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832B1 -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832B1
KR101995832B1 KR1020170080199A KR20170080199A KR101995832B1 KR 101995832 B1 KR101995832 B1 KR 101995832B1 KR 1020170080199 A KR1020170080199 A KR 1020170080199A KR 20170080199 A KR20170080199 A KR 20170080199A KR 101995832 B1 KR101995832 B1 KR 10199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and
unit
performance
consumption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975A (ko
Inventor
정동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080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8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은 청구실적 생성부, 소모실적 생성부, 청구/소모 조합부, 수요예측부, 수요예측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청구실적 생성부는 정비지시서목록, 청구내역, AS실적의 자료를 기반으로 월간, 연간단위로 청구실적을 생성하고, 소모실적 생성부는 할당내역목록, 청구내역, AS실적의 자료 중에서 월간, 연간, 통제기간 단위로 소모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청구/소모 조합부는 생성된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을 조합하여 청구 및 소모실적을 월간, 연간, 통제기간 단위로 생성하며, 계산된 청구실적, 소모실적, 청구/소모 조합으로부터 수요예측부는 월간단위, 연간단위, 통제기간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수요예측부에서 예측한 수요예측 결과를 수요예측 검증부가 조달계획과 예산편성 시 비교 및 검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REPAIR PARTS DEMAND FORE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요 집계 방식과 통계 기법 선정방식에 일정한 기준을 부가하여 보다 수요예측을 정확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투장비가 고장 났을 경우 적시에 수리부속을 확보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투장비를 정비해야 한다. 만약 수리부속이 확보되어 있지 않아 적시에 지원이 곤란할 경우 전투장비는 가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는 전쟁의 승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고 전투장비의 전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수리부속의 충분한 재고량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수리부속을 과다하게 보유하면 저장 공간의 부족, 유지비용의 증가, 수송비용의 발생, 수리부속 관리 인력의 낭비 등 잉여자산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듯 수리부속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국방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군의 수리부속 수요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노력은 외부기관에 비해 미진한 상태이다. 그 결과 일부 부대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수리부속을 보급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반대로 다른 부대에서는 수리부속을 과다 보유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육군에서는 장비의 고장이 발생하면 편성부대에서 정비지시서를 작성한 후 편성부대에 수리부속이 있으면 이를 소모하여 수리한다. 편성부대(정비부대)에 수리부속이 없으면 수리부속 저장 창고로 수리부속을 청구한다. 육군은 상기 정비지시서를 이용하여 수리부속의 수요를 집계하며 이렇게 집계된 결과를 가지고 수리부속의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있다. 정비지시서를 이용한 수요집계 방식은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수요를 집계함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정비지시서를 작성하여 수리부속을 청구하면 수리부속 수요집계에 반영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수리부속을 청구한 후 자체적으로 수리하는 등의 사유가 발생하여 수리부속 청구를 취소할 수 있는데, 정비지시서에 의한 수요집계 방식에서는 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장비고장 발생시점에 정비지시서 작성 대비 한달평균 33% 가량이 수요집계에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장비의 고장 발생으로 인하여 장비지시서가 작성되면 작성된 정비지시서에 따른 정비를 즉시 완료해야 한다. 하지만, 정비 수행과정 중 일부 미완료된 항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정비지시 미완료 항목이 누적될 수 있다. 그 결과 최근의 정비지시에 따른 청구뿐만 아니라 기존의 청구까지 집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한 수요의 왜곡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편성부대에서 수리부속품을 실제 소모량보다 과다하게 청구할 수도 있다. 유사시 즉각적인 수리부속 지원을 위한 재고로 확보 및 운영하기 위해서는 실제 소모량에 가깝게 수리부속을 청구해야하며, 그러하지 못할 경우 수리부속의 수요가 과도하게 집계된다. 그리고 수요를 예측할 때 상기 설명한 과도하게 집계된 청구실적에 기반하여 예측하므로 수요의 왜곡현상 및 가수요 발생 여지가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집계된 수요예측 값이 산출된다. 따라서 수리부속 재고 과다보유 및 실제 소모량 판단에 왜곡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다 고정밀도의 수요예측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원천자료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방식인 청구실적에 의한 수요집계 방식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여 수요의 왜곡현상은 줄여 수요집계와 수요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수요예측을 위한 원천 자료인 수요집계 방법을 개선하고 적정 재고유지를 위한 재고량을 다시 판단하여 수요예측 정확도 향상 및 국방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수요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은 정비지시서목록, 청구내역, AS실적의 자료 중에서 일정 기간단위로 청구실적을 생성하는 청구실적 생성부, 할당내역목록, 청구내역, AS실적의 자료 중에서 일정 기간 단위로 소모실적을 생성하는 소모실적 생성부, 생성된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을 조합하여 청구 및 소모실적을 일정 기간 단위로 생성하는 청구/소모 조합부, 계산된 청구실적, 소모실적, 청구/소모 조합으로부터 월간단위, 연간단위, 통제기간의 수요를 예측하는 수요예측부와 상기 계산된 수요예측 결과를 조달계획과 예산편성 시 비교 및 검증하는 수요예측 검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생성된 청구실적, 소모실적, 청구/소모 조합으로부터 보급수준을 일정 기간단위로 계산하는 보급수준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소모 조합부는 기존 4개년은 소모실적으로, 최근 1개년은 청구실적으로 조합하여 월간, 연간 단위로 청구실적 및 소모실적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수리부속청구를 취소했을 때, 수요취소 발생시점과 수요취소 수량을 식별하여 수요취소 목록을 생성하는 수요집계 취소목록 생성부, 상기 수요집계 취소목록 생성부의 취소목록을 품목별로 상기 수요집계부에 반영하는 품목 별 수요수정부와 상기 수요수정부에서 수정된 수요에 기반하여 수요를 생성하는 수요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요예측부는 기 설정된 수개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수요예측 결과를 산정하는 통계기법 처리부, 상기 통계기법 처리부에서 얻은 자료의 통계량을 계산하는 통계량 계산부, 상기 통계량 계산부에서 얻은 수치들을 기 설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수 개의 통계기법을 적용한 수요예측 결과 중 최적의 수요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적용기법 판단부와 상기 통계기법 처리부에서 얻은 자료의 정확도를 산정하는 수요예측 정확도 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리부속의 청구실적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한 수리부속의 소모실적도 수요집계에 반영하여 이용함으로써 수요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각급 부대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수리부속을 보급하기 위해 재고로 확보 및 운영되어야 할 물량을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을 기반으로 재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리부속의 적정 재고를 유지 및 관리함으로써 수송부담의 감소와 수리부속 저장창고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의 수요예측 업무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세부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의 수요집계 중 수요취소의 세부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의 수리부속 수요를 예측하는 기법의 세부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present invention)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가운데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 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이 적용되는 업무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세부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은 정비지시서 작성부(10), 수리부속 확인부(20), 청구실적 생성부(30), 소모실적 생성부(40), 청구/소모 실적 조합부(50), 수요예측부(70), 수요예측 검증부(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비지시서 작성부(10)는 장비의 고장 발생시 수리부속 확보를 위한 청구를 위한 지시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지시서는 장비를 운용하는 부대에서 작성한다. 상기 정비지시서 작성부(10)는, 장비를 운용하는 부대에서 부대정보, 장비번호, 수리부속번호, 청구일자, 정비청구량, 정비구분, 고장원인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정비지시서를 작성할 수 있다.
수리부속 확인부(20)는, 상기 정비지시서 작성부(10)에서 작성된 정비지시서의 데이터를 기초로 부대정보와 부대의 수리부속 보유여부 및 보유수량을 확인하여 편성부대에 수리부속의 추가보급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청구실적 생성부(30)는 정비지시서 및 청구내역 등을 기반으로 청구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리부속 확인부에서 편성부대(정비부대)에서 수리부속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은 시설부대(수리부속 저장창고)로 수리부속을 청구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청구실적 생성부(30)는 정비지시서 목록부(30a), 청구내역부(30b), AS실적부(30c)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수리부속의 청구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비지시서 목록부(30a)는, 편성부대에서 작성한 정비지시서에 의해 수리부속을 청구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비지시서 목록부(30a)는, 각 부대별로 상기 작성된 정비지시서 작성(10)에서 등록된 내용인 정비부대, 작업번호, 목적부호, 거래사유, 완료여부, 완료일자, 취소량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청구내역부(30b)는, 편성부대(정비부대)에서 정비지시서를 작성하는 품목과 정비지시서를 작성하지 않는 품목을 포함한 시간교환품목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청구내역부(30b)는, 해·공군을 포함한 각 부대별로 상기 작성된 목록으로 청구번호, 거래식별, 거래유형, 거래사유, 목적부호, 청구량, 단가, 처리일자 등의 정보가 저장할 수 있다.
상기 AS실적부(30c)는 정비지시서에 의한 청구 후에 업체에서 무료로 수리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AS실적부(30c)는 정비부대, 정비지시서번호, 장비번호, 수리부속번호, 사용수량, 정비인시, 정비완료일자 등의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30)는, 상기 생성된 보급 수리부속 청구내역이 저장되어 있는 정비지시서 목록부(30a), 모든 청구내역이 저장되어 있는 청구내역부(30b) 그리고 업체에서 정비한 결과가 저장되어 있는 AS실적부(30c)의 자료를 분석하여 청구실적의 수요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에서 청구실적을 생성할 때에는 기존에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청구내역 중에서 유효한 청구와 유효하지 않은 청구를 식별한 후 실질적으로 유효한 청구만을 기준으로 청구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소모실적 생성부(40)는 할당 내역, AS내역 등을 기반으로 수리부속의 소모실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소모실적 생성부(40)는 할당내역부(40a), 청구내역부(40b), AS실적부(40c)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수리부속의 소모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할당내역부(40a)는, 편성부대(정비부대)에서 수리부속을 실제 사용한 실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리부속 확인부에서 수리부속의 청구내역과 수리부속의 보유여부를 조사한 결과 수리부속이 편성부대(정비부대)에 존재할 경우 해당부대에서 자체적으로 고장 난 장비를 정비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장비를 정비한 경우 이러한 소모내역을 반영하여 소모처리부에서는 해당 수리부속을 소모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할당내역부(40a)는, 각 부대별로 상기 작성된 목록으로 정비부대, 정비지시서번호, 수리부속번호, 목적부호, 부속 및 공구 상태, 신품사용량, 중고사용량, 재생사용량, 사용일자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수리부속을 사용한 후에 사용한 수리부속을 소모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청구내역부(40b)는, 편성부대(정비부대)에서 정비지시서를 작성하는 품목과 정비지시서를 작성하지 않는 품목을 포함한 시간교환품목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청구내역부(40b)는, 해·공군을 포함한 각 부대별로 상기 작성된 목록으로 청구번호, 거래유형, 거래사유, 청구량, 단가, 처리일자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AS실적부(40c)는 정비지시서에 의한 청구 후에 업체에서 무료로 수리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AS실적부(40c)는 정비부대, 정비지시서번호, 장비번호, 수리부속번호, 사용수량, 정비인시, 정비완료일자 등의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소모실적 생성부(40)는, 상기 생성된 소모처리 결과가 저장되어있는 할당내역부(40a)와 청구내역이 저장되어 있는 청구내역부(40b) 그리고 업체에서 정비한 결과가 저장되어 있는 AS실적부(40c)의 자료를 분석하여 수리부속의 소모실적의 수요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와 소모실적 생성부는 각 내역을 토대로 계산된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을 기반으로 부대별, 품목별 수요를 일정 기간단위로 집계할 수 있으며 특히 월단위, 연단위로 각 수요를 집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와 상기 소모실적 생성부는 상기 정비지시서 목록부를 검색하여 정비지시서의 완료처리여부 등을 판단하여 수리부속의 실제 사용실적을 검색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여 청구실적 생성부와 소모실적 생성부는 수리부속의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의 월간 수요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청구실적 생성부와 소모실적 생성부는 생성된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의 월간수요를 부대별, 품목별로 종합한 후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 수리부속의 청구와 소모의 연간수요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와 소모실적 생성부에서 청구실적의 수요와 소모실적의 수요를 집계한 자료를 기반으로 수요예측부(70)에서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혹은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의 수요를 조합하여 보다 고정밀도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청구/소모 조합부(50)는 청구실적 생성부(30)와 소모실적 생성부(40)에서 생성된 수요실적을 활용하여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을 조합하여 최적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실제 수리부속의 소모실적을 알 수 있는 기간은 소모실적을 수요집계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청구/소모 조합부는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와 소모실적 생성부에서 생성된 자료 중에서 최근 1년의 수리부속의 청구실적과 기존 4년의 수치는 소모실적을 조합할 수 있다. 혹은 청구/소모 조합부는 최근 2년의 청구실적과, 기존 3년의 수치는 소모실적을 조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청구 및 소모실적을 조합할 수 있다. 청구/소모 조합부가 청구실적과 소모실적 중 어떠한 실적을 이용해서 조합할지는 예측자의 상황 및 수리부속의 특징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품목별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품목별 수요집계라 한다.
상기 정비지시서 목록부에 저장된 정비지시서의 거래사유 및 목적부호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를 품목별 수요집계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정비지시서의 거래사유가 정비용 청구/불출, D/L해소분 부속 불출 중에서 목적부호가 일반지원소요, CSP품목, 야전정비소요만 식별하여 조건에 해당되는 수리부속은 품목별 수요집계를 생성할 수 있다. 품목별 수요집계는, 상기 생성된 할당내역부(30a)에서 목적부호가 일반지원소요, CSP품목, 야전정비소요를 만족하고 수리부속/공구의 상태가 신품사용량, 중고사용량, 재생사용량으로 구분하여 조건에 해당되는 수리부속/공구는 품목별 수요집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청구내역부(40b)에 저장된 청구내역의 거래식별과 목적부호가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이를 품목별 수요집계에 반영할 수 있다. 청구내역의 거래식별이 거래부대 청구이고 목적부호가 공구인 수리부속과 거래식별이 거래부대 청구서이고 해·공군에서 청구한 수리부속 그리고 거래식별이 거래부대 청구서이고 거래사유가 항공기 시간교환품목 청구인 경우 상기 생성된 품목별 월 수요집계에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품목을 추가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AS실적부(40c)의 수리부속이 정비부대별 사용실적에 해당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를 품목별 월 수요집계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수리부속의 청구실적, 소모실적 등의 수요집계가 완료되면, 해당 수리부속이 인가저장품목(Authorized Stockage List 이하 ASL로 칭함)으로 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ASL은 보급제대에 저장하도록 인가한 인가저장 목록상의 품목을 뜻한다. 이는 각급 보급부대에서 현재 상태의 수리부속의 보급을 지속하고 장차 예상되는 수리부속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항상 저장 유지하도록 인가된 보급품이다.
수리부속 품목별로 ASL에 선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수리부속이 ASL로 선정되어 있으면, 보급수준 계산부(60)에서 수리부속의 보급수준을 계산할 수 있으며, ASL로 선정되어 있지 않으면 수요예측부(70)에서 해당 수리부속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보급수준 계산부(60)는, 편성부대(정비부대) 및 시설부대(수리부속 저장창고)에서의 보급수준을 계산할 수 있다. 보급수준이란 편성부대(정비부대) 및 시설부대(수리부속 저장창고)에서 재고로 확보 및 운영되어야 할 물량을 말한다. 본 발명은 편성부대(정비부대) 및 시설부대(수리부속 저장창고)의 보급수준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상기 청구실적과 상기 소모실적을 조합하여 수요예측 결과를 기반으로 보급수준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보급수준 계산부(60)는, 상기 생성된 청구실적 생성부(50a)의 정보를 이용한 수요예측 결과를 기반으로 보급수준을 계산할 수 있고 소모실적 생성부(50b)의 정보를 이용한 수요예측 결과를 기반으로 보급수준을 계산 할 수 있으며, 또한 청구/소모 조합부(50c)에서 조합된 결과를 이용한 수요예측 결과를 기반으로 보급수준을 계산 할 수 있다.
상기 보급수준 계산부(60)가 보급수준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060705088-pat00001
(∴
Figure 112017060705088-pat00002
∈{
Figure 112017060705088-pat00003
}
Figure 112017060705088-pat00004
: 연간수요량,
Figure 112017060705088-pat00005
: 안전수준,
Figure 112017060705088-pat00006
: 운영수준
Figure 112017060705088-pat00007
: 발주 및 수송기간)
상기 보급수준 저장부(61)는, 상기 생성된 보급수준 계산부(60)에서 계산된 결과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보급수준 저장부(60)에 저장된 결과값은 각 부대 편성부대(정비부대) 및 시설부대(수리부속 저장창고)에서 재고로 확보 및 운영할 수 있는 품목당 수량이다.
수요예측부(70)는 정비지시서 작성 후 청구한 실적이 저장된 청구실적 저장부(50a)와 소모처리 된 결과가 저장된 소모실적 저장부(50b), 그리고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을 활용한 청구/소모 조합부(50c)의 각각의 정보를 이용하여 월단위 수요를 예측하고 연단위 수요는 월단위 수요집계를 이용하여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요예측부(70)는 수요예측 제어부와 수요예측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요예측 제어부(80a)는, 상기 생성된 청구실적 생성부(50a)와 소모실적 생성부(50b)에서 생성된 정보를 활용하여 수요를 예측하고, 상기 생성된 도 3의 품목별 수요집계 자료를 활용하여 수요예측 제어부는 일정기간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간단위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요예측 제어부(70a)는, 상기 청구/소모 조합부(50c)에서 조합된 정보를 활용해 수요예측 기법을 통해 월단위, 연단위, 통제기간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5년간의 수요를 기반으로 수요를 예측할 경우 4년은 소모실적으로 1년(통제기간)은 청구실적으로 하거나 3년은 소모실적으로 2년은 청구실적으로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요를 예측 할 수 있다. 상기 수요예측 제어부(70a)는, 청구/소모 조합부(50c)에서 생성된 정보를 기반으로 산술평균, 이동평균, 최소자승법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자세한 수요예측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수요예측 저장부(70b)는, 상기 생성된 수요예측 제어부(70a)에서 예측된 모든 결과값과 수요예측 제어부(70a)에서 예측한 최적의 결과 값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리 부속 수요 예측 시스템의 수요취소 처리부(51)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의 수요집계 과정은 보다 정밀한 예측을 위해 수요취소를 처리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은 수요취소 처리부(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수요취소 처리부(51)는 수요집계 취소목록 생성부(51a), 수요 수정부(51b), 수요 생성부(5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요집계 취소 목록생성부(51a)는, 상기 생성된 정비지시서 목록부(40a)의 정비지시서가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취소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비지시서 목록의 거래식별이 거래부대 요청 취소, 거래사유가 정비용 청구/불출, 목적부호가 일반지원소요이면서 CSP품목이고 야전정비소요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정비지지서 청구의 취소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수요집계 취소목록 생성부(51a)는, 청구내역부의 내역이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취소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성된 청구내역의 거래식별이 청구에 대한 취소이거나 거래부대/지원부대 요청취소 또는 기타(정상불출 외) 불출 취소, 목적부호가 일반지원소요 정비용공구 CSP품목 야전정비소요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청구내역의 최소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청구내역의 취소목록 조건인 거래식별과 목적부호 조건은 같으면서 거래사유가 항공기 시간 교환품목 청구인 경우 상기 생성된 수요집계 취소 목록에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품목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수요 수정부(51b)는, 상기 생성된 수요집계 취소 목록생성(53)의 품목을 상기 생성된 품목별 수요집계 품목에 반영하는 절차로 청구건수와 취소건수가 같으면 취소 일자와 부대를 검색한 후 품목별 수요집계에 그대로 반영하고, 청구건수와 취소건수가 다르면 취소 해당일자와 부대를 검색 후 품목수량만 감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요 수정부에서는 상기 생성된 청구실적의 품목별 수요집계 자료를 활용하여 연간 수요 집계 정보를 수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통제기간 수요 생성은, 상기 생성된 품목별 수요집계 자료를 참조하여 가장 최근에 청구한 통제기간(해당 월 전달부터 과거 12개월)의 수요 횟수와 수요수량에 대한 수요 집계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품목별 수요집계는 모든 품목을 대상으로 수요집계를 실시하나, 상기 생성된 통제기간 수요 생성은 대치품목을 표준품목에 합산하여 수요를 집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의 수요예측부(70)의 세부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요예측부(70)는 수요집계 데이터 처리부(71), 통계기법 처리부(72), 통계량 계산부(73), 적용기법 판단부(74), 수요예측 정확도 산정부(7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요집계 데이터 처리부(71)는, 상기 생성된 청구실적 수요, 소모실적 수요, 청구/소모실적 수요를 참조하여 수요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통계기법 처리부(72)는 상기 수요집계 실적부에서 참조한 자료를 적어도 2가지 이상의 통계기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통계기법으로는 산술평균법, 이동평균법, 최소자승법 중에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산술평균법, 이동평균법은 과거의 수치적 정보(수요실적)를 시차별로 분석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산술평균법은 대상기간인 5개년 또는 4개년+통제기간의 연간 수요량 합계를 대상기간으로 나눈 평균값을 의미하며, 이동평균은 대상기간인 5개년 또는 4개년+통제기간의 연간 수요량 합계를 3년 단위로 1년씩 이동하면서 산출한 평균값을 다시 평균한 값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최소자승법은 수요와 관련된 원인을 파악하고 수요와 이들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모형을 만들어 수요를 예측하는 회귀모형의 방법이다. 최소자승법은 대상기간인 5개년 또는 4개년+통제기간의 연간 수요량을 이용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로 나타내는 방정식(Y=a+bx)을 이용하여 종속변수(Y)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그 외에 통계기법 처리부에서 처리하는 통계기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알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통계기법 처리부(72)는 각 수요집계 실적부로부터 참조한 자료를 각각의 통계기법별로 처리한 수 개의 결과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통계량 계산부(73)는 상기 통계기법 처리부(72)에 의해 처리된 수 개 자료의 통계량을 계산하는 부이다. 상기 통계량 계산부에서 계산할 통계량은 기울기, 분산, 편차 , 표준편차 및 편차도 평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계량 계산부는 청구/소모 조합부에서 활용한 실적에 따라서, 가령 상기 생성된 5개년의 청구실적 또는 4개년의 청구실적과 최근 1개년의 수요실적을 이용하여, 기울기 값을 계산한다. 통계량 계산부에서 기울기 값을 계산하는 수학적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060705088-pat00008
(∴
Figure 112017060705088-pat00009
: 변량 ,
Figure 112017060705088-pat00010
: 수요실적)
상기 통계량 계산부는 청구/소모 조합부에서 활용한 실적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생성된 5개년 또는 4개년+통제기간의 수요실적을 이용하여, 편차를 계산할 수 있다. 통계량 계산부에서 편차를 계산하는 수학적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060705088-pat00011
상기 통계량 계산부는 상기 편차를 구한 후, 편차도 평균을 구할 수 있다. 편차도 평균의 수학적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060705088-pat00012
(∴ N : 수요연도 ,
Figure 112017060705088-pat00013
: 편차)
적용기법 판단부(74)는, 상기 예측된 수요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어떤 기법으로 예측한 결과 값을 선택할지 자동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요의 점을 연결한 수요선을 통하여 추세선을 구하고 추세선의 기울기 값을 분석하고 수요선과 편차를 검토하여 최적의 통계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세선의 기울기가 +- 1 이내이면 산술평균, 최소자승의 예측치가 -값인 경우 이동평균 적용, 기울기가 +- 1을 초과 시 편차가 +- 0.2 이내이면 최소자승, 그 외는 이동평균을 적용하는 방법 등으로 통계량을 분석하여 최적의 수요예측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수요예측 정확도 산정부(75)는 상기 수요예측 제어부에서 예측한 수요예측 결과값과 실제 소모내역을 활용해 수요예측의 정확도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요예측 정확도 산정부(75)에서 품목기준 수요예측 정확도를 산정하는 수학적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060705088-pat00014
(∴
Figure 112017060705088-pat00015
: 수요예측,
Figure 112017060705088-pat00016
: 실제 사용)
수요예측 검증부(80)는 상기 생성된 청구실적을 활용한 수요예측과 청구/소모 조합을 활용한 수요예측 결과를 비교 및 분석, 검증하여 이상치가 발견되거나 수요예측을 재산정하고자 할 경우 이를 반영하여 품목당 수요를 수정하여 예측 할 수 있다. 수요예측 검증부(80)는, 상기 생성된 수요예측 결과를 활용하여 조달계획 및 예산편성에 따른 수요와 수요예측 결과값을 비교 및 검토할 수 있다.
상기 수요예측 검증부는 수요예측부에서 계산한 결과 값을 검토하였을 때 수요 집계한 결과 중 이상치가 발견되거나 집계된 수요에서 제외하고자하는 수요가 있으면 해당 수요를 집계에서 제외하고 다시 수요예측을 실행 할 수 있다.
상기 수요예측 검증부는 보급수준 및 자산판단 등의 자료를 검토하여 해당년도 조달계획 및 예산편성 시 수요예측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요예측 검증부는 기존 방식인 청구실적에 의한 수요예측 결과와 소모실적에 의한 수요예측 결과 및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을 조합한 자료에 의한 수요예측 결과를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는 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검증결과 저장부(81)는 상기 수요예측 검증부(80)에서 처리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리부속 수요예측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디바이스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정비지시서 작성부
20-수리부속 확인부
30-청구실적 생성부
30a-정비지시서 목록부
30b-청구내역부
30c-AS실적부
40-소모실적 생성부
40a-할당내역부
40b-청구내역부
40c-AS실적부
50-청구/소모 조합부
51-수요 취소 처리부
51a-수요집계 취소목록 생성부
51b-수요 수정부
60-보급수준 계산부
61-보급수준 저장부
70-수요예측부
71-수요집계 데이터 처리부
72-통계기법 처리부
73-통계량 계산부
74-적용기법 판단부
75-수요예측 정확도 산정부
80-수요예측 검증부
81-검증결과 저장부

Claims (13)

  1. 수리부속의 청구 내역을 기반으로 하여 기 설정된 기간 단위로 수리부속의
    청구실적을 생성하는 청구실적 생성부;
    수리부속의 소모 내역을 기반으로 하여 기 설정된 기간 단위로 수리부속의
    소모실적을 생성하는 소모실적 생성부;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에서 생성한 청구실적과 상기 소모실적 생성부에서 생성한 소모실적을 조합하되, 상기 청구실적은 최근 1개년 간 수리부속의 청구실적으로 하고, 상기 소모실적은 기존 4개년 간 수리부속의 소모실적으로 하는 실적 조합부;
    상기 계산된 청구실적, 소모실적 및 조합된 실적으로부터 아래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값, 편차, 편차도 평균값을 구하고, 수요의 점을 연결한 수요선을 통하여 추세선을 구하며,
    기울기 수학식
    Figure 112018108287762-pat00036
    (∴
    Figure 112018108287762-pat00037
    : 변량 ,
    Figure 112018108287762-pat00038
    : 수요실적)
    편차 수학식
    Figure 112018108287762-pat00039

    편차도 평균 수학식
    Figure 112018108287762-pat00040
    (∴ N : 수요연도 ,
    Figure 112018108287762-pat00041
    : 편차)
    「추세선의 기울기가 +- 1 이내이면 산술평균, 최소자승의 예측치가 -값인 경우 이동평균 적용, 기울기가 +- 1을 초과 시 편차가 +- 0.2 이내이면 최소자승, 그 외는 이동평균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기 설정된 기간의 수요를 예측하는 수요예측부; 및
    상기 수요예측부에서 계산한 수요예측 결과를 검증하는 수요예측 검증부;
    를 포함하며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에서 생성한 청구실적, 상기 소모실적 생성부에서 생성한 소모실적 및 상기 실적 조합부에서 생성한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의 조합으로부터 재고로 확보되고 운영되어야 할 물량인 보급수준을 일정 기간 단위로 계산하는 보급수준 계산부;를 더 포함하되 보급수준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Figure 112018108287762-pat00022
    (∴
    Figure 112018108287762-pat00023
    ∈{
    Figure 112018108287762-pat00024
    }
    Figure 112018108287762-pat00025
    : 연간수요량,
    Figure 112018108287762-pat00026
    : 안전수준,
    Figure 112018108287762-pat00027
    : 운영수준
    Figure 112018108287762-pat00028
    : 발주 및 수송기간)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
    수리부속 청구의 취소를 반영하여 상기 청구실적 및 상기 소모실적을 수정할 수 있는 수요취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
    상기 수요취소 처리부는 수리부속청구를 취소했을 때, 수요취소 발생시점과 수요취소 수량을 식별하여 수요취소 목록을 생성하는 수요 취소목록 생성부; 및
    상기 수요 취소목록 생성부에서 생성한 취소목록을 품목별로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와 상기 소모실적 생성부에 반영하는 수요수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
    상기 수요예측부는 기 설정된 수 개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수요예측 결과를 산정하는 통계기법 처리부;
    상기 통계기법 처리부에서 얻은 수요예측 결과의 통계량을 계산하는 통계량 계산부;
    상기 통계량 계산부에서 얻은 수치들을 기 설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수 개의 수요예측 결과 중 최적의 수요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적용기법 판단부; 및
    상기 통계기법 처리부에서 얻은 자료의 정확도를 산정하는 수요예측 정확도 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7. 청구실적 생성부, 소모실적 생성부, 실적 조합부, 수요예측부, 수요예측 검증부 및 보급수준 계산부를 포함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가 수리부속의 청구 내역을 기반으로 하여 일정 기간 단위로 수리부속의 청구실적을 생성하는 청구실적 생성단계;
    상기 소모실적 생성부가 수리부속의 소모 내역을 기반으로 하여 일정 기간 단위로 수리부속의 소모실적을 생성하는 소모실적 생성단계;
    상기 실적 조합부가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에서 생성한 청구실적과 상기 소모실적 생성부에서 생성한 소모실적을 조합하되, 상기 청구실적은 최근 1개년 간 수리부속의 청구실적으로 하고, 상기 소모실적은 기존 4개년 간 수리부속의 소모실적으로 하는 실적 조합단계;
    상기 수요예측부가 상기 계산된 청구실적, 소모실적 및 조합된 실적으로부터 아래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값, 편차, 편차도 평균값을 구하고, 수요의 점을 연결한 수요선을 통하여 추세선을 구하며,
    기울기 수학식
    Figure 112018130068214-pat00042
    (∴
    Figure 112018130068214-pat00043
    : 변량 ,
    Figure 112018130068214-pat00044
    : 수요실적)
    편차 수학식
    Figure 112018130068214-pat00045

    편차도 평균 수학식
    Figure 112018130068214-pat00046
    (∴ N : 수요연도 ,
    Figure 112018130068214-pat00047
    : 편차)
    「추세선의 기울기가 +- 1 이내이면 산술평균, 최소자승의 예측치가 -값인 경우 이동평균 적용, 기울기가 +- 1 초과 시 편차가 +- 0.2 이내이면 최소자승, 그 외는 이동평균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일정 기간의 수요를 예측하는 수요예측단계; 및
    상기 수요예측 검증부가 상기 수요예측부에서 계산된 수요예측 결과를 검증하는 수요예측 검증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보급수준 계산부가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에서 생성한 청구실적, 상기 소모실적 생성부에서 생성한 소모실적 및 상기 실적 조합부에서 생성한 청구실적과 소모실적의 조합으로부터 재고로 확보되고 운영되어야 할 물량인 보급수준을 일정 기간 단위로 계산하는 보급수준 계산단계;를 더 포함하되 보급수준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방법
    Figure 112018130068214-pat00029
    (∴
    Figure 112018130068214-pat00030
    ∈{
    Figure 112018130068214-pat00031
    }
    Figure 112018130068214-pat00032
    : 연간수요량,
    Figure 112018130068214-pat00033
    : 안전수준,
    Figure 112018130068214-pat00034
    : 운영수준
    Figure 112018130068214-pat00035
    : 발주 및 수송기간)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
    수요취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요취소 처리부가 수리부속 청구의 취소를 반영하여 상기 청구실적 및 상기 소모실적을 수정할 수 있는 수요취소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
    수요 취소목록 생성부, 수요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요취소 처리단계는
    수리부속청구를 취소했을 때, 상기 수요 취소목록 생성부가 수요취소 발생시점과 수요취소 수량을 식별하여 수요취소 목록을 생성하는 수요 취소목록 생성단계; 및
    상기 수요수정부가 상기 수요 취소목록 생성부에서 생성한 취소목록을 품목별로 상기 청구실적 생성부와 상기 소모실적 생성부에 반영하는 수요수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방법
  12. 제 7항에 있어,
    통계기법 처리부, 통계량 계산부, 적용기법 판단부 및 수요예측 정확도 산정부를 더 포함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요예측단계는
    상기 통계기법 처리부가 기 설정된 수 개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수요예측 결과를 산정하는 통계기법 처리단계;
    상기 통계량 계산부가 상기 통계기법 처리부에서 얻은 수요예측 결과의 통계량을 계산하는 통계량 계산단계;
    상기 적용기법 판단부가 상기 통계량 계산부에서 얻은 수치들을 기 설정된 범위와 비교하여 수 개의 수요예측 결과 중 최적의 수요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적용기법 판단단계; 및
    상기 수요예측 정확도 산정부가 상기 통계기법 처리부에서 얻은 자료의 정확도를 산정하는 수요예측 정확도 산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부속 수요예측 방법
  13. 제 7항 및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80199A 2017-06-26 2017-06-26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99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199A KR101995832B1 (ko) 2017-06-26 2017-06-26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199A KR101995832B1 (ko) 2017-06-26 2017-06-26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75A KR20190000975A (ko) 2019-01-04
KR101995832B1 true KR101995832B1 (ko) 2019-07-08

Family

ID=6501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199A KR101995832B1 (ko) 2017-06-26 2017-06-26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396B1 (ko) * 2019-11-15 2021-08-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군장비 수리부속 품목 수요예측의 고도화를 위한 강화학습 적용
KR102497543B1 (ko) * 2020-12-21 2023-02-1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머신러닝을 사용한 군 수리부속 수요예측 모델과 실용화 시스템
CN115169658B (zh) * 2022-06-24 2023-11-21 南京英诺森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npl和知识图谱的库存消耗预测方法、系统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8976A (ja) * 2013-12-04 2015-06-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部品発注支援システム及び部品発注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9791B2 (en) * 2005-11-29 2012-07-24 The Boeing Company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integrated program products for supply chain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8976A (ja) * 2013-12-04 2015-06-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部品発注支援システム及び部品発注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75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7049B2 (en) Estimating demand for a supply chain according to order lead time
Kapuscinski et al. Inventory decisions in Dell's supply chain
Bragg Cost reduction analysis: tools and strategies
US94239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configuring one or more autonomous cells in a print shop environment
US20140006088A1 (en) Automated scheduling of non-routine maintenance to systems of capital assets
US200500658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cquisition and analysis of data for print shop performance evaluation and adjustment
KR101995832B1 (ko) 수리부속 수요예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US8428987B2 (en) Determining order lead time for a supply chain using a probability distribution of order lead time
JP2004501447A (ja) 保守システムをモデル形成する方法
US200700885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lifecycle costs of an asset inventory
Kuo et al. Carbon footprint inventory route planning and selection of hot spot suppliers
Gómez Monopoly regulation
US202100651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ruitment candidate equity modeling
JP2017072870A (ja)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KR102064384B1 (ko) 자재 재고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nvar et al. CARBON EMISSION MANAGEMENT FOR GREENING SUPPLY CHAINS AT THE OPERATIONAL LEVEL.
KR20080004243A (ko) 조선소 운영을 위한 경영계획 시스템 구축 방법
US20100076806A1 (en) Inventory management tool using a criticality measure
Pingle Selection of obsolescence resolution strategy based on a multi criteria decision model
US200602244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asset inventory
Jing et al. A Risk‐based Approach to Managing Performance‐based Maintenance Contracts
Soosaimuthu et al. Reporting and Analytics: Operational and Strategic
Carroll Earned Value Management in easy steps: Keep tabs on the real status of all projects, including agile projects
Lee Determining Optimal Supply Level for Intermittent and Low Demand Parts
KR20150030608A (ko) 회계감사 규칙 최적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