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737B1 -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737B1
KR101994737B1 KR1020140107562A KR20140107562A KR101994737B1 KR 101994737 B1 KR101994737 B1 KR 101994737B1 KR 1020140107562 A KR1020140107562 A KR 1020140107562A KR 20140107562 A KR20140107562 A KR 20140107562A KR 101994737 B1 KR101994737 B1 KR 10199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obile terminal
wireless charging
authentic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035A (ko
Inventor
윤대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737B1/ko
Priority to US14/818,899 priority patent/US10418837B2/en
Publication of KR2016002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4B5/7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스컨넥션을 회피할 수 있는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이동단말기로부터 전압범위정보를 전달받고 전압범위정보에 대응하여 전압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전압패턴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압패턴을 갖는 인증전력을 생성하는 전력변환부, 및 인증전력을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레조네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에는 배터리가 장착된다.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충전기를 통해 충전되는데, 휴대성을 지원하기 위해 비접촉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무선 충전 방식은 충전이 필요한 이동 단말기들이 무선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무선 충전 장치가 이동 단말기의 접근을 감지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전에 무선 충전 장치와 이동 단말기는 서로의 위치를 탐색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무선충전장치(100)는 이동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 등으로 판단하여 충전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무선충전장치가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충전영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자신이 전력을 공급할 이동단말기 외에 이웃한 다른 무선충전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이동단말기와 크로스 컨넥션이 발생하여 다른 이동단말기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3-0073862 (2013.07.0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스컨넥션을 회피할 수 있는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는, 이동단말기로부터 전압범위정보를 전달받고 전압범위정보에 대응하여 전압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전압패턴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압패턴을 갖는 인증전력을 생성하는 전력변환부, 및 인증전력을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레조네이터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인증된 이동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충전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단계, 및 이동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하되, 인증단계는 이동단말기로 소정전압패턴을 갖는 전력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충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에 의하면 크로스컨넥션을 방지할 수 있어, 무선 충전 시에 전력 전송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은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동작범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 동작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에서 출력되는 숏-비콘과 롱-비콘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에서 이동단말기로부터 전달받는 스태틱파라메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에서 인증하는 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에서 인증하는 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한 무선충전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충전시스템은 제1무선충전장치(100)의 충전영역에 제1이동단말기(150)가 위치함으로써, 제1연결(Link Connection #1)이 발생하여 제1무선충전장치(100)와 제1이동단말기(150)가 연결되고, 제1무선충전장치(100)에 인접한 위치에 제2무선충전장치(200)가 위치하고 제2무선충전장치(200)의 충전영역에 제2이동단말기(250)가 위치함으로써, 제2연결(Link Connection #2)이 발생하여 제2무선충전장치(200)와 제2이동단말기(25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무선충전장치(100)는 제1이동단말기(15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2무선충전장치(200)는 제2이동단말기(25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무선충전장치(100)와 제2무선충전장치(200)는 서로 인접해 있어 제1무선충전장치(100)의 충전영역에 위치한 제1이동단말기(150)를 제2무선충전장치(200)가 인식을 할 수 있고. 제2무선충전장치(200)의 충전영역에 위치한 제2이동단말기(250)를 제1무선충전장치(100)가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에 의해, 제2무선충전장치(200)가 제3연결(Link Connection #3)을 통해 제1이동단말기(150)에 연결되거나 제1무선충전장치(100)가 제4연결(Link Connection #4)을 통해 제2이동단말기(250)에 연결되면, 제1무선충전장치(100)와 제2무선충전장치(200)는 각각 제2이동단말기(250)와 제1이동단말기(1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무선충전장치의 전력 전송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Link Connection #1)과 제2연결(Link Connection #2)이 발생된 상태에서 제3연결(Link Connection #3)과 제4연결(Link Connection #4)이 발생하는 크로스 컨넥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무선충전장치(100) 및/또는 제2무선충전장치(200)는 각각 제1연결(Link Connection #1)과 제2연결(Link Connection #2) 시에 인증을 하도록 하고 인증된 이동단말기에만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제1연결(Link Connection #1)과 제2연결(Link Connection #2)은 각각 하나의 무선충전장치에 하나의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연결(Link Connection #1) 시에 하나의 무선충전장치에 여러 개의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연결(Link Connection #2)도 마찬가지 일 수 있다. 여기서, 충전영역은 제1무선충전장치(100)와 제2무선충전장치(200)의 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충전장치(100)와 상하 좌우 상관 없이 일정한 거리 내에 있으면 충전영역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이동단말기(150), 제2이동단말기(250)는 이동통신단말기, 테블릿 PC, 노트북 등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충전장치(100)는 이동단말기로부터 전압범위정보를 전달받고 전압범위정보에 대응하여 전압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10), 전압패턴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압패턴을 갖는 인증전력을 생성하는 전력변환부(120), 및 인증전력을 이동단말기(150)로 전송하는 레조네이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인증동작과 충전동작에 대응하여 전력변환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인증동작에서 인증전력이 생성되도록 하고 생성된 인증전력이 이동단말기(150)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단말기(150)가 무선충전장치(100)의 충전영역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충전동작에서 인증동작에 의해 인증된 이동단말기(150)에 무선충전장치(100)가 전력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무선충전장치(100)가 전력을 공급하던 중에 이웃한 무선충전장치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이동단말기(150)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압범위정보는 무선충전장치(100)가 인증동작 전에 충전할 이동단말기(150)를 스캔할 때 전달받을 수 있다. 도 3은 이동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동작범위를 나타낸다. 즉,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부팅전압(VRECT_BOOT)과 최대전압(VRECT_MAX) 사이에 위치하면 이동단말기는 온상태가 될 수 있다. 특히, 기준전압(VRECT_SET), 고전압(VRECT_HIGH), 저전압(VRECT_MIN)에서 배터리가 최적화된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50)로부터 전달받는 전압범위정보는 이동단말기(150)의 내장된 배터리의 규격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배터리 규격 등에 관한 정보는 배터리 용량,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기준전압(VRECT_SET), 고전압(VRECT_HIGH), 저전압(VRECT_MIN)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달받은 전압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패턴을 갖는 전압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전압패턴정보를 이동단말기(150)의 인증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력변환부(120)에서 숏-비콘(short-beacon)과 롱-비콘(long-beacon)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50)는 숏-비콘과 롱-비콘을 전달받게 되면 애드신호(advertising)를 전달하여 자신이 무선충전장치(100)와 충전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무선통신모듈(112)을 통해 애드신호를 전달받으면 이동단말기(150)로 전압범위에 대한 정보 등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MCU(111)와 MCU(111)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되 이동단말기(15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MCU(111)는 통신모듈(112)을 통해 전달받은 전압범위정보를 이용하여 전압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전력변환부(120), 레조네이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저장부(113)를 더 포함하며, 저장부(113)는 제어부(110)에서 생성한 전압패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3)는 무선충전장치(100)의 펌웨어 등의 소프트웨어도 저장할 수 있다.
전력변환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숏-비콘, 롱-비콘을 출력할 수 있다. 전력변환부(120)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전압패턴정보에 따른 소정의 전압패턴을 갖는 인증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부(120)는 인증된 이동단말기(150)에 공급할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레조네이터(130)는 전력변환부(120)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동단말기(150)로 공급할 수 있다. 레조네이터(130)는 안테나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코일을 포함하며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에 따라 전송되는 전력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되게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 동작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충전장치(100)는 스캔동작을 하여 이동단말기(150)가 충전범위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0). 무선충전장치(100)는 스캔동작에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숏-비콘(s)과 롱-비콘(l)을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숏-비콘(s)은 길이가 짧은 펄스일 수 있고 롱-비콘(l)은 길이가 긴 펄스 일 수 있다. 그리고, 무선충전장치(100)는 숏-비콘(s)이 복수 개 반복된 후, 하나의 롱-비콘(l)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숏-비콘(s)과 롱-비콘(l)이 주기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단말기(150)는 무선충전장치(100)로부터 숏-비콘(s) 및/또는 롱-비콘(l)을 전달받으면 애드신호(advertising)를 무선충전장치(100)로 전송하여 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100)는 애드신호를 전달받으면 이동단말기(150)가 충전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충전장치(100)는 이동단말기(150)를 인증할 수 있다(S410). 무선충전장치(100)는 인증동작에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100)는 스캔동작에서 통신모듈(112)을 통해 애드신호를 전달받은 후, 애드신호를 전송한 이동단말기(150)로 리퀘스트신호를 전달하여 스태틱파라메타를 요청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50)는 리퀘스트신호에 대응하여 무선충전장치(100)로 스태틱파라메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50)에서 무선충전장치(100)로 전송하는 스태틱파라메타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동단말기정보, 펨웨어 버전, 기준전압정보, 고전압정보, 저전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100)는 인증동작에서 스태틱파라메터에 기록되어 있는 기준전압정보, 고전압정보, 저전압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서, PTU와 PRU는 각각 무선충전장치(100)와 이동단말기(150)를 의미한다. 즉, 무선충전장치(100)는 기준전압정보, 고전압정보, 저전압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전압패턴정보을 갖는 인증전력을 생성하고 전송하여 이동단말기(150)에 공급하고 이동단말기(150)는 인증전력에 대응하여 전압파라메타를 생성하여 무선충전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100)는 전압패턴정보와 전압파라메타를 비교하여 전압패턴정보와 전압파라메타가 동일하면 이동단말기(100)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전압패턴정보와 전압파라메타의 동일은 완전한 동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허용할 수 있는 오차를 가질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100)는 이동단말기(150)가 인증되면, 무선충전장치(100)는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S420). 무선충전장치(100)는 레조네이터(130)를 이용하여 전력변환부(120)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동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50)로 전송되는 전력은 스태틱파라메터의 기준전압정보, 고전압정보, 저전압정보에 대응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에서 인증하는 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무선충전장치(100)는 통신모듈(112)을 통해 이동단말기(150)로부터 스태틱파라메타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전압정보(VRECT_SET), 고전압정보(VRECT_HIGH), 저전압정보(VRECT_MIN)를 수신할 수 있다(S700). 무선충전장치(100)는 기준전압정보(VRECT_SET), 고전압정보(VRECT_HIGH), 저전압정보(VRECT_MIN)를 이용하여 전압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10). 전압패턴정보는 고전압과 기준전압 사이의 전압범위 또는 기준전압과 저전압 사이의 전압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전압이 15V이고, 기준전압이 10V이고, 저전압이 5V이라고 가정하면, 고전압과 기준전압 사이의 10에서 15V 사이의 제1범위 또는 5에서 10V 사이의 제2범위에서 임의의 전압을 선택하여 전압패턴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범위를 선택하면 11V, 12V,15V,13V,11V의 식으로 전압이 변화하는 임의의 전압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제2범위를 선택하면 5V, 8V, 9V, 6V, 8V의 식으로 전압이 변화하는 임의의 전압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전압패턴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전압패턴을 저장부(113)에 있는 전압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100)는 생성된 전압패턴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전압패턴을 갖는 인증전력을 이동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S720).
그리고, 인증전력을 전달받은 이동단말기(150)는 전압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전압 파라메타를 무선충전장치(100)로 전송하고 무선충전장치(100)는 전압패턴정보와 전압파라메타를 비교하여 이동단말기(150)를 인증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에서 인증하는 방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충전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저장부(113)에 저장되어 있는 카운터값, 최대카운터값, 전압테이블을 초기화할 수 있다(S800). 카운터값, 최대카운터값, 전압테이블은 전력을 전송받을 이동단말기들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무선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초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충전장치는 제어부(110)의 통신모듈(112)을 통해 충전영역에 위치하는 이동단말기(150)의 전압범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10). 이동단말기(150)로부터 전압범위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제어부(110)는 스캔동작을 수행하여 이동단말기(150)를 검색할 수 있다. 스캔동작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숏-비콘(s)과 롱-비콘(l)이 전력변환부(120)에서 생성되고 레조네이터(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50)는 숏-비콘(s) 및/또는 롱-비콘(l)을 전달받으면 애드신호를 무선충전장치(100)로 전달하고 무선충전장치(100)는 통신모듈(112)을 통해 애드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무선충전장치(100)가 이동단말기(150)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100)는 애드신호를 수신하면 리퀘스트신호를 이동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50)는 리퀘스트신호를 전달받으면, 스태틱파라메타를 무선충전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스태틱파라메타에 전압범위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무선충전장치가 스태틱파라메타를 수신함으로써 전압범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장치는 스태틱파라메타를 카운터값과 최대카운터값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기준전압과 고전압의 차이인 제1범위와 기준저압과 저전압의 차이인 제2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S820). 그리고, 제1범위와 제2범위 중 범위가 좁은 쪽을 파악할 수 있다(S830). 제1범위가 더 좁으면 제1범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1범위에서 임의의 제1값을 선택하고(S831) 제2범위가 더 좁으면 제2범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1범위에서 임의의 제1값을 선택할 수 있다(S832). 그리고, 사인(sign)을 설정하기 위해 위해 임의의 제2값을 선택할 수 있다(S840). 선택된 임의의 제2값이 짝수이면 사인을 (+)로 설정하고 홀수이면 사인을 (-)로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사인을 설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인 설정을 통해 제1범위에서 선택을 하였는지 제2범위에서 선택을 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제1값과 제2값을 전압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S850). 그리고, 카운터값과 최대카운터값을 비교하여 카운터값이 최대카운터값보다 작으면 카운터값을 1증가시키고 다시 S830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카운터값이 최대카운터값과 같거나 크면 전압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패턴정보에 따라 인증전력을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S870). 이때, 기준전압에 선택된 제1값을 더하거나 빼는 방식으로 인증전력의 전압값을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제2값에 의한 사인이 (+) 이면 기준전압에 제1값을 더하고 제2값에 의한 사인이 (-) 이면 기준전압에서 제1값을 뺄수 있다. 그리고, 전압패턴정보와 전압패턴파라메타가 유사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80). 전압패턴파라메타는 이동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것으로 인증전력을 전달받은 이동단말기가 인증전력의 전압패턴에 대응하여 전압패턴파라메타를 생성하여 무선충전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압패턴정보와 전압패턴파라메타가 유사하면 무선충전장치(100)는 이동단말기를 연결하여 전력을 전송하고(S881), 전압패턴정보와 전압패턴파라메타가 유사하지 않으면 무선충전장치(100)는 이동단말기(150)를 연결하지 않아 전력을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S88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 또는 '연결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100: 무선충전장치 110: 제어부
111: MCU 112: 통신 모듈
113: 저장부 120: 전력변환부
130: 레조네이트

Claims (17)

  1. 인증구간에서 전압범위정보에 기초하여 전압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며, 상기 전압패턴정보와 전압패턴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전력 전송을 인증하는 제어부;
    상기 전압패턴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압패턴을 갖는 인증전력을 생성하는 전력변환부;
    상기 인증구간에서 상기 인증전력을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고, 전력전송구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레조네이터; 및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압범위정보 및 상기 전압패턴 파라미터를 전송받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패턴 파라미터는 상기 인증전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파라미터인 무선충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MCU를 더 포함하고, 상기 MCU에서 상기 전압패턴정보를 생성하는 무선충전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구간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애드신호를 전달받으면 개시하는 무선충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범위정보는 기준전압, 고전압, 저전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패턴정보는 고전압과 기준전압의 차이에 대응되는 전압범위 또는 기준전압과 저전압의 차이에 대응되는 전압범위 중 하나의 전압범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압범위 내에서 임의의 제1전압과 제2전압을 선택하여 생성하는 무선충전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구간 이전에 숏-비콘과 롱-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반복하여 전력을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감지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구간에서 상기 애드신호를 전달받는 무선충전장치.
  10. 인증된 이동단말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기에 레조네이터를 통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단계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전압범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전압범위정보에 기초하여 전압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레조네이터를 통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상기 전압패턴정보를 갖는 인증전력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인증전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전압패턴 파라메타를 전달받는 단계; 및
    저장된 상기 전압패턴정보와 상기 전압패턴 파라메타를 비교하여 전력 전송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충전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패턴정보는 임의적으로 생성되는 무선충전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범위에 대한 정보는 기준전압, 고전압, 저전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패턴정보는 고전압과 기준전압의 차이에 대응되는 전압범위 또는 기준전압과 저전압의 차이에 대응되는 전압범위 중 하나의 전압범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압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제1값을 선택하여 생성하는 무선충전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제1값을 선택한 후 사인을 설정하는 임의의 제2값을 선택하는 무선충전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 이전에 이동단말기를 검색하는 스캔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캔단계는 숏-비콘과 롱-비콘 중 적어도 하나를 반복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숏-비콘과 상기 롱-비콘에 대응하여 애드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인증단계가 실행되는 무선충전방법.
KR1020140107562A 2014-08-19 2014-08-19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 KR10199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562A KR101994737B1 (ko) 2014-08-19 2014-08-19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
US14/818,899 US10418837B2 (en) 2014-08-19 2015-08-05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562A KR101994737B1 (ko) 2014-08-19 2014-08-19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035A KR20160022035A (ko) 2016-02-29
KR101994737B1 true KR101994737B1 (ko) 2019-07-01

Family

ID=5534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562A KR101994737B1 (ko) 2014-08-19 2014-08-19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18837B2 (ko)
KR (1) KR101994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7137B2 (en) 2019-09-04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7666B2 (en) 2013-09-03 2017-12-19 Apple Inc. Power management for inductive charging systems
US9837866B2 (en) 2013-10-09 2017-12-05 Apple Inc. Reducing power dissipation in inductive energy transfer systems
US20190089183A9 (en) * 2013-10-23 2019-03-21 Apple Inc. Transmitter and receiver communication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US9673784B2 (en) 2013-11-21 2017-06-06 Apple Inc. Using pulsed biases to represent DC bias for charging
US9673658B2 (en) * 2014-03-06 2017-06-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type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type battery apparatus
US10122217B2 (en) 2015-09-28 2018-11-06 Apple Inc. In-band signaling with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US10601250B1 (en) 2016-09-22 2020-03-24 Apple Inc. Asymmetric duty control of a half bridge power converter
KR102120263B1 (ko) 2018-11-09 2020-06-08 모경구 인공지능 기반의 플랙서블 무선 충전 장치
US20200161889A1 (en) * 2018-11-16 2020-05-21 T-Mobile Usa, Inc. Over-the-air wireless charging
US20240113566A1 (en) * 2020-12-14 2024-04-04 Drnc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based access control in resonance magnetic coupled networ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8174A (ja) * 2008-12-16 2010-07-01 Hitachi Ltd 電力伝送装置、電力送信装置および電力受信装置
US20130062961A1 (en) * 2011-09-09 2013-03-14 Yongcheol PARK Wireless power system and resonant frequency chang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0249B2 (en) * 2009-11-30 2013-03-05 Broadcom Corporation Battery with integra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or RFID
KR101321436B1 (ko) * 2011-11-08 2013-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적의 전력 분배를 위한 공진기 설계 방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의 공진기
KR101951358B1 (ko) * 2011-12-15 2019-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8303B1 (ko) 2012-07-10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력 송신기
KR101947982B1 (ko) * 2012-09-11 2019-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공진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9793740B2 (en) * 2012-11-26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e control in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1462993B1 (ko) 2012-12-27 2014-11-19 전자부품연구원 다수 기기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WO2015060570A1 (en) * 2013-10-23 2015-04-30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8174A (ja) * 2008-12-16 2010-07-01 Hitachi Ltd 電力伝送装置、電力送信装置および電力受信装置
US20130062961A1 (en) * 2011-09-09 2013-03-14 Yongcheol PARK Wireless power system and resonant frequency chang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7137B2 (en) 2019-09-04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035A (ko) 2016-02-29
US20160056662A1 (en) 2016-02-25
US10418837B2 (en)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737B1 (ko) 무선충전장치 및 무선충전방법
US101417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during wireless transmission of power us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US98476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nagers
US10345950B2 (en) Combined fingerprint recognition touch screen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touch scree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touch screen device
CN107800708B (zh) 一种车机账户自动登录方法和车机装置
CN103155340B (zh) 用于机动车的通用无线充电系统
CN105389566A (zh) 指纹识别方法、指纹模板的更新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5025433A (zh) 一种蓝牙配对方法及终端
KR20200070413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상시 비코닝 기법
US20140280440A1 (en) Techniques for context-based application invocatio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actions
CN103687061A (zh) 连接建立方法及终端
US201401457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Signaling Properties Based on Cable Attributes
US9363841B2 (en) Telematics system capable of Wi-Fi direct P2P connec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5303908A (zh) 学习机的娱乐功能控制方法及装置
CN108650671B (zh) 建立蓝牙连接的方法、装置、移动终端、存储介质与系统
CN110855318B (zh) 一种胎压传感器升级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5233392A (ja) 電子機器
CN103548392A (zh) 用于向连接装置提供网络访问的方法和装置
CN105873180B (zh) 用于建立无线连接的方法与设备
US20150106920A1 (en) System with physical data authorization
CN106027294A (zh) 终端网络接入的固件加载方法和系统
CN104158302A (zh) 电力传送装置及电力传送方法
JP2016103121A (ja)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18186A (ko) 연동 소프트웨어 개발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연동 방법
US20230254892A1 (en) Preamble sequence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