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550B1 -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4550B1 KR101994550B1 KR1020170171110A KR20170171110A KR101994550B1 KR 101994550 B1 KR101994550 B1 KR 101994550B1 KR 1020170171110 A KR1020170171110 A KR 1020170171110A KR 20170171110 A KR20170171110 A KR 20170171110A KR 101994550 B1 KR101994550 B1 KR 1019945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pair
- ship
- information
- participant
- repair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8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7 ant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35 veno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1 venom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48 venom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리 조선 설비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자신이 소지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업 공정에 관한 제반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면 원격지에 있는 선박관리자(선주, 선급 등)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 또는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리 대상 선박의 작업 공정을 현장과 공유함으로써 즉각적인 관리 감독을 할 수 있도록 한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수리 조선소측에서는 수리 대상의 작업 공정을 실시간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선주측에서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수리 조선 공정의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을 협의된 일정에 따라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 공정의 변경사항 등에 대하여 즉각적인 협의 등이 가능하므로 수리 조선 작업의 지연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수리조선소측과 선주측 또는 선급측의 소통이 원활해 짐으로써 이로 인하여 수리 조선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귀책 사유 (특히 이슈가 발생한 경우)등이 보다 명확해 질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수리 조선소측에서는 수리 대상의 작업 공정을 실시간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선주측에서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수리 조선 공정의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을 협의된 일정에 따라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 공정의 변경사항 등에 대하여 즉각적인 협의 등이 가능하므로 수리 조선 작업의 지연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수리조선소측과 선주측 또는 선급측의 소통이 원활해 짐으로써 이로 인하여 수리 조선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귀책 사유 (특히 이슈가 발생한 경우)등이 보다 명확해 질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리 조선 설비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자신이 소지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업 공정에 관한 제반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면 원격지에 있는 선박관리자(선주, 선급 등)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 또는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리 대상 선박의 작업 공정을 현장과 공유함으로써 즉각적인 관리 감독을 할 수 있도록 한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의 건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선박의 수명이 30년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선박 산업 또한 신규 건조에서 선박 수리로 그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현재 선박 수리 산업은 선박 건조 및 조선 산업의 대규모 관리 시스템과 달리 여러 개의 중소 수리 관리업체가 수리 장비를 보유하고 수리 하청업체를 모집하여 수리를 진행하는 구조가 전체 구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대부분의 중간 관리 업체가 선박 수리의 중요 요소인 장비 및 하청업체 관리를 과거 방식인 단순 수기로 작성하여 관리하는 곳이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가의 수리장비의 손망실이 잦고 하청업체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비용 손실을 가져온다. 또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리일정 지연 및 수리 비용이 추가로 발생될 수 있어 서비스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특히, 수리 장비는 대부분 고가이며 이동에 소모되는 비용이 높은 대형장비들도 많이 있다. 이러한 수리 장비들은 손망실이 발생할 경우 높은 비용 손실을 가져온다.
또한, 선박수리는 여러 수리 하청 업체들을 선정하여 진행되는데, 이 경우 많은 하청업체들을 선정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현재 업체의 인력 상황 및 타 수리 작업의 진행 상황을 일일이 확인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 소모가 발생한다. 또한 수리장비와 수리업체의 원활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수리 일정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적화된 수리 일정을 수립할 수 있는 장비와 업체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수리 조선 작업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리조선소측 작업자와 원격지의 선주측 또는 선급측이 휴대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리 대상 선박의 작업 공정을 보고, 관리, 감독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수리조선소측이 현장에서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 진행 단계를 실시간으로 즉시 선주측이나 선급측에게 전달함으로써 공정의 진척도 파악, 다음 공정으로의 신속한 진행 등에 대하여 상호 협의된 일정에 맞추어 원활한 업무 진행이 가능하게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은 수리대상 선박의 정보를 표시하는 선박리스트모듈과, 상기 수리대상 선박의 검사 일정을 표시하는 검사일정모듈과, 상기 수리대상 선박의 작업공정에 대한 일별 작업정보가 표시되는 일일보고모듈과, 상기 수리대상 선박의 작업공정별 이슈(최초 수리내용과 무관하게 각 참여자가 필요 시 즉각적으로 보고하거나 제안하는 특정내용)와 이슈 발생일을 표시하는 이벤트보고모듈과, 실시간 채팅을 위한 채팅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 휴대 단말기와 무선 연동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되는 모듈들이 저장되어 있는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서버를 활용한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으로서, a)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서 CMS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관리자의 회원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Log-in)하는 CMS서버 접속단계; b) 상기 CMS서버에 선주측 참여자 정보, 선급측 참여자 정보 및 수리조선소측 참여자 정보를 등록하는 참여자정보 등록단계; c) 상기 CMS서버에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기본정보를 입력하여 생성하는 선박 기본정보 생성단계; d)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명칭과,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수리공정 작업기간과, 상기 선주측 참여자 정보, 상기 선급측 참여자 정보 및 상기 수리조선소측 참여자 정보 중에서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수리 내지 관리에 참여할 참여자를 선택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참여자의 수리공정정보에 대한 정보접근권한을 설정하는 수리선박정보 설정단계; e) 상기 CMS서버에서 상기 CMS서버와 무선 연동 가능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정보를 상기 등록된 참여자의 휴대 단말기로 각기 전송하는 설치정보 전송단계; f) 상기 등록된 참여자의 휴대 단말기에 상기 CMS서버와 연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상기 등록된 참여자의 휴대 단말기와 상기 CMS서버가 상호 무선 연동되면서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공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고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보고 및 관리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수리 조선소측에서는 수리 대상의 작업 공정을 실시간으로 보고할 수 있으며 선주측에서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수리 조선 공정의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을 협의된 일정에 따라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 공정의 변경사항 등에 대하여 즉각적인 협의 등이 가능하므로 수리 조선 작업의 지연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수리조선소측과 선주측 또는 선급측의 소통이 원활해 짐으로써 이로 인하여 수리 조선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귀책 사유 (특히 이슈가 발생한 경우)등이 보다 명확해 질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이 실시되는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CMS서버에서 참여자 관리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CMS서버에서 선박 기본정보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CMS서버에서 수리선박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등록된 참여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되는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CMS서버에서 참여자 관리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CMS서버에서 선박 기본정보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CMS서버에서 수리선박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등록된 참여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되는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이나 "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수리 조선 설비에 대하여 먼저 살펴 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수리조선산업은 수리물량의 예측이 어려워 다양한 선형과 물량의 변동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수리설비의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인 수리설비에는 드라이 독, 플로팅 독, 슬립웨이, 십리프트가 있고, 이러한 설비들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드라이 독 (Dry dock)
드라이 독은 육지를 깊이 파서 만든 장방형의 물웅덩이로서 전방의 수문으로 해수를 차단하고 있는 구조이다.
드라이 독은 수리조선소의 가장 중요한 설비로서, 독의 크기(길이x폭x깊이)는 수리할 선박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드라이 독에서 배를 수리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1)수문을 닫고 독 내의 해수를 배수펌프로 퍼낸 후 2)독 바닥에 배를 거치할 반목을 배치하고 3)다시 독에 해수를 채운 후 수문을 열어 배를 독 내로 넣고 4)수문을 닫고 배수펌프로 물을 퍼내면서 독 바닥의 반목 위에 배를 거치시켜 5)배를 수리하고 6)수리가 완료되면 독에 해수를 채워 배를 부양 시킨 후 수문을 개방하여 예인선으로 끌어낸다.
상기 수리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수리작업이 6단계의 복잡한 공정을 거치고
둘째, 배의 크기에 상관없이 독 전체에 물을 채우고 퍼냄으로써 시간과 장비의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 드라이 독은 고가의 설비이기 때문에 수리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나) 플로팅 독 (Floating dock)
플로팅 독은 해수면에 떠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양단이 개방된 거대한 상자 형의 해상구조물로서 해수를 채워 바다 속에 침강시킨 후, 그 속에 대상 선박을 담아 부상시켜 검사 또는 수리를 하는 시설로서 주로 수리조선에 사용된다.
플로팅 독의 구조는 상단이 평탄한 폰툰(Pontoon)과 좌우의 측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잠수 깊이는 내장된 발라스트 펌프로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플로팅 독은 잠수를 위해 수심이 깊은 바다로 이동해야 하므로 파랑이 심한 외해에서 하는 작업에는 많은 사고의 위험이 따른다.
플로팅 독은 선급에 등록하여야 하며 정기적인 보수가 필요하고, 건설비는 드라이 독보다 약간 저렴한 편이다.
플로팅 독의 부양능력은 이론상 무한대로 키울 수 있으나 건설비나 항만 등의 사정으로 현재는 케이프사이즈(약180,000dwt)급까지 주로 이용되고 있다.
부양할 선박의 크기에 따라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드라이 독보다 낭비를 줄일 수 있으나 정기적인 보수 등의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다) 슬립웨이 (Slipway)
슬립웨이는 윈치를 이용하여 배를 경사램프 위로 끌어올리고, 진수는 배의 자중을 이용하여 슬립웨이의 경사면을 미끄러져 내려가 진수시키는 구조이다.
주로 핸디사이즈 (20,00022,000dwt)급 이하의 중소형선에 이용되고, 실제로 스립웨이의 길이는 200m이하이며, 건설비는 다른 설비에 비해 저렴하다.
스립웨이는 안벽부지에 종 방향으로 1/20 정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로 인해 조선소 구내 이동 상황이 좋지 않고,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라) 십리프트 (Shiplift)
십리프트는 기계식으로 배를 인양하는 장치로, 배가 엘리베이터 플랫폼 위에 설치된 크래들(Cradle)이라는 대차 위에 얹히고, 수면 하에서 물위로 들려 올려진 후, 육상작업장까지 운반된다.
양력은 플로팅 독의 부력보다 작고, 주로 핸디사이즈 급 전후의 소형선에 이용되며, 건설비는 매우 고가이다.
십리프트는 군함 등 특수선의 수리용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처럼, 일반적인 수리설비들은 설비마다 특수성이 있어 여러 선형과 물량의 변동에 수리 공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은 이 모든 수리 조선 작업 공정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이 실시되는 전체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참여자정보, 선박 기본정보 및 수리선박정보 관리를 위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서버(100)와,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서버와 무선 연동되며 선주측 참여자단말기, 선급측 참여자단말기, 수리조선소측 참여자단말기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APP)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리조선소측에서는 소지한 수리조선소측 참여자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선박 수리작업의 진행과정에 대한 정보를 CMS서버(1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으며, CMS(100)서버에서는 어플리케이션(APP)으로부터 전송받은 선박 수리작업의 진행과정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의 선주측 또는 선사측 참여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수리 대상 선박의 작업 과정을 선주측, 선급측 및 수리조선소측 간에 실시간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단말기는 스마트폰 이외에 노트북, 태블릿, 데스크용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특별히 지칭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주측, 선급측 및 수리조선소측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참여자" 또는 "등록된 참여자"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의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CMS서버에서 참여자 관리, 선박 기본정보 관리 및 수리선박 관리를 각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은 CMS서버 접속단계(S110), 참여자정보 등록단계(S120), 선박 기본정보 생성단계(S130), 수리선박정보 설정단계(S140), 설치정보 전송단계(S150) 및 보고 및 관리단계(S160)의 단계로 수행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해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서버(100)에 접속하고, 소정의 관리자 회원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Log-in)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10).
여기에서의 본 발명의 관리자란 관리자단말기의 CMS서버(100)를 통해서 선주측, 선급측 및 수리조선소측을 모두 통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자를 의미하며, 특히, CMS서버(100)에서 수리 대상 선박에 대한 모든 추가, 삭제, 수정 등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참여자관리화면(120a, 120b)을 참조하면, 관리자가 선주측으로부터 수리 대상 선박에 대한 요청을 받게 된 경우에 CMS서버(100)에 선주측 참여자 정보, 선급측 참여자 정보 및 수리조선소측 참여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20).
이때, 참여자 정보 등록 시에는 소정의 회원정보와 그에 대한 권한 정보가 선주, 선급, 수리조선소로 구분되어 등록될 수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선박관리화면(130a, 130b)을 참조하면, 관리자는 선주측으로부터 요청받은 수리 대상 선박에 대한 기본정보를 입력하여 선박의 기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30).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참여자정보등록단계(S120) 및 선박 기본정보 생성단계(S130)의 순서는 작업 환경에 따라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다음, 도 5의 수리선박관리화면(140a 내지 140d)를 참조하면, 참여자정보등록단계(S120) 및 선박 기본정보 생성단계(S130)에서 등록된 참여자 정보 및 생성된 선박의 기본정보를 토대로 수리선박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수리선박정보 설정 시에는 수리 대상 선박의 명칭과, 수리 대상 선박의 수리공정 작업기간과, 선주측 참여자 정보, 선급측 참여자 정보 및 수리조선소측 참여자 정보 중에서 수리 대상 선박의 수리 내지 관리에 참여할 참여자를 선택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참여자의 수리공정정보에 대한 정보접근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S140).
이와 관련하여, 선주측 참여자 정보, 선급측 참여자 정보 및 수리조선소측 참여자 정보 중 수리 대상 선박의 수리 내지 관리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다음에서는 "등록된 참여자"로 언급하기로 한다.
한편,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의 CMS서버(100)를 통해서 수리 선박 정보가 설정되면, 관리자는 CMS서버(100)에서 CMS서버(100)와 무선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의 설치정보를 등록된 참여자의 휴대 단말기로 각기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50).
예컨대, 어플리케이션(APP) 전송방식은 이메일, 문자 등으로 어플리케이션(APP) 설치가 가능한 플렛폼의 링크(주소)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앱스토어(APPStore) 등에서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CMS서버(100)와 무선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의 설치정보를 수신한 등록된 참여자는 등록된 참여자단말기로 상기 CMS서버(10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APP)을 설치한 후, 상기 등록된 참여자단말기와 상기 CMS서버(100)가 상호 무선 연동되면서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공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고 및 관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60).
한편, 수리조선소측 참여자단말기를 통하여 작업 공정 진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CMS서버(100)에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수리 대상 선박에 대한 수리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CMS서버(100)로 보고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때 완료 통보가 있는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작업 공정을 확인하고 작업 종결을 CMS서버(100)을 통하여 설정하면, 등록된 참여자는 CMS서버(100)와 무선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APP)에 접속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등록된 참여자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하여 표시되는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내용을 살펴 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등록된 참여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되는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APP)은 선박리스트모듈(110), 검사일정모듈(120), 일일보고모듈(130), 이벤트보고모듈(140) 및 채팅모듈(15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박리스트모듈(110)은 수리 대상 선박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듈로, 특히, 수리 대상 선박에 대한 수리공정 진척도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수리 대상 선박의 정보에는 수리 대상 선박의 명칭과, 선박 사진과, 선박 수리 일정 정보, 선박의 출항예정일자(Target dat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선박리스트모듈(110)에서는 참여자의 권한정보(선주, 선급, 수리조선소)에 따라서 수리 대상 선박의 리스트정보가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작업 경중에 따라 표준작업 공정인 대공정, 중공정, 소공정으로 단계별 구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수리조선소측 참여자는 수리조선소의 작업 환경에 따라 삭제 또는 수정 등의 편집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박리스트모듈(110)에서 작업 경중에 따라 단계별로 공정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경우, 하위 공정에 대해서는 CMS서버(100)에 저장된 수리 조선 작업 내용과 작업 기간 정보를 참조하여 간트 챠트(Ghant Chart) 정보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등록된 참여자가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경과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시각적으로 판단할수 있는 이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일정모듈(120)은 수리 대상 선박의 검사일정을 표시하기 위한 모듈로, 주로 선급측 참여자가 사용함으로써 선박의 검사 일정 등을 공유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정보고모듈(130)은 수리 대상 선박의 작업공정에 대한 일별 작업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듈로, 수리 대상 선박의 검사 일정에 대한 지정 또는 변경을 등록된 참여자 중에서 선급측 참여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만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수리 대상 선박의 작업 공정별 검사 일정을 등록된 참여자 간에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벤트보고모듈(140)은 수리 대상 선박의 작업공정별 이슈(최초 수리내용과 무관하게 각 참여자가 필요시 즉각적으로 보고하거나 제안하는 특정내용)와 이슈 발생일을 표시하기 위한 모듈로, 이는 수리 대상 선박의 작업 진척도와 이슈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참여자 간에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수리 대상 선박을 검사하거나 돌발적인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 수리조선소측 참여자단말기를 통하여 CMS서버(100)와 무선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APP)에 검사 또는 이슈에 대한 정보(작업 공정, 수리일정, 검사 정보, 또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로 작성된 이슈 정보)를 등록하면, 선주측 및 선급측 참여자단말기에서 확인하여 관리 점검한 후 소정의 작업 지시를 CMS서버(100)로 전송하고 CMS서버(100)에서는 해당 작업 지시를 수리조선소측 참여자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채팅모듈(150)은 등록된 참여자 간에 실시간으로 채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듈로, 특히, 수리선박별 또는 세부공정별로 구분하여 단체 채팅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등록된 참여자단말기에 설치된 선박리스트모듈(110) 내지 채팅모듈(150)의 정보는 CMS(100)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APP)에 저장될 수 있으며, 특히, 등록된 참여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박리스트모듈(110) 내지 채팅모듈(150)에 접속 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받는 모든 정보는 CMS서버(100)와 연동되어 있다.
참고로, CMS서버(100)로부터 등록된 참여자단말기로 전송되어 표시되는 정보는 선박리스트모듈(110) 내지 채팅모듈(150)에 표시되며 등록된 참여자단말기의 임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연동성을 개선시켜 처리 속도를 개선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수리조선소측 참여자단말기에 설치되어 CMS서버(100)와 무선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APP)은 수리조선소측 참여자단말기의 GPS 정보를 포함한 측위정보를 이용하여 수리조선소측 참여자단말기가 수리 조선소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비활성화되어 CMS서버(100)와의 접속을 차단시켜 수리 조선 작업 정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이는 일반적인 IT 기술을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이러한 기술적 접목한 것이므로 다른 수리 조선 작업 공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CMS서버(100)와 무선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한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등록된 참여자는 선박리스트모듈(110)에 접속하여 수리 대상 선박의 선박명과, 선박 사진, 수리 일정 등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이들 정보에 대한 편집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대공정, 중공정, 및 소공정에 대한 작업 공정을 각각 정의하여 입력하고, 수리 일정(예컨대 기간, 시작일, 마감일 등)을 입력하거나 수정 편집할 수 있으며, 수리 대상 선박의 작업 공정을 구성하는 대공정, 중공정, 및 소공정의 진척도 정보를 날짜별로 저장하고 이를 간트 챠트(Ghant Chart)로 표시되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사일정모듈(120)에 접속하여 선급측이 등록한 선박의 검사 일정 등을 한 곳에서 책임자와 공유할 수 있고, 일일보고모듈(130)에서 선박의 작업공정에 대한 일별 작업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생성,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다.
특히, 이벤트보고모듈(140)에서 검사 또는 이슈에 대한 정보(작업 공정, 수리일정, 검사 정보, 또는 동영상, 사진, 텍스트로 작성된 이슈 정보)를 등록하고, 선주측으로 부터 소정의 작업 지시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는 채팅모듈(150)에서도 실시간으로 채팅이 가능하여 작업 공정을 공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지금까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수리 선박에 대한 "검사" 선박 수리와 관련된 구체적인 검사 항목을 의미하고, "이슈"는 최초 수리 내용과 무관하게 등록된 참여자 간에 필요시 즉각적으로 보고하거나 제안하는 특정 내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수리 조선사별 맞춤형 작업 공정을 간단하게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와 관리자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실시간 통신하면서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작업 공정 과정 등을 실시간 공유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리 조선소에서는 전체적인 작업 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선주측 또는 선사측에서 실시간으로 작업 과정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선박의 수리 일정 등을 자체적으로 조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전제적으로 요약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리 조선 작업 공정 개선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수리 대상 선박을 등록하고 작업자 내지 관리자 등과 같은 이해 관계자들이 해당 선박의 수리를 위한 작업 공정에 직접적으로 공동 참여하게 됨으로써, 필요한 작업 공정, 일정 등을 상호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 일정 및 이슈를 해당 관리자에게 시의 적절하게 통지할 수 있고 표준 작업 공정 또는 수리 조선소별 작업 공장 항목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선주측 또는 선급측 담당자의 경우 사전에 선박 수리 일정과 진행과정을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선박 수리 후의 계획 수립이 용이하다는 점과, 검사 일정/이슈 등을 시의 적절하게 통지 받음으로써 수리 지연 요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선주나 선주측의 관리자는 수리조선 작업 공정에 대한 이해도와 업무 업무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고, 작업 공정 내용과 일정 등이 공유됨으로써 수리 조선 작업 공정 전체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급을 위한 선박 검사 일정/이슈 등을 시의 적절하게 실시간 공유 함으로써 업무 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고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 어플리케이션
110 : 선박리스트모듈
120 : 검사일정모듈
130 : 일일보고모듈
140 : 이벤트보고모듈
150 : 채팅모듈
S110 : CMS서버 접속단계
S120 : 참여자정보 등록단계
S130 : 선박 기본정보 생성단계
S140 : 수리선박정보 설정단계
S150 : 설치정보 전송단계
S160 : 보고 및 관리단계
110 : 선박리스트모듈
120 : 검사일정모듈
130 : 일일보고모듈
140 : 이벤트보고모듈
150 : 채팅모듈
S110 : CMS서버 접속단계
S120 : 참여자정보 등록단계
S130 : 선박 기본정보 생성단계
S140 : 수리선박정보 설정단계
S150 : 설치정보 전송단계
S160 : 보고 및 관리단계
Claims (2)
- 수리대상 선박의 정보를 표시하는 선박리스트모듈과, 상기 수리대상 선박의 검사 일정을 표시하는 검사일정모듈과, 상기 수리대상 선박의 작업공정에 대한 일별 작업정보가 표시되는 일일보고모듈과, 상기 수리대상 선박의 작업공정별 이슈(최초 수리내용과 무관하게 각 참여자가 필요 시 즉각적으로 보고하거나 제안하는 특정내용)와 이슈 발생일을 표시하는 이벤트보고모듈과, 실시간 채팅을 위한 채팅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 휴대 단말기와 무선 연동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되는 모듈들이 저장되어 있는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서버를 활용한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으로서,
a) 관리자가 선주측으로부터 수리 대상 선박에 대한 요청을 받게 된 경우,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서 CMS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관리자의 회원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Log-in)하는 CMS서버 접속단계;
b) 상기 CMS서버에 선주측 참여자 정보, 선급측 참여자 정보 및 수리조선소측 참여자 정보를 등록하는 참여자정보 등록단계;
c) 상기 CMS서버에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기본정보를 입력하여 생성하는 선박 기본정보 생성단계;
d)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명칭과,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수리공정 작업기간과, 상기 선주측 참여자 정보, 상기 선급측 참여자 정보 및 상기 수리조선소측 참여자 정보 중에서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수리 내지 관리에 참여할 참여자를 선택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참여자의 수리공정정보에 대한 정보접근권한을 설정하는 수리선박정보 설정단계;
e) 상기 CMS서버에서 상기 CMS서버와 무선 연동 가능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정보 를 상기 등록된 참여자의 휴대 단말기로 각기 전송하는 설치정보 전송단계;
f) 상기 등록된 참여자의 휴대 단말기에 상기 CMS서버와 연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상기 등록된 참여자의 휴대 단말기와 상기 CMS서버가 상호 무선 연동되면서 상기 수리 대상 선박의 공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고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보고 및 관리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선박리스트모듈은 상기 수리 대상 선박에 대한 수리공정 진척도 정보를 더 제공하며,
상기 검사일정모듈에서 수리 대상 선박의 검사 일정을 지정 또는 변경은 상기 등록된 참여자 중에서 선급측 참여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서만 가능하며,
수리조선소측 참여자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CMS서버와 무선 연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수리조선소측 참여자의 단말기의 GPS 정보를 포함한 측위정보를 이용하여 수리조선소측 참여자의 단말기가 수리 조선소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비활성화되어 상기 CMS서버와의 접속을 차단시켜 수리 조선 작업 정보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1110A KR101994550B1 (ko) | 2017-12-13 | 2017-12-13 |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1110A KR101994550B1 (ko) | 2017-12-13 | 2017-12-13 |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0519A KR20190070519A (ko) | 2019-06-21 |
KR101994550B1 true KR101994550B1 (ko) | 2019-07-02 |
Family
ID=6705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1110A KR101994550B1 (ko) | 2017-12-13 | 2017-12-13 |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455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4924B1 (ko) * | 2019-08-08 | 2020-02-07 | 주식회사 글로벌제조혁신네트웍 | 스마트팩토리 원격협업 cms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TW202129560A (zh) * | 2020-01-21 | 2021-08-01 | 郭素蓮 | 機電工程管理系統 |
KR102687979B1 (ko) * | 2021-02-19 | 2024-07-25 | 한화오션 주식회사 | 텍스트 표시 기능이 구비된 증강 현실 지원 시스템 |
KR102408501B1 (ko) * | 2021-07-21 | 2022-06-14 | 주식회사 이유랩 | 작업 공정의 스케쥴 최적화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9033B1 (ko) * | 2013-05-23 | 2013-08-27 | 사단법인 한국선급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선박관련 정보 제공방법 |
KR101567886B1 (ko) * | 2014-03-21 | 2015-11-1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 건조 정보 공유를 지원하는 서버, 단말기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4997B1 (ko) | 1995-03-31 | 1998-04-20 | 심상철 | 스트렙토키나제 발현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 스트렙토키나제의 제조방법 |
KR101236838B1 (ko) * | 2011-07-14 | 2013-02-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7
- 2017-12-13 KR KR1020170171110A patent/KR1019945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9033B1 (ko) * | 2013-05-23 | 2013-08-27 | 사단법인 한국선급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선박관련 정보 제공방법 |
KR101567886B1 (ko) * | 2014-03-21 | 2015-11-1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 건조 정보 공유를 지원하는 서버, 단말기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0519A (ko) | 2019-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4550B1 (ko) |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 | |
CN103118114A (zh) | 一种基于云服务器的bim协同设计系统 | |
Satta et al. | Port labour, competitiveness and drivers of change in the Mediterranean Sea: a conceptual framework | |
Conca et al. | Automation in freight port call process: real time data sharing to improve the stowage planning | |
Vaggelas et al. | Port labour in the era of automation and digitalization. What’s next | |
KR102202240B1 (ko) | 수리 조선 작업 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 |
KR20240034911A (ko) | 작업 시간 단축을 위한 수리 조선 공정의 관리 방법 | |
KR20240034908A (ko) | 수리 조선의 작업 공정 관리 방법 | |
KR20220034966A (ko) | 수리 조선 작업 공정 시간 단축을 위한 관리 방법 | |
KR20220068317A (ko) | 수리 조선 작업 공정 효율화 관리 방법 | |
WO2020246628A1 (ko) | 수리 조선 작업공정의 실시간 보고 및 관리 방법 | |
Shallenberger et al. | Vito Project Overview | |
Mohammad et al. | Malaysia's Experience in Integrated Coordination of Offshore Supply Vessels through Integrated Logistics Control Tower ILCT | |
Bodheswaran et al. | Demolition of Offshore Wellhead Topsides-Weight Engineering Challenges | |
Falcon et al. | Anchor Project: Best Practices and Lessons from Detailed Design Through Fabrication of the Anchor FPU | |
Liu et al. | Offshore Platform Topsides and Substructure | |
Johannessen et al. | A subsea operation in action: a brief overview of how IMR subsea operations are organized and executed | |
Choudhary et al. | Crane-Less, Diver-Less Platform Decommissioning Vessel to Reduce Cost and Enhance Safety and Efficiency | |
Ismail et al. | Successful Execution of ‘D Field Compressed Gas Capacity Enhancement Integrated Turnaround’(DuCIT), Peninsular Malaysia Operations, PETRONAS | |
McCartan et al. | A SWATH Mothership Concept for the Far Shore Wind Farms Using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NetWork Model | |
Nor Azhar | Light Weight Structure LWS Installation Using Jack up Rig | |
Berger | The Frigg Cessation Project | |
Maclaren |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Maintaining Offshore Structures within Lift-Installed Parameters | |
Yong et al. | Driving Efficiencies in Well Intervention Operations | |
Rocha et al. | FPSO Guanabara: How we Overtake and Manage Complex and Unpredictable Scenarios to Reach the FPSO TOP in 9 Month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