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431B1 -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431B1
KR101994431B1 KR1020170166123A KR20170166123A KR101994431B1 KR 101994431 B1 KR101994431 B1 KR 101994431B1 KR 1020170166123 A KR1020170166123 A KR 1020170166123A KR 20170166123 A KR20170166123 A KR 20170166123A KR 101994431 B1 KR101994431 B1 KR 10199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g
inlet
storage contain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422A (ko
Inventor
조남현
Original Assignee
조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현 filed Critical 조남현
Priority to KR102017016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4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not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bottle screwed onto a base of a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수용물을 담는 저장용기와 수용부를 분리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하고 상기 수용부 하방으로 연장된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물을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하므로 적은 양의 물이 흘러나와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기 위한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는 입구가 개방된 저장용기와, 상기 입구가 하방으로 안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부 일측에 조절밸브가 설치된 배출부와,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신축다리부, 및 상기 배출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되 상기 신축다리부 일측과 힌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내측으로 상기 입구와 소정 높이 이격되게 수용되도록 지지스토퍼가 구비되고 측면 일측으로 좌우 관통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입구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하며, 상기 신축다리부는 중공의 메인다리와, 상기 메인다리 내부로 삽입되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보조다리 및 상기 메인다리와 보조다리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결속하는 신축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밸브에 의해서 상기 배출부가 개폐되어 상기 저장용기 내의 수용물이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Portable water sav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수용물을 담는 저장용기와 수용부를 분리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하고 상기 수용부 하방으로 연장된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물을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하므로 적은 양의 물이 흘러나와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기 위한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건강을 위하여 등산 또는 낚시 등의 각종 스포츠를 즐기거나 텃밭을 가꾸는 등의 야외 취미생활을 한다.
이러한 활동 중에 손을 더럽히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사람들은 마땅히 손을 씻을 만한 장소가 없을 시에 그냥 대충 옷에 털어버리는 경우가 많으며 어떤 사람은 물티슈를 사용하여 손을 닦는 데 여러 장의 물티슈가 소비하게 된다.
또한, 어떤 사람은 마시려고 가져간 물병의 물을 사용하여 손을 씻는 데, 물병의 물을 배출하는 데 있어서 그 양의 조절이 어려워 많은 물이 소비되어 마실 물이 부족하게 될까 우려가 되는 경우 깨끗하게 손을 씻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건강을 위해서 등산 또는 낚시 등의 각종 스포츠를 즐기고 텃밭을 일구는 등의 야외 취미생활을 하지만, 야외에서 손을 더럽히게 되었을 때 손을 깨끗하게 씻지 못하여 위생상 불결함을 초래하여 건강을 해칠 수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1985호인 '절수기'를 제안한 바 있으나, 야외에서 휴대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1985호, 고안의 명칭 '절수기' (등록일자 2012.08.1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용물을 담는 저장용기와 수용부를 분리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하고 상기 수용부 하방으로 연장된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물을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하므로 적은 양의 물이 흘러나와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는 입구가 개방된 저장용기와, 상기 입구가 하방으로 안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부 일측에 조절밸브가 설치된 배출부와,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신축다리부, 및 상기 배출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되 상기 신축다리부 일측과 힌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내측으로 상기 입구와 소정 높이 이격되게 수용되도록 지지스토퍼가 구비되고 측면 일측으로 좌우 관통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입구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하며, 상기 신축다리부는 중공의 메인다리와, 상기 메인다리 내부로 삽입되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보조다리 및 상기 메인다리와 보조다리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결속하는 신축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밸브에 의해서 상기 배출부가 개폐되어 상기 저장용기 내의 수용물이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와 수용부를 분리할 수 있고 신축다리부를 다단으로 길이를 줄일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배출부를 통하여 수용물을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할 수 있어 적은 양의 물이 흘러나와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용부 내의 지지스토퍼 및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저장용기 내의 수용물을 용이하게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신축조절부를 통하여 신축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축다리부를 확대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B'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B' 부분을 도시한 다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를 모의 제작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일반인들이 건강을 위해서 등산 또는 낚시 등의 각종 스포츠를 즐기고 텃밭을 일구는 등의 야외 취미생활을 하지만, 야외에서 손을 더럽히게 되었을 때 손을 깨끗하게 씻지 못하여 위생상 불결함을 초래하여 건강을 해치거나 종래에 야외에서 휴대하여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물을 담는 저장용기와 수용부를 분리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하고 상기 수용부 하방으로 연장된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물을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하므로 적은 양의 물이 흘러나와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축다리부를 확대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B'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B' 부분을 도시한 다른 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100)는 입구(111)가 개방된 저장용기(110)와, 상기 입구(111)가 하방으로 안착되는 수용부(120)와, 상기 수용부(120)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부 일측에 조절밸브(131)가 설치된 배출부(130)와, 상기 수용부(120)를 지지하는 복수의 신축다리부(140), 및 상기 배출부(13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되 상기 신축다리부(140) 일측과 힌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수용부(120)는 내측으로 상기 입구와 소정 높이 이격되게 수용되도록 지지스토퍼(121)가 구비되고 측면 일측으로 좌우 관통하는 공기유입구(123)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110)의 수용물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밀폐되지 않고 하방으로 용이하게 흘러나오게 상기 입구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한다.
또한, 신축다리부(140)는 중공의 메인다리(141)와, 상기 메인다리(141) 내부로 삽입되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42h)이 형성된 보조다리(142) 및 상기 메인다리(141)와 보조다리(142)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결속하는 신축조절부(145)를 포함한다.
또한, 조절밸브(131)에 의해서 배출부(130)가 개폐되어 저장용기(110) 내의 수용물이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신축조절부(145)는 메인다리(141) 일단부와 고정되면서 보조다리(142) 일측을 감싸는 커버부(145-1)와, 상기 커버부(145-1) 일측에 조임축(145-2s)을 가져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한 조임부(145-2)와, 상기 커버부(145-1) 및 가이드홈(142h)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조임부(145-2)에 의해 압박되는 조임편(145-3), 및 상기 조임부(145-2) 일측과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145-1) 측면에 밀착되는 유성형의 손잡이부(145-3)를 포함한다.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의 구성 및 사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110)와, 수용부(120)와, 배출부(130)와, 복수의 신축다리부(140), 및 슬라이드부(150)를 포함한다.
저장용기(110)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 페트병(PET bottle)으로, 물과 같은 수용물을 담을 수 있는 식수병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110)는 일측에 입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111)는 개방되어 있어 상기 입구(111)를 통하여 식수를 채우거나 배출할 수 있다.
수용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110)의 입구(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입구(111)보다 외경이 넓고 삽입 안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 상기 입구와 소정 높이 이격되게 수용되도록 지지스토퍼(121)가 구비되며 측면 일측으로 좌우 관통하는 공기유입구(123)가 형성되어 상기 입구(111)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0)는 저장용기(110)의 입구(111)가 외주연으로 나사산이 나 있듯이, 이에 대응한 나사산이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에는 지지스토퍼(121)가 하부면과 소정 높이 이격거리를 형성시켜 공기가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형성시키며 일측면으로 관통하는 공기유입구(123)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입구(111)를 통하여 저장용기(110) 내로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지지스토퍼(121)는 폭이 좁은 직사각형 플레이트(flate) 형상으로 수용부 내측 바닥면에 세워져 있어 하방으로 있는 입구(111) 끝단을 지지한다.
따라서, 수용부(120)는 저장용기(110)의 수용물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밀폐되지 않고 하방으로 용이하게 흘러나오게 하되, 공기유입구(123)가 상기 수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는 크기의 홀(hole)이기 때문에 소정 높이까지 수용물이 차면 저장용기(110)의 수용물 배출을 중단시킨다.
배출부(130)는 수용부(120)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부 일측에 조절밸브(1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부(130)는 저장용기(110) 내의 수용물이 수용부(120)를 통하여 하방으로 흘러나와 배출되는 통로로, 내부가 비어 있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다.
또한, 조절밸브(131)는 배출부(130)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용물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조절밸브(131)에 의해서 배출부(130)가 개폐되어 저장용기(110) 내의 수용물이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부(130)에서 저장용기(110)에 있는 수용물이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될 때 가장 물소비가 적은 상태가 되는 실험결과를 얻었다.
이렇게 하므로, 적은 양의 물이 흘러나와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신축다리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0)를 지지하는 거치대로, 수용부(120) 외주연을 따라 힌지 연결되어 등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또한, 수용부(120)와 힌지 연결되어 신축다리부(140)를 원하는 각도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접고 펴는 동작에 있어 3개의 신축다리부(140) 각각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각각의 신축다리부(140)의 펴는 각도를 조정하면 굴곡이 있는 지형에서도 삼각대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신축다리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메인다리(141)와, 상기 메인다리(141) 내부로 삽입되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42h)이 형성된 보조다리(142) 및 상기 메인다리(141)와 보조다리(142)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결속하는 신축조절부(145)를 포함한다.
또한, 신축다리부(140)는 제2, 제3의 보조다리(143, 144)를 추가로 구비하고 신축조절부(145)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2, 제3 신축조절부(145', 145")를 장착하여 신축 길이를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재한 신축다리부(140)는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구조,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3개의 신축다리부(140)는 구조와 기능 모든 면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각각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하나의 신축다리부(140)를 특정하여 설명하였다. 때문에 신축다리부(140)에 대한 구성은 3개 모든 신축다리부(140)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 신축다리부(140)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신축다리부(140)는 지면과 접촉하는 끝단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고무재질의 받침구(149)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B' 부분을 도시한 횡단면으로, 신축조절부(145)가 조인 상태(locking)를, 도 7은 도 2의 'B' 부분을 도시한 다른 횡단면으로, 신축조절부(145)가 풀린 상태(unlocking)를 나타내고 있고,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한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를 모의 제작한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신축조절부(145)는 메인다리(141) 일단부와 고정되면서 보조다리(142) 일측을 감싸는 커버부(145-1)와, 상기 커버부(145-1) 일측에 조임축(145-2s)을 가져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한 조임부(145-2)와, 상기 커버부(145-1) 및 가이드홈(142h)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조임부(145-2)에 의해 압박되는 조임편(145-3), 및 상기 조임부(145-2) 일측과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145-1) 측면에 밀착되는 유선형의 손잡이부(145-3)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축조절부(145)를 작동시켜 신축다리부(140)를 펼쳐 지면에 설치하거나 신축다리부(140)를 줄여 휴대하기 편리하게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신축다리부(140)를 원하는 길이로 신축시킨 후에 유선형의 손잡이부(145-3)를 누르면(locking) 상기 손잡이부(145-3)와 일체로 연결된 조임부(145-2)가 조임축(145-2s)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커버부(145-1) 및 가이드홈(142h) 사이에 개입되어 있는 조임편(145-3)를 압박하여 커버부(145-1)에 감싸 있는 보조다리(142) 일측을 조여주므로, 메인다리(141) 일단부와 보조다리(142) 일측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조임축(145-2s)이 조임부(145-2)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조임부(145-2)가 회동시 조임편(145-3)을 압박(locking)하게 된다.
반대로,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유선형의 손잡이부(145-3)를 젖히면(unlocking) 상기 손잡이부(145-3)와 일체로 연결된 조임부(145-2)가 조임축(145-2s)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커버부(145-1) 및 가이드홈(142h) 사이에 개입되어 압박하던 조임편(145-3)이 풀려 커버부(145-1)에 감싸 있는 보조다리(142) 일측도 풀림으로, 메인다리(141) 일단부와 보조다리(142) 일측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임축(145-2s)이 조임부(145-2)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조임부(145-2)가 회동시 조임편(145-3)의 압박이 풀리게(unlocking) 된다.
또한, 제2 및 제3 신축조절부(145', 145")도 신축조절부(145)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고 있고 제2, 제3의 보조다리(143, 144)에 당연히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설명을 참조하고 반복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슬라이드부(15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13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것으로, 배출부(130)를 따라 상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배출부(130) 외경보다 큰 환형의 고리 형상을 이룬다.
또한, 슬라이드부(150)는 신축다리부(140) 일측과 힌지 연결되어 신축다리부(140)가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신축다리부(140)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와 수용부를 분리할 수 있고 신축다리부를 다단으로 길이를 줄일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배출부를 통하여 수용물을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할 수 있어 적은 양의 물이 흘러나와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용부 내의 지지스토퍼 및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저장용기 내의 수용물을 용이하게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신축조절부를 통하여 신축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절수장치
110 : 저장용기
120 : 수용부
130 : 배출부
140 : 신축다리부
150 : 슬라이드부

Claims (2)

  1. 입구가 개방된 저장용기와,
    상기 입구가 하방으로 안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부 일측에 조절밸브가 설치된 배출부와,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신축다리부, 및
    상기 배출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되 상기 신축다리부 일측과 힌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내측으로 상기 입구와 소정 높이 이격되게 수용되도록 지지스토퍼가 구비되고 측면 일측으로 좌우 관통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수용물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밀폐되지 않고 하방으로 용이하게 흘러나오게 상기 입구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하며,
    상기 신축다리부는
    중공의 메인다리와, 상기 메인다리 내부로 삽입되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보조다리 및 상기 메인다리와 보조다리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결속하는 신축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조절부는
    상기 메인다리 일단부와 고정되면서 상기 보조다리 일측을 감싸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일측에 조임축을 가져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한 조임부와, 상기 커버부 및 가이드홈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조임부에 의해 압박되는 조임편, 및 상기 조임부 일측과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 측면에 밀착되는 유선형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밸브에 의해서 상기 배출부가 개폐되어 상기 저장용기 내의 수용물이 1분당 400밀리리터 이하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
  2. 삭제
KR1020170166123A 2017-12-05 2017-12-05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 KR10199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123A KR101994431B1 (ko) 2017-12-05 2017-12-05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123A KR101994431B1 (ko) 2017-12-05 2017-12-05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422A KR20190066422A (ko) 2019-06-13
KR101994431B1 true KR101994431B1 (ko) 2019-06-28

Family

ID=6684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123A KR101994431B1 (ko) 2017-12-05 2017-12-05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9535A (zh) * 2023-10-30 2024-01-30 金梦佳 工程造价施工尺寸测量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017A (ja) * 2001-10-22 2003-05-08 Suritsuku Kk 伸縮自在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535B1 (ko) * 2007-08-06 2009-04-15 충무정밀 주식회사 삼각대
KR200461985Y1 (ko) 2012-03-27 2012-08-17 조남현 절수기
KR20140036464A (ko) * 2012-09-16 2014-03-26 조남현 절수꼭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017A (ja) * 2001-10-22 2003-05-08 Suritsuku Kk 伸縮自在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422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704B1 (en) Portable seating device
US7584830B2 (en) Suitcase and desk combination device
US8381749B1 (en) Adjustable hunting blind
US20160183738A1 (en) Beach Bucket
KR101994431B1 (ko) 휴대가 용이한 절수장치
US20150217900A1 (en) Extendable and collapsible container
US20120217238A1 (en) Telescopic kettle
US20160242537A1 (en) Adjustable pedestal table for pools and tubs
CA2897427A1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for flexible hoses
US6203103B1 (en) Collapsible fishing chair with detachable floats
CN209489603U (zh) 伞套
US20060283905A1 (en) No-drip umbrella sheath
US20170238663A1 (en) Securing tote bag with detachable towel
KR200485956Y1 (ko) 레져용 탈착식 소품선반
KR101601185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온용기
JP3184436U (ja) 筒状カバーを備えた雨傘
KR101969543B1 (ko) 방수처리 케이스가 내장된 우산
KR20190063377A (ko) 반려동물용 접이식 목욕 받침대
JP5791182B2 (ja) グリップカバーと、支持部と、回転および固定可能な中棒とを備えるポケット傘
GB2543111A (en) Portable beverage holder assembly
CN108703455A (zh) 伞套
FR2839632A3 (fr) Dispositif permettant de maintenir une serviette de plage parfaitement etalee sur le sable
US20170028416A1 (en) Fluid Distribution Assembly
KR101776488B1 (ko) 등산용 스틱을 이용한 간이텐트
KR20180069968A (ko) 우산 수납함을 구비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스탠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