폴리머 용액을 여과하는 여과기와, 여과기의 상류측에서 폴리머 용액에 용매를 첨가하여 점도를 낮추고, 여과기의 압력 손실의 변동을 일정 범위 내로 억제하는 용매 첨가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과기에 보내지는 폴리머 용액을 가열하여, 폴리머 용액의 점도를 점감시키는 가열 유닛과, 가열 유닛에 의한 폴리머 용액의 점도 저하분에 대응시켜 용매 첨가 유닛에 의한 용매 첨가량을 점감시키는 제어 유닛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lter for filtering a polymer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and a solvent by using a filter aid, and a solvent for adding a solvent to the polymer solution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lter to lower the viscosity, And a solvent addition unit for inhibiting the solvent addition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heating unit that heats the polymer solution sent to the filter and diminishes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solution and a control unit that decreases the amount of solvent added by the solvent adding unit in correspondence with the viscosity decrease of the polymer solution by the heating unit .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 개시로부터 정상 상태까지, 또는 정상 상태로부터 여과 정지까지의 여과 압력의 급격한 변동을 억제하여, 여과 보조제의 폴리머 용액 중으로의 유출을 없앨 수 있다. 또, 여과 개시시 또는 종료시의 여과 처리량을 향상시켜, 효율이 양호한 여과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효율이 양호한 여과 처리에 의해, 폴리머의 정제나 용액 제막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brupt fluctuation of the filtration pressure from the start of filtration to the steady state or from the steady state to the filtration stop can be suppressed, and the outflow of the filtration aid into the polymer solution can be eliminated. Further, the amount of filtration at the time of starting filtration or at the end of filtration can be improved, and a filtration process with a good efficiency can be performed. By the filtration treatment having a good efficiency, the purification of the polymer and the solution film formation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도 1 은, 본 발명의 폴리머 정제 설비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여과기의 여과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용매 첨가 유닛 및 스태틱 믹서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고분자 용액에 있어서의 도프 농도와 점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압력 손실과 고형분 처리량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 은, 도프 온도 및 용매 첨가량을 변화시키지 않는 상태에서의 여과기의 여과 개시 처리에 있어서의 도프 유량, 압력 손실, 도프 온도, 및 용매 첨가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도프를 서서히 가열시킨 상태에서의 여과기의 여과 개시 처리에 있어서의 도프 유량, 압력 손실, 도프 온도, 및 용매 첨가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도프를 가열시키면서 용매 첨가량을 점증시킨 상태에서의 여과기의 여과 개시 처리에 있어서의 도프 유량, 압력 손실, 도프 온도, 및 용매 첨가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석출기 및 진동 체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은, 용액 제막 설비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은, 다이나믹 믹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a polymer refining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medium of a filter.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olvent addition unit and a static mixer.
4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pe concentration and the viscosity in the polymer solution.
5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ure loss and the solid throughput.
6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s in the flow rate of the dope, the pressure loss, the dope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the solvent added in the filtration start treatment of the filter without changing the dope temperature and the solvent addition amount.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s in the flow rate of the dope, the pressure loss, the dope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the solvent added in the filtering start treatment of the filter in the state where the dope is gradually heated.
8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flow rate of the dope, the pressure loss, the dope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the solvent added in the filtration start treatment of the filter in the state where the amount of solvent added is increased while heating the dope.
9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cipitator and a vibrating body.
10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olution film-forming apparatus.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ynamic mixer.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머 정제 설비 (5) 는, 용해 탱크 (6) 와, 도프 공급 관로 (7) 와, 석출기 (8) 와, 진동 체 (9) 와, 열풍 건조기 (10) 와, 분쇄기 (19) 를 구비하고 있다. 도프 공급 관로 (7) 는, 전환 밸브 (7a) 와, 펌프 (11) 와, 여과기 (12) 와, 용매 첨가 유닛 (13) 과, 스태틱 믹서 (14) 와, 압력 조절 밸브 (7b) 를 갖는다. 1, the polymer refining equipment 5 includes a melting tank 6, a dope supply line 7, a precipitator 8, a vibrating body 9, a hot air dryer 10, , And a crusher (19). The dope supply line 7 has a switching valve 7a, a pump 11, a filter 12, a solvent addition unit 13, a static mixer 14, and a pressure control valve 7b .

용해 탱크 (6) 에는, 원료 폴리머로서의 원료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이하, 원료 CA 라고 한다) (17) 가 투입된다. 또, 용해 탱크 (6) 에는, 용매 공급 관로 (15) 를 통하여 용매 저류 탱크 (16) 가 접속되어 있다. 이 용매 저류 탱크 (16) 에는 용매로서의 메틸렌클로라이드 (18) 가 저류되어 있다. 그리고, 용매 저류 탱크 (16) 로부터 용매 공급 관로 (15) 에 의해, 용해 탱크 (6) 에 메틸렌클로라이드 (18) 가 투입된다. 용해 탱크 (6) 는 교반기 (6a) 를 갖는다. 이 교반기 (6a) 에 의해, 원료 CA (17) 의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에 대한 용해가 촉진되어, 원료 CA (17) 가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에 용해된 폴리머 용액 (도프) (21) 이 얻어진다. 도프 (21) 에 있어서의 원료 CA (17) 의 농도 (폴리머 용액 농도) 는 예를 들어 7 질량% 이다. 이 도프 농도는 2 질량% 이상 19 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이다. 도프 농도가 2 질량% 미만에서는 용매 제거 비용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 19 질량% 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고, 여과에 의한 압력 손실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A raw material cellulose acy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aw material CA) 17 as raw material polymer is fed into the dissolution tank 6. A solvent reservoir tank 16 is connected to the dissolution tank 6 through a solvent supply conduit 15. Methylene chloride (18) as a solvent is stored in the solvent storage tank (16). Then,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injected into the dissolution tank 6 from the solvent storage tank 16 through the solvent supply conduit 15. The dissolving tank 6 has an agitator 6a. The dissolution of the raw CA 17 in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promoted by the agitator 6a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dope) 21 in which the raw material CA 17 is dissolved in methylene chloride 18 Loses. The concentration of the raw material CA 17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solution) in the dope 21 is, for example, 7 mass%. The dope concentration is 2 mass% or more and 19 mass% or less, preferably 5 mass% or more and 14 mass% or less. When the dope concentration is less than 2 mass%, the solvent removal cost becomes high, which is not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19 mass%, the viscosity becomes high and the pressure loss due to filtration becomes high, which is not preferable.

용해 탱크 (6) 에서는, 재킷 (6b) 에 의한 가열·보온 효과에 의해, 도프 (21) 의 온도를 예를 들어 120 ℃ 로 유지한다. 또한, 도프 (21) 는 용해 탱크로 가열하는 것 외에, 용해 탱크 (6) 의 하류측에 별도로 가열 장치를 설치하여, 도프 (21) 를 소정 온도로 가열해도 된다. 이 도프 (21) 의 온도는 20 ℃ 이상 1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프 (21) 의 온도가 20 ℃ 미만에서는 냉각이 필요하게 되고, 또 증발에 필요한 에너지가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 120 ℃ 를 초과하면 일반적으로 배관 소재의 부식이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도프 (21) 의 설정 온도 예를 들어 120 ℃ 의 유지는, 압력 조절 밸브 (7b) 까지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노즐 (25) 로부터 분출된 상태에서는 40 ℃ 부근이 된다. 얻어진 도프 (21) 는 도프 공급 관로 (7) 의 여과기 (12) 에 보내진다.In the dissolving tank 6, the temperature of the dope 21 is maintained at, for example, 120 DEG C by the heating / heating effect by the jacket 6b. The dope 21 may be heated by a heating device separately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issolution tank 6 to heat the dope 21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dope 21 is preferably 20 占 폚 to 120 占 폚. If the temperature of the dope 21 is lower than 20 캜, it is necessary to cool it and the energy required for evaporation becomes large.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120 ° C, corrosion of the piping material is liable to occur, which is not preferable. The holding temperature of the dope 21, for example, 120 DEG C is up to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7b, and becomes about 40 DEG C in a state of being ejected from the first nozzle 25 as described later. The obtained dope 21 is sent to the filter 12 of the dope supply line 7.

여과기 (12) 에서는, 보내져 온 도프 (21) 로부터, 예를 들어 5 ㎛ 정도의 이물을 제거한다. 여과기 (12) 는 보조제 여과 방식으로, 절대 여과 정밀도는 2 ㎛ 이상 30 ㎛ 의 범위 내로서, 최종 제품, 예를 들어 광학 필름의 용도나 사용 부위에 따라 절대 여과 정밀도가 결정된다. 또한, 절대 여과 정밀도 5 ㎛ 이하란, 99.9 % 이상 제거 가능한 사이즈가 5 ㎛ 인 것을 의미한다. The filter 12 removes impurities of, for example, about 5 mu m from the dope 21 that has been sent. The filter 12 is an assistant filtration system, and the absolute filtration accuracy is in the range of 2 to 30 μm, and the absolute filtration accuracy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final product, for example, the optical film and the use site. The absolute filtration accuracy of 5 占 퐉 or less means that the size that can be removed by 99.9% or more is 5 占 퐉.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과기 (12) 내의 여과재 (12a) 는, 금망 필터 (12b), 및 여과 보조제 (12c) 의 퇴적층 (12d) 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 전의 여과기 (12) 내는 단지 금망 필터 (12b) 가 있을 뿐으로, 이 상태로는 여과를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금망 필터 (12b) 상에 일정 두께의 퇴적층 (12d) 을 형성한다. 이 초기의 퇴적층 (12d) 이 프레코트 (12e) 가 된다. 이 프레코트 (12e) 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시되지 않은 프레코트액 순환부에 의해, 일정 시간 프레코트액을 여과기 (12) 내에 순환시킨다. 도프 (21) 중의 불순물 등의 이물 (21a) 은, 여과재 (12a) 를 통과할 때에 포착된다. As shown in Fig. 2, the filter medium 12a in the filter 12 is composed of a metal mesh filter 12b and a deposit layer 12d of the filter aid 12c. Since the filter 12 before use has only the network filter 12b and filtration can not be performed in this state, a deposited layer 12d having a certain thickness is formed on the network filter 12b. This initial deposit layer 12d becomes the precoat 12e. In order to form the precoat 12e, the precoated liquid circulating unit (not shown) circulates the precoated liquid in the filter 12 for a predetermined time. Foreign matter 21a such as impurities in the dope 21 is trapped when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dium 12a.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과기 (12) 에 대해 도프 공급 관로 (7) 의 상류측에는, 용매 첨가 유닛 (13) 및 스태틱 믹서 (14) 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매 첨가 유닛 (13) 은, 도프 공급 관로 (7) 내에 배치되는 첨가 노즐 (13a) 을 갖는다. 첨가 노즐 (13a) 은 편평하게 조여진 노즐구 (13b) 로부터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를 도프 (21) 중에 보낸다. A solvent addition unit 13 and a static mixer 14 are arranged in series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ope supply line 7 with respect to the filter 12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solvent addition unit 13 has an addition nozzle 13a disposed in the dope supply line 7. As shown in Fig. The addition nozzle 13a sends the methylene chloride 18 into the dope 21 from the flattened nozzle orifice 13b.

스태틱 믹서 (14) 는, 도프 공급 관로 (7) 의 유로 (14a) 내에 배치되는 제 1 엘리먼트 (14b) 와 제 2 엘리먼트 (14c) 가 복수 개 직렬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제 1 엘리먼트 (14b) 와 제 2 엘리먼트 (14c) 는, 혼합의 각도나 방향을 바꾼 이종 (異種) 엘리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종 엘리먼트의 종류나 직렬 배치 개수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이들 각 엘리먼트 (14b, 14c) 를 통과함으로써, 도프 (21) 에 메틸렌클로라이드 (18) 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도프 (21) 의 농도가 낮아진다. The static mixer 14 is constitut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rst elements 14b and second elements 14c arranged in series in the flow path 14a of the dope supply line 7. [ The first element 14b and the second element 14c are composed of different kinds of elements that change the angle or direction of mixing. In addition, the kind of the heterogeneous elements and the number of series arrangement may be changed as appropriate. By passing through these elements 14b and 14c,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uniformly mixed in the dope 21,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dope 21 is lowered.

다음으로, 여과기 (12) 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에 대해 설명한다. 층류에 대한 압력 손실을 나타내는 하겐·포아즈이유 (Hagen-Poiseuille) 식을 여과기 (12) 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에 적용하는 것은 충분히 이치에 맞다. 이 하겐·포아즈이유 식을 이하에 나타낸다. Next, the pressure loss in the filter 12 will be described. It is perfectly reasonable to apply the Hagen-Poiseuille equation, which represents the pressure loss to the laminar flow, to the pressure loss in the filter 12. This Hagen-Poissy equation is shown below.

Ff=(ΔPf/ρ)=32·μ·L·u/(ρ·D2)Ff = (ΔPf / ρ) = 32 · μ · L · u / (ρ · D 2)

또한, Ff 는 마찰 에너지 손실 유량, ΔPf 는 압력 손실, ρ 는 유체의 밀도, μ 는 점도, L 은 경로 길이, u 는 평균 유속, D 는 경로 단면적이다. 이 하겐·포아즈이유 식에 의하면, 여과시의 압력 손실 ΔPf 는, 점도 μ 와 평균 유속 u 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식을 사용한 경우, 필터에서의 압력 손실 ΔPf 는, 사용하는 여과기 형상이 정해지면 (=L, D), 그 후에는, 온도와 농도의 함수인 점도 μ 와, 유속 (=유량) u 에 의해 정해진다. 유체 밀도 ρ 는 거의 일정하여, 본 건에서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속 u 를 높여 가는 데에 반해, 반대로 점도 μ 를 낮춤으로써, 보조제 누출 (여과 보조제 (12c) 가 금망 필터 (12b) 보다 하류로 흐르는 것) 을 발생시키는 필터 압력 손실 (ΔP) 의 변동을 없앨 수 있다. Ρ is the density of the fluid, μ is the viscosity, L is the path length, u is the average flow velocity, and D is the path cross-sectional area. According to this Hagen-Poissy equation, the pressure loss? Pf at the time of filtration is found to be proportional to the viscosity μ and the average flow velocity u.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is formula, the pressure loss? Pf in the filter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Lt; / RTI > The fluid density p is almost constant and can be ignored in this case. Therefore, the variation of the filter pressure loss? P, which causes the auxiliary agent leakage (the filtration aid 12c flowing downstream of the mesh filter 12b) by increasing the flow velocity u inversely, It can be eliminated.

도 4 는, 일반적인 고분자 용액에 있어서의 도프 농도와 점도 μ 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당수의 고분자 용액에서는, 도프 농도가 높아짐으로써 점도 μ 도 지수 함수적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도프 (21) 의 농도를 예를 들어, 8 질량% 에서 4 질량% 로 저하시키면, 점도는「16」에서「4」로 저하되어, 저하 전의 값에 대해 1/4 이 된다. Fig. 4 shows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pe concentration and the viscosity? In a general polymer solution. In a considerable number of polymer solutions, the viscosity mu increases exponentially as the dope concentration increases. Therefore,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ope 21 is reduced from, for example, 8 mass% to 4 mass%, the viscosity decreases from "16" to "4", and becomes 1/4 of the value before the drop.

도 5 는 압력 손실 (ΔP) 과 고형분 처리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압력 손실 (ΔP) 은 여과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이 압력 손실 (ΔP) 을 제약이라고 생각한 경우에는, 저농도일수록 처리량이 증가된다. 압력 손실 (ΔP) 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점도 μ× 유량 u 의 함수로 나타낸다. 또, 고형분 처리량은 도프 농도×유량 u 의 함수로 나타낸다. 또한 점도 μ 는 도프 농도의 2 승의 함수가 된다. 따라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프 농도를 절반, 예를 들어 8 질량% 에서 4 질량% 로 저하시키면, 점도 μ 는 1/4 이 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 손실 (ΔP) 이 예를 들어「8」일 때에, 유량은 4 배, 고형분 농도는 절반이 되므로, 도프 농도가 8 질량% 인 경우, 고형분 처리량이「4」인 데에 반해, 도프 농도가 4 질량% 인 경우, 고형분 처리량이「8」로, 고형분 처리량은 2 배가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압력 손실에서도 도프 (21) 의 농도를 낮게 함으로써, 고형분 처리량이 대폭 증가되어, 처리량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 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 (ΔP) 은, 도프 농도가 4 질량% 인 처리량을 1 로 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수치화하고 있다. 또, 도 4 에 있어서의 점도 μ 도, 도프 농도가 2 질량% 일 때를 1 로 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수치화하고 있다. 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ure loss? P and the solid throughput. The pressure loss (? P) is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filtration life. When this pressure loss? P is regarded as a constraint, the processing amount i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s low. The pressure loss? P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viscosity μ × the flow rate u as described above. The solids throughput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dope concentration x flow rate u. The viscosity μ is a function of the square of the dope concentration. 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dope concentration is reduced from half, for example, from 8 mass% to 4 mass%, the viscosity 占 becomes 1/4. As shown in Fig. 5, when the pressure loss? P is, for example, "8", the flow rate is four times and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s half, so that when the dope concentration is 8 mass% , Whereas when the dope concentration is 4% by mass, the solid content throughput is " 8 ", and the solid content throughput is doubl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by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ope 21 even at the same pressure loss, the solid content throughput can be greatly increased and the throughput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In addition, the pressure loss? P in Fig. 5 is a numerical value based on the processing amount of the dope concentration of 4 mass% set as 1. Also, the viscosity 占 in Fig. 4 is 1 when the dope concentration is 2 mass%, and is numerically expressed based on this value.

또한, 종래의 여과 방법에서는, 보조제 누출과 여과 효율의 관점에서, 이하와 같은 2 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iltration method, the following two methods can be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auxiliary agent leakage and filtration efficiency.

(1) 도 6(A) 에 실선 L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제 누출을 허용하여 여과를 실시하고,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1) As shown by the solid line L1 in Fig. 6 (A), the auxiliary agent is allowed to leak and filtration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throughput.

(2) 도 6(A) 에 파선 L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제 누출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량을 희생시키고 저유량 기간을 길게 하여, 여과를 실시한다.(2) As shown by the broken line L2 in Fig. 6 (A), filtration is performed by sacrificing the throughput and lengthening the low flow rate period so as not to cause auxiliary agent leakage.

상기 (1) 의 보조제 누출을 허용하여 여과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유량 (Q1) 이 조기에 상승하기 때문에, 처리량이 대 (大) 가 된다. 그러나, 단위시간 당의 압력 손실 변화량 ΔP1/t0 이 커져, 보조제 누출이 발생하기 쉬운 것, 후단에 고정밀도 필터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설비 투자가 고액이 되는 것, 메인터넌스 비용이 커지는 것, 스타트업시의 처리량이 증가하는 것 등의 불이익이 발생한다.In the case of performing filtration by allowing the auxiliary agent leakage in the above (1), the flow rate Q1 is raised early, and the throughput becomes large. However, since the amount of pressure loss change per unit time < RTI ID = 0.0 > P1 / t0 < / RTI > increases, auxiliary material leakage tends to occur and a high precision filter is required at the rear end. And the disadvantage that the throughput increases.

상기 (2) 의 처리량을 희생시키는 경우에는, 단위시간 당의 압력 손실 변화량 ΔP2/t0 이 작기 때문에, 보조제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지만, 소정 유량 (Q1) 이 될 때까지 유량 (Q) 이 낮은 상태가 계속되기 때문에, 처리량이 적어져, 스타트업 시간이 길어진다. 이 때문에, 생산 능력이 저하되는 불이익이 있다. 또한, 도 6 에 있어서는, 도프 (21) 의 온도는 일정하고, 용매도 첨가할 필요는 없어「0」이다. In the case of sacrificing the throughput of the above (2),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uxiliary pressure leakage amount does not occur because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er unit time? P2 / t0 is small, but the flow rate Q is low Since the state continues, the throughput decreases and the start-up time becomes longer.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oduction capacity is lowered. In Fig. 6, the temperature of the dope 21 is constant, and there is no need to add a solvent, which is " 0 ".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압력 손실 (ΔP) 을 하겐·포아즈이유 식으로 정리할 수 있는 것에 주목하여, 이하와 같은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압력 손실 (ΔP) 을 일정 범위 내로 하여 보조제 누출을 없애면서, 효율이 양호한 여과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하겐·포아즈이유 식에 있어서, 압력 손실 (ΔP) 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평균 유속 u 과 점도 μ 의 곱 u·μ 을 일정하게 하면 된다. 그리고, 고생산성을 위해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프 (21) 의 온도를 높이는 것에 의한 점도 μ 의 저하분에 대응시켜, 평균 유속 u 을 높이는 방법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프 (21) 의 온도를 높임과 함께 용매 첨가를 실시하여, 평균 유속 u 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ressure loss? P can be arranged in the Hagen-Poissy equation, by performing the following control, the pressure loss? P is kept within a certain range, The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with good efficiency. In order to keep the pressure loss [Delta] P constant in the Hagen-Poisson formula, the product u · μ of the average flow velocity u of the fluid and the viscosity μ can be made constant. For high productivity, as shown in Fig. 7, 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average flow velocity u in correspondence to a decrease in the viscosity 占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dope 21, a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average flow velocity u as shown in Fig. 21) is increased and solvent addition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average flow velocity u.

도 7 은, 도프 (21) 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그 점도 μ 를 낮추고, 이 점도 저하분에 대응시켜 평균 유속 u 을 높여, 여과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유량 (Q) 을 목표치 Q1 까지 높이기 위한 제 1 단계에서는, 도프 온도를 효율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풀 능력으로 상승시킨다. 이 때, 압력 손실 (ΔP) 의 시간 변화인 압력 손실 변화량 ΔP3/t0 을 감시하면서 온도 상승을 실시한다. 또한, 도 6 및 도 7 에서는, 용매는 첨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프 밀도 (ρ) 는 일정해져, 유량 (Q) 과 압력 손실 (ΔP) 의 추이는 거의 동일하다. FIG. 7 shows that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dope 21, the viscosity μ is lowered and the average flow velocity u is increa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iscosity decrease, thereby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In the first step for raising the flow rate Q to the target value Q1, the dope temperature is elevated in terms of efficiency, for example, in a full capacity.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rise is performed while monitoring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3 / t0, which is a time change of the pressure loss? P. 6 and 7, since the solvent is not added, the dope density p is fixed, and the transition of the flow rate Q and the pressure loss? P is almost the same.

도 7(C) 는 시간 경과에 의한 도프 (21) 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프 온도의 상승의 상한은, 이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먼저, 설비 능력을 지나치게 높이면, 투자 비용이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 열원 온도를 지나치게 높이면, 고분자 용액이 비등하여, 고형분의 석출이나, 기포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양자를 고려하여 적정한 값으로 결정한다. Fig. 7 (C) shows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dope 21 over time. The upper limit of the increase of the dope temperatur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First, if the facility capacity is excessively high, the investment cost becomes large, which is undesirable. In addition, if the heat source temperature is excessively high, the polymer solution may boil up, causing problems such as precipitation of solid matter and generation of bubbles, which is not preferable. Therefore, a proper valu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both.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만을 높이는 경우에는, 단위시간 당의 압력 손실 변화량 ΔP3/t0 이 작다. 동시에 단위시간 당의 압력 손실 변화량 ΔP3/t0 을 허용 범위로 제한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실제로는, 단위시간 당의 압력 손실 변화량 ΔP3/t0 을 계측하여, 허용할 수 없는 값이면, 유속의 상승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처리량은 중 정도가 되지만, 단위시간 당의 압력 손실 변화량 ΔP3/t0 이 작기 때문에, 보조제 누출은 없어진다. As shown in Fig. 7, when only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3 / t0 per unit time is small. At the same time, control is performed to limit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3 / t0 per unit time to the allowable range. Actually,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3 / t0 per unit time is measured, and if the value is an unacceptable value, control is performed so as to reduce the rising speed of the flow velocity. In this embodiment, the throughput is moderate, but since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3 / t0 per unit time is small, auxiliary agent leakage is eliminated.

도 8 은, 도프 (21) 의 온도 (T) 를 높이는 것 외에, 도프 (21) 에 용매를 첨가하여, 점도 μ 를 저하시키고, 이 점도 저하분에 대응시켜 평균 유속 u 을 높여, 여과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프 (21) 의 온도 상승 외에, 용매를 첨가하여 도프 농도를 낮춤으로써, 도프 (21) 의 점도 μ 가 더욱 저하된다. 유량 (Q) 을 목표치 Q2 까지 높이기 위한 제 1 단계에서는, 온도를 풀 능력으로 상승시킴과 함께, 용매 첨가량을 증가시킨다. 온도는 상승을 계속하여 그 이상으로 점도 저하가 필요한 분량에 대해서는, 용매 첨가량을 증가시킨다. 8 shows a case where the solvent T is added to the dope 21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temperature T of the dope 21 and the viscosity μ is decreased to increase the average flow velocity u . In addition to the temperature rise of the dope 21, when the solvent is added to lower the dope concentration, the viscosity? Of the dope 21 is further lowered. In the first step for raising the flow rate Q to the target value Q2,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by the full capacity and the amount of the solvent is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rise, the amount of solvent added is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amount required to lower the viscosity further.

도프 유량 (Q) 이 일정 (=Q2) 해진 제 2 단계에서도, 도프 온도 (T) 는 상승을 계속한다. 용매 첨가량이 일정하면, 도프 (21) 의 점도 μ 가 저하되고, 압력 손실 (ΔP) 이 내려간다. 따라서, 이 압력 손실 (ΔP) 이 내려가는 분량만큼 용매 첨가량 X 를 서서히 줄여 간다. 그리고, 제 2 단계의 마지막에는, 도프 온도 (T) 는 최대치 T3 까지 도달한다. 그 후의 제 3 단계에서는, 서서히 용매 첨가량 X 를 낮추어 감으로써, 압력 손실 (ΔP) 의 상승 속도를 제어한다.Even in the second step in which the dope flow rate Q is constant (= Q2), the dope temperature T continues to rise. When the amount of solvent added is constant, the viscosity? Of the dope 21 decreases and the pressure loss? P decreases. Therefore, the solvent addition amount X is gradually reduced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lowering of the pressure loss? P. At the end of the second step, the dope temperature T reaches the maximum value T3. In the subsequent third step, the increasing rate of the pressure loss? P is controlled by gradually decreasing the amount X of the solvent added.

이 도 8 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에서는, 단위시간 당의 압력 손실 변화량 ΔP4/t0 이 작기 때문에, 여과 보조제의 누출은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실제로는, 도프 (21) 의 가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일정하게 하고, 유속도 일정하게 높여 간다. 그리고, 단위시간 당의 압력 손실 변화량 ΔP4/t0 의 상승을 계측하여, 허용할 수 없는 상승인 경우에, 용매 첨가량을 증감시켜 제어 범위 내로 제한한다. 또한, 도 7 의 최종적인 압력 손실 (ΔP3) 에 비해, 도 8 에 나타내는 최종적인 압력 손실 (ΔP4) 이 높아지고 있지만, 변화량이 중요하고, 최종적인 압력 손실 (ΔP4) 이 높은 것 자체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in Fig. 8, since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DELTA P4 / t0 per unit time is small, leakage of the filtration aid agent does not occur. In practice, the temperature rise due to the heating of the dope 21 is made constant, and the flow rate is constantly raised. Then, the rise of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4 / t0 per unit time is meas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ddition amount of the solvent to limit the control range. Although the final pressure loss? P4 shown in Fig. 8 is higher than the final pressure loss? P3 in Fig. 7, the fact that the amount of change is important and the final pressure loss? P4 is high, It does not.

여과 개시 처리에서는, 여과기 (12) 에 도프 (21) 가 보내져 여과가 개시된다. 또한, 여과 개시 전의 프레코트 처리에서는, 여과기 (12) 에 프레코트액이 공급됨으로써,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망 필터 (12b) 에 여과 보조제 (12c) 가 랜덤하게 퇴적되어 퇴적층 (12d) 이 형성된다. 이 퇴적층 (12d) 의 초기 상태가 프레코트 (12e) 가 된다. In the filtration start processing, the dope 21 is sent to the filter 12 to start filtration. 2, the filtration aid 12c is randomly deposited on the metal mesh filter 12b, so that the deposit layer 12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medium 12b, . The initial state of the deposit layer 12d becomes the precoat 12e.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 (23) 는 펌프 (11) 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도프 (21) 의 유량 (Q) 을 조절하고,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과 개시시에는 도프 유량 (Q) 을「0」에서 소정량 Q2 가 되도록 점증시켜 간다. 또, 컨트롤러 (23) 는, 온도 조절기 (23b) 를 제어하고, 이 제어에 의해 온도 조절기 (23b) 는 도프 (21) 를 가열하여,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프 (21) 의 온도 (T) 를 서서히 높여 간다. 즉, 온도 조절기 (23b) 는, 가열 유닛의 일 양태로서 기능한다. 또한 컨트롤러 (23) 는, 유량 조절 밸브 (23a) 를 제어하여 도프 (21) 에 대한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의 첨가량 X 를 점증시킨다. 그리고, 도프 유량 (Q) 이 목표치인 일정치 Q2 에 도달한 시점에서, 컨트롤러 (23) 는, 유량 조정 밸브 (23a) 를 제어하여, 온도 가열분에 의한 도프 점도 저하에 상당하는 분량만큼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의 첨가량 X 를 점감시켜 간다. 즉, 컨트롤러 (23) 와 유량 조정 밸브 (23a) 는, 제어 유닛의 일 양태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여과 개시 처리로부터 정상 처리로 이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ler 23 adjusts the flow rate Q of the dope 21 b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ump 11, and when the filtration is started as shown in Fig. 8 (A) The flow rate Q is increased from "0" to a predetermined amount Q2. The controller 23 controls the temperature regulator 23b so that the temperature regulator 23b heats the dope 21 to regulate the temperature of the dope 21 as shown in Fig. The temperature (T) is gradually increased. That is, the temperature regulator 23b functions as an embodiment of the heating unit. The controller 23 also controls the flow rate control valve 23a to increase the addition amount X of the methylene chloride 18 to the dope 21. [ When the dope flow rate Q reaches the target constant value Q2, the controller 23 controls the flow rate adjustment valve 23a so that the amount of methylene chloride The additive amount X of the additive 18 is decreased. That is, the controller 23 and the flow rate adjusting valve 23a function as one aspect of the control unit. Thereby, the transition from the filtration start process to the normal process can be performed.

컨트롤러 (23) 에 있어서의 제어 파라미터로는, 도프 유량, 도프 온도, 용매 첨가량이 있다. 모두를 제어하면서 운전해도 되지만, 간단한 제어로 하기 위해서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의 비점이 40 ℃ 이고, 도프 온도에 제약이 있으며, 용매 첨가량에 제약이 없는 것으로 하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ntrol parameters in the controller 23 include a dope flow rate, a dope temperature, and a solvent addition amount.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the control so that the boiling point of methylene chloride is 40 DEG C, the dope temperature is limited, and the amount of the solvent is not limited.

운전의 개시 전에는, 초기 설정이 실시된다. 초기 설정에서는, 여과의 유량 증가 속도, 도프 (21) 의 가열 속도, 및 용매 첨가량이 설정된다. 여과의 유량 증가 속도는 생산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 유량 증가 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본 방식을 사용하는 이점이 없어진다. 지나치게 높으면, 용매 첨가량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용매 제거 공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커진다. 따라서, 유량 증가 속도는, 에너지 효율이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최적치가 결정된다. 도프 (21) 의 가열 속도는, 설비 규모로부터 결정된다. 예를 들어, 용매의 비점, 폴리머 변성을 허용하는 범위에서 도프 (21) 의 가열 속도는 크게 설정된다. 용매 첨가량은 에너지 효율이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최적치가 설정된다. Before the start of the operation, the initial setting is performed. In the initial setting, the flow rate increase rate of the filtration, the heating rate of the dope 21, and the solvent addition amount are set. The flow rate increase rate of the filtra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If the flow rate increase rate is too low, the advantage of using this method is eliminated. If it is excessively high, the amount of the solvent to be added is excessively increased, resulting in a large energy loss in the solvent removing step. Therefore, the flow rate increase rate is determined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efficiency and productivity. The heating rate of the dope 21 is determined from the facility scale. For example, the heating rate of the dope 21 is set to a large value within a range that permits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and the polymer denaturation. The amount of the solvent added is set to an optimum value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and productivity.

초기 설정 후에 프레코트 처리가 실시된다. 프레코트 처리에서는, 도시 생략된 프레코트 형성 라인으로부터 여과 보조제 (12c) 가 보내져,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과 보조제 (12c) 가 금망 필터 (12b) 상에 퇴적됨으로써, 프레코트 (12e) 가 형성된다. 이 프레코트 처리 후에 여과가 개시된다. After the initial setting, the pre-coat process is performed. In the pre-coat treatment, the filter aid 12c is sent from the not-shown pre-coat formation line, and the filter aid 12c is deposited on the metal mesh filter 12b as shown in Fig. 2, . Filtration is started after this pretreatment.

여과 처리에서는, 먼저 도프 온도가 일정 속도로 올라간다. 그리고, 이 가열 중에 단위시간 당의 압력 손실 변화량 ΔP4/t0 을 일정 시간마다 구한다. 이 압력 손실 변화량 ΔP4/t0 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면, 보조제 누출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제 누출을 억제하도록 용매를 첨가한다. In the filtration process, the dope temperature first rises at a constant rate. Then, during this heating,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DELTA P4 / t0 per unit time is obtain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When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4 / t0 exceeds a certain range, auxiliary agent leakage occurs. Therefore, as shown in Fig. 8 (C), a solvent is added so as to suppress the leakage of the auxiliary agent.

표 1 은, 압력 손실 변화량 ΔP4/t0 (Mpa/h) 을 변화시켰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표 1 중에서,「A」는 육안에 의한 보조제 누출이 없는 경우를,「B」는 육안에 의한 보조제 누출이 있지만, 충분히 허용 내인 경우를,「C」는 육안에 의한 보조제 누출이 있고, 다음 공정의 여과 부하가 상승하지만, 겨우 허용 범위 내인 경우를,「D」는 보조제 누출이 있어, 여과 효과가 없는 경우를 각각 의미하고 있다. 이 표 1 로부터, 압력 손실 변화량 ΔP4/t0 이 0.8 Mpa/h 를 초과하면, 보조제 누출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보조제 누출이 다소 남지만, 다음 공정의 여과 부하를 높일 필요가 없는 0.6 Mpa/h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0.5 Mpa/h 이하이면, 다음 공정의 여과 부하가 없어 바람직하다. 또한 0.4 Mpa/h 이하이면, 육안 관찰이기는 하지만, 보조제 누출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았다. Table 1 shows the results when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4 / t0 (Mpa / h) is changed. In Table 1, " A " indicates that there is no auxiliary agent leakage due to the naked eye; " B " indicates auxiliary agent leakage due to visual examination; Quot; D " means a case where there is an auxiliary agent leakage, and a case where there is no filtering effect, respectively. From Table 1, when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4 / t0 exceeds 0.8 MPa / h, auxiliary agent leakage occurs.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agent leakage is somewhat left, but not more than 0.6 Mpa / h, which does not need to increase the filtration load in the next step. If it is 0.5 MPa / h or less, it is preferable because there is no filtration load in the next step. If it is 0.4 MPa / h or less, occurrence of auxiliary agent leakage was not observed although it was observed with naked eyes.

압력 손실 변화량
ΔP4/t0
(Mpa/h)
Pressure loss variation
ΔP4 / t0
(Mpa / h)
0.20.2 0.40.4 0.50.5 0.60.6 0.80.8 0.90.9
결과result AA AA BB CC DD DD

이상과 같이 하여, 여과 개시 처리를 종료하고, 정상 상태로 이행하면, 그 후에는 이 정상 상태를 유지하면서, 여과 처리가 실시된다. 폴리머 정제 설비 (5) 를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여과 정지 처리가 실시된다. 이 여과 정지 처리에서는, 도 8 과는 시간 경과를 반대로 한 패턴에 의해, 도프 온도와 용매 첨가량이 제어되어, 단위시간 당의 압력 손실 변화량 ΔP4/t0 이 일정해지도록 하여, 도프 유량을 점감시켜「0」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여과 정지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여과 처리량을 줄이지 않고, 또한 여과 보조제 누출을 없애어, 여과를 효율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ltration start processing is terminated and the state is shifted to the steady state, the filtr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is steady state. When the polymer refining equipment 5 is stopped, filtration stop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is filtration stop process, the dope temperature and the solvent addition amount are controlled by a pattern in which the time lapse is reversed from that in Fig. 8, so that the pressure loss change amount P4 / t0 per unit time becomes constant, " By performing the filtration stop treatment in this manner, filtration can be stopped efficiently without reducing the filtration throughput and eliminating leakage of the filtration aid.

여과 정상 처리에 있어서, 여과 보조제 (12c) 에 의해 포착된 이물 (21a) 의 퇴적 등에 의해 여과 압력이 높아져 여과 한계에 이르렀을 때에는, 도시되지 않은 보조제 회수 라인에 의해 여과기 (12) 로부터 여과 보조제 (12c) 가 회수된다. 또, 여과기 (12) 내가 용매로 세정된다. 그 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코트 형성 라인으로부터 새로운 여과 보조제 (12c) 가 보내져, 여과 보조제 (12c) 가 퇴적됨으로써 금망 필터 (12b) 상에 프레코트 (12e) 가 형성된다. 이 프레코트 (12e) 의 형성 후에 여과 개시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여과 종료 후의 보조제 회수나 프레코트 (12e) 의 형성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66569호 등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iltration normal treatment, when the filtration pressure has reached a filtration limit due to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21a trapped by the filtration aid 12c or the like, the filter aid 12 is fed from the filter aid 12 12c are retrieved. Further, the filter 12 is washed with a solvent. Thereafter, as shown in Fig. 2, a new filtration aid 12c is sent from the precoat forming line, and the filtration aid 12c is deposited to form the precoat 12e on the metal mesh filter 12b. After the formation of the precoat 12e, the filtration start treatment is performed. Further, the recovery of the auxiliary agent after completion of the filtr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precoat 12e are described in detail in, for exampl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9-66569,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여과 방법에서는, 여과 개시부터 정상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나, 정상 상태로부터 여과 정지나 여과 종료될 때까지의 여과 공정에 있어서, 도프 (21) 의 점도에 주목하여, 점도를 변화시키는 요인인 도프 (21) 의 온도나, 도프 (21) 에 대한 용매 첨가량을 제어함으로써, 여과 처리량을 증가시키면서, 여과 보조제 (12c) 의 누출이 없게 여과를 개시하거나 종료하거나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lt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ttention is paid to the viscosity of the dope 21 in the filtration process from the start of filtration to the steady state, the filtration from the steady state to the stop of filtration, The filtration amount can be increas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dope 21 and the amount of solvent added to the dope 21 as a factor for changing the amount of the filtration aid 12c and the filtration can be started or terminated without leakage of the filtration aid 12c.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여과기 (12) 에 의해 여과된 도프 (21) 는, 석출기 (8) 에 보내져, 여기서 도프 (21) 중의 폴리머가 석출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석출기 (8) 는 내부의 기체 및 액체가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경우가 없는 밀폐 타입이며, 예를 들어 횡형의 원통 탱크가 사용된다. 석출기 (8) 의 내부에는, 도프 (21) 중의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를 증발시키기 위해서,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의 비점 이상의 온도로 유지된 온수 (22) 가 저류되어 있다. The dope 21 filtered by the filter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sent to the precipitator 8 where the polymer in the dope 21 is precipitated. As shown in Fig. 9, the precipitator 8 is a sealed type in which gas and liquid inside do not leak out to the outside, and for example, a horizontal cylindrical tank is used. Hot water 22 maintained at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methylene chloride 18 is stored in the precipitator 8 in order to evaporate the methylene chloride 18 in the dope 21.

석출기 (8) 의 저부에는 불활성 가스 (공기나 질소 등) 의 배출 노즐 (24) 이 배치되어 있다. 배출 노즐 (24) 에 보내지는 불활성 가스의 온도는, 20 ℃ 이상 100 ℃ 이하로 유지되어 있다. 이 배출 노즐 (24) 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 가스 중에 물에 대한 난용해 성분인 메틸렌클로라이드 (18) 가 방산된다. 초기의 불활성 가스 기포 중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농도는 0 이고, 이에 반해 수중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농도가 높은 경우, 이 농도 차를 구동력으로 하여 물과 기포의 경계막을 통과시켜, 메틸렌클로라이드 (18) 가 물에서 기포로 이동한다. 그리고, 기포 온도가 높을수록, 기포 중의 포화 증기압은 높아지므로, 이동할 수 있는 메틸렌클로라이드량이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도프 (21) 중의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의 증발이 촉진되어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불활성 가스의 온도가 100 ℃ 를 초과하면, 물이 비등할 우려가 있어, 그 결과 증기 중의 물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100 ℃ 이하로 한다. A discharge nozzle 24 for discharging an inert gas (air, nitrogen, or the like)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precipitator 8. The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sent to the discharge nozzle 24 is maintained at 20 ° C or more and 100 ° C or less. Methylene chloride 18, which is a poorly soluble component for water, is dissipated into the inert ga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4.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methylene chloride in the inert gas bubbles is 0, while when the concentration of methylene chloride in the water is high,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is used as a driving force to pass through the boundary membrane between water and air bubbles, and methylene chloride (18) Move. And, the higher the bubble temperature, the higher the saturated vapor pressure in the bubbles, so the amount of methylene chloride that can be moved increases. As a result, the evaporation of the methylene chloride 18 in the dope 21 is promoted and the efficiency is improved. If the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exceeds 100 ° C, there is a fear that the water boils, and as a result, the water content in the steam increases, so that the temperature is 100 ° C or lower.

석출기 (8) 에 공급되는 온수 (22) 의 온도는, 4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40 ℃ 미만에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18) 가 증발하지 않아, 폴리머의 석출이 불가능해진다. 또, 100 ℃ 를 초과하면 물을 액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여압 운전이 필요하여,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22 supplied to the precipitator 8 is preferably 40 ° C or higher and 100 ° C or lower. If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40 占 폚, the methylene chloride 18 does not evaporate, and precipitation of the polymer becomes impossible.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100 캜,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essurized pressure to keep the water in a liquid state, which is not preferable.

석출기 (8) 의 내면 상부에는, 제 1 노즐 (25) 및 제 2 노즐 (26) 이 배치된다. 또, 석출기 (8) 내부에는 교반 날개 (27) 가 배치된다. 교반 날개 (27) 는 회전축 (27a) 에 복수의 날개체 (27b) 를 고정시켜 구성되어 있다. 이 교반 날개 (27) 는, 회전축 (27a) 이 수평이 되도록 석출기 (8) 내에 장착된다. 회전축 (27a) 의 일단은 석출기 (8) 로부터 외부로 나와 있고, 이것에 모터 (29) 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 (29) 의 회전에 의해, 교반 날개 (27) 를 회전시켜, 석출기 (8) 내의 온수 (22) 를 교반하여, 수면 온도가 일정해지도록 유지한다. A first nozzle (25) and a second nozzle (26)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cipitator (8). In addition, the stirring wing (27) is disposed inside the precipitator (8). The stirring blades 27 are constituted by fixing a plurality of blades 27b to the rotating shaft 27a. The stirring vane 27 is mounted in the precipitator 8 so that the rotating shaft 27a is horizontal. One end of the rotary shaft 27a extends outward from the extruder 8, and the motor 29 is connected to this. The rotation of the motor 29 causes the stirring vanes 27 to rotate so that the hot water 22 in the precipitator 8 is stirred to keep the water surface temperature constant.

교반 날개 (27) 의 회전축 (27a) 은, 1 개여도 되고 복수 개여도 된다. 복수 개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것끼리 회전 방향을 바꾸어도 되고, 동일 방향이어도 된다. 그리고, 온수 (22) 가 수면 근처에서 배출구 (8a) 를 향하여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반 날개 (27) 의 배치 방향이나 교반 날개의 형식은 도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컨대 석출기 (8) 내의 온수 (22) 를 교반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The number of the rotary shafts 27a of the stirring blades 27 may be one or plural.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units, adjacent units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or in the sam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t water 22 flows from the vicinity of the water surface toward the discharge port 8a.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tirring blades 27 and the shape of the stirring blades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but any other arrangem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stir the hot water 22 in the precipitator 8.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노즐 (25) 에는 도프 공급 관로 (7) 가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노즐 (25) 로부터는 도프 (21) (도 9 참조) 가 분사되어 수면을 향하여 산포된다. 압력 조절 밸브 (7b) 로부터 석출기 (8) 의 제 1 노즐 (25) 까지의 배관은 짧게 형성되어 있어, 도프 (21) 가 석출기 (8) 내에서 안정적으로 플래시 증발된다. 또한, 제 1 노즐 (25) 은 1 개만 배치되어 있지만, 배치 갯수는 1 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증가시켜도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first nozzle 25 is connected to a dope supply line 7. As a result, the dope 21 (see FIG. 9) is sprayed from the first nozzle 25 and scattered toward the water surface. The piping from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7b to the first nozzle 25 of the precipitator 8 is formed to be short so that the dope 21 is stably flash evaporated in the precipitator 8. Although only one first nozzle 25 is disposed, the number of the nozzles 25 is not limited to one but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제 2 노즐 (26) 에는 온수 공급 관로 (28) 가 접속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노즐 (26) 은, 석출기 (8) 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노즐 헤드 (26a) 와, 이 노즐 헤드 (26a) 에 소정 피치로 배치되는 복수의 노즐 본체 (26b) 로 구성되어 있다. 온수 공급 관로 (28) 는, 온수 저류 탱크 (39) 로부터의 온수 (22) 를 제 2 노즐 (26) 에 보낸다. 이로써, 제 2 노즐 (26) 로부터는 온수 (22) 가 분사되어 수면을 향하여 산포된다. A hot water supply line 28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zzle 26. 9, the second nozzle 26 includes a nozzle head 26a arrang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precipitator 8 and a plurality of nozzle bodies 26a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itch in the nozzle head 26a 26b. The hot water supply duct 28 sends the hot water 22 from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to the second nozzle 26. As a result, the hot water 22 is sprayed from the second nozzle 26 and scattered toward the water surface.

제 1 노즐 (25) 에 의한 도프 (21) 및, 제 2 노즐 (26) 에 의한 온수 (22) 의 산포는, 원통 탱크의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석출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ion of the dope 21 by the first nozzle 25 and the hot water 22 by the second nozzle 26 are uniformly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tank. Thereby, precipitation of cellulose acylate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공급 관로 (28) 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형성되는 전환 밸브 (28a) 외에, 펌프 (28b), 여과기 (28c), 역지 밸브 (28d), 온도 조절기 (28e) 를 갖는다. 펌프 (28b) 는 회전수가 조정됨으로써 온수의 유량을 조절한다. 여과기 (28c) 는 온수 (22) 로부터 이물을 여과한다. 온도 조절기 (28e) 는, 온수 저류 탱크 (39) 에서 온도 조절된 온수의 최종적인 온도 조정을 실시한다. 이로써, 제 2 노즐 (26) 로부터는 적온 (適溫) 으로 가열된 온수 (22) (도 9 참조) 가 소정의 유량으로 수면을 향하여 분사된다. 1, the hot water supply line 28 is provided with a pump 28b, a filter 28c, a check valve 28d,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28e in addition to a suitably formed switch valve 28a . The pump 28b adjusts the flow rate of hot water by adjus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The filter 28c filters the foreign matter from the hot water 22. The temperature controller 28e performs final temperature adjustment of the temperature-adjusted hot water in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 As a result, hot water 22 (see FIG. 9) heated at a proper temperature is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6 toward the water surface at a predetermined flow rate.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노즐 (25) 로부터 분사된 도프 (21) 는 석출기 (8) 내의 온수 (22) 에 접촉한다. 온수 (22) 는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의 비점 이상으로 가열 유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온수 (22) 에 접촉한 도프 (21) 중의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는, 온수 (22) 에 의한 가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증발하여, 원료 CA (17) 가 예를 들어 실 형상으로 석출되어, 석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이하, 석출 CA 라고 한다) (30) 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면의 상방으로부터도,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의 비점 이상으로 가열 (예를 들어 80 ℃) 된 온수 (22) 가 제 2 노즐 (26) 로부터 산포되어, 도프 (21) 중의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의 증발을 촉진시키고 있다. The dope 21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2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t water 22 in the precipitator 8. As a result, The hot water 22 is heated and maintained at a boiling point or more of the methylene chloride 18. Therefore, the methylene chloride 18 in the dope 21 in contact with the hot water 22 is momentarily evaporated by the heating with the hot water 22, and the raw CA 17 is precipita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 Precipitated cellulose acy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cipitation CA)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hot water 22 heated (for example, 80 DEG C) above the boiling point of methylene chloride 18 from above the water surface is dispersed from the second nozzle 26, Thereby promoting evaporation of the chloride (18).

석출기 (8) 의 일단에는, 석출 CA (30) 의 배출구 (8a) 가 개구되어 있다. 배출구 (8a) 를 향하여 석출 CA (30) 가 진행되도록, 교반 날개 (27) 의 회전에 의해, 수면 근처의 온수 (22) 는 배출구 (8a) 를 향하여 흐른다. 또, 제 2 노즐 (26) 의 복수의 노즐 본체 (26b) 는, 분출 방향이 석출 CA (30) 의 배출 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여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노즐 (26) 로부터 분사된 온수 (22) 에 의한 압출에 의해서도, 석출 CA (30) 는 배출구 (8a) 를 향하여 송출된다. At one end of the precipitator 8, an outlet 8a of the precipitation CA 30 is opened. The hot water 22 near the water surface flows toward the discharge port 8a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vane 27 so that the precipitation CA 30 advances toward the discharge port 8a. The plurality of nozzle bodies 26b of the second nozzle 26 are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so that the spraying direction is directed towar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precipitation CA 30. [ Therefore, the precipitation CA 30 is also fed toward the discharge port 8a by the extrusion of the hot water 22 injected from the second nozzle 26. [

배출구 (8a) 의 하방에는, 진동 체 (9) 가 배치되어 있다. 석출기 (8) 에 의해 석출된 석출 CA (30) 는, 배출구 (8a) 로부터 온수 (22) 와 함께 오버플로우되어, 석출기 (8) 로부터 진동 체 (9) 에 배출된다. 진동 체 (9) 에서는, 체 본체 (9a) 에서 석출 CA (30) 를 받는다. 온수 (22) 는 체 본체 (9a) 를 통과하여, 온수 회수통 (9b) 으로 흐른다. 그리고, 물 회수 관로 (38) 에 의해 온수 저류 탱크 (39) (도 1 참조) 에 되돌려진다. A vibrating body 9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8a. The precipitation CA 30 precipitated by the precipitator 8 overflows together with the hot water 22 from the discharge port 8a and is discharged from the precipitator 8 to the oscillator 9. [ In the vibrating body 9, the precipitation CA 30 is received from the body 9a. The hot water 22 passes through the body 9a and flows into the hot water recovery tank 9b. Then, the water is returned to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see FIG. 1) by the water return duct 38.

체 본체 (9a) 는 진동 기구 (9c) 에 의해 진동되고 있다. 이 체 본체 (9a) 상에서 석출 CA (30) 는 수분이 털어내어져 스퀴즈 롤러 (33) 를 향하여 진동에 의해 송출된다. 스퀴즈 롤러 (33, 34) 는, 석출 CA (30) 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하여, 수분을 짜낸다. 또한, 스퀴즈 롤러 (33, 34) 는 2 개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1 개 또는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The body 9a is vibrated by the vibration mechanism 9c. On the main body 9a, the precipitation CA 30 is shaken and sent out to the squeeze roller 33 by vibration. The squeeze rollers 33 and 34 sandwich the precipitation CA 30 from the up and down directions to squeeze moisture. Although two squeeze rollers 33 and 34 are provided, one or three or more of them may be used.

이 수분은 온수 회수통 (9b), 물 회수 관로 (38) 를 거쳐 온수 저류 탱크 (39) (도 1 참조) 에 되돌려진다. This moisture is returned to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see FIG. 1) through the hot water recovery tank 9b and the water recovery pipe 38.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회수 관로 (38) 는, 전환 밸브 (38a), 펌프 (38b), 여과기 (38c), 역지 밸브 (38d) 를 갖는다. 여과기 (38c) 에 의해 온수 (22) 에 포함되는 이물이 여과되면, 이 온수 (22) 는 온수 저류 탱크 (39) 에 되돌려진다. As shown in Fig. 1, the water return line 38 has a switching valve 38a, a pump 38b, a filter 38c, and a check valve 38d. When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hot water 22 is filtered by the filter 38c, the hot water 22 is returned to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석출기 (8) 와 진동 체 (9) 는, 동일 밀폐 탱크 (8b) 내에 배치된다. 이들 밀폐 탱크 (8b) 에는 용매 회수 관로 (55) 가 접속되어 있다. 용매 회수 관로 (55) 를 통하여 회수된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 (56), 분리조 (57) 를 거쳐, 용매 저류 탱크 (16) 에 되돌려져, 순환 사용된다. 동일하게 하여, 후술하는 열풍 건조기 (10) 및 분쇄기 (19) 에도 용매 회수 관로 (55) 가 접속되어 있고, 용매 회수 관로 (55) 를 통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18) 가 순환 사용된다. The precipitator 8 and the vibrating body 9 are disposed in the same sealing tank 8b. A solvent return pipe 55 is connected to the sealed tank 8b. The methylene chloride 18 recovered through the solvent recovery pipe 55 is returned to the solvent storage tank 16 via the condenser 56 and the separation tank 57 and circulated . Similarly, the solvent return pipe 55 is also connected to the hot air dryer 10 and the crusher 1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circulated through the solvent return pipe 55.

스퀴즈 롤러 (34) 를 나온 석출 CA (30) 는 가이드판 (35) 에 의해 안내되어, 로터리 밸브 (40) 에 보내진다. 로터리 밸브 (40) 는, 실린더 (40a) 내에 복수 장의 밸브 플레이트 (40b) 를 갖고, 이 밸브 플레이트 (40b) 의 선단이 실린더 (40a) 의 내벽에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석출 CA (30) 의 분단과 밀폐 탱크 (8b) 의 밀폐성을 확보한다. 로터리 밸브 (40) 를 나온 석출 CA (30) 는, 열풍 건조기 (10) 에 보내진다. The precipitation CA 30 coming out of the squeeze roller 34 is guided by the guide plate 35 and sent to the rotary valve 40. The rotary valve 40 has a plurality of valve plates 40b in the cylinder 40a and the front end of the valve plate 40b closely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40a and rotates, And the hermetic tank 8b. The precipitation CA 30 coming out of the rotary valve 40 is sent to the hot air dryer 10.

열풍 건조기 (10) 는 로터리 밸브 (40) 에 의해 보내진 석출 CA (30) 를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건조된 석출 CA (30) 는, 분쇄기 (19) 에 보내져, 분쇄되어 일정 사이즈의 덩어리로 된다. 분쇄 후의 석출 CA (30) 는 플렉시블 컨테이너 백 (20) 에 채워진다. The hot air dryer 10 dries the precipitation CA 30 sent by the rotary valve 40 with hot air. The dried precipitation CA 30 is sent to the crusher 19 and crushed into a lump of a predetermined size. The precipitated CA 30 after the pulverization is filled in the flexible container bag 20.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저류 탱크 (39) 는, 히터 (39a), 재킷 (39b), 교반기 (39c) 를 갖는다. 히터 (39a) 는 온수 저류 탱크 (39) 내의 온수 (22) 를 일정 온도로 가열한다. 재킷 (39b) 에는, 열 매체가 순환되어 있고, 온수 저류 탱크 (39) 내의 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한다. 또, 온수 저류 탱크 (39) 의 온수 (22) 가 일정량 이하가 되면, 순수 저류 탱크 (60) 로부터 급수 관로 (51) 에 의해 온수 저류 탱크 (39) 에 일정량의 온수 (22) 가 보충된다. 급수 관로 (51) 는, 전환 밸브 (51a), 펌프 (51b), 순수용 여과 장치 (51c) 를 갖는다. 순수용 여과 장치 (51c) 는, 온수 (22) 중의 불순물을 여과한다. As shown in Fig. 1,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has a heater 39a, a jacket 39b, and a stirrer 39c. The heater 39a heats the hot water 22 in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jacket 39b, the heating medium is circulated and the water in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is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When the hot water 22 of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become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predetermined amount of hot water 22 is replenished from the pure water storage tank 60 to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by the water supply pipe 51. The water supply line 51 has a switching valve 51a, a pump 51b, and a pure water filtration unit 51c. The pure water filtration apparatus 51c filters the impurities in the hot water 22.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는, 환경 부하와 인간에 대한 독성의 우려로부터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법에 의해, 이용과 폐기가 감시되는 물질이다. 이 때문에, 공장 건물 내에서 옥외로의 배출은 피해야 한다. 따라서, 건물을 예를 들어 이중 구조로 하여 밀폐성을 높이는 것 외에, 각 기기로부터 누출되는 메틸렌클로라이드 가스를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를 밀폐한 순환계 중에서만 유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석출기 (8), 진동 체 (9), 열풍 건조기 (10), 분쇄기 (19), 온수 저류 탱크 (39) 는 따로따로 밀폐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밀폐된 각 기기 (8∼10, 19, 39) 에 대해 용매 회수 관로 (55) 를 접속하여, 순환계로 다시 이용하도록 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가스가 외부로 새는 것을 막고 있다. The methylene chloride 18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ubstance whose utilization and disposal are monitored by the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PRTR) method from the concern of environmental load and toxicity to humans. For this reason, emissions to the outside of the factory building should be avoided. Therefore,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airtightness of the building by, for example, a double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methylene chloride gas leaking from each device as much as possible.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circulated only in a closed circulation system. The precipitator 8, the vibrating body 9, the hot air dryer 10, the crusher 19, and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are separately sealed. The solvent return line 55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ealed devices 8 to 10, 19, and 39, and is used again in the circulation system to prevent the methylene chloride ga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석출기 (8), 진동 체 (9), 열풍 건조기 (10), 분쇄기 (19), 온수 저류 탱크 (39) 의 내부에서 증발된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는 용매 회수 관로 (55) 를 통하여 콘덴서 (56) 에 보내진다. 용매 회수 관로 (55) 는, 전환 밸브 (55a), 펌프 (55b) 를 갖는다. 용매 회수 관로 (55) 로부터 보내지는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는,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물과 분리되어 다시 순환되어 사용된다. The methylene chloride 18 evaporated inside the precipitator 8, the vibrating body 9, the hot air dryer 10, the crusher 19 and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flows through the solvent return line 55 to the condenser 56). The solvent return pipe 55 has a switching valve 55a and a pump 55b. The methylene chloride 18 sent from the solvent return line 55 is recycled separately from water as described later.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건물이나, 각 기기의 설치 스페이스는 밀폐된 공간으로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각 구분 단위마다 메틸렌클로라이드 가스를 회수하여, 흡착탑 등에 의해 흡착 회수한다. 이 때문에, 각 기기 (8∼10, 19, 39) 로부터 메틸렌클로라이드 가스가 샌 경우에도, 최종적으로는 포착되어, 건물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는 없다. Although the illustration is omitted, the installation space of a building or each device is divided into an enclosed space. Then, the methylene chloride gas is recovered for each division unit, and adsorbed and recovered by an adsorption tower or the like. Therefore, even when the methylene chloride gas is blown from each of the devices 8 to 10, 19, and 39, it is eventually caught and never released outside the building.

콘덴서 (56) 에서는, 각 기기 (8∼10, 19, 39) 로부터 보내져 온 증기와 메틸렌클로라이드가 혼합된 기체를 예를 들어 냉수와 열 교환하여 응집시켜 액화한다. 응집된 액체는 분리조 (57) 에 보내진다. 분리조 (57) 는 비중에 따라, 액체를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와 온수 (22) 로 분리한다. 그리고,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는 하층에, 온수 (22) 는 상층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분리조 (57) 는 재킷 (57a) 및 전환 밸브 (57b) 를 갖는다. 재킷 (57a) 에는, 온도 제어 매체로서 예를 들어 물이 순환되고 있어,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및 온수 (22) 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한다. In the condenser 56, a gas mixed with steam and methylene chloride sent from each of the devices 8 to 10, 19, and 39 is heat-exchanged with cold water, for example, to coagulate and liquefy. The coagulated liquid is sent to the separation tank (57). The separating tank 57 separates the liquid into methylene chloride 18 and hot water 22 depending on the specific gravity.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located in the lower layer, and the hot water (22) is located in the upper layer. Therefore, the separation tank 57 has a jacket 57a and a switching valve 57b. In the jacket 57a, for example, water is circulated as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and the methylene chloride 18 and the hot water 22 ar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분리조 (57) 에서 분리된 온수 (22) 는 순수 저류 탱크 (60) 에,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는 용매 저류 탱크 (16) 에 각각 보내져 저류된다. The hot water 22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tank 57 is sent to the pure water storage tank 60 and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sent to the solvent storage tank 16 for storage.

석출기 (8) 에 공급되는 온수 (22) 는 온수 저류 탱크 (39) 에 저류되어 있다. 온수 저류 탱크 (39) 는 재킷 (39b) 을 갖고, 온도 제어 매체의 유통에 의해, 일정 온도로 유지된다. 온수 저류 탱크 (39) 로부터의 물은, 온수 공급 관로 (28) 에 의해, 석출기 (8) 내의 제 2 노즐 (26) 에 보내져, 이 제 2 노즐 (26) 에 의해 수면을 향하여 산포된다. 그리고, 온도 조절기 (28e) 에 의해 온수 (22) 의 온도가 조절된다. 또, 펌프 (28b) 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온수 (22) 의 유량이 조절되어, 석출기 (8) 내의 수면이 일정 위치에 유지된다. The hot water 22 supplied to the precipitator 8 is stored in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has a jacket 39b and is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by the flow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The water from the hot water storage tank 39 is sent to the second nozzle 26 in the precipitator 8 by the hot water supply line 28 and is scattered toward the water surface by the second nozzle 26.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22 is adjus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ler 28e. Further, the flow rate of the hot water 22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number of the pump 28b, so that the water surface in the precipitator 8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석출 CA (30) 를 제조할 때에는, 용해 탱크 (6) 에 원료 CA (17) 와 메틸렌클로라이드 (18) 가 넣어져 교반기 (6a) 에 의해 교반되어, 예를 들어 폴리머 용액 농도가 7 질량% 의 도프 (21) 가 만들어진다. 이 도프 (21) 는 여과기 (12) 를 통과하여, 압력 조절 밸브 (7b) 에 의해 압력이 일정하게 조절되어, 석출기 (8) 의 제 1 노즐 (25) 에 보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프 (21) 의 농도를 7 질량% 로 하고 있으므로, 여과 부하가 적어, 고성능 여과가 가능해진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when the precipitation CA 30 is produced, the raw CA 17 and the methylene chloride 18 are added to the dissolution tank 6 and stirred by an agitator 6a to be stirred for example, A dope 21 having a solution concentration of 7 mass% is produced. The dope 21 passes through the filter 12 and is sent to the first nozzle 25 of the extruder 8 with the pressure controlled by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7b.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ncentration of the dope 21 is 7 mass%, the filtration load is small and high-performance filtration becomes possible.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노즐 (25) 로부터는, 석출기 (8) 내의 수면을 향하여 도프 (21) 가 분사되어 수면으로 확산된다. 온수 (22) 의 온도는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의 비점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면에 접촉한 도프 (21) 중의 메틸렌클로라이드 (18) 가 온수 (22) 로부터의 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증발되어, 실 형상의 석출 CA (30) 가 얻어진다. 이 석출 CA (30) 는 제 2 노즐 (26) 로부터의 온수 샤워에 의해서도, 효율적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 (18) 가 증발된다. 또, 교반 날개 (27) 와 제 2 노즐 (26) 로부터의 온수 (22) 의 분사에 의해, 석출 CA (30) 는 배출구 (8a) 에 보내진다. As shown in Fig. 9, the dope 21 is sprayed toward the water surface in the precipitator 8 from the first nozzle 25 and diffuses into the water surfac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22 is set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the methylene chloride 18. Therefore, the methylene chloride 18 in the dope 21 in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is instantaneously evaporated by the heat from the hot water 22, and a precipitate CA 30 in the form of a filament is obtained. The precipitation CA 30 efficiently evaporates the methylene chloride 18 even by the hot water shower from the second nozzle 26. The precipitation CA 30 is sent to the discharge port 8a by spraying the hot water 22 from the agitating blades 27 and the second nozzle 26.

배출구 (8a) 에 온수 (22) 가 도달하면 석출 CA (30) 와 함께 온수 (22) 는 오버플로우되어, 진동 체 (9) 에 낙하한다. 석출 CA (30) 는 체 본체 (9a) 에 의해 떠내어져, 로터리 밸브를 향하여 송출된다. 또, 체 본체 (9a) 를 통과한 온수 (22) 는, 9b 에 의해 회수된다. When the hot water 22 reaches the outlet 8a, the hot water 22 overflows together with the precipitation CA 30 and falls on the vibrating body 9. The precipitation CA 30 is discharged by the body 9a toward the rotary valve. The hot water 22 having passed through the body 9a is recovered by 9b.

이상과 같이 하여, 원료 CA (17) 로부터 이물 등이 제거된 석출 CA (30) 가 얻어진다. 이 석출 CA (30) 는, 원료 CA (17) 에 비해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나 그 밖의 각종 용매에 용해되기 쉬워진다. 이것은, 원료 CA (17) 의 단계에서 한 번 용해되어 있어, 원료 CA (17) 내의 난용해 부분이 소실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cipitation CA 30 from which the impurities and the like have been removed from the raw material CA 17 is obtained. This precipitation CA 30 is more likely to be dissolved in methylene chloride 18 and other various solvents than the raw CA 17.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dissolution once at the stage of the raw material CA 17 and disappearance of the unheated part in the raw material CA 17.

원료 CA (17) 에 대해 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를 사용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의 비점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 (22) 에 의해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를 증발시키도록 했으므로, 간단한 설비 구성으로 용해성이 우수한 석출 CA (30) 를 열 에너지의 손실을 줄여,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또, 단일 종류의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그 후의 용매의 회수와 재이용이 간단해진다.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used as the solvent for the raw CA 17 and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evaporated by the hot water 22 heated by the boiling point of the methylene chloride 18 or more. The precipitation CA 30 having excellent solubility can be made efficient by reducing the loss of heat energy. Further, by using a single kind of solvent, recovery and reuse of the subsequent solvent can be simplified.

석출 CA (30) 를 진동 체 (9) 로 분단시켜 석출기 (8) 를 밀폐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와 같은 용매를 기기 외부로 새는 것 없이 이용할 수 있다. The precipitation CA 30 is divided by the vibrating body 9 to keep the precipitator 8 in a closed state so that a solvent such as methylene chloride 18 can be used without leaking outside the apparatus.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료 CA (17) 에 대해 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를 사용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 (18) 의 비점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 (22) 에 의해 메틸렌클로라이드 (18) 를 증발시키도록 했지만, 이들 물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용매는 양용매이면, 다른 단일 종류의 용매나 복수 종류를 혼합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용매의 비점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액체이면 물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액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복수 종류를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매 회수 관로 (55) 에 의해 회수한 복수 종류를 혼합한 용매를 분리하여, 각각의 용매로서 회수하거나 혹은 혼합 용매로서 재이용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used as the solvent for the raw CA 17, and the methylene chloride 18 is evaporated by the hot water 22 heated by the boiling point of the methylene chloride 18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materials. As long as the solvent is a good solvent, another single solvent or a mixture of plural kinds of solvents may be used. In addition, if the liquid can be heated by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or more, it is not limited to water, and other liquids may be used. When a solvent mixed with a plurality of kinds is used, a solvent mixed with a plurality of kinds recovered by the solvent recovery duct 55 is separated and recovered as a solvent or reused as a mixed solvent.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온수 (22) 의 흐름에 의해, 석출 CA (30) 를 배출구 방향으로 보내도록 했지만, 이것 대신에, 또는 더하여, 롤러나 그 밖의 반송부에 의해 배출구 (8a) 에 보내도록 해도 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cipitation CA 30 is sent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by the flow of the hot water 22. Alternatively, or in addition thereto, it is sent to the discharge port 8a by a roller or other conveyance section .

상기와 같이 하여 원료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 용해액을 여과한 후에 폴리머를 석출하므로, 폴리머 중의 이물이 제거된다. 또,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향상된 석출 폴리머가 얻어진다. 이 석출 폴리머는 보관되어, 제막시에 석출 폴리머가 용매에 의해 용해되어 유연 도프가 만들어져 제막된다. The raw polymer is dissolved in a solven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olymer is precipitated after filtering the solution, whereby foreign matters in the polymer are removed. Further, a precipitated polymer having improved solubility in a solvent can be obtained. The precipitated polymer is stored, and the precipitated polymer is dissolved by the solvent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to form a soft-doped film.

[용액 제막 설비] [Solution forming equipment]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액 제막 설비 (68) 는, 혼합 장치 (69) 와 유연 장치 (73) 와, 핀 텐터 (74) 와, 건조실 (75) 과, 권취 장치 (76) 를 갖는다. 혼합 장치 (69) 는, 용해 탱크 (80) 와, 펌프 (81) 와, 스태틱 믹서 (82) 와, 다이나믹 믹서 (83) 와, 여과기 (84) 를 갖는다. 용해 탱크 (80) 는, 용해 탱크 (6) 와 동일한 구성이고, 석출 폴리머로서 예를 들어 석출 CA (30) 와, 이것을 용해하는 용매 (79) 가 투입된다. 투입 후에 교반기 (80a) 로 교반함으로써, 석출 CA (30) 는 용매 (79) 에 용해된다. 10, the solution film-forming equipment 68 has a mixing device 69, a flexible device 73, a pin tenter 74, a drying chamber 75, and a winding device 76. The mixing device 69 has a dissolving tank 80, a pump 81, a static mixer 82, a dynamic mixer 83, and a filter 84. The dissolution tank 80 has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dissolution tank 6, and the precipitation CA 30 and the solvent 79 for dissolving the precipitation CA 30, for example, are introduced. By stirring with the stirrer 80a after the addition, the precipitation CA 30 is dissolved in the solvent 79.

이물이 없고 용매에 용해되기 쉬운 석출 폴리머인 석출 CA (30) 를 사용함으로써, 용해 탱크 (80) 에서 예를 들어 20 질량% 정도의 농도를 갖는 유연 도프 (85) 를, 용해 탱크 (80) 에서의 용해 작업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도프 조제에 필요한 가열, 가압, 및 농축 등의 복잡한 장치를 사용한 런닝 코스트도 높은 공정을 거치지 않고, 또한 고정밀도 여과도 불필요해져, 여과하기 위한 런닝 코스트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soft dope 85 having a concentration of, for example, about 20% by mass in the dissolution tank 80 is used as the dissolution tank 80 in the dissolution tank 80 by using the precipitation CA 30, By a dissolving operation. Therefore, the running cost using a complicated device such as heating, pressurization and concentration required for dope preparation as in the prior art does not go through a high process, and high-precision filtration is also unnecessary, and the running cost for filtration can also be reduced.

또, 복잡한 장치 구성을 채용하지 않고, 용해 탱크 (80) 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연 도프 (85) 의 유연 다이 (78) 까지의 통로 용량을 종래의 것에 비해 1/30 정도로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품종의 전환시에 새로운 품종의 유연 도프로, 그 통로 용량의 3 배 정도의 양을 흘려, 새로운 품종의 도프로 치환하는 경우에, 치환하기 위한 유량을 종래의 것에 비해 1/30 정도로 줄일 수 있다. 또, 치환하는 도프 유량이 적어지는 점에서, 신품종의 전환에 필요로 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신품종의 도프로 전환할 수 있다. Since the complicated device configuration is not employed and only the dissolving tank 80 is used, the passage capacity to the flexible die 78 of the flexible dope 85 can be reduced to about 1/30 of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For this reason, when the flow rate of the new varieties is replaced by the new varieties with a flow rate of three times the flow rate of the new varieties through the flexible dope of the new varieties, the flow rate for replacement is about 1/30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the dope to be replaced is small,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the new variety can be shortened and the new kind of dope can be efficiently switched.

용해 탱크 (80) 에서 용해된 유연 도프 (85) 는, 펌프 (81) 에 의해 스태틱 믹서 (82) 에 보내진다. 또, 스태틱 믹서 (82) 의 입구에는, 첨가 노즐 (86) 을 갖는 첨가 유닛 (71) 이 배치된다. The soft dope 85 dissolved in the dissolving tank 80 is sent to the static mixer 82 by the pump 81. At the inlet of the static mixer 82, an addition unit 71 having an addition nozzle 86 is disposed.

첨가 유닛 (71) 은, 첨가 노즐 (86) 외에, 2 계통의 첨가제액 저류 탱크 (89a, 89b), 3 방 밸브 (90), 펌프 (91) 를 갖는다. 3 방 밸브 (90) 는, 첨가제액 저류 탱크 (89a, 89b) 의 어느 일방의 첨가제액 예를 들어 93a 를 선택한다. 펌프 (91) 는 선택된 첨가제액 (93a) 을 첨가 노즐 (86) 에 보낸다. The addition unit 71 has two systems of additive liquid reservoirs 89a and 89b, a three-way valve 90 and a pump 91 in addition to the addition nozzle 86. [ The three-way valve 90 selects one of the additive liquids 93a as one of the additive liquid storage tanks 89a and 89b. The pump 91 sends the selected additive liquid 93a to the additive nozzle 86.

스태틱 믹서 (82) 는, 도 3 에 나타내는 스태틱 믹서 (14)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1 엘리먼트 (14b) 와 제 2 엘리먼트 (14c) 가 복수 개 직렬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들 각 엘리먼트 (14b, 14c) 를 통과함으로써, 유연 도프 (85) 에 첨가제액 (93a) 이 혼합된다. The static mixer 82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tatic mixer 14 shown in Fig. 3,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element 14b and the second element 14c are arranged in series. By passing through these elements 14b and 14c, the additive liquid 93a is mixed with the soft dope 85. [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나믹 믹서 (83) 는, 스태틱 믹서 (82) 에 의해 혼합된 첨가제액 (93a) 과 유연 도프 (85) 를, 배관 (83a) 내에서 스테이터 (83b) 및 로테이터 (83c) 에 의해 혼합한다. 로테이터 (83c) 는 구동축 (83d) 에 고정되어 있다. 이 로테이터 (83c) 는, 구동축 (83d) 의 회전에 의해 스테이터 (83b) 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구동축 (83d) 은 도시 생략된 모터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유연 도프 (85) 와 첨가제액 (93a) 의 혼합을 촉진시켜, 첨가제액 (93a) 을 유연 도프 (85) 중에 의해 더욱 균일하게 혼합시킨다.11, the dynamic mixer 83 mixes the additive liquid 93a mixed with the static mixer 82 and the soft dope 85 in the pipe 83a through the stator 83b and the rotator 83c ). The rotator 83c is fixed to the drive shaft 83d. The rotator 83c rotates relative to the stator 83b by rotation of the drive shaft 83d. The drive shaft 83d is connected to a motor (not shown). Thereby, mixing of the soft doping 85 and the additive solution 93a is promoted, and the additive solution 93a is mixed more uniformly in the soft doping 85. [

배관 (83a) 의 양 단부에는, 시일 부재 (83e) 및 래버린스 부재 (83f) 가 배치되어 있다. 래버린스 부재 (83f) 의 둘레면에는 나선 돌조 (83g) 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래버린스 부재 (83f) 는 구동축 (83d) 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축 (83d) 과 일체로 회전한다. 좌우의 래버린스 부재 (83f) 의 나선 돌조 (83g) 는 좌우로 나선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구동축 (83d) 이 회전하면, 각 나선 돌조 (83g) 에 의해, 시일 부재 (83e) 로부터 침입하는 유연 도프 (85) 가 배관 (83a) 내에 되돌려진다. 이로써, 구동축 (83d) 과 시일 부재 (83e) 의 간극으로부터의 유연 도프 (85) 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At both ends of the pipe 83a, a seal member 83e and a labyrinth member 83f are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byrinth member 83f, a spiral protrusion 83g protrudes. The labyrinth member 83f is fixed to the drive shaft 83d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e shaft 83d. The spiral ridges 83g of the right and left labyrinth member 83f have opposite spiral directions. When the drive shaft 83d rotates, the flexible dope 85 entering from the seal member 83e is returned to the pipe 83a by each spiral protrusion 83g. This prevents the soft dope 85 from leaking from the gap between the drive shaft 83d and the seal member 83e.

다이나믹 믹서 (83) 를 통과한 유연 도프 (85) 는 여과기 (84) 에 의해 여과된다. 석출 CA (30) 는 석출시에 이물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여과기 (84) 의 여과 부하는 적고, 여과 수명이 길어진다. 이 후, 유연 도프 (85) 는 유연 다이 (78) 에 보내져, 회전하는 유연 드럼 (95) 상에 유연된다. The soft dope 85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ynamic mixer 83 is filtered by the filter 84. Since the precipitation CA 30 has foreign matters removed from the sediment, the filtration load of the filter 84 is small and the filtration life is long. Thereafter, the flexible dope 85 is sent to the flexible die 78 and is flexible on the rotating flexible drum 95.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연 장치 (73) 는, 유연 다이 (78), 유연 드럼 (95), 박리 롤러 (96) 를 갖고, 이들은 유연실 (73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유연 드럼 (95) 은 도시를 생략한 구동 장치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유연 드럼 (95) 은, 도시되지 않은 온조 장치에 의해, 유연막 (97) 을 냉각시키는 온도로 설정되어 있다. 10, the flexible device 73 has a flexible die 78, a flexible drum 95, and a peeling roller 96, which are disposed in the flexible chamber 73a. The flexible drum 95 is rotated about its axis by a driving device (not shown). The flexible drum 95 is set at a temperature at which the flexible film 97 is cooled by a temperature controller (not shown).

유연 다이 (78) 는, 회전하는 유연 드럼 (95) 의 둘레면을 향하여, 유연 도프 (85) 를 연속적으로 흘린다. 유연 드럼 (95) 에는, 유연 도프 (85) 에 의해 띠 형상의 유연막 (97) 이 형성된다. 냉각에 의해, 유연 드럼 (95) 상의 유연막 (97) 은, 자립하여 반송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후, 유연막 (97) 은, 박리 롤러 (96) 에 의해 유연 드럼 (95) 으로부터 박리되어, 띠 형상의 습윤 필름 (98) 이 된다. The flexible die 78 continuously flows the flexible dope 85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flexible drum 95. In the flexible drum 95, a band-shaped flexible film 97 is formed by the flexible dope 85. By cooling, the flexible film 97 on the flexible drum 95 is brought into a state in which it can move freely and carry it. Thereafter, the flexible film 97 is peeled off from the flexible drum 95 by the peeling roller 96, and becomes a strip-shaped wet film 98.

유연실 (73a) 과 핀 텐터 (74) 사이의 가교부 (99) 에서는, 반송 롤러 (99a) 가, 습윤 필름 (98) 을 핀 텐터 (74) 에 도입한다. 핀 텐터 (74) 는, 습윤 필름 (98) 의 양측 테두리부를 관통하여 유지하는 다수의 핀 플레이트를 갖는다. 이동하는 핀 플레이트에 의해 유지된 습윤 필름 (98) 에는 건조풍이 보내진다. 이로써, 습윤 필름 (98) 은 건조되어, 띠 형상의 필름 (100) 이 된다. In the crosslinking portion 99 between the flexible chamber 73a and the pin tenter 74, the conveying roller 99a introduces the wet film 98 into the pin tenter 74. The pin tenter 74 has a plurality of fin plates that penetrate and hold both side edges of the wet film 98. The drying wind is sent to the wet film 98 held by the moving fin plate. As a result, the wet film 98 is dried to form a strip-shaped film 100.

핀 텐터 (74) 의 하류에는 이절 (耳切) 장치 (101) 가 형성되어 있다. 이절 장치 (101) 는 필름 (100) 의 양측 테두리부를 재단한다. 이 재단된 양측 테두리부는, 송풍에 의해 크러셔에 보내져 분쇄된다. 분쇄된 양측 테두리부가 용매에 용해된 것은, 원료 CA (17) 나 석출 CA (30) 대신에 사용되어, 재이용이 도모된다.The ear cutting device 101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pin tenter 74. The die cutting apparatus 101 cuts both side edges of the film 100. The cut edges of both sides are sent to the crusher by blowing and crushed. It is possible to use the crushed both side edge portions dissolved in the solvent instead of the raw CA (17) or precipitation CA (30) to reuse.

건조실 (75) 에는, 다수의 롤러 (75a) 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에 필름이 감아져 반송된다. 건조실 (75) 내의 분위기의 온도나 습도 등은, 도시되지 않은 공조기에 의해 조절되고 있고, 건조실 (75) 내를 필름 (100) 이 통과함으로써 필름 (100) 의 건조 처리가 실시된다. In the drying chamber 75, a plurality of rollers 75a are arranged, and the film is rolled there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tmosphere in the drying chamber 75 are controlled by an unillustrated air conditioner and the film 100 is passed through the drying chamber 75 so that the film 100 is dried.

건조실 (75) 과 권취 장치 (76) 사이에는, 필름 (100) 을 냉각시키는 냉각실 (102), 필름 (100) 을 제전하는 강제 제전 장치 (제전 바), 및 필름 (100) 의 양측 테두리부에 널링을 부여하는 널링 부여 롤러 등이 형성된다. 권취 장치 (76) 는 프레스 롤러를 가져, 필름 (100) 을 권취심 (芯) 에 권취한다. Between the drying chamber 75 and the winding device 76 are provided a cooling chamber 102 for cooling the film 100, a forced static electricity eliminating device (static electricity bar) for discharging the film 100, And a knurling-imparting roller for imparting knurling to the knurl. The winding device 76 has a press roller, and winds the film 100 on the winding core.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필름 (100) 은, 특히, 위상차 필름이나 편광판 보호 필름에 사용할 수 있다. 필름 (100) 의 폭은, 6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0 ㎜ 이상 25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필름 (100) 의 폭은 2500 ㎜ 보다 커도 된다. 필름 (100) 의 막 두께는, 15 ㎛ 이상 1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m 100 thus obtained can be used particularly for a retardation film or a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The width of the film 100 is preferably 600 mm or more, more preferably 1400 mm or more and 2500 mm or less. The width of the film 100 may be larger than 2500 mm. The film thickness of the film 100 is preferably 15 mu m or more and 120 mu m or less.

(폴리머)(Polymer)

또한, 폴리머는, 열가소성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락톤고리 함유 중합체, 고리형 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고리형 올레핀이고,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이 아세테이트기, 프로피오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부가 중합에 의해 얻어진 고리형 올레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가 중합에 의해 얻어진 고리형 올레핀이다. The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thermoplastic resi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cellulose acylate, a lactone ring-containing polymer, a cyclic olefin, and a polycarbonate. Of those, preferred are cellulose acylate and cyclic olefins. Of these, cellulose acylate containing an acetate group and a propionate group, and cyclic olefins obtained by addition polymerization are more preferable, and cyclic olefins obtained by addition polymerization Olefins.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Cellulose acylate)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에 사용되는 아실기는 1 종류뿐이어도 되고, 혹은 2 종류 이상의 아실기가 사용되어 있어도 된다. 2 종류 이상의 아실기를 사용할 때에는, 그 1 개가 아세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의 수산기를 카르복실산으로 에스테르화하고 있는 비율, 즉, 아실기의 치환도가 하기 식 (I)∼(Ⅲ) 모두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식 (I)∼(Ⅲ) 에 있어서, A 및 B 는, 아실기의 치환도를 나타내고, A 는 아세틸기의 치환도, 또 B 는 탄소 원자수 3∼22 의 아실기의 치환도이다. 또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의 90 질량% 이상이 0.1 ㎜ 이상 4 ㎜ 이하의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re may be only one acyl group used for the cellulose acylate, or two or more acyl groups may be used. When two or more kinds of acyl groups are used, one of them is preferably an acetyl group.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esterification of the hydroxyl group of cellulose to the carboxylic acid, that is, the substitution degree of the acyl group satisfies all of the following formulas (I) to (III). In the following formulas (I) to (III), A and B represent substitution degrees of an acyl group, A represents a substitution degree of an acetyl group, and B represents an acyl group substitution of 3 to 22 carbon atoms . It is also preferable that 90 mass% or more of triacetyl cellulose (TAC) is 0.1 mm or more and 4 mm or less.

(I) 2.0≤α+β≤3.0(I) 2.0?? +?? 3.0

(Ⅱ) 1.0≤α≤3.0 (II) 1.0??? 3.0

(Ⅲ) 0≤β≤2.9(III) 0??? 2.9

아실기의 전체 치환도 α+β 는, 2.20 이상 2.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40 이상 2.88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탄소 원자수 3∼22 의 아실기의 치환도 B 는, 0.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The total degree of substitution? +? Of the acyl group is more preferably 2.20 or more and 2.90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40 or more and 2.88 or less. The substitution degree B of the acyl group having 3 to 22 carbon atoms is more preferably 0.30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5 or more.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04148호의 [0140] 단락 내지 [0195] 단락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도 본 발명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용매 및 가소제, 열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UV 제), 광학 이방성 컨트롤제, 리타데이션 제어제, 염료, 매트제, 박리제, 박리 촉진제 등의 첨가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04148호의 [0196] 단락 내지 [0516] 단락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원료인 셀룰로오스는, 린터, 펄프의 어느 것으로부터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Details of the cellulose acylate are described in paragraphs [0140] to [0195] of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104148. These substrates are also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ves such as a solvent and a plasticizer, an anti-deterioration agent, an ultraviolet absorber (UV agent), an optically anisotropic control agent, a retardation control agent, a dye, a matting agent, a stripping agent and a peeling accelerator are likewis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104148 Are described in detail in paragraphs [0516] to [0516]. Cellulose as a raw material of cellulose acylate may be obtained from any of linter and pulp.

또한, 지지체로서 유연 드럼 (95) 을 사용했지만, 유연 밴드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회전축을 수평으로 한 1 쌍의 드럼에 유연 밴드를 걸쳐,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유연 밴드를 주행시킨다. Further, although the flexible drum 95 is used as the support, a flexible band may be used. In this case, a flexible band is spread over a pair of drums whose horizontal rotary shafts are arranged, and the flexible band is caused to run by rotating the drum.

또, 유연 드럼 (95) 상의 유연막 (97) 을 냉각시키는 냉각 겔화 방식에 의해, 유연막 (97) 을 박리 가능한 상태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드럼이나 밴드 등의 지지체 상의 유연막을 건조시키는 건조 방식에 의해, 유연막을 박리 가능한 상태로 해도 된다. Although the flexible film 97 is in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film 97 can be peeled off by the cooling gelling method of cooling the flexible film 97 on the flexible drum 95,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flexible film on a support such as a drum, The flexible film may be in a state in which it can be peeled off by a drying method of drying.

5 : 폴리머 정제 설비
6 : 용해 탱크
7 : 도프 공급 관로
8 : 석출기
9 : 진동 체
10 : 열풍 건조기
11 : 펌프
12 : 여과기
12a : 여과재
12b : 금망 필터
12c : 여과 보조제
12d : 퇴적층
12e : 프레코트
13a : 첨가 노즐
13 : 용매 첨가 유닛
14 : 스태틱 믹서
17 : 원료 CA (원료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18 : 메틸렌클로라이드
21 : 도프
22 : 온수
28 : 온수 공급 관로
30 : 배출 CA (석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37 : 오버플로우 회수부
38 : 물 회수 관로
39 : 온수 저류 탱크
55 : 용매 회수 관로
5: Polymer refining equipment
6: Fusion tank
7: Doping supply line
8: Precipitator
9: Vibrating body
10: Hot air dryer
11: Pump
12: Filter
12a: Filter medium
12b: Filter filter
12c: Filtration aid
12d:
12e: Precote
13a: addition nozzle
13: Solvent addition unit
14: Static mixer
17: raw material CA (raw material cellulose acylate)
18: Methylene chloride
21: Dof
22: Hot water
28: Hot water supply line
30: discharged CA (precipitated cellulose acylate)
37: overflow recovery unit
38: Water recovery pipe
39: Hot water storage tank
55: Solvent recovery pipe

Claims (11)

여과 보조제를 갖는 여과기를 사용하여, 폴리머 및 용매를 함유하는 폴리머 용액을 여과하는 여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의 상류측에서 상기 폴리머 용액에 상기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폴리머 용액의 점도를 낮추고, 상기 여과기의 압력 손실의 변동을 일정 범위 내로 억제하는 용매 첨가 공정과,
상기 여과기에 보내지는 상기 폴리머 용액을 가열하여 상기 폴리머 용액의 점도를 점감 (漸減) 시키는 가열 공정과,
상기 가열 공정에 의한 상기 폴리머 용액의 점도 저하분에 대응시켜 상기 용매 첨가 공정의 용매 첨가량을 점감시키는 용매 첨가 점감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용액의 여과 방법.
A filtration method for filtering a polymer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and a solvent using a filter having a filter aid,
A solvent addition step of adding the solvent to the polymer solution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lter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solution and to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pressure loss of the filter within a certain range;
A heating step of heating the polymer solution sent to the filter to gradually decrease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solution;
And a solvent addition dimerization step of decreasing the amount of the solvent added in the solvent addition step in correspondence with the viscosity decrease of the polymer solution by the heating step.
삭제delete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시켜 폴리머 용액을 얻는 용해 공정과,
제 1 항에 기재된 폴리머 용액의 여과 방법을 사용하는 여과 공정과,
상기 폴리머 및 상기 용매와 비상용성이고, 상기 용매의 비점 이상으로 가열되고 있는 액체에, 상기 여과 공정을 거친 폴리머 용액을 산포하여 상기 용매를 건조시켜 폴리머를 석출하는 폴리머 석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정제 방법.
A dissolution step of dissolving the polymer in a solvent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A filtration step using the filtration method of the polymer solution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lymer precipitation step of dispersing the polymer solution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filtration step in a liquid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 polymer and the solvent and heat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and drying the solvent to precipitate the polymer Lt; / RTI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공정에서는, 폴리머 용액 농도를 2 질량% 이상 19 질량% 이하로 하는, 폴리머 정제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dissolution step,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solution is 2 mass% or more and 19 mass% or les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공정은, 절대 여과 정밀도가 2 ㎛ 이상 30 ㎛ 이하인 보조제 여과를 실시하는, 폴리머 정제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ltration step is performed by filtration of an auxiliary agent having an absolute filtration accuracy of 2 탆 or more and 30 탆 or les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단일 종류의 용매인, 폴리머 정제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olvent is a single kind of solv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가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이고, 상기 용매가 메틸렌클로라이드이며, 상기 액체가 물인, 폴리머 정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lymer is a cellulose acylate, the solvent is methylene chloride, and the liquid is wat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석출 공정에서는, 상기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용액의 온도가 20 ℃ 이상 120 ℃ 이하이고, 상기 물의 온도가 40 ℃ 이상 100 ℃ 이하인, 폴리머 정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cellulose acylate solution is 20 占 폚 or higher and 120 占 폚 or low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s 40 占 폚 or higher and 100 占 폚 or lower in the polymer precipitation step.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머 정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석출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시켜 폴리머 용액을 만드는 용해 공정과,
상기 용해 공정으로부터 얻어진 폴리머 용액에 대해, 첨가제가 혼합된 첨가제액을 인라인 첨가하는 첨가 공정과,
상기 첨가제액이 첨가된 폴리머 용액을 유연 도프로서 유연 다이로부터 유연 지지체에 흘려 유연막을 형성하는 유연 공정과,
상기 유연막을 상기 유연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막 방법.
A dissolution step of dissolving the precipitated polymer obtained by the polymer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8 in a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An adding step of adding an additive liquid mixed with an additive to the polymer solution obtained from the dissolving step in-line,
A softening step of flowing a polymer solution to which the additive liquid is added as a soft dope from a flexible die to a flexible support to form a flexible film,
And a drying step of peeling the flexible film from the flexible support and drying the flexible film.
여과 보조제를 사용하여, 폴리머 및 용매를 함유하는 폴리머 용액을 여과하는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의 상류측에서 상기 폴리머 용액에 상기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폴리머 용액의 점도를 낮추고, 상기 여과기의 압력 손실의 변동을 일정 범위 내로 억제하는 용매 첨가 유닛과,
상기 여과기에 보내지는 상기 폴리머 용액을 가열하여, 상기 폴리머 용액의 점도를 점감시키는 가열 유닛과,
상기 가열 유닛에 의한 상기 폴리머 용액의 점도 저하분에 대응시켜 상기 용매 첨가 유닛에 의한 용매 첨가량을 점감시키는 제어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용액의 여과 장치.
A filter for filtering a polymer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and a solvent by using a filter aid,
A solvent addition unit for adding the solvent to the polymer solution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lter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solution and to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pressure loss of the filter within a certain rang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polymer solution sent to the filter to diminish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solution,
And a control unit for decreasing an amount of the solvent added by the solvent addition unit in response to a decrease in viscosity of the polymer solution by the heating unit.
삭제delete
KR1020130076330A 2012-08-16 2013-07-01 Polymer solution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polymer purifying method, and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KR1019972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0472 2012-08-16
JP2012180472A JP5727425B2 (en) 2012-08-16 2012-08-16 Filtration method, apparatus, polymer purification method and solution casting method for polymer solu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207A KR20140023207A (en) 2014-02-26
KR101997270B1 true KR101997270B1 (en) 2019-07-05

Family

ID=5007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330A KR101997270B1 (en) 2012-08-16 2013-07-01 Polymer solution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polymer purifying method, and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27425B2 (en)
KR (1) KR101997270B1 (en)
CN (1) CN103588885A (en)
TW (1) TWI59837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3045B2 (en) * 2014-09-19 2016-1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Solution casting method
WO2019004298A1 (en) * 2017-06-27 2019-01-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aqueous fluid resulting from fluoropolymer production step
TWI774609B (en) * 2021-11-10 2022-08-11 蕭富林 Slurry conveying system
CN117225078B (en) * 2023-07-28 2024-05-03 中琦(广东)硅材料股份有限公司 Silica filter aid for be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8024A (en) * 2001-11-05 2003-05-14 Unitika Ltd Granular polyarylate and its production process
JP2004107498A (en) * 2002-09-19 2004-04-08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for preparing dope and method for forming film by solution casting
JP2004107629A (en) * 2002-07-19 2004-04-08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for casting film from solu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5006A (en) * 1959-03-05 1960-07-12 Eastman Kodak Co Reaction products of carbonyl containing polymers and aminoguanidine that are usefulas mordants
JP2006070253A (en) * 2004-08-05 2006-03-16 Fuji Photo Film Co Ltd Dope manufacturing facility and dope manufacturing method
JP2009214057A (en) 2008-03-12 2009-09-24 Fujifilm Corp Filtration equipment, filtration switching method and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8024A (en) * 2001-11-05 2003-05-14 Unitika Ltd Granular polyarylate and its production process
JP2004107629A (en) * 2002-07-19 2004-04-08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for casting film from solution
JP2004107498A (en) * 2002-09-19 2004-04-08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for preparing dope and method for forming film by solution ca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8712A (en) 2014-03-01
TWI598370B (en) 2017-09-11
KR20140023207A (en) 2014-02-26
JP2014037090A (en) 2014-02-27
JP5727425B2 (en) 2015-06-03
CN103588885A (en)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270B1 (en) Polymer solution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polymer purifying method, and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CN101327651B (en) Casting device, solution casting apparatus, and solution casting method
KR101464995B1 (en) Casting device, solution casting apparatus, and solution casting method
JP4315378B2 (en)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CN101235159B (en) Remo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melting point compound, solvent recovering method and solvent recovering apparatus
KR101594955B1 (en) Solution casting process and apparatus
US10052807B2 (en) Fiber manufacturing method,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and fiber manufacturing equipment
KR20100025495A (en) Solution film-forming method and solution film-forming apparatus
JP2009066569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filter aid
KR20140021960A (en) Polymer purifying method and facility,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and facility, and flocculent and granular deposited polymer
JP5639676B2 (en) Polymer purification method, solution casting method, equipment, and precipitated polymer
JP2009061618A (en)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7137962A (en) Preparation method of dope
US20080230946A1 (en) Solution casting method
CN1033048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ellulose acylate film
JP2009196116A (en)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8246705A (en)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and solution film forming equipment
JP2005220143A (en) Dop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lymer film
TWI599393B (en) Filtration filter, filtration method, cellulose acylat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959475B2 (en) Solution casting method and equipment
JP5941005B2 (en)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 acylate film
KR20090033101A (en) Method for producing film
JP2009066568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filter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