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472B1 -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472B1
KR101995472B1 KR1020170163823A KR20170163823A KR101995472B1 KR 101995472 B1 KR101995472 B1 KR 101995472B1 KR 1020170163823 A KR1020170163823 A KR 1020170163823A KR 20170163823 A KR20170163823 A KR 20170163823A KR 101995472 B1 KR101995472 B1 KR 101995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inducing
inducer
fitnes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353A (ko
Inventor
고락곤
한원섭
정상명
한지현
김윤주
이은혜
Original Assignee
(주)프로차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차일드 filed Critical (주)프로차일드
Priority to KR102017016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4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rket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년의 운동량 감소, 체력 저하 문제 및 비활동성 문제를 해소하고, 언제 어디서나 즐겁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력 향상을 위한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다.

Description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hysical fitness using an activity inducing device and an activity inducing device}
본 발명은 체력 향상을 위한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년의 운동량 감소, 체력 저하 문제 및 비활동성 문제를 해소하고, 언제 어디서나 즐겁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력 향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입시위주 교육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 부담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운동량이 감소하여 체력 저하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다.
청소년들은 하루 평균 8시간 48분을 학교에서 보내며, 하루 평균 약 600분을 앉아서 생활하고 있고, 청소년기 권장 운동량은 60분 이상 중간 강도의 운동을 주 5일 유지하는 것이지만 실천율은 남학생 19.5%, 여학생 7.5%로 매우 저조하다.(출처: 2017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교육부)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학교의 주당 체육시간은 초등학교는 3시간, 중학교는 2시간으로 다른 교육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며, 학교 체육을 통한 청소년기의 권장 신체활동의 수행은 한계가 있다.
더욱이 근래에는 미세먼지로 인한 야외 활동의 제약과 과거에 비해 학교나 학원에서 보내는 시간 비중이 늘어나 전체적인 실내 상주시간의 증가로 인한 청소년들의 신체활동 감소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정보화매체의 보급률 증가에 따라 청소년의 이용률도 함께 증가하면서 일부 청소년들은 인터넷이나 모바일 게임에 과몰입(중독)하게 되어 신체적, 정신적, 행동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방치할 경우 사회적 문제로 발전될 수 있어서 이의 해결책으로 청소년의 건전한 신체활동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의 건전한 신체활동 증대를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닌텐도(nintendo)의 Wii Sports 등을 이용하여 Wii의 리모컨을 손에 쥐고 움직이면서 복싱, 테니스, 골프 등의 운동 게임을 실시하여 신체활동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기술들이 논의 되었으나 대형의 모니터와 본체의 구성 및 이들의 유선 설치가 필수적이어서 휴대 및 이동에 문제가 있고, 모니터 화면에만 집중도가 과도하게 높아짐에 따라 손에 쥐고 흔드는 리모컨이 흉기가 될 수 있는 등과 같은 주위에 대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으며, 게임성 위주의 콘텐츠로 인해 과몰입 되어 신체의 일부만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등의 운동 강도 조절에 문제점이 있다.
2017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교육부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구성되고, 소형이며, 활동을 유발하고, 게임 요소가 가미되어 재미있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즐겁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광, 진동,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활동을 유도하는 활동유발기에 있어서, 발광, 진동,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유도부와, 상기 활동유발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운동감지부와, 상기 활동유발기에 접근, 터치, 빛의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아 유도부를 On/Off 하며, 상기 운동감지부의 운동데이터를 입력받아 설정된 운동정보와의 일치성을 판단하는 유발기 프로세서와, 상기 활동유발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와, 상기 활동유발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활동유발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성분 분석, 인근 주변의 자외선 지수 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활동 부적합 판단 시 적합한 실내로 유도하는 안전부가 구성된 활동유발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 진동,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활동을 유도하는 유도부와, 접근, 터치, 빛의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유도부의 작동이 변경되도록 하는 감지센서부가 구성된 활동유발기와, 이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센싱 착용기와,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활동유발기 및 생체센싱 착용기와 통신하여 생체정보에 따라 활동유발기의 활동유발을 조절하는 체력향상앱과, 상기 체력향상앱과 통신하여 활동유발기의 작동을 프로그래밍한 활동유발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서버가 구성된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활동유발기에 활동유발콘텐츠가 설정되는 활동유발콘텐츠 설정단계와,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활동유발기가 위치되고 체력향상앱이 위치된 활동유발기와 통신하여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위치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유발기 설치 확인 단계와, 이용자에 착용된 생체센싱 착용기와 체력향상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자의 생체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오버 활동 위험을 판단하는 이용자 모니터링 단계와, 상기 활동유발기, 생체센싱 착용기, 체력향상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자의 운동량을 산출하여 관리하는 운동량 관리단계와, 상기 체력향상앱이 설치된 휴대통신단말기를 통해 활동정보가 표시되는 출력 단계가 구성된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단순한 반복이나 단편적인 방법만으로 활동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발광, 진동,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활동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활동유발기를 서로 떨어지도록 놓고 모든 활동유발기가 동시에 발광, 진동, 소리 등을 출력하도록 하여 최대한 짧은 시간에 각각의 활동유발기에 접근하거나 터치하거나 활동유발기를 덮어 빛을 차단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모든 활동유발기의 출력을 중단시키는 시간을 겨루도록 하여 활동을 유도할 수 있고, 또는 서로 떨어져 있는 다수개의 활동유발기가 설정된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발광, 진동, 소리 등을 출력하면 출력되는 활동유발기에 접근하거나 터치하거나 활동유발기를 덮어 빛을 차단하는 등의 활동을 감지하여 성공 횟수나 정확성 등을 겨루도록 할 수 있으며, 설정된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작동되는 활동유발기를 터치하는 등으로 활동하면 다음 활동유발기가 작동하여 다시 터치를 유도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여 재미를 발생시키면서도 체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활동유발기의 터치나 접근에 의해서만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활동유발기를 잡고 흔들거나 움직이도록 유도하므로 더욱 다양한 활동 유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활동유발기가 단독으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생체센싱 착용기와 연동되어 이용자의 체력에 무리를 주지 않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활동유발기가 제어될 수 있고, 성별, 연령, 건강상태 등 이용자에 적합한, 그리고 활동 목적에 맞는 활동유발콘텐츠를 개발하고 프로그래밍하여 콘텐츠서버를 통해 공급 받을 수 있어서 저변을 넓힐 수 있고, 안전한 활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활동유발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활동유발기(100)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로 도시하였고, 활동유발기(100)의 구성을 도 2로 예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활동유발기(100)는 발광, 진동,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활동을 유도하는 활동유발기(100)에 있어서,
시각적, 촉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이용자를 유도(유인)하는 LED, 진동기, 스피커 등으로 구성 가능하고, 상기 LED는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발광, 진동,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유도부(110)와,
상기 활동유발기(100)를 잡고 흔들거나 움직일 때 움직이는 각 방향, 속도, 각도, 가속도, 각속도 등을 센싱할 수 있는 모션센서, 지자기센서, 중력센서 등으로 구성 가능하고, 활동유발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운동감지부(120)와,
상기 활동유발기(100)에 접근하거나, 활동유발기(100)가 터치됨을 센싱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 터치센서, 압력센서, 릴레이, 버튼, 광센서 등으로 구성 가능하고, 활동유발기(100)에 접근, 터치, 빛의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130)와,
상기 감지센서부(130)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아 유도부(110)를 On/Off 하며, 상기 운동감지부(120)의 운동데이터를 입력받아 설정된 운동정보와의 일치성을 판단하는 유발기 프로세서(140)와,
상기 활동유발기(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방진 및 방수하는 완충부(150)와,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160)와, 상기 활동유발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70)가 구성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전원공급장치(170)는 배터리로 구성 가능하며, 더 나아가 태양광 발전 모듈 또는 압전소자에 의한 발전 모듈이 포함되어 자체 발전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유발기(100)는 다수의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체적인 소독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활동유발기(100)를 자외선 발광으로 소독하는 UV-LED 등으로 구성 가능한 자외선살균부(180)가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활동유발기(100)를 관리하고, 휴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활동유발기(100)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고, 다수개의 활동유발기(100)를 적층시켜 패키징하며, 적층된 활동유발기(10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단자(191)가 내장된 패키징부(190)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활동유발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성분 분석, 인근 주변의 자외선 지수 등을 측정하여 활동 부적합 판단 시 실내로 유도하는 등의 안전부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활동유발기(100)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은 발광, 진동,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활동을 유도하는 유도부(110)와, 접근, 터치, 빛의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유도부(110)의 작동이 변경되도록 하는 감지센서부(130)가 구성된 활동유발기(100)와,
이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센싱 착용기(200)와,
휴대통신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상기 활동유발기(100) 및 생체센싱 착용기(200)와 통신하여 생체정보에 따라 활동유발기(100)의 활동유발을 조절하는 체력향상앱(310)과,
상기 체력향상앱(310)과 통신하여 활동유발기(100)의 작동을 프로그래밍한 활동유발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서버(4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활동유발기(100)는 다수개가 적층되어 상기 패키징부(190)에 패키징 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도넛 형태일 수 있고, 패키징부(190)는 중앙에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돌기가 활동유발기(100)의 통공에 끼워져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으며, 상기 통공과 돌기에 충전단자(191)가 노출되어 패키징 시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활동유발기(100)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체력 향상 시스템에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활동유발기(100)는 다수개가 하나의 그룹으로 사용될 수 있고, 각각이 고유의 ID가 설정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유발기(100)는 GPS 내장을 통해서 또는 활동유발기(10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서로간에 떨어진 거리를 인식 및 산출이 가능하고, 이러한 활동유발기(100) 각각이 서로 떨어져 있는 정도에 따라, 그리고 상기 유도부(110)의 변화시간 간격 조절에 따라 활동 강도와 운동량이 산출될 수 있고, 활동 강도와 운동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유발기(100)는 기본적으로 빛이 켜지거나 소리가 출력되거나 진동하는 등으로 작동하고 있는 활동유발기(100)를 이용자가 접근하여 터치하는 등의 활동을 입력하면 터치된 활동유발기(100)의 빛이 꺼지거나 소리 출력, 진동 등의 작동이 일시 중단되고, 떨어져 있는 다른 활동유발기(100)의 작동을 시작하며, 이를 이용자가 다시 접근하여 터치하도록 하는 것을 반복하여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작동방법으로 유발기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모든 활동유발기(100)가 동시에 작동하면 최대한 빠른 시간에 모두 터치하여 작동을 중단시키는 시간으로 경쟁하도록 할 수 있고, 설정된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음악과 함께 빠르게 작동이 변화되는 활동유발기(100)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터치하여 정확성을 겨루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활동유발기(100)를 잡고 흔들거나 춤추기 또는 운동하는 것을 설정값과 패턴으로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 및 출력하므로 체육활동 시간이 부족한 청소년들에게 특히 재미있는 운동게임 및 단시간에 수행 가능한 청소년 맞춤형 고활동성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완전 무선 환경에서의 이용이 가능하여 휴대가 가능하므로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으며, 다수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고, 특히 그룹활동으로 구성된 "Funny" 운동게임 콘텐츠로 활동유발콘텐츠가 제공되어 건전하고 건강에 유익한 청소년 체육활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학생 지도 및 체육 활동 전문가, 헬스트레이너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Variety" 운동게임 콘텐츠로 활동유발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 발굴, 프로그래밍 될 수 있어서 다양성, 변화, 성취감 등을 제공하여 재미있게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다수가 이용할 수 있고, 터치하거나 잡고 활동하는 것이므로 위생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활동유발기(100)는 내부에 자외선살균부(180)가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 중이 아닐 때 자동으로 작동되어 자체 살균을 실시할 수 있고, 이 때 발생되는 은은한 빛으로 유도등 또는 간이 조명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패키징부(190)에 자외선살균부(180)가 구성되어 활동유발기(100)를 충전할 때 자외선살균부(180)가 작동되어 패키징된 활동유발기(100)들을 전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활동유발기(100)에 의한 활동이 오히려 건강을 저해하는 활동이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생체센싱 착용기(200)가 이용자에게 착용되어 이용자의 심박수, 체온, 땀 분비량, 이용자 주위 환경의 대기질, 자외선 지수, 온도 등을 측정하여 이용자의 상태에 따라 활동유발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이용자의 건강 저해 활동이 판단될 때 활동유발기(100)의 작동을 모두 중단하고 휴식을 권유하는 등의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생체센싱 착용기(200)는 이용자의 신체에 항시 착용되는 경우 이용자별 하루 최소 활동 권장량을 체크하고,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항시 측정하며, 이용자의 생체 정보 변화를 모니터링 하여 개인별 적정 운동 강도를 제시하고, 오버 활동 시 또는 활동 중인 주위 환경이 건강을 저해할 수 있는 경우 이를 경고하고 활동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는 운동량 코칭 및 돌발사고와 안전사고의 방지가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활동유발기(100)와 생체센싱 착용기(200)는 개인의 휴대통신단말기(300)에 설치된 체력향상앱(310)과 통신하여 다양한 활동유발콘텐츠의 설정 및 관리, 정보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체력향상앱(310)은 설정된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활동유발기(100)들이 서로 떨어져서 설치되어야 하는 모양 및 이격거리를 휴대통신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활동유발기(100)들과 통신하는 통신 프로토클의 정보 분석을 통해 통신 감도에 따른 이격거리를 산출하여 활동유발기(100)들이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따라 알림 실시, 설치 위치 교정 지시가 가능하여 정확한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운동량 산출이 정확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력향상앱(310)은 단순한 반복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거나 작동되는 활동유발기(100)를 터치하도록 하는 것만이 아니라 활동유발기(100)에 구성된 ID 및 GPS에 의하거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숨겨진 활동유발기(100)의 대략적인 위치를 체력향상앱(310)에 표시하여 이용자가 능동적으로 숨겨진 활동유발기(100)를 찾는 것을 게임과 연동하여 실시할 수 있고, 활동유발기(100)의 발광 LED의 색을 다양하게 변화 시키면서 점등시키고 체력향상앱(310)에 표시되는 색상과 일치하는 활동유발기(100)를 터치하도록 하는 등의 연계가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콘텐츠서버(400)는 각 개인의 휴대통신단말기(300)에 설치된 체력향상앱(310)과 통신하여 활동유발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활동유발콘텐츠를 프로그래밍하고, 활동유발콘텐츠를 개발, 수정, 관리 할 수 있는 플렛폼을 콘텐츠서버(400)에 접속하는 회원에게 제공하여 더욱 다양한 활동유발콘텐츠가 개발되고,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용자 개인별 및 이용자 전체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과 연동되어 이용자 개인별 맞춤형으로 각 이용자 본인이 재미를 느끼는 활동유발콘텐츠를 찾아 제공할 수 있고, 이용자 개인별 운동량 관리 및 맞춤형 개인 운동 스케줄 제공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활동유발기(100)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방법은 활동유발기(100)에 활동유발콘텐츠가 설정되는 활동유발콘텐츠 설정단계와,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활동유발기(100)가 위치되고 체력향상앱(310)이 위치된 활동유발기(100)와 통신하여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위치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유발기(100) 설치 확인 단계와, 이용자에 착용된 생체센싱 착용기(200)와 체력향상앱(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자의 생체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오버 활동 위험을 판단하는 이용자 모니터링 단계와, 상기 활동유발기(100), 생체센싱 착용기(200), 체력향상앱(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자의 운동량을 산출하여 관리하는 운동량 관리단계와, 상기 체력향상앱(310)이 설치된 휴대통신단말기(300)를 통해 활동정보가 표시되는 출력 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활동유발기(100)의 미사용 시 활동유발기(100) 또는 활동유발기(100)를 패키징하는 패키징부(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된 자외선살균부(180)가 활동유발기(100)를 살균하는 살균 단계와,
상기 활동유발기(100), 생체센싱 착용기(200), 체력향상앱(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체센싱 정보와 운동량 산출값에 따라 활동유발기(100)의 작동 속도를 조절하여 운동량과 오버 활동 위험률을 조절하는 안전관리 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활동유발기 110:유도부 120:운동감지부
130:감지센서부 140:유발기프로세서 150:완충부
160:통신부 170:전원공급장치 180:자외선살균부
190:패키징부 191:충전단자 200:생체센싱 착용기
300:휴대통신단말기 310:체력향상앱 400:콘텐츠서버

Claims (8)

  1. 발광, 진동,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활동을 유도하는 활동유발기에 있어서,
    발광, 진동,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유도부와, 상기 활동유발기에 접근, 터치, 빛의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아 유도부를 On/Off 하는 유발기 프로세서와, 상기 활동유발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활동유발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성분 분석, 인근 주변의 자외선 지수 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활동 부적합 판단 시 적합한 실내로 유도하는 안전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유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활동유발기가 적층되도록 하여 패키징하며, 적층된 활동유발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단자가 내장된 패키징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유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유발기 내부에서 활동유발기를 자외선 발광으로 소독하는 자외선살균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유발기.
  4. 삭제
  5. 발광, 진동,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활동을 유도하는 유도부와, 접근, 터치, 빛의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유도부의 작동이 변경되도록 하는 감지센서부가 구성된 활동유발기와,
    휴대통신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활동유발기와 통신하여 생체정보에 따라 활동유발기의 활동유발을 조절하는 체력향상앱과,
    상기 체력향상앱과 통신하여 활동유발기의 작동을 프로그래밍한 활동유발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서버가 구성,
    상기 체력향상앱은 설정된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활동유발기들이 서로 떨어져서 설치되어야 하는 모양, 이격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휴대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활동유발기들과 통신하는 통신프로토클의 정보 분석을 통해 통신 감도에 따른 이격거리를 산출하여 활동유발기들이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따라 알림 실시, 설치 위치 교정 지시가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6. 활동유발기에 활동유발콘텐츠가 설정되는 활동유발콘텐츠 설정단계와,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활동유발기가 위치되고 체력향상앱이 위치된 활동유발기와 통신하여 활동유발콘텐츠에 따라 위치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유발기 설치 확인 단계와, 이용자에 착용된 생체센싱 착용기와 체력향상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자의 생체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오버 활동 위험을 판단하는 이용자 모니터링 단계와, 상기 활동유발기, 생체센싱 착용기, 체력향상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자의 운동량을 산출하여 관리하는 운동량 관리단계와, 상기 체력향상앱이 설치된 휴대통신단말기를 통해 활동정보가 표시되는 출력 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유발기, 생체센싱 착용기, 체력향상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체센싱 정보와 운동량 산출값에 따라 활동유발기의 작동 속도를 조절하여 운동량과 오버 활동 위험률을 조절하는 안전관리 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유발기의 미사용 시 활동유발기 또는 활동유발기를 패키징하는 패키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장된 자외선살균부가 활동유발기를 살균하는 살균 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방법.
KR1020170163823A 2017-11-30 2017-11-30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 KR101995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823A KR101995472B1 (ko) 2017-11-30 2017-11-30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823A KR101995472B1 (ko) 2017-11-30 2017-11-30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353A KR20190064353A (ko) 2019-06-10
KR101995472B1 true KR101995472B1 (ko) 2019-07-02

Family

ID=6684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823A KR101995472B1 (ko) 2017-11-30 2017-11-30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4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76B1 (ko) * 2009-04-21 2010-03-02 (주)엔텍시스템 순발력 측정 및 훈련장치
KR101211623B1 (ko) * 2010-10-21 2012-12-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살균장치
US20140210613A1 (en) * 2011-03-28 2014-07-31 Physical Apps, Llc Physical interaction device for personal electronics and method for 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529B1 (ko) * 2012-05-09 2014-03-0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신체활동정보 수집이 가능한 의류
KR101687252B1 (ko) * 2014-11-06 2016-12-16 장재윤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76B1 (ko) * 2009-04-21 2010-03-02 (주)엔텍시스템 순발력 측정 및 훈련장치
KR101211623B1 (ko) * 2010-10-21 2012-12-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살균장치
US20140210613A1 (en) * 2011-03-28 2014-07-31 Physical Apps, Llc Physical interaction device for personal electronics and method fo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353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8425B2 (en) Motion detection system
EP1729711B1 (en) Rehabilitation with music
US9248358B2 (en) Interactive cognitive-multisensory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essing, profiling, training, and improving performance of athletes and other populations
US98182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while receiving information
KR10171842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체감형 상호작용 암벽 기반 스크린 클라이밍 학습 시스템 및 방법
US20190126145A1 (en) Exercise motion system and method
US20210178241A1 (en) Smart Bag
KR101339689B1 (ko) 동물 이동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2315141B1 (ko) 놀이체험 시스템
ES2938888T3 (es) Aparato de juego de dardos y sistema de juego de dardos
US20180264323A1 (en) Exercise Device
Tatzgern et al. Airres mask: A precise and robust virtual reality breathing interface utilizing breathing resistance as output modality
KR20190007598A (ko)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
KR101995472B1 (ko) 활동유발기와 활동유발기를 이용한 체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
ES2915401T3 (es) Sistema de juego de dardos y procedimiento para proporcionar una imagen de lección
KR102136168B1 (ko) 놀이체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체발달상태 획득방법
KR20150140111A (ko) 타격 훈련 장치 및 타격 훈련 방법
JP6270115B2 (ja) 運動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KR20210050782A (ko) 치매 예방을 위한 체험형 학습 시스템 및 뇌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 컨텐츠 제공방법
TWI391159B (zh) Electronic yoga training device
US20230241453A1 (en) Exercise motion system and method
EP3158933A1 (en) Functional lear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576886B1 (ko)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KR20140106309A (ko) 포스피드백 기능을 구비한 가상현실 입력장치
KR102563092B1 (ko) 타격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