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872B1 - Handgun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e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andgun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e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872B1
KR101994872B1 KR1020180060496A KR20180060496A KR101994872B1 KR 101994872 B1 KR101994872 B1 KR 101994872B1 KR 1020180060496 A KR1020180060496 A KR 1020180060496A KR 20180060496 A KR20180060496 A KR 20180060496A KR 101994872 B1 KR101994872 B1 KR 101994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frame
door
locking devic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교선
김충석
Original Assignee
정교선
김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교선, 김충석 filed Critical 정교선
Priority to KR102018006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72B1/en
Priority to PCT/KR2019/004947 priority patent/WO201920902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72B1/en
Priority to ZA2020/07223A priority patent/ZA202007223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05Devices for storing or displaying rifles, guns, pistols or elongated objects such as fishing rods storing fishing r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stol storage module and a pistol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pistol storage module comprises: a pair of frames formed in a plate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ap configur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s; a case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frames; a door rotatably disposed at one side of one of the frames; a first locking device disposed on the other one of the frames; and a cradle disposed between the frames.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radle is rotated to store or release a pistol. Therefore, the pistol storage module and the pistol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re formed in an assembly manner to be easily and independently installed, and are easily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pistols to be stored.

Description

권총보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총기관리장치{HANDGUN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E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gun storage module,

실시예는 하나의 권총를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권총보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총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개별적으로 설치가 용이한 권총보관모듈 및 이를 이용하여 권총의 보관 개수를 확장시킬 수 있는 총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 pistol storage module capable of individually storing one pistol and a gun manage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gun storage module formed to be easily assembled and easy to install individually, and a gun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expanding the number of pistols stored using the handgun storage module.

일반적으로 경찰, 군부대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권총 보관대의 경우 다수의 권총을 하나의 금고 또는 서랍 안에 수납시키고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권총의 무단유출을 방지하고 있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pistol stand used in police, military, etc., many pistols are stored in a single safe or drawer, and locks are used to prevent unauthorized outflow of pistols.

이러한 종래의 권총 보관대는 다수의 권총을 금고 또는 서랍 내에 넣고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개인의 식별에 따른 개인별 반입 또는 반출에 어려움이 있다. Such a conventional pistol clasp is manually opened and closed by inserting a large number of pistols into a safe or a drawer and using a locking device, so that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carry or unload according to an individual's identification.

또한, 종래의 권총 보관대는 보관하기 위한 권총의 개수에 관계없이 다수의 권총을 보관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따른 제약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istol stand is manufactured to store a large number of pistol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istols to be stor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installation site.

나아가, 권총의 개별적인 보관을 위해 맞춤형으로 권총 보관대를 제작하는 경우, 설치 위치 및 권총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주문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상승 및 설치에 대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Furthermore, when the pistol holder is manufactured in a customized manner for individual storage of the pistol, it is required to customize the pistol holder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type of the pistol,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installation time is long.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식으로 설치가 용이한 권총보관모듈 및 이를 이용하여 권총을 개별적으로 보관하면서 권총의 보관 개수를 확장시킬 수 있는 총기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총기 하나당 하나의 권총보관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gun storage module which is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and a gun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expanding the number of pistols stored while individually storing pistols . At this time, one handgun storage module may be provided per gun.

또한, 설치 장소에 따른 설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설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권총보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총기관리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andgun storage module and a gun manage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of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and minimize installation time.

또한, 도어 및 권총을 보관할 수 있는 회동식 거치대를 이용하여 권총의 보관 및 권총의 탈취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 권총의 반입 및 반출을 용이하게 하는 권총보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총기관리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andgun storage module and a gun manage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facilitate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a handgun while preventing the storage of the handgun and the deodorization of the handgun by using a pivotable stand capable of storing the door and the handgun.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캡; 상기 프레임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잠금장치;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시, 권총의 수납 또는 수납 해제를 위해 상기 거치대가 회동하는 권총보관모듈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air of frames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ap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cas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frame; A door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any one of the frames; A first locking device disposed on the other one of the frames; And a cradle disposed between the frames, wherei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radle is rotated to accommodate or release the handgun.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서 돌출된 돌기의 절곡된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1 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Th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and the bent end of the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cover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through a first hole formed in the frame.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권총이 수납되는 거치대 본체 및 상기 거치대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시,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adle may include a cradle main body in which the pistol is received, and a rotation axis disposed in the cradle main bod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When the cradle is in the open state, the cradle main body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

그리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게 상기 거치대 본체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제3 홀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Further, the cradle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disposed on the cradl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and the frame includes a third hole formed in an arc shape, and the guide portion can be guided by the third hole.

한편, 상기 도어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본체; 및 상기 도어 본체에 배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시, 상기 도어 본체는 상기 거치대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door includes a door main body rotatably disposed on the frame; And a locking part disposed on the door main body.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oor main body can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cradle.

또한,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탄창 보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창 보관대의 개구는 상기 도어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magazine rack disposed in the frame, wherein the opening of the magazine rack can be blocked by the door.

또한, 상기 케이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탄약 보관박스;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잠금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잠금장치 또는 상기 제2 잠금장치는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An ammunition storage box coupled to th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A second locking devic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 recognition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first lock device or the second lock device can be locked or unlocked by a signal of the recognition unit.

여기서, 통신망을 통해 잠금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키에 의해 상기 인식부는 상기 제1 잠금장치 또는 상기 제2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Here, the recognition unit may transmit a signal for unlocking the first locking device or the second locking device by a digital key that has received an approval signal including unlocking inform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제1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가 닫혔는지 또는 열렸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locking device may include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closed or opened.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일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권총보관모듈; 상기 권총보관모듈을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권총보관모듈과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권총보관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는 총기관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 plurality of pistol storage modul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one directio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andgun storage module; And a pane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istol storage module and the controller, the panel being achieved by a firearm management device disposed behind the holster storage module by a securing member.

여기서, 상기 권총보관모듈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캡; 상기 프레임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잠금장치;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시, 권총의 수납 또는 수납 해제를 위해 상기 거치대가 회동할 수 있다.Here, the handgun storage module may include a pair of frame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ap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cas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frame; A door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any one of the frames; A first locking device disposed on the other one of the frames; And a cradle disposed between the frames, wherei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radle can pivot for storing or unmounting the pistol.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생체인증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잠금장치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can unlock the first locking device through the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또한, 상기 케이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탄약 보관박스;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잠금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식부를 포함하며, 통신망을 통해 잠금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키에 의해 상기 인식부는 상기 제1 잠금장치 또는 상기 제2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An ammunition storage box coupled to th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A second locking devic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 recognizing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recognizing unit recognizes a signal for unlocking the first locking device or the second locking device by a digital key that receives an approval signal including unlocking inform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send ou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총기관리장치는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개별적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보관하여야 하는 권총의 개수에 따라 확장이 용이하다. The pisto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the gun manage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be easily assembled and easily installed, and can be easily expan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stols to be stored.

또한, 권총보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총기관리장치는 도어 및 권총을 보관할 수 있는 회동식 거치대를 이용하여 권총의 보관 및 권총의 탈취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 권총의 반입 및 반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gun storage module and the gun management device including the handgun module can easily carry out the carrying and unloading of the handgun while preventing the storage of the handgun and the deodorization of the handgun by using a pivotable stand capable of storing the door and the handgun.

또한, 상기 권총보관모듈은 탄약 보관박스 및 탄창 보관대를 구비하여 총기의 반출 후 탄창 및 탄약을 따로 반출하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총기와 함께 탄창 및 탄약을 반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gun storage module may include an ammunition storage box and a magazine storage box to solve the problem of carrying out the magazine and the ammunition separately after the firearm is removed. In other words, magazines and ammunition can be taken out with the gun depending on the situation.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총기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총기관리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의 도어의 열림 상태시, 회동된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의 인식부와 키 사이의 인식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차량에 설치된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irearm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the gu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ndgun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gun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view showing a cradle when the door of the holster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opened; FIG.
6 is a view showing a frame of the handgun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of the handgun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diagram showing a recognition relationship between a recognition part and a key of the handgun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 view showing a handgun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stalled in a vehic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총기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총기관리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x 방향은 배치방향, y 방향은 폭방향 및 z 방향은 상하방향으로 명명되어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명확히 할 수 있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gu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gu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Fig. 1, the x-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placement direction, the y-direction as a width direction, and the z-direction as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can be clarified.

실시예에 따른 총기관리장치(1)는 권총, 탄약 및 탄창 등을 통합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총기관리장치(1)는 총기관리시스템(S)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gun manage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collectively manage and manage pistols, ammunition, magazines,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gun management device 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un management system S.

따라서, 상기 총기관리장치(1)는 자체 또는 총기관리시스템(S)에 의한 원격 방식을 통해 운용 및 관리가 가능하다. 예컨데, 총기관리시스템(S)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총기관리장치(1)의 컨트롤러(20)를 제어하여 권총(H)의 반입 및 반출에 대한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총기관리시스템(S)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권총 등을 관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gun management device 1 can be operated and managed by itself or remotely by the gun management system S. [ For example, the gun management system S may control the controller 20 of the gun management device 1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control the operation of loading and unloading the pistol H. [ At this time, the user can manage the pistol and the like in real time using the gun management system (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총기관리장치(1)는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권총보관모듈(10), 권총보관모듈(1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 및 권총보관모듈(10)과 컨트롤러(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gun management device 1 includes a plurality of pistol storage modules 10 disposed along one direction, a controller 20 for controlling the pistol storage module 10, and a pistol storage module 10 and the controller 20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총기관리장치(1)는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일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권총보관모듈(10)은 개인별로 지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총기관리장치(1)는 개인별 식별에 따라 권총 등에 대한 반입 및 반출을 가능하게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firearm control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cover 40 disposed to cover one side of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At this time,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can be paid for each individual, so that the gun management device 1 can carry in and out of the handgun according to individual identification.

복수 개의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일 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 방향은 상기 배치방향(x 방향)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istol storage modules 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one direction. Here, the one direction may be the arrangement direction (x direc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한 개당 하나의 권총(H)을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하고자 하는 권총(H)의 개수에 따라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을 배치하여 권총(H)의 보관 개수를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권총(H)의 보관 이외에 탄약 및 탄창을 더 보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can store one handgun H per one, and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andguns H to be stored The number of pistols H to be stored can be increased. Here,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can further store ammunition and magazines in addition to storing the pistol H.

따라서, 상기 총기관리장치(1)는 설치 장소 및 보관되는 권총(H)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gun management apparatus 1 can adjust the number of the handgun storage modules 10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the number of pistols H to be stored,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installation.

컨트롤러(20)는 상기 권총보관모듈(10)에 대한 권총(H)의 반입 및 반출을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컨트롤러(20)는 권총(H)의 반입 및 반출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 can control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istol H to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 Accordingly, the controller 20 can manage the history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istol H. [

컨트롤러(20)는 권총(H)의 반입 및 반출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는 얼굴 인식 또는 홍채 인식을 위한 카메라, 지문인식을 위한 센서 등을 이용한 생체인증 방식을 통해 권총(H)의 반입 및 반출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 can control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istol H. [ For example, the controller 20 can control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handgun H through a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camera for face recognition or iris recognition, a sensor for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he lik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는 복수 개의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일측에 배치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상기 권총보관모듈(10)에 대한 제어 편의성을 고려하여 컨트롤러(20)의 배치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the handgun storage modules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20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rol convenience for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한편, 컨트롤러(20)는 내부에 설치된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권총(H) 또는 상기 탄약의 반입 및 반출에 대한 정보를 총기관리시스템(S)에 송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총기관리시스템(S) 또한 권총(H)의 반입 및 반출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2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about the handgun H or the ammunition carry-in and carry-out to the gun management system S by using communication equipment installed therein. Accordingly, the gun management system S can also manage the history of the import and export of the pistol H. [

패널(30)은 상기 권총보관모듈(10)과 컨트롤러(20)를 전기적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권총보관모듈(10)과 컨트롤러(20)는 원격 연결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The panel 30 electrically connects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and the controller 20. However,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and the controller 20 may b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method.

상기 권총보관모듈(10)과 컨트롤러(20)가 패널(30)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원격접속에 의한 통신장애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패널(30)에 의해 권총보관모듈(10) 간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and the controlle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anel 30, it is possible to easily deal with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remote connectio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holster storage modules 10 can be improved by the panel 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30)은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권총(H)의 출입을 위해 구비되는 권총보관모듈(10)의 도어가 배치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할 때, 상기 후방은 상기 전방에 반대되는 방향이다. As shown in FIG. 2, the panel 30 may be disposed behind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using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1,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of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provided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handgun H is disposed is referred to as a front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direction .

패널(30)은 각 권총보관모듈(10)과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31)와 기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20)가 권총보관모듈(1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커넥터(31)와 기판(32)의 개수는 권총보관모듈(1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The panel 30 may include a connector 31 and a substrate 32 to en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each pistol storage module 10.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connectors 31 and the boards 32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pistol storage modules 10 so that the controller 20 individually controls the pistol storage module 10.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10)은 권총(H)을 수납할 수 있는 회동식 거치대를 이용하여 권총(H)의 보관 및 권총(H)의 탈취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 권총(H)의 반입 및 반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uses the pivotable type holder for storing the handgun H to fundamentally block the storage of the handgun H and the deodorization of the handgun H, And can be easily carried out.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의 도어의 열림 상태시, 회동된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sto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stol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volving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한 쌍의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200), 프레임(10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케이스(300), 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400), 프레임(100)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잠금장치(500), 한 쌍의 프레임(10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거치대(600)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5,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includes a pair of frames 100, a cap 200 disposed on the top of the frame 100, a case 20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00, A door 400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ame 100, a first locking device 500 disposed on the other one of the frames 100, a first locking device 500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rames 100, (Not show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0)의 열림 상태시, 권총(H)의 수납 또는 수납 해제를 위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거치대(600)는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400)의 열림 상태라 함은 도어(400)가 제1 잠금장치(500)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어 회동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도어(400)의 닫힘 상태라 함은 도어(400)가 제1 잠금장치(5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5, when the door 400 is opened, the holder 600 of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can be pivoted to store or unlock the pistol H, as shown in FIG. Here, the opened state of the door 400 may be a state in which the door 400 can be unlocked and rotated by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400 means that the door 400 is fixed by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한편,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탄창을 보관할 수 있는 탄창 보관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may further include a rear plate 700 disposed behind the pair of frames 1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may further include a magazine storage 800 capable of storing magazines. In addition,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plate 900 disposed in front of a pair of frames 1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서,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캡(200), 케이스(300), 후면판(700), 탄창 보관대(800) 및 전면판(900) 등 각각은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100)에 조립되는 조립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조립식 권총보관모듈이라 불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로 볼트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내측에 헤드가 배치되게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Each of the cap 200, the case 300, the rear plate 700, the magazine storage 800, and the front plate 900 and the like is fixed to the frame 10 by using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100). ≪ / RTI > Accordingly,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may be referred to as a prefabricated holster storage module. Here, when a bolt is used as the fixing member, the fixing member may be coupl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n such a manner that the head is disposed inside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프레임(100)의 일측면을 덮는 커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40 that covers one side of the frame 100. As shown in FIG.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frame of a handgun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본체(110), 프레임 본체(110)에 형성된 제1 홀(120), 프레임 본체(110)에 형성된 제3 홀(140) 및 제4 홀(1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0)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된 노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 the frame 100 includes a frame body 110 formed in a plate shape, a first hole 120 formed in the frame body 110, a third hole 140 formed in the frame body 110, Four holes 150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frame 100 may further include a notch 130 formed at a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프레임 본체(110)는 상기 권총보관모듈(10)에서 측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110)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한 결합을 위해 프레임 본체(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body 110 may serve as a sidewall in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The frame body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formed to pass through the frame body 110 for engagement by the fixing member.

제1 홀(120)에는 커버(40)에서 돌출되는 돌기(4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돌기(41)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홀(120)에 삽입된 돌기(41)의 단부는 프레임 본체(110)의 내면(111)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된 돌기(41)의 단부에 의해 상기 커버(40)는 프레임 본체(1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The protrusion 41 protruding from the cover 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120. At this time, the end of the projection 41 can be bent upward. The end of the projection 41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120 can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111 of the frame body 110. [ Therefore, the cover 4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body 110 by the end portion of the bent projection 41.

노치(130)는 프레임 본체(110)의 후방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노치(130)에는 상기 패널(3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notch 130 may be recessed in the rear of the frame body 110. The panel 30 may be disposed on the notch 130.

제3 홀(140)은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홀(140)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hole 140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third hole 14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제3 홀(140)에는 거치대(600)의 가이드부(63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630 of the holder 600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hole 140.

거치대(600)의 회동시, 가이드부(630)의 단부는 제3 홀(14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홀(140)은 프레임 본체(110)를 관통하는 홀로 제공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가이드부(630)의 단부가 안내되는 홈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When the holder 600 is rotated,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630 may be guided by the third hole 140. Here, although the third hole 140 is provided as a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frame body 110,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63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d groove.

제4 홀(1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110)를 관통하는 홀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홀(150)에는 거치대(600)의 회전축(620)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ourth hole 150 may be provided as an opening through the frame body 110, as shown in Figs. The rotary shaft 620 of the holder 600 may be rotatably disposed in the fourth hole 150.

한편, 제4 홀(150)에는 회전축(62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bearing (not shown) for facilita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620 may be disposed in the fourth hole 150.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프레임(100)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프레임(100)은 상기 폭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3 to 5, the pair of frames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air of frames 10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그에 따라, 한 쌍의 프레임(100)은 일 방향(y 방향)으로 개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캡(200), 케이스(300) 및 거치대(600) 등이 배치되어 상기 간격을 유지되게 한다. 이때, 캡(200)과 케이스(300)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air of frames 100 can be arranged to be open in one direction (y direction). A cap 200, a case 300, a cradle 600, and the like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rames 100 to maintain the spacing. At this time, the cap 200 and the case 300 may be fixed to the frame 100 by the fixing member.

캡(20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캡(200)은 한 쌍의 프레임(1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캡(200)은 상기 권총보관모듈(10)에 보관되는 권총(H)이 상부측으로 탈취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cap 200 may be disposed on top of the frame 100. At this time, the cap 200 is arrang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frames 100. Accordingly, the cap 200 prevents the pistol H stored in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from being deodorized to the upper side.

도 4를 참조하면, 캡(200)은 캡 본체(210) 및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ap 200 may include a cap body 210 and a protrusion 220.

캡 본체(2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캡 본체(210)는 한 쌍의 프레임(1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예컨데, 캡 본체(210)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100)의 상단과 다른 하나의 프레임(100)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천장을 형성한다. The cap body 2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cap body 210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frames 100. For example, the cap body 21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one of the frames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other one of the frames 100 to form a ceiling of the pistol storage module 10.

돌출부(220)는 캡 본체(210)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220)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The protrusion 22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an end of the cap body 210. The protrusion 220 is fixed to the frame 100 by the fixing member.

케이스(300)는 프레임(10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300)는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ase 30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00. Here, the case 300 may form the bottom of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of a handgun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300)는 하우징(310), 하우징(3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탄약 보관박스(320), 하우징(310)에 배치되는 제2 잠금장치(330) 및 인식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7, the case 300 includes a housing 310, an ammunition storage box 320 slidably coupled to the housing 310, a second locking device 330 disposed in the housing 310, (340).

하우징(310)은 케이스(300)의 외형을 형성한다.The housing 3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ase 300.

하우징(310)은 상부 하우징(311)과 하부 하우징(3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310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311 and a lower housing 312.

하부 하우징(312)은 상부 하우징(311)의 하부에 배치되어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311)은 하부 하우징(3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housing 31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311 and supported on the floor. The upper housing 31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312.

여기서, 상기 패널(30)은 상부 하우징(3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30)은 제1 잠금장치(500) 및 제2 잠금장치(33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panel 30 may be disposed behind the upper housing 311. The panel 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the second locking device 330, and the like.

탄약 보관박스(320)는 탄약을 보관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312)에 배치되는 제2 잠금장치(330)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탄약 보관박스(320)에 대한 잠금은 탄약 보관박스(3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정지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잠금 해제는 탄약 보관박스(3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The ammunition storage box 320 can store the ammunition and can be locked or unlocked by the second locking device 330 disposed in the lower housing 312. Here, the lock on the ammunition storage box 320 means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ammunition storage box 320 is stopped, and the unlocking means a state enabl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ammunition storage box 320 .

인식부(340)는 상부 하우징(3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식부(340)는 전방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부(340)는 도어(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ecognition unit 340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housing 311. [ At this time, the recognition unit 340 may be disposed in front and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3, the recognition unit 34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oor 400.

인식부(340)는 디지털 방식의 키(K)를 인식하여 제1 잠금장치(500) 또는 제2 잠금장치(33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부(340)는 제1 잠금장치(500) 및 제2 잠금장치(330) 각각의 개별적인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해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unit 340 may recognize the digital key K to lock or unlock the first lock device 500 or the second lock device 330. [ As shown in FIG. 6, the recognition unit 340 may be provided with two pieces for individually locking and unlocking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and the second locking device 330, respectively.

따라서, 인식부(340)는 제1 잠금장치(500)를 제어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ly, the recognition unit 340 controls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400, as shown in FIG.

그리고, 인식부(340)는 제2 잠금장치(330)를 제어하여 탄약 보관박스(320)가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The recognition unit 340 controls the second locking device 330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in which the ammunition storage box 32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310.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의 인식부와 키 사이의 인식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recognition relationship between a recognition part and a key of the handgun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인식부(340)가 디지털 방식의 키(K)를 인식하고, 제1 잠금장치(500) 또는 제2 잠금장치(330)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K)의 송수신 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키(K)는 총기관리시스템(S)에 의해 신호를 받는 단말기(M)를 통해 총기 또는 탄약을 반출할 수 있는 승인신호를 받는다. 여기서, 상기 키(K)와 단말기(M)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recognition unit 340 can recognize the digital key K and can unlock the first lock device 500 or the second lock device 330. FIG. At this time, the key K receives an approval signal for taking out the gun or the ammunition through the terminal M receiving the signal by the gun management system S,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range of the key K. Here, the key K and the terminal M can transmit and receive the signal in a Bluetooth manner.

따라서,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이 컨트롤러(20) 없이 단독으로 설치된 경우, 인식부(340)는 디지털 방식의 키(K)를 인식하여 제1 잠금장치(500) 또는 제2 잠금장치(33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is installed alone without the controller 20, the recognition unit 340 recognizes the digital key K so that the first lock device 500 or the second lock device 330 Can be locked or unlocked.

또한, 상기 총기관리장치(1)에서 컨트롤러(2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라도 디지털 방식의 키(K)를 이용하여 제1 잠금장치(500) 또는 제2 잠금장치(33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lock or unlock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or the second locking device 330 by using the digital key K even when the controller 20 is not operating in the firearm management device 1 .

도 9는 차량에 설치된 실시예에 따른 권총보관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handgun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stalled in a vehicle.

상기 권총보관모듈(10)만 군용 차량 또는 경찰 차량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차량(C)의 트렁크에 설치될 수 있다.Only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may be installed in a military vehicle or a police vehicle. As shown in FIG. 9,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may be installed in the trunk of the vehicle C.

즉,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통신망을 통해 잠금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키(K)를 이용함과 동시에 다양한 장소에 조립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별도의 컨트롤러(20) 없이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총기 또는 탄약 등을 반/출입 가능하게 한다. That is,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i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 an assembled manner while using the digital key K that receives the approval signal including the unlock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ly,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vehicle without a separate controller 20 to allow the gun or the ammunition to be in / out of the vehicle.

특히, 불법 소지된 권총(H)을 수거한 경우, 차량(C)의 트렁크에 설치된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을 이용하여 권총(H)을 보관할 수 있다. 나아가, 키(K)를 이용하여 상기 권총보관모듈(10)에 수거된 권총(H)을 수납함으로써, 권총(H)의 반입 및 반출에 대한 이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권총(H)의 상기 이력을 통해 수거된 권총(H)에 대한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Particularly, when the illegally held pistol H is collected, the pistol H can be stored using the pistol storage module 10 installed in the trunk of the vehicle C. Further, by storing the pistol H collected in the pistol storage module 10 by using the key K, it is possible to secure a history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istol H. [ Thereby facilitating management of the pistol H collected through the history of the pistol H. [

도어(400)는 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권총(H) 등의 반/출입을 위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전방을 열고 닫을 수 있게 한다. The door 400 is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ame 10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for swapping / inserting the holster H and the like.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도어(400)는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본체(410) 및 도어 본체(410)에 배치되는 걸림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5, the door 400 may include a door body 410 rotatably disposed on the frame 100, and a latching portion 430 disposed on the door body 410.

도어 본체(4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권총(H) 등의 반/출입을 위해 도어 본체(410)는 회동하여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전방을 열고 닫을 수 있게 한다. 이때, 걸림부(430)는 제1 잠금장치(500)와 결합하여 도어(400)의 회동을 방지하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The door body 4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door main body 410 rotates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ide of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in order to enter / exit the holster H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latching part 430 is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for preventing the door 400 from rotating.

그리고, 도어(400)의 닫힘 상태시, 도어 본체(410)는 거치대(60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When the door 400 is in the closed state, the door main body 410 can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cradle 600.

한편, 도어(400)의 상단은 캡(20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어(400)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어(400)가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내부에 배치된 권총(H)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pper end of the door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ap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door 400,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In addition, the pistol H disposed inside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space formed by the doors 400 being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잠금장치(500)는 프레임 본체(110)의 내면(111)에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111 of the frame body 110.

제1 잠금장치(500)는 도어(400)의 걸림부(430)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잠금장치(500)는 도어(40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400)에 대한 잠금은 도어(400)가 상기 제1 잠금장치(5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잠금 해제는 도어(40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locking part 430 of the door 400. Accordingly,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can lock or unlock the door 400. [ Here, the lock for the door 400 means a state in which the door 400 is fixed by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and the unlocking means a state enabling the rotation of the door 400 .

한편, 제1 잠금장치(500)에는 상기 도어(400)가 닫혔는지 또는 열렸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locking device 500 may include a detection sensor 510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400 is closed or opened.

감지센서(510)는 자기장 인식 센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걸림부(430)에는 자석(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510)의 인식력을 고려하여 상기 자석은 상기 감지센서(5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자석은 도어(400)의 걸림부(430)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ing sensor 510 may be provided as a magnetic field recognition sensor, so that a magnet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engagement portion 430. At this time, the magne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ensor 510 in consideration of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sensing sensor 510. For example, the magnet may be disposed at the locking portion 430 of the door 400.

거치대(600)는 한 쌍의 프레임(10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거치대(600)에는 권총(H)이 수납될 수 있다.The holder 600 is rotatable between the pair of frames 100. In addition, the holster (600) can receive the pistol (H).

도 4를 참조하면, 거치대(600)는 권총(H)이 수납되는 거치대 본체(610) 및 거치대 본체(610)에 배치되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6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620)은 거치대 본체(610)의 회전 중심으로 제공될 수 있다. 4, the cradle 600 may include a cradle body 610 in which the pistol H is received and a rotation axis 620 disposed in the cradle body 610 and pivotally coupled to the frame 100 have. Here, the rotation shaft 620 may be provided as a center of rotation of the holder body 610.

또한, 거치대(600)는 회전축(620)과 이격되게 거치대 본체(610)에 배치되는 가이드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거치대(600)는 가이드부(630)에 의해 회동이 안내될 수 있다. The holder 6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unit 630 disposed on the holder body 6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ry shaft 620. Accordingly, the holder 600 can be guided to rotate by the guide portion 630.

거치대 본체(610)는 권총(H)이 수납될 수 있게 형성된 수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본체(610)의 상단의 폭은 하단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0)의 열림 상태시, 거치대 본체(610)는 자중에 의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3 홀(140)을 따라 안내되어 회동되고, 권총(H)은 거치대 본체(610)에 수납 또는 수납 해제될 수 있다.The holder body 610 may include a storage space formed so that the pistol H can be received. As shown in Fig. 4,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cradle body 610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end. 5, when the door 400 is in the open state, the main body 610 is guided along the third hole 140 formed in the frame 100 by its own weight, H can be stored or unpacked into the cradle body 610.

회전축(620)은 거치대 본체(610)의 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620)은 프레임(100)의 제4 홀(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rotary shaft 62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610. The rotary shaft 6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ourth hole 150 of the frame 100.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축(62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rotation axis 6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630)는 거치대 본체(610)의 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커버(40)의 돌기(41)와 구분되게 거치대 본체(610)의 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는 제1 돌기라 불릴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63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guide portion 630 may be provided a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610. At this time, th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radle body 610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41 of the cover 4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rotrusion. Here, the guide portion 630 may be formed in a columnar shape.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630)는 프레임(100)의 제3 홀(140)에 배치될 있다. 이때, 상기 제3 홀(140)은 호 형상의 홀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부(630)는 제3 홀(1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거치대 본체(610)가 회동할 때, 거치대 본체(610)는 제3 홀(140)에 안내되어 회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5, the guide portion 630 is disposed in the third hole 140 of the frame 100. At this time, since the third hole 140 is formed as an arc-shaped hole, the guide portion 630 can move along the third hole 140. Accordingly, when the cradle body 610 rotates, the cradle body 610 is guided and rotated in the third hole 140.

후면판(700)은 프레임(100)의 후방을 덮도록 프레임(10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권총보관모듈(10)에 보관되는 권총(H)은 후면판(700)에 의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후방으로 탈취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back plate 700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100 so as to cover the rear of the frame 100. Thus, the pistol H stored in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is prevented from being deodorized to the rear of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by the back plate 700. [

후면판(700)은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back plate 700 can be fixed to the frame 100 by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프레임(100)의 내면(111)에 배치되는 탄창 보관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창 보관대(800)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holster storage module 10 may further include a magazine storage 80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111 of the frame 100. At this time, the magazine storage bin 800 can be installed in the frame 100 by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창 보관대(800)는 프레임(100)과의 결합을 통해 전방으로 개구(81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810)를 통해 탄창은 삽입될 수 있다. 4 and 5, the magazine storage 800 can form an opening 810 forwardly through engagement with the frame 100. As shown in FIG. The magazine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810.

이때, 상기 개구(810)는 도어(400)에 의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그에 따라, 개구(810)는 도어(4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ning 810 can be opened or closed by the door 400. Accordingly, the opening 810 can be blocked by the door 400.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면판(900)은 케이스(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판(900)은 도어(40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면판(900)은 프레임(100)의 전방의 일 영역을 덮도록 프레임(10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권총(H)이 수납된 거치대(600)는 전면판(9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5, the front plate 9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300. At this time, the front plate 90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400. Accordingly, the front plate 900 can be disposed on the frame 100 so as to cover one area in front of the frame 100. Therefore, the cradle 600, in which the pistol H is housed, can be protected by the front plate 900.

종합해보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을 조립 방식을 통해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총기관리장치(1)는 장소의 제한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권총(H)의 개수에 따라 확장이 용이하다. In other words, the pistol storage module 10 is installed through an assembling method, so that the gun management device 1 can be installed without limitation in the number of places and can be easily expan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istols H. FIG.

이때,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거치대(600)는 회동식으로 프레임(100)에 설치되기 때문에, 권총(H)의 반입 및 반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mount table 600 of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is installed on the frame 100 in a pivoting manner, the handgun H can be easily carried in and out.

또한, 상기 총기관리장치(1)에 배치되는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의 제1 잠금장치(500) 또는 제2 잠금장치(330)는 컨트롤러(20) 또는 디지털 키(K)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상황별 대응이 용이하다. 예컨데, 컨트롤러(20)의 장애시, 디지털 키(K)를 보조로 운용하여 권총(H) 및 탄약, 탄창을 반출입할 수 있다.The first lock device 500 or the second lock device 330 of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disposed in the gun management device 1 may be connected to either the controller 20 or the digital key K , It is easy to cope with each situation. For example, in case of failure of the controller 20, the digital key K can be operated as an auxiliary to carry out the handgun H, the ammunition, and the magazine.

또한, 컨트롤러(20) 없이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경우라도 디지털 키(K)에 의해 제1 잠금장치(500) 또는 제2 잠금장치(330)를 잠금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권총보관모듈(10)은 차량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unlock the first lock device 500 or the second lock device 330 with the digital key K even when at least one of the handgun storage modules 10 is installed without the controller 20 , The handgun storage module 10 can be installed in a vehicle.

이때, 상기 키(K)는 통신망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권총(H)의 관리 및 운용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key K can be controll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pistol H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 총기관리장치
10: 권총보관모듈 20: 컨트롤러
30: 패널 40: 커버
100: 프레임 200: 캡
300: 케이스 400: 도어
500: 제1 잠금장치 600: 거치대
700: 후면판 800: 탄창 보관대
900: 전면판
1: Firearm management device
10: Pistol storage module 20: Controller
30: Panel 40: Cover
100: frame 200: cap
300: Case 400: Door
500: first locking device 600: cradle
700: back plate 800: magazine holder
900: front plate

Claims (13)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캡;
상기 프레임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1 잠금장치;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캡 및 상기 케이스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조립되고,
상기 거치대는 권총이 수납되는 거치대 본체 및 상기 거치대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게 상기 거치대 본체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 호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된 제3 홀 및 상기 프레임 본체에 형성된 제4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는 상기 제3 홀에 안내되게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4 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시, 권총의 수납 또는 수납 해제를 위해 상기 거치대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3 홀을 따라 안내되어 회동하는 권총보관모듈.
A pair of frame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cap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cas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frame;
A door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any one of the frames;
A first locking device disposed in the other of the frames to lock or unlock the door; And
And a cradle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frames,
Wherein the cap and the case are assembled to the frame by a fixing member,
Wherein the cradle includes a cradle main body in which a handgun is received, a rotation axis disposed in the cradle main bod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and a guide portion disposed in the cradl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frame body, a third hole formed in the frame body with an arc-shaped slot, and a fourth hole formed in the frame body,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is guided to the third hole,
The rotation shaf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ourth hole,
Wherei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holder is guided along the third hole by its own weight for pivoting to store or unlock the pist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본체에 형성된 제1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3 홀을 덮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커버의 배치시,
상기 커버에서 돌출된 돌기의 절곡된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지지되는 권총보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Wherein the frame further comprises a first hole formed in the frame body,
When the cover is dispos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frame body so as to cover the first hole and the third hole,
And a bent end of th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ver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through the first hole formed in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단이 상기 캡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을 통해 내부에 배치된 상기 권총은 눈으로 확인되는 권총보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pace is formed by disposing the upper end of the doo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p,
Wherein the pistol disposed internally through the space is visually identif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단의 폭은 하단의 폭보다 큰 권총보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cradle body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본체 및 상기 도어 본체에 배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시, 상기 도어 본체는 상기 거치대의 상단을 지지하는 권총보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includes a door body rotatably disposed on the frame and a latching part disposed on the door body,
Wherein the door main body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cradle when the door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탄창 보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창 보관대의 개구는 상기 도어에 의해 차단되는 권총보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gazine rest disposed in the frame,
Wherein the opening of the magazine storage is blocked by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탄약 보관박스;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잠금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잠금장치 또는 상기 제2 잠금장치 각각은 개별적인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권총보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housing;
An ammunition storage box coupled to th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A second locking devic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nd a recognition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first locking device or the second locking device is individually locked or unlocked by the signal of the recognition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가 통신망을 통해 잠금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키를 인식하고, 잠금을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제1 잠금장치 또는 상기 제2 잠금장치에서 송출하여 상기 제1 잠금장치 또는 상기 제2 잠금장치를 잠금해제하는 권총보관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cognizing unit recognizes the digital key that received the approval signal including the unlocking information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 signal for unlocking from the first locking device or the second locking device, A handgun storage module that unlocks the second loc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가 닫혔는지 또는 열렸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권총보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ocking device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closed or opened.
일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권총보관모듈;
상기 권총보관모듈을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권총보관모듈과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권총보관모듈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캡;
상기 프레임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1 잠금장치;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캡 및 상기 케이스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조립되고,
상기 거치대는 권총이 수납되는 거치대 본체 및 상기 거치대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게 상기 거치대 본체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 호 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된 제3 홀 및 상기 프레임 본체에 형성된 제4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는 상기 제3 홀에 안내되게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4 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시, 권총의 수납 또는 수납 해제를 위해 상기 거치대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3 홀을 따라 안내되어 회동하는 총기관리장치.
A plurality of pistol storage modul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one directio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andgun storage module; And
And a pane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andgun storage module and the controller,
The handgun storage module
A pair of frame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cap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cas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frame;
A door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any one of the frames;
A first locking device disposed in the other of the frames to lock or unlock the door; And
And a cradle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frames,
Wherein the cap and the case are assembled to the frame by a fixing member,
Wherein the cradle includes a cradle main body in which a handgun is received, a rotation axis disposed in the cradle main bod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and a guide portion disposed in the cradl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frame body, a third hole formed in the frame body with an arc-shaped slot, and a fourth hole formed in the frame body,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is guided to the third hole,
The rotation shaf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ourth hole,
Wherei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radle is guided along the third hole by its own weight to pivot for rotation or retraction of the pisto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생체인증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잠금장치를 잠금 해제하는 총기관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ler unlocks the first locking device through a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탄약 보관박스;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잠금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가 통신망을 통해 잠금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키를 인식하고, 잠금을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제1 잠금장치 또는 상기 제2 잠금장치에서 송출하여 상기 제1 잠금장치 또는 상기 제2 잠금장치를 잠금해제하는 총기관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ase
housing;
An ammunition storage box coupled to th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A second locking devic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nd a recognition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recognizing unit recognizes the digital key that received the approval signal including the unlocking information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 signal for unlocking from the first locking device or the second locking device, And the second lock device is unlocked.
차량의 트렁크에 설치되는 권총보관모듈에 있어서,
상기 권총보관모듈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캡;
상기 프레임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1 잠금장치;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잠금장치의 잠금해제에 의해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시, 권총의 수납 또는 수납 해제를 위해 상기 거치대는 회동하고,
상기 케이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탄약을 보관하는 탄약 보관박스;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탄약 보관박스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제2 잠금장치;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식부를 포함하며,
총기관리시스템에 의해 신호를 받는 단말기를 통해 상기 권총 또는 상기 탄약을 반출할 수 있는 승인신호를 수신한 디지털 키를 상기 인식부가 인식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제1 잠금장치 또는 상기 제2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제1 잠금장치 또는 상기 제2 잠금장치를 잠금 해제시키는 권총보관모듈.
A handgun storage module installed in a trunk of a vehicle,
The handgun storage module
A pair of frames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ap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cas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frame;
A door rotatably disposed on one side of any one of the frames;
A first locking device disposed in the other of the frames to lock or unlock the door; And
And a cradle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frames,
When the door is opened by the unlocking of the first locking device, the cradle rotates to store or un-store the pistol,
The case
housing;
An ammunition storage box slidingly coupled to the housing for storing ammunition;
A second locking device disposed in the housing to lock or unlock the ammunition storage box; And
And a recognition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When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a digital key that receives an approval signal capable of carrying out the handgun or the ammunition through a terminal receiving a signal by the gun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recognition unit transmits a signal for unlocking the first locking device or the second locking device to unlock the first locking device or the second locking device.
KR1020180060496A 2018-04-26 2018-05-28 Handgun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e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9948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496A KR101994872B1 (en) 2018-05-28 2018-05-28 Handgun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e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PCT/KR2019/004947 WO2019209023A1 (en) 2018-04-26 2019-04-24 Assembled firearm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ing device comprising same
ZA2020/07223A ZA202007223B (en) 2018-04-26 2020-11-19 Assembled firearm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ing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496A KR101994872B1 (en) 2018-05-28 2018-05-28 Handgun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e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872B1 true KR101994872B1 (en) 2019-07-01

Family

ID=6725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496A KR101994872B1 (en) 2018-04-26 2018-05-28 Handgun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e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8073A (en) * 2021-12-30 2022-04-08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Portable gun code recognition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468A (en) * 2001-08-16 2003-02-25 Sun Wave Ind Co Ltd Structure for reinforcing bottom board in metallic cabinet
JP2006334249A (en) * 2005-06-03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Kitchen cabinet
JP2007141836A (en) * 2005-11-14 2007-06-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Cable assembly
US20070278912A1 (en) * 2004-03-25 2007-12-06 Spacesaver Corporation Locking door system for a storage cabinet
KR20100110468A (en) * 2009-04-03 2010-10-13 한국전기통신(주) Management system for weapon warehouse
CN202117472U (en) * 2011-05-06 2012-01-18 东莞市恒明光电科技有限公司 Gun cabinet capable of storing long-barreled guns and short-barreled guns
KR101567032B1 (en) * 2014-09-01 2015-11-06 전기순 Storage closet
KR20160133297A (en) * 2015-05-12 2016-11-22 중소기업은행 A firearm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468A (en) * 2001-08-16 2003-02-25 Sun Wave Ind Co Ltd Structure for reinforcing bottom board in metallic cabinet
US20070278912A1 (en) * 2004-03-25 2007-12-06 Spacesaver Corporation Locking door system for a storage cabinet
JP2006334249A (en) * 2005-06-03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Kitchen cabinet
JP2007141836A (en) * 2005-11-14 2007-06-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Cable assembly
KR20100110468A (en) * 2009-04-03 2010-10-13 한국전기통신(주) Management system for weapon warehouse
CN202117472U (en) * 2011-05-06 2012-01-18 东莞市恒明光电科技有限公司 Gun cabinet capable of storing long-barreled guns and short-barreled guns
KR101567032B1 (en) * 2014-09-01 2015-11-06 전기순 Storage closet
KR20160133297A (en) * 2015-05-12 2016-11-22 중소기업은행 A firearm managemen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8073A (en) * 2021-12-30 2022-04-08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Portable gun code recognition device
CN114298073B (en) * 2021-12-30 2023-09-08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Portable gun code recogni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0099B2 (en) Electronic cam lock for cabinet doors, drawers and other applications
CA2729544C (en) Electronic door lock with modular components
US96639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 electronic lock
US9273492B2 (en) Electronic cam lock for cabinet doors, drawers and other applications
EP3276108B1 (en) Electronic lock for cabinet doors, drawers and other applications
US99368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ofitting coin-operated lockers
EP3782503B1 (en) Electronic key storage case
US9481312B2 (en) Weapon lock apparatus
US6843409B2 (en) Media container module
CN109891040B (en) Locking system for a door
US10814833B1 (en) Anti-theft license plate display and secure storage system
KR101994872B1 (en) Handgun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e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90195994A1 (en) Access self-service terminal
KR102134317B1 (en) Prefabricated firearm storage module and firearm manage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554722B1 (en) Mountable rapid access vehicular gun case
US10791830B2 (en) Gun holder
WO2011156689A1 (en) An electronic locking system with lock mechanism, key handle, and identification element
US11842587B1 (en) System, comprising a lock unit for a cabinet and at least one portable user terminal
CN216886501U (en) Storage box structure and moving body having the same
AU2009215973B2 (en) Intelligent firearm locking device
KR20220102455A (en) Guns management method
WO2015160847A1 (en) Electronic cam lock for cabinet doors, drawers and other applications
EP3263810B1 (en) History management system of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WO2023163583A1 (en) A secured storage unit
JP2014043741A (en) Antitheft device, and lock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