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042B1 -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042B1
KR101996042B1 KR1020190020373A KR20190020373A KR101996042B1 KR 101996042 B1 KR101996042 B1 KR 101996042B1 KR 1020190020373 A KR1020190020373 A KR 1020190020373A KR 20190020373 A KR20190020373 A KR 20190020373A KR 101996042 B1 KR101996042 B1 KR 101996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ember
pipe
coupled
in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기
박점옥
조규홍
박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19002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집수된 오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부를 연장시키는 입상관; 상기 입상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입상관의 내부를 차폐시키는 속뚜껑; 상기 입상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입상관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지하의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부재; 및 상기 단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부재의 손잡이 기능을 함과 동시에 상기 단열부재가 상부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속뚜껑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여 상기 오수의 역류시 상기 단열부재가 오수를 차단하도록 지지하는 간격유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입상관 내부에 단열부재를 삽입하여 입상관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지하의 냉기를 차단함으로써 입상관 및 본체의 동결 및 동파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상관에 내부를 차폐시키는 속뚜껑을 결합하고, 입상관 내부에 삽입된 단열부재에는 속뚜껑과의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손잡이기능을 하는 간격유지봉을 구비하여 단열부재가 간격유지봉을 통해 속뚜껑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오수의 역류 및 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수받이{Drain Sewage Apparatus}
본 발명은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입상관의 측벽으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여 입상관 및 본체의 동결을 방지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및 상업용 건물 등 각종 건물의 실내에서는 오폐수가 발생하고, 실외에서는 건물의 외부 및 주변을 세척할 때에 사용되는 세척수 및 빗물(이하, '우수'라 통칭함)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물의 실내 및 실외에서 발생하는 오폐수 및 우수는 지중에 매설되는 오수받이에 의해 집수되어 정수시스템으로 이송되고 있다.
종래에는 악취 문제로 인하여 폐수와 오수를 별도로 구분시켜 폐수용 오수받이와 오수용 오수받이를 구분하여 매설하였으나, 근래에는 폐수와 오수를 구분하지 않고 일괄 집수할 수 있도록 폐수용 오수받이와 오수용 오수받이를 하나로 결합하여 형성한 오수받이가 제안되어 있으며, 오수받이의 내부에는 악취가 역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 오수받이의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주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유출관과,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설치된 두 개의 보조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유입관에 연결되어 오수가 유입됨과 아울러 오수가 잔류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U트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용부를 갖는 본체는 지하 깊은 곳에 매립되고, 상기 본체의 수용부 상부에는 지상에 설치된 맨홀뚜껑에 가깝게 상기 수용부를 연장시키는 입상관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오수받이는 주유입관 또는 보조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본체의 수용부에 집수한 후 유출관을 통해 유출시킨다.
이때, 수용부에 집수된 오수는 바닥에 고여 있을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의 지하 냉기가 본체로 전달되게 되면 수용부에 고여 있는 오수가 얼게 되어 본체 및 트랩을 동결시키게 된다.
이는 본체의 동파로 진행되어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며, 본체 상에 설치되는 입상관 역시 지하 냉기가 전달되어 입상관 동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삭제
삭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28125호(등록일 2013.10.30)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07127호(등록일 2003.11.13)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상관 내부에 단열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입상관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지하의 냉기를 차단함으로써 입상관 및 본체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상관 상단에 상기 입상관의 내부를 차폐시키는 속뚜껑을 결합하고, 상기 입상관 내부에 삽입된 단열부재에는 속뚜껑과의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손잡이기능을 하는 간격유지봉을 구비하여 상기 단열부재가 상기 간격유지봉을 통해 상기 속뚜껑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오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상관 내부에 삽입된 단열부재를 간격유지봉과 결합된 단열내통체와 상기 단열내통체를 수용하는 단열외통체로 구성하고, 상기 단열내통체와 단열외통체를 분리 및 결합되게 함으로써 본체 수용부의 청소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출관의 입구에 거름망을 결합하여 이물질을 걸러 냄으로써 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입관 및 유출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연결관을 잇는 벨로스형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관의 유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반 침하가 발생하였을 때 본체의 충격완화 및 연결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는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집수된 오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부를 연장시키는 입상관; 상기 입상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입상관의 내부를 차폐시키는 속뚜껑; 상기 입상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입상관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지하의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부재; 및 상기 단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부재의 손잡이 기능을 함과 동시에 상기 단열부재가 상부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속뚜껑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여 상기 오수의 역류시 상기 단열부재가 오수를 차단하도록 지지하는 간격유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간격유지봉과 결합된 단열내통체와 상기 단열내통체를 수용하는 단열외통체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내통체와 단열외통체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내통체와 단열외통체의 탈착구조는 상호 체결되는 암, 수 한 쌍의 나선형 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내통체와 상기 단열외통체는 난연성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발포스티로폼(Expanded PolyStyrene, EPS), 압출스티로폼(Extruded PolyStylene, XPS)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상관의 내벽에는 상기 단열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단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의 상부에는 텐션력으로 상기 입상관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단열부재가 상부로 밀리지 않게 구속하는 C형의 탄성링이 얹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속뚜껑의 저면에는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속뚜껑의 저면에는 상기 단열판이 탈착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판을 고정시키는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유출관의 입구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연결관을 잇는 벨로스형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입상관 내부에 단열부재를 삽입하여 입상관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지하의 냉기를 차단함으로써 입상관 및 본체의 동결 및 동파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상관에 내부를 차폐시키는 속뚜껑을 결합하고, 입상관 내부에 삽입된 단열부재에는 속뚜껑과의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손잡이기능을 하는 간격유지봉을 구비하여 단열부재가 간격유지봉을 통해 속뚜껑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오수의 역류 및 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부재는 간격유지봉과 결합된 단열내통체와, 단열내통체를 수용하는 단열외통체가 분리 및 결합되게 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열부재 전체를 인출시키거나 단열내통체만 인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본체 수용부 내부의 청소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출관의 입구에 거름망을 결합하여 이물질을 걸러 냄으로써 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유입관 및 유출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연결관을 잇는 벨로스형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지반 침하가 발생하였을 때 연결관의 유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체의 충격완화 및 연결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를 도시한 외형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에서 속뚜껑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는 본체(100)와, 입상관(200)과, 속뚜껑(300)과, 단열부재(400)와, 간격유지봉(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관(110)과, 유입관(110)으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는 수용부(120)와, 수용부(120)에 집수된 오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13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 형태의 수용부(120)가 구비되고, 수용부(120)의 일측면에는 수용부(120)와 연통되는 유입관(110)이 구비되며, 수용부(120)의 타측면에는 수용부(120)와 연통되는 유출관(130)이 구비된다.
이에 더하여, 본체(100)의 수용부(120) 일측면과 타측면에 이웃하는 양 측면에는 보조 유입관(110)이 구비되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유입관(110)을 통해 악취가 역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U트랩(미도시)이 설치되며, 본체(100)의 상단에는 입상관(200)의 연결을 위한 이음관(1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유출관(130)은 복수의 유입관(110)들로부터 동시에 유입되는 오수를 정체됨이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유입관(110)들보다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의 이음관(140)에는 입상관(200)이 결합된다. 입상관(120)은 지상에 설치되는 맨홀뚜껑(미도시)에 가깝게 본체(100)의 수용부(120)를 연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입상관(200)의 상단에는 입상관(200)의 내부를 차폐시키는 속뚜껑(3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속뚜껑(300)의 상부에는 지상에 설치되는 맨홀뚜껑(미도시) 즉, 원형의 주철뚜껑이 설치된다.
입상관(200)의 내부에는 단열부재(400)가 삽입된다.
단열부재(400)는 중공부(411)가 형성된 단열외통체(410)와, 단열외통체(410)의 중공부(411)에 삽입되는 단열내통체(420)로 구성되고, 단열내통체(420)와 단열외통체(410)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단열내통체(420)와 단열외통체(410)의 탈착구조는 상호 체결되는 암, 수 한 쌍의 나선형 리브(412,422))로 구성된다. 즉, 단열외통체(410)의 중공부(411) 내면에는 암 나선형 리브(412)가 형성되고, 중공부(411)에 삽입되는 단열내통체(420)의 외면에는 수 나선형 리브(422)가 형성되어 단열외통체(410)와 단열내통체(420)가 체결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단열내통체(420)와 단열외통체(410)는 난연성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발포스티로폼(Expanded PolyStyrene, EPS), 압출스티로폼(Extruded PolyStylene, XPS) 중 어느 하나의 단열재가 사용된다.
단열내통체(420)와 단열외통체(410)로 구성된 단열부재(400)는 입상관(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입상관(200)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지하의 냉기를 차단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본체(100) 및 U트랩(미도시)의 동결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단열내통체(420)의 상면 중앙에는 단열부재(400)의 손잡이 기능을 함과 동시에 단열부재(400)가 상부로 밀리지 않도록 속뚜껑(300)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간격유지봉(500)이 결합된다.
간격유지봉(500)은 단열내통체(420)의 중심부와 연결되어 입상관(2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속뚜껑(300)의 저면에 접촉되는 높이를 갖는다. 즉, 간격유지봉(500)은 속뚜껑(300)에 지지되어 오수의 역류 시 단열부재(400)가 상부로 밀리지 않게 단열부재(400)를 지지시킴으로써 단열부재(400)가 역류되는 오수의 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돕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단열내통체(420)와 단열외통체(410)는 암, 수 나선형 리브(412,422)를 통해 체결 결합됨으로써 단열내통체(420)와 단열외통체(410) 사이로 오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간격유지봉(500)은 단열부재(400)의 손잡이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본체의 수용부(120)를 청소하거나 U트랩의 교체 등 유지관리를 위해 입상관(200) 내부에 삽입된 단열부재(400)를 외부로 인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입상관(200)에 결합된 속뚜껑(300)을 열고, 간격유지봉(500)을 손으로 잡아 들어 올리면 간격유지봉(500)에 결합된 단열부재(400)가 입상관(200)으로부터 인출되어진다. 즉, 간격유지봉(500)은 단열부재(400)의 인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간격유지봉(500)은 단열부재인 단열내통체(420)에 결합되고, 단열내통체(420)는 단열외통체(410)와 탈착 가능한 체결 결합구조를 갖기 때문에 단열외통체(410)의 중공부(411)로부터 단열내통체(4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즉, 간격유지봉(500)을 손으로 잡고 일 방향 회전시키면 단열외통체(410)와 단열내통체(420)의 체결이 풀리면서 단열내통체(420)만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열외통체(410)의 중공부(411)를 통해 본체 수용부(120) 내부를 확인하거나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필요에 따라서 단열부재(400) 전체를 외부로 인출시키지 않고 단열내통체(420)만 인출시켜 간단한 확인이나 작업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의 용의성 및 유지관리의 편이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에 더하여, 입상관(200)의 내벽에는 단열부재(400)의 하단, 상세하게는 단열외통체(410)의 하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단턱(210)이 구비된다.
입상관(200) 내벽의 단턱(210)은 단열부재(400)의 하단을 지지하여 단열부재(400)가 입상관(2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더하여, 단열부재(400)의 상부에는 텐션력으로 입상관(200)의 내벽에 밀착되어 단열부재(200)를 구속하는 C형의 탄성링(600)이 얹어진다.
C형의 탄성링(600)은 수축된 상태에서 입상관(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삽입후 복원되는 텐션력에 의해 입상관(200)의 내벽에 밀착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단열부재(400)가 상부로 밀리지 않게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간격유지봉(500)과 같이 오수의 역류 시 단열부재(400)가 상부로 밀리지 않게 지지시킴으로써 단열부재(400)가 입상관(200) 내부로부터 오수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돕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관(2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속뚜껑(300)의 외측면에는 입상관(200)의 내부를 밀폐하여 악취근절 및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310)이 체결된다.
그리고, 속뚜껑(300)의 저면에는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판(320)이 결합된다.
이때, 단열판(320)은 속뚜껑(300)의 저면에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속뚜껑(300)의 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리브(330)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단열판(320)이 속뚜껑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330)에 박혀 속뚜껑(300)으로부터 탈착되지 않게 속뚜껑(3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실시형태를 갖는다.
이에 더하여, 유출관(130)의 입구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700)이 결합된다. 거름망(700)은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크기가 큰 것들을 걸러내어 이물질의 유출을 억제하고 유출관(130)에 연결된 연결관(900)이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이에 더하여, 본체의 유입관(110) 및 유출관(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연결관(900)을 잇는 벨로스형 연결부재(800)가 결합된다.
벨로스형 연결부재(800)는 유입관(110) 및 유출관(130)에 결합되는 연결관(900)의 유동성을 확보하여 지반 침하가 발생하였을 때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연결관(900)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입상관 내부에 단열부재를 삽입하여 입상관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지하의 냉기를 차단함으로써 입상관 및 본체의 동결 및 동파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입상관에 내부를 차폐시키는 속뚜껑을 결합하고, 입상관 내부에 삽입된 단열부재에는 속뚜껑과의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손잡이기능을 하는 간격유지봉을 구비하여 단열부재가 간격유지봉을 통해 속뚜껑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오수의 역류 및 분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단열부재는 간격유지봉과 결합된 단열내통체와, 단열내통체를 수용하는 단열외통체가 분리 및 결합되게 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열부재 전체를 인출시키거나 단열내통체만 인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본체 수용부 내부의 청소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유출관의 입구에 거름망을 결합하여 이물질을 걸러 냄으로써 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관 및 유출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연결관을 잇는 벨로스형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지반 침하가 발생하였을 때 연결관의 유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체의 충격완화 및 연결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유입관
120: 수용부 130: 유출관
140: 이음관 200: 입상관
210: 단턱 300: 속뚜껑
310: 고무링 320: 단열판
330: 리브 400: 단열부재
410: 단열외통체 411: 중공부
412: 암 나선형 리브 420: 단열내통체
422: 수 나선형 리브 500: 간격유지봉
600: 탄성링 700: 거름망
800: 벨르스형 연결부재 900: 연결관

Claims (10)

  1.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집수된 오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관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부를 연장시키는 입상관; 상기 입상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입상관의 내부를 차폐시키는 속뚜껑; 상기 입상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입상관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지하의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부재; 및 상기 단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부재의 손잡이 기능을 함과 동시에 상기 단열부재가 상부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속뚜껑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여 상기 오수의 역류시 상기 단열부재가 오수를 차단하도록 지지하는 간격유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간격유지봉과 결합된 단열내통체와 상기 단열내통체를 수용하는 단열외통체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내통체와 단열외통체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내통체와 단열외통체의 탈착구조는 상호 체결되는 암, 수 한 쌍의 나선형 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내통체와 상기 단열외통체는 난연성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발포스티로폼(Expanded PolyStyrene, EPS), 압출스티로폼(Extruded PolyStylene, XPS)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의 내벽에는 상기 단열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단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의 상부에는 텐션력으로 상기 입상관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단열부재가 상부로 밀리지 않게 구속하는 C형의 탄성링이 얹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의 저면에는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의 저면에는 상기 단열판이 탈착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판을 고정시키는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의 입구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연결관을 잇는 벨로스형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KR1020190020373A 2019-02-21 2019-02-21 오수받이 KR101996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73A KR101996042B1 (ko) 2019-02-21 2019-02-21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373A KR101996042B1 (ko) 2019-02-21 2019-02-21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042B1 true KR101996042B1 (ko) 2019-07-03

Family

ID=6725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373A KR101996042B1 (ko) 2019-02-21 2019-02-21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831B1 (ko) 2019-08-22 2020-04-14 주식회사 뉴보텍 우오수받이 장치
KR102142369B1 (ko) * 2019-11-26 2020-08-07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27B1 (en) 2003-02-26 2003-11-28 Synectics Co Ltd Hard rack device of car dvr
KR101151960B1 (ko) * 2011-03-10 2012-06-01 김진희 오수받이 장치
KR101328125B1 (ko) 2013-04-09 2013-11-08 (주) 태성이엔지 부품 실장 및 보호 케이스
KR20130128027A (ko) * 2012-05-16 2013-11-26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배수맨홀
KR101365936B1 (ko) * 2013-07-16 2014-03-13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KR101683426B1 (ko) * 2016-06-16 2016-12-06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결로방지 및 수충격흡수가 가능한 밸브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27B1 (en) 2003-02-26 2003-11-28 Synectics Co Ltd Hard rack device of car dvr
KR101151960B1 (ko) * 2011-03-10 2012-06-01 김진희 오수받이 장치
KR20130128027A (ko) * 2012-05-16 2013-11-26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배수맨홀
KR101328125B1 (ko) 2013-04-09 2013-11-08 (주) 태성이엔지 부품 실장 및 보호 케이스
KR101365936B1 (ko) * 2013-07-16 2014-03-13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KR101683426B1 (ko) * 2016-06-16 2016-12-06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결로방지 및 수충격흡수가 가능한 밸브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831B1 (ko) 2019-08-22 2020-04-14 주식회사 뉴보텍 우오수받이 장치
KR102142369B1 (ko) * 2019-11-26 2020-08-07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369B1 (ko)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
KR101996042B1 (ko) 오수받이
US5419838A (en) Groundwater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having a gallery with a filtering means
KR101827077B1 (ko) 오수받이 겸 맨홀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JP7097253B2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KR101226910B1 (ko) 악취 방지 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AU2005202156B1 (en) Filtration System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JP7097927B2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CN211228803U (zh) 一种地漏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101562940B1 (ko) 유속을 빠르게 하는 유선형 트랩을 갖는 오수받이
KR101876365B1 (ko)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20100049163A (ko) 교량용 매립형 집수구/배수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75329B1 (ko) 오수받이
KR20160003178U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101168642B1 (ko) 플렉시블 배수관 및 오수받이의 조립구조체
KR100638557B1 (ko) 우수받이 겸용 오수받이
KR200369779Y1 (ko) 트랩을 이용한 하수관로의 악취역류차단 및 해충유입 방지장치
KR200412547Y1 (ko) 우수받이 겸용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