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349B1 - Method of revitalizing lost cryptocurrency in blockchain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of revitalizing lost cryptocurrency in blockchai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349B1
KR101995349B1 KR1020180121716A KR20180121716A KR101995349B1 KR 101995349 B1 KR101995349 B1 KR 101995349B1 KR 1020180121716 A KR1020180121716 A KR 1020180121716A KR 20180121716 A KR20180121716 A KR 20180121716A KR 101995349 B1 KR101995349 B1 KR 101995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lost
block
cryptocurrency
blockchai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열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블록체인거래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블록체인거래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블록체인거래소
Priority to KR102018012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3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collecting lost cryptocurrencies by a node which is connected to a blockchain network to generate a block of recording a transaction in the blockchain network. The method for collecting lost cryptocurrencies comprises: a search step of finding a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for which a withdrawal transaction does not occur f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a transaction of a block gener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block is generated immediately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elapses from an initial block generation time of the blockchain network; an agreement step of determining that a cryptocurrency balance held by the lost processing address is permanently lost in accordance with an agreement of the nodes forming the blockchain network; and a recovery step of executing a transaction for transferring the cryptocurrency balance determined to be permanently lost from the corresponding address to a foundation address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transaction as the block.

Descrip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Method of revitalizing lost cryptocurrency in blockchain network}Method of revitalizing lost cryptocurrency in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암호화폐 관리에 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영구 유실되었다고 판단되는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yptocurrency management in a blockchai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recovering a cryptocurrency determined to be permanently los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통되는 암호화폐는 다양한 형태의 지갑(Wallet)에 저장된다. 흔히 거래소에서 지원하는 지갑에 저장한 채 보관하거나 거래하기도 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에 앱 형태로 설치되는 지갑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나 USB 형태의 외장 저장장치 또는 USB 포트에 간단히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 지갑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장 원초적인 방법으로 종이에 개인키와 공개키를 인쇄하거나 적어두는 방식으로 저장하기도 한다.Cryptocurrency that is distributed in the blockchain network is stored in various types of wallets. It is often stored in a wallet supported by an exchange or traded, but it can also be stored in a wallet installed as an app on a mobile device, and can be simply connected to a computer's hard disk or USB external storage device or USB port.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in a hardware wallet. In the most primitive way, private and public keys can be printed or written down on paper.

그런데, 거래소 지갑과 달리 하드웨어 지갑이나 종이 지갑의 경우 분실 또는 훼손시 암호화폐의 인출이 불가능해진다. 즉, 해당 암호화폐는 영구적으로 유실되는 것이며 찾을 방법이 전혀 없다.However, unlike an exchange wallet, a hardware wallet or a paper wallet becomes impossible to withdraw cryptocurrency when lost or damaged. That is, the cryptocurrency is permanently lost and there is no way to find it.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암호화폐 거래소 등을 해킹하여 대량의 암호화폐를 특정 주소로 이체한 다음, 여러 주소를 거쳐서 세탁한 후 현금화를 시도하는 범죄가 발생하고 있지만, 마킹 등의 방법에 의해 식별이 되는 경우 전액 현금화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 해당 주소의 암호화폐를 현금화를 하지 못하는 상태로 장기간 보유만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rime that hacks cryptocurrency exchanges of blockchain networks, transfers a large amount of cryptocurrencies to a specific address, and then washes them through several addresses and then attempts to cash them. If you can not fully cash in many cases. In this case, the cryptocurrency of the address will be held for a long time without cashing.

이와 같이 장기간 동안 특정 주소에 보유만 하고 있고 인출되지 못하는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전체로 보자면 유실되는 것과 동일한 결과가 야기된다.As such, cryptocurrencies that are retained only at a specific address for a long time and cannot be fetched are the same as those lost in the entire blockchain network.

예컨대, 비트코인의 경우 20% 가량은 영구 유실되어 유통이 될 수 없는 상태에 처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2100만개로 발행량이 처음부터 정해져있는데, 비트코인이 채굴되기 시작한 이래 1680만개 가량이 채굴되었고 380만개 가량이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For example, about 20% of Bitcoin is estimated to be permanently lost and cannot be distributed. There are 21 million Bitcoins issued from the beginning, and since Bitcoin began mining, 16.8 million have been mined and 3.8 million have been lost.

1세대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설계시 총 발행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임의로 추가 발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중앙에서 제어하는 서버가 존재하지 않고 참여하는 노드들의 합의에 의해서만 처리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속성에 따른 결과이다.First-generation cryptocurrency is not possible to issue additional randomly because the total issuance amount is determined when designing blockchain network. This is a result of the property of the blockchain network that is processed only by agreement of participating nodes without a centrally controlled server.

이를 보완한 2세대 암호화폐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설계시 ‘시장유통가능 총량’을 유지하기 위해 신규 암호화폐를 지속적으로 발행하는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하지만 중앙 집권적인 통제 즉, 화폐의 임의 발행과 조절을 통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탄생한 암호화폐가 다시 신규 암호화폐 발행과 조절로 인해 현재 짐바브웨나 베네수엘라등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인플레이션등의 화폐의 고전적인 문제에 갇힐 수도 있을 것이다.Complementary second-generation cryptocurrencies also take the form of continuously issuing new cryptocurrencies in order to maintain a 'market-capable amount' when designing blockchain networks. However, cryptocurrency, which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centralization of control, that is, the issue and arbitration of money, is incurred by Zimbabwe and Venezuela. You might be stuck in a problem.

암호화폐의 유실은 유통 가능한 암호화폐의 총량을 크게 줄이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유실된 만큼 추가로 발행하기도 어렵고 추가 발행이 가능하더라도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된 암호화폐는 활발하게 유통되어야 하는데, 유통이 어려워지면 시장이 왜곡되거나 수요자들의 외면을 받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암호화폐의 유실이 점점 증가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해당 암호화폐는 수명을 다하게 될 수도 있다.Loss of cryptocurrency plays a role to greatly reduce the total amount of cryptocurrency that can be circulated, and it may be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issue additional as much as it is lost and may cause another problem even if additional issuance is possible. Cryptocurrency issued on the blockchain network should be actively distributed, because if the distribution becomes difficult, the market may be distorted or disregarded by consumers. Over time, the loss of a cryptocurrency may increase, which may end its lifespan.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92596호,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Korea Patent Office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92596, "Virtual Mone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암호화폐 유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구 유실된 암호화폐를 재단 주소인 제네시스 주소로 회수하고 채굴이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대가로 노드들에게 배분함으로써 암호화폐의 유통 총량이 과도하게 줄어들지 않도록 하며, 암호화폐의 유통량의 감소로 인한 암호화폐의 수명단축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oss of cryptocurrency, the total circulation of cryptocurrency by recovering the permanently lost cryptocurrency to the Genesis address of the foundation address and to distribute to the nodes in exchange for mining or maintaining the blockchain network It is not intended to reduce this excessively, and to prevent the shortening of the life of the cryptocurrency due to the decrease in the circulation volume of the cryptocurrenc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트랜잭션을 기록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가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최초 블록 생성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 경과 직후 블록을 생성할 때, 상기 소정의 기간 이전에 생성된 블록의 트랜잭션에 대해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은 유실 처리 대상 주소를 찾는 탐색 단계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합의에 따라 상기 탐색된 유실 처리 대상 주소가 보유한 암호화폐 잔액이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하는 합의 단계와; 상기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된 암호화폐 잔액을 상기 주소로부터 재단 주소로 이체하는 트랜잭션을 실행하고 해당 트랜잭션을 블록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회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covering a lost cryptocurrency by a node that is connected to a blockchain network and generates a block for recording a transaction on the blockchain network, includes the blockchain. A search step of finding a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for which a withdrawal transaction has not occurred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for a transaction of a block gener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when generating a block immediately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has elapsed from the initial block generation point of the network; ; An agreement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cryptocurrency balance held by the found loss processing target address is permanently lost according to agreement of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And a recovery step of executing a transaction for transferring the cryptocurrency balance determined to be permanently lost from the address to the foundation address,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transaction as a block.

상기 탐색 단계는, 상기 소정의 기간 이전 시점에 보유했던 잔액과 현재의 보유 잔액이 동일한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되는 주소에 대해,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 트랜잭션이 존재하는지 조회하여 출금 트랜잭션이 한번도 없는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rching step includes the steps of estimating an address for which the remaining balance and the current remaining balance are the same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inquiring whether a withdrawal transaction exists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ith respect to the address estimated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and determining an address having no withdrawal transaction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상기 합의 단계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 중 소정 비율 미만의 노드들만 회수에 동의한 주소의 경우는 영구 유실이 아닌 것으로 마킹하고 상기 회수 단계를 실행하지 않은 채 종료할 수 있다.In the consensus step, in the case of an address in which only less than a certain percentage of the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agree to the recovery, the address may be marked as not permanently lost and may be terminated without executing the recovery ste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트랜잭션을 기록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가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되는 모든 트랜잭션에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주소의 암호화폐 잔액을 재단 주소로 회수하라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록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록 단계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최초 블록 생성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소정 기간 이전에 생성된 블록을 탐색하는 블록 탐색 단계와; 상기 탐색된 블록에 기록된 모든 트랜잭션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covering a lost cryptocurrency by a node connected to a blockchain network and generating a block for recording a transaction on the blockchain network may include: A smart contract recording step of recording a smart contract for retrieving the cryptocurrency balance of the address which has not been withdrawn during the period of time to the foundation address; A block searching step of searching for blocks cre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as a predetermined period elapses from the time of generating the first block of the blockchain network; Smart contract execution step of executing the smart contract of all the transactions recorded in the searched block.

상기 블록 탐색 단계는, 상기 탐색된 블록이 상기 소정 기간 이전에 생성된 것인지에 대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합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 searching step may include deriving an agreement of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as to whether the found block is gener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소정의 기간 이전 시점에 보유했던 잔액과 현재의 보유 잔액이 동일한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하고, 상기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되는 주소에 대해,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 트랜잭션이 존재하는지 조회하여 출금 트랜잭션이 한번도 없는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확정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합의에 따라 상기 탐색된 유실 처리 대상 주소가 보유한 암호화폐 잔액이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된 암호화폐 잔액을 상기 주소로부터 재단 주소로 이체하는 트랜잭션을 실행할 수 있다.The smart contract estimates an address having the same balance as the remaining balance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current retained balance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and withdraws the money for the address estimated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Investigate whether a transaction exists and confirm that the address without a withdrawal transaction is a lost address, and the cryptocurrency balance held by the discovered lost address is permanently lost according to the agreement of the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Determine, and transfer the cryptocurrency balance determined to be permanently lost from the address to the foundation address.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영구 유실되어 유통되지 않는 암호화폐를 다시 유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호화폐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유실된 암호화폐의 회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recovering lost cryptocurrency that can maintain a cryptocurrency ecosystem by allowing the cryptocurrency that is permanently lost and not distributed on the blockchain network to be distributed again.

또한, 유실된 암호화폐를 노드에게 분배하여 노드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는데 대한 적절한 보상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화폐 신규 발행을 하지 않으므로 기존 화폐의 문제점인 인플레이션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ost cryptocurrency can be distributed to the nodes so that the nodes have a suitable compensation system for maintaining the blockchain network.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w issue of cryptocurrenc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inflation, which is a problem of existing currencies.

도 1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본 발명에 따라 영구 유실되어 유통되지 않는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구 유실 처리할 대상 주소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action process of a blockchain network.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lockchain network.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echnique for recovering a cryptocurrency that is permanently lost and not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vering a lost cryptocurrency in a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arching for a target address to be permanently l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erms used herei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s of the simple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y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to "include" any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terms "... means", "...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거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action process of a blockchain network.

블록체인은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하고,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로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른다.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이다.Blockchain is also called a public transaction book with decentralized data storage technology that stores data in blocks, connects them in a chain form, and replicates and stores them on many computers at the same time. This is because the transaction history is sent to all users who participate in the transaction without keeping transaction records on a centralized server, and every transaction participant cannot share information and contrast and forge or alter data.

도 1을 참조하면, A와 B의 거래가 있으면 해당 거래 블록을 생성해 네트워크상의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하며, 결과적으로 이 블록에 대한 정보 상호 검증이 완료되어 체인에 결합된다. 암호화폐 블록체인에서 A와 B 간의 암호화폐 송금 거래가 발생하였다면 거래 당사자들의 암호화폐 주소와 이체 금액 등을 포함하는 이체 내역 역시 블록에 기록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1, if there is a transaction of A and B, a corresponding transaction block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ll the participants in the network. As a result, information mutual verification of the block is completed and joined to the chain. If a cryptocurrency blockchain has a cryptocurrency remittance transaction between A and B, the transfer details including the cryptographic address and the transfer amount of the trading parties will also be recorded in the block.

도 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lockchain network.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거나 관리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개인의 서버들이 모여 네트워크를 유지 및 관리한다. 이 개개인의 서버, 즉 참여자를 노드(21)라고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blockchain network 20 maintains and manages a network of individual servers participating in a transaction without storing or managing transaction records in a centralized server. This individual server, or participant, is referred to as node 21.

중앙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블록을 배포하는 노드의 역할이 중요하며, 참여하는 노드들 가운데 절반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새 블록이 생성된다. 노드들은 거래 내역 즉 트랜잭션들(23)이 기록된 블록체인(22)을 컴퓨터에 저장해 놓고 있는데, 일부 노드가 해킹을 당해 기존 내용이 틀어져도 다수의 노드에 데이터가 남아 있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Because there is no central administrator, the role of the node distributing the block is important, and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ting nodes must have consent to create a new block. The nodes store the transaction details, that is, the blockchain 22 in which the transactions 23 are recorded, on the computer. Even though some nodes have been hacked, the data remains in the plurality of nodes even if the existing contents are changed. Can be.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영구 유실되어 유통되지 않는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echnique for recovering a cryptocurrency that is permanently lost and not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최초의 블록(#0)이 생성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블록체인(30)에 연결되는 블록들과 각 블록에 기록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재단 주소(최초 주소)인 주소0과 임의의 주소들(주소A~주소E)이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 잔액이 최초의 블록(#0) 생성 시점부터 시간 순으로 도시되어 있다.3 conceptually illustrates blocks connected to the blockchain 30 and transaction data recorded in each block as time passes after the first block # 0 is generated in the blockchain network. Specifically, the cryptocurrency balance held by address 0, which is the foundation address (initial address), and arbitrary addresses (addresses A to E) is shown in chronological order from the time of the first block # 0 gene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노드는 첫 블록(#0)이 만들어진 후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때 유실된 암호화폐를 찾아서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하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의 합의를 거쳐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년 이전에 생성된 블록과 연관된 암호화폐 주소들에 대해 유실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0년을 회수 작업의 기준이 되는 기간으로 설명하지만, 이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미리 정해진 다른 기간이나 일정 번째 생성된 블록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node of the blockchain network performs a task of finding and recovering lost cryptocurrency when generating a new block from a point in time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has elapsed since the first block (# 0) is made, but the blockchain It can be processed after agreement of nodes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handle loss of cryptographic addresses associated with blocks created more than 30 years ago. Hereinafter, 30 years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period for the recovery operation. However, this period may be set to another predetermined period or a predetermined generated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각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트랜잭션)가 발생되면 몇개씩 모아서 새로운 블록을 만들고 블록체인에 연결하여 저장하는데, 첫번째 블록(#0)이 생성된 후 30년이 경과한 직후부터는 30년 전에 생성된 블록에 대해 유실 처리 대상 주소를 탐색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유실 처리 대상 주소의 탐색은 더 이상 인출이 불가한 영구 유실 주소인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영구 유실 주소로 판단되는 주소의 잔액에 대한 회수 작업을 진행한다. 회수 작업에 따라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과 현 시점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임의의 트랜잭션들을 모아서 현재 시점의 블록을 생성한다.Each node collects a few blocks when transactions occur in the blockchain network, creates new blocks, connects them to the blockchain, and saves them.Thirty years after the first block (# 0) is created, 30 years ago. It searches for the lost target address for the deleted block. Searching for an address to be lost is a process of determining that it is a permanent lost address that can no longer be withdrawn, and in this process, a recovery operation for the balance of the address determined to be a permanent lost address is performed. One or more transactions generated by the retrieval operation and arbitrary transactions on the blockchain network at the present time are collected to generate a block at the present time.

도 3을 참조하면, 블록(#30001)을 생성할 시점에는 30년 전에 생성된 블록(#1)에 대해 비교 분석 작업을 수행하고, 블록(#30002)를 생성할 시점에는 해당 시점으로부터 30년 전에 생성된 블록(#2)에 대해 비교 분석 작업을 수행하고, 블록(#30003)을 생성할 시점에는 해당 시점으로부터 30년 이전에 생성된 블록(#3)에 대해 비교 비교 분석 작업을 수행하고, 블록(#300004)을 생성할 시점에는 해당 시점으로부터 30년 이전에 생성된 블록(#4)에 대해 비교 비교 분석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영구 유실 주소를 탐색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block # 30001 is generated, a comparative analysis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block # 1 generated 30 years ago, and when the block # 30002 is generated, 30 years from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reviously created block (# 2) .When creating block (# 30003), perform comparative comparison analysis on the block (# 3) created 30 years before that point. When a block # 300004 is generated, a permanent compare address is searched by performing a comparative comparison analysis operation on the block # 4 generated 30 years before that point.

예컨대, 블록(#30003)을 생성할 때 블록(#3)의 트랜잭션에 대해 30년 이전과 현재 잔액이 동일하며 30년 동안 한번도 출금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은 암호화폐 주소를 찾는다. 블록(#3) 생성 시점과 현재 블록(#30003) 생성 시점에 주소B의 암호화폐 잔액이 1.0 EA로 동일하며, 30년 동안 한번도 출금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았음이 파악되면, 주소B가 유실 처리 대상으로 확정되며 노드들의 합의를 거쳐 영구 유실 주소에 대한 회수 처리가 수행된다.For example, when generating block # 30003, a search is made for a cryptocurrency address for which the balance of the block # 3 is the same as the balance of 30 years ago and for which no withdrawal transaction has occurred. If it is found that the cryptocurrency balance of Address B is equal to 1.0 EA at the time of block (# 3) creation and the current block (# 30003) creation, and no withdrawal transaction has occurred in 30 years, Address B is processed for loss. The target is confirmed, and after the agreement of the nodes, the recovery process for the permanent lost address is performed.

회수 처리를 위해 해당 주소B의 암호화폐 잔액 전부가 재단 주소인 주소0으로 송금되는 트랜잭션이 발생되고, 새로 생성되는 블록(#30003)에는 해당 송금 트랜잭션이 기록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주소0의 잔액은 1.0EA가 되고 주소B의 잔액은 0.0EA가 될 것이다.For retrieval processing, a transaction will occur in which all cryptocurrency balances of address B are transferred to address 0, which is the foundation address, and the remittance transaction will be recorded in the newly created block (# 30003). It will be 1.0EA and the balance at Address B will be 0.0EA.

블록(#30004)를 생성할 때에는 블록(#4)의 트랜잭션에 대해 30년 이전과 현재 잔액이 동일하며 30년 동안 한번도 출금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은 암호화폐 주소를 찾는다. 블록(#4) 생성 시점과 현재 주소C의 암호화폐 잔액이 0,5 EA로 동일하며, 30년 동안 한번도 출금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았음이 확인되면, 주소C가 유실 처리 대상으로 확정되며 노드들의 합의를 거쳐 영구 유실 주소에 대한 회수 처리가 수행된다.When creating block # 30004, look for a cryptocurrency address that has the same balance as before 30 years and no withdrawal transaction for 30 years for the transaction of block # 4. If block (# 4) is created and the balance of cryptocurrency at the current address C is equal to 0,5 EA, and it is confirmed that no withdrawal transaction has occurred in 30 years, address C is confirmed as lost and After agreement, a recovery process for the permanent lost address is performed.

회수 처리를 위해 해당 주소C의 암호화폐 잔액 전부가 재단 주소인 주소0으로 송금되는 트랜잭션이 발생되고, 새로 생성되는 블록(#30004)에는 해당 송금 트랜잭션이 기록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주소0의 잔액은 1.5EA가 되고 주소C의 잔액은 0.0EA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31).For the recovery process, a transaction will be sent to all the cryptocurrency balances of the corresponding address C to address 0, which is the foundation address, and the remittance transaction will be recorded in the newly created block (# 30004). It can be seen that 1.5EA was reached and the balance at Address C was 0.0EA (3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최초 블록 생성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 경과 직후 블록을 생성할 때마다 수행되는 단계들이다. 예컨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첫 블록 생성 후 30년이 경과한 후 새로 블록을 생성할 때부터 아래의 과정을 추가 수행하여 블록을 생성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vering lost cryptocurrency in a blockchai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erformed every time a block is generated immediately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rom the initial block generation time of the blockchain network. These are the steps. For example, 30 years after the creation of the first block of the blockchain network, the block is created by additionally performing the following process from the time of creating a new block.

단계 S41은 유실 처리 대상 주소의 탐색 단계이다. 상기 소정의 기간 이전에 생성된 블록의 트랜잭션에 대해 해당 기간 동안 출금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은 암호화폐 주소를 찾아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30년간 한번도 출금이 없는 계좌를 영구 유실로 처리하기 위해 탐색한다. 비교 대상인 과거 블록과 현재 생성되는 블록은 30년 차이가 난다.Step S41 is a search step of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For a transaction of a block cre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a cryptocurrency address for which a withdrawal transaction has not occurred during the period is found and determined as a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For example, an account that has never been withdrawn for 30 years is searched for as a permanent loss. There is a 30 year difference between the past block and the current block being compared.

일 실시예에서 유실 처리 대상 주소를 탐색하기 위해 두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소정의 기간 이전 시점에 보유했던 잔액과 현재의 보유 잔액이 동일한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하는 것이 첫번째 단계이고,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되는 주소에 대해,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 트랜잭션이 존재하는지 조회하여 출금 트랜잭션이 한번도 없는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확정하는 것이 두번째 단계이다.In one embodiment, two steps may be required to search for a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The first step is to estimate an address whose loss balance is the same as the balance hel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as the lost processing address, and whether there is a withdrawal transac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the address estimated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The second step is to confirm that the address that has no withdrawal transaction as the address to be processed is lost.

30년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30년 전에 생성했던 블록에 포함된 모든 트랜잭션에 대해 입금 주소와 출금 주소를 확인하여 30년 동안 한번도 출금이 없었는지 확인한다. 30년 동안 한번도 출금이 없었는지 확인하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블록들 중 30년치를 모두 분석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이러한 전수 조사는 연산량이 커서 시스템에 부담이 된다. 따라서, 1차적으로 30년전 잔액과 현재 잔액을 비교하여 상세 조회 대상을 선별하고 2차적으로 해당 계좌에서 한번도 출금이 없었는지 조회하는 것이다.On a 30-year basis, check the deposit and withdrawal addresses for all transactions included in the blocks created 30 years ago to verify that no withdrawals have been made for 30 years. To check whether there has been no withdrawal for 30 years, there may be a method of analyzing all 30 years of the blocks on the blockchain network, but this whole survey is a burden on the system due to the large amount of computation. Therefore, the first step is to compare the balance between 30 years ago and the current balance, to select the detailed inquiry target, and to inquire whether there is no withdrawal from the account.

단계 S4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합의에 따라 유실 처리 대상 주소가 보유한 암호화폐 잔액이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하는 합의 단계이다. 유실 처리 대상으로 결정된 주소의 암호화폐 잔액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노드들 간의 합의가 필요하다.Step S42 is an agreement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cryptocurrency balance held by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is permanently lost according to the agreement of the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In order to recover the cryptocurrency balance of the address determined to be lost, agreement between nodes is required.

노드들 간의 합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유형에 따라 규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는 별도의 서버가 관여치 않고, 각 노드가 맨처음 프로그래밍되어 동작할 때부터 30년이 경과한 직후의 블록 생성시 30년전 블록들의 트랜잭션을 모두 조사하여 출금 주소 및 입금 주소 각각에 대해 30년 동안 한번도 출금이 없었는지 확인한 후에 유실 계좌의 잔액 전부를 재단의 제네시스 주소로 이전시킨다. 암호화폐 구매자들에게 처음부터 이러한 유실 처리 방식에 대해 동의를 받으면 시행에 문제가 없게 되며, 별도의 중앙 서버 없이 노드들 간의 합의를 통해 회수가 이루어지므로 해킹도 불가능할 것이다.Consensus between node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algorithm def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blockchain network. In the blockchain network, a separate server is not involved, and when a block is created 30 years after each node is first programmed and operated, all transactions of blocks 30 years ago are examined, and for each withdrawal address and deposit address, respectively. After verifying that no funds have been withdrawn for 30 years, transfer the entire balance of the lost account to the Foundation's Genesis address. If the buyer of the cryptocurrency agrees to deal with such loss from the outset, there will be no problem in implementation, and it will be impossible to hack because the recovery is made through agreement between nodes without a separate central server.

합의 단계에서 노드들 간의 합의에 실패한 경우,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 중 소정 비율(예: 50%) 미만의 노드들만 회수에 동의한 주소의 경우는 영구 유실이 아닌 것으로 마킹하고 회수 단계를 실행하지 않은 채로 종료한다. In the case of consensus failure between nodes in the consensus stage, that is, the address of which only less than a certain percentage (e.g., 50%) nodes among the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agree to reclaim is marked as permanent loss and the retrieval stage Exit without running.

단계 S43은 영구 유실 처리할 주소의 잔액을 재단 주소로 이체하는 회수 단계로,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된 암호화폐 잔액을 상기 주소로부터 재단 주소로 이체하는 트랜잭션을 실행하고 해당 트랜잭션을 블록으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영원히 유실된 암호화폐를 재단 주소로 회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유통되는 화폐의 총량을 유지시킬 수 있다.Step S43 is a recovery step of transferring the balance of the address to be permanently lost to the foundation address, executing a transaction for transferring the cryptocurrency balance determined to be permanently lost from the address to the foundation address,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transaction as a block. do. In this way, forever lost cryptocurrency can be recovered to the foundation address to maintain the total amount of money circulating on the blockchain network.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구 유실 처리할 대상 주소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arching for a target address to be permanently l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50에서는 유실 처리 대상인지 분석할 다음 주소를 획득한다. 소정 기간 전에 생성된 블록에 기록된 모든 트랜잭션에 입금 주소나 출금 주소로 기록된 모든 암호화폐 주소를 순차적으로 획득하여 검사를 수행한다.In step S50, the next address to be analyzed whether or not it is a loss processing object is acquired. All cryptocurrency addresses recorded as deposit or withdrawal addresses are sequentially obtained for all transactions recorded in the blocks cre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inspection is performed.

단계 S51에서는 검사 대상으로 선정된 암호화폐 주소에 대해 소정 기간 이전의 잔액과 현재의 잔액을 비교한다.In step S51, the balance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current balance are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cryptocurrency address selected for inspection.

단계 S52에서는 양 시점의 잔액이 동일한 경우 S53 단계로 이행하여 해당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50으로 이행하여 분석할 다음 주소를 획득한다.In step S52, if the balances at both time points are the sam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3 to estimate the corresponding address as a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and if not, proceeds to step S50 to obtain the next address to be analyzed.

단계 S54에서는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된 암호화폐 주소에 대해 소정 기간 동안의 출금 트랜잭션이 있는지 조회한다. 이를 위해 소정 기간 동안의 블록을 모두 탐색할 필요가 있다. 출금 트랜잭션이 하나라도 존재하는 경우는 유실 처리 대상 주소가 아니므로 회수 처리를 하지 않고 단계 S50으로 이행하여 분석할 다음 주소를 획득한다.In step S54,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withdrawal transac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with respect to the cryptocurrency address estimated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search all the blocks for a predetermined period. If at least one withdrawal transaction is present, it is not a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s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0 without a collection process to obtain the next address to be analyzed.

단계 S55에서 출금 트랜잭션이 해당 기간 동안 한번도 없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6으로 이행하여 해당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확정하고 회수 절차로 넘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5 that no withdrawal transaction has been made during the period, the flow advances to step S56 to confirm the address as a loss processing target address and to transfer it to the recovery procedu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노드가 블록에 기록되는 모든 트랜잭션에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주소의 암호화폐 잔액을 재단 주소로 회수하라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록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최초 블록 생성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정 기간 이전에 생성된 블록을 탐색하며, 탐색된 블록에 기록된 모든 트랜잭션의 회수를 지시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함으로써 유실 처리 대상 주소의 잔액을 모두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each node of the blockchain network records a smart contract for retrieving the cryptocurrency balance of an address that has not been withdrawn for a predetermined period to a foundation address in every transaction recorded in the block,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has elapsed since the initial block generation time, the block cre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is searched and a smart contract instructing the recovery of all transactions recorded in the searched block is executed to recover all the balances of the lost address. Can be.

예컨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모든 트랜잭션에 "30년간 임의의 주소에서 한번도 출금이 이뤄지지 않으면 해당 주소의 잔액 전부를 재단 주소로 회수”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록한다면, 임의의 노드가 타이머 역할을 하여 30년전에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깨워서 강제로 실행할 것이다.For example, if a smart contract is recorded in every transaction that occurs in the blockchain network so that "if no balance has been withdrawn from any address for 30 years, all the balance of that address is returned to the foundation address", then any node acts as a timer. It will wake up and force a smart contract created a year ago.

블록 탐색에 따라 탐색된 블록이 미리 정해진 소정 기간 이전에 생성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합의를 도출하여 분석 대상 블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노드를 해킹하여 생성된지 얼마 안된 블록을 30년이 경과한 블록으로 지정하여 회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ther a searched block is generated before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block search may be determined as an analysis target block by deriving an agreement of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covery process by designating a block that has just been created by hacking any node as a block that has passed 30 years.

한편, 모든 트랜잭션에 기록될 회수 지시용 스마트 컨트랙트는, 소정의 기간 이전 시점에 보유했던 잔액과 현재의 보유 잔액이 동일한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하고,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되는 주소에 대해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 트랜잭션이 존재하는지 조회하여 출금 트랜잭션이 한번도 없는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확정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합의에 따라 유실 처리 대상 주소가 보유한 암호화폐 잔액이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하고,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된 암호화폐 잔액을 해당 주소로부터 재단 주소로 이체하는 트랜잭션을 실행하도록 작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contract for collection instruction to be recorded in all transactions estimates an address whose loss balance is the same as the remaining balance and the current retention balance before a predetermined period, and for the address estimated as the loss target address. It checks whether there is a withdrawal transac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onfirms the address where there is no withdrawal transaction as the address to be lost, and according to the agreement of the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the balance of the cryptocurrency held by the lost address is permanently lost. And a cryptocurrency balance determined to be permanently lost may be written to execute a transaction for transferring from the corresponding address to the foundation address.

영구 유실된 것으로 확인된 주소로부터 회수된 암호화폐는 채굴에 대한 대가로 노드들에게 분배될 수 있다.Cryptocurrency recovered from an address identified as permanently lost can be distributed to the nodes in exchange for mi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7)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트랜잭션을 기록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가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최초 블록 생성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 경과 직후 블록을 생성할 때, 상기 소정의 기간 이전에 생성된 블록의 트랜잭션에 대해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은 유실 처리 대상 주소를 찾는 탐색 단계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합의에 따라 상기 탐색된 유실 처리 대상 주소가 보유한 암호화폐 잔액이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하는 합의 단계와;
상기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된 암호화폐 잔액을 상기 주소로부터 재단 주소로 이체하는 트랜잭션을 실행하고 해당 트랜잭션을 블록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회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드들은 상기 출금 트랜잭션이 기록되는 상기 블록을 복제해 저장하며,
상기 출금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은 유실 처리 대상 주소에 대한 탐색은 상기 노드들의 블록 간 비교를 통해 이루어지되, 상기 노드들의 합의를 전제로 하여 선별된 상세 조회 대상의 노드들에 대해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 기간 경과된 블록부터 현재 생성되는 블록까지 상기 출금 트랜잭션의 존재가 없는 영구 유실된 암호화폐를 다음 블록 생성시 상기 재단 주소로 이체하며,
지갑(Wallet)이 분실되거나 훼손되어 인출이 불가능한 암호화폐는 상기 영구 유실된 암호화폐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
A method for recovering a lost cryptocurrency by a node connected to a blockchain network and generating a block for recording a transaction on the blockchain network,
When a block is generated immediately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elapses from the initial block generation time of the blockchain network, a search for a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for which a withdrawal transaction has not occurred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is performed for a transaction of a block cre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A search step;
An agreement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cryptocurrency balance held by the found loss processing target address is permanently lost according to agreement of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And a recovery step of executing a transaction for transferring the cryptocurrency balance determined to be permanently lost from the address to the foundation address,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transaction as a block.
The nodes replicate and store the block in which the withdrawal transaction is recorded;
The search for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for which the withdrawal transaction has not occurred is performed through the inter-block comparison of the nodes, but is performed for the nodes of the detailed inquiry target selected based on the agreement of the nodes.
Transfer the permanently lost cryptocurrency without the existence of the withdrawal transaction from the block elapsed to the current block to the foundation address when the next block is generated,
Cryptocurrency that can not be withdrawn due to a lost or damaged wallet (Wallet) is included in the permanently lost cryptocurrency, a method for recovering a lost cryptocurrency in a blockchain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단계는,
상기 소정의 기간 이전 시점에 보유했던 잔액과 현재의 보유 잔액이 동일한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되는 주소에 대해,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 트랜잭션이 존재하는지 조회하여 출금 트랜잭션이 한번도 없는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rch step,
Estimating an address whose loss balance is the same as the remaining balance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current retention balance as an address to be lost;
Determining whether the withdrawal transaction exists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ith respect to the address estimated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and determining an address having no withdrawal transaction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How to recover lost cryptocurrencies from your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의 단계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 중 소정 비율 미만의 노드들만 회수에 동의한 주소의 경우는 영구 유실이 아닌 것으로 마킹하고 상기 회수 단계를 실행하지 않은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onsensus step, in the case of an address where only less than a certain percentage of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agree to the recovery, the address is marked as not permanently lost and ends without executing the recovery step. , How to recover lost cryptocurrency from blockchain network.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트랜잭션을 기록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가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되는 모든 트랜잭션에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주소의 암호화폐 잔액을 재단 주소로 회수하라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록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록 단계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최초 블록 생성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소정 기간 이전에 생성된 블록을 탐색하는 블록 탐색 단계와;
상기 탐색된 블록에 기록된 모든 트랜잭션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드들은 출금 트랜잭션이 기록되는 상기 블록을 복제해 저장하며,
출금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은 유실 처리 대상 주소에 대한 탐색은 상기 노드들의 블록 간 비교를 통해 이루어지되, 상기 노드들의 합의를 전제로 하여 선별된 상세 조회 대상의 노드들에 대해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 기간 경과된 블록부터 현재 생성되는 블록까지 출금 트랜잭션의 존재가 없는 영구 유실된 암호화폐를 다음 블록 생성시 상기 재단 주소로 이체하며,
지갑(Wallet)이 분실되거나 훼손되어 인출이 불가능한 암호화폐는 상기 영구 유실된 암호화폐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
A method for recovering a lost cryptocurrency by a node connected to a blockchain network and generating a block for recording a transaction on the blockchain network,
A smart contract recording step of recording a smart contract for retrieving the cryptocurrency balance of an address which has not been withdrawn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all transactions recorded on the blockchain network to a foundation address;
A block searching step of searching for blocks cre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as a predetermined period elapses from the time of generating the first block of the blockchain network;
A smart contract execution step of executing the smart contract of all transactions recorded in the found block;
The nodes replicate and store the block where the withdrawal transaction is recorded,
The search for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in which the withdrawal transaction has not occurred is made through the inter-block comparison of the nodes, but is performed on the nodes of the detailed inquiry target selected based on the agreement of the nodes.
From the block which has passed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to the block currently generated, the permanently lost cryptocurrency without the existence of a withdrawal transaction is transferred to the foundation address when the next block is generated.
Cryptocurrency that can not be withdrawn due to a lost or damaged wallet (Wallet) is included in the permanently lost cryptocurrency, a method for recovering a lost cryptocurrency in a blockchain networ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탐색 단계는,
상기 탐색된 블록이 상기 소정 기간 이전에 생성된 것인지에 대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합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lock search step,
And deriving a consensus of the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as to whether the searched block is generated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기 소정의 기간 이전 시점에 보유했던 잔액과 현재의 보유 잔액이 동일한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하고,
상기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추정되는 주소에 대해,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출금 트랜잭션이 존재하는지 조회하여 출금 트랜잭션이 한번도 없는 주소를 유실 처리 대상 주소로 확정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합의에 따라 상기 탐색된 유실 처리 대상 주소가 보유한 암호화폐 잔액이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구 유실된 것으로 판단된 암호화폐 잔액을 상기 주소로부터 재단 주소로 이체하는 트랜잭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mart contract,
Presuming that the same address as the remaining balance and the current remaining balance at the time before the predetermined period is the lost address;
Inquiring whether a withdrawal transaction exists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ith respect to the address estimated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and confirming an address having no withdrawal transaction as the lost processing target address,
In accordance with the agreement of the nodes constituting the blockchain network, it is determined that the cryptocurrency balance held by the found loss address is permanently lost.
And executing a transaction for transferring the cryptocurrency balance determined to be permanently lost from the address to the foundation addres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유실된 암호화폐를 회수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for carrying out a method for recovering a lost cryptocurrency in the blockchain network of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180121716A 2018-10-12 2018-10-12 Method of revitalizing lost cryptocurrency in blockchain network KR101995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16A KR101995349B1 (en) 2018-10-12 2018-10-12 Method of revitalizing lost cryptocurrency in blockchai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16A KR101995349B1 (en) 2018-10-12 2018-10-12 Method of revitalizing lost cryptocurrency in blockchai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349B1 true KR101995349B1 (en) 2019-10-01

Family

ID=6820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716A KR101995349B1 (en) 2018-10-12 2018-10-12 Method of revitalizing lost cryptocurrency in blockchai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3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139B1 (en) 2021-02-17 2022-04-22 유비콘 주식회사 Space improvement solution system with blockchain-based distributed stora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1051A (en) * 1993-02-25 1994-09-09 Toshiba Corp Transac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KR20010090422A (en) * 2000-03-25 2001-10-18 임명수 System and method for one-stop sleeping account searching
KR20160092596A (en) 2015-01-27 2016-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Access Controlling of Terminal
KR101727525B1 (en) * 2016-09-05 2017-04-17 주식회사 스케일체인 Block chain based distributed storage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1852935B1 (en) * 2017-07-31 2018-04-27 임종범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of electronic currenc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1051A (en) * 1993-02-25 1994-09-09 Toshiba Corp Transac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KR20010090422A (en) * 2000-03-25 2001-10-18 임명수 System and method for one-stop sleeping account searching
KR20160092596A (en) 2015-01-27 2016-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Access Controlling of Terminal
KR101727525B1 (en) * 2016-09-05 2017-04-17 주식회사 스케일체인 Block chain based distributed storage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1852935B1 (en) * 2017-07-31 2018-04-27 임종범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of electronic currenc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139B1 (en) 2021-02-17 2022-04-22 유비콘 주식회사 Space improvement solution system with blockchain-based distributed stor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o et al. Graph structure and statistical properties of Ethereum transaction relationships
JP7428765B2 (en) How to secure peer-to-peer communication on blockchain
JP70368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deterministic finite automata (DFA) over the blockchain
Bakar et al. Robust framework diagnostics of Blockchain for bitcoin transaction system: A technical analysis from Islamic Financial Technology (i-FinTech) perspective
Woodside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doption status and strategies
US20210065293A1 (en) Distributed ledger lending
TW201800997A (en) Management method for realizing financial transaction by using block chain
CN110033377B (en) Asset sort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block chain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199305B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a machine-executable contract implemented using blockchain
Zhao et al. A graph-based investigation of bitcoin transactions
JP68383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13327117A (en) Asset trac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block chain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555684A (en) Account and system based on block chain system
JP7447127B2 (en) Preventing the sending of accidental copies of data records to a distributed ledger system
KR101995349B1 (en) Method of revitalizing lost cryptocurrency in blockchain network
CN110210857B (en) Public link-based evidence-based transaction method and device
JP7181455B2 (en) Blockchain system, approval terminal, user terminal, history management method, and history management program
De Vauplane Blockchain and intermediated securities
US11429602B2 (en) Multi-dimensional modeling of resource interaction processors
KR102585177B1 (en) Method for converting into securities of real estate for transactions
US10812581B2 (en) Heterogeneous distributed ledger data curator
TWI685808B (e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credit line
Khan et al. DCarbonX decentralised application: carbon market case study
US20210233169A1 (en) Block chain-based cryptocurrency trading brokerage server and trading brokerage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price fluctuation and preventing change of ownership due to hacking
KR20160019614A (en) Marketing and system using network relation of finance cl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