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123B1 - Afterglow eliminative type ilumination device - Google Patents

Afterglow eliminative type ilumin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123B1
KR101997123B1 KR1020170146604A KR20170146604A KR101997123B1 KR 101997123 B1 KR101997123 B1 KR 101997123B1 KR 1020170146604 A KR1020170146604 A KR 1020170146604A KR 20170146604 A KR20170146604 A KR 20170146604A KR 101997123 B1 KR101997123 B1 KR 101997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urrent
switch
unit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213A (en
Inventor
최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사
Priority to KR102017014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123B1/en
Publication of KR2019005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2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1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05B45/59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for reducing or suppressing flicker or glow effects
    • H05B33/0824
    • H05B33/0842
    • H05B33/089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 LED 전등과 같이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전등 부하에 대하여, 스위치(SW) 오프(OFF) 시에도 발광소자 조명장치 내에 존재하는 기생 전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발광모듈의 잔류광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는, 교류(AC) 전원을 입력받는 교류 전원부; 상기 입력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 변환부; 상기 직류(DC) 전원에 의해 전등을 발광하는 발광 모듈부; 상기 전등의 발광을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스위치(SW);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에 따른 상기 전등의 오프(OFF) 시에, 상기 직류 전원의 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포토 커플러부; 상기 포토 커플러부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한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통해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 단속하는 교류전원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 단속에 따라 접속 또는 절연 상태로 상기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교류전원 출력부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al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which may be caused by the parasitic current existing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illuminating device, is removed even when the switch SW is OFF (OFF) with respect to the lamp load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such as an AC LED lamp A lighting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and a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disclosed afterglow-removing illumination device includes: an AC power source for receiving an AC power; A DC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input AC power into a DC power; A light emitting module unit for emitting an electric lamp by the direct current (DC) power source; A switch SW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 emission of the electric lamp; An optocoupler operated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according to an OFF state of the switch SW; An alternating-current power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supply of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through the ON or OFF operation by the power outputted from the photocoupler; And an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in a connected or insulated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intermittence.

Description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 {AFTERGLOW ELIMINATIVE TYPE ILUMINATION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FTERGLOW ELIMINATIVE TYPE ILLU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교류 LED 전등과 같이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전등 부하에 대하여, 스위치(SW) 오프(OFF) 시에도 발광소자 조명장치 내에 존재하는 기생 전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발광모듈의 잔류광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on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light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llumination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light and a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o a lamp load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such as an AC LED lam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and a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light of a light emitting module which can be generated by a parasitic current.

일반적으로 교류 LED(Light Emitting Diode) 등기구와 같이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모든 부하는 교류전원 인가를 위한 스위치 오프(Off) 시에 소비전력의 누수가 발생된다.Generally, all loads using a commercial power supply, such as an AC LED (Light Emitting Diode) luminaire, leak power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for AC power supply.

즉, 종래 누설전류 차단 장치는 사용자가 스위치(SW)를 온(ON)시키게 되면 전원단과 부하단 간에 폐회로가 형성되어 전원단으로부터 상용(교류)전원이 대부분 스위칭 소자를 통해 부하단에 인가된다.That is, when the user turns on the switch SW, the closed circuit is formed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lower terminal, and the commercial (AC)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mostly applied to the lower terminal through the switching device.

그런데, 이렇게 부하단에서 전력이 소모되는 가운데, 사용자가 스위치(SW)를 오프(OFF) 시키게 되면 전원단에서 부하단 간에 연결된 소위칭 소자를 통해 미세한 전류 흐름이 있게 된다. 즉, 스위치(SW) 오프(OFF) 시에 스위칭 소자가 완전히 절연되는 것이 아니라 소위칭 소자의 게이트를 통해 전류가 부하단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However, if the user turns off the switch SW while the power is consumed at the lower stage, a minute current flows through the lower stage terminal connected to the lower stage terminal. That is,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the switching element is not completely isolated, but current flows through the gate of the corresponding element to the negative terminal.

따라서, 교류 LED 등기구에서 스위치(SW) 오프(OFF) 시에도 미세한 누설전류의 발생으로 잔광이 발생하게 되고, 부하단의 전력 소모로 대기전력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in the AC LED lamp, there is a problem that afterglow is generated due to the generation of a minute leakage current, and standby power is lost due to power consumption at the lower stage.

또한, 스위치(SW) 오프(OFF) 시에 미세한 누설전류가 부하단에게로 제공됨을 모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하여 부하에 신체의 일부가 접촉되면 감전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may be inadvertently caught in a load and a part of the body may be electrically charged in a state in which it is unknown that a minute leakage current is supplied to the load terminal.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2090호(공개일 : 2013년 08월 20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2090 (published on August 20, 2013)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류 LED 전등과 같이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전등 부하에 대하여, 스위치(SW) 오프(OFF) 시에도 발광소자 조명장치 내에 존재하는 기생 전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발광모듈의 잔류광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lighting apparatus and a light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a lamp load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such as an AC LED lamp from being generated by a parasitic current Which is capable of removing residual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a method for removing the afterglow ligh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는, 교류(AC) 전원을 입력받는 교류 전원부; 상기 입력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 변환부; 상기 직류(DC) 전원에 의해 전등을 발광하는 발광 모듈부; 상기 전등의 발광을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스위치(SW);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에 따른 상기 전등의 오프(OFF) 시에, 상기 직류 전원의 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포토 커플러부; 상기 포토 커플러부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한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통해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 단속하는 교류전원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 단속에 따라 접속 또는 절연 상태로 상기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교류전원 출력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llumination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light, comprising: an AC power source for receiving an AC power; A DC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input AC power into a DC power; A light emitting module unit for emitting an electric lamp by the direct current (DC) power source; A switch SW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 emission of the electric lamp; An optocoupler operated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according to an OFF state of the switch SW; An alternating-current power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supply of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through the ON or OFF operation by the power outputted from the photocoupler; And an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in a connected or insulated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intermittence.

또한, 상기 포토 커플러부는,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 시에 온(ON)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스위치(SW)의 온(ON) 시에 오프(OFF)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The photocoupler unit is turned on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and operated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and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n. So that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can not be supplied.

또한, 상기 포토 커플러부는,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 시에 온(ON) 동작하여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에 남아 있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가 부하단에 연결된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The photocoupler part is operated by the current of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which remains on the AC power switching part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so that the current of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It is not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lower end, so that afterglow is not generated.

또한, 상기 포토 커플러부는, 상기 스위치(SW)의 온(ON) 시에 오프(OFF)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지 않고,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가 온(ON)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가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어,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연결된 전등 부하가 전등 발광에 따라 전력을 소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photocoupler unit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n so that the AC power supply switching unit is turned on without being supplied with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through the AC power switching unit so that a lamp load connect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consumes power according to the light emission of the lamp.

또한,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 시에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가 오프(OFF)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가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연결된 전등 부하가 소등에 따라 전력이 더 이상 소모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포토 커플러부는 온(ON) 동작하여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에 남아 있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아 소모하여, 부하단에 연결된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the AC power switching unit is turned off so that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is not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through the AC power switching unit, The photocoupler unit is turned on to supply and consume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remaining in the AC power source switching unit so that the power is no longer consumed due to the lighting loa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output unit being turned off, It is not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lower end, so that afterglow is not generated.

그리고, 상기 스위치(SW)의 오프시마다 상기 직류전원의 잔류에 따른 전압과 전류값을 검출하여 전압과 전류 및 전력 값으로 일정 횟수 이상 학습하여 저장하는 전력 학습부; 및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 시에, 상기 전력 학습부를 통해 학습된 전력값이 소모되도록 상기 포토 커플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ower learning unit for detecting voltage and curren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DC power and learning and storing a voltage, a current, and a power value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each time the switch SW is turned off;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hotocoupler such that the learned power value is consumed by the power learning unit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잔광 제거 방법은, (a) 교류 전원부에서 교류(AC)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 (b) 직류 변환부에서 상기 입력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 (c) 스위치(SW)가 상기 전등의 발광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단계; 및 (d) 포토 커플러부가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에 따른 상기 전등의 오프(OFF) 시에, 상기 직류 전원의 전류에 의해 온(ON)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moving afterglow light from an illumination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an AC power from an AC power source; (b) converting the input AC power into a direct current (DC) power in a DC converter; (c) a step in which the switch SW turns on or off the light emission of the electric lamp; And (d) when the photocoupler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the photocoupler is turned on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포토 커플러부는,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 시에 온(ON) 동작하여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에 남아 있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에 의해 동작하므로,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가 부하단에 연결된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tep (d), the photocoupler unit is turned on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and operates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remaining in the AC power switching unit, The DC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thereby preventing afterglow.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포토 커플러부는, 상기 스위치(SW)의 온(ON)에 따른 상기 전등의 온(ON) 시에, 상기 직류 전원의 전류가 교류전원 스위칭부를 통해 교류전원 출력부로 공급됨에 따라 오프(OFF) 동작하고,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가 스위칭 온에 따라 접속 상태가 되어 상기 교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서 상기 공급된 교류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In the step (d), the photocoupler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through the AC power switching unit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AC power supply switching unit turns on the AC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witching-on state to supply the AC power, and the AC power supply unit outputs the supplied AC power.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 시에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가 오프(OFF)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가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연결된 전등 부하가 소등에 따라 전력이 더 이상 소모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포토 커플러부는 온(ON) 동작하여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에 남아 있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아 소모하여, 부하단에 연결된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In the step (c),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the AC power switching unit is turned off so that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is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through the AC power switching unit The photocoupler unit is turned on in the step (d) so that the AC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AC power switching unit, The DC current is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C power supply, so that the afterglow is not generated.

그리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포토 커플러부는, 상기 스위치(SW)의 온(ON) 시에 오프(OFF)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지 않고,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가 온(ON)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가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어,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연결된 전등 부하가 전등 발광에 따라 전력을 소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In the step (d), the photocoupler unit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n, so that the AC power supply switching unit is turned on without being supplied with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through the AC power switching unit so that the lamp load connect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consumes power according to the light emission of the lamp.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SW)의 오프(OFF) 시에 포토 커플러부가 온(ON) 동작하여, 교류전원 스위칭부에 남아 있는 직류전원의 전류를 소모함으로써, 직류전원의 전류가 부하단에 연결된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the photocoupler unit is turned on so that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remaining in the AC power switching unit is consumed so that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The afterglow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by not being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를 회로로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잔광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lighting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lighting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ircui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moving afterglo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ing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If any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art, it may be directly on the other part or may be accompanied by another part therebetween. In contrast, when a section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above" another section, no other section is involved.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a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portion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sectio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any moiety, elem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moiety, moiety,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portion,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ortion,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other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 / It does not exclude addition.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Terms indicating relative space such as "below "," above ", and the like may be used to more easily describe the relationship to other portions of a portion shown in the figures. Thes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other meanings or acts of the apparatus in use, as well as intended meanings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inverting a device in the figures, certain parts that are described as being "below" other parts are described as being "above " other parts. Thus, an exemplary term "below" includes both up and down directions. The device can be rotated by 90 degrees or rotated at different angles, and terms indicating relative space are interpreted accordingly.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lighting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100)는, 교류 전원부(110)와, 직류 변환부(120), 발광 모듈부(130), 스위치(SW)(140),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부(150), 교류전원 스위칭부(160) 및 교류전원 출력부(170)를 포함한다.1, a lighting device 100 for removing afterg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 power source unit 110, a DC converting unit 120, a light emitting module unit 130, a switch SW 140, A photo coupler section 150, an AC power switching section 160, and an AC power output section 170.

교류 전원부(110)는 외부로부터 예컨대, 110V 또는 220V 등의 교류(AC) 전원을 입력받는다.The AC power source unit 110 receives AC power of, for example, 110 V or 220 V from the outside.

직류 변환부(120)는 입력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한다.The DC converting unit 120 converts the inputted AC power into a DC (direct current) power.

발광 모듈부(130)는 직류(DC) 전원에 의해 전등을 발광하는 것으로써 발광에 따라 전력을 소모하는 전등 부하를 의미한다.The light emitting module unit 130 refers to a lamp load that emits light by a direct current (DC) power source to consume electric power according to light emission.

스위치(14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등의 발광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명령을 입력한다.The switch 140 inputs a command to turn ON or OFF the light emission of the electric lamp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포토 커플러부(150)는 스위치(140)의 오프(OFF)에 따른 전등의 오프(OFF) 시에, 직류 전원의 전류에 의해 온(ON) 동작한다. 여기서, 포토 커플러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단(AC OUT1)과 제2 출력단(AC OUT2)에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 저항(R7, R8)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를 회로로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커플러부(150)는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을 포토 트랜지스터에 입사하게 되면, 포토 트랜지스터에서 이를 수광하여 전도 상태가 되므로,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The photocoupler unit 150 is turned on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when the lamp is turned off due to the OFF of the switch 140. 2, the photocoupler unit 150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output terminal AC OUT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AC OUT2, respectively, and they are connected through resistors R7 and R8, respectively .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lighting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ircuit. As shown in FIG. 2, when the photocoupler unit 150 receiv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into the phototransistor, the phototransistor receives the phototransistor and the phototransistor is in a conducting state, thereby consuming power.

즉, 포토 커플러부(150)는, 스위치(140)의 오프(OFF) 시에 온(ON) 동작하여 직류전원의 전류에 의해 동작하고, 스위치(140)의 온(ON) 시에는 오프(OFF) 동작하여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That is, the photocoupler unit 150 is turned on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and operated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n, ) So that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can not be supplied.

또한, 포토 커플러부(150)는, 스위치(140)의 오프(OFF) 시에 온(ON) 동작하여 교류전원 스위칭부(160)에 남아 있는 직류전원의 전류에 의해 동작하여, 직류전원의 전류가 부하단에 연결된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The photocoupler unit 150 is operated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that remains on the AC power switching unit 160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Is not supplied to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output unit 170 connected to the lower end, so that afterglow is not generated.

그리고, 포토 커플러부(150)는, 스위치(140)의 온(ON) 시에 오프(OFF) 동작하여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지 않고, 교류전원 스위칭부(160)가 온(ON) 동작하여 직류전원의 전류가 교류전원 스위칭부(160)를 통해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공급되어,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연결된 발광 모듈부(130)의 전등 부하가 전등 발광에 따라 전력을 소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photocoupler unit 150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n so that the AC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60 is turned on without being supplied with the DC power supply current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through the AC power switching unit 160 so that the lamp load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unit 130 connect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To be consumed.

교류전원 스위칭부(160)는 포토 커플러부(150)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한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통해 교류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 단속한다.The AC power switching unit 160 switches on and off the supply of the AC power through the ON or OFF operation of the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hotocoupler unit 150.

교류전원 출력부(170)는 스위칭 단속에 따라 접속 또는 절연 상태로 교류 전원을 출력한다.The AC power output unit 170 outputs AC power in a connected or insulated state in accordance with switching interruption.

그리고, 스위치(140)의 오프(OFF) 시에 교류전원 스위칭부(160)가 오프(OFF) 동작하여 직류전원의 전류가 교류전원 스위칭부(160)를 통해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연결된 발광 모듈부(130)의 전등 부하가 소등에 따라 전력이 더 이상 소모되지 않도록 하고, 포토 커플러부(150)는 온(ON) 동작하여 교류전원 스위칭부(160)에 남아 있는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아 소모하여, 발광 모듈부(130)의 부하단에 연결된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the AC power switching unit 160 is turned off so that the DC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through the AC power switching unit 160 The photocoupler unit 150 is turned on so that the electric power is no longer consumed due to the light load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unit 130 connect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being turned off, The residual current is not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unit 130 by receiving and consuming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remaining in the switching unit 16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잔광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moving afterglo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먼저 교류 전원부(110)에서 교류(AC) 전원을 입력받는다(S310).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전원부(110)를 통해 AC 110V 또는 AC 220V 전압의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3, the ligh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receives AC power from an AC power source 110 (S310). That is, as shown in FIG. 2, AC power of 110 V AC or 220 V AC is input through the AC power source 110.

이어, 직류 변환부(120)에서 교류 전원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한다(S320). 즉, 플러스(+) 전원과 마이너스(-) 전원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는 교류 전원에 대해, 플러스(+) 전원으로 이루어진 안정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해 주는 것이다.Next, the AC power input from the DC power conversion unit 120 through the AC power supply unit 110 is converted into a DC power (S320). That is, the AC power source is alternately switched between a positive (+) power source and a negative (-) power source, and is converted into a stable DC power source composed of a positive (+) power source.

이어, 스위치(140)가 전등의 발광을 온(ON) 또는 오프(OFF)한다(S330). 즉, 발광 모듈부(130)의 조명을 턴 온(Turn On)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140)를 온(ON)시키는 동작에 따라 스위치(140)가 온(ON) 동작하거나, 발광 모듈부(130)의 조명을 턴 오프(Turn Off) 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140)를 오프(OFF)시키는 동작에 따라 스위치(140)가 오프(OFF) 동작하는 것이다.Next, the switch 140 turns on or off the light emission of the electric lamp (S330). That is, when the user turns on the switch 140 in order to turn on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unit 130, the switch 140 is turned on or the light emitting module unit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according to an operation that the user turns off the switch 140 in order to turn off the illumination of the switch 130.

이어, 포토 커플러부(150)는 스위치(140)의 오프(OFF)에 따른 전등의 오프(OFF) 시에, 직류 전원의 전류에 의해 온(ON) 동작하여 잔광을 소멸한다(S340)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the photocoupler unit 150 is turned on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to extinguish the afterglow (S340)

즉, 포토 커플러부(150)는, 발광 모듈부(130)의 조명이 발광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프(OFF)시키는 동작에 따라 스위치(140)의 오프(OFF) 시에 온(ON) 동작하여 교류전원 스위칭부(160)에 남아 있는 직류전원의 전류에 의해 동작하므로, 직류전원의 전류가 부하단에 연결된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hotocoupler unit 150 is turned on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urning off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unit 130 is being emitted, And operates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remaining in the AC power switching unit 160 so that the after current is not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connected to the lower end so that afterglow is not generated .

여기서, 포토 커플러부(150)는, 스위치(140)의 온(ON)에 따른 전등의 온(ON) 시에, 직류 전원의 전류가 교류전원 스위칭부(160)를 통해 교류전원 출력부(170)로 공급되도록 오프(OFF) 동작하고, 교류전원 스위칭부(160)가 스위칭 온에 따라 접속 상태가 되어 교류 전원이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교류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Here, the photocoupler unit 1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output unit 170 (not shown) through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switching unit 160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n And the AC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AC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switching on and supplies the AC power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to output the AC power.

또한, 스위치(140)의 오프(OFF) 시에 교류전원 스위칭부(160)가 오프(OFF) 동작하여 직류전원의 전류가 교류전원 스위칭부(160)를 통해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연결된 전등 부하가 소등에 따라 전력이 더 이상 소모되지 않도록 하고, 포토 커플러부(150)는 온(ON) 동작하여 교류전원 스위칭부(160)에 남아 있는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아 소모하여, 부하단에 연결된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the AC power switching unit 160 is turned off so that the DC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through the AC power switching unit 160 The photocoupler unit 150 is turned on and remains in the AC power switching unit 160 so that the power is not consumed any more as the lamp load connect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is turned off. So that it is not supplied to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output unit 170 connected to the lower stage, thereby preventing the afterglow from being generated.

그리고, 포토 커플러부(150)는, 스위치(140)의 온(ON) 시에 오프(OFF) 동작하여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지 않고, 교류전원 스위칭부(160)가 온(ON) 동작하여 직류전원의 전류가 교류전원 스위칭부(160)를 통해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공급되어, 교류전원 출력부(170)에 연결된 전등 부하가 전등 발광에 따라 전력을 소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photocoupler unit 150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n so that the AC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60 is turned on without being supplied with the DC power supply current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through the AC power switching unit 160 so that the lamp load connect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170 can consume power according to the light emission of the lamp.

한편, 스위치(140)의 오프(OFF) 시마다 잔광을 제거하기 위해 포토 커플러부(150)를 동작하여 소모시키는 전력값을 일정 횟수로 검출하여 학습함으로써 다음 번 스위치 오프 시에 이를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the photocoupler unit 150 is operated to remove the afterglow, and the power value consumed by the photocoupler unit 150 is detected and learn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40)의 오프시마다 직류전원의 잔류에 따른 전압과 전류값을 검출하여 전압과 전류 및 전력 값으로 일정 횟수 이상 학습하여 저장하는 전력 학습부(180); 및 스위치(140)의 오프(OFF) 시에, 전력 학습부(180)를 통해 학습된 전력값이 소모되도록 포토 커플러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4,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residual DC power are detected, and the voltage, current, and power value A power learning unit 180 for learning and sto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And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hotocoupler unit 150 such that the learned power value is consumed through the power learning unit 180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ing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일정 횟수 이상으로 학습된 전력값에 근거해 스위치(140)의 오프(OFF) 시에 학습된 전력값만큼 포토 커플러부(150)에서 전력을 소모하도록 함으로써 발광 모듈부(130)에 전혀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hotocoupler unit 150 consumes power by the learned power value when the switch 140 is turned OFF based on the learned power value ov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Can be prevent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류 LED 전등과 같이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전등 부하에 대하여, 스위치(SW) 오프(OFF) 시에도 발광소자 조명장치 내에 존재하는 기생 전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발광모듈의 잔류광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a light emitting module which can be generated by a parasitic current existing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illuminating device can be applied to a lamp load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ighting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n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 110 : 교류 전원부
120 : 직류 변환부 130 : 발광 모듈부
140 : 스위치(SW) 150 : 포토 커플러부
160 : 교류전원 스위칭부 170 : 교류전원 출력부
180 : 전력 학습부 190 : 제어부
100: illumination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110: AC power source
120: DC converter 130: Light emitting module
140: switch (SW) 150: photocoupler part
160: AC power switching unit 170: AC power output unit
180: power learning unit 190:

Claims (10)

교류(AC) 전원을 입력받는 교류 전원부;
상기 입력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 변환부;
상기 직류(DC) 전원에 의해 전등을 발광하는 발광 모듈부;
상기 전등의 발광을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스위치(SW);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에 따른 상기 전등의 오프(OFF) 시에, 상기 직류 전원의 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포토 커플러부;
상기 포토 커플러부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한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통해 상기 교류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 단속하는 교류전원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 단속에 따라 접속 또는 절연 상태로 상기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교류전원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포토 커플러부는,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 시에 온(ON) 동작하여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에 남아 있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가 부하단에 연결된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잔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SW)의 온(ON) 시에 오프(OFF)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를 공급받지 않고,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가 온(ON) 동작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전류가 상기 교류전원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공급되어, 상기 교류전원 출력부에 연결된 전등 부하가 전등 발광에 따라 전력을 소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광제거용 조명 장치.
An AC power source for receiving an AC power;
A DC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input AC power into a DC power;
A light emitting module unit for emitting an electric lamp by the direct current (DC) power source;
A switch SW for turning on or off the light emission of the electric lamp;
An optocoupler operated by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upply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according to an OFF state of the switch SW;
An alternating-current power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supply of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through the ON or OFF operation by the power outputted from the photocoupler; And
An alternating-current pow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in a connected or insulated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intermittence; , ≪ / RTI &
The photocoupler part is operated by the current of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which remains on the AC power switching part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so that the current of the direct current power is supplied to the negative terminal And the switch SW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n so as not to be supplied with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And the current of the DC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through the AC power switching unit so that the lamp load connected to the AC power output unit can consume power according to the light emission of the lamp Features,
Lighting device for removing afterglow.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SW)의 오프시마다 상기 직류전원의 잔류에 따른 전압과 전류값을 검출하여 전압과 전류 및 전력 값으로 일정 횟수 이상 학습하여 저장하는 전력 학습부; 및
상기 스위치(SW)의 오프(OFF) 시에, 상기 전력 학습부를 통해 학습된 전력값이 소모되도록 상기 포토 커플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잔광 제거용 조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wer learning unit for detecting voltage and current values according to the remaining DC power and learning and storing the voltage, current, and power value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n the switch SW is off;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hotocoupler such that a power value learned through the power learning unit is consumed when the switch SW is turned off;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for illuminating the illumination optical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46604A 2017-11-06 2017-11-06 Afterglow eliminative type ilumination device KR1019971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04A KR101997123B1 (en) 2017-11-06 2017-11-06 Afterglow eliminative type ilumin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04A KR101997123B1 (en) 2017-11-06 2017-11-06 Afterglow eliminative type ilumin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13A KR20190051213A (en) 2019-05-15
KR101997123B1 true KR101997123B1 (en) 2019-07-05

Family

ID=66579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04A KR101997123B1 (en) 2017-11-06 2017-11-06 Afterglow eliminative type ilumin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123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35B1 (en) * 2008-05-07 2010-05-18 주식회사 아모럭스 Apparatus for breaking leakage current when switch is off in AC ??? lighting fixture
KR101312628B1 (en) 2012-02-10 2013-10-01 주식회사 디에스이 Low Voltage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Lamp
KR101568855B1 (en) * 2013-08-28 2015-11-12 주식회사 미강조명 Led convertor lc feedback stabiliza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13A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0209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version of an input AC voltage to a DC voltage, retrofit lamp having a circuit arrangement such as this, as well as a lighting system
TWI532409B (en) Illumination device and the led dimming circuit thereof
EP2480049A3 (en) Power supply device for light sources
KR100958435B1 (en) Apparatus for breaking leakage current when switch is off in AC ??? lighting fixture
JP6087960B2 (en) LED light source
JP2012133942A (en) Led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6352975A (en) Switching power unit
TWI538342B (en)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power switch without using a neutral wire
CN108353486A (en) Encode optic modulating device
JP2012146622A (en) Light source device
KR101997123B1 (en) Afterglow eliminative type ilumination device
US9888532B2 (en) Lighting circuit and illumination system
JP6350948B2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930289B1 (en) Power control apparatus
KR101442013B1 (en) Tester for power supply converter
JP5842129B2 (en) LED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20077596A (en) Illumination lighting device, luminaire, and illumination apparatus
KR20160069050A (en) LED lighting apparatus operable in emergency
TWI509958B (en) Dynamic frequency adjustment power control device
JP6282012B2 (en) LIGHTING POWER DEVICE AND LIGHTING POWER SYSTEM
JP2010169479A (en) Sensor for detecting electric quantity
JP7153873B2 (en) Lighting device, lighting device and emergency lighting system
JP2016027778A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JP6533966B2 (en) Power supply with light
JP6042846B2 (en) Power supply for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