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230B1 - 회동식 볼라드 - Google Patents
회동식 볼라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7230B1 KR101997230B1 KR1020180155058A KR20180155058A KR101997230B1 KR 101997230 B1 KR101997230 B1 KR 101997230B1 KR 1020180155058 A KR1020180155058 A KR 1020180155058A KR 20180155058 A KR20180155058 A KR 20180155058A KR 101997230 B1 KR101997230 B1 KR 1019972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hook
- hinge
- rotation
- central ax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상하 회동 가능토록 힌지 결합되어 직립상태로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는 지주와, 지주에 구비된 후크가 회전하여 베이스에 구비된 행거에 걸리게 하는 회동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의 회동에 의해 지주를 직립으로 세우거나 지면에 수평하게 눕힐 수 있으며, 나아가 지주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를 상하 회동시켜 수직하게 세워놓거나 지면에 눕혀 놓을 수 있는 회동식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는 인도나 잔디, 개방된 사유지 등에 자동차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 설치되는 장애물로서, 보통 일자형 기둥모양이나 '∩'자형 모양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1388호(등록일자:2017년01월24일)는 ‘볼라드’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직립상태로 세워진 상태로 그 하단부가 일정 깊이로 파낸 지면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1388호(등록일자:2017년01월24일)는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자물쇠를 열어서 설치봉을 임의 분리하여 차량통행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특허들을 포함하여 종래의 볼라드는 임의 분리가 불가능하거나 설치봉 자체를 임의 분리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일시적 또는 선택적으로 차량 통행을 허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주를 직립상태로 세워 차량 통행을 막거나 수평하게 눕혀 차량 통행을 허용하되, 지주의 임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는 회동식 볼라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상하 회동 가능토록 힌지 결합되어 직립상태로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는 지주와; 상기 힌지의 힌지축보다 상측에 설치되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주 내부에 설치되되,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지주 외부로 노출되며, 키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노출된 끝단에 상기 키가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토록 삽입되는 키 홈이 형성된 후크 중심축과;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 회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힌지축의 후방에서 상기 후크 중심축과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지주의 하단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힌지축을 향해 절곡된 걸고리가 구비된 후크와;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에서 상기 후크가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 회동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후크의 걸고리가 걸어져 상기 지주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는 행거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에서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 회동방향으로 상기 지주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잠금부를 구속하여 상기 지주의 회동을 이중으로 구속하는 이중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잠금부는 상기 지주의 상단에 상하 회동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지주 밖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된 힌지 레버와, 상기 힌지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지주 내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제1연결로드와, 상기 제1연결로드와 상기 회동 잠금부의 후크 중심축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 내부에 설치되는 제2연결로드와, 상기 제1연결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2연결로드를 상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회동 잠금부의 후크 중심축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 레버가 하향 회동하면 상기 회동 잠금부의 후크 중심축이 자유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힌지 레버가 상향 회동하면 상측으로 당겨져 상기 회동 잠금부의 후크 중심축이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로드와 상하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는 지주를 회동시켜 직립시키거나 지면에 수평하게 눕힐 수 있기 때문에 지주를 임의로 분리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게 일시적, 선택적으로 차단 기능을 해제하고 다시 손쉽게 원상회복시킬 수 있으며, 이때 관계자만이 지주를 임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동식 볼라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지주의 회동 구속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지주의 회동 구속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와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지주를 회동시켜 지면에 눕혀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로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지주의 이중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지주의 이중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동식 볼라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지주의 회동 구속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지주의 회동 구속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와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지주를 회동시켜 지면에 눕혀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로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지주의 이중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지주의 이중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는, 베이스(base;10)와, 지주(20)와, 힌지(hinge;30)와, 회동 잠금부(5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지면에 고정되어 지주(20)를 받친다. 베이스(10)는 패널(panel)이나 블록(block) 형태로 금속이나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베이스(10)는 지면에 앵커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지주(20)는 베이스(10) 위에 일정 높이로 직립되어 차량 진입 등을 막는다. 지주(20)의 하단은 힌지(30)에 의해 상하 회동이 원활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주(20)는 그 내부에 회동 잠금부(50)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측부 또는 전체가 중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주(20)의 하측부에는 힌지 결합을 위해 지주(2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힌지 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지주(20)의 힌지 홀(22)은 지주(20)가 지면에 수평으로 눕혀질 때 거의 지면에 닿거나 가깝도록 가능한 지주(20)의 하단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지주(20)에는 회동 잠금부(50)의 후크 중심축(52)의 양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노출될 수 있도록 후크 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30)는 지주(20)가 직립상태로 수직하게 세워지거나 지면에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도록 지주(20)를 베이스(10) 상에 상하 회동 가능토록 힌지 결합시킨다. 힌지(30)는 힌지 브라켓(32)과, 힌지축(34)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브라켓(32)은 베이스(10) 상에 고정된다. 힌지 브라켓(32)은 지주(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힌지 브라켓(32)은 지주(20)의 힌지 홀(22)과 합치될 수 있는 힌지 홀(32a)이 형성된다. 힌지축(34)은 착탈이 가능토록 힌지 볼트(34a)와, 힌지 너트(3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힌지 너트(34b)와 힌지 브라켓(32) 사이에는 와셔(34c)가 개재될 수 있다.
회동 잠금부(50)는 지주(20)가 직립상태일 때 지주(20)의 회동을 구속하여 지주(20)를 직립상태로 고정시킨다. 회동 잠금부(50)는 후크 중심축(52)과, 후크(54)와, 행거(56)를 포함한다.
후크 중심축(52)은 지주(20)가 직립상태일 때 후크(54)가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주(20)의 후크 홀(24)을 통해 지주(20)에 대하여 그 수직방향으로 지주(20)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다. 이때 지주(20)의 후크 홀(24)에는 후크 중심축(52)의 자유 회전이 용이토록 베어링(58)이 개재될 수 있다. 후크 중심축(52)은 지주(20)가 직립상태일 때, 후크(54)가 한 쌍의 힌지 브라켓(32)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한 쌍의 힌지 브라켓(32)과 구조적으로 간섭되지 않도록 힌지축(34)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주(20)의 직립상태를 기준으로, 후크 중심축(52)은 힌지축(34)과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후크 중심축(52)은 힌지축(34)보다 아래 설치될 수도 있으나, 힌지축(34)이 지주(20)의 하단에 가깝게 설치되는 경우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힌지축(34)보다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후크 중심축(52)은 외부인이 무단으로 회전시키지 못하도록 지주(20)의 내부에 은닉 상태로 설치되되, 관계자에 의해서는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양 끝단 중 적어도 한쪽이 지주(20)의 후크 홀(24)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아울러 그 노출된 끝단에 그 축방향을 따라 키(key;60)가 끼워져 합치될 수 있는 키 홈(52a)이 형성될 수 있다. 키(60)는 특정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렌치와 같은 공구가 이용될 수도 있다. 후크 중심축(52)과 키(60)는 일체로 회동 가능토록, 후크 중심축(52)의 키 홈(52a) 및 키(60)의 키 홈 삽입부(60a)가 원형이 아닌 형상, 예컨대 사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나사 체결 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관계자가 키(60)를 직접 소지, 보관하고 다니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도록, 상술한 힌지 볼트(34a)에 키(60)가 그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는 키 보관홈(34h)을 형성할 수 있다.
후크(54)는 지주(20)의 직립상태를 기준으로 후크 중심축(52)과 함께 회전하여 한 쌍의 힌지 브라켓(32)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후크(54)는 지지대(54a)와 걸고리(54b)로 구분할 수 있다. 후크(54)의 지지대(54a)는 후크 중심축(52)에 대하여 그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후크 중심축(52)으로부터 지주(20)의 하단을 향해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 중심축(52)과 힌지축(34)이 나란히 설치되는 경우, 후크(54)의 지지대(54a) 일부는 힌지축(34)과 간섭되지 않도록 대략 반원 형태로 굴곡질 수 있다. 후크(54)는 지지대(54a)와, 걸고리(54b)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54)의 걸고리(54b)는 후크(54)의 지지대(54a) 끝단에 구성될 수 있으며, 지주(20)의 직립상태를 기준으로 힌지축(34)을 향해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행거(56)는 지주(20)의 직립상태에서 후크(54)가 지주(20)의 직립상태 회동방향(화살표 P)으로 회동시 후크(54)의 걸고리(54b)가 걸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10) 상에 고정된다. 행거(56)는 지주(20)의 직립상태를 기준으로 지주(20)의 직립상태 회동방향(화살표 P)에 대하여 힌지축(34) 바로 밑에 또는 힌지축(34)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행거(56)는 지주(20)의 상하 회동시 지주(20)와 간섭되지 않도록 힌지 브라켓(32)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행거(56)는 후크(54)의 걸고리(54b)가 걸어지는 후크 홀(56a)이 지주(20)의 직립상태 회동방향(화살표 P)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 상에는 후크(54)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제1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제1홈(11)은 행거(56)의 후크 홀(56a)을 관통하며 후크(54)의 회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54)가 행거(56)로부터 이탈하여 뒤로 회동된 상태에서 지주(20)가 지면에 수평하게 눕혀질 때, 후크(54)의 걸고리(54b)는 베이스(10)와 간섭되지 않고 베이스(10)의 제1홈(11)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지주(20)에는 후크(54)를 기준으로 후크(54)가 행거(56)로부터 이탈하여 뒤로 회동되는 측에 지주(20)의 하단부터 일정 높이까지 제2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가 지면에 수평하게 눕혀질 때, 행거(56)가 지주(20)의 제2홈(26)을 관통할 수 있기 때문에 지주(20)가 행거(56)에 걸리지 않고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동 제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 제한부(70)는 지주(20)의 직립상태에서 지주(20)가 시계,반시계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지주(20)의 회동방향을 제한한다. 회동 제한부(70)는 지주(20)가 직립상태일 때 지주(20)를 기준으로 지주(20)의 회동제한방향 측에서 지주(20)의 회동을 가로막는 장애물로서, 베이스(10) 또는 힌지 브라켓(32)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 제한부(70)에 의해 지주(20)의 불필요한 회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지주(20)의 직립 위치가 결정되어 지주(20)가 정확한 위치에 직립될 수 있다.
또한 지주(20)의 상측부에는 조명기구가 설치되거나, ‘출입 금지’등의 경고문자 등을 표시한 표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는 지주(20)가 지면에 수평하게 눕혀졌을 때 차량이나 수레 등이 지주(20)를 타고 넘어가기 용이하도록 지면에 파인 홈(2)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 차량 출입 등을 제한하기 위해 지주(20)를 직립상태로 세워놓을 때에는, 후크(54)의 걸고리(54b)가 행거(56)에 걸리게 한다. 그러면 지주(20)의 직립상태 회동방향(화살표 P)으로는 지주(20)가 회동 제한부(70)에 의해 가로막히고 또한 후크(54)가 힌지축(34)에 의해 가로막히기 때문에 지주(20)의 회동이 구속된다. 또한 지주(20)의 수평 회동방향(화살표 H)으로는 후크(54)의 걸고리(54b)가 행거(56)에 걸려 지주(20)의 회동이 구속된다. 따라서 회동 잠금부(50)에 의해 지주(20)의 회동이 구속됨으로써 지주(20)가 직립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관계자 측 차량이나 수레의 출입 등이 가능하도록 지주(20)를 지면에 수평으로 눕히려면, 먼저 키(60)를 후크 중심축(52)의 키 홈(52a)에 끼워 넣고 돌리면, 키(60)와 함께 후크 중심축(52)이 회전하며, 이와 동시에 후크(54)가 힌지축(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후크(54)의 걸고리(54b)가 행거(56)로부터 이탈되어, 회동 잠금부(50)에 의한 지주(20)의 회동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지주(20)의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되어 지주(20)를 수평 회동방향(화살표 H)으로 돌리면 지면에 수평하게 눕혀 놓을 수 있다.
지주(20)가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에서 반대로 지주(20)를 직립상태 회동방향(화살표 P)으로 돌려 직립상태로 세워놓을 수 있다. 이때 지주(20)가 직립 위치로 회동되면, 지주(20)가 회동 제한부(70)에 걸리게 되어 지주(20)의 회동이 제한되고, 지주(20)가 정확한 위치에 직립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키(60)를 후크 중심축(52)에 끼워 돌려서 후크(54)를 힌지축(34)을 향해 회동시키(60)면, 후크(54)의 걸고리(54b)가 행거(56)에 다시 걸리게 됨으로서 지주(20)의 회동이 구속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전부 포함하며, 나아가 이중 잠금부(100)를 더 포함한다.
이중 잠금부(100)는 후크 중심축(52)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회동 잠금부(50)를 구속하여 지주(20)의 회동을 이중으로 구속한다.
이중 잠금부(100)는 힌지 레버(110)와, 제1연결로드(120)와, 제2연결로드(130)와, 탄성부재(140)와, 슬라이드 레버(150)를 포함한다.
힌지 레버(110)는 지주(20)의 상단 일측에 힌지 결합에 의해 상하 회동 가능토록 설치된다. 힌지 레버(110)는 힌지점(112a)을 기준으로 지지부(112)와 손잡이부(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12)는 지주(20)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지주(20) 내에서 상하 회동하며 제1연결로드(120)와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손잡이부(114)는 지주(20) 밖으로 돌출되어 손잡이 역할을 한다. 손잡이부(114)는 지지부(112)가 상측으로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지주(20) 외벽과 대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112)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하향 절곡된 구조일 수 있다.
제1연결로드(120)는 힌지 레버(110)의 지지부(112) 끝단에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며, 지주(20) 내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제2연결로드(130)는 제1연결로드(120)와 회동 잠금부(50)의 후크 중심축(52)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주(20) 내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제2연결로드(130)의 상단에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며 제1연결로드(120)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132a)이 형성된 결합부(132)가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제1연결로드(120)에 설치되어 제2연결로드(130)를 상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140)는 제2연결로드(130)의 결합부(132)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제1연결로드(120)의 하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 레버(150)는 제2연결로드(130)와 회동 잠금부(50)의 후크 중심축(52)을 연결하되, 힌지 레버(110)의 지지부(112)가 하향 회동하면 후크 중심축(52)이 이중 잠금부(100)에 의해 구속되지 않고 자유 회전될 수 있고 힌지 레버(110)의 지지부(112)가 상향 회동하면 슬라이드 레버(150)가 상측으로 당겨져 후크 중심축(52)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 레버(150)는 후크 중심축(52)에는 일체로 결합되되, 제2연결로드(130)와는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상하 이동 가능토록 결합된다. 즉 슬라이드 레버(150)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슬라이드 홀(152)이 형성되고, 제2연결로드(130)의 하단에는 슬라이드 레버(150)의 슬라이드 홀(152)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핀(134)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슬라이드 레버(150)에 슬라이드 핀(134)이 구성되고, 제2연결로드(130)에 슬라이드 홀(15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레버(150)는 지주(20)가 직립상태이고 회동 잠금부(50)에 의해 지주(20)의 회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대략 수직하게 잡아 당겨질 수 있도록 후크 중심축(52)을 기준으로 후크(54)와 대략 반대편에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볼라드의 이중 잠금부(100)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주(20)가 직립상태에서 회동 잠금부(5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힌지 레버(110)의 손잡이부(114)가 지주(20)의 외벽에 대향되도록 수직하게 위치되면, 힌지 레버(110)의 지지부(112)가 지주(20)의 상측부에 대략 수평하게 위치되며, 이에 따라 제1연결로드(120) 및 제2연결로드(130), 그리고 슬라이드 레버(150)가 상측으로 잡아당겨진 상태이다. 즉 제2연결로드(130)의 슬라이드 핀(134)이 슬라이드 레버(150)의 슬라이드 홀(152) 상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레버(150)가 대략 수직하게 세워진 자세이다. 이때에는 후크 중심축(52)이 회전력을 받더라도 슬라이드 레버(150)가 제2연결로드(130)이 슬라이드 핀(134)에 결속되어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후크 중심축(52)의 회전이 구속되고, 따라서 지주(20)의 회동이 이중으로 구속될 수 있다.
반대로 힌지 레버(110)의 손잡이부(114)를 잡고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힌지 레버(110)의 지지부(112)가 하향 회동하며, 제1연결로드(120) 및 제2연결로드(130) 또한 하향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연결로드(130)의 슬라이드 핀(134)이 슬라이드 레버(150)의 슬라이드 홀(152)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핀(134)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홀(152)의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이중 잠금부(100)에 의한 회동 중심축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회동 중심축이 자유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후크 중심축(52)이 회전하면,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로드(120) 및 제2연결로드(130) 또한 회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20; 지주
30; 힌지 32; 힌지 브라켓
34; 힌지축 50; 회동 잠금부
52; 후크 중심축 54; 후크
56; 행거 60; 키
70; 회동 제한부 100; 이중 잠금부
110; 힌지 레버 120; 제1연결로드
130; 제2연결로드 140; 탄성부재
150; 슬라이드 레버
30; 힌지 32; 힌지 브라켓
34; 힌지축 50; 회동 잠금부
52; 후크 중심축 54; 후크
56; 행거 60; 키
70; 회동 제한부 100; 이중 잠금부
110; 힌지 레버 120; 제1연결로드
130; 제2연결로드 140; 탄성부재
150; 슬라이드 레버
Claims (3)
-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상하 회동 가능토록 힌지결합되어 직립상태로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눕혀질 수 있는 지주와;
상기 지주가 직립상태일 때 상기 지주의 회동을 구속하여 상기 지주를 직립상태로 고정하는 회동잠금부와;
상기 회동 잠금부를 구속하여 상기 지주의 회동을 이중으로 구속하는 이중 잠금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잠금부는
상기 힌지의 힌지축보다 상측에 설치되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 내부에 설치되되,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지주 외부로 노출되며, 키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노출된 끝단에 상기 키가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토록 삽입되는 키 홈이 형성된 후크 중심축과;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 회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힌지축의 후방에서 상기 후크 중심축과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후크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지주의 하단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힌지축을 향해 절곡된 걸고리가 구비된 후크와;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에서 상기 후크가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 회동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후크의 걸고리가 걸어져 상기 지주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는 행거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중심축과 상기 힌지축은 나란하게 상기 지주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후크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지주의 하단을 향해 일정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힌지축과 간섭되지 않도록 반원형태로 굴곡지며 끝단에 상기 걸고리가 형성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후크와의 간섭방지를 위해 상기 행거의 후크홀을 관통하며 상기 후크의 회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1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는 지면에 수평하게 눕혀질 때, 상기 행거가 상기 지주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단부터 일정높이까지 형성된 제2홈을 구비하며,
상기 이중 잠금부는
상기 지주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지주 내에서 상하 회동하며 제1연결로드와 힌지결합되어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지주 밖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된 힌지 레버와; 상기 힌지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지주 내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제1연결로드와, 상기 제1연결로드와 상기 회동 잠금부의 후크 중심축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 내부에 설치되는 제2연결로드와, 상기 제1연결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2연결로드를 상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회동 잠금부의 후크 중심축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 레버가 하향 회동하면 상기 회동 잠금부의 후크 중심축이 자유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힌지 레버가 상향 회동하면 상측으로 당겨져 상기 회동 잠금부의 후크 중심축이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로드와 상하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는 슬라이드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지주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측으로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지주 외벽과 대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하향 절곡되며,
상기 제2연결로드의 상단에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연결로드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레버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로드의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핀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볼라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에서 상기 지주의 직립상태 회동방향으로 상기 지주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볼라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5058A KR101997230B1 (ko) | 2018-12-05 | 2018-12-05 | 회동식 볼라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5058A KR101997230B1 (ko) | 2018-12-05 | 2018-12-05 | 회동식 볼라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7230B1 true KR101997230B1 (ko) | 2019-10-01 |
Family
ID=6820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5058A KR101997230B1 (ko) | 2018-12-05 | 2018-12-05 | 회동식 볼라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723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50190A (en) * | 1976-04-26 | 1977-09-27 | Mazzone Peter A | Lockable obstruction post |
JP3035276U (ja) * | 1996-08-30 | 1997-03-11 | 伊藤鉄工株式会社 | 柱状物の可脱式起立装置 |
KR200285535Y1 (ko) * | 2002-05-14 | 2002-08-13 | 신도산업 주식회사 | 주차규제봉 |
KR100516183B1 (ko) * | 2002-09-16 | 2005-09-21 | 최창규 | 주차금지 표시대 |
KR101701388B1 (ko) | 2015-11-19 | 2017-02-13 | 주식회사 해광 |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 |
-
2018
- 2018-12-05 KR KR1020180155058A patent/KR101997230B1/ko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50190A (en) * | 1976-04-26 | 1977-09-27 | Mazzone Peter A | Lockable obstruction post |
JP3035276U (ja) * | 1996-08-30 | 1997-03-11 | 伊藤鉄工株式会社 | 柱状物の可脱式起立装置 |
KR200285535Y1 (ko) * | 2002-05-14 | 2002-08-13 | 신도산업 주식회사 | 주차규제봉 |
KR100516183B1 (ko) * | 2002-09-16 | 2005-09-21 | 최창규 | 주차금지 표시대 |
KR101701388B1 (ko) | 2015-11-19 | 2017-02-13 | 주식회사 해광 |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37424A (en) | Septic pipe field drain holders | |
US20070006794A1 (en) | Halyard system for a flag pole | |
CA2782697A1 (en) | Roll up gate system | |
JP2013530864A (ja) | 展開型シェルター構造体 | |
US6120072A (en) | Doorstop | |
KR101997230B1 (ko) | 회동식 볼라드 | |
US20070119219A1 (en) | Computer lock and corresponding security hole pattern | |
US10098508B1 (en) | Resettable breakaway shower rod system | |
KR101229425B1 (ko) |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 |
US3662979A (en) | Litter basket mounting and locking means | |
KR102608636B1 (ko) | 건축물의 소화전 보호장치 | |
US8013244B1 (en) | Lockable insert for wire access pit | |
GB2269616A (en) | Barrier post and socket | |
KR100516183B1 (ko) | 주차금지 표시대 | |
US20040262589A1 (en) | Fencing system | |
US7992767B1 (en) | Rotary safety mailbox | |
US5509754A (en) | Driveway security post | |
GB2027770A (en) | Systems for Anchoring Structural Members to the Ground | |
US20100193660A1 (en) | Apparatus for locking objects to a frozen body of water | |
JPS642031Y2 (ko) | ||
KR200285535Y1 (ko) | 주차규제봉 | |
KR102690423B1 (ko) | 자립식 추락 위험 경고 표지판과 질식사고 방지 사다리를 구비한 스마트 안전 맨홀 | |
KR101775418B1 (ko) | 방범창이 구비되는 이동식 건축물 | |
JP3107373B2 (ja) | 転落防止用梯子および転落防止用梯子を備えた地下構造物用蓋の受枠 | |
EP0182894A1 (en) | Extendable trunk locking mechani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