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848B1 - Manual side bolster apparatus - Google Patents

Manual side bolste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848B1
KR101994848B1 KR1020180069578A KR20180069578A KR101994848B1 KR 101994848 B1 KR101994848 B1 KR 101994848B1 KR 1020180069578 A KR1020180069578 A KR 1020180069578A KR 20180069578 A KR20180069578 A KR 20180069578A KR 101994848 B1 KR101994848 B1 KR 10199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ster
coupled
seat
bracket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수
서강석
황인창
김동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18006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60N2/99Side-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de bolster device which manually drives as a passenger sits on a seat. The side bolster device minimizes installation space and stably supports the passe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bolster device includes: a main frame individu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a seatback of a seat frame as both ends of the main frame are extended; a driving unit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at fram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o slide; and a bolster unit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and formed to push the rear side of bolsters toward both sides or to pull the rear side of the bolsters in accordance with a sliding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center of the bolsters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eatback through a pin by a hinge. The one end and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reciprocate as the passenger sits on the seat frame or the passenger leaves from the seat frame. The bolsters are elastically returned to their initial position or are moved toward the passenger.

Description

메뉴얼 사이드 볼스터 장치{MANUAL SIDE BOLSTER APPARATUS}{MANUAL SIDE BOLSTER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사이드 볼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의 착석에 의해 구동하여 탑승자의 몸체를 압박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ide bolst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de bolster device that is driven by a seat occupant and urges the body of a passenger.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description set forth in this identification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prior art as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sec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시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head rest), 시트백(seat back) 및 시트쿠션(seat cushion)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 탑승자가 목적지까지 안락하게 운전하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Background Art [0002] Automobile seats generally provide an environment suitable for a passenger to comfortably drive to a destination through various devices including a headrest, a seat back and a seat cushion mounted on a seat frame.

시트쿠션 및 시트백에는 전면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탑승자를 지지하는 볼스터들이 형성되며, 탑승자의 제어 또는 차량의 자체 제어를 통해 제어되어 편안하게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한다.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back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formed with bolsters for supporting the occupant, and ar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occupant or the self-control of the vehicle to comfortably support the body of the occupant.

그러나 전동식 사이드 볼스터의 경우 탑승자의 제어를 통해 볼스터들의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제조비용 및 중량이 높고, 시트에 결합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자체의 부피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lectric side bolster, it is advantageous that the bolsters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occupant, but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are high, and the volume of the side bolster device itself coupled to the seat is increased.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5413호는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4066호는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25413 discloses a seat side bolster device for a vehicle,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64066 discloses a seat side bolster unit for a vehicle.

그러나 기존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 관련 기술들은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켜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However, the existing side bolster device related technologies do not disclose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side bolster device and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탑승자의 시트 착석을 통해 수동으로 구동하고,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며,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 side bolster device which is manually driven through seat occupancy of a passenger, minimizes an installation space, and stably supports the passeng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Further,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양단이 연장되어 시트프레임의 시트백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타단과 탄성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타단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시트백의 양측에 중앙부가 핀을 통해 힌지 결합된 볼스터들의 후방을 양측을 향해 밀거나 당기도록 형성되는 볼스터부를 포함하고, 탑승자의 상기 시트프레임의 착석 또는 이탈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일단 및 타단이 왕복 이동하고, 상기 볼스터들은 탑승자를 향해 이동하거나 원위치로 탄성 복귀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 side bolster device includes a main frame extending at both ends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at back of the seat frame, one end being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frame and the other end being slidab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seat back is hinged to the both sides of the seat back according to a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portion to push or pull the rear of the bolsters toward both sides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portion are reciprocated by seating or disengagement of the seat frame of the occupant, and the bolsters move toward the occupant or resiliently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좌석에 해당하는 시트바텀의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들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시트백의 하단 전방을 지나 상기 볼스터부와 결합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plate coupled at one end to a spring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 bottom corresponding to the seat frame of the seat frame and extending at the other end toward the rear of the seat frame,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bolster portion.

또한, 상기 볼스터부는 탑승자가 착석하면, 상기 구동부의 타단과 기어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볼스터브라켓들이 서로 이격되며 상기 핀의 후방에 위치한 볼스터들의 후방을 밀어내고, 탑승자가 상기 시트프레임에서 이탈하면 상기 구동부 타단의 탄성 복귀 및 상기 시트프레임 하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볼스터브라켓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며 상기 볼스터들의 후방을 당길 수 있다. When the occupant is seated, the bolster part is gear-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part, and the bolster bracket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so as to be slidab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pushing the back of the bolsters located at the rear of the pin, When the occupant separates from the seat frame, the bolster brackets are moved toward each other by elastic resilience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and elasticit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frame, and the rear of the bolsters can be pulled.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부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는 쿠션브라켓 및 일단은 상기 쿠션브라켓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시트백 전방을 지나 상부를 향해 와이어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볼스터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cushion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frame in a plate form, one end coupled to the rear of the cushion bracke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wire- And a connecting unit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볼스터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되고, 상기 연결유닛의 타단과 결합되는 기어브라켓, 일단은 상기 기어브라켓에 형성된 랙기어와 기어 연결되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을 관통하여 전방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기어핀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기어핀의 타단 상부 및 하부 각각과 기어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볼스터들 각각의 후방에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볼스터브라켓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lster portion is tightly coupled to the main frame so as to be slidable upward or downward,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The gear bracket has a first end connected to a rack gear formed on the gear bracket,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is gear-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and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is separated from the main pin and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And bolster brackets coupled to the bolsters and hinged to the rear of each of the bolsters.

또한, 상기 볼스터부는 일단은 상기 기어브라켓의 하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lster part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ear bracke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upper part and coupled to a protrusion formed on the rear of the main fr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면 볼스터들이 자동으로 구동하므로 중량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the side bolster device is advantageous in that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are reduced because the bolsters are automatically driven when the occupant sits on the seat through a mechanical connection.

또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시트프레임에 결합되는 부품들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시트프레임과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결합되어 시트 자체의 컴팩트한 디자인이 가능하고 정비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ide bolster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the parts coupled to the seat frame ar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and are easily combined with the seat frame so that the seat can be compactly designed and the maintenance is easy.

또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또는 발전기와 연결을 위한 케이블 설치의 필요가 없어 시트 자체의 탈부착이 용이하므로 시트 및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정비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de bolster device is not required to install a cable for connection to a battery or a generator in a vehicle, it is easy to detach and attach the seat itself, thereby improving the maintenance of the seat and the side bolster.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obviously exerted by the constitution of contents described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the inventor perceives it, the effect described above is only som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Should not be recognized.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Furthe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further by the entir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stated in an explicit sentence,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written description belongs, It should be seen as an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및 2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 장치들의 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볼스터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볼스터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들.
도 7은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측면도.
Figure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side bolster arrangement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teachings herei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bolster assembly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lster portion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bolster portion of FIG. 1;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riving of the side bolster assembly of FIG.
Figure 8 is a side view of a side bolster arrangemen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teachings here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are omitted.

도 1 및 2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 장치들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Figures 1 and 2 illustrate perspective views of side bolster arrangement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teachings herein. Figure 3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bolster arrangement of Figure 1;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볼스터 장치(100)는 메인프레임(200), 구동부(300) 및 볼스터부(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ide bolster assembly 100 includes a main frame 200, a driving part 300, and a bolster part 400.

사이드 볼스터 장치(100)는 기존의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볼스터 장치와 달리 탑승자의 시트의 착석에 의해 기계적으로 볼스터들을 작동시켜 탑승자의 신체의 양측을 지지하는 장치이다.The side bolster device 100 is a device that mechanically actuates bolsters by seating a seat of an occupant to support both sides of a passenger's body unlike a conventional electrically driven bolster device.

메인프레임(200)은 시트프레임(10)의 시트백(15)에 배치되고, 양단이 시트백(15)의 양측을 향해 연장되며 시트백(15)의 양측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어 사이드 볼스터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The main frame 200 is disposed on the seat back 15 of the seat frame 10 and both ends extend toward both sides of the seat back 15 and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both side frames of the seat back 15, Stable support.

구동부(300)의 일단은 시트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시트바텀(12)을 구성하는 스프링(13) 및 연결판(14)들의 저면과 플레이트 형태로 밀착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백(15)의 후방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메인프레임(200)과 결합된다.One end of the driving unit 30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frame 10 and tightly coupl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pring 13 and the connecting plate 14 constituting the seat bottom 12 in the form of a plate, And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200.

볼스터부(400)는 구동부(300)의 타단과 탄성 결합되고, 구동부(300)의 타단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따라 시트백(15)의 양측 프레임에 중앙부가 핀(5)을 통해 힌지 결합된 볼스터들의 전방부를 서로를 향해 당기거나 이격시킨다.The bolster part 400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part 300 and the center part of the bolster is hinged to the both side frames of the seatback 15 through the pin 5 accor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part 300 The front part is pulled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구체적으로, 메인프레임(200)은 돌출부(220, 222)들을 포함한다.Specifically, main frame 200 includes protrusions 220, 222.

메인프레임(200)의 일단은 시트백(15)의 일측 프레임의 배면과 밀착하며 시트백(15)과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백(15)의 타측 프레임의 배면과 밀착하며 시트백(15)과 결합된다.One end of the main frame 200 closely contacts the back surface of one frame of the seat back 15 and is engaged with the seat back 15 and th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other frame of the seat back 15 and is engaged with the seat back 15.

메인프레임(200)의 양단 상부 및 하부 일부분은 전방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볼스터부(400)의 일부는 메인프레임(200)의 상단 및 하단의 절곡된 부분들 사이에서 양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200)과 결합된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main frame 200 are formed to be bent forward and a part of the bolster portion 400 is slidably moved toward both sides between the bent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frame 200 And is coupled to the mainframe 200 to be enabled.

돌출부(220, 222)들 각각은 메인프레임(200)의 중앙부에서 메인프레임(200)의 양단에 비해 하부 및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끝단 일부분은 후방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Each of the projections 220 and 222 is form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200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o bend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thereof toward the rear in comparison with both ends of the main frame 200.

구동부(300)는 쿠션브라켓(320) 및 연결유닛(340)을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300 includes a cushion bracket 320 and a connection unit 340.

쿠션브라켓(320)의 일단은 전후방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된 스프링(13) 및 스프링(13)들을 연결하는 연결판(14)의 저면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상부를 향해 절곡된다.One end of the cushion bracket 320 is coupled in a plate form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14 connecting the springs 13 and the springs 13 extending in zigzag form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n bent toward the top.

쿠션브라켓(320)은 탑승자가 시트바텀(12)에 착석한 경우 하부를 향해 이동하고, 탑승자가 시트바텀(12)에서 이탈하여 스프링(13)들 및 연결판(14)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함께 상부를 향해 이동한다.The cushion bracket 320 moves downward when the occupant sits on the seat bottom 12 and when the occupant is released from the seat bottom 12 and the springs 13 and the connecting plate 14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moves toward the upper part.

쿠션브라켓(320)은 연장방향을 따라 상부를 향해 오목하게 돌출된 상태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는 보강부들이 서로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들을 통해 쿠션브라켓(320)이 하강 또는 상승하는 과정에서 쿠션브라켓(320)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cushion bracket 320 is formed such that the reinforcing portions extending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cushion bracket 3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cushion bracket 320 protruding concavely toward the upper sid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 cushion bracket 320 is prevented from being bent or deformed.

연결유닛(340)의 일단은 쿠션브라켓(32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볼스터부(400)의 중앙부와 결합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34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ushion bracket 320 and the other end extends upward to be coupled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lster portion 400.

구체적으로, 연결유닛(340)은 와이어(342) 및 상기 와이어를 둘러싸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342)는 쿠션브라켓(320)의 하강 또는 상승 구동에 의해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하강하거나 상부를 향해 이동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unit 340 is composed of a wire 342 and a cover surrounding the wire, and the wire 342 is lowered or raised by the cushion bracket 320 in the inside of the cover, .

한편, 연결유닛(340)의 일단은 시트백(15)의 하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고, 시트백(15)의 하부 전방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볼스터부(400)와 결합되어 시트백(15)의 틸팅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340 is coupled with a separate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back 15 to guid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wire and extend from the lower fro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back 15, 400 to minimize interference due to the tilting of the seatback 15. [

볼스터부(400)는 기어브라켓(410), 기어핀(420), 스프링(430, 435)들, 제1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0, 445)들, 제1 및 제2 볼스터(450, 460)들, 연결브라켓(455, 465)들 및 메인브라켓(480)을 포함한다.The bolster portion 400 includes a gear bracket 410, a gear pin 420, springs 430 and 435,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440 and 445, first and second bolsters 450 and 460 Connecting brackets 455 and 465, and a main bracket 480. The connecting brackets 455,

기어브라켓(410)은 메인프레임(200)의 중앙부 배면의 돌출부(220, 222)들 사이에서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단 일부는 후방을 향해 절곡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The gear bracket 41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frame 200 so as to be slidable between the protrusions 220 and 222 of the central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0. The lower portion of the gear bracket 410 is formed as a plate .

기어브라켓(410)의 중앙에는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홈의 일측에 해당하는 기어브라켓(410)의 내측면은 후술될 기어브라켓(410)의 일단과 맞물리도록 상하부로 연장된 랙기어 형태로 형성된다.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gear bracket 410, which corresponds to one side of the sliding groove,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ear bracket 410 so as to be engaged with one end of the gear bracket 410 And is formed in an extended rack gear shape.

기어브라켓(410)의 하단의 절곡된 부분은 연결유닛(340)의 타단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고, 쿠션브라켓(320)의 하강 또는 상승 구동을 통해 돌출부(220)를 향해 하강하거나 돌출부(222)를 향해 이동한다.The bent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gear bracket 410 is engaged with the wire protruding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340 and is lowered toward the protrusion 220 through the lowering or raising drive of the cushion bracket 320 Or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222.

기어핀(420)은 일단은 기어브라켓(410)의 배면과 밀착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의 일부분은 상기 슬라이딩 홈을 관통하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기어브라켓(410)의 내측면과 기어 결합된다.One end of the gear pin 4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that closely contacts the back surface of the gear bracket 410 and a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gear pin 420 extends through the sliding groove and is forwardly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ear bracket 410 .

기어핀(420)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홈을 지나 메인프레임(200)을 관통하여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 돌출되고, 제1 볼스터브라켓(440)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5)의 일단과 맞물리며, 회전 구동을 통해 제1 볼스터브라켓(440)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5)을 이격시키거나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시킨다.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420 passes through the sliding groove and protrudes i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200 through the main frame 200.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4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bolster bracket 440 and the second bolster bracket 445, And moves the first bolster bracket 440 and the second bolster bracket 445 apart or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rotation driving.

따라서, 기어브라켓(410)이 하강하여 기어핀(420)이 정회전을 하면 제1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0, 445)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하고, 기어브라켓(410)이 원위치로 상승하여 기어핀(420)이 역회전하면 제1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0, 445)들은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한다.Accordingly, when the gear bracket 410 is lowered and the gear pin 42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440 and 445 are mov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pin 42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440 and 445 move adjacent to each other.

한편, 기어핀(420)의 타단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메인프레임(200)의 내측면에는 메인프레임(200)의 내측면, 전면 및 배면 일부를 링 형태로 둘러싸는 형태의 회동유닛이 형성되어 기어핀(42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고, 기어핀(4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200 having the holes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420 is formed, a rotating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ng-shaped inner side surface, a front surface and a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frame 200 The rotation of the gear pin 420 is made smooth and the position of the gear pin 420 is stably fixed.

스프링(430, 435)들 각각의 일단은 기어브라켓(410)의 하단에 서로 양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돌출부(222)의 절곡된 부분에 결합된다.One end of each of the springs 430 and 435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ear bracket 4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extends toward the upper end and is coupled to the bent portion of the protrusion 222.

따라서, 사이드 볼스터 장치(100)는 스프링(430, 435)들을 통해 기어브라켓(410)을 상부를 향해 당기는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시트바텀(12)이 장시간 사용에 의해 하부를 향해 쳐진 상태에서도 기어브라켓(41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Therefore, since the side bolster device 100 has an elastic force to pull the gear bracket 410 upward through the springs 430 and 435, even when the seat bottom 12 is stuck to the lower portion due to use for a long time, (410) from descending.

또한, 스프링(430, 435)들은 탑승자의 착석으로 기어브라켓(410)이 과도하게 하강하여 제1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0, 445)들이 과도하게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부(220)는 기어브라켓(410)이 메인프레임(20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prings 430 and 435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440 and 445 from being excessively moved away from each other by excessively lowering the gear bracket 410 due to seating of the passenger, Thereby preventing the gear bracket 410 from separating from the main frame 200. [

제1 볼스터브라켓(440)은 메인프레임(200)의 타측 전면에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 볼스터브라켓(445)은 메인프레임(200)의 일측 전면에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first bolster bracket 440 is slid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200 and the second bolster bracket 445 is slidable on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main frame 200 .

구체적으로, 제1 볼스터브라켓(440)의 일단은 기어핀(420)의 타단 상부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제1 볼스터(450)를 향해 연장되어 핀(20)을 통해 제1 볼스터(450)의 일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Specifically, one end of the first bolster bracket 440 is gear-engaged wit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420,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ward the first bolster 450, 1 bolster (450).

제2 볼스터브라켓(445)의 일단은 기어핀(420)의 타단 하부의 외측면과 기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제2 볼스터(460)를 향해 연장되어 핀(20)을 통해 제2 볼스터(460)의 일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One end of the second bolster bracket 445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420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ward the second bolster 460, 460) so as to be rotatable.

제1 볼스터(450)의 일단은 핀(20)을 통해 제1 볼스터브라켓(440)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 외측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배면 중앙부는 연결브라켓(455)을 통해 시트백(15)의 타측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One end of the first bolster 450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lster bracket 440 through the pin 20 and the other end extends in a plate shape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rear cent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racket 455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other side of the seat back 15.

제2 볼스터(460)의 일단은 핀(20)을 통해 제2 볼스터브라켓(445)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 외측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배면 중앙부는 연결브라켓(465)을 통해 시트백(15)의 일측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One end of the second bolster 460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lster bracket 445 through the pin 20 and the other end extends in the form of a plate toward the front outside, So as to be rotatable with one side of the seat back 15.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바텀(12)에 착석하여 기어브라켓(410)이 하강하면, 기어핀(420)이 정회전하고, 제1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0, 445)들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볼스터(450, 460)들 각각의 타단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킨다.Therefore, when the occupant sits on the seat bottom 12 and the gear bracket 410 is lowered, the gear pin 420 rot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440 and 445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olsters 450 and 460 are moved toward each other.

또한, 탑승자가 시트바텀(12)에서 이탈하여 기어브라켓(410)이 상승하면, 기어핀(420)이 역회전하고, 제1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0, 445)들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볼스터(450, 460)들 각각의 타단을 시트백(15)의 외측을 향해 이동시킨다.When the occupant moves away from the seat bottom 12 and the gear bracket 410 rises, the gear pin 420 rotates reversely and the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440 and 445 move toward each other, 1 and the second bolsters 450 and 460 toward the outside of the seatback 15. [

메인브라켓(480)은 전방을 향해 돌출된 기어핀(420)의 타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절곡되어 돌출부(222, 220)들 각각의 전면과 결합된다.The main bracket 480 is formed to surround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420 protruding forward,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racket 480 are bent backward and engaged with the front surfaces of the protrusions 222 and 220, respectively.

메인브라켓(480)의 전방에는 기어핀(420)의 타단을 둘러싸며 밀착되고, 기어핀(420)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원형의 회동브라켓이 기어핀(420)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기어핀(420)이 기어브라켓(4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A circular rotating bracke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420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gear pin 42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racket 480 in such a manner that the gear pin 420 can rotate And prevents the gear pin 420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gear bracket 410.

도 4는 도 1의 볼스터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볼스터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을 도시한다.Fig.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lster portion of Fig. 1; Figure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1;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bolster part of Fig. 1; Figure 7 shows front views depicting the driving of the side bolster arrangement of Figure 1;

도 4 내지 7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스터브라켓(440)의 일단 저면은 랙기어 형태로 형성되고, 기어핀(420)의 타단 상부는 제1 볼스터브라켓(440)의 일단 저면과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형태로 형성된다.4 to 7,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lster bracket 4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ack gear, and the upp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420 is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lster bracket 440 The stit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pinion gear.

제2 볼스터브라켓(445)의 일단 상부면은 랙기어 형태로 형성되고, 기어핀(420)의 타단 하부는 제2 볼스터브라켓(445)의 일단 상부면과 맞물려 제1 볼스터브라켓(440)과 함께 기어핀(42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기어핀(420)의 회전에 따라 양측으로 이동한다.One end of the second bolster bracket 445 is formed in the form of a rack gear and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420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second bolster bracket 445, The position of the gear pin 420 is fixed, and the gear pin 420 is moved to both sid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gear pin 420.

제1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0, 445)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 일부분은 전방을 향해 절곡되고 메인프레임(200)의 상단 및 하단의 절곡된 부분과 밀착되어 제1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0, 445)들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440 and 445 are bent forwar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frame 200 to form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440 , And 445 are capable of stable sliding movemen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455)의 일단은 시트백(15)의 타측 프레임과 밀착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백(15)의 타측 프레임을 따라 연결브라켓(465)을 향해 절곡된 후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시트백(15)과 밀착된다.6, one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455 is tightly coupled with the other frame of the seatback 15 and the other end is bent toward the connection bracket 465 along the other frame of the seatback 15,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t back 15.

연결브라켓(455)의 타단 전면은 제1 볼스터브라켓(440)의 타단 배면과 밀착되고, 제1 볼스터브라켓(440)은 연결브라켓(455)의 타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The other end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45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first bolster bracket 440 and the first bolster bracket 440 is slidable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455.

연결브라켓(455)의 일단은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된 핀(5)을 통해 제1 볼스터(450)의 중앙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볼스터(450)의 타단은 제1 볼스터브라켓(440)의 이동 방향에 따라 핀(5)을 축으로 제2 볼스터(460)를 향해 이동하거나 시트백(15)의 타측을 향해 이동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455 is rotatably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lster 450 through a pin 5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lster 450 is coupled to the first bolster bracket 455, The pin 5 is moved toward the second bolster 460 in the axial direction or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atback 15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at back 440.

연결브라켓(465)의 일단은 시트백(15)의 일측 프레임과 밀착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백(15)의 일측 프레임을 따라 연결브라켓(455)을 향해 절곡된 후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시트백(15)과 밀착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465 is tightly engaged with one frame of the seatback 15 and the other end is bent toward the connection bracket 455 along one frame of the seatback 15, .

연결브라켓(465)의 타단 전면은 제2 볼스터브라켓(445)의 타단 배면과 밀착되고, 제2 볼스터브라켓(445)은 연결브라켓(465)의 타단과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46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lster bracket 445 and the second bolster bracket 445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465.

연결브라켓(465)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핀(5)을 통해 제2 볼스터(460)의 중앙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 볼스터(460)의 타단은 제2 볼스터브라켓(445)의 이동방향에 따라 핀(5)을 축으로 제1 볼스터(450)를 향해 이동하거나 시트백(15)의 타측을 향해 이동한다.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lster 460 is coupled to the second bolster bracket 445 through the pin 5 exten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olster 460, The pin 5 is moved toward the first bolster 450 along the axis or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atback 15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at back 1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시트 착석을 통해 연결유닛(340)이 하강하면 기어핀(420)이 정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0, 445)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7, when the connecting unit 340 is lowered through seat seating of the occupant, the gear pin 420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440 and 44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ove.

이 경우 제1 및 제2 볼스터브라켓(440, 445)들 각각의 타단은 제1 및 제2 볼스터(450, 460)들 각각의 일단을 밀어내고, 제1 및 제2 볼스터(450, 460)들 각각의 타단은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몸체 양측을 압박한다.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440 and 445 pushes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lsters 450 and 460 and the first and second bolsters 450 and 460 Each of the other ends presses both sides of the occupant seated on the seat.

쿠션브라켓(320)은 탑승자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하강하는 거리가 증가하므로, 제1 및 제2 볼스터(450, 460)가 탑승자의 몸체를 압박하는 힘이 증가하여 중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As the weight of the occupant increases, the cushion bracket 320 descends and the str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bolsters 450 and 460 pushing the body of the occupant increases so that the occupant with a relatively high weight can be stably There is an advantage to support.

또한, 스프링(430, 435)들은 쿠션브라켓(320)의 급격한 하강으로 제1 및 제2 볼스터(450, 460)들이 과도하고 급격하게 탑승자의 몸체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하며, 탑승자가 시트바텀(12)에서 이탈한 경우 신속하게 기어브라켓(410)을 당겨 탑승자를 압박하는 제1 및 제2 볼스터(450, 460)들이 탑승자와 분리되는 장점이 있다.The springs 430 and 435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bolsters 450 and 460 from excessively and suddenly pressing the body of the occupant due to the abrupt fall of the cushion bracket 320, The first and second bolsters 450 and 460 that pull the gear bracket 410 quickly to urge the passenger are separated from the occupant.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8 shows a side view of a side bolster arran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teachings herein.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 장치(120)는 무선전력전송장치(6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7들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The side bolster devic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ide bolster device 100 of FIGS. 1 to 7 excep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600, so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are used, Is omitt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볼스터 장치(120)는 도 1의 구동부(300) 대신에 무선전력전송장치(60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side bolster device 120 further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600 instead of the driving unit 300 of FIG.

무선전력전송장치(600)는 시트바텀(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시트프레임(10)에 결합되는 전자장비에 차량의 배터리 또는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시키는 장점이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600 is advantageous in that it wirelessly transmits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or a generator of a vehicle to electronic equipmen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 bottom 12 and coupled to the seat frame 10. [

구체적으로, 무선전력전송장치(600)는 전력송신부(620), 전력수신부(640) 및 연결유닛(65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600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620, a power reception unit 640, and a connection unit 650.

전력송신부(620)는 전력송신기(622) 및 송신코일(624)을 포함한다.The power transmitter 620 includes a power transmitter 622 and a transmit coil 624.

전력송신부(620)는 차량 내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무선으로 전력수신부(640)를 향해 전송하고, 전력수신부(64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시트에 설치된 전자장비들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power transmitting unit 62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inside the vehicle and transmits power wirelessly to the power receiving unit 640. The power receiving unit 640 receives power wirelessly and supplies power to electronic equipment installed on the seat .

전력송신기(62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프레임에 결합되고, 송신코일(624)은 전력송신기(622)의 상부에 결합되며, 차량의 전원을 무선 송신이 가능한 형태로 전환시켜 송신코일(624)을 통해 상부를 향해 전력을 전송한다.The power transmitter 6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and coupled to the frame of the vehicle and the transmission coil 624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power transmitter 622 and converts the vehicle's power supply into a radio- 624 to the upper side.

전력수신부(640)는 전력수신기(642) 및 수신코일(644)을 포함한다.The power receiving unit 640 includes a power receiver 642 and a receiving coil 644.

전력수신기(64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시트바텀(12)의 하부에 결합되며, 수신코일(644)은 전력수신기(642)의 저면에 결합되어 전력송신부(620)에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한다.The power receiver 642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at bottom 12 and the receiving coil 644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power receiver 642 to receiv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tter 620 .

연결유닛(650)의 일단은 전력수신기(642)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프레임(10)을 따라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볼스터부(400)와 결합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65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power receiver 642 and the other end extends a predetermined distance rearward along the seat frame 10 and then extends upward to be coupled with the bolster portion 400 do.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바텀(12)에 착석하면 전력수신기(642) 및 연결유닛(650)의 타단이 하강하고, 제1 및 제2 볼스터(450, 460)들의 타단은 탑승자의 몸체를 향해 이동한다.Therefore, when the occupant sits on the seat bottom 12, the other end of the power receiver 642 and the connecting unit 650 desc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olsters 450 and 460 moves toward the occupant's body .

이를 통해 사이드 볼스터 장치(120)는 전력수신기(642)를 통해 무선으로 시트에 설치된 전자장비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면서 전력수신기(642)의 상하 구동으로 제1 및 제2 볼스터(450, 460)들의 구동이 가능하여 무선으로 시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부품의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side bolster device 120 can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electronic equipment installed on the seat wirelessly via the power receiver 642 while the power receiver 642 is driven up and down by the first and second bolsters 450 and 46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seat wirelessly.

또한, 무선으로 시트에 전력공급이 가능하여 케이블이 불필요하므로 시트 및 사이드 볼스터 장치(120)의 정비성이 개선되고, 시트 자체에 설치되는 전자장비의 다양한 종류의 옵션 설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seat wirelessly, no cable is required, the maintenance performance of the seat and side bolster device 120 is improved, and various options of electronic equipment installed in the seat itself can be set.

한편, 차량의 종류에 따라 시트 바텀(12)의 경사도가 달라질 수 있고, 탑승자의 탑승에 따라 시트 바텀(12)이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시트바텀(12)에 착석하면 전력수신기(642)의 전방 또는 후방은 송신코일(624)과 수평을 이루도록 전방 또는 후방이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ccupant sits on the seat bottom 12, the electric power receiver 642 can be operated when the occupant is seated on the seat bottom 12 because the inclination of the seat bottom 12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The front or rear of the transmission coil 624 may be inclined forward or backward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coil 624.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os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이드 볼스터 장치 200: 메인프레임
300: 구동부 400: 볼스터부
100: side bolster device 200: main frame
300: driving part 400: bolster part

Claims (6)

양단이 연장되어 시트프레임의 시트백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타단과 탄성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타단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시트백의 양측에 중앙부가 핀을 통해 힌지 결합된 볼스터들의 후방을 양측을 향해 밀거나 당기도록 형성되는 볼스터부;를 포함하고,
탑승자의 상기 시트프레임의 착석 또는 이탈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일단 및 타단이 왕복 이동하고, 상기 볼스터들은 탑승자를 향해 이동하거나 원위치로 탄성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A main frame extending at both ends and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at back of the seat frame;
A driving unit coupled at one e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frame and at the other end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main frame; And
And a bolster portion elastic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push or pull the rear portion of the bolsters hinged at the center through the pin on both sides of the seat back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portion toward both sides and,
Wherei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portion reciprocate by seating or disengagement of the seat frame of a passenger, and the bolsters move toward the occupant or resiliently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좌석에 해당하는 시트바텀의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들을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볼스터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bolster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bolster is coupled to the bolster portion of the seat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부는,
탑승자가 착석하면, 상기 구동부의 타단과 기어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부분들이 서로 이격되며 상기 핀의 후방에 위치한 볼스터들의 일부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when the occupant is seated, the part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so as to be slidable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ush out part of the bolsters located at the rear of the pi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부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는 쿠션브라켓; 및
일단은 상기 쿠션브라켓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시트백 전방을 지나 상부를 향해 와이어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볼스터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cushion bracke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at frame in a plate form; And
And a connecting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ushion bracket at one end and extends in the form of a wire toward an upper portion of the seat frame through a front portion of the seat back of the seat frame to be engaged with the bolster portion.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밀착되고, 상기 연결유닛의 타단과 결합되는 기어브라켓;
일단은 상기 기어브라켓과 기어 연결되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을 관통하여 전방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기어핀;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기어핀의 타단 상부 및 하부 각각과 기어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볼스터들 각각의 후방에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볼스터브라켓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4,
A gear bracke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frame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A gear pin having a first end coupled to the gear bracket and coupled to the main frame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forwardly through the main frame; And
And bolster brackets each having one end gear-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ther end of the gear pin, and the other ends extending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inged to the rear of each of the bolsters.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부는,
일단은 상기 기어브라켓의 하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ear bracke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an upper portion and coupled to a protrusion formed on the rear of the main frame.














KR1020180069578A 2018-06-18 2018-06-18 Manual side bolster apparatus KR1019948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78A KR101994848B1 (en) 2018-06-18 2018-06-18 Manual side bolste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78A KR101994848B1 (en) 2018-06-18 2018-06-18 Manual side bolster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848B1 true KR101994848B1 (en) 2019-07-01

Family

ID=6725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578A KR101994848B1 (en) 2018-06-18 2018-06-18 Manual side bolste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4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537A (en) * 2003-09-15 2005-03-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ontrol device of side bolster in a car seat
KR101326491B1 (en) * 2008-12-01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ide bolster of seat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25887B1 (en) * 2013-07-04 2014-08-05 현대다이모스(주) Side bolster apparatus of seat back for vehicle
KR101725413B1 (en) * 2015-12-24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537A (en) * 2003-09-15 2005-03-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ontrol device of side bolster in a car seat
KR101326491B1 (en) * 2008-12-01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ide bolster of seat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25887B1 (en) * 2013-07-04 2014-08-05 현대다이모스(주) Side bolster apparatus of seat back for vehicle
KR101725413B1 (en) * 2015-12-24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CN107303828B (en) Vehicle seat electric connector support assembly
US7407231B2 (en) Vehicle seat with a headrest and headrest adjustment assembly
EP1728677B1 (en) A seat assembly provided with a tip-down backrest for a motor vehicle
US20060226683A1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with extensive configurability
CN112009333A (en) Waist support assembly
CN107962986B (en) Power lift and recliner release/fold device
US11338715B2 (en) Shape memory alloy latch release mechanism for vehicle head restraint
EP2261075B1 (en) Cushion mat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seat
KR101725413B1 (en)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KR20230020154A (en) Seat for vehicle
KR101594769B1 (en) Height-adjustabl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with a height-adjustable head restraint
KR102057461B1 (en) Lumbar support assembly
KR20230020153A (en) Seat for vehicle
KR101994848B1 (en) Manual side bolster apparatus
US20220258656A1 (en) Headrest latch with shape memory alloy release assembly
KR101559181B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US8113577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s
KR200476827Y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CN117141324A (en) Seat device and vehicle
CN114194088B (en) Chair framework
KR101628753B1 (en) Seat for automobile having armrest
JP4239688B2 (en) Head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KR102096378B1 (en) Lumber support assembly
CN219856928U (en) Push-to-pop-up type automobile cup stan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